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661A -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 Google Patents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661A
KR20150111661A KR1020140035284A KR20140035284A KR20150111661A KR 20150111661 A KR20150111661 A KR 20150111661A KR 1020140035284 A KR1020140035284 A KR 1020140035284A KR 20140035284 A KR20140035284 A KR 20140035284A KR 20150111661 A KR20150111661 A KR 2015011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hosphate
kit
peroxide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824B1 (ko
Inventor
김종훈
안재현
김지혜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3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8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8Percompounds, e.g. per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 패치 또는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금속 이온 촉매 및 인산염을 포함하는 겔 제형의 치면 부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향상된 치아 미백 효과를 가지면서, 구강 내 자극감 및 치아 손상은 줄여줄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Gel composition for adhesiving teeth surface and k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겔 제형의 치면 부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치아 미백 효과를 가지면서, 자극감 및 치아 손상은 줄여줄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치아 미백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치아 미백을 위한 선택으로 치약, 마우스린스 (mouthrinse), 츄잉 껌, 실내 미백, 및 가장 일반적인 상점 또는 치과의사로부터 구입되는 트레이(tray)를 사용한 치아 미백 용액을 포함한다. 치아 미백 용액은 통상적으로 과산화수소와 같은, 치아를 표백하는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이러한 과산화수소는 불안정한 물질로, 시간이 경과하면 활성이 계속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치아 미백 제품은 유통과정에서 과산화수소의 활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 안정화제를 이용해 활성을 유지하고 있다.
실제 치아 미백제 사용 시 이러한 안정화제에 의해 과산화수소가 활성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촉매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의 신속한 활성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촉매는 치아 미백제의 활성을 유도한다는 긍정적인 측면 이외에, 치아 우식과 그로 인한 자극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염화철 등의 촉매는 물에 용해되어 산성을 가지기 때문에 낮은 pH로 인한 치아의 우식이 더욱 문제가 된다.
따라서, 치아 미백 성분의 활성을 유발하면서 치아의 손상 및 구강 내 자극감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과산화수소의 일시 분해에 따른 치아 손상 및 자극감을 완화할 수 있는 치아 미백 전처리 조성물 및 치아 미백용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치아 미백 성분 안정화로 인해 미백 효과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증가된 치아 미백 효과를 얻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자극감을 완화하면서 시린이 증상도 개선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 패치 또는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금속 이온 촉매 및 인산염을 포함하는 치면 부착용 겔 제형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치아 미백 성분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과산화물은 미백 효과의 증대를 위해서 유통상태에서는 안정화되고, 사용 시점에 즉시 활성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 등과 같은 치아 미백 성분의 즉각적인 활성을 위해, 촉매를 치아 미백의 전처리를 위한 겔제 형태로 치아에 먼저 바르고 이후 미백용 패치를 그 위에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과도한 촉매작용으로 인해 자극감을 유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치아의 우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촉매에 의해 치아 미백 성분을 활성화시키면서도, 치아 손상 및 자극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하던 중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치면 부착용 조성물은 치아 미백 성분을 포함하는 패치를 치아 표면에 부착하기 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치면 부착용 조성물은 치아 미백 성분의 활성화를 위해 미백 성분 활성제 역할을 하는 금속 이온 촉매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이온 촉매는 치아 미백 성분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제품 유통 시 미백 성분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안정화제에 의해 치아에 미백 활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한 미백 효과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는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과산화물의 활성화를 위한 성분들이 이용될 수 있고,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2가 또는 3가 금속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가 또는 3가 금속촉매는 과산화물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2가 또는 3가 금속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칼슘, 마그네슘, 망간, 구리, 철 또는 칼륨 이온을 방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마그네슘, 글루콘산마그네슘, 젖산철, 글루콘산철, 염화철, 황산망간, 글루콘산망간, 염화망간 및 구연산망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치아 미백 효과의 증진 및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측면에서 염화철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로 이용되는 금속 이온을 방출하는 성분들은 물에 용해되어 산성을 나타내고, 특히 그 중에서 염화철은 물에 용해되어 강한 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낮은 pH 로 인하여 치아의 우식을 더욱 강력하게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촉매에 의해 구강 내 pH 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치아 손상을 줄여줄 수 있는 치아 미백용 전처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치아 미백용 전처리 조성물은 인산염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인산염은 특히 칼륨 이온을 방출할 수 있는 인산삼칼륨(K3PO4), 인산수소이칼륨(K2HPO4), 