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694A -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694A
KR20150111694A KR1020140035374A KR20140035374A KR20150111694A KR 20150111694 A KR20150111694 A KR 20150111694A KR 1020140035374 A KR1020140035374 A KR 1020140035374A KR 20140035374 A KR20140035374 A KR 20140035374A KR 20150111694 A KR20150111694 A KR 20150111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user interface
input
tab
interfa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459B1 (ko
Inventor
신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59B1/ko
Priority to US14/668,206 priority patent/US10061488B2/en
Publication of KR2015011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3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X-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2Transforming X-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의료 영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탭 및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THEREOF}
본원 발명은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의료 영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영상으로 획득하기 위한 장비이다. 의료 영상 장치는 비침습 검사 장치로서, 신체 내의 구조적 세부사항, 내부 조직 및 유체의 흐름 등을 촬영 및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의사 등의 사용자는 의료 영상 장치에서 출력되는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 및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로는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장치, 자기 공명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 엑스레이(X-ray) 장치, 및 초음파(Ultrasound) 진단 장치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 중 컴퓨터 단층 촬영(CT) 장치는 대상체에 대한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일반적인 엑스레이 장치에 비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예컨대, 신장, 폐 등의 장기 등)가 겹치지 않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질병의 정밀한 진단을 위하여 널리 이용된다.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는 대상체로 엑스레이를 조사하며, 대상체를 통과한 엑스레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엑스레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복원한다.
또한, 자기 공명 영상 장치는 자기장을 이용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치로, 뼈는 물론 디스크, 관절, 신경 인대 등을 원하는 각도에서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정확한 질병 진단을 위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자기 공명 영상 장치는 RF 코일들을 포함하는 고주파 멀티 코일, 영구자석 및 그래디언트 코일 등을 이용하여 자기 공명(MR: magnetic resonance) 신호를 획득한다. 그리고, 자기 공명 신호(MR 신호)를 샘플링하여 자기 공명 영상을 복원한다.
의사는 환자를 진단하기 위해서, 의료 영상 장치를 이용해 대상체를 스캔하여 의료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의사 등의 사용자는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해서는 의료 영상 장치의 촬영 모드, 촬영 모드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 및 촬영 대상이 대는 신체 부위 및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는 전술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며, 사용자는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대상체의 스캔에 필요한 설정을 인식, 입력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의료 영상의 촬영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전술한 설정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의료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탭 및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메뉴 화면에서 상기 제1 탭과 상기 제2 탭 간의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탭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탭 내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탭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4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탭 내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5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예측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청치와 상기 예측치를 비교하고, 상기 측정치가 상기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청치와 상기 예측치를 비교하고, 상기 측정치가 상기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와 상기 측정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입력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와 변경 불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근거하여 분류되는 CT 촬영 모드, 및 상기 CT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서브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근거하여 분류되는 MRI 촬영 모드, 및 상기 MRI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서브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해당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을 조절 또는 설정하기 위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탭의 시야면에 포함되는 탭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된 상기 탭 화면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의료 영상 장치를 통하여, 복수 개의 촬영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탭 및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메뉴 화면에서 상기 제1 탭과 상기 제2 탭 간의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탭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탭 내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3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탭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4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탭 내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5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예측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청치와 상기 예측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치가 상기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청치와 상기 예측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치가 상기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와 상기 측정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입력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와 변경 불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해당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을 조절 또는 설정하기 위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탭의 시야면에 포함되는 탭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된 상기 탭 화면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이용되는 CT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이용되는 CT 시스템(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이용되는 MRI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은 이산적인 영상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은 X-ray, CT, MRI, 초음파 및 다른 의료 영상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의 의료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또는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부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구형(sphere)의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CT(Computed Tomography) 영상"이란 대상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대상체를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복수개의 엑스레이 영상들의 합성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자기 공명 영상 (MRI: Magnetic Resonance Image)"이란 핵자기 공명 원리를 이용하여 획득된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펄스 시퀀스"란, MRI 시스템에서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신호의 연속을 의미한다. 펄스 시퀀스는 RF 펄스의 시간 파라미터, 예를 들어, 반복 시간(Repetition Time, TR) 및 에코 시간(Time to Echo, 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T 시스템은 대상체에 대하여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X-ray 촬영 기기에 비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예컨대, 신장, 폐 등의 장기 등)가 겹치지 않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T 시스템은, 예를 들어, 2mm 두께 이하의 영상데이터를 초당 수십, 수백 회 획득하여 가공함으로써 대상체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한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대상체의 가로 단면만으로 표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영상 재구성 기법의 등장에 의하여 극복되었다. 3차원 재구성 영상기법들로는 다음과 같은 기법들이 있다.
- SSD(Shade surface display): 초기 3차원 영상기법으로 일정 HU값을 가지는 복셀들만 나타내도록 하는 기법.
- MIP(maximum intensity projection)/MinIP(minimum intensity projection): 영상을 구성하는 복셀 중에서 가장 높은 또는 낮은 HU값을 가지는 것들만 나타내는 3D 기법.
- VR(volume rendering): 영상을 구성하는 복셀들을 관심영역별로 색 및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법.
- 가상내시경(Virtual endoscopy): VR 또는 SSD 기법으로 재구성한 3차원 영상에서 내시경적 관찰이 가능한 기법.
- MPR(multi planar reformation): 다른 단면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영상 기법.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자유자제의 재구성이 가능하다.
- Editing: VR에서 관심부위를 보다 쉽게 관찰하도록 주변 복셀들을 정리하는 여러 가지 기법.
- VOI(voxel of interest): 선택 영역만을 VR로 표현하는 기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단층촬영(CT) 시스템(100)은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시스템(100)은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이용되는 CT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T 시스템(100)은 갠트리(102), 테이블(105), X-ray 생성부(106) 및 X-ray 검출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102)는 X-ray 생성부(106) 및 X-ray 검출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10)는 테이블(105)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테이블(105)은 CT 촬영 과정에서 소정의 방향(예컨대, 상, 하, 좌, 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05)은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거나(tilting) 또는 회전(rotating)될 수 있다.
또한, 갠트리(102)도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이용되는 CT 시스템(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시스템(100)은 갠트리(102), 테이블(105), 제어부(118), 저장부(124), 영상 처리부(126), 입력부(128), 디스플레이 부(130), 통신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10)는 테이블(10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5)은 소정의 방향(예컨대, 상, 하, 좌, 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어부(118)에 의하여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102)는 회전 프레임(104), X-ray 생성부(106), X-ray 검출부(108), 회전 구동부(110), 데이터 획득 회로(116), 데이터 송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102)는 소정의 회전축(RA; Rotation Axis)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한 고리 형태의 회전 프레임(1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104)은 디스크의 형태일 수도 있다.
