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414A -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414A
KR20150111414A KR1020140033385A KR20140033385A KR20150111414A KR 20150111414 A KR20150111414 A KR 20150111414A KR 1020140033385 A KR1020140033385 A KR 1020140033385A KR 20140033385 A KR20140033385 A KR 20140033385A KR 20150111414 A KR20150111414 A KR 2015011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ving block
width direction
shaf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권태
이상훈
은희광
이동우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414A/ko
Publication of KR2015011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10)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슬링(112)이 체결된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는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링(121)이 장착되는 이동블럭(120);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30); 및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140);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Attachable Lifting Apparatus Adjustable Center Of Gravity}
본 발명은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위성이나 컨테이너와 같이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을 안정된 평행상태로 리프팅할 수 있는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팅 장치는 도수 운반이 제한될 정도의 크기나 하중을 갖는 구조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구조물과 구조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 사이에 체결되어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리프팅되도록 지지하는 장치로서, 상부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후크가 끼워질 수 있는 연결링이 장착되며 하부에는 구조물에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슬링이 배치된다.
이러한 리프팅 장치에는 체결된 구조물이 평행상태로 리프팅되도록 동일한 길이를 갖는 여러 개의 슬링을 통해 구조물과 체결되는데, 이 경우 구조물의 무게중심이 구조물의 중앙에 위치한 경우 각 슬링을 구조물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체결한 상태에서 리프팅하여 구조물을 안정된 평행상태로 운반할 수 있었다. 이는 구조물의 무게중심과 연결링의 위치(리프팅 포인트)가 대략 일치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구조물에는 상기와 같은 무게중심이 중앙에 위치한 구조물이 있을 수 있는 반면에, 경우에 따라 비대칭적인 무게구조로 인해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중되도록 제조되거나, 구조물의 기능을 위해 여러장치들을 부착하거나 내부에 적재된 물건들의 적재 상태에 비대칭적일 경우 무게중심이 편중될 수 있었다.
이러한 비대칭적인 무게구조를 갖는 구조물을 리프팅할 경우, 동일한 길이를 갖는 슬링을 이용하더라도 슬링이 무게에 의해 늘어나거나 하중이 가해지는 리프팅 장치가 기울어지면서 상대적으로 무게가 큰 쪽으로 구조물이 기울어진 상태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조물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리프팅되는 경우, 기울어진 상태로 인해 구조물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며, 구조물과 슬링간의 체결부위가 뒤틀리면서 리프팅 도중에 구조물이 추락할 위험이 있었다.
또한, 구조물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리프팅하더라도 안착지점에 구조물을 내려 놓는 중에 구조물의 기울어진 일측이 바닥에 먼저 닿으면서 접촉된 부분으로 구조물의 하중이 집중되어 구조물에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53428호(2009.05.27), 리프팅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수단의 후크에 연결되어 리프팅 포인트가 되는 연결링의 위치를 구조물의 편중된 무게중심과 정렬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이더라도 기울어짐없이 평행한 상태로 안정적인 리프팅이 가능한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에 슬링으로 연결되며 다양한 형태를 갖는 제2리프팅 장치를 하부면에 체결시켜, 해당 구조물의 편중된 무게중심과 정렬되는 위치로 연결링의 위치를 이송시킨 상태로 상기 제2리프팅 장치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는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는,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10)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슬링(112)이 체결된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는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링(121)이 장착되는 이동블럭(120);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30); 및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부(13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11) 내에 길이방향(L)으로 수평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제1구동축(131)과,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제1구동축(131)의 일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132) 및, 상기 제1구동축(131)의 타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지지블럭(133)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블럭(120)은, 내부에 길이방향(L)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22)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공(122)의 내측에는 상기 제1구동축(131)의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이 회전하면 상기 제1구동축(131)을 따라 길이방향(L)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폭방향(W)의 양 내측면에는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측방향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부(13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양 슬라이딩홈(113)에 양단이 삽입되도록 공간부(111) 내에서 폭방향(W)으로 수평배치되는 지지축(13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블럭(120)은, 내부에 폭방향(W)으로 관통되어 상기 지지축(134)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23)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의 폭방향(W)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축(134)에 지지된 상태로 