인산이수소칼륨(KH2PO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산삼칼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인산염, 특히 칼륨이온을 방출할 수 있는 인산칼륨은 상기 금속 촉매로 인해 구강 내 pH가 낮아지는 것을 막아, 치아의 손상, 부식, 탈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 등의 치아 미백 성분의 안정화를 방해하여 분해를 촉진시키게 되므로 향상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은 상기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 중량 대비 3 내지 20 배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배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3 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율로 사용될 때, 조성물이 알칼리성을 띨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염이 포함된 치면 부착용 겔 제형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H 8~11 의 알칼리성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산염에서 방출된 칼륨 성분은 상아세관을 메워 시린이 완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치면 부착용 전처리 조성물은 치아에 바를 때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치아와의 부착성을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겔 제형은 점성이 있는 액상 제형을 포함하며, 액상 제형에 비해 유동성을 상실한 상태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겔 제형을 갖기 위해서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수용성 폴리머 및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연마제, 유화제 등과 같은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점착성을 갖는 역할을 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고분자는 폴리 알킬 비닐 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폴리 비닐 알코올, 폴리 아크릴 산, Poloxamer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 에틸렌 옥사이드(Polyox), 폴리 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VA), 폴리 비닐 피롤리돈(PVP, K15 ~ K-120), Polyquaterium-11(Gafquat 755N), Polyquaterium-39(Merquat plus 3330), 카르복시 폴리 메틸렌(Carbopol),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 산(Sodium Algin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들의 용매로는 주로 물, 에탄올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유기 용매들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 알코올, 아세토 나이트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마제는 침강 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함수 알루미나,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 메타인산염, 알루미늄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미백을 위한 키트에 있어서, (a) 금속 이온 촉매 및 인산염을 포함하는 겔 제형의 치면 부착용 조성물; 및 (b) 상기 치면 부착용 조성물과 접촉하며,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패치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을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트는 상기 겔 제형의 치면 부착용 조성물을 치아 표면에 바르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브러쉬, 스펀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치아 미백용 패치는 치아 표면에 부착이 가능한 패치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부착용 패치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6,682,721호, 제6,689,344호, 제6,780,401호, 제6,946,142호 등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패치의 구성 성분과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백 성분은 과산화 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 중조, 염소계표백제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산화 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및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미백 성분은 상기 패치의 총 중량 대비 0.01중량% 내지 50중량%를,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30 중량%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0.5중량% 내지 20중량%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아 미백 성분은 안정화제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는 피로인산나트륨,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칼륨, 피로인산칼륨, 울트라메타인산염, 산성폴리인산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페이트 및 이의 염, 하이드록시에틸렌디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염,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염,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염, 알킬 디페닐 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 스판20(Span 20, Sorbitan Monolaurate), 스판 40(Span 40, Sorbitan Monopalmitate), 스판 60(Span 60, Sorbitan Mono stearate), 스판 80(Span 80; Sorbitan Monooleate), 스판 85(Span 85, Sorbitan Trioleate), 트윈(Tween, POE sorbitan fatty acid ester) 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치는 치아의 굴곡면을 따라 유연하게 구부러지게 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피마자 오일(castor oil), 수소화 피마자 오일(hydrogenated castor oil) 등의 가소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겔 조성물은 치아 미백 성분을 포함한 패치의 미백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 미백 성분을 활성화시켜 치아 미백 효과는 증진시키면서도 치아 손상 및 자극감은 최소화할 수 있는 치아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치아 미백용 키트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자극감을 완화하면서 시린이 증상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치아 시편들의 초기 대비 명도 변화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용 키트를 제작하였으며, 단위는 중량%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겔(gel)제는 다음의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염화철을 용해시킨 후 에탄올과 실리카를 넣어 실리카가 완전히 분산된 것을 확인하고 포비돈을 넣어 20분간 교반하였다.
