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104A -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 Google Patents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104A
KR20150109104A KR1020140032138A KR20140032138A KR20150109104A KR 20150109104 A KR20150109104 A KR 20150109104A KR 1020140032138 A KR1020140032138 A KR 1020140032138A KR 20140032138 A KR20140032138 A KR 20140032138A KR 20150109104 A KR20150109104 A KR 20150109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bum
scalp
hair
pattern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055B1 (ko
Inventor
김지영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3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05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Microporous PE(Polyethylene)),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Microporous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부직포, 카폭(Kapok) 부직포, 목화시트, 마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장갑 본체와; 두피 또는 헤어와 접촉되며, 상기 장갑 본체의 외주면 일 영역에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에는 피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수직으로 돌출된 패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두피 또는 헤어에 점착된 피지에 접근성이 좋은 장갑의 형태로 형성되어 두피의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피지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Gloves For Cleansing Sebum From Scalp and hair}
본 발명은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세정액이 함침된 세정용 장갑으로 두피와 헤어를 가압하여 두피와 헤어의 피지와 오염물 등을 세정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지가 많이 분비되는 곳은 두피와 얼굴이다. 특히, 얼굴의 경우 세안이 피지를 제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세안이 어려운 야외와 같은 상황의 경우 일반적으로 과도하게 분비된 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오일 흡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보통의 오일 흡수지의 경우 드라이 필름 타입이나 부직포 타입으로 종이상자에서 한 장씩 꺼내서 닦아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얼굴의 경우는 이러한 필름 타입의 사용이 문제가 없다. 하지만 헤어(Hair)의 안쪽 즉, 두피쪽의 헤어에 점착된 피지나 헤어에 의하여 노출되지 않은 곳에 위치한 두피에 점착된 피지의 경우에는 상기 필름 등으로 닦아주기에 쉽지 않고 또한 효율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무엇보다 헤어가 오일 흡수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마른 상태의 오일 흡수지로 헤어와 두피에 점착된 피지를 닦아내는 데에 한계가 있고, 그에 따라 과도한 가압 등으로 인하여 두피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이의 해결방법으로 샴푸를 사용하여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샴푸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두피에서부터 분비되기 시작하여 헤어(Hair)까지 피지가 확장되며, 반복적인 샴푸를 이용한 세정 과정은 욕실에서 과량(過量)의 물을 사용하여 세정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세정 자체에는 헤어에 따라 5분 정도의 시간이 걸리지만, 젖은 헤어와 두피를 말리는 데는 짧은 머리의 경우 5분 이상, 긴 머리의 경우는 10분 이상의 건조(乾燥) 시간이 걸려서 바쁜 아침과 같은 상황에서는 난감한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피지 분비가 왕성한 10대 또는 20대의 경우, 아침에 머리를 감아도 오후만 되면 앞머리가 땀과 기름기로 기름져 보여서 두피에 여드름을 유발(誘發)하고, 시각적으로도 단정치 않게 보여서 현재 많은 임시 방편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베이비 파우더를 발라보기도 하고, 얼굴의 피지 제거하는 기름종이로 두피와 헤어를 닦아보기도 하고 앞머리만 화장실에서 감아보기도 하지만, 불편하고 원하는 수준의 해결 방안으로 선택되기 어렵다.
또한, 직장인들의 경우 특히 20대의 피지 분비가 많은 지성 모발에 해당하는 경우, 직장 화장실에서 파우더를 사용한다든지 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으나 파우더는 피지를 흡수해 줄 수는 있지만 헤어나 두피에서 완전히 떨어지지 않아서 결국은 재오염을 일으키게 되고, 일부 파우더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 옷에 떨어져서 비호감(非好感)을 야기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파우더를 이용하는 경우 두피를 건조하게 하여 가려울 때 손가락으로 긁게 된다. 그에 따라, 손의 병균이나 손톱의 자극으로 상처 등을 유발하여 간지러움이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손이 아닌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저분한 손가락을 이용해서 피지를 제거하는 유효 성분을 두피에 도포해 주는 것보다는 위생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헤와와 두피의 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린스 오프(Rinse-off)하지 않는 파우더 스프레이 제품이나 파우더 젤 타입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있어서 가장 큰 불만은 무엇보다 냄새와, 간지러움을 일으키는 피지가 두피나 헤어에 남게 되고 세정 성분도 남게 되어 오히려 더 불쾌감을 준다는 것이다.
