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295A - 두유 및 두부 제조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두유 및 두부 제조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295A
KR20150107295A KR1020140029974A KR20140029974A KR20150107295A KR 20150107295 A KR20150107295 A KR 20150107295A KR 1020140029974 A KR1020140029974 A KR 1020140029974A KR 20140029974 A KR20140029974 A KR 20140029974A KR 20150107295 A KR20150107295 A KR 2015010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unit
drum
duct
main body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명균
Original Assignee
(주)삼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삼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29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295A/ko
Publication of KR2015010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helical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not covered by groups F26B9/00 - F26B17/00
    • F26B19/005Self-contained mobile devices, e.g. for agricultural produ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8Granu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류의 탈피가 용이하면서도 알맹이의 건조상태를 최적화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두류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일정 면적의 챔버(32)가 형성되고, 상부에 두류로 된 피건조물이 투입되도록 투입덕트(39)가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에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덕트(41)가 연결된 본체(31)와; 상기 챔버(32)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투입덕트(39)에 의해 공급되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도록 된 원통형의 망체(43,44)와, 이 망체(43,44)에 내장되어 피건조물을 진행시키도록 된 스크류날개(45,46)와, 상기 망체(43,44)와 스크류날개(45,46)를 일체로 회전시키도록 결합된 회전축(47,48)으로 이루어진 드럼유닛(33,34)과; 상기 본체(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유닛(33,34) 측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피조건물을 건조시키도록 된 열풍공급수단(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유닛(33,34)은 상기 챔버(32)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 사이에는 상기 제1 드럼유닛(33)으로부터 배출되는 피건조물을 상기 제2 드럼유닛(34)으로 투입하도록 된 연결덕트(55)가 구비된 두류건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두류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a bean type}
본 발명은 두류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류의 탈피가 용이하면서도 알맹이의 건조상태를 최적화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두류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두(콩)와 같은 두류는 세척과 탈피 및 알갱이의 분쇄 등의 제조공정을 거쳐 두유나 두부 등의 가공식품으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두류의 가공장치 중에서 종래의 건조장치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례에 따른 두류건조장치(10)는 챔버가 형성되는 하우징(11) 내에 대두를 이송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컨베이어(12)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12)의 하부측에서 열풍을 공급하도록 히터(14)와 송풍팬(15) 및 덕트(16)를 포함하는 열풍공급수단(13)이 연결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11)에는 대두와 같은 피건조물을 상기 컨베이어(12) 상으로 공급하도록 된 투입구(17)와 피건조물이 배출되도록 된 배출구(18)가 양단부 측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열풍공급수단(13)에 의한 열기를 배출하도록 된 배출덕트(19)가 결합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두류건조장치(10)는 상기 컨베이어(12) 상에 피건조물이 놓인 상태로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열풍공급수단(13)에 의한 열풍으로 건조가 이루어진 것이나, 피건조물이 컨베이어(12) 상에 균일하게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기보다는 일정 두께로 적층된 상태로 이송됨에 따라 상하의 피건조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예에 따른 두류건조장치(20)는 하우징(21) 상에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연장된 통로(22)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21)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투입구(23)와 배출구(24)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23)를 통해 상기 통로(22) 상에 피건조물을 투입하여 하부의 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1)의 하부 측방과 상부 측방에는 상기 통로(22) 상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된 열풍공급수단에 연결된 열풍덕트(25)와 상기 열풍공급수단에 의한 열기를 배출하도록 된 배출덕트(26)가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두류건조장치(20)에 의하면, 상기 투입구(23)에서 투입되는 피건조물은 상기 통로(22)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과정에서 상기 열풍공급수단에 의한 열풍에 의해 건조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상기 통로(22)의 연장길이에 따라 열풍에 접촉되는 시간을 달리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통로(22)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통로(22)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제10-2013-0123025호) 2013. 11. 1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컴팩트한 크기로 제작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성에 의해서도 건조경로를 충분하게 연장 형성하여 건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구성에 따른 충분한 건조공정에 의해 두류의 탈피가 용이하면서도 알맹이의 건조상태를 최적화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두류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일정 면적의 챔버(32)가 형성되고, 상부에 두류로 된 피건조물이 투입되도록 투입덕트(39)가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에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덕트(41)가 연결된 본체(31)와;
