KR20150112569A - 얼음 정수기 - Google Patents

얼음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569A
KR20150112569A KR1020140037038A KR20140037038A KR20150112569A KR 20150112569 A KR20150112569 A KR 20150112569A KR 1020140037038 A KR1020140037038 A KR 1020140037038A KR 20140037038 A KR20140037038 A KR 20140037038A KR 20150112569 A KR20150112569 A KR 2015011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rt
ice
lid
water purifi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964B1 (ko
Inventor
최인두
박정철
노용연
김도한
박시준
송민섭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96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보냉 기능 갖춘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보관 및 배출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로서, 얼음이 보관되는 내부 공간(101)을 구비하는 몸체부(100), 내부 공간(101)을 덮는 제1 덮개부(110), 및 제1 덮개부(110)를 덮는 제2 덮개부(130)를 포함하고, 제1 덮개부(110) 및 제2 덮개부(130) 사이에 단열 공간(120)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얼음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보냉 기능을 갖춘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정수기는 내부에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 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에 더해서 얼음 정수기는 제빙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을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를 구비한다.
얼음 정수기는, 제빙 장치로 얼음을 만든 다음에 이를 얼음 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얼음을 요청하면 얼음 저장고 내의 얼음을 얼음 배출구로 이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얼음 정수기에서는 외부와의 열 교환을 최대한 차단하여 얼음 정수기 내부의 얼음이 녹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얼음 정수기에서는 얼음 정수기의 내부와 외부의 열 교환이 이루어져, 얼음 정수기 내부의 얼음이 녹아 내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얼음 정수기 내부와 외부의 열 교환을 차단하여, 외부의 열에 의하여 얼음 정수기 내부의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보관 및 배출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로서, 얼음이 보관되는 내부 공간(101)을 구비하는 몸체부(100), 내부 공간(101)을 덮는 제1 덮개부(110), 및 제1 덮개부(110)를 덮는 제2 덮개부(130)를 포함하고, 제1 덮개부(110) 및 제2 덮개부(130) 사이에 단열 공간(1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몸체부, 제1 덮개부, 제2 덮개부를 포함하고, 제1 덮개부(110) 및 제2 덮개부(130) 사이에 단열 공간(120)을 구비함으로써, 얼음 정수기 내부와 외부의 열 교환을 차단하여, 외부의 열에 의하여 얼음 정수기 내부의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점선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아래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점선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아래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1)는 얼음을 보관 및 배출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1)로서, 몸체부(100), 제1 덮개부(110), 제2 덮개부(130)를 포함한다.
얼음 정수기(1)는 일반적으로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정수기(1) 내부에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 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빙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을 얼음 정수기(1) 내부의 얼음 저장고(미도시)에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는 얼음 정수기(1)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얼음이 보관되는 얼음 저장고를 몸체부(100) 내부의 내부 공간(101)에 구비한다. 도 1에서 몸체부(100) 및 내부 공간(101)이 도시되고 있다.
제1 덮개부(110)는 얼음 정수기(1)의 내부 공간(101)을 덮는 덮개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덮개부(110)는 몸체부(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101)을 덮을 수 있다. 제1 덮개부(110)는 그 자체만으로도 내부 공간(101)과 얼음 정수기 외부와의 열 교환을 저지할 수 있다.
