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602A - 유리 프리트 및 이를 이용한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유리 프리트 및 이를 이용한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602A
KR20150106602A KR1020140028854A KR20140028854A KR20150106602A KR 20150106602 A KR20150106602 A KR 20150106602A KR 1020140028854 A KR1020140028854 A KR 1020140028854A KR 20140028854 A KR20140028854 A KR 20140028854A KR 20150106602 A KR20150106602 A KR 2015010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glass
glass frit
alkali metal
bo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731B1 (ko
Inventor
김성훈
김원진
이인재
이인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7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4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5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nc, tin, or bismuth oxides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e.g. zincates, stannates or bismuth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결하여 유리 프리트(glass frit)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 조성물은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alkali earth metal)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 프리트 및 이를 이용한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 {GLASS FRIT SINTERED COMPOUND AND INORGANIC PHOSPHOR PLATE US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형광체 플레이트 및 이를 구성하는 유리 프리트에 관한 것이다.
백색 LED는 고효율, 고신뢰성의 백색 조명광원으로서 주목 받아 일부가 미소 전력 소형 광원으로서 이미 사용에 제공되고 있다. 백색 LED를 구현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청색 LED 소자를 황색 형광체와 함께 수지를 매트릭스로 하여 몰딩한 것이다. 그러나 청색광은 에너지가 강하기 때문에 수지를 열화 시키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백색 LED는 장기간 사용 시, 수지가 변색되기 때문에 발광되는 색조가 변화한다. 또한 수지로 몰딩되어 있어 소자로부터의 열발산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기 쉽다. 이러한 온도로 인하여 발광색이 황색 쪽으로 시프트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라믹 소결체를 형광체의 매트릭스 물질로 사용한 형광체 플레이트를 적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세라믹 소결체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수지 매트릭스 대비 투과율(30 ~ 40%)이 저하된다. 세라믹 소결체의 낮은 투과율로 인해 청색 LED 광원이 다량 입사되지 못하여 형광체를 충분히 여기 시키지 못한다. 또한 청색 광원이 형광체 플레이트(광파장 변환부)에 충분히 입사되지 못하기 때문에 원하는 색좌표의 빛을 발광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형광체의 농도가 낮아짐으로 광속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으로, 상기 유리 조성물을 유리화하고 분쇄하여 형성되는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프리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으로, 상기 유리 프리트 및 산화물계 무기 형광체를 포함하는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을 구현하고, 형광체 플레이트 소결체의 투과율 및 백색도 최적점을 도출하여 기존의 수지 타입과 동등 수준 이상의 광속을 확보할 수 있고, 신뢰성 평가 시 열화가 발생하지 않아 광효율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소결하여 유리 프리트(glass frit)를 제조하기 위한 유리 조성물은,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 프리트는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에서, 무기 형광체가 분산되는 매트릭스로서, 상기 무기 형광체를 패시베이션(passivation)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기 형광체는 분위기, 온도, 불순물에 대하여 민감하기 때문에, 이를 피복하여 상기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의 수명 및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유리 프리트의 역할이 중요하다. 패시베이션을 위한 상기 유리 프리트의 조성에서, 상기 산화물 혼합체는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LED 조명장치용 유리 조성물로 유리형성이 비교적 간단한 산화 납(PbO)계와 산화 비스무스(Bi2O3)계 유리 조성물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화 납은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고, 산화 비스무스계가 포함되는 경우 소성 후 색상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조명 장치용 유리 조성물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납의 경우 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폐기시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국제환경조약의 규제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산화 비스무스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유리 조성물은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원료가 고가이고, 생산성이 높지 않다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실시예의 상기 유리 프리트의 상기 산화물 혼합체는 산화 규소 20 중량% 내지 50 중량%, 산화 붕소 30 중량% 내지 60 중량%, 산화 아연 5 중량% 내지 40 중량%이다. 상기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계 조성은, 650℃ 이하 저온소성 가능한 고온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및 YAG 등의 산화물 무기 형광체만을 적용하는 고출력 조명, 높은 내수성을 요구되는 적용을 위한 조성이다.