폭방향(W)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14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폭방향(W)으로 수평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제2구동축(141)과, 상기 제2구동축(141)의 일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142) 및, 상기 제2구동축(141)의 타단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지지블럭(1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132)에 체결되며 제1구동축(131)의 일단을 회전지지하는 제3지지블럭(135) 또는 제1구동모터(132)는, 내부에 폭방향(W)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36)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공(136)의 내측에는 상기 제2구동축(141)의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이 회전하면 상기 제2구동축(141)을 따라 폭방향(W)으로 왕복이동하며 상기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왕복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14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구동축(141)과 대향하는 위치에 폭방향(W)으로 수평배치되는 가이드축(14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블럭(133)은, 내부에 폭방향(W)으로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축(144)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37)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의 폭방향(W)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144)을 따라 폭방향(W)으로 함께 왕복이동하며 상기 제1구동축(131)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개별적으로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부(210); 상기 리프팅 장치의 구동설정 및 조작을 위한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30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3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조작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제어부(210)로 전달하는 데이터통신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210)는, 상기 기울기센서부(400)로부터 수신된 기울기 감지신호를 데이터통신부(220)를 통해 조작부(300)로 전송하며, 상기 조작부(300)에는 화면창(310)이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기울기 감지신호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10)의 기울기 정보를 숫자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210)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120)의 연결링(121)이 구조물(20)의 무게중심과 일치되게 위치시키도록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기울기 교정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11)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제어부(210)는, 기울기센서부(400)로부터 수신된 기울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된 기울기 교정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제1구동부(130)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구동부(140)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는,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10)에 슬링(21)으로 연결된 제2리프팅 장치(20)를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2리프팅 장치가 체결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는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링이 장착되는 이동블럭(120);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30); 및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에 의하면,
첫째, 구조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승강구동력이 작용하는 연결링이 장착된 이동블럭의 위치를 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 내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구조물의 편중된 무게중심과 정렬시킨 상태로 구조물을 리프팅할 수 있으므로,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이더라도 평행한 상태로 안정적인 리프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리프팅 장치의 구동설정 및 각 구동부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를 통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리프팅 장치나 구조물의 기울어진 상태를 확인해가며 연결링이 장착된 이동블럭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정교한 리프팅 작업이 가능해진다.
셋째, 베이스프레임에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부가 배치되며, 상기 기울기센서부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를 작업자가 휴대한 조작부의 화면창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리프팅 장치 및 구조물의 기울어진 상태를 육안으로만 확인하지 않고, 기울기 정보라는 객관적인 기초데이터에 근거하여 연결링이 장착된 이동블럭의 위치를 구조물의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로 정렬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리프팅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넷째, 리프팅 장치 및 구조물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연결링이 구조물의 무게중심과 일치되게 위치시키도록 각 구동부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기울기 교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울기센서부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기울기 교정데이터를 독출하여 각 구동부를 구동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구동부를 수동제어할 필요없이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게 자동적으로 구동제어되므로 작업자의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섯째,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에 슬링으로 연결되며 다양한 형태를 갖는 제2리프팅 장치를 하부면에 체결시켜, 해당 구조물의 편중된 무게중심과 정렬되는 위치로 연결링의 위치를 이송시킨 상태로 상기 제2리프팅 장치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으므로, 특정 형태 및 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구조물을 리프팅해야 하는 경우에도 구조물이 기울어짐없이 평행하게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범용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에 