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234A - 치아 내 병변의 재광화를 위한 증진된 산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내 병변의 재광화를 위한 증진된 산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234A
KR19990036234A KR1019980700902A KR19980700902A KR19990036234A KR 19990036234 A KR19990036234 A KR 19990036234A KR 1019980700902 A KR1019980700902 A KR 1019980700902A KR 19980700902 A KR19980700902 A KR 19980700902A KR 19990036234 A KR19990036234 A KR 1999003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calcium
water soluble
produc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1863B1 (ko
Inventor
안토니 이 윈스턴
노먼 유젠
Original Assignee
안토니 이. 윈스턴
에나멜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512,473 external-priority patent/US5603922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512,286 external-priority patent/US5645853A/en
Application filed by 안토니 이. 윈스턴, 에나멜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안토니 이. 윈스턴
Publication of KR1999003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치아의 하표면 내 형성된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치아의 노출된 상아질 내 세관의 광화를 위한 산물 및 방법이 제공되며, 산물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 이외의 이가 금속 염,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및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을 함유한다. 그 후, 수용성 염은 혼합되어 약 4.5 내지 약 7.0의 pH를 가지는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한다. 이가 금속 염에 의하여 방출된 양이온은, 염에 의하여 방출된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이 산물이 구강 내로 투입될 때 까지 상당한 정도로 반응하지 않으며, 구강 내로의 투입 후 이온이 신속히 침전하지 않을 정도로, 수용액을 안정화시킨다. 이는 양이온 및 음이온이 치표면을 통하여 병변 및/또는 세관으로 확산되어, 그 곳에서 이온이 침전을 형성함으로써, 병변을 재광화 및/또는 세관을 광화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 내 병변의 재광화를 위한 증진된 산물 및 방법
치아 내 에나멜 및 상아질의 주요 구성 성분은 칼슘 히드록시아파티트 형태의 인산 칼슘이다. 이 물질은 정상적인 구강 pH에서 매우 불용성이다. 그러나, 이들에 다양한 구강 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한 당의 해당작용으로부터 생성된 산이 가하여지면, 충치 병변이 치아 내에 형성된다. 이는 인산칼슘 염이 산성 매질 내에 더욱 가용성이기 때문이다.
타액은 칼슘 및 인산염 이온에 대해 과포화되어 있다. 따라서, 타액은 탈광화에 대하여 치아를 보호하며, 산에 의하여 탈광화된 치아를 서서히 재광화시킬 수 있다. 불소 이온의 존재는 천연 재광화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는 불화물 치약 및 세정제가 충치로부터 보호하는 인정되는 기작 중의 하나임은 공지되어 있다. 불화물 함유 치약 및 세정제의 치아 재광화 효율은 타액 내 칼슘 및 인산의 중간 정도 수준에 의하여 제한된다. 재광화 과정을 신속히 하기 위하여 구강 내 유용한 칼슘 및 인산염 이온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함은 종래 기술로부터 자명하다. 그러나, 타액 pH에서 인산 칼슘의 낮은 용해도로 인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용해된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첨가는 쉽게 달성되지 않는다.
치아 에나멜의 재광화는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실험적으로 행하여져 왔다. 일부 연구는 타액 및 히드록시아파티트에 대해 과포화된 합성 용액의 재광화 특성에 촛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한 연구는 미국 특허 제 3,679,360 호(Rubin) 및 4,097,935 (Jarcho)의 요지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이들 특허에서 재광화 실험에 사용되는 과포화 용액 또는 슬러리는 단일 형태의 인산 칼슘으로부터 제조되어 왔다. 충치 병변이 이들 과포화 용액 중 하나로 충진되면,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은 침전된 히드록시아파티트를 형성함으로써 병변을 재광화시킨다.
그러나, 이들 용액은 몇몇 이유로 이용 불가능하다. 첫째, 이들 과포화 용액 내 재광화를 위하여 유용한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양이 너무 낮다. 미네랄 1 단위 부피를 생산하는데 대략 10,000 단위 부피의 통상적인 과포화 용액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 의한 재광화는 과도한 부피의 유체 및 과도한 적용 횟수를 필요로 한다. 과포화 용액은 그 과포화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본래 상기와 같은 점에 있어 제한된다. 히드록시아파티트가 용액이 더 이상 과포화되지 않는 지점까지 침전하면, 새로운 과포화 용액이 투입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과정은 중지된다.
단일 인산 칼슘 슬러리에 대한 또 다른 문제점은, 히드록시아파티트가 침전함에 따라 용액의 pH가 변화한다는 점이다. 구 용액이 치아 물질과의 접촉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으면, 용액은 지나치게 산성 또는 염기성이 되며, 치아 조직에 손상을 입힌다.
미국 특허 제 4,080,440 호(Digiulio et al)는 인산칼슘 염의 용해도가 높은 낮은 pH(2.5 내지 4.0)에서 준안정 칼슘 및 인산염 이온 용액을 개시한다. 용액이 탈광화된 에나멜 내로 침투한 후, pH가 상승하면 인산칼슘 염의 침전으로부터 재광화가 일어난다. 불화물 이온이 준안정 용액 내에 함유될 수 있다. 준안정 용액 사용의 중대한 결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pH가 치아 에나멜을 탈광화시킬 수 있고/거나 다른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 특허 제 4,177,258 호, 제 4,183,915 호 및 제 4,348,381 호(Gaffer et al)는, 디아민 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및 2-포스포노부탄트리카복실산-1,2,4 또는 이들의 수용성 염과 같은 항핵생성제의 존재에 의하여 안정화된 과포화 농도의 칼슘 이온, 인산염 이온 및 불화물 급원을 함유하는 재광화 용액을 제공한다. 이러한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가장 효율적으로 하표면 병변을 재광화시킨다고 주장되는 중성 pH 범위로 조정된다. 항핵생성제가 용액을 안정화시킬 것으로 기대되지만, 과포화 농도의 평형은 여전히 히드록시아파티트의 침전을 유지 및 방지하기 어려우며, 용액의 pH 내에서 변화한다.
미국 특허 제 4,083,955 호(Grabenstetter et al) 및 제 4,397,837 호(Raaf et al)는 치표면을 칼슘 이온 및 인산염 이온을 함유하는 분리된 용액으로 연속적으로 처리함에 의하여 탈광화된 에나멜을 재광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과정에서, 불화물 이온이 인산 용액 내 존재할 수 있다. 어떠한 이온 용액이 치아를 처리하는데 먼저 사용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순차적으로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을 치표면에 가함으로써, 고농도의 이온이 병변 내로 용액 형태로 침투할 수 있게 되고, 그 곳에 두번째 처리 용액이 확산되면 이들은 인산칼슘 염으로 침전한다. 이러한 방법은 명백히 성공적이나, 하나는 칼슘 이온을 다른 하나는 인산염 이온을 함유하는 두 가지 상이한 츄잉 부위를 사용하는 불편함을 수반한다. 이러한 방법은 검 부위의 적절한 순서를 보증할 필요성으로 인하여 혼동될 수 있으며, 또한 시간 소모적인 것으로 발견되는 다수의 순차적 적용으로 인하여 불편하다.
미국 특허 제 4,606,912 호(Rudy et al.)는, 칼슘 이온 급원 및 칼슘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형성하고, 적어도 50%의 칼슘 이온의 킬레이트화를 야기시킨 후, 인산염 이온 급원을 수용액에 가함으로써 치아 내 병변을 재광화시킬 수 있는 맑은 수성 구강 세척제 용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킬레이트화제의 첨가 및 그 양 조절의 필요성은 다소 효율적이나 비실용적이다.
공지의 재광화 기술에 대한 또 다른 문제점은, 치표면 내 또는 외층에 재광화된 치아 물질의 축적으로 인하여 병변이 완전히 재광화되기 전에 재광화가 중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축적은, 재광화 속도가 너무 빨라 더 깊은 병변 영역 내로의 미네랄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치아의 완전한 재광화를 방해할 때 일어난다.
미국 특허 제 5,037,639 호;5,268,167 호; 5,437,857 호; 5,427,768 호; 5,460,803 호(모두 Tung)는 치아 재광화용으로 비결정성 인산 칼슘(ACP), 비결정성 인산칼슘 불화물(ACPF) 및 비결정성 탄산 인산칼슘(ACCP)과 같은 비결정성 칼슘 화합물의 사용을 수반한다. 이들 비결정성 화합물 또는 치조직 상 또는 내로 적용되어 비결정성 화합물을 형성하는 용액은 충치, 치근 노출 및 상아질 과민증과 같은 치아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한다. 이 화합물은 높은 용해도, 신속한 형성율 및 (아파티트로의)신속한 전환율을 가지는 것으로 주장된다.
재광화는 비결정성 화합물을 치조직과 접촉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직접적으로, 즉 비결정성 화합물을 치아에 직접 위치시킴으로써, 또는 담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즉 비결정성 화합물을 겔, 츄잉 검 또는 치약과 같은 담체 내에 혼입시키고, 담체를 치조직에 적용시킴에 의하여 수행된다. 일단 치아와의 접촉이 일어나면, 비결정성 인산 칼슘 화합물은 병변 내에서 덜 가용성인 아파티트 형태로 재결정화하며, 치아를 개질할 것이다. 그러나, 비결정성 인산 칼슘 화합물이 안정한 조건 하에, 방출되는 칼슘 및 인산의 양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따라서 재광화는 요구되는 것보다 느리다.
상기 Tung의 특허는 제 1 부분이 인산 염을 함유하고, 제 2 부분이 칼슘 염을 함유하며, 제 1 또는 제 2 부분이 탄산 염을 추가로 함유하는 두 부분 용액의 사용을 교시한다. 더욱이, Tung의 특허는 물 내에 칼슘 염, 인산 염 및 탄산 염을 함유하는 고형 분말을 용해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용액을 개시한다. 그리고 나서, 이들 용액은 치조직에 적용된다. Tung의 특허는 나아가 치아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거나, 겔, 츄잉 검 또는 치아와 접촉하도록 놓여지는 치약과 같은 기타 비수성 매질 내에 분배될 수 있는, 칼슘 염 및 인산 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비-탄화된 고형 분말의 사용을 교시한다. 상기 특허는 이들 분말이 타액 내 쉽게 용해된 후, 비결정성 인산칼슘 화합물로서 재침전함을 교시한다. 그러나, Tung의 특허는 비-탄화된 고형 분말로부터 형성되는 수용액의 pH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안정성, 재광화 및/또는 광화을 이루기 위해 탄산 염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효율적인 재광화/광화 산물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먼저 중간체로서 비결정성 인산칼슘을 형성하기보다는 치표면에서 직접 히드록시아파티트를 형성하는 재광화/광화 산물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국제 특허 WO 94/18938 호(Greenberg)는 글리세로인산칼슘을 츄잉 검에 가한다. 글리세로인산칼슘은 플라그 내 칼슘 및 인산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재광화를 증가시키며, 탈광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주장된다. 이는 또한 플라그 내 pH의 급강하를 억제하고, S. mutans의 대사를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문제는 글리세로인산염 이온이 재광화 과정에 참여하기 전에 자유 인산염 이온을 가수분해 및 방출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포스포타아제 효소의 존재로 인하여 구강 내에서 가수분해가 일어난다. 그러나, 이 과정은 느리다. 따라서, 글리세로인산칼슘에 의하여 공급된 고농도의 칼슘이온은 충분한 인산이 방출되어 최대 재광화를 생산하기 전에 확산될 시간을 가진다.
칼슘 및 인산 염을 함유할 수 있는 츄잉 검 또한 미국 특허 제 4,233,288 호(Cornell)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공지의 재광화 조성물 및 기술에 대한 문제점은, pH 또는 온도 상승에 의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거나, 효율적으로 치아를 재광화할 수 있는, 츄잉 검 등으로서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는, 한 부분의, 안정한 재광화 조성물이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과량의 칼슘 및 인산 염 또는 과도하게 장시간의, 잦은 또는 순차적인 노출 시간을 요구하지 않는, 안정한 한 부분 재광화 산물을 사용하는 치아 에나멜 재광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다.
에나멜 또는 상아질의 재광화 또는 광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타액 내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농도가 칼슘 히드록시아파티트, 인산 옥타칼슘, 인산 이칼슘 이수화물 또는 기타 불용성 인산 칼슘 형태에 대하여 용액을 포화시키는데 요구되는 농도 이상이어야 한다. 약 pH 6.5 이상에서, 상기 요구가 정상적인 인간의 타액 내에서 발견되는 칼슘 및 인산 수준에 의하여 충족된다. 그러나, 약 pH 6.5 이상에서도 정상적인 인간 타액 내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농도는 낮으므로, 정상적인 타액에 의하여 생성되는 광화율은 불화물이 존재하여 과정을 촉매하는 경우에도 매우 느리다. 그러나, 타액의 pH가 약 7 이상일 때, 정상적으로 타액 내 존재하는 것 훨씬 이상으로의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농도 수준의 증가는 재광화를 상당히 증가시키지 않는다. 인산칼슘은 약 7 이상의 pH 수준에서 매우 불용성이므로, 이온이 치아에 침투할 시간을 허락하지 않는 지나치게 신속한 침전이 일어난다.