회전 프레임(104)은 소정의 시야 범위(FOV; Field Of View)를 갖도록 각각 대향하여 배치된 X-ray 생성부(106) 및 X-ray 검출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104)은 산란 방지 그리드(anti-scatter grid,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산란 방지 그리드(114)는 X-ray 생성부(106)와 X-ray 검출부(108)의 사이에서 위치할 수 있다.
의료용 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검출기(또는 감광성 필름)에 도달하는 X-선 방사선에는, 유용한 영상을 형성하는 감쇠된 주 방사선(attenuated primary radiation) 뿐만 아니라 영상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산란 방사선(scattered radiation) 등이 포함되어 있다. 주 방사선은 대부분 투과시키고 산란 방사선은 감쇠시키기 위해, 환자와 검출기(또는 감광성 필름)와의 사이에 산란 방지 그리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란 방지 그리드는, 납 박편의 스트립(strips of lead foil)과, 중공이 없는 폴리머 물질(solid polymer material)이나 중공이 없는 폴리머(solid polymer) 및 섬유 합성 물질(fiber composite material) 등의 공간 충전 물질(interspace material)을 교대로 적층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산란 방지 그리드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프레임(104)은 회전 구동부(11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X-ray 생성부(106)와 X-ray 검출부(108)를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프레임(104)은 슬립 링(미도시)을 통하여 접촉 방식으로 회전 구동부(110)로부터 구동 신호, 파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104)은 무선 통신을 통하여 회전 구동부(110)로부터 구동 신호, 파워를 수신할 수 있다.
X-ray 생성부(106)는 파워 분배부(PDU; Power Distribution Unit, 미도시)에서 슬립 링(미도시)을 거쳐 고전압 생성부(미도시)를 통하여 전압, 전류를 인가 받아 X선을 생성하여 방출할 수 있다. 고전압 생성부가 소정의 전압(이하에서 튜브 전압으로 지칭함)을 인가할 때, X-ray 생성부(106)는 이러한 소정의 튜브 전압에 상응하게 복수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갖는 X-ray들을 생성할 수 있다.
X-ray 생성부(106)에 의하여 생성되는 X-ray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112)에 의하여 소정의 형태로 방출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는 X-ray 생성부(106)와 마주하여 위치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는 복수의 X-ray 검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엑스레이 검출 소자는 단일 채널을 형성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X-ray 검출부(108)는 X-ray 생성부(106)로부터 생성되고 대상체(10)를 통하여 전송된 X 선을 감지하고, 감지된 X선의 강도에 상응하게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는 방사선을 광으로 전환하여 검출하는 간접방식과 방사선을 직접 전하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직접방식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간접방식의 X-ray 검출부는 Scintillato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접방식의 X-ray 검출부는 photon counting detector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 회로(DAS; Data Acquisitino System)(116)는 X-ray 검출부(108)와 연결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는 데이터 획득 회로(116)에서 수집될 수 있다. X-ray 검출부(108)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획득 회로(116)에서 수집될 수 있다.또한, X-ray 검출부(108)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는 증폭기(미도시)를 거쳐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미도시)로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스 두께(slice thickness)나 슬라이스 개수에 따라 X-ray 검출부(108)로부터 수집된 일부 데이터만이 영상 처리부(126)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영상 처리부(126)에서 일부 데이터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는 데이터 송신부(120)를 통하여 영상 처리부(126)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는 데이터 송신부(12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 처리부(126)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8)는 CT 시스템(100)의 각각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8)는 테이블(105), 회전 구동부(110), 콜리메이터(112), 데이터 획득 회로(116), 저장부(124), 영상 처리부(126), 입력부(128), 디스플레이 부(130), 통신부(132) 등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6)는 데이터 획득 회로(116)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예컨대, 가공 전 순수(pure)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부(120)를 통하여 수신하여, 전처리(pre-processing)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는, 예를 들면, 채널들 사이의 감도 불균일 정정 프로세스, 신호 세기의 급격한 감소 또는 금속 같은 X선 흡수재로 인한 신호의 유실 정정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6)의 출력 데이터는 로 데이터(raw data) 또는 프로젝션(projection)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션 데이터는 데이터 획득시의 촬영 조건(예컨대, 튜브 전압, 촬영 각도 등)등과 함께 저장부(124)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젝션 데이터는 대상체롤 통과한 X선의 세기에 상응하는 데이터 값의 집합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든 채널들에 대하여 동일한 촬영 각도로 동시에 획득된 프로젝션 데이터의 집합을 프로젝션 데이터 세트로 지칭한다.
저장부(124)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126)는 획득된 프로젝션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단면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 영상은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영상 처리부(126)는 획득된 프로젝션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콘 빔 재구성(cone beam reconstruction) 방법 등을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128)를 통하여 X선 단층 촬영 조건, 영상 처리 조건 등에 대한 외부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X선 단층 촬영 조건은, 복수의 튜브 전압, 복수의 X선들의 에너지 값 설정, 촬영 프로토콜 선택, 영상재구성 방법 선택, FOV 영역 설정, 슬라이스 개수, 슬라이스 두께(slice thickness), 영상 후처리 파라미터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조건은 영상의 해상도, 영상에 대한 감쇠 계수 설정, 영상의 조합비율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8)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인가 받기 위한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28)는 마이크로폰,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패드, 터치팬, 음성, 제스처 인식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130)는 영상 처리부(126)에 의해 재구성된 X선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엘리먼트들 사이의 데이터, 파워 등의 송수신은 유선, 무선 및 광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132)는 서버(134) 등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 외부 의료 장치 등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MRI 시스템은 특정 세기의 자기장에서 발생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에 대한 MR(Magnetic Resonance) 신호의 세기를 명암 대비로 표현하여 대상체의 단층 부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대상체를 강력한 자기장 속에 눕힌 후 특정의 원자핵(예컨대, 수소 원자핵 등)만을 공명시키는 RF 신호를 대상체에 순간적으로 조사했다가 중단하면 상기 특정의 원자핵에서 MR 신호가 방출되는데, MRI 시스템은 이 MR 신호를 수신하여 MR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MR 신호는 대상체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를 의미한다. MR 신호의 크기는 대상체에 포함된 소정의 원자(예컨대, 수소 등)의 농도, 이완시간 T1, 이완시간 T2 및 혈류 등의 흐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MRI 시스템은 다른 이미징 장치들과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한다. 영상의 획득이 감지 하드웨어(detecting hardware)의 방향에 의존하는 CT와 같은 이미징 장치들과 달리, MRI 시스템은 임의의 지점으로 지향된 2D 영상 또는 3D 볼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MRI 시스템은, CT, X-ray, PET 및 SPECT와 달리, 대상체 및 검사자에게 방사선을 노출시키지 않으며, 높은 연부 조직(soft tissue) 대조도를 갖는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여, 비정상적인 조직의 명확한 묘사가 중요한 신경(neurological) 영상, 혈관 내부(intravascular) 영상, 근 골격(musculoskeletal) 영상 및 종양(oncologic) 영상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이용되는 MRI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RI 시스템은 갠트리(gantry)(20), 신호 송수신부(30), 모니터링부(40), 시스템 제어부(50) 및 오퍼레이팅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20)는 주 자석(22), 경사 코일(24), RF 코일(26) 등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갠트리(20) 내 보어(bore)에는 정자기장 및 경사자장이 형성되며, 대상체(10)를 향하여 RF 신호가 조사된다.