제2리프팅 장치가 체결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이하에서는 '리프팅 장치'라 명칭함)는, 승강수단의 후크에 연결되어 리프팅 포인트가 되는 연결링(121)의 위치를 구조물(10)의 편중된 무게중심과 정렬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10)이더라도 기울어짐없이 평행한 상태로 안정적인 리프팅이 가능한 리프팅 장치로서, 구조물(10)을 리프팅함에 있어서 슬링(112)을 통해 구조물(10)에 직접 연결되어 리프팅하거나, 구조물(10)에 슬링(21)으로 연결된 제2리프팅 장치(2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해당 구조물(10)을 리프팅하는 방식으로 각각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리프팅 장치에 체결되는 대상에 따라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슬링(112)을 통해 구조물(10)에 연결되어 해당 구조물(10)을 직접 리프팅하는 리프팅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이동블럭(120),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리프팅 장치의 각 구성품이 내,외부에 체결되며 슬링(112)을 통해 전달되는 구조물(10)을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로서, 중앙에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슬링(112)이 체결된다. 여기서, 슬링(112)을 통해 구조물(10)에 체결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통상의 슬링을 이용한 체결 방식과 동일하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이 장방형의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동블럭(12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공간부(111)가 제공되는 조건 내에서 정육면체 및 단관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럭(120)은, 승강수단의 후크에 체결되어 구조물(10)을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팅 포인트가 되는 연결링(12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는 상기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링(121)이 장착되며, 후술되는 제1구동부(130)와 제2구동부(14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된다.
상기 제1구동부(130)는,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이동블럭(120)을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13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공간부(111) 내에 길이방향(L)으로 수평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제1구동축(131)과,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제1구동축(131)의 일단 위치에 배치되어 제1구동축(131)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132) 및, 상기 제1구동축(131)의 타단 위치에 배치되어 제1구동축(13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지지블럭(133)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20)은, 내부에 길이방향(L)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22)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공(122)의 내측에는 상기 제1구동축(131)의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구동축(131)이 회전하면 상기 제1구동축(131)을 따라 길이방향(L)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구동모터(132)가 제1구동축(131)의 일단을 회전시킴에 있어서, 제1구동모터(132)의 구동축을 제1구동축(131)과 직접 연결하여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제1구동축(131)이 함께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1구동축(131)에 끼움결합되는 이동블럭(120)을 통해 구조물(10)의 하중이 제1구동모터(132)의 구동축으로 전달되어 제1구동부(130)의 내부구성품들이 훼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모터(132)의 일측에는 상기 제1구동축(131)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지지블럭(135)이 배치되고, 제1구동모터(132)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착설되며, 상기 제1구동축(131)에는 제1구동모터(132)의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기어가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구동모터(132)의 구동축에 구조물(10)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제1구동축(131)을 원하는 방향 및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20)이 제1구동축(131)을 따라 길이방향(L)으로 왕복이동함에 있어서 상기이동블럭(120)에는 제1구동축(131)을 통해 구조물(10)의 하중이 전달됨으로써 큰 하중을 갖는 구조물(10)의 경우 제1구동축(131)에 변형이나 훼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구동부(130)는 이동블럭(120)의 길이방향(L)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축(134)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폭방향(W)의 양 내측면에는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측방향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134)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양 슬라이딩홈(113)에 양단이 삽입되도록 공간부(111) 내에서 폭방향(W)으로 수평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20)은 내부에 폭방향(W)으로 관통되어 상기 지지축(134)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23)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의 폭방향(W)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축(134)에 지지된 상태로 폭방향(W)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구동부(140)는,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이동블럭(120)을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부(14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폭방향(W)으로 수평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제2구동축(141)과, 상기 제2구동축(141)의 일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142) 및, 상기 제2구동축(141)의 타단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지지블럭(14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모터(132)에 체결되며 제1구동축(131)의 일단을 회전지지하는 제3지지블럭(135) 또는 제1구동모터(132)는, 내부에 폭방향(W)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36)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공(136)의 내측에는 상기 