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164A -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164A
KR20150111164A KR1020140034720A KR20140034720A KR20150111164A KR 20150111164 A KR20150111164 A KR 20150111164A KR 1020140034720 A KR1020140034720 A KR 1020140034720A KR 20140034720 A KR20140034720 A KR 20140034720A KR 20150111164 A KR20150111164 A KR 20150111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gital device
transparent cover
cover unit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형
이도영
김종호
천시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164A/ko
Priority to US14/282,079 priority patent/US9542041B2/en
Priority to PCT/KR2014/004576 priority patent/WO2015147373A1/en
Priority to EP14886954.8A priority patent/EP3123276A4/en
Publication of KR2015011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하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 오픈 포지션 또는 클로즈드 포지션에 위치하고,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오버랩되는 투명 커버 유닛, 및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2 위치로 보정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device providing a touch compens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 위로 투명 커버 유닛이 오버랩되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 입력의 감도 및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비주얼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 데스크탑에 준하는 성능을 보유하는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의 제어 입력을 터치 입력으로 디텍트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디지털 디바이스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유저의 제어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 디바이스는 크기 및 무게가 줄어 들었고, 유저가 이동 중에도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비주얼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유저의 제어 입력을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디텍트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어 입력을 디텍트하는 별도의 입력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폴더블하게 제작되어 유저가 휴대하기 편리하게 제작되었다.
유저는 이러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바라보는 유저의 시선에 따라 터치할 수 있다.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다양한 거리 및 각도에서 바라보고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유저의 거리 및 각도에 따라 유저의 시선이 미치는 지점과 다른 지점을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의 시선이 인식하는 터치 지점과 실제 유저가 터치하는 지점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폴더블하게 제작되고, 폴딩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하는 경우, 유저의 시선이 인식하는 터치 지점과 실제 유저가 터치하는 지점의 오차는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정할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과 투명 커버 유닛이 겹쳐지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 보정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과 투명 커버 유닛이 겹쳐지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투명 커버 유닛에 기초한 보정을 추가로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비주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위치를 디텍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가 비주얼 정보를 터치하는 손가락의 각도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과 투명 커버 유닛이 겹쳐지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 감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투명 커버 유닛으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와 투명 커버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구별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하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 오픈 포지션 또는 클로즈드 포지션에 위치하고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오버랩되는 투명 커버 유닛, 및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2 위치로 보정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과 투명 커버 유닛이 겹쳐지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 보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과 투명 커버 유닛이 겹쳐지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투명 커버 유닛에 기초한 보정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비주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저가 비주얼 정보를 터치하는 손가락의 각도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과 투명 커버 유닛이 겹쳐지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 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투명 커버 유닛으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와 투명 커버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구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명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명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디텍트되는 터치 입력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오픈 포지션 및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투명 커버 유닛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명 커버 유닛이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비주얼 정보 및 제 2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비주얼 정보 및 제 2 비주얼 정보가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비주얼 정보 및 제 2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DA 또는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제어 입력을 디텍트하고,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투명 커버 유닛(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할 수 있다.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실시예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터치 입력을 제어 입력으로 디텍트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터치 센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30)로부터 전달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유저의 터치 입력을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투명 커버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이 오버랩된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이 오버랩된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투명한 플라스틱 커버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투명한 플렉서블 재질로 구성된 커버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투명한 필름 재질로 구성된 커버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폴딩부로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폴딩부는 폴더블하게 제작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투명 커버 유닛(120)을 연결하는 부위일 수 있다. 