주 자석(22), 경사 코일(24) 및 RF 코일(26)은 갠트리(20)의 소정의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동축 원통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의 수평축을 따라 원통 내부로 삽입 가능한 테이블(table)(28)상에 대상체(10)가 위치될 수 있다.
주 자석(22)은 대상체(10)에 포함된 원자핵들의 자기 쌍극자 모멘트(magnetic dipole moment)의 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자기장 또는 정자장(static magnetic field)을 생성한다. 주 자석에 의하여 생성된 자장이 강하고 균일할수록 대상체(10)에 대한 비교적 정밀하고 정확한 MR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경사 코일(Gradient coil)(24)은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경사자장을 발생시키는 X, Y, Z 코일을 포함한다. 경사 코일(24)은 대상체(10)의 부위 별로 공명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유도하여 대상체(10)의 각 부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RF 코일(26)은 환자에게 RF 신호를 조사하고, 환자로부터 방출되는 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 코일(26)은, 세차 운동을 하는 원자핵을 향하여 세차운동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RF 신호를 환자에게 전송한 후 RF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환자로부터 방출되는 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코일(26)은 어떤 원자핵을 낮은 에너지 상태로부터 높은 에너지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하여 이 원자핵의 종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갖는 전자파 신호, 예컨대 RF 신호를 생성하여 대상체(10)에 인가할 수 있다. RF 코일(26)에 의해 생성된 전자파 신호가 어떤 원자핵에 가해지면, 이 원자핵은 낮은 에너지 상태로부터 높은 에너지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이후에, RF 코일(26)에 의해 생성된 전자파가 사라지면, 전자파가 가해졌던 원자핵은 높은 에너지 상태로부터 낮은 에너지 상태로 천이하면서 라모어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방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원자핵에 대하여 전자파 신호의 인가가 중단되면, 전자파가 가해졌던 원자핵에서는 높은 에너지에서 낮은 에너지로의 에너지 준위의 변화가 발생하면서 라모어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가 방사될 수 있다. RF 코일(26)은 대상체(10) 내부의 원자핵들로부터 방사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 코일(26)은 원자핵의 종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생성하는 기능과 원자핵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함께 갖는 하나의 RF 송수신 코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원자핵의 종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송신 RF 코일과 원자핵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수신 RF 코일로서 각각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RF 코일(26)은 갠트리(20)에 고정된 형태일 수 있고, 착탈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착탈이 가능한 RF 코일(26)은 머리 RF 코일, 흉부 RF 코일, 다리 RF 코일, 목 RF 코일, 어깨 RF 코일, 손목 RF 코일 및 발목 RF 코일 등을 포함한 대상체의 일부분에 대한 RF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코일(26)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통신 주파수 대역에 따른 듀얼 튠(dual tune) 통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RF 코일(26)은 코일의 구조에 따라 새장형 코일(birdcage coil), 표면 부착형 코일(surface coil) 및 횡전자기파 코일(TEM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코일(26)은 RF 신호 송수신 방법에 따라, 송신 전용 코일, 수신 전용 코일 및 송/수신 겸용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코일(26)은 16 채널, 32 채널, 72채널 및 144 채널 등 다양한 채널의 RF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RF 코일(26)이 다수개의 채널들인 제1 내지 제 N 채널에 각각 대응되는 N 개의 코일들을 포함하는 고주파 멀티 코일(Radio Frequency multi coil)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고주파 멀티 코일은 다채널 RF 코일이라 칭할 수도 있다.
갠트리(20)는 갠트리(20)의 외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29)와 갠트리(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20)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또는 대상체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30)는 소정의 MR 시퀀스에 따라 갠트리(20) 내부, 즉 보어에 형성되는 경사자장을 제어하고, RF 신호와 MR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30)는 경사자장 증폭기(32), 송수신 스위치(34), RF 송신부(36) 및 RF 데이터 획득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자장 증폭기(Gradient Amplifier)(32)는 갠트리(20)에 포함된 경사 코일(24)을 구동시키며, 경사자장 제어부(54)의 제어 하에 경사자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를 경사 코일(24)에 공급할 수 있다. 경사자장 증폭기(32)로부터 경사 코일(24)에 공급되는 펄스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X축, Y축, Z축 방향의 경사 자장이 합성될 수 있다.