약 7 이하의 pH에서, 타액 내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농도가 인산 이칼슘 이수화물 또는 칼슘 히드록시아파티트의 형성에 대하여 용액을 포화시키는데 요구되는 농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당한 재광화가 일어난다. 이들 pH 조건 하에, 타액 내 과포화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재광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 이들 인산의 용해도가 pH 감소에 따라 증가하는 한, 4.5 내지 7.0 범위의 pH를 가지고 과포화량의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병변이 재광화될 때, 과정을 최대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칼슘 이온의 최적 농도는 pH 감소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약 4.0 이하의 pH에서, 인산 이칼슘 이수화물은 과포화용액으로부터의 안정한 침전물이 된다. 이들 pH 조건 하에, 용액을 포화시키는데 고수준의 칼슘 및 인산이 요구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고농도의 칼슘 및 인산에 대하여, 용액이 불포화되고, 처리되는 치아의 탈광화가 일어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효율적으로 칼슘 이온, 인산염 이온 및 필요하다면 불화물 이온을 치아 에나멜 내로 혼입시킬 수 있으며, 특히 산물의 경우 수요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치아 미용품과 향미 및 외관에 있어 다르지 않은, 인간 치아의 탈광화 방지 및 재광화용 산물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용기, 기질 또는 매트릭스 내에 유지할 수 있고, 치아 내 병변을 재광화하고 정상적인 치아를 광화하여 충치 병변 형성을 예방할 수 있는 증진된 산물 및 이러한 산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치아 내 병변을 재광화하고 정상적인 치아를 광화하여 충치 병변 형성을 예방할 수 있는 단일 부분의 안정한 츄잉 검 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표면에서 재광화율을 감소시키지 않고 이온이 치표면 내로 확산되기 이전에 실질적으로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침전을 예방하는 인간 치아의 탈광화 예방 및 재광화용 산물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물이 비-탄화되어 있는 효율적인 재광화/광화 산물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먼저 중간체로서 비결정성 인산 칼슘을 형성함이 없이 치표면의 하표면에서 직접적으로 히드록시아파티트를 형성할 수 있는 재광화/광화 산물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물의 구강 내로의 투입 이전에 제 1 부분 내 칼슘 염을 함유하고, 제 1 부분과 분리된 제 2 부분 내에 인산 염을 함유하나, 구강 내 사용을 위해 동시에 제 1 및 제 2 부분을 산물로부터 분배할 두 부분 재광화/광화 산물 및 이의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목적의 특성을 가지는, 치약, 겔, 전문 겔, 구강 세정제, 구강 세척제, 츄잉 검, 음식물 등의 형태의 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목적에 기술된 특성을 가지는 산물을 이용하는 재광화/광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되는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이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식될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서, 구강 내로 투입될 때 까지 상당한 정도로 반응하지 않으며, 투입 후 신속히 침전되지 않는 재광화 성분을 함유하는 한 부분 또는 두 부분 산물을 치아에 적용시킴으로써, 전술한 목적이 달성된다. 한 부분 산물은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화합물,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타 수용성, 비독성 화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화합물을 함유한다. 필요하다면,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소 화합물이 시스템에 첨가될 수 있다. 두 부분 산물에서, 한 부분은 칼슘 및 이가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며 다른 부분은 인산 화합물 및 임의로 불소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광화를 야기시키는 이온이 치아 에나멜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으며, 그 후속의 조절된 반응은 치아 에나멜 내 탈광화 영역의 재경화를 야기시킨다.
고농도의 칼슘, 인산 및 필요하다면 불화물 이온을 함유하는 가용성 염으로 구성된 안정한(필요하다면 비수성) 산물을 제공하고, 상기 산물을 중간 pH에서 치아에 적용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재광화 처리가 준비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칼슘 이온은 사용 직전까지(예를 들면, 츄잉 검의 경우, 저작이 시작될 때 까지) 인산염 이온 또는 불화물 이온과 반응하지 않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치아 내로의 확산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도록 신속히 침전하지 않아야 한다. 이는, 칼슘 화합물 이외에 상기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염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가 금속은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스트론튬, 주석 및 아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마그네슘이 가장 바람직한 이가 금속이다.
본 발명의 잇점은, 한 부분 재광화 산물이 후속적으로 물 내에 현탁 또는 용해되어 페이스트 산물 또는 이와 유사물 또는 구강 세척제를 형성할 수 있는 안정한 건조 혼합물로서 패키징 또는 함유될 수 있거나, 검 베이스에 첨가되어 츄잉 검 산물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건조 혼합 산물은 분말, 과립 물질, 박편 또는 이와 유사물의 형태일 수 있다. 건조 혼합 산물은 약 1.0% 내지 80.0%의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 약 1.0% 내지 80.0%의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 약 0.1% 내지 20.0%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의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염, 약 0.1% 내지 30.0%의 감미제, 0 내지 약 10.0%의 불화물 염, 및 0 내지 약 5.0%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향미제는 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 분말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은, 한 부분의 안정한 재광화 산물이 예를 들면 겔, 전문적 겔, 즉 전문적으로 적용되거나 처방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 구강 세척제, 구강 세정제, 츄잉 검, 분말, 및 예컨대 로젠지, 캔디, 음식물 등과 같은 식용가능한 고형 산물로서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은, 상기 산물이 물에 첨가되면, 말레산과 같은 비독성 유기산, 중탄산나트륨과 같은 염기 금속 중탄산염을 포함시킴으로써 비등하도록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산물은 안정성, 재광화 및/또는 광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탄산염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물은 비-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하나 이상의 노출된 상아질 세관의 광화를 일으키기 위한 안정한 한 부분 산물에 관한 것이다. 이 산물은 수성 또는 비수성일 수 있고, 탄화 또는 비탄화될 수 있으며, 하기의 것들을 함유한다:
(1) 약 0.05 중량%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2) 적어도 약 0.001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염;
(3) 약 0.05 중량%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염; 및
(4)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
상기 구성 성분 (1) 내지 (4)는 물과 혼합되어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하며, 이 용액은 약 4.5 내지 약 7.0의 pH를 가진다.
상기 한 부분 산물은 일반적으로 건조 혼합물이 가용화되거나 최종 수용액이 제조될 때 pH가 약 4.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5.75임을 조건으로 하는 산성 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특정 산물은 안정하고, 비독성의 단일 부분 츄잉 검이다. 그러한 츄잉 검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5.0%의 칼슘 염, 약 0.0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1.0%의 이가 금속 염, 약 0.01% 내지 약 15.0%의 인산 염, 및 필요하다면 약 0.0001% 내지 약 0.5%의 불소 화합물을 함유한다. 그러한 츄잉 검 조성물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적절한 pH 조절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재광화 및/또는 광화를 일으키기 위해, 본 발명의 츄잉 검 산물은 타액으로 츄잉되고 가용화될 때 직접 치아에 적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정한 단일 부분 츄잉 검 산물은 검 베이스에 상기 건조 혼합 농축 산물을 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츄잉 검 산물은 약 0.00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7.0%의 건조 혼합물을 함유하여야 한다. 물론 기타 보조제가 포함된다.
상기 한 부분 양태의 범위 내 기타 산물, 예를 들면 구강 세척제, 치약, 겔 등을 이용하여 재광화/광화를 실행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수반한다:
(A) 상기 한 부분 산물을 제공하고;
(B) (1) 내지 (4)의 구성 요소를 혼합하여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시킨 다음;
(C) 칼슘 염으로부터 방출된 칼슘 이온 및 인산 염으로부터 방출된 인산염 이온이,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로 확산 및 침전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에서 인산칼슘 염을 형성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병변을 재광화시키고/거나,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 내로 침투 및 침전하여, 인산 칼슘 염을 형성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관을 광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수성 혼합 용액과 접촉시킨다.
본 발명의 두번째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의 광화를 일으키기 위한 안정한 두 부분 산물에 관한 것이다. 이 산물은 수성 또는 비수성일 수 있고, 탄화 또는 비탄화될 수 있으며, 하기의 것들을 함유한다:
(1) 약 0.05 중량%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및 적어도 약 0.001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 염 이외의 이가 금속 염을 함유하는 제 1 분리 부분;
(2) 약 0.05 중량%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및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을 함유하는 제 2 분리 부분; 및
(3)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동시에 분배시키기 위한 분배 장치; 여기서, 동시에 분배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이 혼합되어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할 때, 용액은 약 4.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5.75의 pH를 가진다.
본 발명의 두 부분 수성 산물의 이용에 있어, 두 부분은 혼합되어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하고, 용액은 즉시 처리될 치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두 부분 비독성 산물을 이용하여, 두 부분을 서로 및 물(예를 들면, 타액)과 혼합하여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시킨 다음, 이를 처리될 치아에 적용시킨다.
상기 두 부분 산물을 이용하는 재광화/광화 방법은 일반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수반한다:
(A) 상기 두 부분 산물을 제공하고;
(B)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동시에 분배시키고;
(C) 동시에 분배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혼합하여,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한 다음;
(D)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으로부터 방출된 칼슘 이온 및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으로부터 방출된 인산염 이온이,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로 확산되고 침전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에서 히드록시아파티트를 형성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병변을 재광화시키고/거나 하나 이상의 세관을 광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수성 혼합 용액과 접촉시킨다.
본 발명의 산물은 병변의 재광화 및 세관의 광화를 일으키나,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치아 내로의 확산을 촉진시키도록 인산 칼슘의 침전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산물은 종래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증진된 재광화 및 광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불화물 함유 치약은 통상적인 불화물 함유 치약보다 치아의 재광화에 훨씬 효과적인 반면, 본 발명의 비-불화물 산물은 통상적인 불화물 함유 치약과 다소 동등하다.
표면 재광화라기보다 하표면 재광화를 일으키는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방법의 결점이 극복된다. 충치는 치아 에나멜의 하표면 탈광화로서 시작하므로, 하표면 재광화는 치아에 영구적인 구조적 손상이 일어나기 전에 충치를 저지하고 회복시킨다. 본 발명은 에나멜 표면의 제조, 치아의 캡핑, 또는 부패 산물의 제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일반공중의 치아 관리 습관을 변화시키지 않고 편리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 내 하표면 병변을 재광화시키기 위한 증진된 산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치아 에나멜 내 병변에 적용시 치아 에나멜 하표면의 재광화 및/또는 노출된 상아질 내 세관의 광화를 일으킴으로써, 충치 및/또는 과민증을 치료하는 수용성 칼슘 및 인산염을 함유하는 안정한 한 부분 및 두 부분 산물에 관한 것이다. 가용성 염은, 예를 들어 안정한 건조 블렌드 또는 안정 용액과 같은 단일 비히클 시스템 또는 장벽에 의하여 분리된 두 가지 건조염 또는 어느 하나가 칼슘 이온을 함유하고 다른 하나가 인산염 이온을 함유하는 두 가지 용액과 같은 이중-비히클 시스템 모두를 이용하여, 치약, 겔, 구강 세정제, 웨이퍼, 로젠지, 츄잉 검, 음식물 등 내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응하여 바람직한 재광화 또는 탈감화 침전물을 형성할 이온을 생성하는 가용성 염을 함유하는 페이스트, 겔, 용액, 츄잉 검, 버블 검, 당의정, 음식물 등의 산물의 적용에 의하여 치아가 재광화 또는 탈감화될 때 뚜렷한 증진이 인식된다는 발견에 있다. 적용에 있어서의 증진은 치표면과 접촉하도록 놓여진 가용성 염과 혼합되는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화합물의 수용성 염의 동시 사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반응에 있어서, 선택된 양이온 및 음이온이 치표면을 통하여 탈광화된 하표면으로 확산된다. 그러나, 반응 용액 내 함유된 부가적인 이가 금속 양이온은 신속히 칼슘 양이온 및 인산 음이온을 침전시킴으로부터 시스템을 안정화한다. 재광화 양이온 및 음이온은 치구조에 결합되는 침전을 신속히 형성시키지 않고 치표면을 통하여 탈광화된 하표면으로 확산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유효량의 이가 금속 양이온이 사용될 때 치아의 하표면은 더욱 효율적으로 재광화 또는 탈감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물은 임의로 비수성이다. "비수성"이란 산물이 물을 본 발명의 재광화 산물에 요구되는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정도의 양으로 함유하지 않음, 즉 본 발명의 산물의 구성 성분은 상당량의 자유수를 함유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은 수화된 물과의 염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츄잉 검 산물은 물을 함유하지 않거나 극소량의 물만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산물이 유효량으로 사용될 때, 치아의 탈광화된 하표면이 효율적으로 재광화되고/거나, 노출된 상아질 내 세관이 효율적으로 광화된다. 본원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산물의 양에 대해 사용되는 용어 "유효량"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때, 치아의 하표면 내 형성된 충치 병변을 가지는 치아의 재광화 또는 노출된 상아질 내 세관의 광화를 일으킬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산물에 있어, 칼슘 및 인산 염은 각각 약 0.05 내지 15.0 중량%또는 염의 가용 한계,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약 10.0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츄잉 검의 바람직한 한 양태에서, 칼슘 및 인산 염은 각각 약 0.01 내지 15.0 중량% 또는 그 가용 한계,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약 10.0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산물에 있어서, 과량의 칼슘 또는 인산 염이 필요하다면 존재할 수 있다. 요구되는 재광화 양이온을 함유하는 칼슘 염의 농도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재광화 음이온을 함유하는 인산 염의 농도와 동일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산물에 있어, 가용성 비독성 이가 금속 염(칼슘 이외)의 농도는 약 0.001%를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이다. 본 발명의 츄잉 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가 금속 염은 약 0.0002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약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 중량%의 수준의 농도로 존재한다.
