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672A -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672A
KR20150108672A KR1020140031779A KR20140031779A KR20150108672A KR 20150108672 A KR20150108672 A KR 20150108672A KR 1020140031779 A KR1020140031779 A KR 1020140031779A KR 20140031779 A KR20140031779 A KR 20140031779A KR 20150108672 A KR20150108672 A KR 2015010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e
sheet
pile
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8982B1 (ko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박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원 filed Critical 박정원
Priority to KR102014003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98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위가 높은 지반에 타입되어 있는 시트파일에 어스앵커 등을 시공하는 경우에 있어 케이블 통과홀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은, a) 상기 시트파일에 케이블 통과홀을 형성시키는, 케이블 통과홀 형성단계; b) 상기 케이블 통과홀 주변에 다수 개의 수나사를 용접하는, 수나사 용접단계; c) 상기 케이블 통과홀을 통해 시트파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d) 상기 케이블의 케이블 통과홀 전면 부분에 점착성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e) 상기 케이블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판을 시트파일에 부착하는, 탄성판 부착단계; f) 상기 케이블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철판을 탄성판 상면에 위치시킨 후 수나사에 너트를 조여 접합하는, 가압철판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Shutting off water method of hole on sheet pile}
본 발명은 어스앵커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시트파일에 케이블 통과홀을 형성시킬 시에 상기 케이블 통과홀을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위가 높은 지반에 타입되어 있는 시트파일에 어스앵커 등을 시공하는 경우에 있어 케이블 통과홀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구조물을 시공할 때에는 터파기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 작업을 하여야 한다. 흙막이 시설은 지하구조물이 구축되는 곳의 토질, 지반의 형태, 지하수위, 공사의 규모 및 주변환경 등에 의해 그 구체적인 구조가 결정되는데, 지하구조물이 지하수위가 높은 곳에 구축되는 경우에는 흙막이 시설이 토압 지지뿐만 아니라 차수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번호 10-1117924의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에는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복합형 강가시설의 시공방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복합형 강가시설의 시공은, ⅰ)제1, 2쉬트파일(210, 310)의 설치단계(도 1의 (a)); ⅱ)지주(200)의 설치단계(도 1의 (b)); ⅲ)충전재(S')의 충전 및 지지벽(220)의 형성단계(도 1의 (c)); ⅳ)배수 및 굴토단계(도 1의 (d), (e)); ⅴ)차수벽(270)의 설치단계(도 1의 (f));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시공된 강가시설은 차수에 유리한 판상의 쉬트파일(210, 310)이 단단한 지지층에 박히지 않더라도 지주(200)가 단단한 지지층에 박혀 쉬트파일을 지지해주기 때문에 구조적 성능 및 차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토사를 굴토하기 전에 쉬트파일 하단부 주변에 그라우팅을 하여 지지벽(220)을 형성시킴으로써 강가시설의 시공 중에도 작업공간 내로 지하수 등이 유입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강가시설의 토압지지력을 강화시켜주기 위하여 어스앵커 등을 설치하는 경우, 쉬트파일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 천공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천공홀을 통해 지하수 등이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어스앵커 등의 설치가 쉽지 않고 어스앵커 등을 설치하고 난 후에도 작업공간 내의 유입수 제거작업을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등록번호 10-1043966의 '쉬트파일 어스앵커용 지수팩 및 이를 이용한 지수방법'에서는 쉬트파일을 관통하여 어스앵커를 설치하는 경우에 쉬트파일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지하수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통공(1a) 주변으로 원통형의 슬리브(10)를 용접하고, 상기 슬리브 내에 패킹(21), 상기 패킹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전후방 가압판(22, 23), 가압볼트(24) 및 너트(25)로 이루어지는 지수팩본체(20)를 삽입한 후, 가압볼트를 조임으로써 전후방 가압판이 패킹을 눌러 패킹과 슬리브 내면 등이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통공을 통해 지하수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상기 지수팩본체는 슬리브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지수팩본체를 이루는 전후방 가압판 등을 정확한 규격으로 제작해주어야 시공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시공되는 앵커와이어(4)의 위치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 전후방 가압판을 슬래브 내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가압볼트를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패킹과 슬래브가 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수팩본체(20)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가압볼트를 체결하는 작업이 쉽지 않다. 또한, 패킹과 슬래브 내면의 밀착력에 의해 지수팩본체가 슬래브에 고정되는데 탄성재질의 패킹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는 경우, 지수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스앵커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오차를 흡수하며 용이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보강공법에 있어서, a) 상기 시트파일에 케이블 통과홀을 형성시키는, 케이블 통과홀 형성단계; b) 상기 케이블 통과홀 주변에 다수 개의 수나사를 용접하는, 수나사 용접단계; c) 상기 케이블 통과홀을 통해 시트파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d) 상기 케이블의 케이블 통과홀 전면 부분에 점착성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e) 상기 케이블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판을 시트파일에 부착하는, 탄성판 부착단계; f) 상기 케이블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철판을 탄성판 상면에 위치시킨 후 수나사에 너트를 조여 접합하는, 가압철판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보강공법에 있어서, a) 상기 시트파일에 케이블 통과홀을 형성시키는, 케이블 통과홀 형성단계; b) 상기 케이블 통과홀을 통해 시트파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c) 상기 케이블의 케이블 통과홀 전면 부분에 점착성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d) 상기 케이블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판을 시트파일에 부착하는, 탄성판 부착단계; e) 상기 