즉, 투명 커버 유닛(120)은 투명한 재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오버랩될 수 있는 커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터치 센시티브 투명 커버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커버 유닛(12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별도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별도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투명 커버 유닛(120)은 별도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투명 커버 유닛(12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구별하여 디텍트 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투명 커버 유닛(120)의 터치 입력을 구별하여 별도의 제어 입력으로 디텍트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투명 커버 유닛(120)은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c에서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유저의 터치 입력을 전달 받고, 터치 입력에 대한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유저의 터치 입력에 대한 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 포지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오픈 포지션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투명 커버 유닛(120)이 오버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오픈 포지션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위를 직접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클로즈드 포지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클로즈드 포지션은 투명 커버 유닛(120)이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오버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0)는 투명 커버 유닛이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겹쳐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오픈 포지션 및 클로즈드 포지션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투명 커버 유닛(110) 두께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가 클로즈드 포지션 에서 터치 입력에 대한 보정을 실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오픈 포지션의 터치 보정에서 투명 커버 유닛(110) 두께에 기초한 보정을 추가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유저의 터치 입력에 대한 감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오픈 포지션에서 제 1 감도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클로즈드 포지션 모드에서 제 2 감도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제 2 감도를 제 1 감도보다 큰 감도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클로즈드 포지션 모드에서 터치 입력을 더 민감하게 디텍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 5c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터치 입력이 디텍트되는 위치에 따라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210)을 기준으로 터치 입력이 디텍트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210)을 기준으로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방향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준점(210)은 터치 입력에 대한 보정을 실행하지 않는 점일 수 있다. 일 예로, 기준점(210)은 유저의 눈(220)의 시선과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도가 스레스홀드 각도 범위 이내인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스레스홀드 각도 범위는 임계 각도 범위로서 직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시선과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직각이되는 위치에서 일정한 범위를 기준점(2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점(210)은 유저의 눈(220)에 의해 디텍트되는 위치와 유저의 손(230)이 터치하는 지점의 오차가 없는 지점일 수 있다. 즉, 유저가 비주얼 정보를 바라보고 터치하는 경우, 유저는 유저가 바라보는 지점과 동일한 지점을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210)에서 유저에 의한 터치 입력을 보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기준점(210)은 유저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의해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유저는 유저의 시선의 위치 및 유저의 특징을 고려하여 기준점(210)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210)을 기설정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디바이스 사용 특징을 고려하여 기준점(210)을 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이 디텍트되는 위치를 기준점(210)에 기초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위치가 기준점(210)에서 멀리 위치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더 많은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입력이 디텍트되는 위치가 기준점(210)에서 멀리 위치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 6a에서 후술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명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투명 커버 유닛(120)이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오버랩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에 기초한 보정을 추가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을 고려한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3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폴딩될 수 있는 투명 커버 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명 커버 유닛(3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우측 또는 좌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유저는 투명 커버 유닛(320)이 부착된 부분을 기준으로 투명 커버 유닛(120)을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폴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투명 커버 유닛(34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위측 또는 아래측에 부착될 수 있다. 유저는 투명 커버 유닛(340)이 부착된 부분을 기준으로 터치 커버 유닛(120)을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폴딩할 수 있다.
즉, 투명 커버 유닛(120)은 폴더블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폴딩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겹쳐질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투명 커버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 위에 부착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3c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투명 커버 유닛(120)를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이 폴딩되어 겹쳐지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이 언폴딩되어 오버랩되지 않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에 대한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이 폴딩되어 오버랩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350) 겹쳐진 영역에 기초한 보정을 추가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겹쳐진 영역의 두께를 터치 보정에서 고려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명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디텍트되는 터치 입력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유저는 유저의 눈(220)이 바라보는 지점과 다른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과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오버랩되지 않으면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과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오버랩되면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터치하는 경우, 유저는 유저의 눈(220)이 바라보는 위치과 다른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유저의 눈(220)이 바라보는 위치와 유저가 터치하는 지점의 차이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의해 더 커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는 비주얼 정보(410)을 유저의 눈(220)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유저의 눈(220)으로 디텍트한 비주얼 정보(410)를 터치할 수 있다. 투명 커버 유닛(120)과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오버랩된 경우, 유저는 유저의 손(230)으로 투명 커버 유닛(120) 위를 터치할 수 있다. 