많은 침전물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이나, 본래 에나멜보다 덜 가용성인 침전물을 퇴적시킴으로써, 재광화 하표면이 본래 에나멜보다 더욱 탈광화 내성으로 될 수 있다. 본래 존재하는 것보다 큰 결정이 형성된다면, 공격에 대한 보다 낮은 표면 영역으로 인하여 하표면은 약간 더 탈광화에 내성일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조절된 재광화율의 제공은 상기 큰 결정의 형성을 촉진시킬 것이다. 불화물 이온이 사용된다면, 재광화된 에나멜은 본래 에나멜보다 더 탈광화에 내성이다. 본 발명의 산물에 있어, 불화물 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2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츄잉 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불화물 염의 농도는 약 0.0001 중량% 내지 약 0.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중량% 내지 약 0.01 중량%이다. 츄잉 검 산물에 있어, 고수준의 불화물은 잠재적인 치아 불소 침착증 및 기타 독성 효과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치아 에나멜의 재광화를 일으키기 위하여, 유효량의 바람직한 양이온 및 음이온이 구강 내 사용되어야 한다. 구강 내 생성되는 용액의 양은 적어도 100 ppm의 바람직한 양이온 및 100 ppm의 바람직한 음이온을 함유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000 ppm 이상의 바람직한 양이온 및 1,000 ppm 이상의 바람직한 음이온을 함유한다. 용액은 적어도 10 ppm의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이온을 함유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상을 함유한다. 더욱이, 츄잉 검 또는 식용 산물 이외의 본 발명의 산물에 있어, 산물로부터 구강 내 약 20 ppm 내지 5,000 ppm의 불화물 이온 수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츄잉 검 또는 식용 산물에 있어, 구강 내 생성되는 불화물 이온의 수준은 바람직하게는 0 ppm 내지 약 50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0 ppm 내지 약 50 ppm이다.
용해된 칼슘 및 인산 염과 치표면 사이의 접촉시간의 길이는 중요하지 않으나, 이온의 치표면을 통한 탈광화된 하표면으로의 확산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시간일 것이 요구된다. 츄잉 검 산물 이외의 산물의 경우, 시간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초 이상 및 가능하면 보다 장시간이다. 츄잉 검 산물의 경우, 시간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 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분 이상 및 가능하면 보다 장시간이다. 확산을 위해 요구되는 연장된 시간은 본 발명의 이가 금속 염의 사용의 결과 생기는 잇점이다.
물을 이용하여 제조 또는 구강 내 타액과 함께 이용 후 (예컨대, 츄잉 검의 경우, 그 저작 후), 본 발명의 범위 내 산물로부터 생성되는 임의의 용액은 침전 전후로 약 4.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5.75의 pH를 가져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구강 환경 내 적합하여야 한다. 이온은 용액 내에서 성급하게 결합되어 침전을 형성하지 않아야 하나, 치표면을 통하여 탈광화된 하표면 영역으로 확산되어 기타 용액의 이온과 불용성 염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두 부분 산물에 있어, 각 부분의 pH는 적어도 약 3의 pH를 가진다. 그러나, 구강 내 사용되는 두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수성 혼합 용액은 약 4.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5.75의 pH를 가져야 한다. 두 부분 산물 내 두 부분 각각의 pH값은 상기 pH 패러미터를 초과하지 않는 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부분산물의 pH 값뿐아니라 본 발명의 두 부분 산물 내 부분의 pH 값 또한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강 내 사용에 안전한 임의의 산을 가하거나, 염기를 가하거나, 또는 완충제를 가함으로써 pH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적절한 산의 비제한적 예는 아세트산, 인산, 염산, 시트르산 및 말레산을 포함한다. 적절한 염기의 비제한적 예는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한다. 적절한 완충제의 비제한적 예는 나트륨 시트레이트 벤조에이트, 탄산염, 중탄산염,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재광화 염은 요구되는 pH를 얻도록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일염기, 이염기 및/또는 삼염기 알칼리 금속 인산 염의 결합이 목적 pH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물로부터 생산된 용액 및 불용성 침전물은 허용되는 수준의 독성을 가져야 한다(즉, 특정 이온은 재광화 과정에 사용되는 양으로 비독성이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양태는 안정한 한 부분 건조 혼합물 형태의 재광화/광화 산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건조 혼합물은 약 1.0 내지 80.0%의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 약 1.0 내지 80.0%의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 약 0.1 내지 20.0%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염, 약 0.1 내지 20.0%의 향미제(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된 분말로서 제공되는), 약 0.1 내지 30.0%의 감미제, 0 내지 약 10.0%의 불화물 염, 및 0 내지 약 5.0%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츄잉 검 산물은 약 0.00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7.0%의 상기 건조 혼합물을 함유하여야 한다. 검 내에 칼슘 염 및 인산 염 각각의 농도가 약 100 ppm, 바람직하게는 약 1000 ppm을 초과하도록 장기간에 걸쳐 충분한 칼슘 및 인산 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부분 산물에 있어, 치약 조성물의 재광화 양이온 부분은 칼슘 이온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용성 칼슘 염을 약 0.05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0% 및 마그네슘, 스트론튬, 주석 및 아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그네슘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이가 금속 염을 약 0.0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 함유한다. 두 부분 산물의 재광화 음이온 부분은 인산염 이온을 생성하는 용해된 인산 염을 약 0.05%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0% 및 불소 이온을 생성하는 불화물 염을 약 0.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2.0% 함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양태는 츄잉 검 형태의 재광화/광화 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검의 양이온 상은 칼슘 이온을 생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용성 칼슘 염을 약 0.05%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0% 및 마그네슘, 스트론튬, 주석 및 아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그네슘이 바람직함) 적어도 하나의 가용성 이가 금속 염을 0.0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2% 내지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 함유한다. 검의 재광화 음이온 상은 인산염 이온을 생산하는 용해된 인산 염을 약 0.0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0% 함유한다. 불화물 이온을 생산하는 가용성 불화물 염 약 0.0001% 내지 약 0.5%,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0.01%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pH 조절 화합물 또한 그 사용 결과 pH가 약 4.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5.75가 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물 및 방법으로부터 형성되는 결과적인 침전물은, 불화물 이온이 혼입된, 치아의 본래 구성 성분인 인산 칼슘 또는 히드록시아파티트이다. 본 발명의 증진된 방법이 재광화된 에나멜을 생성할 뿐 아니라. 재광화된 에나멜은 본래 에나멜보다 그 후의 탈광화에 더 내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에 있어, 칼슘 화합물로서 원칙적으로 임의의 수용성의 독성학적으로 무해한 칼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은 적어도 0.25 g이 25℃에서 100 ml의 H2O 내에 용해될 때 수용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적절한 수용성 칼슘 화합물은, 예컨대 염화칼슘, 브롬화칼슘, 질산 칼슘, 아세트산 칼슘, 칼슘 글루코네이트, 칼슘 벤조에이트, 글리세로인산 칼슘, 칼슘 포르메이트, 칼슘 푸마레이트, 칼슘 락테이트, 칼슘 부티레이트 및 칼슘 이소부티레이트, 칼슘 말레이트, 칼슘 말리에이트, 칼슘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수용성 칼슘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칼슘 락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인간 치아 에나멜의 재광화용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적어도 약 100 ppm, 바람직하게는 약 1000 ppm의 칼슘 이온이 존재하여야 한다; 상한은 약 35,000 ppm의 칼슘 이온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적절한 수용성 무기 인산은, 예컨대 오르토인산칼륨, 나트륨 또는 암모늄과 같은 오르토인산의 알칼리 염 및 암모늄 염, 인산일칼륨, 인산이칼륨, 인산삼칼륨, 인산일나트륨, 인산이나트륨 및 인산삼나트륨이다. 인산염 이온의 농도는 적어도 약 100 pp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0 ppm 내지 40,000 ppm이다. 물 내 용해도는 칼슘 화합물의 경우와 같이 정의된다.
필요하다면, 오르토인산 일염기 칼슘과 같은 칼슘 및 인산염 이온 모두를 생산하는 수용성 염이 사용될 수 있다.
안정화 이가 금속 화합물로서, 원칙적으로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을 치아 내로의 확산 전에 신속히 또는 조속히 침전하지 않도록 안정화시킬 임의의 수용성의 비독성 이가 금속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마그네슘, 스트론튬, 주석 및 아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마그네슘이 바람직함) 적어도 하나의 일원이 시스템을 안정화시킴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적절한 마그네슘 화합물은, 예컨대, 아세트산 마그네슘, 황산 암모늄 마그네슘, 벤조산 마그네슘, 브롬화 마그네슘, 붕산 마그네슘, 시트르산 마그네슘, 염화 마그네슘, 글루콘산 마그네슘, 글리세로인산 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프로피온산 마그네슘, 마그네슘 D-락테이트, 마그네슘 DL-락테이트, 오르토인산 마그네슘, 페놀설폰산 마그네슘, 피로인산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질산 마그네슘 및 타르타르산 마그네슘이다. 바람직한 마그네슘 화합물은 염화 마그네슘, 아세트산 마그네슘 및 산화마그네슘이다.
적절한 스트론튬 화합물은, 예컨대, 아세트산 스트론튬, 황산 암모늄 스트론튬, 벤조산 스트론튬, 브롬화 스트론튬, 붕산 스트론튬, 카프릴산 스트론튬, 탄산 스트론튬, 시트르산 스트론튬, 염화 스트론튬, 글루콘산 스트론튬, 글리세로인산 스트론튬, 수산화 스트론튬, 요오드화 스트론튬, 산화 스트론튬, 프로피온산 스트론튬, 스트론튬 D-락테이트, 스트론튬 DL-락테이트, 피로인산 스트론튬, 황산 스트론튬, 질산 스트론튬 및 타르타르산 스트론튬이다. 바람직한 스트론튬 화합물은 아세트산 스트론튬, 염화 스트론튬, 질산 스트론튬이다.
적절한 주석 화합물은, 예컨대, 아세트산 주석, 황산 암모늄 주석, 벤조산 주석, 브롬화 주석, 붕산 주석, 탄산 주석, 시트르산 주석, 염화 주석, 글루콘산 주석, 글리세로인산 주석, 수산화 주석, 요오드화 주석, 산화 주석, 프로피온산 주석, 주석 D-락테이트, 주석 DL-락테이트, 오르토인산 주석, 피로인산 주석, 황산 주석, 질산 주석 및 타르타르산 주석이다. 바람직한 주석 화합물은 염화 주석이다.
적절한 아연 화합물은, 예컨대, 아세트산 아연, 황산 암모늄 아연, 벤조산 아연, 브롬화 아연, 붕산 아연, 시트르산 아연, 염화 아연, 글루콘산 아연, 글리세로인산 아연, 수산화 아연, 요오드화 아연, 산화 아연, 프로피온산 아연, 아연 D-락테이트, 아연 DL-락테이트, 피로인산 아연, 황산 아연, 질산 아연 및 타르타르산 아연이다. 바람직한 아연 화합물은 아세트산 아연, 염화 아연, 황산 아연 및 질산 아연이다.
이가 금속 이온의 농도는 적어도 약 10 pp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 ppm이며, 상한은 약 20,000 ppm 이상이다. 물 내 용해도는 칼슘 및 인산 화합물의 경우에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인간 치아의 재광화 또는 탈광화 예방용 조성물은 또한 그 충치 예방 활성이 장기간 동안 확립된 것으로 간주되어온 수용성 불소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두 부분 산물에서, 불화물 염은 바람직하게는 잘 용해되지 않는 불화 칼슘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인산 함유 부분 내에 존재한다. 츄잉 검 이외의 본 발명의 산물 내에, 불화물 염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츄잉 검 산물에서, 불소침착증 또는 기타 독성 효과의 잠재성으로 인하여, 불화물 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적절한 불소 화합물은 불화 나트륨, 칼륨, 리튬 또는 암모늄과 같은 염기성 불화물, 불화 주석, 불화 인듐, 불화 지르코늄, 불화 구리, 불화 니켈, 불화 팔라듐,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플루오로지르코네이트와 같은 플루오로지르코네이트, 또는 주석 플루오로지르코네이트, 플루오로실리케이트, 플루오로보레이트, 플루오로스태니트이다.
공지의 아민 불화물과 같은 유기 불화물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사용에 적절하다.
나트륨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리튬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칼륨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와 같은 수용성 염기 금속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암모늄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알루미늄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하는 기타 수용성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염이 사용될 수 있다.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염이 불화물 급원으로서 두 부분 산물 내 사용된다면, 그러한 염은 본 발명에 이탈됨이 없이 칼슘 양이온과 함께 첫번째 부분 내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잠재적인 불화물 손실로 인하여 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부분 산물, 예컨대 한 부분 츄잉 검 산물 내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가 금속 염과 함께, 사실 상 칼슘 및 인산염 이온 간의 특정 반응이 일어나, 저장 중 불용성 인산 칼슘의 형성을 야기시킬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칼슘 이온의 인산염 이온과의 반응 및 존재한다면 불화물 이온과의 반응을 방지하는 적절한 안정화 수단을 상기 이가 금속 염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 포함함으로써 임의로 상기 문제를 극복한다.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의 칼슘, 인산 및/또는 불화물 염을 안정화하고, 산물(예컨대, 츄잉 검 조성물)의 저장 중 이들 상호간의 반응을 예방하는 임의의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물질이 폐쇄 용기 또는 패키지 내에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안정화제 또는 안정화 수단의 예는 건조제, 코팅 또는 캡슐화 물질, 및 그러한 안정화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건조제의 예는, 황산 마그네슘, 황산 나트륨, 황산 칼슘, 염화 칼슘, 및 콜로이드 실리카, 예컨대 Cabot Corporation에 의하여 상표명 Cab-O-Sil 하에 시판되는 그램 당 약 50 내지 약 400 평방 미터의 표면적을 가지는 체인 형상으로 함께 소결된 콜로이드 실리카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물질은, 예를 들면, 칼슘, 인산 및/또는 불화물 염의 반응을 방지하도록, 조성물 내 존재하거나 이와 접촉하는 임의의 물을 흡수함으로써 본 발명의 산물을 안정화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안정화 물질은 사용된다면, 폐쇄 용기 내에 저장 중 산물 내의 칼슘, 인산 및 존재한다면 불화물 염 간의 반응을 억제하나, 산물이 타액과 접촉시, 예컨대 츄잉 검의 저작 동안, 충분한 칼슘, 인산 및 존재한다면 불화물 이온의 방출을 허용하기에 유효량으로 본 발명의 산물 내에 존재한다. 전형적으로, 안정화 물질은 본 발명의 산물 내에 약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안정한, 단일 부분, 비수성 츄잉 검 산물의 한 양태는 (i) 약 0.0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0%의 수용성 칼슘 염; (ii) 약 0.0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0%의 수용성 인산 염; (iii) 약 0 내지 7.5%의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건조제; 및 (iv) 약 10.0% 내지 95.0%의 검 베이스를 포함하며, (v) 염이 타액과 접촉시, pH는 약 4.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5.75이다.