케이블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판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는 가압철판을 탄성판 상면에 위치시킨 후 시트파일에 가압철판을 용접하는, 가압철판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케이블 통과홀을 통해 시트파일 외측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과정, 상기 천공홀 내에 케이블을 삽입하는 과정, 및 상기 천공홀 내에 그라우팅을 하여 구근을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흙막이 벽체는 시트파일의 외측으로 상기 시트파일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측 시트파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외측 시트파일에 케이블 통과홀을 형성시키는 과정, 상기 시트파일의 케이블 통과홀을 통해 시트파일과 외측 시트파일의 간격을 유지해주는 타이케이블로서의 케이블을 외측 시트파일의 외부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삽입하는 과정, 및 상기 외측 시트파일 외면에 케이블을 정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압철판이 탄성판과 맞닿는 면의 중앙홀 주변으로는 가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압철판은 중앙홀이 형성된 중앙부재와 상기 중앙부재의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주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부재의 테두리부는 주변부재와 겹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철판 접합단계는 탄성판을 덮도록 주변부재를 접합한 후 주변부재 상면에 중앙부재를 용접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은 흙막이 벽체에 어스앵커를 시공하거나 타이케이블을 설치할 때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유입된 지하수에 의해 본 공사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공법에 사용되는 부재들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가공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므로 현장 사정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 단계의 작업들도 간단명료하기 때문에 비숙련자라도 쉽게 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공법을 진행함에 있어 방수판의 역할을 하는 탄성판은 수나사에 너트를 조이는 것 또는 용접하는 것만으로 가압철판에 의해 강하게 가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더라도 가압철판이 탄성판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차수성이 어느 정도는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압철판에는 가압리브가 형성되어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부분 주변을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설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가압철판을 주변부재와 중앙부재로 나누어 형성시켜 겹침부분을 둠으로써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쉬트파일 어스앵커용 지수팩 및 이를 이용한 지수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적용될 수 있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의 제1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있어 케이블 설치단계의 세부적인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에 사용되는 가압철판에 가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에 사용되는 가압철판이 주변부재와 중앙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의 제2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가압철판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파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흙막이 벽체가 지하수위가 높은 곳에 시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 상기 시트파일(30)에 케이블 통과홀(H)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이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흙막이 벽체(3)의 토압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어스앵커(4)를 시공하면서 시트파일(30)에 인장재(C)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시키거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흙막이 벽체(3)의 차수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상기한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서와 같은 이중의 시트파일(30)을 사용하여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면서 상기 시트파일(30)들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타이케이블(C)을 설치하기 위해 시트파일(30)에 타이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시키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의 제1실시예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은,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시트파일(30)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시트파일(30)에 케이블 통과홀(H)을 형성시키는, 케이블 통과홀 형성단계; b) 상기 케이블 통과홀(H) 주변에 다수 개의 수나사(40)를 용접하는, 수나사 용접단계; c) 상기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시트파일(30)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C)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d) 상기 케이블(C)의 케이블 통과홀(H) 전면 부분에 점착성 방수재(50)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e)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6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40)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60b)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판(60)을 시트파일(30)에 부착하는, 탄성판 부착단계; f)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7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40)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70b)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철판(70)을 탄성판(60) 상면에 위치시킨 후 수나사(40)에 너트(80)를 조여 접합하는, 가압철판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은 흙막이 벽체를 이루는 시트파일(30)의 내측면, 즉 흙막이 벽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과 접하는 면 상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본 공법의 적용 전에 시트파일(30)이 타입되고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굴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a) 상기 시트파일(30)에 케이블 통과홀(H)을 형성시키는, 케이블 통과홀 형성단계;
흙막이 벽체 내측의 작업 공간에서 흙막이 벽체의 외측으로 어스앵커 또는 타이케이블을 이루는 케이블(C)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시트파일(30)에 케이블 통과홀(H)을 가공한다.