RF 송신부(36) 및 RF 데이터 획득부(38)는 RF 코일(26)을 구동시킬 수 있다. RF 송신부(36)는 라모어 주파수(Larmor frequency)의 RF 펄스를 RF 코일(26)에 공급하고, RF 데이터 획득부(38)는 RF 코일(26)이 수신한 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스위치(34)는 RF 신호와 MR 신호의 송수신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드 동안에 RF 코일(26)을 통하여 대상체(10)로 RF 신호가 조사되게 하고, 수신 모드 동안에는 RF 코일(26)을 통하여 대상체(10)로부터의 MR 신호가 수신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스위치(34)는 RF 제어부(56)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40)는 갠트리(20) 또는 갠트리(20)에 장착된 기기들을 모니터링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0)는 시스템 모니터링부(42), 대상체 모니터링부(44), 테이블 제어부(46)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모니터링부(42)는 정자기장의 상태, 경사자장의 상태, RF 신호의 상태, RF 코일의 상태, 테이블의 상태, 대상체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기기의 상태, 전원 공급 상태, 열 교환기의 상태, 컴프레셔의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대상체 모니터링부(44)는 대상체(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대상체 모니터링부(44)는 대상체(10)의 움직임 또는 위치를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 대상체(10)의 호흡을 측정하기 위한 호흡 측정기, 대상체(10)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ECG 측정기, 또는 대상체(10)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제어부(46)는 대상체(10)가 위치하는 테이블(28)의 이동을 제어한다. 테이블 제어부(46)는 시퀀스 제어부(52)의 시퀀스 제어에 따라 테이블(28)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의 이동 영상 촬영(moving imaging)에 있어서, 테이블 제어부(46)는 시퀀스 제어부(52)에 의한 시퀀스 제어에 따라 지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테이블(28)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갠트리의 FOV(field of view)보다 큰 FOV로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48)는 갠트리(20)의 외측 및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부(48)는 갠트리(20)의 외측 및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의 온/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화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갠트리(20) 내측 또는 외측에 스피커가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부(48)는 스피커의 온/오프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갠트리(20) 내부에서 형성되는 신호들의 시퀀스를 제어하는 시퀀스 제어부(52), 및 갠트리(20)와 갠트리(20)에 장착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갠트리 제어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제어부(52)는 경사자장 증폭기(32)를 제어하는 경사자장 제어부(54), 및 RF 송신부(36), RF 데이터 획득부(38) 및 송수신 스위치(34)를 제어하는 RF 제어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제어부(52)는 오퍼레이팅부(60)로부터 수신된 펄스 시퀀스에 따라 경사자장 증폭기(32), RF 송신부(36), RF 데이터 획득부(38) 및 송수신 스위치(3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란, 경사자장 증폭기(32), RF 송신부(36), RF 데이터 획득부(38) 및 송수신 스위치(34)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경사 코일(24)에 인가하는 펄스(pulse) 신호의 강도, 인가 시간, 인가 타이밍(timing)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팅부(6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펄스 시퀀스 정보를 지령하는 것과 동시에, MRI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오퍼레이팅부(60)는 RF 데이터 획득부(38)로부터 수신되는 MR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62), 출력부(64) 및 입력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2)는 RF 데이터 획득부(38)로부터 수신되는 MR 신호를 처리하여, 대상체(10)에 대한 MR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2)는 RF 데이터 획득부(38)가 수신한 MR 신호에 증폭, 주파수 변환, 위상 검파, 저주파 증폭, 필터링(filtering) 등과 같은 각종의 신호 처리를 가한다.
영상 처리부(62)는, 예를 들어, 메모리의 k 공간에 디지털 데이터를 배치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2차원 또는 3차원 푸리에 변환을 하여 화상 데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2)는 필요에 따라, 화상 데이터(data)의 합성 처리나 차분 연산 처리 등도 수행할 수 있다. 합성 처리는, 픽셀에 대한 가산 처리, 최대치 투영(MIP)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2)는 재구성되는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합성 처리나 차분 연산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미도시) 또는 외부의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62)가 MR 신호에 대해 적용하는 각종 신호 처리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채널 RF 코일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MR 신호에 신호 처리를 병렬적으로 가하여 복수의 MR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출력부(64)는 영상 처리부(62)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 또는 재구성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4)는 UI(user interface), 사용자 정보 또는 대상체 정보 등 사용자가 MRI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64)는 스피커, 프린터, CRT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PDP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FE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VFD 디스플레이, DLP 디스플레이, PFD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66)를 이용하여 대상체 정보, 파라미터 정보, 스캔 조건, 펄스 시퀀스, 화상 합성이나 차분의 연산에 관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66)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음성 인식부, 제스처 인식부,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신호 송수신부(30), 모니터링부(40), 시스템 제어부(50) 및 오퍼레이팅부(60)를 서로 분리된 객체로 도시하였지만, 신호 송수신부(30), 모니터링부(40), 시스템 제어부(50) 및 오퍼레이팅부(60) 각각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이 다른 객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62)는, RF 데이터 획득부(38)가 수신한 MR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고 전술하였지만, 이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은 RF 데이터 획득부(38) 또는 RF 코일(26)이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갠트리(20), RF 코일(26), 신호 송수신부(30), 모니터링부(40), 시스템 제어부(50) 및 오퍼레이팅부(60)는 서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서로 간의 클럭(clock)을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20), RF 코일(26), 신호 송수신부(30), 모니터링부(40), 시스템 제어부(50) 및 오퍼레이팅부(60) 사이의 통신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등의 고속 디지털 인터페이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의 비동기 시리얼 통신, 과오 동기 시리얼 통신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저지연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광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통신부(132)는 도 3에 도시된 갠트리(20), 신호 송수신부(30), 모니터링부(40), 시스템 제어부(50) 및 오퍼레이팅부(6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32)는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나 병원 내의 다른 의료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3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301)와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134), 외부의 의료 장치(136), 또는 외부 디바이스인 휴대용 장치(138)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2)는 네트워크(301)를 통해 대상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CT, 초음파, X-ray 등 다른 의료 장치(136)에서 촬영한 의료 영상 또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통신부(132)는 도 2의 CT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통신부(132)는 도 2에 도시된 통신부(132)와 동일하다.
통신부(132)가 CT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경우, 통신부(132)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와 같다.
통신부(13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301)와 연결되어 서버(134), 외부 의료 장치(136) 또는 휴대용 장치(138)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32)는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나 병원 내의 다른 의료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2)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휴대용 장치(138)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32)는 네트워크(301)를 통해 대상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2)는 MRI 장치, X-ray 장치 등 다른 의료 장치(136)에서 획득된 의료 영상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32)는 서버(134)로부터 환자의 진단 이력이나 치료 일정 등을 수신하여 환자의 임상적 진단 등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32)는 병원 내의 서버(134)나 의료 장치(136)뿐만 아니라, 사용자나 환자의 휴대용 장치(138)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장비의 이상유무 및 품질 관리현황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나 서비스 담당자에게 송신하고 그에 대한 feedback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촬영 모드 및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선택 또는 설정하여 대상체에 대한 의료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CT 영상, 자기 공명 영상, 엑스레이 영상 및 초음파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전술한 촬영 모드 및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선택 또는 설정받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CT 시스템, MRI 시스템, 엑스레이(X-ray) 장치, 및 초음파(Ultrasound) 진단 장치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외부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MRI 시스템 또는 CT 시스템 내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MRI 시스템 또는 CT 시스템과 네트워크(301)를 통하여 연결되는 의료 장치(136) 또는 휴대용 장치(138)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의료 영상 장치는 MRI 시스템 또는 CT 시스템 이외에도,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복원하는 모든 의료 영상 시스템 내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모든 의료 영상 시스템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 제어부(520) 및 디스플레이부(530)를 포함한다.