본 발명의 한 부분 산물(예컨대, 츄잉 검 산물) 내에서의 칼슘, 인산 및/또는 불화물 염의 조속한 반응을 억제하는 또 다른 방법은, 예컨대 활성 물질 간의 반응을 방지하는 친유성 또는 바람직하게는 중합 물질로의 코팅 또는 캡슐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산물 내 다양한 염 상의 코팅의 존재는 다른 물질, 예컨대 시스템 내의 물 또는 시스템 내로 흡수된 소량의 물에 의한 활성 물질의 반응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은 식용 코팅이다. 적절한 캡슐화 또는 코팅 물질은 친유성, 및 전형적인 식용 검, 친수성에서 소수성(수-불용성)에 이르는 부분을 보이는 중합체, 수지, 왁스 및 미네랄 오일과 같은 기타 물질을 포함한다.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구강으로부터 세정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수용성 칼슘 및/또는 인산 염 입자 둥을 코팅시키는데 사용되는 중합체가 친수성 유기 중합체 및 소수성(수-불용성) 유기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재광화 염 입자의 코팅에 사용되는 친수성 중합체는 수용성 및 수-분산성 유기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중합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코팅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95.0% 함량의 수-불용성 중합체가 친수성 중합체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친수성"은 25℃에서 100 g의 물 당 적어도 약 1 g의 수-용해도를 가지는 유기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소수성" 또는 "수-불용성"은 25℃에서 100 g의 물 당 약 1 g 미만의 수-용해도를 가지는 유기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염 입자의 코팅용으로 적절한 친수성 중합체는, 예컨대, 아라비아 검, 카라야 검, 타라칸트 검,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 크산탄 검, 카라지난, 알지네이트 염, 카제인, 덱스트란, 펙틴, 아가, 소르비톨, 2-히드록시에틸 전분, 2-아미노에틸 전분, 말토덱스트린, 아밀로덱스트린, 2-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 황산 셀룰로오스 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산화물, 폴리비닐 알코올/아세테이트 등이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는 친수성 중합체 코팅의 친수성을 조절하기 위해 부가적인 코팅 성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는 수-불용성 중합체의 예이다.
재광화 염 입자의 코팅용으로 적절한 수-불용성 중합체는, 단독 또는 하나 이상의 성분과의 조합으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염화 폴리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칼슘, 인산 및 기타 염 입자의 블렌드에의 중합체 코팅의 적용은, 팬 코팅, 유동화 코팅, 원심분리 유동화 코팅 등과 같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하여 수행된다. 코팅 중합체는 대개 선택된 중합체 종류에 따라 적절한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등과 같은 적절한 용매 내에 용해된다. 코팅 중합체는 또한 에멀션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코팅 매질을 입자에 가한 후, 용매 매질을 증발에 의하여 제거시킴으로써, 분리된 결정 입자를 캡슐화하는 연속 필름 코팅을 형성시킨다.
염의 표면 상의 코팅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0.1 내지 20 미크론 사이에서 변화한다. 코팅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합 코팅은 총 건조 중량의 약 5.0% 내지 50.0%의 코팅된 입자를 구성할 수 있다.
수성 환경 내로 투입될 때, 캡슐화된 입자 내 코어 매트릭스 재광화 인산칼슘 및 필요하다면 불화물 염의 방출을 위해, 구강의 수-불용성 중합체의 표면 코팅은 약 5.0 내지 30.0 중량%의 나트륨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디사카라이드, 소르비톨 분말, 만니톨 등과 같은 입자화된 수-압출가능한 유기 또는 무기 충진제를 가질 수 있다.
수성 조건 하에 캡슐화된 입자의 재광화 염 코어 매트릭스 내용물의 방출 율은 입자 표면 상에 중합체 코팅의 유형 및 양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저-분자량 친수성 중합체는 수분의 존재 하에 입자 코어 매트릭스 내용물을 비교적 빠른 속도로 방출시킬 것이다. 덜 친수성인 고-분자량 중합체는 비교적 느린 속도로 방출시킬 것이다. 부가적인 속도 조절은 다양한 친수성의 중합체 성분의 혼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M.W. 4000)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입자 코어 매트릭스를 방출시킬 것이다. 폴리에틸렌 산화물 (M.W. 4,000,000) 또는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는 비교적 느린 속도로 방출시킬 것이다. 고형 산물 내로 혼입된 캡슐화된 입자가 치아에 적용될 때,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입자 코어 매트릭스 내용물을 즉각적인 속도로 방출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캡슐화된 재광화 염 입자 조성물은 자유-유동이나 츄잉 검 내 구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때 실질적으로 불활성의 중합체-코팅된 입자인 신규한 물리적 형태로 인하여 특성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적절한 친유성 코팅 또는 캡슐화 물질의 예는 파라핀, 미네랄 오일, 땅콩 오일, 코코넛 오일, 야자유, 또는 잇꽃 오일과 같은 식용 오일, 이소프로필 실록산 미리스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와 같은 친유성 유기 에스테르, 식용 폴리실록산 등을 포함한다.
파라핀 및 왁스의 혼합물과의 캡슐화 염 또한 적절하다.
미네랄 오일을 본 발명의 산물 내 칼슘, 인산 및/또는 불화물 염을 위한 친유성 코팅 물질로서 사용함으로써, 유리한 특성이 제공된다. 특히, 구강 박테리아는 친유성 물질에 의하여 악영향을 받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물 내 사용되는 미네랄 오일은 처리 중 바람직하지 않은 박테리아의 제거를 보조할 것이다.
코팅은 물, 예컨대 구강 내 츄잉 동안 용이하게 용해, 분산 또는 에멀션화되거나, 상기 작용 중에 분해되어 활성 물질, 즉 하나 이상의 염을 방출시키는 두께 및 조성이어야 한다.
코팅용으로 사용되는 친유성 물질이 미네랄 오일과 같이 수-불용성이라면, 코팅 상은 친수성의 에톡시화된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에컨대, 상표명 Tween 하에 시판되는 물질과 같은 비-이온성, 비-수성의 계면활성제와 함께 에멀션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산물이 물 내 놓이면, 입자 상의 미네랄 오일 또는 기타 친유성 코팅은 에멀션화제가 존재하지 않을 때보다 더욱 용이하게 에멀션화된다. 황산 라우릴 나트륨 및 기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기타 유사한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안정한 단일-부분 비-수성 츄잉 검의 다른 양태는 하기를 포함한다:
(i) 약 0.0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0%의 수용성 칼슘 염;
(ii) 약 0.0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0%의 수용성 인산 염, 임의로 약 0.0001%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내지 0.01%의 수용성 불화물 염;
(i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염 상에, 타액 내에서 용이하게 용해, 분산 또는 에멀션화되는 캡슐화 코팅이 있으며;
(iv) 약 10.0% 내지 95.0%의 검 베이스; 및
(v) 염이 타액과 접촉할 때, pH는 약 4.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5.75이다.
본 발명의 산물은 예컨대 단일 용액, 두 개의 분리된 용액, 단일 고체 용액, 겔 또는 페이스트 형태, 고형 분말, 두 개의 분리된 성분으로 구성되는 겔 또는 페이스트, 또는 한 부분 또는 두 부분 검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의 구성 성분으로 구성되는 단일 용액이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이 0.05% 내지 15.0%의 농도로 용해된다. 칼슘 염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이가 금속 염이 약 0.001%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2.0%의 농도로 첨가된다.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을 약 0.05% 내지 15.0%의 농도로 함유하는 두번째 용액 또한 제조된다. 필요하다면,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 방출 화합물이 인산 함유 용액에 약 0.01% 내지 5.0%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각각의 용액의 pH는 최종적인 전체 용액의 혼합시 약 4.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5.75가 되도록 조절된다. 그리고 나서, 두 용액은 혼합되어 안정한 과포화되거나 거의 과포화된 인산 칼슘 용액을 생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나트륨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불화물 급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농도의 칼슘의 존재 하에서도 불화물을 용액 내 유지시키며, 과포화된 인산 칼슘 용액을 장기간 동안 안정하게 유지시킨다.
칼슘 이온 및 인산염 이온의 전체 농도가, 혼합이 준안정 용액, 즉, 방치함에 따라 결국 인산 칼슘을 침전시키는 용액을 초래할 정도일 때, 혼합된 산물을 사용하고 본 발명의 이가 금속 이온을 안정화하는 잇점을 얻는 것이 바람직할 때 까지 두 용액은 분리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양태는, (i) 약 0.0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염 이외의 이가 금속 염과 함께, 약 0.05%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을 함유하는 제 1 분리 부분; (ii) 약 0.05%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10%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및 필요하다면 약 0.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2.0%의 적어도 하나의 불화물 방출제를 포함하는 제 2 분리 부분; (iii) 제 1 분획은 수용성 이가 금속 염과 함께 수용성 칼슘 염을 포함하는 제 1 부분을 저장하고, 제 2 분획은 필요하다면 불화물 급원과 함께 수용성 인산 염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을 저장하며, 각각 출구를 구비하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분획을 포함하는 분배 용기, (iv) 상기 분획을 페쇄하기 위한 폐쇄 장치를 포함하며, (v) 두 부분이 혼합될 때, pH가 약 4.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5.75인 두 부분 산물에 관한 것이다.
두 부분을 개별적으로 함유 또는 저장하고, 구강 내로의 효율적이 분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패키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약, 겔, 크림 등의 두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플라스틱 및 금속 박판 등으로 제조된 분리되고 접을 수 있는 튜브로부터 동시에 분배될 수 있다. 편의 및 실질적으로 동량의 부분 분배를 보조하기 위해, 튜브는 밴딩 또는 시멘팅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튜브의 상응하는 하면을 따라 결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두 개의 튜브는 인접하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측벽부를 가지도록 작제될 수 있다. 튜브의 입구는 대개 충분한 양의 제 1 및 제 2 부분이 동시에 구강 내 또는 두 부분을 구강으로 운반하는 기질, 예컨대 칫솔 상으로 직접 분배되기에 충분히 가까우며, 튜브는 개별적으로 캡핑된다.
대안적으로, 다른 패키징 방법은 각각의 부분을 통상의 오리피스에 의하여 결합된 동일한 접을 수 있는 복합 튜브의 분리된 분획 내로 적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 튜브는 실질적으로 튜부의 측벽의 대향부 및 상부 구조를 따라 확고히 부착된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분획을 가진다. 분리기는 튜브의 상부 구조의 제조 동안, 튜브의 측벽 및 상부 구조에 결착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분리기는 바람직하게는 그 가장자리가 실질적으로 입구의 가장자리로 채워질 때 까지 튜브의 입구 내로 연장되는 돌출부위를 구비한다. 따라서, 분리기는 측벽과 함께 실질적으로 각각 제 1 및 제 2 부분의 저장을 위한 동일 용적을 가지는 두 개의 분리 분획을 형성한다.
다른 대안적인 패키징 방법에서, 두 개의 튜브는 동심성이며, 내측 튜브는 외측 튜브 내에 이와 평행하게 놓여진다. 튜브의 입구는 동일 지점에서 인접한다. 외측 튜브 내에 함유된 부분이 외측 튜브의 입구 및 내측 튜브의 입구 사이의 유용한 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돌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내측 및 외측 튜브 사이에 삽입된다. 튜브의 입구에서 두 부분의 조속한 상호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내-튜브의 폐쇄부(이는 외측 튜브 상에 나사로 고정되거나 단순히 압력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는 내측 튜브 내에 들어 맞는 내부 돌출을 구비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모든 양태의 튜브는 대개 바닥에서부터 충진되며, 잇따라 통상적인 기술에 의하여 함께 봉합된다.
다른 대안적인 패키징 정렬은 두 분획 및 두 스파웃을 구비한 가압된 용기로 구성된다. 분획의 내부 압력은 각각의 분획의 바닥에서 가압된 기체, 즉, 질소에 의하여 유지된다. 기계적 작동기의 작동은 분획의 내용물을 스파웃을 통하여 방출시켜 두 부분의 브러쉬 상으로의 방출을 야기하는 밸브를 작동시킨다.