상기 케이블 통과홀(H)은 케이블 통과홀(H)을 통과하게 되는 케이블(C)의 수, 흙막이 벽체 외측 지반의 천공작업 등을 고려하여 그 크기를 결정한다.
b) 상기 케이블 통과홀(H) 주변에 다수 개의 수나사(40)를 용접하는, 수나사 용접단계;
후속 단계들에서 탄성판(60)과 가압철판(70)이 시트파일(30)에 접합될 수 있도록 시트파일(30)의 케이블 통과홀(H) 주변에 수나사(40)를 용접한다.
도 5의 (b)에는 4개의 수나사(40)가 사각형의 꼭짓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탄성판(60) 및 가압철판(70)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가압철판(70)이 탄성판(60)을 충분히 눌러줄 수 있다면 배치되는 형태 및 개수는 달라져도 무방하다.
c) 상기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시트파일(30)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C)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흙막이 벽체의 외측으로 케이블(C)을 삽입하고 삽입된 부분의 반대측 단부는 케이블(C)의 정착 등을 고려한 길이만큼 흙막이 벽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설치되는 케이블(C)의 수는, 상기 케이블(C)이 어스앵커를 위한 것인지 타이케이블을 위한 것인지, 및 케이블(C)이 지지해주어야 할 하중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C)이 어스앵커를 위한 것인지, 타이케이블을 위한 것이지에 따라 본 단계의 세부적 공정은 달라지는데, 도 6 및 도 7에는 본 단계의 세부적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어스앵커의 시공에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 본 케이블 설치단계의 세부적 공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의 세부적 공정은, ⅰ) 상기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시트파일(30) 외측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D)을 형성시키는 과정, ⅱ) 상기 천공홀(D) 내에 케이블(C)을 삽입하는 과정, ⅲ) 상기 천공홀(D) 내에 그라우팅을 하여 구근(R)을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들을 통해 케이블(C)은 흙막이 벽체 외측의 지반 내에 단단히 정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완료된 후, 케이블(C)을 인장하고 흙막에 벽체 내측에 정착시킴으로써 흙막이 벽체의 토압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타이케이블의 시공에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 본 케이블 설치단계의 세부적 공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타이케이블은 상기했던 바와 같이 이중으로 배치되는 시트파일(30)들이 그 사이에 채워진 토사, 지하수 등의 하중 및 작업하중에 의해 벌어지지 않고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인데, 흙막이 벽체 외측에 위치한 시트파일은 '외측 시트파일(30')'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세부적 공정은, ⅰ) 상기 외측 시트파일(30')에 케이블 통과홀(H')을 형성시키는 과정, ⅱ) 상기 시트파일(30)의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시트파일(30)과 외측 시트파일(30')의 간격을 유지해주는 타이케이블로서의 케이블(C)을 외측 시트파일(30')의 외부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삽입하는 과정, ⅲ) 상기 외측 시트파일(30') 외면에 케이블(C)을 정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들을 통해 케이블(C)은 외측 시트파일(30') 측 단부가 정착되며,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이 완료된 후에는 타단부가 시트파일(30), 즉 흙막이 벽체의 내측에 정착되어 시트파일들(30, 3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해준다.