제2구동축(141)의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이 회전하면 상기 제2구동축(141)을 따라 폭방향(W)으로 왕복이동하며 상기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왕복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지지블럭(133)이 제1구동축(131)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구동부(140)에 의해 제1구동축(131)이 폭방향(W)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제1지지블럭(133) 역시 제1구동축(131)의 폭방향(W)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구동부(14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구동축(141)과 대향하는 위치에 폭방향(W)으로 수평배치되는 가이드축(14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블럭(133)은 내부에 폭방향(W)으로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축(144)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37)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의 폭방향(W)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144)을 따라 폭방향(W)으로 함께 왕복이동하며 상기 제1구동축(131)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리프팅 장치나 구조물(10)의 기울어진 상태를 확인해가며 연결링(121)이 장착된 이동블럭(12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정교한 리프팅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개별적으로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부(210)와, 상기 리프팅 장치의 구동설정 및 조작을 위한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30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배치되며 조작부(3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조작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입력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제어부(210)로 전달되는 데이터통신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입력신호는 작업자가 각 구동부(130,140)를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조작부(300)에 배치된 각종 설정버튼을 누름으로써 발생되는 입력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조작부(300) 및 구동제어부(210)의 구성을 통해 작업자는 편중된 무게중심으로 리프팅된 구조물(10) 및 리프팅 장치의 기울어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각 구동부구동부(130,140)를 개별적으로 구동제어하여 연결링(121)의 위치를 조절하여 구조물(10)의 무게중심 위치와 정렬되게 위치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작업자가 리프팅 장치 및 구조물(10)의 기울어진 상태를 육안만으로 확인하지 않고, 기울기 정보라는 객관적인 기초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구동부(130,140)를 수동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베이스프레임(110)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기울기센서부(400)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10)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기울기 정보를 작업자에게 표시하여 작업자에 의한 수동조작 또는 자동조작을 통해 구조물(10)의 편중된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각 구동부(130,140)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제어부(210)는 기울기센서부(400)로부터 수신된 기울기 감지신호를 데이터통신부(220)를 통해 조작부(300)로 전송하며, 상기 조작부(300)에는 화면창(310)이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기울기 감지신호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10)의 기울기 정보를 숫자 또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울기센서부(400)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를 작업자가 휴대한 조작부(300)의 화면창(310)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리프팅 장치 및 구조물(10)의 기울어진 상태를 육안으로만 확인하지 않고, 기울기 정보라는 객관적인 기초데이터에 근거하여 연결링이 장착된 이동블럭(120)의 위치를 구조물(10)의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로 정렬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리프팅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울기센서부(40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 뿐만 아니라, 구조물(10)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어 구조물(10)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구조물(10)의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각 구동부(130,140)를 수동제어할 필요없이 구조물(10)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게 자동적으로 구동제어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구동제어부(210)에는 베이스프레임(11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이동블럭(120)의 연결링(121)이 구조물(10)의 무게중심과 일치되게 위치시키도록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기울기 교정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210)는 기울기센서부(400)로부터 수신된 기울기 감지신호에 따라 매치되는 기울기 교정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1)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1구동부(130)를 통해 이블을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디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구동부(140)를 통해 이동블럭(120)을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센서부(400)로부터 리프팅 장치의 우측과 전방부분이 일정 수치만큼 기울진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구동제어부(210)는 해당 일정수치에 매칭되어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제어하여 이동블럭(120)을 좌측과 후방위치로 상기 일정수치를 보상할 수 있는 정도로 이송하도록 하는 구동제어 데이터인 기울기 교정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1)부터 독출하며, 독출된 기울기 교정데이터에 부합되게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리프팅 장치를 평행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연결링(121)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각 구동부(130,140)를 수동제어할 필요없이 구조물(10)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게 