구강 세척제 또는 세정제 및 유사액 양태가, 저장 중 각각의 부분이 서로 분리된 채 유지되어 조속한 반응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페이스트 또는 겔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분배에 따라, 부분은 혼합되고 구강 내에서 반응하여, 치아 에나멜의 재광화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액상부는 이중 분획 분배기의 분리된 분획 내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분배기는 대개 예컨대, 경사진 마개부, 마개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유출 스파웃, 및 마개부의 안전을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폐쇄 시스템을 포함한다. 커버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따라 폐쇄부위를 폐쇄시키는 폐쇄 장치를 구비한다. 각각의 유출 스파웃은 바람직하게는 관 내 산물 오리피스 외에 배출구 오프닝을 구비한다. 오리피스들은 마개부 상에 함께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모두 유출에 대한 조절을 보조한다. 투명한 용기가 가장 만족스러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투명도는 이중 분획 분배기로부터 비교적 동부피를 정확하고 조절가능하게 분배하는 인간의 능력을 보조한다. 투명한 벽으로 된 용기는 또한 분배기 내 남아 있는 액체의 양을 측정하는 창의 기능을 한다. 용기의 벽은 산물의 정확한 재광화 양의 분배를 보조하기 위하여 선이 그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눈금이 매겨질 수 있다.
적절한 치약 및 겔은 본 발명의 재광화 시약 이외에 약 0.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연마제;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완화제;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결합제;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흡습제; 및 나머지의 물 및 기타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약 1.0 내지 10.0%의 수화된 실리카와 같은 무기 점증제가 첨가될 수 있다.
두 부분 수성 산물, 예컨대, 치약, 겔, 구강 세척제 등의 경우, 그러한 산물의 양이온 및 음이온 부분은 각각 약 3 이상의 pH를 가진다. 그러나, 구강 내에 놓여지는 두 부분의 혼합물은 약 4.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5.75의 pH를 가져야 한다. 양이온 부분 및 음이온 부분의 pH는 상기 pH 패러미터를 초과하지 않는 한 조정될 수 있다.
적절한 연마제는 실리카 크세로겔을 포함한다. 기타 전형적인 치약 연마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베타-상 피로인산칼슘, 인산이칼슘 이수화물, 인산칼슘 무수물, 탄산칼슘,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및 열경화성 중합 수지를 포함한다. 실리카 에어로겔 및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과 같은 불용성 메타인산이 사용될 수 있다. 연마제의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크세로겔 연마제가 바람직하다.
적절한 거품제는 상당히 안정하고 적용 기간에 걸쳐 거품을 형성하는 것들이다. 바람직하게는, 비-비누성 음이온 또는 비이온성 유기 합성 세제가 사용된다. 그러한 시약의 예는,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알킬 라디칼 내 10 내지 18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설페이트의 수용성 염,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와 같은 10 내지 18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지방산의 설폰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수용성 염, 나트륨 N-메틸 타우레이트와 같은 타우린의 C10-C18지방산 아미드의 염, 이세티온산의 C10-C18지방산 에스테르의 염, 및 나트륨-N-라우릴 사코시드와 같은 2 내지 6 탄소 원자를 가지며 아실 라디칼이 12 내지 16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모노아미노카복실산의 실질적으로 포화된 지방족 아실 아미드이다. 두 개 이상의 거품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바람직한 점도를 제공하고 농후화하기 위하여 결합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적절한 점증제는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수용성 염이다. 카라야 검, 아라비아 검, 카라지난 및 트라간트 검과 같은 천연 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콜로이드질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실리카 에어로겔, 실리카 크세로겔, 훈증 실리카 또는 기타 균일하게 배분된 실리카가 조직의 추가적인 향상을 위하여 점증제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점증제는 크산탄 검이다.
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치약 또는 겔 내에 흡습 물질을 포함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적절한 흡습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기타 식용 다가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치약 또는 겔 조성물은 또한 예컨대 윈터그린 오일, 박하 오일, 후추 오일, 사사프라스 오일 및 클로브 오일과 같은 향미제; 예컨대, 사카린, 덱스트로오스, 레뷸로오스, 나트륨 시클라메이트 및 아스타팜과 같은 감미제; 및 예컨대 수크랄로오스와 같은 감미제와 당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의 형태로 치마제 제품을 제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는 물-흡습 시스템의 굴절율과 사용된다면 연마제 및 무기 점증제를 조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전문적 겔은 치마제와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더욱 높은 불화물 함량을 가진다. 이들 산물은 세정을 위해서가 아니라 단지 불화물 용도로서 고안되는 것이므로, 연마제 및 기타 세정제가 조성물 내 포함될 필요는 없다.
본원의 재광화 시스템은 또한 구강 세척제 산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강 세척제의 양이온 및 음이온 부분 모두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구강 세척제는 일반적으로 에틸 알코올의 수용액 및 향미제 물질을 포함한다. 알코올은 항균 효과를 제공하고, 향미제 물질을 가용화하며, 좋은 구강 내 느낌을 제공한다. 그러나, 무-알코올 구강 세척제가 현재 인기를 얻고 있다. 임의로, 구강 세척제는 또한 부가적인 항균제 및 구강 내 촉촉한 느낌을 주는 글리세린 및 소르비톨과 같은 흡습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무-알코올 구강 세척제는 바람직하게는 사용 직전에 물에 가하여지는 건조 분말 또는 정제의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한 산물은 약 10 내지 약 95 중량%의 수용성 염을 함유할 것이며, 나머지는 향미제, 감미제, 및 임의로 항균제일 것이다.
본 발명의 재광화 시약 이외에, 전형적인 구강 세척제는 약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20%의 에틸 알코올; 약 30 내지 90%의 물; 약 0 내지 20%의 글리세린 또는 기타 흡습제; 약 0 내지 0.1%의 항균제; 약 0 내지 약 0.2%의 가용성 불화물 급원; 약 0.01% 내지 0.5%의 감미제; 약 0.01% 내지 2.0%의 향미제; 및 약 0.1 내지 1%의 에멀션화-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적절한 향미제의 예는 헬리오트로필 니트릴, 윈터그린(메틸 살리실레이트), 후추 오일, 아시아 오일, 아니스 오일, 시나몬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감미제는 예컨대 사카린, 글리세린, 소르비톨, 레뷸로오스, 및 6-(트리플루오로메틸)-트립토판 및 아스파틸 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원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재광화 산물은 또한 츄잉 검의 형태일 수 있다. 츄잉 검은 높거나 낮은 수분, 당 또는 무-당, 왁스 함유 또는 무-왁스, 저 칼로리(고-베이스 또는 저-칼로리 벌킹제를 통하여)를 포함하는 상이한 츄잉 검, 버블 검, 당의정 등 중 임의의 것일 수 있고/거나 기타 치아 건강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츄잉 검 산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검 베이스를 예컨대 약 85 내지 약 90℃의 온도에서 용융시키고, 약 78℃로 냉각시킨 다음, 시그마 날을 구비한 예열된 (60℃) 표준 혼합 통 내에 놓는다. 그 후, 에멀션화제를 가한다. 다음,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을 가하고, 구성 성분을 부가적으로 3 내지 6 분 동안 혼합한다. 상기 혼합 통을 냉각시키고, 만니톨 및 잔류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을 가하고, 혼합을 계속한다. 이 때, 향미제가 가미되지 않은 츄잉 검은 약 39 내지 약 42℃의 온도를 가진다. 그리고 나서, 향미제 오일을 가하고, 베이스 내로 혼입시키고, 혼합을 계속한다. 마지막으로, 감미제 물질을 가하고, 부가적으로 1 내지 10 분 동안 혼합한다. 재광화 시스템을 마지막 성분으로서 가한다. 최종 검 온도는 약 39 내지 약 43℃이다. 그 후, 츄잉 검 조성물을 통으로부터 배출시키고, 롤링하고, 스코어링하여, 츄잉 검 조각으로 형성시킨다.
츄잉 검은 일반적으로 수-불용성 검 베이스, 수용성 부분 및 향미제로 구성된다. 수용성 부분은 츄잉 동안에 걸쳐 향미제 부분과 함께 흩어진다. 검 베이스 부위는 츄잉 동안 구강 내에 보유된다.
불용성 검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 수지, 지방 및 오일, 연화제 및 무기 충진제를 포함한다. 검 베이스는 왁스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불용성 검 베이스는 약 5 내지 95 중량%의 츄잉 검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보다 통상적으로는 검 베이스는 약 10 내지 50%의 검을 구성하며,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약 20 내지 35 중량%의 츄잉 검을 구성한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츄잉 검 베이스는 약 20 내지 60%의 합성 엘라스토머, 0 내지 약 30%의 천연 엘라스토머, 약 5 내지 55%의 엘라스토머 가소제, 약 4 내지 35%의 충진제, 약 5 내지 35%의 연화제, 및 임의로 소량(약 1 % 또는 그 미만)의 착색제, 항산화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성분을 함유한다.
합성 엘라스토머는 약 10,000 내지 95,000의 GPC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이소부틸렌,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부틸 엘라스토머), 약 1 대 3 내지 3 대 1의 스티렌-부타디엔 비를 가지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약 2,000 내지 90,000의 GPC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이소프렌, 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의 약 5 내지 50%의 비닐 라우레이트 함량을 가지는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라우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범위는 폴리이소부틸렌의 경우 50,000 내지 80,000의 GPC 중량 평균 분자량, 스티렌-부타디엔의 경우 1 대 1 내지 1 대 3의 결합 스티렌-부타디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경우 10,000 내지 65,000의 GPC 중량 평균 분자량이고, 더욱 고분자량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가 전형적으로 버블 검 베이스 내에 사용되며,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라우레이트의 경우 약 10 내지 45%의 비닐 라우레이트 함량이다.
천연 엘라스토머는 젤루통, 레치 카스피, 페릴로, 소르바, 마사란두바 블라타, 마사란두바 초콜릿, 니스페로, 로신디나, 치클, 구타 행 캉,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천연 검 뿐 아니라 훈증 또는 액체 라텍스 및 구아율과 같은 천연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합성 엘라스토머 및 천연 엘라스토머 농도는 하기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가 사용되는 츄잉 검이 점착성인지, 통상의 버블 검 또는 보통 검인지에 따라 변화한다. 바람직한 천연 엘라스토머는 젤루통, 치클, 소르바 및 마사란두바 블라타를 포함한다.
엘라스토머 가소제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중합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부분적으로 이량체화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로진의 메틸 및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메틸 에스테르,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와 같은 천연 로진 에스테르; 알파-피넨, 베타-피넨으로부터 유도된 테르펜 수지, 및/또는 d-리모넨과 같은 합성물; 및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엘라스토머 가소제는 특정 용도 및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유형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충진제/텍스쳐라이저는 탄산 마그네슘 및 칼슘, 연마 석회석,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와 같은 실리케이트 형태, 점토, 알루미나. 활석, 티타늄 옥사이드, 모노-, 디- 및 트리-인산칼슘, 나무와 같은 셀룰로오스 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연화제/에멀션화제는 우지, 수소화된 우지, 수소화 및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식물성유, 코코아버터,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 레시틴,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아세틸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 지방산(예컨대, 스테아르, 팔미트, 올레 및 리놀레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착색제 및 미백제는 FD%C 유형 염료 및 안료, 과일 및 식물 추출물, 티타늄 옥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왁스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수-불용성 검 베이스 부위 이외에, 전형적인 츄잉 검 조성물은 수용성 벌크 부위 및 하나 이상의 향미제를 포함한다. 수용성 부위는 벌크 감미제, 강력 감미제, 향미제, 연화제, 에멀션화제, 착색제, 산성제, 충진제, 항산화제, 및 기타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화제는 검의 츄잉 성능 및 구강 내 느낌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츄잉 검에 첨가된다. 가소제 및 가소화제로도 공지되어 있는 연화제는 일반적으로 츄임 검의 대략 약 0.5 내지 15 중량%를 구성한다. 연화제는 글리세린, 레시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르비톨, 수소화된 전분 가수분해물, 콘 시럽 및 이들의 조합을 함유하는 것들과 같은 수성 감미제 용액이 또한 연화제 및 결합제로서 츄잉 검 내에 사용될 수 있다.
벌크 감미제는 당 및 무-당 성분을 모두 포함한다. 벌크 감미제는 전형적으로 츄잉 검의 5 내지 95 중량%, 보다 전형적으로는 검의 20 내지 80 중량%, 보다 통상적으로는 30 내지 60 중량%를 구성한다.
당 감미제는 일반적으로 수크로오스, 덱스트로오스, 말토오스, 덱스트린, 건조 전화당, 프럭토오스, 레뷸로오스, 갈락토오스, 콘 시럽 고체, 등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포함하는, 츄잉 검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사카라이드-함유 성분을 포함한다.
무-당 감미제는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수소화된 전분 가수분해물, 말티톨 등의 단독 또는 조합과 같은 당 알코올을 포함한다.
고-밀도의 인공 감미제가 또한 단독 또는 상기의 것들과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감미제는 수크랄로오스, 아스파탐, 아세설페임 염, 알리탐, 사카린 및 그 염, 시클람산 및 그 염, 글리시리진, 디하이드로칼콘, 타우마틴, 모넬린 등의 단독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보다 장기 지속되는 감미제 및 향미제 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공 감미제의 적어도 일부를 캡슐화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방출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윤 과립화, 왁스 과립화, 분무 건조, 분무 칠링, 유동 베드 코팅, 코아세르베이트화 및 섬유 연장과 같은 기술이 바람직한 방출 특성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인공 감미제의 사용 수준은 매우 변화할 것이며, 감미제의 성능, 방출 속도, 산물의 바람직한 감미제, 사용되는 안료의 수준과 유형 및 고려되는 비용에 의존한다. 따라서, 인공 감미제의 활성 수준은 약 0.02% 내지 8.0%로 변화할 수 있다. 캡슐화용 담체의 사용시, 캡슐화된 감미제의 사용 수준은 이에 비례하여 높을 것이다.