상기 챔버(32)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투입덕트(39)에 의해 공급되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도록 된 원통형의 망체(43,44)와, 이 망체(43,44)에 내장되어 피건조물을 진행시키도록 된 스크류날개(45,46)와, 상기 망체(43,44)와 스크류날개(45,46)를 일체로 회전시키도록 결합된 회전축(47,48)으로 이루어진 드럼유닛(33,34)과;
상기 본체(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유닛(33,34) 측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피조건물을 건조시키도록 된 열풍공급수단(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유닛(33,34)은 상기 챔버(32)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 사이에는 상기 제1 드럼유닛(33)으로부터 배출되는 피건조물을 상기 제2 드럼유닛(34)으로 투입하도록 된 연결덕트(5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드럼유닛(33,34)에는 상기 망체(43,44)의 내주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회전시에 피건조물을 교반시키도록 된 돌출바아(5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망체(43,44)에는 단부에 상기 투입덕트(39)나 연결덕트(55)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 또는 링형상의 개구부(58)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58)에 대해 일정 간격(L)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47,48)에 결합되는 내부브라켓(5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31)의 내부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 사이에는 피건조물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덕트(55)가 구비됨으로써, 단일의 본체(31) 내에 다수의 드럼유닛(33,34)이 상하로 배치되는 컴팩트한 구성에 의해 피건조물이 상기 각 드럼유닛(33,34)을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유닛(33,34)의 하부에 위치되는 열풍공급수단(35)에 의한 열기에 노출(접촉)되는 시간이 연장됨으로 인해 충분한 건조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구동되는 드럼유닛(33,34)에 의해 피건조물을 건조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드럼유닛(33,34)의 회전속도의 조절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의해 피건조물의 진행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건조정도나 상태(예를 들면, 피건조물의 껍질은 완전하게 건조하여 탈피가 용이하면서도 알맹이는 적당하게 반조건되는 것)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럼유닛(33,34)에는 망체(43,44)의 내주면에 돌출바아(56)가 일정 높이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드럼유닛(33,34)의 회전시에 피건조물이 상기 돌출바아(56)에 걸림으로 인해 망체(43,44) 내에서 피건조물의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져 피건조물의 건조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망체(43,44)의 내부에서 스크류날개(45,46)에 연결되는 내부브라켓(50)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망체(43,44)의 단부에 개구부(58)를 형성하여 투입덕트(39)나 연결덕트(55)를 직접적으로 삽입함으로 인해 구성간의 간섭없이 피건조물의 공급 또는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상의 편리함 및 작업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두류건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다른예에 따른 두류건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류건조장치(30)는 내부에 일정 면적의 챔버(32)가 형성되는 본체(31)가 구비되고, 이 본체(31)에는 대두(콩)와 같은 두류(피건조물)를 수용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드럼유닛(33,34)이 내장되며, 상기 드럼유닛(33,34)의 하부에는 상기 드럼유닛(33,34) 상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공급수단(35)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에는 상단 일측에 피건조물을 공급하기 위한 투입수단(36)이 결합되고, 하단 일측에 피건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37)이 결합되는데, 상기 투입수단(36)은 피건조물은 투입하도록 된 호퍼(38)와 이 호퍼(38)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유닛(33,34) 중의 하나로 연장되는 투입덕트(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호퍼(38)의 하단에는 피건조물의 투입량을 조절 또는 공급하기 위해 상기 투입덕트(39)의 통로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기구(4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37)은 상기 드럼유닛(33,34)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배출덕트(41)와, 이 배출덕트(41)의 통로를 개폐하도록 결합된 개폐기구(42)를 포함하는데, 상기 배출덕트(41)는 상기 본체(3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되어 피건조물의 배출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유닛(33,34)은 상기 챔버(32)에 내장되어 회전 구동에 의해 피건조물을 건조 및 이송시키도록 된 구성으로, 피건조물을 수용하도록 된 원통형의 망체(43,44)가 상기 본체(31)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이 망체(43,44)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나선형이 스크류날개(45,46)와 일정 길이로 연장된 회전축(47,48)이 내장된 것이다.