즉, 유저는 투명 커버 유닛(120) 아래 위치하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410)를 제어하기 위해 투명 커버 유닛(120) 위를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의해 비주얼 정보(410)가 위치한 지점과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는 “2” 부분을 바라보고 터치하지만, 유저의 손(230)은 “5” 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바라보는 “2” 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상술한 제 1 거리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커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거리는 비주얼 정보(410)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비주얼 정보(410)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는 기준점(210)을 기준으로 디텍트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오픈 포지션 및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을 포함하고 있다. 투명 커버 유닛(120)과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오버랩 되지 않은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오픈 포지션은 투명 커버 유닛(120)이 겹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를 직접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과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오버랩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클로즈드 포지션은 투명 커버 유닛(120)이 겹쳐진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에 위치한 투명 커버 유닛(12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일때와 클로즈드 포지션일때의 터치 보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에 기초한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의한 보정을 추가하여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에서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한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 에서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한 보정 및 투명 커버 유닛의 두께에 기초한 보정을 모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은 오픈 포지션일때와 클로즈드 포지션일때의 터치 감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감도는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센서의 민감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제 1 감도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제 2 감도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감도는 제 1 감도보다 클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해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를 직접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반면,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위에 위치하는 투명 커버 유닛(120)을 터치하는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유저의 터치 입력은 오픈 포지션에서 클로즈드 포지션보다 높은 강도로 디텍트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디텍트하는 터치 입력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에 의해 감소하는 터치 입력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가 증가하면 제 2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기초하여 제 2 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a를 참조하면, 투명 커버 유닛(120)이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오버랩되지 않은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이 폴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반면, 투명 커버 유닛(120)이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오버랩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이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폴딩된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 위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5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510)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 2 위치(520)로 보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에(520)에 제 1 비주얼 정보(54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제 1 비주얼 정보(540)를 제어하는 터치 입력을 제 1 위치(510)에서 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와 유저 시선의 각도에 의해 유저가 바라보는 위치와 다른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510)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2 위치(520)로 보정하는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 2 위치(520)는 제 1 위치(510)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510)가 기준점(210)에서 멀어질수록 제 1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위치(520)는 제 1 위치(510)를 기준으로 제 1 방향으로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제 1 방항은 기준점(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방향은 기준점(210), 제 1 위치(510) 및 제 2 위치(520)이 이루는 직선과 동일한 방향으로서, 기준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1 방향 및 제 1 거리는 기준점(210)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클로즈드 포지션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510)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 3 위치(530)로 보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위치에(530)에 제 1 비주얼 정보(54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제 1 비주얼 정보(54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제 1 위치(510)에서 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와 유저 시선의 각도에 의해 유저가 바라보는 위치와 다른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의해 유저가 바라보는 위치와 다른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510)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 3 위치(530)로 보정하는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 3 위치(530)는 제 1 위치(510)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510)가 기준점(210)에서 멀어질수록 제 2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위치(530)는 제 1 위치(510)를 기준으로 제 1 방향으로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제 1 방항은 기준점(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방향은 기준점(210), 제 1 위치(510) 및 제 3 위치(530)이 이루는 직선과 동일한 방향으로서, 기준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1 방향 및 제 1 거리는 기준점(210)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위치(530)와 제 1 위치(510) 사이의 거리인 제 2 거리를 제 2 위치(520)와 제 1 위치 사이의 거리인 제 1 거리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투명 커버 유닛(120) 위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기 때문에 제 2 거리를 제 1 거리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위치(530)와 제 1 위치(510) 사이의 거리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210)에서 제 1 위치(510)와 보정되는 제 2 위치(520)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210)에서 제 1 위치(510)와 보정되는 제 3 위치(530)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210)에서 터치 보정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오픈 포지션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을 제 1 감도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을 제 2 감도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터치 감도는 제 1 터치 감도보다 높은 감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 