도 7의 (b)에서와 같이 보통 타이케이블로서의 케이블(C)은 케이블 통과홀(H) 하나 당 하나가 설치된다.
d) 상기 케이블(C)의 케이블 통과홀(H) 전면 부분에 점착성 방수재(50)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케이블(C)의 길이 상에서 케이블 통과홀(H)의 바로 전 위치, 즉 후속의 e)단계에서 탄성판(60)을 시트파일(30)에 부착하였을 때 탄성판(60)을 통과하게 되는 위치에 점착성 방수재(50)를 도포한다.
상기 점착성 방수재(50)는 탄성판(60)과 함께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지하수 등에 대하여 시트파일(30)이 밀실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점착성 방수재(50)로는 실리콘, 에폭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e)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6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40)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60b)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판(60)을 시트파일(30)에 부착하는, 탄성판 부착단계;
상기 시트파일(30)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홀(H)을 덮을 수 있는 탄성판(60)을 시트파일(30)에 부착하여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판(60)에는 수나사(40)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60b)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판(60)의 위치가 고정되고,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케이블(C)의 개수 별로 중앙홀(60a)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C)과 간섭하지 않고 탄성판(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홀(60a)은 케이블(C)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차수의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나, 중앙홀(60a)의 직경을 정확하게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케이블(C)의 직경과 중앙홀(60a)의 직경이 같은 경우 탄성판(60)을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중앙홀(60a)은 케이블(C)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중앙홀(60a)의 내측면과 케이블(C)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는 상기 d)단계에서 케이블(C)에 도포된 점착성 방수재(50)가 들어가 상기 틈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본 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 도포한 점착성 방수재(50)가 경화되기 전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탄성판(60)은 고무 등의 탄성적인 재료로 형성되어 후속 단계에서 설치되는 가압철판(70)에 의해 눌림으로써 시트파일(30)과 밀착된다.
f)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7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40)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70b)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철판(70)을 탄성판(60) 상면에 위치시킨 후 수나사(40)에 너트(80)를 조여 접합하는, 가압철판 접합단계;
가압철판(70)으로 탄성판(60)을 가압하여 탄성판(60)이 시트파일(30)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철판(70)에는 탄성판(60)에서와 같이 수나사(40)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70b)이 형성되어 있어 가압철판(70)의 접합이 가능하고,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70a)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C)과 간섭하지 않고 가압철판(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판(60)은 위와 같이 가압철판(70)에 의해서 시트파일(30)과 밀착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탄성판(60)이 열화되더라도 가압철판(70)의 가압력은 유지될 수 있어 탄성판(60)의 차수성이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 가압철판(70)이 탄성판(60)과 맞닿는 면의 중앙홀(70a) 주변으로는 가압리브(7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가압철판(70)에 가압리브(7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압리브(71)는 가압철판(70)의 면 상에서 돌출되어 지하수 등이 유입될 수 있는 탄성판(60)의 중앙홀(60a) 주변부를 강하게 가압하여 시트파일(30)과 탄성판(60)의 각 면 사이 틈으로 지하수 등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가압리브(71)는 가압철판(70)의 중앙홀(70a) 주변뿐만 아니라 가압철판(70)의 테두리부에도 형성됨으로써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철판(70)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철판(70)은 중앙홀(70a)이 형성된 중앙부재(70C)와 상기 중앙부재의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주변부재(70D)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부재(70C)의 테두리부는 주변부재(70D)와 겹치도록 형성되고, 가압철판 접합단계는 탄성판(60)을 덮도록 주변부재(70D)를 접합한 후 주변부재(70D) 상면에 중앙부재(70C)를 용접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는 상기 가압철판(70)이 중앙부재(70C)와 주변부재(70D)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C)은 현장에서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설치되는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는데, 가압철판(70)은 탄성판(60)과는 달리 경질이기 때문에 케이블(C)이 정확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는 가압철판(70)의 중앙홀(70a)에 