당 및/또는 무-당 감미제의 조합이 츄잉 검 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연화제 또한 수성 당 또는 알디톨 용액과 함께 부가적인 감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저 칼로리 검이 필요하다면, 저 칼로리 증량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저 칼로리 증량제의 예는 하기의 것들을 포함한다: 폴리덱스트로오스; 라프틸로오스, 라프틸린;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NutraFlora); 팔라티노오스 올리고사카라이드; 구아 검 가수분해물 (Sun Fiber); 또는 비소화성 덱스트린 (Fibersol). 그러나, 기타 저 칼로리 증량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향미제가 사용될 수 있다. 향미제는 검의 약 0.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5.0%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향미제는 시트러스 오일, 과일 에센스, 후추 오일, 박하 오일, 기타 민트 오일, 클로브 오일, 윈터그린 오일, 아니스 등과 같은 식물 및 과일로부터 유도되는 오일을 포함하는 필수 오일, 합성 향미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향미제 및 성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천연 및 인공 향미가 임의의 감각 기관에 허용되는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츄잉 검은 무-당이거나 당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태에서, 츄잉 검은 당을 함유한다. 이는 또한 무-당 검의 일부 감각의 질 문제를 극복한다. 더욱이, 그러한 츄잉 검은 일부 무-당 검의 기타 문제를 극복한다. 예를 들면, 일부 무-당 검은 무-당 검 내 사용되는 당 알코올로 인하여 위장 질환을 보이는 사람에 의해 잘 용인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츄잉 검 양 태 내에 임의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은 치아 연마제이다. 치아 연마제는 저작 중 일어나는 폴리싱 작용으로 인하여 츄잉 검 내에서 특히 가치가 있다. 치아 연마제라는 용어는 모든 방식과 형태의 치약, 츄잉 검 등을 포함한다. 특히, 이인산 이칼슘 이수화물은 본 발명의 츄잉 검 양태의 바람직한 치아 연마제이다. 이 물질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염기성 완충제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츄잉 검 양태 내에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치아 연마제는 탄산칼슘, 메타인산나트륨, 수산화 알루미늄, 탄산 마그네슘, 황산 칼슘, 에어로겔 및 크세로겔을 포함하는 실리카, 및 인산 삼칼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츄잉 검 양태 내에 사용되는 치아 연마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0.0 중량%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츄잉 검 양태 내의 또 다른 임의의 구성 성분은 글리세린의 사용이다. 본 발명의 츄잉 검의 측면에서, 글리세린은 연장된 기간 동안 츄잉 검의 츄잉 성능을 유지시키고 연화시킨다. 글리세린은 또한 조성물의 감미를 가한다. 글리세린은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약 0.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5.0 중량%의 수준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은 부가적인 임의의 성분으로서 물 또는 일가 알코올을 조성물의 약 2.0 내지 99.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50.0 중량%의 수준으로 포함한다. 물 및 일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일반적으로 약 20 대 1 내지 1 대 20, 바람직하게는 약 10 대 1 내지 1 대 10의 중량비 내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됨은 물론이다.
바람직한 일가 알코올은, 18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다른 일가 알코올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으나,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이다. 바람직한 일가 알코올은 에탄올이다. 산물이 섭취되는 곳에서는, 에탄올만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출원인은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론에 의해 한정됨을 원하지 않으나, 칼슘, 인산 및 임의로 불화물 이온이 치표면을 통하여 탈광화된 하표면으로 확산되어, 탈광화된 하표면 내에서 침전하여, 치구조를 재광화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러한 것은, 충분한 칼슘, 인산, 및 불화물 이온이 치아 에나멜의 탈광화된 하표면 내로의 확산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가용성으로 유지되므로, 가능하다. 이는, 충분한 칼슘, 인산, 및 불화물 이온이 치아 에나멜의 병변을 재광화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동안 가용성으로 유지되는 약 4.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5.75의 pH를 가지는 용액 내에서 특정 이온을 그 적용 직전에 치아에 결합시키는 두 부분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이가 금속 이온의 사용에 의하여 달성된다.
혼합물 내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의 몰비가 약 0.01 내지 100 대 1인 한, 화학적으로 동일 농도는 필요하지 않다. 비율은 약 0.2 대 1 내지 5 대 1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덜 가용성 인산칼슘 염의 범위 내의 칼슘 대 인산의 비인 약 1:1 내지 1.67:1이 가장 바람직하다.
완전한 수용액이 본 발명의 일부 양태(즉, 비-츄잉 검 양태)에서 바람직한 반면, 비-수성 용매가 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절한 비수성 용매는 에틸 알코올,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용에 적절한 용매 시스템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을 용해시킬 수 있고, 구강 내 사용에 안전한 것들이다.
용액의 치아에의 노출 기간에 관하여, 시간 길이는 이온의 탈광화된 하표면 내로의 확산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길 것이 요구된다. 적어도 10 초가 확산을 위해 요구된다.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초 내지 약 15 분 동안 치아에 적용된다. 적어도 약 1 분이 본 발명의 츄잉 검으로부터의 염의 방출 및 확산을 위해 요구된다. 츄잉 검은 바람직하게는 약 5 분 내지 약 15 분 또는 그 이상 동안 치아를 이용하여 저작된다. 용액의 pH는 구강 내로의 투입 후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된다. 일부 조건 하에, 인산칼슘은 상기 pH에서 쉽게 침전하나, 매우 놀랍게도 일부 침전은 즉시 일어날 수 있고, 일부 소량은 치아에의 적용 전에도 일어날 수 있는 반면, 실질적으로 다량의 칼슘, 인산 및 불화물 이온은 용액 내 잔존하여 치아 내로 확산되고 상기하는 이가 금속 양이온의 존재로 인하여 탈광화된 치아 에나멜을 재광화시킨다. 용액의 재광화를 위한 이온을 제공하는 능력은 구강 내로의 첫번째 투입 시 가장 크며, 그 후 감소하나, 상기 이가 금속 양이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속도 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두 부분 시스템의 사용시, 제 1 및 제 2 용액의 혼합과 혼합물의 치아에의 적용 사이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분 미만이다. 치약, 겔 등을 이용하여, 브러싱 동안 치표면 상에서 재광화 구성 성분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요지는, 구성 성분의 혼합 및 결과 형성되는 용액의 신속하고 적절한 적용, 또는 검이 구강 내, 결과적으로 치아의 하표면 에나멜 내에서 인산칼슘, 불화칼슘 및 칼슘 플루오로-아파티트를 침전시킬 수용액 내에서 츄잉될 때 구성 성분의 혼합 및 용해에 있다. 그러한 침전이 일어나기 전에, 용액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신속히 치아에 적용되어야 한다. 놀랍게도, 용액은 상기와 같은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약 4.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5.75의 pH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약 3 이하의 pH에서, 탈광화가 신속히 일어난다. 2.5 이하의 pH는 일반적으로 안정성의 견지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및 본원의 다른 부분에서, 부분 및 백분율은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1-3
탈광화 CarbopolR겔을 이용하여, 약 50 μ 깊이의 인공적 병변을 소의 에나멜 칩의 한 표면 내에 형성시키고, 이를 72 시간 동안 표본을 처리하는데 사용한다. 그 후, 처리되는 표면의 표면 경도를 측정한다.
실험 사이클은 표준 탈광화 용액 내에 30 분 탈광화 후, 시험 산물을 5 분간 한 부분 산물에서 희석된 두 부분 인간 타액으로 희석 처리한 후, 인간 타액 내에서 60 분 재광화로 구성된다. 밤새도록, 매 5 사이클 마다, 표본을 타액 층으로 유지시키고, 냉실 내에 저장한다. 시험을 3 일간, 전체 15 탈광화/처리/재광화 사이클로 수행한다.
처리 사이클에 있어서, 실험의 두 부분의 재광화 시약을 개별적으로 한 부분 산물에서 두 부분 타액으로 희석시키고, 에나멜 표본의 침전 직전에 함께 혼합한다.
하기와 같이 두 부분 경구 재광화 처리를 제조한다. 혼합 후 각각 조성물의 pH는 대략 5.5였다.
부분 A 부분 B
질산칼슘 3.00 0.00
염화마그네슘 0.00 0.00
인산일칼륨 0.00 2.00
인산이칼륨 0.00 0.70
불화나트륨 0.00 0.50
MFP 나트륨 0.00 0.00
글리세린 24.00 22.85
73.00 73.95
실시예 1
부분 A 부분 B
질산칼슘 3.0 0.00
염화마그네슘 0.4 0.00
인산일칼륨 0.0 2.10
인산이칼륨 0.0 0.60
불화나트륨 0.0 0.50
MFP나트륨 0.0 0.00
글리세린 24.0 22.85
72.6 73.95
실시예 2
부분 A 부분 B
질산칼슘 3.0 0.00
염화마그네슘 0.8 0.00
인산일칼륨 0.0 2.10
인산이칼륨 0.0 0.60
염화나트륨 0.0 0.50
MFP나트륨 0.0 0.00
글리세린 24.0 22.85
72.2 73.95
실시예 3
부분 A 부분 B
질산칼슘 3.0 0.00
염화마그네슘 0.8 0.00
인산일칼륨 0.0 2.40
인산이칼륨 0.2 0.20
불화나트륨 0.0 0.00
MFP나트륨 0.0 1.80
글리세린 24.0 22.85
72.2 72.75
경도 증가
크레스트 16
대조군 A 20.0
실시예 1 62
실시예 2 49.0
실시예 3 21.0
상기 결과는 불화나트륨 및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가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 A 및 크레스트보다 상당히 성능이 뛰어남을 보여준다.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및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실시예 3은 대조군 A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며, 크레스트보다 우수하다.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은 일반적으로 불화나트륨보다 재광화를 촉진시킴에 있어 덜 효율적이므로, 상기 결과는 매우 놀라운 것이다.
실시예 4
하기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4
부분 A 부분 B
질산칼슘 3.0 0.0
염화마그네슘 0.8 0.0
인산일칼륨 0.0 0.6
인산이칼륨 0.0 2.1
글리세린 24.0 22.85
72.2 74.45
대조군 B*
부분 A 부분 B
질산칼슘 0.0 0.0
염화마그네슘 0.0 0.0
인산일칼륨 0.0 0.0
인산이칼륨 0.0 0.0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대조군 B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pH를 5.5로 조정한다.
실시예 4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험 I에서 처리 시간은 15 분임을 제외하고 실시예 1 내지 3과 유사한 처리 실험을 수행한다. 시험 II 및 대조 시험 III에서, 첫번째 사이클은 크레스트로 5 분 처리이며, 사이클 2, 3, 4 및 5는 실시예 4 또는 대조군 B의 조성물로 15 분 처리이다. 15 분의 처리 시간은 상기 조성물이 처리 시간이 15 분으로 연장될 수 있는 산물로부터 방출된다면 발생할 것을 반복하도록 선택된 것이다. 이들 세 가지 시험을 크레스트 처리를 매일 5 분 간 5 회 적용하는 표준 크레스트 처리와 비교한다. 시험을 3 일간 전체 15 사이클로 수행한다.
시험 I
실시예 4
5 사이클/일
경도 증가: 10.0
시험 II
실시예 4
4 사이클/일
크레스트
1 사이클/일
경도 증가: 13
대조 시험 III
대조군 B
4 사이클/일
크레스트
1 사이클/일
경도 증가: 6.0
크레스트
5 사이클/일
경도 증가: 16
상기 결과는 비-불화물 함유 재광화 조성물 처리가 치아의 재광화에 효율적임을 보여준다. 시험 I은 크레스트 1:1 처리 기준에서 약간 덜 효율적임을 예증한다. 그러나, 시험 II는 대조 시험 III와 비교하여 1:1 처리 기준으로 크레스트보다 훨씬 효율적임을 예증한다. 불화물 치약의 사용시, 재광화 처리는 부가적인 재광화 효과를 가진다. 이는 매일, 예컨대 식후에 수 회 반복한다면, 비-불화물 산물, 즉, 재광화구성 성분을 함유하는 로젠지 또는 캔디의 긍정적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5-7
실시예 5 내지 7은 다양한 양태의 본 발명의 재광화 조성물을 예시한다. 두 부분 경구 재광화 구강 세척제 및 두 부분 재광화 치약 및 한 부분 치약이 하기와 같이 제조된다.
실시예 5구강 세정제
A B
73.8 75.9
소르비톨 -- --
글리세린 20.0 20.0
실리카 연마제 -- --
실리카 점증제 -- --
CMC -- --
카보왁스 8000 -- --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 --
질산칼슘 사수화물 4.5 0.0
염화칼슘 무수물 -- --
인산이칼륨 -- 0.5
인산일칼륨 -- 3.0
염화마그네슘 육수화물 1.2 0.0
산화마그네슘 -- --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0.0 0.0
불화나트륨 0.0 0.1
향미제 0.4 0.4
사카린 0.1 0.1
실시예 6치약
A B
21.7 21.5
소르비톨 40.0 40.0
글리세린 10.0 10.0
실리카 연마제 15.0 15.0
실리카 점증제 6.0 6.0
CMC 1.0 1.0
카보왁스 8000 -- --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1.5 1.5
질산칼슘 사수화물 3.0 0.0
염화칼슘 무수물 -- --
인산이칼륨 -- 0.2
인산일칼륨 -- 2.3
염화마그네슘 육수화물 0.8 0.0
산화마그네슘 -- --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0.0 1.5
불화나트륨 0.0 0.0
향미제 0.8 0.8
사카린 0.2 0.2
실시예 7치약
0.0
소르비톨 0.0
글리세린 69.66
실리카 연마제 12.0
실리카 점증제 4.0
CMC 0.0
카보왁스 8000 5.0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1.5
질산칼슘 사수화물 --
염화칼슘 무수물 3.0
인산이칼륨 0.0
인산일칼륨 3.0
염화마그네슘 육수화물 --
산화마그네슘 0.4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0.0
불화나트륨 0.24
향미제 0.9
사카린 0.3
실시예 8-10
과포화된 인산칼슘 용액을 안정화시킴에 있어 마그네슘, 스트론튬, 아연 및 주석 이온의 유리한 효과를 더욱 입증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시예 및 대조군을 준비한다.