제2 덮개부(130)는 제1 덮개부(110)를 덮는 덮개이다. 제2 덮개부(130)는 내부 공간(101)을 제1 덮개부(110)가 덮은 후 그 위에 추가로 덮는 덮개이다. 제2 덮개부(130)는 제1 덮개부(110)와 함께 내부 공간(101)과 얼음 정수기 외부와의 열 교환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덮개부(130)는 테두리 부분에 몸체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수단(133)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수단(133)을 통하여 제2 덮개부(130)는 몸체부(100)에 좀 더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덮개부(110)는 제2 덮개부(130)를 바라보는 면 상에서 만입한 제1 만입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만입홈(111)은 제1 덮개부(110)에서 제2 덮개부(130)를 바라보는 면 상에서 내부 공간(101)을 향하여 파여진 홈이다. 이 경우 제1 만입홈(111)은 넓은 면적에 걸쳐서 파여진 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덮개부(110)의 중앙부에는 내부 구조물 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에서는 이 내부 구조물 공간(115)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 만입홈(111)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얼음 정수기(1) 내부에는 정수, 제빙 등을 위 여러 가지 구조물들이 위치하는데 내부 구조물 공간(115)은 이러한 구조물들 때문에 필요한 공간이다. 내부 구조물들의 일부가 내부 공간(101)의 상부로 튀어나오게 되는 경우 내부 구조물 공간(115)은 이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다만, 내부 구조물 공간(115)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내부 구조물 공간(115)이 필요 없는 경우 이 부분 까지 제1 만입홈(111)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제1 만입홈(111)의 기능이 더 증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덮개부(130)는 제1 덮개부(110)를 바라보는 면 상에서 만입한 제2 만입홈(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만입홈(131)은 제2 덮개부(130)에서 제1 덮개부(110)를 바라보는 면 상에서 제1 덮개부(11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파여진 홈이다. 이 경우 넓은 면적에 걸쳐서 파여진 홈일 수 있다.
단열 공간(120)은 제1 만입홈(111)과 제2 만입홈(131)이 서로 마주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만입홈(111)의 개구와 제2 만입홈(131)의 개구가 서로 마주하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단열 공간(120)이다. 따라서 단열 공간(120)은 제1 덮개부(110) 및 제2 덮개부(130) 사이에서 형성되게 된다.
도 2 및 도 4에서 단열 공간(120)이 도시되고 있는데, 여기서 도시되는 단열 공간(120)은 제1 덮개부(110)를 제2 덮개부(130)가 덮었을 때 그 부분이 단열 공간(120)으로 형성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단열 공간(120)은 제1 만입홈(111)과 제2 만입홈(131)이 모두 있는 상태에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즉, 제1 덮개부(110)만이 제1 만입홈(111)을 구비하고 제2 덮개부(130)는 만입된 홈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제1 만입홈(111)을 제2 덮개부(130)가 덮는 경우에도 단열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
또 그 반대로, 제2 덮개부(130)만 제2 만입홈(131)을 구비하고 제1 덮개부(110)는 만입된 홈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제2 만입홈(131)의 개구를 제1 덮개부(110)가 막아서 단열 공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단열 공간(120) 내부는 공기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공기는 열 전도율이 매우 낮은 물질로서, 충분한 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단열 공간(120)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1)는 얼음 정수기 내부와 외부의 열 교환을 차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의 열에 의하여 얼음 정수기 내부의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단열 공간(120) 내부에는 단열재가 포함될 수 있다. 단열재가 단열 공간(120)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가 공기만 있는 경우보다 복사열의 이동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의 사용은 더 유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단열재는 삽입되는 단열재의 특성에 따른 추가적인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단열재의 소재 스티로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스티로폼 소재는 가볍고 습기에 강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공기나 단열재 없이, 단열 공간(120)은 내부에 무엇도 없는 진공 상태일 수 있다. 진공 상태는 열을 전달을 위한 매개체가 전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도에 의한 열 전달과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덮개부(110)는 제1 덮개부(110)의 단부에 위치하며, 제2 덮개부(130)와 접하는 측면 테두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덮개부(110)의 하부 면을 구성하는 하부판(117) 및 측면 테두리(113)가 90도의 각도로 서로 만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 둘의 관계가 90도로 만나야 하는 것은 아니다. 90도 이외의 다른 각도로 만날 수도 있다.
단열 공간(120)을 만들기 위하여 측면 테두리(113)는 제2 덮개부(130)와 접할 수 있다. 이 때, 측면 테두리(113)와 제2 덮개부(130) 사이의 틈새가 밀폐 부재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특히 단열 공간(120)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 경우에 밀폐 부재는 진공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밀폐 부재는 고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를 이용한 고무 패킹은 공기 및 물이 통과할 수 없으므로, 효과적으로 진공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1: 얼음 정수기
100: 몸체부
101: 내부 공간
110: 제1 덮개부
111: 제1 만입홈
113: 측면 테두리
115: 내부 구조물 공간
117: 하부판
120: 단열 공간
130: 제2 덮개부
131: 제2 만입홈
133: 결합 수단