비교예의 경우 첨가되는 성분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치아 미백을 위한 부착용 패치는 하기와 같이 과산화수소를 미백 성분으로 사용하였으며, 미국특허 제6,682,721호의 실시예 2와 같이 제조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제1제(겔제) 효능물질 - - 염화철0.5% 염화철 0.5%
인산삼칼륨 4.0%
제1제(겔제)
첨가물질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Silica 10% Silica 10% Silica 10% Silica 10%
포비돈 10% 포비돈 10% 포비돈 10% 포비돈 10%
에탄올 10% 에탄올 10% 에탄올 10% 에탄올 1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제2제(패치) 효능물질 - 과산화수소
3.0%
과산화수소
3.0%
과산화수소
3.0%
시험예 1. 명도 변화량
1) 실험 방법
비교예 2, 3 및 실시예1을 각각 인공 착색된 HAP disk에 부착하고 1시간 경과 후 제거하여 초기 대비 명도 변화량을 측정하여 ?로 나타내었다.
2) 실험 결과
효능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겔제를 사용한 비교예 2에 비해 염화철이 함유된 겔제를 사용한 비교예 3에서 증가된 미백효과를 알 수 있으며, 염화철과 인산삼칼륨 이 함유된 겔제를 사용한 실시예 1에서 비교예 3보다 더 개선된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염화철과 함께 인산삼칼륨을 함께 사용할 때 더욱 우수한 치아 미백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치아 우식 방지에 대한 실험
1) 실험 방법
비커스 경도를 이용하여 우치 시편의 초기 경도를 측정한 뒤 각 시편에 비교예 1 내지 2 및 실시예 1 내지 2를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다시 경도를 측정하여 경도의 변화 정도를 계산하였다.
2) 실험 결과
구분 경도 변화량
비교예1 18.38 ±4.79
비교예2 49.83 ±5.64
비교예3 187.81 ±5.72
실시예1 62.15 ±4.9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철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경도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상기 염화철이 포함된 겔제는 다른 비교예 및 실시예에 비해서 치아 마모에 영향을 많이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해, 염화철과 함께 인산삼칼륨을 함께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은 경도 변화량이 1/3 수준으로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겔제에 포함된 인산삼칼륨이 염화철과 같은 금속 촉매로 인해 구강 내 pH가 낮아지는 것을 막아, 치아의 손상 또는 부식 등을 방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10)

  1.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 패치 또는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금속 이온 촉매 및 인산염을 포함하는 겔 제형의 치면 부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 촉매는 수용액 상태에서 2가 또는 3가 금속이온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 촉매는 염화마그네슘, 글루콘산마그네슘, 젖산철, 글루콘산철, 염화철, 황산망간, 글루콘산망간, 염화망간 및 구연산망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은 인산삼칼륨(K3PO4), 인산수소이칼륨(K2HPO4), 인산이수소칼륨(KH2PO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 촉매는 염화철이며, 상기 인산염은 인산삼칼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H 8~10의 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치아 미백을 위한 키트에 있어서,
    (a) 금속 이온 촉매 및 인산염을 포함하는 겔 제형의 치면 부착용 조성물; 및
    (b) 상기 치면 부착용 조성물과 접촉하며,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패치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을 위한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상기 치면 부착용 조성물을 치아 표면에 바르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 촉매는 염화철이며, 상기 인산염은 인산삼칼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은 과산화 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 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 나트륨(sodium perborate) 및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140035284A 2014-03-26 2014-03-26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218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284A KR102187824B1 (ko) 2014-03-26 2014-03-26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284A KR102187824B1 (ko) 2014-03-26 2014-03-26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661A true KR20150111661A (ko) 2015-10-06
KR102187824B1 KR102187824B1 (ko) 2020-12-07

Family