위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투명 커버 유닛(120) 아래 위치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의해 제 2 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 두께가 두꺼워지면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터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이 디텍트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610)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터치 입력이 기준점(610)에서 멀리 위치할수록 터치 보정을 많이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준점(610)은 유저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의해 기설정된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기준점(610)은 터치 보정이 필요하지 않은 지점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610)은 유저의 눈(220)이 바라보는 위치와 유저의 손(230)이 터치하는 위치가 동일한 지점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내부 영역 중 유저 눈(210)과 직각을 이루는 지점을 기준점(6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시선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시선에 기초하여 기준점(61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유저의 시선이 평균적으로 가장 많이 도달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을 설정할 때마다 유저의 시선을 디텍트하지 않고,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내부 영역 중 평균적으로 유저 시선이 가장 많이 도달하는 곳을 기준점(6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중심점을 기준점(6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크기를 고려하여 기준점(610)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610)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제 1 비주얼 정보(620)를 제어하는 터치 입력을 제 1 위치에서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제 2 비주얼 정보(630)를 제어하는 터치 입력을 제 2 위치에서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가 제 2 위치보다 기준점에서 멀리 위치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거리를 제 2 거리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610)을 기준으로 비주얼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준점(610)은 유저의 눈(220)이 바라보는 위치와 유저의 손(230)이 터치하는 위치가 동일한 지점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내부 영역 중 유저 눈(210)과 직각을 이루는 지점 및 직각으로부터 스레스홀드 각도 범위 이내인 위치를 기준점(6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각도는 제 1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제 1 비주얼 정보(620)와 유저의 시선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제 2 각도는 제 2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제 2 비주얼 정보(630)와 유저의 시선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가 제 2 위치보다 기준점(610)에서 멀리 위치하는 경우, 제 1 각도는 제 2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유저가 바라보는 비주얼 정보의 각도가 커질수록, 유저가 바라보는 위치와 유저가 터치하는 위치 차이는 커질 수 있다. 즉, 유저가 바라보는 비주얼 정보의 각도가 커지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비주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서 많은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거리를 제 2 거리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기초한 보정이 추가된 보정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제 1 거리 및 제 2 거리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비주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위치 및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손가락과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도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c를 참조하면, 유저가 유저의 손가락(230)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터치하는 경우, 유저가 바라보는 위치와 유저가 터치한 지점의 위치 차이는 커질 수 있다. 반면, 유저가 유저의 손가락(230)을 수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비주얼 정보를 터치하는 경우, 유저가 바라보는 위치와 유저가 터치한 지점의 위치 차이는 작을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손가락과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도가 커질수록 터치 보정을 작게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유저 손가락과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도는 직각에서 가장 커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c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손가락과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도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과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도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와 유저의 손가락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터치 지점(64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과 제 1 터치 지점(640)이 제 1 각도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터치 지점(64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제 1 터치 지점(640)과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손가락과 제 1 터치 지점(640)이 제 2 각도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터치 지점(64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제 1 터치 지점(640)과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각도가 제 2 각도보다 큰 경우, 제 1 거리는 제 2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는 직각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유저가 제 1 터치 지점(640)을 수직으로 터치하는 경우, 유저는 제 1 터치 지점(640)에서 작은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터치 지점(640)에서 작은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반면, 유저가 제 1 터치 지점(640)을 수평으로 터치하는 경우, 유저는 제 1 터치 지점(640)에서 큰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터치 지점(640)에서 큰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의 손가락과 제 1 터치 지점(640)의 각도인 제 1 각도가 제 2 각도보다 큰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거리를 제 2 거리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기초한 보정이 추가된 보정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제 1 거리 및 제 2 거리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제 1 터치 지점(640)과 유저의 손가락 각도 및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기초하여 제 1 거리 및 제 2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투명 커버 유닛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투명 커버 유닛(12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터치 센시티브 투명 커버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커버 유닛(120)은 터치 센시티비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별도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1 비주얼 정보(7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비주얼 정보(710)을 제 1 터치 입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에 제 2 비주얼 정보(7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에 디스플레이 된 제 2 비주얼 정보(720)를 제 2 터치 입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비주얼 정보(710)와 투명 커버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제 2 비주얼 정보(72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투명 커버 유닛(120)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4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제 