실시예 8
부분 A
질산칼슘염화아연염화주석염화스트론튬물 1.440.0150.000.0073.545
부분 B
인산일칼륨인산이칼륨물 0.370.1474.49
실시예 9
부분 A
질산칼슘염화아연염화주석염화스트론튬물 1.440.000.010.0073.55
부분 B
인산일칼륨인산이칼륨물 0.420.0774.51
실시예 10
부분 A
질산칼슘염화아연염화주석염화스트론튬물 1.440.000.000.3073.26
부분 B
인산일칼륨인산이칼륨물 0.420.0774.51
대조군 C
부분 A
질산칼슘염화아연염화주석염화스트론튬물 1.440.000.000.0073.56
부분 B
인산일칼륨인산이칼륨물 0.420.0774.51
실시예 8 내지 10 및 대조 실시예 C에서, 각 샘플의 두 부분을 혼합하고, 용액이 혼탁해질 때 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혼합 후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대조군 C
시작 pH 5.6 5.45 5.54 5.60
혼탁해지기까지 소요된 시간 (분) 10 10 9 6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세 가지 실험이 이가 금속 염을 함유하지 않는 대조 산물보다 장기간 동안 안정하게 유지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가 금속 염의 첨가는, 침전이 일어나기 전 치아 내로의 침투에 더 많은 시간을 허용한다.
실시예 11 및 12 및 대조 실시예 D
하기의 모노플루오로인산 함유 실험을 준비한다.
실시예 11
부분 A
질산칼슘염화마그네슘염화주석물 1.280.100.0073.545
부분 B
인산일칼륨인산이칼륨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물 0.910.120.4374.49
시작 pH 5.64
혼탁해질 때까지 소요된 시간 (분) 7.5
실시예 12
부분 A
질산칼슘염화마그네슘염화주석물 2.010.010.0173.55
부분 B
인산일칼륨인산이칼륨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물 1.020.080.4373.47
시작 pH 5.54
혼탁해지기까지 소요된 시간 (분) 10
대조 실시예 D
부분 A
질산칼슘염화마그네슘염화주석물 1.280.000.0073.72
부분 B
인산일칼륨인산이칼륨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물 0.910.120.4373.55
시작 pH 5.69
혼탁해지기까지 소요된 시간 (분) 2.5
염화마그네슘 및 염화주석은, 용액이 혼탁해지기 이전에 소요되는 보다 장시간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MFP의 존재 하에서도 빠른 인산칼슘의 침전으로부터 용액을 안정화한다.
실시예 11 및 12 및 대조 실시예 D는 어떻게 본 발명의 이가 금속이 성공적으로 인산칼슘의 침전 형성을 지연시키는지 보여준다.
실시예 13-15
적절한 구강 세척제 및 치약의 예를 하기 실시예 13 내지 15에 나타낸다.
실시예 13전문적 겔
A B
28.3 30.9
글리세린 10.0 10.0
소르비톨 40.0 40.0
실리카 점증제 12.0 12.0
크산탄 검 0.9 0.9
질산칼슘 7.5 0.0
염화주석 0.1 0.0
인산이칼륨 0.0 0.2
인산일칼륨 0.0 4.2
불화나트륨 0.0 1.0
향미제 0.5 0.5
사카린 0.3 0.3
실시예 14구강 세척제
A B
73.6 75.8
글리세린 10.0 10.0
소르비톨 10.0 10.0
질산칼슘 5.5 0
염화아연 0.1 0
인산이칼륨 0 0.2
인산일칼륨 0 3.2
향미제 0.5 0.5
사카린 0.3 0.3
실시예 15치약(한-부분)
글리세린 64.06
실리카 연마제 15.0
실리카 점증제 5.0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1.5
질산칼슘 5.0
염화스트론튬 0.2
인산이칼륨 0.3
인산일칼륨 3.2
MFP 나트륨 0.76
향미제 0.7
사카린 0.4
카보왁스 8000 2.0
실시예 16 및 17
실시예 16 및 17은 물에 첨가되고 혼합시 사용되는 건조-혼합 조성물을 예시한다. 실시예 17은 비등하는 구강 세척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건조-혼합 산물을 예시한다.
실시예 16
칼슘 글루코네이트 65.0
염화마그네슘 10.0
인산일나트륨 12.5
인산이나트륨 2.5
불화주석 2.5
향마제 5.0
사카린 2.5
사용 농도 1.2 g/온스
실시예 17
캡슐화된*질산칼슘 (97%) 36.0
인산일칼륨 30.0
말산 11.0
염화마그네슘 5.0
중탄산나트륨 10.0
불화나트륨 2.0
향미제 4.0
사카린 2.0
사용 농도 5.0 g/온스
*수용성 에틸 셀룰로오스 캡슐화제로 캡슐화된 질산칼슘.
실시예 18-20
실시예 18 내지 20은 다양한 양태의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18 내지 20은 무-당(실시예 18 및 19) 및 당 함유(실시예 20) 츄잉 검 모두를 나타낸다. 모두 이가 금속 염을 안정화제로서 함유한다.
칼슘 락테이트 7.0 -- 1.5
칼슘 아세테이트 -- 4.0 3.5
인산일칼륨 2.8 3.3 4.0
인산이칼륨 0.3 0.2 0.4
산화마그네슘 0.2 0.3 0.3
검 베이스 25.0 30.0 20.0
-- -- 58.5
글루코오스 -- -- 10.0
소르비톨 분말 34.6 54.85 --
만니톨 분말 15.0 -- --
말티톨 분말 10.0 -- --
향미제 1.5 1.3 1.8
글리세린 3.5 6.0 --
사카린 0.1 -- --
아스파탐 -- 0.05 --
실시예 21-23
실시예 21 내지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예시한다.
실시예 21은 칼슘 염이 친수성 중합체로 캡슐화되어 있고; 이가 금속 염 안정화제가 사용되지 않는 양태를 예시한다.
실시예 22는 칼슘 염이 소수성 중합체로 캡슐화되어 있고; 이가 금속 염 안정화제가 사용되는 양태를 예시한다.
실시예 23은 무수 츄잉 검 산물 내에 건조제가 사용되고; 캡슐화 또는 이가 금속 염이 사용되지 않는 양태를 예시한다.
실시예 번호
21 22 23
칼슘 락테이트 (친수성 중합체로 캡슐화) 7.0 -- --
칼슘 아세테이트 -- -- 5.0
칼슘 아세테이트 (소수성 중합체로 캡슐화) -- 4.0 --
인산일칼륨 2.8 3.3 4.0
인산이칼륨 0.3 0.2 0.4
산화마그네슘 -- 0.3 --
무수 염화마그네슘(건조제) -- -- 1.0
검 베이스 25.0 30.00 20.0
-- -- 57.8
글루코오스 -- -- 10.0
소르비톨 (용액 70%) -- 15.0 --
소르비톨 분말 34.8 39.85 --
만니톨 분말 15.0 -- --
말티톨 분말 10.0 -- --
향미제 1.5 1.3 1.8
글리세린 3.5 6.0 --
사카린 0.1 -- --
아스파탐 -- 0.05 --
실시예 24 및 25
재광화 경도를 예증하기 위하여, 하기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조사를 수행한다. 이들 시험 방법은 실시예 1 내지 4에서와 유사하다. 그러나, 실시예 24 및 25에서, 각각의 칩의 절반을 테이프로 커버하여, 비처리된 대조군으로서 사용한다.
실시예 번호
24 25
부분 A질산칼슘염화마그네슘염화주석물 4.60.8--94.6 6.7--0.0493.26
부분 B인산이칼륨인산일칼륨물 0.382.3297.3 0.53.496.1
경도 5.7 7.8
실시예 24로부터의 표본 세 개 및 실시예 25로부터의 표본 네 개를 테잎을 가로질러 잘라 병변의 처리부 및 비처리부를 노출시킨다. 그 후, 각각의 표본의 SEM 광현미경사진을 제조한다.
SEM 광현미경사진의 조사는, 표본의 처리면 내에서의 홀 및 열극의 감소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사된 일곱 개의 표본 중 여섯 개 내에서 재광화의 존재를 보여준다.

Claims (28)

  1.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i);
    적어도 약 0.001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염 (ii);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iii);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 (iv)을 포함하며, 상기 성분 (i) 내지 (iv)가 함께 혼합되어, 약 4.5 내지 약 7.0의 pH를 가지는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내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의 광화를 실행시키기 위한, 수성의 안정한 한-부분 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액의 pH가 약 5.0 내지 약 7.0의 범위인 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액의 pH가 약 5.0 내지 약 5.75의 범위인 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이가 금속이 마그네슘, 스트론튬, 주석 및 아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이가 금속 염이 염화마그네슘,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산화마그네슘, 스트론튬 아세테이트, 염화스트론튬, 질산 스트론튬, 염화주석, 아세트산 아연, 염화아연, 황산아연, 질산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불화물 염이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액이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에 의하여 방출된 칼슘 염 약 100 ppm 내지 약 35,000 ppm,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에 의하여 방출된 인산염 이온 약 100 ppm 내지 약 40,000 ppm, 적어도 하나의 이가 금속 염에 의하여 방출된 이가 금속 이온 약 10 ppm 내지 약 20,000 ppm, 및 적어도 하나의 불화물 염에 의하여 방출된 불화물 이온 약 20 ppm 내지 약 5000 ppm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산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치약, 겔, 전문적 겔, 치아 크림, 구강 세척제, 구강 세정제, 츄잉 검, 로젠지, 음식물, 당의정 또는 봉봉인 산물.
  9. (A)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i);
    적어도 약 0.001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염 (ii);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iii); 및
    약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 (iv)을 포함하고, 상기 성분 (i) 내지 (iv)가 함께 혼합되어 약 4.5 내지 약 7.5의 pH를 가지는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수성의 안정한 한-부분 산물을 제공하고;
    (B)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으로부터 방출된 칼슘 이온 및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으로부터 방출된 인산염 이온이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로 확산되어,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에서 히드록시아파티트를 형성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병변을 재광화시키고/거나 하나 이상의 세관을 광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수성 혼합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 배열된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내에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의 광화 방법.
  10.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i);
    적어도 약 0.001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염 (ii);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iii);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 (iv); 및
    약 7.5 중량% 이하의 건조제, 및 성분 (i) 및 (iii)의 적어도 하나의 입자 상의, 타액 내에서 용이하게 용해, 분산 또는 에멀션화될 수 있는 캡슐화 코팅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정화제 (v)를 포함하며, 상기 성분 (i) 내지 (iv)가 물 또는 타액과 함께 혼합되어 약 4.5 내지 약 7.0의 pH를 가지는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내에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의 광화를 실행시키기 위한 비수성의 안정한 한-부분 산물.
  11. (A)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i);
    적어도 약 0.001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 이외의 이가 금속 염 (ii);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iii);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 (iv); 및
    약 7.5 중량% 이하의 건조제, 및 성분 (i) 및 (iii)의 적어도 하나의 입자 상의, 타액 내에서 용이하게 용해, 분산 또는 에멀션화될 수 있는 캡슐화 코팅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정화제 (v)를 포함하는, 비수성의 안정한 한-부분 산물을 제공하고;
    (B) 산물 (A)를 물 및/또는 타액 내에 용해시켜, 약 4.5 내지 약 7.0의 pH를 가지는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시키고;
    (C)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으로부터 방출된 칼슘 이온 및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으로부터 방출된 인산염 이온이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로 확산되고, 침전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에서 히드록시아파티트를 형성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병변을 재광화시키고/거나 하나 이상의 세관을 광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수성 혼합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내에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의 광화방법.
  12. (1)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및 적어도 약 0.001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독성 수용성의 칼슘염 이외의 이가 금속 염을 포함하는 제 1 분리 부분;
    (2)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및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을 포함하는 제 2 분리 부분; 및
    (3)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동시에 분배시키기 위한 분배 장치를 포함하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이 함께 혼합되어 약 4.5 내지 약 7.0의 pH를 가지는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내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의 광화를 실행시키기 위한 수성의 안정한 두-부분 산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i) 제 1 부분을 저장하며 제 1 출구를 가지는 제 1 분획 및 제 2 부분을 저장하며 제 1 출구와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제 2 출구를 가지는 제 2 분획;
    (ii) 제 1 및 제 2 분획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 장치; 및
    (iii) 제 1 및 제 2 부분을 각각 제 1 및 제 2 출구를 통하여 표면 상으로 동시에 분배시키기 위한 분배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 용기 내에, 제 1 및 제 2 부분 및 분배 장치가 배열되어 있는 산물.
  14. 제 12 항에 있어서, 수용액의 pH가 약 5.0 내지 약 7.0의 범위인 산물.
  15. 제 12 항에 있어서, 수용액의 pH가 약 5.0 내지 약 5.75의 범위인 산물.
  16. 제 12 항에 있어서, 이가 금속이 마그네슘, 스트론튬, 주석 및 아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물.
  17. 제 12 항에 있어서, 이가 금속 염이 염화마그네슘,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산화마그네슘, 스트론튬 아세테이트, 염화스트론튬, 질산 스트론튬, 염화주석, 아세트산 아연, 염화아연, 황산 아연, 질산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물.