Claims (9)

  1. 얼음을 보관 및 배출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 보관되는 내부 공간(101)을 구비하는 몸체부(100);
    상기 내부 공간(101)을 덮는 제1 덮개부(110); 및
    상기 제1 덮개부(110)를 덮는 제2 덮개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부(110) 및 상기 제2 덮개부(130) 사이에 단열 공간(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110)는 상기 제2 덮개부(130)를 바라보는 면 상에서 만입한 제1 만입홈(111)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공간(120)은 상기 제1 만입홈(111)을 상기 제2 덮개부(130)가 덮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부(130)는 상기 제1 덮개부(110)를 바라보는 면 상에서 만입한 제2 만입홈(131)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공간(120)은 상기 제2 만입홈(131)의 개구를 상기 제1 덮개부(110)가 막아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110)는 상기 제2 덮개부(130)를 바라보는 면 상에서 만입한 제1 만입홈(1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부(130)는 상기 제1 덮개부(110)를 바라보는 면 상에서 만입한 제2 만입홈(131)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 공간(120)은 상기 제1 만입홈(111)과 상기 제2 만입홈(131)이 서로 마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120) 내부에 단열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스티로폼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120)은 진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110)는 상기 제1 덮개부(110)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덮개부(130)와 접하는 측면 테두리(113)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테두리(113)와 상기 제2 덮개부(130) 사이의 틈새는 밀폐 부재에 의하여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고무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KR1020140037038A 2014-03-28 2014-03-28 얼음 정수기 KR102256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38A KR102256964B1 (ko) 2014-03-28 2014-03-28 얼음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38A KR102256964B1 (ko) 2014-03-28 2014-03-28 얼음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69A true KR20150112569A (ko) 2015-10-07
KR102256964B1 KR102256964B1 (ko) 2021-05-27

Family

ID=5434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38A KR102256964B1 (ko) 2014-03-28 2014-03-28 얼음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9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267A (ja) * 1999-02-02 2000-08-15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の中継コネクタ設置構造
JP2010190433A (ja) * 2009-02-13 2010-09-02 Hoshizaki Electric Co Ltd 断熱箱体
KR20110015324A (ko) * 2009-08-07 2011-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및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JP2014048019A (ja) * 2012-09-03 2014-03-17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267A (ja) * 1999-02-02 2000-08-15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の中継コネクタ設置構造
JP2010190433A (ja) * 2009-02-13 2010-09-02 Hoshizaki Electric Co Ltd 断熱箱体
KR20110015324A (ko) * 2009-08-07 2011-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재,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및 진공단열재의 제조방법
JP2014048019A (ja) * 2012-09-03 2014-03-17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964B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424B1 (en) Refrigerator
JP5822798B2 (ja) 断熱箱体及びこの断熱箱体を備えた冷蔵庫
TWI608977B (zh) Insulation container
JP5870252B2 (ja) 冷凍庫
KR20150112569A (ko) 얼음 정수기
JP2014137192A (ja) 冷蔵庫
KR102301491B1 (ko) 보온 보냉 컨테이너
KR102238504B1 (ko) 물저장탱크
KR200401581Y1 (ko) 스폰지 보냉용기
CN204587684U (zh) 一种乳牙采集试剂放置保温盒
KR200467622Y1 (ko) 보온 및 보냉 수통의 뚜껑
JP6590408B2 (ja) 真空断熱容器
JP6292990B2 (ja) 冷蔵庫
US20090077998A1 (en) Refillable cooling container
JP4948989B2 (ja) 携帯用飲料容器
JP3196994U (ja) ワインセラー
TWM462243U (zh) 真空保溫杯蓋
JPH11190575A (ja) 製氷器
CN210285339U (zh) 一种可添加冰块的保鲜泡沫箱
JP2013079761A5 (ko)
KR102190626B1 (ko) 아이스팩
JP3200023U (ja) 被保冷体又は被保温体を冷却又は保温状態で搬送又は貯蔵するために使用する箱体
JP6550323B2 (ja) 冷凍装置
CN207912513U (zh) 一种预冷保温杯
CN108151398A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