4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5 위치로 보정하는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 4 위치 및 제 5 위치는 투명 커버 유닛(12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투명 커버 유닛(120)에 대한 터치 보정은 오픈 포지션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대한 터치 보정과 동일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제 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2 위치로 보정하는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제 4 위치와 제 1 위치가 오버랩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4 위치와 제 5위치 사이의 거리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1 비주얼 정보(7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에 제 2 비주얼 정보(7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유저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오버랩된 투명 커버 유닛(120)을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 위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비주얼 정보(71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투명 커버 유닛(120)을 터치하는 유저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비주얼 정보(710)를 제어하는 제 1 터치 입력을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 디텍트 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비주얼 정보(7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투명 커버 유닛(120)을 터치하는 유저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720)를 제어하는 제 2 터치 입력을 투명 커버 유닛(120)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명 커버 유닛이 제 2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비주얼 정보 및 제 2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에서 제 1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제 1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투명 커버 유닛(120)이 제 2 비주얼 정보(82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으로 제 2 비주얼 정보(820)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터치 입력으로 제 2 비주얼 정보(82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1 비주얼 정보(8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에 제 2 비주얼 정보(8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비주얼 정보(81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투명 커버 유닛(120) 위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해 상술한 터치 입력을 제 1 터치 입력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비주얼 정보(8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투명 커버 유닛(120) 위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10)을 통해 상술한 터치 입력을 제 2 터치 입력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도 8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비주얼 정보(810)를 터치하는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보정은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비주얼 정보(810)가 디스플레이된 위치 및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를 모두 고려한 보정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비주얼 정보(820)를 터치하는 제 2 터치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보정은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비주얼 정보(820)가 디스플레이 된 위치를 고려한 보정일 수 있다.
또한, 도 8c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비주얼 정보(810)를 터치하는 제 1 터치 입력을 제 1 감도로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820)를 터치하는 제 2 터치 입력을 제 2 감도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감도는 제 2 감도보다 높은 감도일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비주얼 정보 및 제 2 비주얼 정보가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비주얼 정보 및 제 2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비주얼 정보(910)는 제 2 비주얼 정보(92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커버 유닛(120)은 제 2 비주얼 정보(92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제 1 비주얼 정보(9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비주얼 정보(910)와 제 2 비주얼 정보(920)를 오버랩된 상태에서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비주얼 정보(910) 및 제 2 비주얼 정보(920)를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버랩된 위치에서 투명 커버 유닛(120) 위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제 2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터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 1 비주얼 정보(910) 및 제 2 비주얼 정보(920)가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비주얼 정보(920)를 우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9b를 참조하면, 제 1 비주얼 정보(910) 및 제 2 비주얼 정보(920)가 오버랩된 위치에서 스레스홀드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비주얼 정보(910)를 제어하는 제 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스레스홀드 시간은 유저가 제 1 비주얼 정보(910)를 제어하도록 하는 임계 시간일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비주얼 정보(910) 및 제 2 비주얼 정보(920)가 오버랩된 위치에서 스레스홀드 압력 이상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비주얼 정보(910)를 제어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스레스홀드 압력은 유저가 제 1 비주얼 정보(910)를 제어하도록 하는 임계 압력일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1 비주얼 정보(910) 및 제 2 비주얼 정보(920)가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버랩된 제 1 비주얼 정보(910) 및 제 2 비주얼 정보(920)를 제어하는 터치 입력을 구별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터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제 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S1010)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위치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위치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에 위치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점은 터치 입력에 대한 보정을 실행하지 않는 지점일 수 있다. 일 예로, 기준점은 유저의 시선과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도가 스레스홀드 각도 범위 이내인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스레스홀드 각도 범위는 임계 각도 범위로서 직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시선과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직각이 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한 범위를 갖는 영역을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점은 유저의 눈에 의해 디텍트되는 위치와 유저의 손이 터치하는 지점의 오차가 없는 지점일 수 있다. 즉, 유저가 비주얼 정보를 바라보고 터치하는 경우, 유저는 유저가 바라보는 지점과 동일한 지점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위치가 기준점서 멀리 위치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더 많은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입력이 디텍트되는 위치가 기준점에서 멀리 위치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이 디텍트된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투명 커버 유닛(120)이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오버랩되는지 디텍트할 수 있다.