이러한 드럼유닛(33,34)은 상기 챔버(32)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각 드럼유닛(33,34)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결합되거나 각각 별도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망체(43,44)와 스크류날개(45,46)는 상호 결합되거나 상기 회전축(47,48)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31)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49)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스크류날개(45,46)는 상기 망체(43,44)의 내주면 또는 상기 회전축(47,48)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망체(43,44)와 회전축(47,48)은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는데, 도시된 일례에서는 상기 망체(43,44)의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날개(45,46)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망체(43,44)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47,48)에 결합되는 내부브라켓(5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에는 상기 드럼유닛(33,3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열풍공급수단(35)이 연결되는데, 상기 열풍공급수단(35)은 상기 본체(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32)에 연통되도록 연장되는 열풍덕트(51)와 이 열풍덕트(51)에 연결되어 열풍을 생성 및 송풍하도록 된 히터(52)와 송풍팬(5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31)에는 상부측에 상기 챔버(32)로부터 건조에 사용된 열풍을 배기시키도록 된 환기덕트(54)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투입수단(36)에 의해 상기 제1 드럼유닛(33)의 망체(43)로 투입되는 피건조물은 상기 망체(43) 내에 구비된 스크류날개(45)에 의해 전진되는데,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1) 상에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이 구비됨에 따라 피건조물이 연속적으로 상기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을 진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열풍공급수단(35)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피건조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투입수단(36)은 본체(31)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제1 드럼유닛(33)의 망체(43) 일단에서 피건조물을 투입하도록 위치되고, 투입된 피건조물이 스크류날개(45)에 의해 망체(43)의 타단으로 이송되며, 상기 제1 드럼유닛(33)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 드럼유닛(34)의 망체(44)에는 상기 제1 드럼유닛(33)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피건조물이 이송되도록 스크류날개(46)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 사이에는 상기 투입수단(36)에 대향된 위치에 연결덕트(55)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드럼유닛(33)의 피건조물을 제2 드럼유닛(34)으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다수의 드럼유닛(33,34)이 구비됨에 따라 피건조물의 이송경로를 연장하여 상기 열풍공급수단(35)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에 노출(접촉)되는 시간을 연장하여 건조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일의 본체(31) 내에 상하로 수평배치되는 드럼유닛(33,34)에 의해 피건조물의 이송경로를 연장 형성함으로 인해 컴팩트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수단(35)은 본체(31)의 하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열풍을 공급함에 따라 상기 본체(31)의 하부측에 위치된 제2 드럼유닛(34)에는 열풍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드럼유닛(34)의 상부에 위치된 제1 드럼유닛(33) 측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열풍이 전달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건조물은 상기 제1 드럼유닛(33)에 의해 1차적으로 예열 또는 예비건조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드럼유닛(34)에 의해 본건조가 이루어짐에 따라 빠른 시간 내에 건조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전 구동되는 상기 각 드럼유닛(33,34)에 의해 피건조물을 건조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9)에 의해 드럼유닛(33,34)의 회전속도의 조절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고, 그에 따라 피건조물의 진행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건조정도나 상태(예를 들면, 피건조물의 껍질은 완전하게 건조하여 탈피가 용이하면서도 알맹이는 적당하게 반조건되는 것)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각 드럼유닛(33,34)에는 피건조물의 교반을 용이하게 행하거나 회전구동에 따른 구성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도 5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상기 각 드럼유닛(33,34) 중에 제2 드럼유닛(34)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 드럼유닛(34)의 망체(46)에는 내주면에 다수의 돌출바아(56)가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돌출바아(56)는 상기 망체(4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망체(46)의 회전시에 피건조물이 걸림으로 인해 피건조물의 교반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균일한 건조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망체(46)에는 일단에 일정 직경의 개구부(58)가 형성된 측판(57)이 