상기 산화 규소는 유리 형성 성분이며, 유리를 화학적, 광학적으로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유리전이온도(Tg) 및 연화온도(Ts)를 매우 높이는 성분이다. 상기 산화물 혼합체에 2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규소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연화온도(Ts)가 매우 높아지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리 형성이 용이하지 않아 결정화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산화 아연은 유리수식제로서 연화온도(softening point, Ts), 유전율, 열팽창계수(CTE)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상기 산화물 혼합체에 5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아연이 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연화온도(Ts)가 높아 원하는 온도에서 소성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백색화 현상 및 결정화 거동으로 인해 전체 투과율을 저하시킴으로써 광추출량이 저하되는 등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상기 산화 붕소는 유리형성에 관여하는 필수적인 산화물로서 유리의 용융온도, 연화점 및 유전율을 낮추는 성분으로, 상기 산화물 혼합체에 30 중량%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붕소가 3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상술한 효과가 얻을 수 없다. 반면 6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생성된 유리는 상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리의 연화온도(Ts)를 증가시킨다.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상기 산화물 혼합체와 혼합하여 용융시키면 유리화에 참여한다. 또한, 유리 제조 시에 용융온도를 저하시키며, 유리의 용해도, 색, 투명도, 화학적 내구성, 전도성 등을 개선시킨다. 연화점 및 투과율을 조절하여, 투과율 및 유전율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열팽창을 크게 하고, 전기적인 성질을 약화시키므로, 적절한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함량 및 종류는 상기 유리 조성물을 소결한 후의 투과율 및 백색도의 최적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5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연화온도(Ts)가 상승하여 저온소성이 어려워지게 된다. 한편,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팽창계수가 상승하고, 반응성에서 취약해진다.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산화 나트륨(Na2O), 산화 칼륨(K2O), 산화 리튬(Li2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산화 리튬, 산화 나트륨 또는 산화 칼륨 중 하나만 단독으로 많이 첨가하는 경우 결정화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일측에 따른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프리트는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산화물 혼합체 및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종류 및 조성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산화물 유리의 구조는 그물코형성산화물(network former; Si, P, B, Ge, As, Sb, Bi, V 등의 산화물)과 산소가 골격이 되어 그물코(網目)를 형성하고 그 빈틈에 그물코수식산화물(network modifier; Na, K, Li, Ca, Mg, Ba, Sr 등의 산화물)이 점재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그물코수식산화물은 단독으로는 유리를 형성할 수는 없으나 상기 그물코형성산화물에 일부 첨가하여 용융시키면 유리화에 참여한다. 상기 그물코수식산화물은 유리 제조 시에 유리의 용해도, 색, 투명도, 화학적 내구성, 전도성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유리의 제법은 유리원료를 배합하여 충분히 용융시킨 뒤 서냉 또는 급냉하여 만든다. 규산염 유리제조에서 산화 규소만으로는 높은 용융온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많이 넣을수록 저온으로 용융할 수 있다. 대신, 내수성이나 내산성이 뒤떨어져 투명성이 떨어지기 쉬우므로 적절한 성분배합이 필요하다.
상기 유리 프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상기 산화물 혼합체 및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 등의 원료를 칙량하여 용융로에 투입한다. 상기 산화물 혼합체의 조성,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종류 및 조성에 따라 용융 온도를 조절하여 용융한다. 이때 용융 온도는 1300℃ 내지 1600℃일 수 있고, 종래의 유리 제조 프로세스에 따라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리의 원료가 균질하게 용해될 수 있는 온도를 선택하여 용융한다. 이때, 1600℃를 초과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면 휘발 성분이 많아지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용융된 유리는 건식 또는 습식으로 냉각시킨 후, 분쇄하여 유리 프리트를 준비한다.