자동적으로 구동제어되므로 작업자의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구조물(10)을 리프팅하기 위한 승강구동력이 작용하는 연결링(121)이 장착된 이동블럭(120)의 위치를 베이스프레임(110)의 공간부(111) 내에서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구조물(10)의 편중된 무게중심과 정렬시킨 상태로 구조물(10)을 리프팅할 수 있으므로,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10)이더라도 평행한 상태로 안정적인 리프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10)에 슬링(21)으로 연결된 제2리프팅 장치(20)에 부착(체결)되어 상기 제2리프팅 장치(20)를 통해 구조물(10)을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2리프팅 장치가 체결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는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링이 장착되는 이동블럭(120);과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30); 및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와 비교하여, 베이스프레임(110)이 제2리프팅 장치(20)에 체결된 것 이외에 구체적인 기술구성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제2리프팅 장치(20)를 체결함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10)과 제2리프팅 장치(20)의 일측을 연속관통하는 체결볼트나 체결핀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체결시킬 수 있으며, 이 밖에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제2리프팅 장치(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마련하거나, 제2리프팅 장치(20)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제2리프팅 장치(20)를 하부상에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센서부(400)는 베이스프레임(110) 및 구조물(10)의 외부면 뿐만 아니라, 제2리프팅 장치(20) 상에도 장착되어 제2리프팅 장치(20)의 기울기 상태를 통해 구조물(10)의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에 슬링(21)으로 연결되며 다양한 형태를 갖는 제2리프팅 장치(20)를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면에 체결시켜, 해당 구조물(10)의 편중된 무게중심과 정렬되는 위치로 연결링(121)의 위치를 이송시킨 상태로 상기 제2리프팅 장치(2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구조물(10)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으므로, 특정 형태 및 기능을 갖는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구조물을 리프팅해야 하는 경우에도 구조물(10)이 기울어짐없이 평행하게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범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구조물 20...제2리프팅 장치
110...베이스프레임 111...공간부
112...슬링 120...이동블럭
121...연결링 130...제1구동부
140...제2구동부 210...구동제어부
220...데이터통신부 300...조작부
400...기울기센서부

Claims (9)

  1.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10)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슬링(112)이 체결된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는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링(121)이 장착되는 이동블럭(120);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30); 및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140);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13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11) 내에 길이방향(L)으로 수평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제1구동축(131)과,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제1구동축(131)의 일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132) 및, 상기 제1구동축(131)의 타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지지블럭(133)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블럭(120)은, 내부에 길이방향(L)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22)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공(122)의 내측에는 상기 제1구동축(131)의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이 회전하면 상기 제1구동축(131)을 따라 길이방향(L)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폭방향(W)의 양 내측면에는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측방향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부(13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양 슬라이딩홈(113)에 양단이 삽입되도록 공간부(111) 내에서 폭방향(W)으로 수평배치되는 지지축(13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블럭(120)은, 내부에 폭방향(W)으로 관통되어 상기 지지축(134)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23)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의 폭방향(W)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축(134)에 지지된 상태로 폭방향(W)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14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폭방향(W)으로 수평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제2구동축(141)과, 상기 제2구동축(141)의 일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142) 및, 상기 제2구동축(141)의 타단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지지블럭(1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132)에 체결되며 제1구동축(131)의 일단을 회전지지하는 제3지지블럭(135) 또는 제1구동모터(132)는, 내부에 폭방향(W)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36)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공(136)의 내측에는 상기 제2구동축(141)의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구동축(141)이 회전하면 상기 제2구동축(141)을 따라 폭방향(W)으로 왕복이동하며 상기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140)는,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구동축(141)과 대향하는 위치에 폭방향(W)으로 수평배치되는 가이드축(14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블럭(133)은, 내부에 폭방향(W)으로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축(144)에 끼움결합되는 축공(137)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축(131)의 폭방향(W)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144)을 따라 폭방향(W)으로 함께 왕복이동하며 상기 제1구동축(131)의 타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개별적으로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부(210);