케이블(C)이 삽입되도록 가압철판(70)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가압철판(70)이 중앙부재(70C)와 주변부재(70D)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주변부재(70D)를 먼저 설치하고 중앙부재(70C)를 케이블(C) 위치에 맞추어 주변부재(70D)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케이블(C)의 설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앙부재(70C)가 주변부재(70D) 중앙에 형성된 개구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짐으로써 중앙부재(70C) 테두리 부분은 주변부재(70D)와 겹치게 되는데, 이렇게 겹치는 부분은 중앙부재(70C)와 주변부재(70D)의 중심이 꼭 맞지 않더라도 중앙부재(70C)가 주변부재(70D)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어 밀실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의 제2실시예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통과홀 차수보강공법은,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시트파일(30)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보강공법에 있어서, a) 상기 시트파일(30)에 케이블 통과홀(H)을 형성시키는, 케이블 통과홀 형성단계; b) 상기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시트파일(30)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C)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c) 상기 케이블(C)의 케이블 통과홀(H) 전면 부분에 점착성 방수재(50)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d)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60a)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판(60)을 시트파일(30)에 부착하는, 탄성판 부착단계; e)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7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판(60)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는 가압철판(70)을 탄성판(60) 상면에 위치시킨 후 시트파일(30)에 가압철판(70)을 용접하는, 가압철판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서 가압철판(70)을 나사를 통하여 접합하였다면, 제2실시예에서는 용접을 통하여 접합한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서는 수나사 용접단계가 생략되며 탄성판(60) 및 가압철판(70)에 수나사 통과홀(60b, 70b)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탄성판(60)을 사이에 두고 시트파일(30)과 가압철판(70)을 용접할 수 있도록 가압철판(70)을 탄성판(60) 보다 더 크게 형성시킨다. 가압철판(70)이 탄성판(60)과 접하게 되는 면에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판(60)의 면적 및 두께와 일치하는 삽입홈(70c)을 형성하여 탄성판(60)의 두께가 큰 경우에도 가압철판(70)과 시트파일(30)이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압철판(70)의 용접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공법에 사용되는 부재들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가공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므로 현장 사정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 단계의 작업들도 간단명료하기 때문에 비숙련자라도 쉽게 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0 : 시트파일 30' : 외측 시트파일
40 : 수나사 50 : 점착성 방수재
60 : 탄성판 60a, 70a : 중앙홀
60b, 70b : 수나사 통과홀 70 : 가압철판
70C : 중앙부재 70D : 주변부재
80 : 너트
C : 케이블 D : 천공홀
H, H' : 케이블 통과홀 R : 구근

Claims (6)

  1.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시트파일(30)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보강공법에 있어서,
    a) 상기 시트파일(30)에 케이블 통과홀(H)을 형성시키는, 케이블 통과홀 형성단계;
    b) 상기 케이블 통과홀(H) 주변에 다수 개의 수나사(40)를 용접하는, 수나사 용접단계;
    c) 상기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시트파일(30)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C)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d) 상기 케이블(C)의 케이블 통과홀(H) 전면 부분에 점착성 방수재(50)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e)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6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40)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60b)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판(60)을 시트파일(30)에 부착하는, 탄성판 부착단계;
    f)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7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40)와 일치하는 위치에 수나사 통과홀(70b)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철판(70)을 탄성판(60) 상면에 위치시킨 후 수나사(40)에 너트(80)를 조여 접합하는, 가압철판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2.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시트파일(30)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보강공법에 있어서,
    a) 상기 시트파일(30)에 케이블 통과홀(H)을 형성시키는, 케이블 통과홀 형성단계;