(S102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커버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투명 커버 유닛(120)이 겹쳐진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이 겹쳐진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투명한 플라스틱 커버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투명한 플렉서블 재질로 구성된 커버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투명한 필름 재질로 구성된 커버일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폴딩부로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폴딩부는 폴더블하게 제작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투명 커버 유닛(120)을 연결하는 부위일 수 있다. 즉, 투명 커버 유닛(120)은 투명한 재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겹쳐질 수 있는 커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터치 센시티브 투명 커버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커버 유닛(12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별도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 유닛(12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별도로 유저의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투명 커버 유닛(120)의 터치 입력을 구별하여 별도의 제어 입력으로 디텍트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투명 커버 유닛(120)이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오버랩되지 않은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S103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투명 커버 유닛(120)과 무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오픈 포지션은 투명 커버 유닛(120)이 겹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모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2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S1040) 이때, 도 5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픈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의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을 제 2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는 기준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에서 기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투명 커버 유닛(120)이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로 오버랩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될 수 있다.(S105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투명 커버 유닛(110) 두께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터치 입력에 대한 보정을 실행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의 보정에서 투명 커버 유닛(110) 두께에 기초한 보정을 추가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클로즈드 포지션은 투명 커버 유닛(120)이 겹쳐진 상태에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에 의한 터치 입력을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 위에 위치한 투명 커버 유닛(120)을 통과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3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S1060) 이때, 도 5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를 고려한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위치를 오픈 포지션에서 보정된 제 2 위치보다 기준점에서 더 멀리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에 기초하여 터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투명 커버 유닛(12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위치를 기준점을 기준으로 제 1 위치에서 더 멀리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터치 입력에 대한 감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오픈 포지션에서 제 1 감도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제 2 감도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감도를 제 1 감도보다 큰 감도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터치 입력을 더 민감하게 디텍트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디지털 디바이스
110 :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
120 : 투명 커버 유닛

Claims (20)

  1.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 하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
    투명 커버 유닛;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은 오픈 포지션 또는 클로즈드 포지션에 위치하고,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오버랩됨;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2 위치로 보정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3 위치로 보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3 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거리를 초과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터치 입력을 제 1 감도로 디텍트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터치 입력을 제 2 감도로 디텍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터치 감도를 상기 제 1 터치 감도보다 높은 감도로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기준점과 상기 제 1 위치 사이의 기준 거리를 더 디텍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디텍트된 기준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디텍트된 기준 거리가 증가할록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3 위치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보정된 제 2 위치가 동일하고,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보정된 제 3 위치가 동일하면,
    상기 제 1 위치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방에 위치한 유저의 시선을 디텍트하고,
    상기 기준점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상기 유저의 시선 사이의 각도가 스레스홀드 각도 범위 이내인 위치로 설정되되,
    상기 스레스홀드 각도 범위는 직각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및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기준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디지털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위치를 터치하는 유저 손가락의 각도를 더 디텍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디텍트된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디텍트된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3 위치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비주얼 정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으로 제어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제 3 위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비주얼 정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 입력으로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의 두께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디지털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은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터치 센시티브 투명 커버 유닛인, 디지털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시티브 투명 커버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센시티브 투명 커버 유닛의 제 4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 4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5 위치로 보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서, 상기 터치 센시티브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와 오버랩되는 위치인, 디지털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제 5 위치와 상기 제 4 위치 사이의 거리를 상기 보정된 제 2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제 4 위치를 시간 스레스홀드 이상으로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디텍트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0.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로서,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2 위치로 보정하고,