의료 영상 장치(500)가 도 2에 도시된 CT 시스템(10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 제어부(520) 및 디스플레이부(530)는 각각 도 2의 입력부(128), 영상 처리부(126) 또는 제어부(118) 및 디스플레이 부(13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500)에 있어서, 도 1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500)가 도 3에 도시된 MRI 시스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의료 영상 장치(500)는 오퍼레이팅부(6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 제어부(520) 및 디스플레이부(530)는 각각 도 3의 입력부(66), 영상 처리부(62) 및 출력부(64) 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500)에 있어서, 도 3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500)는 도 4에서 설명한 의료 장치(136) 또는 휴대용 장치(138)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520)는 의료 영상 장치의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에서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변경하여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20)가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의료 영상 촬영을 수행할 때 적용되는 모드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 선택 또는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디스플레이부(530)는 의료 영상 장치의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복수 개의 촬영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탭 및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탭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디스플레이부(5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요청 또는 명령, 또는 기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배치를 변경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등 의료 영상 장치의 환경 설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의 입력 및 이에 대응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소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하드 키들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에 포함되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되는 모드 또는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터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디스플레이부(53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iplay panel)(미도시)과 결합되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30)가 디스플레이 패널 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정 지점을 터치하여 소정 명령이 입력되면, 터치 패드에서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가 터치 패드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정 지점을 터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터치된 지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5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20)는 감지된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명령을 인식하며, 인식된 요청 또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 디스플레이부(5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상호간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의료 영상 장치(600)는 도 5에서 설명한 의료 영상 장치(500)에 비하여 메모리(640), 스피커(650), 및 통신부(6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나머지 구성은 도 5의 의료 영상 장치(500)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의료 영상 장치(6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 제어부(620) 및 디스플레이부(630)는 각각 도 5의 의료 영상 장치(5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 제어부(520), 및 디스플레이부(530)에 동일 대응된다.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600)에 있어서, 도 5에서 설명한 의료 영상 장치(5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640)는 의료 영상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640)는 복수개의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설정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40)는 촬영 모드 또는 파라미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를 적용하여 획득된 의료 영상 데이터 및 복원된 의료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60)는 외부의 장치와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600)가 도 2에 도시된 CT 시스템(100)인 경우, 통신부(66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통신부(132)에 동일 대응되며, 외부의 서버(134), 의료 장치(136) 및 휴대용 장치(138)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의료 영상을 이미징하는 방법에는 CT 또는 MRI 영상에서와 같이 대상체(10)를 촬영하는데 있어서 촬영 모드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대상체(10)를 이미징하는 방법이 있다. 촬영 모드를 다양하게 적용하는 경우, 대상체(10)를 촬영할 때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신체의 동일 부위를 촬영하더라도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용도 또는 목적에 맞춰서 촬영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목적에 부합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대상체의 의료 영상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적용되는 촬영 기법을 '촬영 모드', '스캔 모드', 또는 '스캔 프로토콜(scan protocol)' 이라 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체(10)를 촬영할 때 적용되는 촬영 모드를, CT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스캔 모드'라 하며, MRI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스캔 프로토콜'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의료 영상을 촬영하는데 적용되는 촬영 기법을 '촬영 모드'라 한다.
CT 및 MRI 시스템의 경우 다양한 촬영 모드를 적용하여 대상체(10)를 촬영하며, 그에 따라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해 대상체(10)에 대한 영상을 복원한다.촬영 모드는 대상체(10)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근거하여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대상체(10)의 하나의 부위에 근거한 촬영 모드 각각은, 필요와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촬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CT의 경우, 촬영 모드 또는 서브 촬영 모드는 조영제 투여 여부, 및 재구성된 CT 영상의 특성 등에 따라서 다른 촬영 모드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스카우트 촬영인지 여부에 따라서 소정의 촬영 모드를 적용하여 대상체(10)를 촬영 할 수 있다. 여기서 스카우트 촬영이란, 암세포의 위치, 골절된 위치 등 대상체(10)의 개략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촬영 모드를 의미한다. 의료 영상 장치의 사용자는 스카우트 촬영으로 획득한 의료 영상 정보를 참조하여 적절한 촬영 모드를 설정하고, 대상체(10)에 대한 상세한 의료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T 촬영 모드는 대상체(10)의 머리, 복부 및 다리에 근거하여 머리 촬영 모드, 복부 촬영 모드 및 다리 촬영 모드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머리 촬영 모드는 서로 다른 영상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제1 및 제2 촬영 모드를 서브 촬영 모드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촬영 모드는 머리의 뼈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가 될 수 있고, 제2 촬영 모드는 머리의 혈관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가 될 수 있다.
MRI의 경우, 촬영 모드 또는 서브 촬영 모드는 MR 신호의 펄스 시퀀스 등에 따라서 다른 촬영 모드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RI 복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는 대상체(10)를 스캔할 때 대상체(10)로 인가하는 신호의 펄스 시퀀스 또는 인가된 펄스 시퀀스에 대응되어 발생하는 펄스 시퀀스와 관련되며, 펄스 시퀀스의 소정 주기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10)를 스캔할 때, MRI 시스템 내에 포함되는 RF 코일(26)을 통하여 대상체(10)로 인가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에 대응하여, MR 신호가 발생한다. 여기서, RF 신호를 펄스 시퀀스라 할 수 있다.
RF 신호의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에 있어서, 핵 스핀이 본래 가지고 있던 자화의 63% 까지 복귀하는 시간을 T1 이완 시간이라 하고, 핵스핀이 처음 가지고 있던 자화의 37% 까지 소멸되는 시간을 T2 이완 시간이라 한다. MRI의 촬영 모드는 전술한 T1 이완 시간 및 T2 이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다. 이하에서는, T1 이완 시간을 'T1 주기', T2 이완 시간을 'T2 주기'라 한다.
구체적으로, MRI 복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는 크게 T1 주기 관련 촬영 모드, T2 주기 관련 촬영 모드, 및 T1 및 T2 주기 모두와 관련되는 촬영 모드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모드로는 T1 강조(T1 weighted)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이하, 'T1W 촬영 모드'), T2 강조(T2W: T2 weighted)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이하, 'T2W 촬영 모드'), T1 플레어(flair)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이하, 'T1W 플레어 촬영 모드'), T2 플레어(flair)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이하, 'T2W 플레어 촬영 모드'), 확산(Diffusion)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이하, '확산 촬영 모드'), 관류(Perfusion)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이하, '관류 촬영 모드') 등이 있다.
예를 들어, MRI 촬영 모드는 대상체(10)의 머리, 복부 및 다리에 근거하여 머리 촬영 모드, 복부 촬영 모드 및 다리 촬영 모드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머리 촬영 모드는 T1W 촬영 모드 및 T2W 촬영 모드를 서브 촬영 모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는 해당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을 조절 또는 설정하기 위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CT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을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은 복수 개의 촬영 모드(72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730)를 포함하는 제1 탭(710) 및 복수 개의 촬영 모드(720)중 선택된 촬영 모드(722)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750)를 포함하는 제2 탭(7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를 통하여 복수개의 촬영 모드(720)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722)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촬영 모드(722)는 선택되지 않은 촬영 모드(721, 723, 724)와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탭(7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촬영 모드(720)로, 복부 CT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서브 촬영 모드인 스카우트(scout) 모드(721), 서로 다른 CT 영상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제1 및 제2 촬영 모드(722, 723), 및 조영제(contrast)를 투여한 후 촬영하기 위한 조영제 촬영 모드(724)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은 제1 탭(710) 및 제2 탭(740)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화면인 메뉴 화면에서 제1 탭(710)과 제2 탭(740) 간의 전환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탭(710) 또는 제2 탭(74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이 생성된다.