또한, 장애인, 환자,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의 경우 헤어 세정 목적으로 물을 사용하지 않는 샴푸인 노린스 샴푸(No Rinse Shampoo)가 판매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샴푸보다 세정력이 떨어지면서도 물로 감은 것보다 건조시간도 많이 걸려서 타올로 꼼꼼히 닦아내야 함을 물론 세정 성분이 두피나 헤어 사이사이에 남는 것 때문에 부담스러워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한편, 샴푸와 같은 경우 휴대성에도 문제가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노린스 처방을 한 티슈 페이퍼와 같은 얇은 종이에 함침시킨 것도 있었지만 사용시 물리력이 약하여 찢어지기 쉬어 노린스 샴푸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일본공개특허 제2001-055319호인 '드라이 샴푸 시트'에서는 상기 노린스 샴푸 내용물을 함침시킨 부직포를 이용하여 닦아주는 제형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드라이 샴푸 시트는 닦으면서 부직포에 함유되어있던 액체가 빠져나옴에 의해 손에 세정 성분이 묻는 것에 대한 불편함과 제형에 들어있는 에탄올 등의 성분 때문에 손이 건조해 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한 상태의 오일 흡수지로 두피와 헤어에 점착된 피지를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상기 건조 상태의 오일 흡수지로 피지 제거시 과도한 가압에 의하여 두피에 자극을 줄 수 있는바, 습윤 상태를 유지케 함과 동시에 두피의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확하게 두피의 피지에 접근성이 좋은 손이 삽입되어 피지를 제거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지를 가압하는 장갑의 일 영역에 돌출된 패턴돌기를 구비하여 피지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Microporous PE(Polyethylene)),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Microporous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부직포, 카폭(Kapok) 부직포, 목화시트, 마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장갑 본체와; 두피 또는 헤어와 접촉되며, 상기 장갑 본체의 외주면 일 영역에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에는 피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수직으로 돌출된 패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갑 본체에는 세정액이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 돌기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 돌기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 돌기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패턴 돌기의 측면 또는 상단에는 상기 피지의 흡수시 가시적 성질이 변화하는 지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시부는 상기 세정액의 함침을 방지하는 불함침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갑 본체의 내주면에는 엠보싱 처리된 방수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은 두피 또는 헤어에 점착된 피지에 접근성이 좋은 장갑의 형태로 형성되어 두피의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패턴돌기를 구비하여 피지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한, 지시부를 포함하여 두피 또는 헤어에 점착된 피지가 흡수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의 가압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압부의 패턴돌기와 가압 반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의 가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가압부의 패턴돌기와 피지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번호(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손은 인간이 가장 정교하게 제어하여 사용하는 도구로서, 특히 손가락의 경우 물체를 잡고, 물체를 감지하며 물체에 최적의 힘을 가할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라 할 것이다. 따라서, 손 또는 손가락에 위치하는 신경세포와 피지 간의 상호교류를 통하여 손 또는 손가락은 피지에 대한 위치 감지 및 최적의 가압력을 가할 수 있는 도구이기 때문에 두피 또는 헤어의 피지에 대한 접근성이 좋다.
그리고, 장갑(gloves)은 손과 손가락의 보호 등을 위하여 손에 끼는 물건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은 손의 피지 감지력을 유지하며, 두피 또는 헤어에 점착된 피지 및 오염물 등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재질과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른 부위보다 피지 분비가 많은 것으로 알려진 정수리와 후두부의 두피의 피지를 제거해 준다면 가장 청량감을 많이 느낄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은 정확하게 두피 또는 헤어의 피지에 접근성이 좋은 손가락이 삽입되는 장갑으로써, 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장갑 형태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은 손가락 삽입 후 손가락이 삽입된 영역을 이용하여 빗처럼 헤어를 빗어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피지 세정용 장갑(1)의 사용에 따라 헤어 스타일이 흐트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은 장갑 본체(10)와 가압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압부(30)는 패턴돌기(31a, 3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갑 본체(10)는 재질에 따라 드라이 타입(Dry type)과 웨트 타입(We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드라이 타입의 경우 헤어 또는 두피의 피지를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해서 장갑 본체(10)는 피지 흡수력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오일 흡수 가능한 재질의 필름 또는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Microporous Polyethylene(이하, 'PE'라 함)),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Microporous Polypropylene(이하, 'PP'라 함)), 멜트-블론(Melt-blown) PP를 함유하는 부직포, 마종이, PP를 함유하는 부직포, 레이온 부직포, 목화 시트, 카폭(kapoc), 카폭(kapok)과 레이온으로 만들어진 부직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어나 두피의 피지를 장갑 본체(10)가 흡수하였는지 육안으로 식별이 필요할 때, 특히 피지의 흡수력이 뛰어나면서도 피지의 흡수시 가시적 성질이 변화하는 즉, 흡수 전 후에 색상이나 투명도가 달라지는 특징을 가진 재질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특징의 재질로는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등이 있다.