  18.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에 의하여 방출되는 칼슘 이온 약 100 ppm 내지 약 35,000 ppm 및 적어도 하나의 이가 금속 염에 의하여 방출되는 이가 금속 이온 약 10 ppm 내지 20,000 ppm을 포함하며, 제 2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에 의하여 방출되는 인산염 이온 약 250 ppm 내지 약 40,000 ppm 및 적어도 하나의 불화물 염에 의하여 방출되는 불화물 이온 약 20 ppm 내지 약 5000 ppm을 포함하는 산물.
  19.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부분이 치약, 겔, 전문적 겔, 치아 크림, 구강 세척제 및 구강 세정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산물.
  20. (A) (1)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및 적어도 약 0.001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독성 수용성의 칼슘염 이외의 이가 금속 염을 포함하는 제 1 분리 부분; 및
    (2)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및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불화물 염을 포함하는 제 2 분리 부분; 및
    (3) 제 1 및 제 2 부분을 동시에 분배시키기 위한 분배 장치를 포함하는, 수성의 안정한 두-부분 산물을 제공하고;
    (B) 제 1 및 제 2 부분을 동시에 분배시키고;
    (C) 동시에 분배된 제 1 및 제 2 부분을 구강 내에서 혼합하여, 약 4.5 내지 약 7.0의 pH를 가지는 수성 혼합 용액을 형성한 다음;
    (D)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으로부터 방출된 칼슘 이온 및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으로부터 방출된 인산염 이온이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로 확산되고, 침전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에서 히드록시아파티트를 형성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병변을 재광화시키고/거나 하나 이상의 세관을 광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수성 혼합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내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의 광화 방법.
  21.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a);
    적어도 약 0.001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염 이외의 이가 금속 염 (b);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c); 및
    약 10.0 중량% 내지 약 95.0 중량%의 검 베이스 (d)를 포함하며,
    상기 성분 (a) 내지 (d)가 타액 또는 물과 함께 츄잉되어 약 4.5 내지 약 7.0의 pH를 가지는 혼합 수용액을 형성하는, 구강 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의 광화를 실행시키기 위한 츄잉 검 산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수용액의 pH가 약 5.0 내지 약 7.0의 범위인 산물.
  23. 제 21 항에 있어서, 수용액의 pH가 약 5.0 내지 약 5.75의 범위인 산물.
  24. 제 21 항에 있어서, 이가 금속이 마그네슘, 스트론튬, 주석 및 아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물.
  25. 제 21 항에 있어서, 이가 금속 염이 염화마그네슘, 아세트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아세트산 스트론튬, 염화스트론튬, 질산 스트론튬, 염화주석, 아세트산 아연, 염화아연, 황산 아연, 질산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물.
  26. 제 21 항에 있어서, 혼합 수용액이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에 의하여 방출된 칼슘 이온 약 100 ppm 내지 약 35,000 ppm,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에 의하여 방출되는 인산염 이온 약 100 ppm 내지 약 40,000 ppm, 적어도 하나의 이가 금속 염에 의하여 방출되는 이가 금속 이온 약 10 ppm 내지 약 20,000 ppm, 및 적어도 하나의 불화물 염에 의하여 방출되는 불화물 이온 약 20 ppm 내지 약 5000 ppm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산물.
  27. 제 21 항에 있어서, 약 7.5 중량%의 건조제, 및 성분 (a) 및 (c)의 적어도 하나의 입자 상의, 타액 내에서 용이하게 용해, 분산 또는 에멀션화할 수 있는 캡슐화 코팅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정화제(e)를 추가로 포함하는 산물.
  28. (A)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칼슘 염 (a);
    적어도 약 0.001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비독성의 칼슘염 이외의 이가 금속 염 (b);
    약 0.05 중량% 내지 약 1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인산 염 (c); 및
    약 10.0 중량% 내지 약 95.0 중량%의 검 베이스 (d)를 포함하며, 상기 성분 (a) 내지 (d)가 타액 또는 물과 함께 츄잉되어 약 4.5 내지 약 7.0의 pH를 가지는 혼합 수용액을 형성하는, 츄잉 검 산물을 제공하고;
    (B) 적어도 하나의 칼슘 염으로부터 방출된 칼슘 이온 및 적어도 하나의 인산 염으로부터 방출된 인산염 이온이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로 확산되고 침전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에서 히드록시아파티트를 형성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병변을 재광화시키고/시키거나 하나 이상의 세관을 광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츄잉 검 산물을 구강 내에서 혼합 수용액을 형성하도록 츄잉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구강 내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적어도 하나의 하표면 내 하나 이상의 병변의 재광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내 노출된 상아질 내 하나 이상의 세관의 광화 방법.
KR1019980700902A 1995-08-08 1996-08-02 치아를위한재광화조성물 KR100291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12,473 1995-08-08
US08/512,473 1995-08-08
US08/512,473 US5603922A (en) 1995-08-08 1995-08-08 Processes and compositions for the remineralization of teeth
US08512,286 1995-08-08
US08/512,286 US5645853A (en) 1995-08-08 1995-08-08 Chewing gum compositions and the use thereof for remineralization of lesions in teeth
PCT/US1996/012456 WO1997006774A1 (en) 1995-08-08 1996-08-02 Remineralizing products and methods for tee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234A true KR19990036234A (ko) 1999-05-25
KR100291863B1 KR100291863B1 (ko) 2001-09-22

Family

ID=2705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902A KR100291863B1 (ko) 1995-08-08 1996-08-02 치아를위한재광화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845976B1 (ko)
JP (1) JP3528181B2 (ko)
KR (1) KR100291863B1 (ko)
CN (1) CN1150880C (ko)
AU (1) AU712524B2 (ko)
BR (1) BR9610258A (ko)
CA (1) CA2224274C (ko)
DE (1) DE69631961D1 (ko)
MX (1) MX9801063A (ko)
WO (1) WO19970067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661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980051A1 (it) * 1998-03-06 1999-09-06 Italmed Di Galli Giovanna E Pa Composizione ad uso odontoiatrico per la desensibilizzazione della dentina esposta
US6120754A (en) 1998-03-11 2000-09-19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Remineralization of teeth
EP1146792A4 (en) * 1999-01-26 2005-07-20 Wrigley W M Jun Co CHEWING GUM CONTAINING CALCIUM LACTATE AND IMPROVING DENTAL HEALTH
US6709670B1 (en) * 1999-07-02 2004-03-23 Nippon Chemical Works Co., Ltd. Aminoethanesulfonic acid-containing preparations
EP1282392B1 (en) * 2000-05-09 2005-02-09 Unilever N.V. Oral composition
US6669931B2 (en) * 2001-03-29 2003-12-30 Curozone Ireland Limited Formulation for the remineralization of teeth
WO2004039343A1 (en) 2002-10-31 2004-05-13 Kao Corporation Oral preparation and chewing gum
DE10349050A1 (de) * 2003-10-17 2005-05-12 Nova Dentalia Zahnpflege Gmbh Kaumasse zur Remineralisation von Zahnschmelz
US8518383B2 (en) * 2006-02-03 2013-08-27 Wm. Wrigley Jr. Company Oral care products comprising buffer systems for improved mineralization/remineralization benefits
AU2007267051B2 (en) * 2006-05-26 2011-08-11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Confectionery compositions containing reactable ingredients
CN101489628A (zh) * 2006-07-13 2009-07-22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牙膏组合物
DE102006055223A1 (de) 2006-11-21 2008-05-29 Heraeus Kulzer Gmbh Mittel zum Schutz von Zahnflächen im Anschluss an konventionelle Bleichverfahren durch biomimetische Abscheidung von Fluorapatit
EP2089040B1 (en) 2006-12-05 2012-01-04 Unilever PLC Oral care product
US9386783B2 (en) * 2007-07-31 2016-07-12 Südzucker Aktiengesellschaft Mannheim/Ochsenfurt Confectionery products and process for obtaining them
BRPI0911683B1 (pt) * 2008-04-24 2017-04-11 Gaba Int Holding Ag composição para cuidado oral, e, uso da mesma
DE102008043818A1 (de) * 2008-11-18 2010-05-27 Busch, Klaus-Uwe, Dr. Kombination aus zwei Stoffzusammensetzungen für Mundhygieneprodukt
WO2010134904A1 (en) 2009-05-18 2010-11-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guanidinium compound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AR079639A1 (es) 2009-12-17 2012-02-08 Colgate Palmolive Co Composicion de pasta de dientes anti-erosiva
BR112012017707B1 (pt) 2010-01-29 2021-11-09 Colgate-Palmolive Company Composição para higiene oral para cuidado do esmalte sensível
PL2701532T3 (pl) 2011-04-29 2018-04-30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Enkapsulowany kwas, sposób jego przygotowania oraz zawierająca go guma do żucia
CN105496806B (zh) 2011-09-28 2018-10-16 狮王株式会社 口腔用组合物
US11090259B2 (en) 2012-11-16 2021-08-17 Eusa Pharma (Uk) Ltd Effervescent tablet
JP5764712B1 (ja) * 2014-12-16 2015-08-19 株式会社松風 歯質再生剤
US11590165B2 (en) 2014-12-17 2023-02-28 Bausch Health Companies Inc. Formulations of calcium and phosphate for oral inflammation
WO2017059006A1 (en) * 2015-09-29 2017-04-0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 for dust particle reduction
DE102019109150A1 (de) * 2019-04-08 2020-10-08 Mühlbauer Technology Gmbh Remineralisierendes Dentalmaterial
RU2722306C1 (ru) * 2019-08-19 2020-05-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плат Глобал"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регуляции микроэлементного обмена в полости рта
CN114173747A (zh) * 2019-07-08 2022-03-11 宝洁公司 用于提高釉质硬度和抵抗力的方法和组合物
CN110693724B (zh) * 2019-11-05 2020-10-30 浙江大学 一种牙齿矿化液及其矿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53109C3 (de) * 1970-10-29 1978-12-21 Blendax-Werke R. Schneider Gmbh & Co, 6500 Mainz Mündungskopf für eine Tube o.dgl. zur gleichzeitigen Abgabe von zwei verschiedenen Pasten
GB1408922A (en) * 1972-02-02 1975-10-08 Blendax Werke Schneider Co Process and composition for the remineralisation and prevention of demineralisation of human teeth
US4083955A (en) * 1975-04-02 1978-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es and compositions for remineralization of dental enamel
US4177258A (en) * 1978-10-13 1979-12-04 Colgate Palmolive Company Dentifrice for dental remineralization
US4183915A (en) * 1978-10-13 1980-01-15 Colgate-Palmolive Company Stable solution for dental remineralization
US4233288A (en) * 1979-03-12 1980-11-11 Cornell John A Gum emulsified liquid package for delivering and preserving liquid content in the mouth
US4348381A (en) * 1981-05-06 1982-09-07 Colgate-Palmolive Company Dental remineralization composition
US4487757A (en) * 1981-12-28 1984-12-11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ing container of toothpaste which effervesces during toothbrushing
US4610873A (en) * 1982-09-08 1986-09-09 Caries Research Group Of Rochester,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king a clear aqueous solution free of calcium phosphate crystals
US4424203A (en) * 1983-03-04 1984-01-03 Pakhomov Gennady N Gel for dental caries prevention
US4436720A (en) * 1983-03-04 1984-03-13 Pakhomov Gennady N Granulated treatment-and-prophylactic dental preparation possessing anticarious effe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661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4274A1 (en) 1997-02-27
DE69631961D1 (de) 2004-04-29
CA2224274C (en) 2001-07-31
CN1192672A (zh) 1998-09-09
KR100291863B1 (ko) 2001-09-22
BR9610258A (pt) 2000-05-09
AU712524B2 (en) 1999-11-11
WO1997006774A1 (en) 1997-02-27
AU6682996A (en) 1997-03-12
MX9801063A (es) 1998-05-31
CN1150880C (zh) 2004-05-26
EP0845976A4 (en) 1999-11-24
EP0845976A1 (en) 1998-06-10
EP0845976B1 (en) 2004-03-24
JPH10511104A (ja) 1998-10-27
JP3528181B2 (ja)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863B1 (ko) 치아를위한재광화조성물
US5645853A (en) Chewing gum compositions and the use thereof for remineralization of lesions in teeth
US5958380A (en) Chewing gum products and the use thereof for remineralizing subsurface dental lesions and for mineralizing exposed dentinal tubules
US5614175A (en) Stable single-part compositions and the use thereof for remineralization of lesions in teeth
US6451290B2 (en) Products and methods for the remineralization and prevention of demineralization of teeth
KR100274334B1 (ko) 치아 에나멜의 탈광화 예방 및 재광화용 조성물
KR100362638B1 (ko) 치아의 재광화용 및 탈광화 예방용 개선 제품
US5833957A (en) Processes and compositions for the remineralization of teeth
AU735193B2 (en) Anti-carious chewing gums, candies, gels, toothpastes and dentifrices
CN101027037B (zh) 牙齿增白组合物和它的输送体系
CN101027036A (zh) 牙齿增白组合物和它的输送体系
US6440394B2 (en) Remineralizing-mineralizing oral products containing discrete cationic and anionic agglomerate components and method of use
JP3689803B2 (ja) 歯牙エナメル質の再石灰化促進剤及び口腔用組成物並びに飲食物
JP4827741B2 (ja) 固形、経口用の歯を白くする菓子組成物
US6482395B1 (en) Remineralizing-mineralizing oral products containing discrete cationic and anionic agglomerate components and method of use
MXPA06006144A (es) Composicion de confiteria blanqueadora dental, bucal, solida
MXPA99001686A (en) Anti-carious chewing gums, candies, gels, toothpastes and dentifr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