분쇄는 건식과 습식이 있고, 건식분쇄에는 볼밀, 진동 밀 등의 방식이 있다. 볼밀에 사용되는 세라믹 볼은 일반적으로 산화 알루미늄(Al2O3) 또는 산화 지르코늄(ZrO2)가 이용된다. 진동 밀은 진동운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분쇄물에 걸리는 충격이 크다. 습식분쇄는 액 중에서 분쇄물과 볼을 교반하여 분쇄를 하는 방법이다. 건식분쇄와 비교하여 미분쇄가 가능하다. 볼밀 이외에 매체 교반밀, 비드밀이 이용되고 있다. 비드밀은 직경 0.5 내지 2.0mm의 내마모성이 높은 세라믹스 볼(bead)을 이용하는 분쇄기이다. 습식분쇄에 사용하는 액체는 물이나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내수성이 높은 유리인 경우 주로 물이 사용되고, 물을 사용하면 성분의 변동이 우려되는 경우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리 프리트는 평균입경이 3㎛ 내지 1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유리 프리트의 입경이 10㎛를 초과할 경우, 추후 형광체와 혼합하여 소결할 경우 다수의 기공(pore)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반면, 상기 유기 프리트의 입경이 3㎛ 미만일 경우에는 형광체와 혼합될 때 충분히 분산되지 못하여 충분히 형광체를 패시베이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입도가 미세해질수록 형광체와의 혼합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며, 소성 후 결정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또다른 일측에 따른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는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리 프리트 및 YAG 계 무기 형광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물 혼합체, 및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종류 및 조성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에 포함되는 상기 무기 형광체는 청색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백색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황색 또는 녹색계열의 빛, 예를 들면 녹황색(발광 피크 약 550 nm) 빛으로 여기되는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 형광체에 포함되는 상기 무기 형광체로는 산화물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형광체로는 (Y, Gd, Ce)3Al5O12 등의 Y3Al5O12(YAG)계 형광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산화물 형광체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형광체의 함량은 요구되는 색좌표에 따라 유동적으로 함량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는 상기 무기 형광체가 상기 유리 중에 분산 또는 패시베이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는 상기 무기 형광체 분말 및 상기 유리 프리트를 혼합하여 소결하여 수득된다. 이때, 소결된 후의 상기 유리 프리트 및 기공으로 인하여 광 투과율이 낮아져 광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가 소결체라는 점에 있어서 광 투과율을 개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소결체가 갖는 색을 백색에 가깝도록 하여 광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광투과율 및 백색도는 반비례 경향을 갖기 때문에 가장 높은 광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산화물 혼합체, 및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조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소결체의 투과율은 45 내지 50%로 조절할 수 있고, 백색도(ΔE*)는 35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백색도는 다중각도 분광 색차계(Multi Ang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백색도(ΔE*)는 다음 수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수식 1]
ΔE*=(ΔL*2+Δa*2+Δb*2)1/2
ΔL*=L1*-L2*
Δa*=a1*-a2*
Δb*=b1*-b2*
여기서, L*은 명도, a*는 적색과 녹색의 정도, b*는 황색과 청색의 정도를 나타낸다(a*가 +쪽이면 적색, -쪽이면 녹색이고, b*가 +쪽이면 황색, -쪽이면 청색이다. a* 및 b*의 값이 클수록 채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ΔE는 기준치(reference) 대비 색차가 얼마나 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백색(L*=100, a*=0, b*=0)을 기준치로 놓고 백색도를 산출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산화 규소, 산화 붕소, 산화 아연 및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재료를 칙량한 후, 볼 밀에 투입하여 48 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혼합된 분말을 백금 도가니에 넣어 1300℃에서 30분간 용융한 후, 용융물을 트윈 롤러에 부어 ?칭을 수행하여 유리 컬릿을 수득하였다. 유리 컬릿은 다시 볼 밀에 넣어 입경이 10㎛ 미만이 되도록 분쇄하여 유리 프리트를 수득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 및 측정된 유리의 연화온도(Ts)를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상기 수득된 각각의 유리 프리트 및 YAG계 무기 형광체를 볼 밀에 투입하여 충분히 혼합했다. 수득된 혼합물을 서스 몰드(성형물 두께 1000㎛)에 넣고 5톤에서 5분간 일축성 압축을 수행하여 압축 성형물을 수득하였다. 압축 성형물을 소성로에서 630℃의 온도로 30분간 소성을 수행하였다. 이후, 표면 조도 0.2㎛가 되도록 경면 가공을 수행하여 형광체 플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SiO2 20 20 20 25 25
B2O3 30 35 40 35 40
ZnO 40 35 30 30 25
LiO+K2O+Na2O 10 10 10 10 10
연화온도(Ts, ℃) 563 570 569 575 571
유리화
※ 유리화도에서 "◎" 표시는 매우 양호하게 유리화되었음을 의미하고, "○"는 양호하게 유리화 되었음을 의미한다.
[평가]
1. 투과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수득된 형광체 플레이트(두께 1㎜, 직경 25㎜)를 UV-Vis 분광계(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투과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투과도(%)
at 400~750㎚
45.8 44.3 46.0 43.7 43.0
투과도(%)
at 550㎚
45.31 44.47 45.96 43.59 42.75
광효율(lm/W) 134.3 130.5 135.4 131.0 131.6
상기 표 2에서, 투과도는 400㎚ 내지 750㎚의 다중파장을 갖는 빛과 550㎚의 단일파장을 갖는 빛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 별로 제조된 서로 다른 세 시편으로 측정한 값의 평균을 산정하여 기록하였다.