도 7 a를 참조하면, 제1 탭(710)이 선택된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이 도시되었다. 제1 탭(710)은 복수 개의 촬영 모드(720) 및 복수 개의 촬영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7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 a에서 제1 탭(710)은 스카우트 모드(721), 제1 스캔 모드(722), 제2 스캔 모드(723) 및 조영제 모드(724)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촬영 모드(720)를 포함한다. 또한, 도 7a에서 제1 탭(710)은 스카우트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1 파라미터 세트(731) 및 제1 스캔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1 파라미터 세트(732) 등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730)를 포함한다.
도 7 b를 참조하면, 제2 탭(740)이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이 도시되었다. 제2 탭(740)은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75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 b에서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에서 제1 스캔 모드(722)가 선택되었다. 따라서, 제2 탭(740)은 선택된 제1 스캔 모드(722)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750)를 포함한다.
제2 파라미터 세트(750)는 제1 파라미터 세트(732)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들보다 많은 종류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a의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730)는 촬영 대상체의 촬영 축을 나타내는 'Scan Type', CT 촬영시 대상체로 투과되는 엑스레이 광선을 생성하기 위해서 인가되는 고전압 'kV', 엑스레이 광선을 생성하기 위해서 인가되는 전류 'mA', 구동 신호의 지연 값 'Delay', 촬영 시작 위치 'Start Location', 촬영 종료 위치 'End Location' 및 회전 구동부의 화전 시간 'Rotation Time' 등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지만, 도 7 b의 제2 파라미터 세트(750)는 Scout Length, Indicator Timer 등의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에도 CT 촬영 모드별로 고려될 수 있는 촬영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파라미터가 존재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촬영 모드에 대한 정보들을 서로 비교하거나, 하나의 촬영 모드에 대해서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7 a의 제1 스캔 모드(722)에 대응되는 제1 파라미터 세트(731)와 제2 스캔 모드(723)에 대응되는 제1 파라미터 세트를 서로 비교하여 촬영 모드들 간의 파라미터 값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7 b의 제2 파라미터 세트(750)를 통해, 제1 파라미터 세트(732)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파라미터들을 파악하여, 촬영 모드에서의 구체적인 설정값들 및 촬영 모드에서와 촬영 조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영상 복원(Imaging reconfiguration) 탭(760), 오토태스킹(auto-tasking) 탭(770) 및 트리거(Trigger) 탭(780)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원 탭(760)은 촬영 모드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후속 과정에서 영상 복원을 통하여 생성된 복원 영상인 의료 영상에 대한 메뉴 화면이다. 또한, 오토태스킹 탭(770)은 의료 영상 촬영을 통해 획득한 의료 영상 정보를 네트워크(301)를 통해 휴대용 장치(138)로 보내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영상 복원을 하는 등,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부(520)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는 옵션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이다. 또한, 트리거 탭(780)은 ECG Gating과 같이, 의료 영상 촬영을 위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옵션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이다. 심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심장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는 부분 주기를 획득하고, 획득된 부분 주기 동안에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CT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ECG Gating 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심전도 신호에서 주기의 일부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기(이하에서는, '부분 주기'라 함)에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을 뜻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와 변경 불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탭 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와 변경 불가능한 파라미터의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라미터 세트 및 제2 파라미터 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해당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을 조절 또는 설정하기 위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b에서, 제2 파라미터 세트(750)의 회전속도 파라미터(Rotation Speed)(751)를 이용하여 CT 시스템(100)의 X-ray 생성부(106) 및 X-ray 검출부(108)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탭(800) 및 제2 탭(810)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830)을 포함하며, 메뉴 화면(830)에서 제1 탭(800)과 제2 탭(810) 간의 전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었다.
도 8 a를 참조하면, 제1 탭(800)으로 전환된 메뉴 화면(83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었다. 도 8 b를 참조하면, 제2 탭(810)으로 전환된 메뉴 화면(83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환 버튼(820)을 이용하여 제1 탭(800)과 제2 탭(810)을 전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가 제1 탭 내에서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620)가 제1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생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9 a는 파라미터 설정 모드로 진입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b는 제1 입력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c는 제1 입력에 따라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d는 파라미터 설정 모드를 해제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a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6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는(hold) 입력을 수신 받고, 제1 파라미터 세트를 설정 또는 변경하기 위해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9 b를 참조하면, 스카우트 촬영 모드(721) 및 이에 대응되는 제1 파라미터 세트(731)를 제1 스캔 촬영 모드(722) 및 이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세트(732)보다 아래에 배치하기 위한 제1 입력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은 끌어놓기(Drag & Drop) 입력이 될 수 있다.
도 9 c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가 변경되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입력에 의해 스카우트 촬영 모드(721) 및 이에 대응되는 제1 파라미터 세트(731)가 제1 스캔 촬영 모드(722) 및 이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세트(732)보다 아래에 배치되었다.
도 9 d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는, 파라미터 변경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는(hold) 입력을 수신 받고, 파라미터 변경 모드를 해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가 제2 탭 내에서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620)가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생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 a는 파라미터 설정 모드로 진입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b는 제2 입력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c는 제2 입력에 따라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d는 파라미터 설정 모드를 해제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a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는(hold) 입력을 수신 받고, 제2 파라미터 세트를 설정 또는 변경하기 위해 파라미터 변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0 b를 참조하면, 제2 파라미터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입력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입력은 끌어놓기(Drag & Drop) 입력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 b는 Start Location(1011), End Location(1012) 및 Scout Length(1013)의 순서의 배치를 Scout Length(1013), Start Location(1011) 및 End Location(1012)의 순서의 배치로 변경하려는 제2 입력이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10 c를 참조하면,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가 변경되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입력에 의해 Scout Length(1013), Start Location(1011) 및 End Location(1012)의 순서로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가 변경되었다.
도 10 d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는, 파라미터 변경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는(hold) 입력을 수신 받고, 파라미터 변경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제1 입력에 의해서 변경된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고, 제2 입력에 의해서 변경된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는 제3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시켜 생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a, 도 11 b는 제3 입력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c는 파라미터 변경 모드를 해제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d는 선택이 완료된 제2 파라미터 세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a를 참조하면, 파라미터 변경 모드에서 Delay 파라미터(1110)를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시키지 않기 위해,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선택 해제하는 제3 입력이 도시되었다.