    상기 리프팅 장치의 구동설정 및 조작을 위한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30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3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조작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제어부(210)로 전달하는 데이터통신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210)는, 상기 기울기센서부(400)로부터 수신된 기울기 감지신호를 데이터통신부(220)를 통해 조작부(300)로 전송하며,
    상기 조작부(300)에는 화면창(310)이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기울기 감지신호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10)의 기울기 정보를 숫자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210)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120)의 연결링(121)이 구조물(20)의 무게중심과 일치되게 위치시키도록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기울기 교정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11)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제어부(210)는, 기울기센서부(400)로부터 수신된 기울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된 기울기 교정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제1구동부(130)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구동부(140)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9. 무게중심이 편중된 구조물(10)에 슬링(21)으로 연결된 제2리프팅 장치(20)를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2리프팅 장치가 체결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는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링이 장착되는 이동블럭(120);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길이방향(L)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30); 및
    상기 이동블럭(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블럭(120)이 폭방향(W)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블럭(120)을 상기 구조물(10)의 폭방향(W)으로 편중된 무게중심 위치에 정렬되게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140);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KR1020140033385A 2014-03-21 2014-03-21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 KR20150111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85A KR20150111414A (ko) 2014-03-21 2014-03-21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85A KR20150111414A (ko) 2014-03-21 2014-03-21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14A true KR20150111414A (ko) 2015-10-06

Family

ID=5434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85A KR20150111414A (ko) 2014-03-21 2014-03-21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14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779B1 (ko) * 2015-10-29 2017-02-03 세메스 주식회사 반송 대차의 핸드 유닛
CN110464584A (zh) * 2019-07-26 2019-11-19 安徽麦科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偏重条件下的提升装置以及医疗用检查床
KR20230076922A (ko) * 2021-11-23 2023-06-01 (주)케이.아이.기술 무게중심 변경이 가능한 줄걸이 실습용 피인양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779B1 (ko) * 2015-10-29 2017-02-03 세메스 주식회사 반송 대차의 핸드 유닛
CN106809656A (zh) * 2015-10-29 2017-06-09 细美事有限公司 吊装传送机的抓手单元
CN106809656B (zh) * 2015-10-29 2020-12-08 细美事有限公司 吊装传送机的抓手单元
CN110464584A (zh) * 2019-07-26 2019-11-19 安徽麦科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偏重条件下的提升装置以及医疗用检查床
CN110464584B (zh) * 2019-07-26 2024-05-07 安徽麦科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偏重条件下的提升装置以及医疗用检查床
KR20230076922A (ko) * 2021-11-23 2023-06-01 (주)케이.아이.기술 무게중심 변경이 가능한 줄걸이 실습용 피인양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1415A (ko) 무게중심 조절형 리프팅 장치
US11553789B2 (en) Synchronized monitor mount and desk height adjustment system
EP3662785A1 (en) Synchronized monitor mount and desk height adjustment system
CN111578081A (zh) 云台、遥控车辆及遥控运载系统
US20180184799A1 (en) Height adjustable desk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20150111414A (ko) 부착형 무게중심 리프팅 장치
ES2320356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de aplicacion de contrapesos a un neumatico.
KR102280711B1 (ko) 취출암이 구비된 로봇 절곡기
CN105143089A (zh) 用于手动引导负载运动的装置
KR101809983B1 (ko) 무게중심 이동을 통한 거치각도 조절 기능을 가진 거치대
CN110927180A (zh) 一种输液瓶用异物检测设备
US20150336776A1 (en) Utility truck with boom and deformation monitoring sensors
KR101824660B1 (ko) 금형 제조장치
US7150672B2 (en) Cup attaching apparatus
JP2012110992A (ja) 荷搬送アームおよび荷搬送アームを備えた荷搬送ロボット
CN209951221U (zh) 一种视力检测设备和系统
KR101797753B1 (ko) 용접용 틸팅테이블
KR102383493B1 (ko) 인양빔을 이용한 인양장치
KR101710162B1 (ko) 엘리베이터 기능을 갖는 카메라 받침대
EP2952457A1 (en) Extendable conveyor comprising a work platform equipped with an inclination system
CN207243387U (zh) 起重机吊篮
KR101337540B1 (ko) 자동평형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양장치
KR101940036B1 (ko)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 자동 벤딩장치
JP6720085B2 (ja) マニピュレータユニットを有する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