2. 백색도( 색차 )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수득된 형광체 플레이트(두께 1㎜, 직경 25㎜)를 다중각도 분광 색차계(Multi-ang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백색도(색차)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L* a* b* ΔL* Δa* Δb* ΔE*
실시예 1 63.3 -0.09 -0.34 -36.7 -0.09 -0.34 36.70
실시예 2 65.01 -0.16 -0.86 -34.99 -0.16 -0.86 35.00
실시예 3 62.63 -0.13 -0.86 -37.37 -0.13 -0.86 37.38
실시예 4 65.08 -0.14 -0.79 -34.92 -0.14 -0.79 34.93
실시예 5 65.88 -0.16 -0.94 -34.12 -0.16 -0.94 34.14
상기 표 3에서 각각의 값은 각 실시예 별로 제조된 서로 다른 세 시편으로 측정한 값의 평균을 산정하여 기록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소결하여 유리 프리트(glass frit)를 제조하기 위한 유리 조성물에 있어서,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및
    알칼리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산화물 5 중량% 내지 25 중량%;
    를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혼합체는,
    상기 산화 규소 20 중량% 내지 50 중량%, 상기 산화 붕소 3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산화 아연 5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산화 나트륨, 산화 칼륨, 산화 리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산화물인 유리 조성물.
  4. 무기 형광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유리 프리트(glass frit)에 있어서,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을 유리화하고, 분쇄하여 형성되는 유리 프리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리 프리트는 평균입경이 3㎛ 내지 10㎛ 인 유기 프리트.
  6. 산화 규소-산화 붕소-산화 아연(SiO2-B2O3-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및 알칼리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리 프리트; 및
    산화물계 무기 형광체;
    를 포함하는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는,
    소결 후 투과율이 45% 내지 50%인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는,
    소결 후 백색도(ΔE*)가 35 내지 40인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형광체는,
    이트륨-알루미늄-가넷(Yttrium Aluminium Garnet; YAG)계, 루테늄-알루미늄-가넷(Lutetium aluminium garnet; LuAG)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산화물 형광체인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

KR1020140028854A 2014-03-12 2014-03-12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 KR102291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54A KR102291731B1 (ko) 2014-03-12 2014-03-12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54A KR102291731B1 (ko) 2014-03-12 2014-03-12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602A true KR20150106602A (ko) 2015-09-22
KR102291731B1 KR102291731B1 (ko) 2021-08-20

Family

ID=5424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54A KR102291731B1 (ko) 2014-03-12 2014-03-12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7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945A (ja) * 2006-08-03 2008-02-21 Nichia Chem Ind Ltd 発光装置
JP2008041796A (ja) * 2006-08-03 2008-02-2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波長変換部材
JP2013197236A (ja) * 2012-03-19 2013-09-30 Asahi Glass Co Ltd 発光装置およ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945A (ja) * 2006-08-03 2008-02-21 Nichia Chem Ind Ltd 発光装置
JP2008041796A (ja) * 2006-08-03 2008-02-2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波長変換部材
JP2013197236A (ja) * 2012-03-19 2013-09-30 Asahi Glass Co Ltd 発光装置およ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731B1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93346B (zh) 一种半透明的荧光粉/玻璃复合发光陶瓷片及其制备方法
US8206613B2 (en) Phosphor composite material and phosphor composite member
JP5757238B2 (ja) 蛍光体分散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21375B (zh) 荧光体分散玻璃
US9840663B2 (en) Glass composition for photo-conversion member and ceramic photo-conversion member using the same
WO2015008621A1 (ja) 蛍光体分散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01048B1 (ko) 고 신뢰성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KR20160063245A (ko) 형광체 분산 유리
KR101559279B1 (ko) 형광체를 포함하는 유리 프릿 조성물
KR101484634B1 (ko) 색변환 효율 및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led 색변환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1731B1 (ko) 파장변환 세라믹 매체
KR102187046B1 (ko) 광변환 소자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CN105819696A (zh) 低温玻璃-荧光粉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834746B (zh) 光反射基材用材料、光反射基材和使用该基材的发光设备
KR20180042047A (ko) 형광체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318228B1 (ko) 조명 장치
KR102187045B1 (ko) 세라믹 광변환 부재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광변환 부재
KR102228380B1 (ko) 세라믹 광변환 부재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라믹 광변환 부재
KR20160123144A (ko)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제조용 조성물,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및 발광장치
KR102584893B1 (ko) 형광체를 포함하는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9767B1 (ko)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제조용 조성물,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및 발광장치
JP2018131380A (ja) 蛍光体分散ガラス
TWI832803B (zh) 低熔點玻璃組成
KR20210055919A (ko) 형광체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용 세라믹 플레이트
KR20150087603A (ko)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고밀도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