ID=5434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284A KR102187824B1 (ko) 2014-03-26 2014-03-26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8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767A (ko) 2019-10-17 2021-04-27 이향선 치아미백 코팅용 조성물 및 사용방법
WO2022196957A1 (ko) * 2021-03-18 2022-09-22 쿼럼바이오 주식회사 치아 미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치아 미백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234A (ko) * 1995-08-08 1999-05-25 안토니 이. 윈스턴 치아 내 병변의 재광화를 위한 증진된 산물 및 방법
KR20010103344A (ko) * 2000-05-09 2001-11-23 성재갑 안전한 미백치약 조성물
KR20030001297A (ko) * 2001-06-23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여러 층으로 된 치아 미백 용 패취
JP2004292429A (ja) * 2003-03-10 2004-10-21 Gc Corp 歯牙用漂白剤セット及び歯牙漂白方法
JP2009510061A (ja) * 2005-09-27 2009-03-12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二相型増白用歯みがき剤
JP4613339B2 (ja) * 2001-03-29 2011-01-1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歯用ホワイトニング剤及びそれを用いた歯の漂白方法
KR20120123534A (ko) * 2010-02-12 2012-11-08 씨오코프 홀딩 컴퍼니, 엘엘씨 치아의 기계적 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234A (ko) * 1995-08-08 1999-05-25 안토니 이. 윈스턴 치아 내 병변의 재광화를 위한 증진된 산물 및 방법
KR20010103344A (ko) * 2000-05-09 2001-11-23 성재갑 안전한 미백치약 조성물
JP4613339B2 (ja) * 2001-03-29 2011-01-1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歯用ホワイトニング剤及びそれを用いた歯の漂白方法
KR20030001297A (ko) * 2001-06-23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여러 층으로 된 치아 미백 용 패취
JP2004292429A (ja) * 2003-03-10 2004-10-21 Gc Corp 歯牙用漂白剤セット及び歯牙漂白方法
JP2009510061A (ja) * 2005-09-27 2009-03-12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二相型増白用歯みがき剤
KR20120123534A (ko) * 2010-02-12 2012-11-08 씨오코프 홀딩 컴퍼니, 엘엘씨 치아의 기계적 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767A (ko) 2019-10-17 2021-04-27 이향선 치아미백 코팅용 조성물 및 사용방법
WO2022196957A1 (ko) * 2021-03-18 2022-09-22 쿼럼바이오 주식회사 치아 미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치아 미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824B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129B2 (en) Oral composition for tooth whitening product, and kit comprising same
TWI558418B (zh) 口腔保健組成物
JPH04217909A (ja) 口腔衛生用組成物
JP4677029B2 (ja) 歯牙美白剤
JP5654201B2 (ja) 安定な一液型水性歯牙ホワイトニング組成物
JP6625985B2 (ja) 口腔用組成物、歯科構造体、及び口腔用組成物を送達する方法
KR102131272B1 (ko)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KR101493508B1 (ko) 치아 미백 조성물
TW201618747A (zh) 牙漬之移除及預防
KR101650741B1 (ko) 치아 미백용 코팅막 형성제 및 치아 미백 코팅막을 형성하는 방법
TW201609165A (zh) 用於口腔護理組成物之氧化系統
KR102187824B1 (ko)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RU2283081C1 (ru)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беливания зубов
KR101697246B1 (ko) 치아 미백 제품의 구강 자극 완화용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키트
KR20200083407A (ko)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SE502745C2 (sv) Oral komposition för förhindrande av human dentalplack och gingivit
KR20150111654A (ko) 치아 미백 효과 증진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EP3383503A1 (en) Hydrogen peroxide booster system for enhanced teeth whitening
US10758469B2 (en) Oral composition for tooth whitening product, and kit comprising same
AU2017441064A1 (en) Whi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stability of the same
WO1992018095A1 (en) Antimicrobial oral compositions
TWI568450B (zh) 口腔護理美白組成物
KR20140104528A (ko) 다부분 치아 미백 조성물 및 치아 미백 방법
KR20140104529A (ko) 치아 미백 조성물 및 치아 미백 방법
KR102320266B1 (ko) 재착색 방지를 위한 미백 후-처리용 구강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