물론, 마종이 등의 재질도 피지 흡수 후 일부 투명도가 바뀌기 때문에 육안으로 피지 흡수 여부에 따른 식별이 가능하나, 피지 흡수 전후의 투명도 차이가 작기 때문에 육안으로 쉽게 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피지를 흡수하여 감지하는 목적으로는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웨트 타입(Wet type)의 장갑 본체(10)는 세정액이 함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웨트 타입의 장갑 본체(10)는 멜트-블론(Melt-blown) PP를 함유하는 부직포, 마종이, PP를 함유하는 부직포, 레이온 부직포, 목화 시트, 카폭(kapoc), 카폭(kapok)과 레이온으로 만들어진 부직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단독의 재질로 형성된 장갑 본체(10)는 비친수성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세정액의 함침이 어렵다. 따라서, 웨트 타입의 장갑 본체(10)는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단독의 재질로 형성하기보다는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를 함유하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웨트 타입의 장갑 본체(10)에 사용되는 세정액은 노린스 샴푸 제형에 들어가는 내용물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보다는 천연 소재의 비이온 계면 활성화제, 샴푸와 같은 세정제에 들어가는 계면활성제의 농도보다는 화장품의 화장수 제형과 같이 바르고 피부에 남아도 자극을 주지 않는 수준의 낮은 농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액은 피지 제거력을 높이고 청량감을 주기 위해 에탄올을 함유할 수 있으며, 피지를 빨리 흡수하여 뽀송뽀송하게 해주는 파우더를 함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상술된 드라이 타입의 장갑 본체(10)의 경우도 세정액을 스프레이 타입으로 원하는 부위에 뿌리고 웨트 타입처럼 사용할 수 있다.
가압부(30)는 장갑 본체(10)의 외주면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하여 두피 또는 헤어를 가압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0)는 장갑 본체(10)의 외주면 중 손가락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30)는 패턴돌기(31a, 3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압부(30)의 패턴돌기(31a)는 헤어 또는 두피에 점착된 피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수직으로 돌출되며,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 형상의 패턴돌기(31a)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0)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형상의 패턴돌기(31a)의 상단 또는 측면에는 피지의 흡수시 가시적 성질이 변화하는 지시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시부(50)는 상기 세정액에 의하여 성질이 변환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지의 흡수시 가시적 성질이 변화는 특징이 부각되도록, 세정액이 함침되지 않는 불함침성 재질로 형성될 있다.
따라서, 지시부(50)는 세정액의 함침시 피지를 제거하는 세정액의 장점을 유지하기 위하여 장갑 본체(10)의 일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즉, 피지의 흡수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재질의 경우 상술 된 바와 같이 세정액의 함침이 용이하지 않고 세정액의 함침이 용이한 재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없기 때문에 장갑 본체(10)의 일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시부(50)는 피지 분비량이 가장 많은 정수리 등과 가장 용이하게 접촉하는 영역, 즉 장갑 본체(10)에 있어서 손가락의 끝단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가압부(30) 중 일부 패턴돌기(31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 형상의 패턴돌기(31a)의 상단에 지시부(50)가 형성되면, 우선적으로 피지와의 접촉이 이루워지기 때문에, 피지가 흡수되는지 여부를 빠르게 육안으로 확인가능케 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테이퍼 형상의 패턴돌기(31a)는 측면에 형성된 지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형상의 패턴돌기(31a)의 측면,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영역에 지시부(50)가 형성되게 되면, 지시부(50)의 위치에 따라 측면에 형성된 지시부(50)가 상단에 형성된 지시부(50)에 비하여 피지 흡수가 이뤄지는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의 교체 시기를 인지시키는 척도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지시부(50)는 패턴돌기(31a)의 측면에 위치하여 피지의 흡수시까지 지연되는 타이머 기능을 갖게 된다. 그에 따라, 패턴돌기(31a)의 측면에 위치한 지시부(50)에 피지가 흡수되는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의 교체 시기를 인지시키는 척도로 이용된다.