    b) 상기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시트파일(30)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C)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c) 상기 케이블(C)의 케이블 통과홀(H) 전면 부분에 점착성 방수재(50)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d)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60a)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판(60)을 시트파일(30)에 부착하는, 탄성판 부착단계;
    e) 상기 케이블(C)과 일치하는 위치에 중앙홀(7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판(60)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는 가압철판(70)을 탄성판(60) 상면에 위치시킨 후 시트파일(30)에 가압철판(70)을 용접하는, 가압철판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시트파일(30) 외측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D)을 형성시키는 과정, 상기 천공홀(D) 내에 케이블(C)을 삽입하는 과정, 및 상기 천공홀(D) 내에 그라우팅을 하여 구근(R)을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 벽체는 시트파일(30)의 외측으로 상기 시트파일(30)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측 시트파일(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외측 시트파일(30')에 케이블 통과홀(H)을 형성시키는 과정, 상기 시트파일(30)의 케이블 통과홀(H)을 통해 시트파일(30)과 외측 시트파일(30')의 간격을 유지해주는 타이케이블로서의 케이블(C)을 외측 시트파일(30')의 외부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삽입하는 과정, 및 상기 외측 시트파일(30') 외면에 케이블(C)을 정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철판(70)이 탄성판(60)과 맞닿는 면의 중앙홀(70a) 주변으로는 가압리브(7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철판(70)은 중앙홀(70a)이 형성된 중앙부재(70C)와 상기 중앙부재의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주변부재(70D)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부재(70C)의 테두리부는 주변부재(70D)와 겹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철판 접합단계는 탄성판(60)을 덮도록 주변부재(70D)를 접합한 후 주변부재(70D) 상면에 중앙부재(70C)를 용접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KR1020140031779A 2014-03-18 2014-03-18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KR101568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79A KR101568982B1 (ko) 2014-03-18 2014-03-18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79A KR101568982B1 (ko) 2014-03-18 2014-03-18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72A true KR20150108672A (ko) 2015-09-30
KR101568982B1 KR101568982B1 (ko) 2015-11-13

Family

ID=5424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779A KR101568982B1 (ko) 2014-03-18 2014-03-18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581A (zh) * 2016-05-27 2016-09-07 福建工程学院 预应力锚杆波形板桩支挡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6332B2 (ja) * 1999-12-17 2002-10-21 建設基礎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グラウンドアンカー
KR100797185B1 (ko) * 2007-07-23 2008-01-23 대한주택공사 옹벽용 또는 흙막이용 토류벽 조성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581A (zh) * 2016-05-27 2016-09-07 福建工程学院 预应力锚杆波形板桩支挡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982B1 (ko) 2015-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61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below-grade wall structures
KR20180060852A (ko) 협소한 테두리 여유공간을 갖는 지하 구조물의 흙막이벽 구축공법
JP4479575B2 (ja) 防水材の密性検査方法
KR102176930B1 (ko) 하향식 세그먼트 수직구 구조물 정밀 시공방법
KR101494132B1 (ko) 엄지말뚝 상단 지지방식 자립식 흙막이 시설물
JP5026154B2 (ja) グラウトホールの水密試験構造、および水密試験方法
KR101879277B1 (ko) 지하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1568982B1 (ko)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KR101469603B1 (ko) 다목적 결속관을 구비한 루프용 강관의 구조 및 이를 적용하여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JP4179619B2 (ja) 地下埋設管の更生管及び更生方法
JP4567564B2 (ja) 暗渠の耐水圧可撓継手
JP4823082B2 (ja) 更生パネル、それを用いた更生方法、および更生された構造物
JP4944691B2 (ja) 仮締切止工の止水構造および止水方法
JP5139377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構造
JP2005307583A (ja) 杭と鞘管間のグラウト流出防止用シール部材
KR101988185B1 (ko) 지오텍스타일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 타설 콘크리이트 말뚝 및 그 제조방법
JPH04306398A (ja) コンクリート壁面の補修方法
KR100659997B1 (ko) 에이치빔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및 그 에이치빔 구조체
JP7243305B2 (ja) 鋼管矢板継手部の止水構造
JP2013002133A (ja) 内面管の支保工装置及び支保工装置の取付方法
JP384566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内面ライニング構造及び内面ライニング工法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JP4079749B2 (ja) 既設マンホールの改修施工法
JP2021139178A (ja) 端部セグメント
JP2001227296A (ja) 既設トンネル覆工内面の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