결합되는데, 상기 개구부(58)를 통해서는 상기 회전축(48)이 외부로 연장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덕트(55)의 일부가 망체(4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회전시에 구성간의 간섭이 없이 피건조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망체(44)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58)로부터 일정 간격(L)으로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망체(44)와 회전축(48)을 상호 결합하는 내부브라켓(50)이 연결되는데, 이 내부브라켓(50)은 상기 망체(44)와 회전축(48)를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회전시에 상기 망체(44)의 내부로 일부 삽입된 연결덕트(55)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 드럼유닛(33)의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상기 투입덕트(39)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드럼유닛(34)의 망체(44)는 상기 배출덕트(41)에 대응된 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어 피건조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일정 면적의 챔버(32)가 형성되고, 상부에 두류로 된 피건조물이 투입되도록 투입덕트(39)가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에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덕트(41)가 연결된 본체(31)와;
    상기 챔버(32)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투입덕트(39)에 의해 공급되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도록 된 원통형의 망체(43,44)와, 이 망체(43,44)에 내장되어 피건조물을 진행시키도록 된 스크류날개(45,46)와, 상기 망체(43,44)와 스크류날개(45,46)를 일체로 회전시키도록 결합된 회전축(47,48)으로 이루어진 드럼유닛(33,34)과;
    상기 본체(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유닛(33,34) 측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피조건물을 건조시키도록 된 열풍공급수단(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유닛(33,34)은 상기 챔버(32)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드럼유닛(33)과 제2 드럼유닛(34) 사이에는 상기 제1 드럼유닛(33)으로부터 배출되는 피건조물을 상기 제2 드럼유닛(34)으로 투입하도록 된 연결덕트(5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유닛(33,34)에는 상기 망체(43,44)의 내주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회전시에 피건조물을 교반시키도록 된 돌출바아(5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건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43,44)에는 단부에 상기 투입덕트(39)나 연결덕트(55)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 또는 링형상의 개구부(58)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58)에 대해 일정 간격(L)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47,48)에 결합되는 내부브라켓(5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건조장치.
KR1020140029974A 2014-03-14 2014-03-14 두유 및 두부 제조용 건조장치 KR20150107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974A KR20150107295A (ko) 2014-03-14 2014-03-14 두유 및 두부 제조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974A KR20150107295A (ko) 2014-03-14 2014-03-14 두유 및 두부 제조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295A true KR20150107295A (ko) 2015-09-23

Family

ID=5424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974A KR20150107295A (ko) 2014-03-14 2014-03-14 두유 및 두부 제조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2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954B2 (en) Equipment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edible seeds in general
WO2008132580A1 (en) Dryer for granular material
KR101216146B1 (ko) 급속수분배출수단이 구비된 사료건조장치
CN209726737U (zh) 一种用于大米生产的烘干机
CN201269687Y (zh) 小麦、稻谷烘干机
JP2016152774A (ja) 茶葉熱風処理装置
KR20100123102A (ko) 2단식 전열 볶음장치
CN208653121U (zh) 一种滚筒式干燥装置
JP4668035B2 (ja) 製茶揉乾ライン並びにその運転制御方法
JP7191315B2 (ja) 茶葉の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JP3841731B2 (ja) 殺青装置
EP1245919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drying unpackaged food products, in particular vegetables
KR20130021744A (ko)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KR20150107295A (ko) 두유 및 두부 제조용 건조장치
KR101347938B1 (ko) 고춧가루 및 곡물 건조 장치
CN108458582A (zh) 快速高效的谷类烘干装置
CN107677107A (zh) 一种用于樱花树种子的连续烘干装置
KR200492686Y1 (ko) 곡물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곡물 건조기
US59920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grain
JP2016191487A (ja) 乾燥機
JP4372036B2 (ja) 米粒群用乾燥装置
CN211233829U (zh) 一种大米烘干装置
KR101946605B1 (ko) 곡물 건조 및 냉각장치
CN108020052A (zh) 一种粮食烘干水含量在线检测装置
CN107079944A (zh) 豆干油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