도 11 b를 참조하면, Scout Length 파라미터(1120)를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시키기 위해,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선택하는 제3 입력이 도시되었다.
도 11 c를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는, 파라미터 변경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는(hold) 입력을 수신 받고, 파라미터 변경 모드를 해제한다.
도 11 d를 참조하면, 선택이 완료된 제2 파라미터 세트가 도시되었다.
또한,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는 제2 파라미터 세트 상에서 소정 표시(1130)가 부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파라미터는 제2 파라미터 세트 상에서 소정 표시(1130)가 부가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탭에 포함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를 보고도 제1 탭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항목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제1 탭 내에서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4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는 제4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제어부가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고,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생성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a를 참조하면, 제1 스캔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1 파라미터 세트의 kV 파라미터(1210)를 변경하기 위한 제4 입력이 도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kV 파라미터(1210)를 120kV 에서 200kV로 변경하는 제4 입력이다.
도 12 b를 참조하면,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kV 파라미터(1220)와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2 b는 색깔을 달리하여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1220)와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를 구분하였다.
도 12 c를 참조하면,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1230)의 값을 변경하고,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1230)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생성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2 c는 색깔을 달리하여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1230)와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를 구분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제2 탭 내에서, 제2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5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는 상기 제5 입력에 기초하여,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생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a를 참조하면, 제1 스캔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의 kV 파라미터(1310)를 변경하기 위한 제5 입력이 도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kV 파라미터(1310)를 120kV 에서 200kV로 변경하는 제5 입력이다.
도 13 b를 참조하면,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kV 파라미터(1320)와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3 b는 색깔을 달리하여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1320)와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를 구분하였다.
도 13 c를 참조하면,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1330)의 값을 변경하고,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1330)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생성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3 c는 색깔을 달리하여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1330)와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를 구분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Measured) 및 예측치(Expect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20)는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측청치와 예측치를 비교하고, 측정치가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630)는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는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600)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부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620)는 측정치가 예측치를 초과하는 것을 사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램프 또는 부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4 a 및 b를 참조하면, CT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의 측정치 및 예측치(1420)를 포함하는 제1 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 a 및 b는 제2 스캔 촬영 모드(723)에 의한 CT 의료 영상 촬영시 발생한 방사선량의 측정치가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제2 스캔 촬영 모드에 의한 CT 의료 영상 촬영시 발생한 방사선량의 CTDIvol(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 Volume) 측정치는 20 mGy로 예측치인 19 mGy를 초과하고, DLP(Dose Length Product) 측정치는 22 mGy*cm로, 예측치인 21 mGy*cm 를 초과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초과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 a 및 b는 제2 촬영 모드의 방사선량 측정치와 예측치(1420)를 굵은 글씨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였다.
또한, 제2 스캔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세트를 제2 탭에 포함시키기 위해, 도 14 a는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제2 스캔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4 b는 제2 탭을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 c를 참조하면, CT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의 측정치(1400) 및 예측치(1410)를 포함하는 제2 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청치와 상기 예측치를 비교하고, 상기 측정치가 상기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와 측정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 a, b 및 c를 참조하면,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에 굵은 테두리 상자를 표시하여,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와 측정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었다.
여기서,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은, 제어부(52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 영상 장치의 사용자는 의료 영상 촬영에 의한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의 예측치, 측정치 및 시각적 청각적 알림을 통해 의료 영상 촬영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탭의 시야면에 포함되는 탭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바(1510, 1520)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슬라이드 바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된 탭 화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a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바(1510)가 포함된 제1 탭이 도시되어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15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입력에 따라, 탭 화면이 이동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바(1520)가 포함된 제2 탭이 도시되어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15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입력에 따라, 탭 화면이 이동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도 1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의료 영상 장치(500, 60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동작 구성은 전술한 의료 영상 장치(500, 600)의 동작 구성과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의료 영상 장치를 통하여, 복수 개의 촬영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탭 및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1610 단계). 1610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62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6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16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을 수신한다(1620 단계). 1620 단계의 동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도 1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의료 영상 장치(500, 60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구성은 전술한 의료 영상 장치(500, 600)의 동작 구성과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의료 영상 장치를 통하여, 복수 개의 촬영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탭 및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1710 단계). 1710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62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6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측청치와 예측치를 비교한다(1720 단계). 1720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6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측정치가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1730 단계).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알림음을 출력한다(1740 단계). 1740 단계의 동작은 스피커(650)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17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을 수신한다(1750 단계). 1750 단계의 동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6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은 사용자의 입력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촬영 모드 또는 촬영 모드 별 파라미터를 설정 또는 변경하기 위한 입력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의료 영상의 촬영을 진행할 수 있도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CT 시스템
102: 갠트리
104: 회전 프레임
105: 테이블
106: X-ray 생성부
108: X-ray 검출부
110: 회전 구동부
112: 콜리메이터
114: 산란 방지 그리드
116: 데이터 획득 회로 (DAS)
118: 제어부
120: 데이터 송신부
124: 저장부
126: 영상 처리부
128: 입력부
130: 디스플레이 부
132: 통신부
134: 서버
136: 의료 장치
22: 주 자석
24: 경사 코일
26: RF 코일
28: 테이블
30: 신호 송수신부
32: 경사자장 증폭기
34: 송수신 스위치
36: RF 송신부
38: RF 수신부
40: 모니터링부
42: 시스템 모니터링부
44: 대상체 모니터링부
46: 테이블 제어부
48: 디스플레이 제어부
50: 시스템 제어부
52: 시퀀스 제어부
54: 경사자장 제어부
56: RF 제어부
58: 갠트리 제어부
60: 오퍼레이팅부
62: 영상 처리부
64: 출력부
66: 입력부
301: 네트워크
500, 600: 의료 영상 장치
510, 6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520, 620: 제어부
530, 630: 디스플레이부
640: 메모리
650: 스피커

Claims (40)

  1. 의료 영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복수 개의 촬영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탭 및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메뉴 화면에서 상기 제1 탭과 상기 제2 탭 간의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탭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탭 내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탭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4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탭 내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5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예측치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치와 상기 예측치를 비교하고, 상기 측정치가 상기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치와 상기 예측치를 비교하고,
    상기 측정치가 상기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와 상기 측정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입력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와 변경 불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근거하여 분류되는 CT 촬영 모드, 및 상기 CT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서브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근거하여 분류되는 MRI 촬영 모드, 및 상기 MRI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서브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세트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해당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을 조절 또는 설정하기 위한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탭의 시야면에 포함되는 탭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된 상기 탭 화면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 장치.