    상기 투명 커버 유닛이 상기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오버랩되는 클로즈드 포지션일 때, 상기 제 1 위치에서 디텍트된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제 3 위치로 보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40034720A 2014-03-25 2014-03-25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1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20A KR20150111164A (ko) 2014-03-25 2014-03-25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282,079 US9542041B2 (en) 2014-03-25 2014-05-20 Digital device providing a touch compens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PCT/KR2014/004576 WO2015147373A1 (en) 2014-03-25 2014-05-22 Digital device providing a touch compens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P14886954.8A EP3123276A4 (en) 2014-03-25 2014-05-22 Digital device providing a touch compens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20A KR20150111164A (ko) 2014-03-25 2014-03-25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164A true KR20150111164A (ko) 2015-10-05

Family

ID=5419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720A KR20150111164A (ko) 2014-03-25 2014-03-25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2041B2 (ko)
EP (1) EP3123276A4 (ko)
KR (1) KR20150111164A (ko)
WO (1) WO20151473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53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099A (ko) * 2014-10-20 201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007940A (ko) * 2015-07-13 2017-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를 착용한 전자 장치 및 그의 표시 제어 방법
JP6496917B2 (ja) * 2016-04-13 2019-04-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視線測定装置および視線測定方法
JP6583113B2 (ja) * 2016-04-15 2019-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11796801B2 (en) * 2021-05-24 2023-10-24 Google Llc Reducing light leakage via external gaze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438A (en) * 1992-10-12 1997-04-15 Hitachi, Ltd. Point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pointing function
FI104928B (fi) * 1997-11-27 2000-04-28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ja menetelmä langattoman viestimen valmistuksessa
US7688315B1 (en) * 2000-11-30 2010-03-30 Palm, Inc. Proximity input detection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US7079119B2 (en) * 2002-02-28 2006-07-18 Palm, Inc. Cover for electronic device
GB0213237D0 (en) * 2002-06-07 2002-07-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nput system
US8516397B2 (en) * 2008-10-27 2013-08-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ximity interfac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WO2010113397A1 (ja) * 2009-03-31 2010-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
US8493364B2 (en) 2009-04-30 2013-07-23 Motorola Mobility Llc Dual sided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9128545B2 (en) * 2010-05-14 2015-09-08 Racing Optics, Inc. Touch screen shield
US8922498B2 (en) * 2010-08-06 2014-12-30 Ncr Corporation Self-service terminal and configurable screen therefor
US8405627B2 (en) 2010-12-07 2013-03-26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Touch input disambiguation
KR20120072793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CN103134451A (zh) 2011-11-30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三坐标测量机三轴垂直度误差补偿系统及方法
KR101386218B1 (ko) * 2012-05-24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99119B1 (ko) * 2012-07-11 2019-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JP5422724B1 (ja) * 2012-10-31 2014-02-1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描画方法
US9395902B2 (en) * 2013-03-15 2016-07-19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arallax compens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53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20210017021A (ko) * 2019-08-06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3276A1 (en) 2017-02-01
US20150277599A1 (en) 2015-10-01
WO2015147373A1 (en) 2015-10-01
US9542041B2 (en) 2017-01-10
EP3123276A4 (en)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1164A (ko) 터치 보정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8654095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providing adaptive touch sensitive are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7754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4365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A2757793C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ouch screen display use under vibration and turbulence
EP373668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urv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5578386B2 (ja) 擬似ハードウェアボタン操作方法およびタッチスクリーン端末
WO2010098118A1 (ja)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
US20140191927A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providing eye gaze calib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88239A (ko) 듀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US9811156B2 (en) Portable device including index display reg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7126356A (ja) ディスプレイ対象の移動方向調節方法及び端末機
EP2682845A2 (en) Input device error compensating method and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ame
KR102179816B1 (ko)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02297A (ko) 방수 구조의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100485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25549A1 (ja) 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操作処理方法
US10877588B2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orce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KR20180048158A (ko) 디스플레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40368473A1 (en) Method of selecting touch input sour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109693A (ko) 측면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4873A (ko) 휴대 단말기
CN105045431B (zh) 用于触摸屏终端的智能传感器及其触摸检测方法
KR102295401B1 (ko) 가요성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3949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