그리고, 패턴돌기(31a, 31b)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의 두피 또는 헤어의 가압시 발생하는 가압 반력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의 패턴돌기(31a)에 전달된다. 그리고, 패턴돌기(31a)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측면의 원주방향의 부피가 증대하는 형태로 패턴돌기(31a)는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패턴돌기(31a)와 피지의 접촉면적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패턴돌기(31b)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 된 바와 같이 패턴돌기(31b)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그재그 패턴돌기(31b)는 산부(33)와 골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두피 또는 헤어를 가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의 진행방향에 따라, 지그재그 패턴의 패턴돌기(31b)의 골부(34)에는 자연스럽게 피지(2)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골부(34)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2)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에, 피지(2)의 흡수가 용이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의 피지 제거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상술 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패턴의 패턴돌기(31b)의 상단 또는 측면의 일부에 피지(2)의 흡수시 가시적 성질이 변화하는 지시부(5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술 된 바와 같이 패턴돌기(31b)의 지시부(50)는 패턴돌기(31a)의 지시부(50)와 동일한 배치 및 기능을 하기 때문에 패턴돌기(31b)의 지시부(5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장갑 본체(10)의 내주면에는 엠보싱 처리된 방수층(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수층(70)은 장갑 본체(10)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엠보싱 돌기(7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층(70)은 세정액이 함침된 장갑 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과 장갑 본체(10)에 함침된 세정액 간에 접촉되지 않게 방수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방수층(70)은 비닐(vinyl) 소재의 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층(70)은 방수 기능뿐만 아니라 쉽게 장갑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수층(70)은 엠보싱 처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엠보싱 처리는 요철형상과 같은 부각(浮刻) 처리 즉, 직물 표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오목 볼록한 모양을 형성하는 가공 처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을 장시간 착용에 의하여 손에 땀이 발생할 수 있는바, 엠보싱 처리는 땀 등에 의하여 상기 세정용 장갑(1)과의 결손력 저하에 따른 장갑 본체(10)의 밀림현상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1)은 상술 된 바와 같이 피지를 제거할 수도 있고, 또한 세정액에 따라 두피와 헤어에 점착된 오염물 등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 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2 : 피지 10 : 장갑 본체
30 : 가압부 31a, 31b : 패턴돌기
50 : 지시부 70 : 방수층
70 : 엠보싱 돌기

Claims (8)

  1.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Microporous PE(Polyethylene)),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Microporous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부직포, 카폭(Kapok) 부직포, 목화시트, 마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장갑 본체와;
    두피 또는 헤어와 접촉되며, 상기 장갑 본체의 외주면 일 영역에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에는 피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수직으로 돌출된 패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본체에는 세정액이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돌기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돌기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돌기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돌기의 측면 또는 상단에는 상기 피지의 흡수시 가시적 성질이 변화하는 지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상기 세정액의 함침을 방지하는 불함침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본체의 내주면에는 엠보싱 처리된 방수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KR1020140032138A 2014-03-19 2014-03-19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KR10211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138A KR102112055B1 (ko) 2014-03-19 2014-03-19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138A KR102112055B1 (ko) 2014-03-19 2014-03-19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04A true KR20150109104A (ko) 2015-10-01
KR102112055B1 KR102112055B1 (ko) 2020-05-18

Family

ID=5433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138A KR102112055B1 (ko) 2014-03-19 2014-03-19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352B1 (ko) 2022-11-03 2024-03-12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헤어미용 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127B1 (ko) 2022-04-01 2024-04-26 (주)스템코 위생장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026Y1 (ko) * 1988-11-30 1993-09-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이송장치
JPH10168622A (ja) * 1996-12-05 1998-06-23 Kao Corp 頭皮マッサージ用手袋
JP2010148732A (ja) * 2008-12-25 2010-07-08 Kao Corp 頭皮ケア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026Y1 (ko) * 1988-11-30 1993-09-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이송장치
JPH10168622A (ja) * 1996-12-05 1998-06-23 Kao Corp 頭皮マッサージ用手袋
JP2010148732A (ja) * 2008-12-25 2010-07-08 Kao Corp 頭皮ケア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352B1 (ko) 2022-11-03 2024-03-12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헤어미용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055B1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2554A (en) Disposable cosmetic glove
US4186445A (en) Disposable cosmetic glove
MXPA02003602A (es) Aplicador parcialmente cerrado para distribuir una susjtancia en una superficie objetivo.
KR101035140B1 (ko) 클렌징 패드
US10595612B2 (en) Glove for facial treatment
JP2004035545A (ja) 化粧品接着ストリップ
KR200433614Y1 (ko) 장갑 또는 양말 형상의 피부 미용 팩
KR102146674B1 (ko) 면도용 마스크
US20180093083A1 (en) Applicator tool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112055B1 (ko)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JPH10146216A (ja) 化粧用塗布具
JP2004168698A (ja) ドライシャンプーシートおよび使用方法ならびに使用装置
KR101855916B1 (ko) 사용이 편리한 마스크시트 화장품
KR20110003186U (ko) 1회용 헤어 마스크 팩
KR101104266B1 (ko) 클렌징용 디스크
JP5828490B2 (ja) シート状毛髪化粧品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処理方法
KR101391966B1 (ko) 반영구 화장에 사용되는 일회용 색소 용품
KR200438897Y1 (ko) 화장솜
US9907573B2 (en) Skin-care apparatus
CN112702935B (zh) 针对个人护理用具的皮肤护理附件
JP5937368B2 (ja) ボディマッサージキット
KR20180065568A (ko) 마스크 팩형 클렌징 시트
JP2003206217A (ja) 毛髪用シートブラシ
JPH10168622A (ja) 頭皮マッサージ用手袋
KR101848158B1 (ko) 피부 클렌징 및 마사지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