  21. 의료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장치를 통하여, 복수 개의 촬영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탭 및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제2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메뉴 화면에서 상기 제1 탭과 상기 제2 탭 간의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탭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탭 내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3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탭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4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탭 내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5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에서, 값이 변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에 동일 대응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값이 변경된 파라미터와 값이 변경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의료 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량 및 전자파 인체 흡수율 중 적어도 하나의 예측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치와 상기 예측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치가 상기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치와 상기 예측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치가 상기 예측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와 상기 측정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1 탭 및 상기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입력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와 변경 불가능한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근거하여 분류되는 CT 촬영 모드, 및 상기 CT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서브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근거하여 분류되는 MRI 촬영 모드, 및 상기 MRI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서브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세트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해당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을 조절 또는 설정하기 위한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탭의 시야면에 포함되는 탭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된 상기 탭 화면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0. 제2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35374A 2014-03-26 2014-03-26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4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374A KR102049459B1 (ko) 2014-03-26 2014-03-26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4/668,206 US10061488B2 (en) 2014-03-26 2015-03-25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374A KR102049459B1 (ko) 2014-03-26 2014-03-26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122A Division KR20160130182A (ko) 2016-10-28 2016-10-28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694A true KR20150111694A (ko) 2015-10-06
KR102049459B1 KR102049459B1 (ko) 2019-11-27

Family

ID=5419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374A KR102049459B1 (ko) 2014-03-26 2014-03-26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61488B2 (ko)
KR (1) KR102049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2239S1 (en) * 2014-04-01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2721S1 (en) * 2014-09-26 2016-08-02 Lexmark International, In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icon
USD774079S1 (en) * 2014-09-26 2016-12-13 Lexmark International, In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icon
USD762720S1 (en) * 2014-09-26 2016-08-02 Lexmark International, In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icon
JP6624784B2 (ja) * 2015-01-06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064297A (ko) * 2015-12-01 2017-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157500A (zh) * 2017-04-28 2017-09-15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X射线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EP3600042B1 (en) * 2017-04-28 2024-01-24 Shanghai United Imaging Healthcare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US10925570B2 (en) 2017-04-28 2021-02-23 Shanghai United Imaging Healthcare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EP3485815B1 (en) * 2017-11-21 2020-05-13 Siemens Healthcare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 x-ray imaging device, x-ray imag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electronically readable storage medium
JP7200520B2 (ja) * 2018-07-09 2023-01-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D994681S1 (en) * 2018-12-21 2023-08-08 Richard Herbst Computer screen display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6262S1 (en) * 2021-07-01 2023-05-1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2988A1 (en) * 2003-02-24 2004-12-02 Kabushiki Kaisha Toshiba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enabling operator to give instruction without device operation
JP2007054378A (ja) * 2005-08-25 2007-03-08 Toshiba Corp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
JP2008200071A (ja) * 2007-02-16 2008-09-04 Toshiba Corp Mri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066288A (ja) * 2007-09-14 2009-04-02 Toshiba Corp X線ct装置、撮影計画支援装置および撮影計画支援プログラム
JP2011172912A (ja) * 2010-01-29 2011-09-08 Toshiba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11177399A (ja) * 2010-03-03 2011-09-15 Hitachi Medical Corp 医用画像撮影装置
KR20120089122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메뉴 위치 변경 방법 및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13009762A (ja) * 2011-06-28 2013-01-17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694B1 (ko) 1998-04-11 2001-01-15 정선종 정보 검색 결과의 뷰잉 방법
US20020173721A1 (en) * 1999-08-20 2002-11-21 Novasonics, Inc. User interface for handheld imaging devices
US7130457B2 (en) * 2001-07-17 2006-10-31 Accuimage Diagnostics Corp. System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alyzing body images
US20030095144A1 (en) * 2001-11-21 2003-05-22 Trevino Scott E.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cribing an imaging scan and determining user input validity
US6907102B1 (en) * 2002-12-16 2005-06-14 Ken Sauer Iterative reconstruction methods for multi-slice computed tomography
KR100829381B1 (ko) 2005-04-11 2008-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테이너가 구현된 무선 인터넷 단말기
US7634733B2 (en) * 2006-09-18 2009-12-15 Agfa Inc. Imaging history display system and method
JP5329839B2 (ja) 2008-05-08 2013-10-30 株式会社東芝 医用画像表示システム、観察装置および医用画像表示方法
JP5375177B2 (ja) 2009-02-25 2013-12-2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CN102835124B (zh) 2010-04-09 2016-04-13 Lg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设备和用于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KR101003506B1 (ko) 2010-04-09 201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인스톨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5971684B2 (ja) * 2012-02-15 2016-08-17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磁気共鳴撮像装置
CN104798074A (zh) * 2012-09-18 2015-07-22 德尔格医疗系统有限公司 产生患者参数数据的用户界面显示的系统和方法
US9730648B2 (en) * 2013-03-14 2017-08-15 DePuy Synthes Product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medical parameters for a patient
US9665264B1 (en) * 2013-07-24 2017-05-30 Draeger Medical Systems, Inc. Medical data display system graphical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2988A1 (en) * 2003-02-24 2004-12-02 Kabushiki Kaisha Toshiba Operation recognition system enabling operator to give instruction without device operation
JP2007054378A (ja) * 2005-08-25 2007-03-08 Toshiba Corp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
JP2008200071A (ja) * 2007-02-16 2008-09-04 Toshiba Corp Mri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066288A (ja) * 2007-09-14 2009-04-02 Toshiba Corp X線ct装置、撮影計画支援装置および撮影計画支援プログラム
JP2011172912A (ja) * 2010-01-29 2011-09-08 Toshiba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11177399A (ja) * 2010-03-03 2011-09-15 Hitachi Medical Corp 医用画像撮影装置
KR20120089122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메뉴 위치 변경 방법 및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13009762A (ja) * 2011-06-28 2013-01-17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459B1 (ko) 2019-11-27
US10061488B2 (en) 2018-08-28
US20150281564A1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5151B2 (en) Medical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KR102049459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522539B1 (ko) 의료영상 표시장치 및 의료영상 처리방법
KR102510760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9508154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367133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KR101788742B1 (ko)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60061248A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처리 방법
KR20150016032A (ko) 영상 복원 모드 선택이 가능한 영상 복원 방법 및 그 장치
KR101686635B1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처리 방법
KR101690655B1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KR101652048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의 생성 방법
KR102003045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KR101755600B1 (ko) 자기공명 영상장치에 사용되는 rf 수신 코일 유닛
KR101681313B1 (ko) 의료 영상 제공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제공 방법
KR20160130182A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33801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2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28

Effective date: 201810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