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919A - 형광체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용 세라믹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형광체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용 세라믹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919A
KR20210055919A KR1020190142291A KR20190142291A KR20210055919A KR 20210055919 A KR20210055919 A KR 20210055919A KR 1020190142291 A KR1020190142291 A KR 1020190142291A KR 20190142291 A KR20190142291 A KR 20190142291A KR 20210055919 A KR20210055919 A KR 20210055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glass
phosphor
refractive index
phosph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이일권
윤장근
Original Assignee
(주)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라 filed Critical (주)세라
Priority to KR102019014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919A/ko
Publication of KR2021005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12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luminescent glass; for fluorescen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8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rare ear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9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rare eart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산화 규소(SiO2), 산화 붕소(B2O3) 및 산화 아연(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40wt% 내지 60wt%;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탄산염(Carbonate) 화합물 10wt% 내지 15wt%; 및 희토류 금속인 산화란탄늄(La2O3)과 네오듐 산화물(Nb2O5) 10wt% 내지 30wt%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조성물 및 그 유리를 포함한 형광체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광체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용 세라믹 플레이트{High Refractive Index Glass Frit Composition Including a Phosphor and a Ceramic Plate for Light Emiss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고굴절류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백색 LED는 고효율, 고신뢰성의 백색 조명광원으로서 주목받아 일부가 미소전력 소형 광원으로서 이미 사용에 제공되고 있다. 백색 LED를 구현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청색 LED 소자를 황색 형광체를 포함한 수지를 매트릭스로 하여 몰딩한 것이다.
그러나 청색광은 에너지가 강하기 때문에 수지를 열화 시키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백색 LED는 장기간 사용 시, 수지가 변색되기 때문에 발광되는 색조가 변화한다. 또한, 수지로 몰딩되어 있어 소자로부터의 열발산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기 쉽다. 이러한 온도로 인하여 발광색이 황색 쪽으로 시프트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라믹 소결체를 형광체의 매트릭스 물질로 사용한 형광체 플레이트를 적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무기물소재의 경우, 투명하여 광학적, 미적인 효과가 크고 화학적인 안전성이 높아 사용 환경의 범위가 넓다. 또한 기계적인 경도가 높고 열적인 안정성도 좋을 뿐만 아니라, 전기에 대한 절연성이 높으며, 인체나 환경에 대해 무해한 등의 장점으로 인해 그 용도는 매우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한편, 형광체 플레이트는 Phosphor Ceramic Plate(PCP), Phosphor Glass Plate(PGP), Glass Phosphor Plate(GPP), Single-crystal Phosphor Plate(SCPP), Phosphor-in-glass(PiG)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유리소재인 PiG가 신뢰성 등에서 우수하여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PiG의 유리 분말 굴절률은 1.5 수준으로 형광체 및 광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PiG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PiG Glass의 굴절률 상승이 필요하며, 특히, LED Chip의 GaN 층의 굴절률 2.1로 형광막의 굴절률이 높을수록 발광 GaN층과 굴절률 매칭이 잘되어 광추출 효율이 높아지며, YAG 형광체 굴절률 1.71과 봉지재 1.4~1.5 굴절률 차이로 형광막 내부에서 산란(Scattering)이 발생하기 때문에 형광체와 동일 굴절률을 가진 Glass 봉지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산화 규소(SiO2), 산화 붕소(B2O3) 및 산화 아연(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40wt% 내지 60wt%;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탄산염(Carbonate) 화합물 10wt% 내지 15wt%; 및 희토류 금속인 산화란탄늄(La2O3)과 네오듐 산화물(Nb2O5) 10wt% 내지 30wt%를 포함하는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일 실시예로 고굴절률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조성물는 산화 규소(SiO2), 산화 붕소(B2O3) 및 산화 아연(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40wt% 내지 60wt%;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탄산염(Carbonate) 화합물 10wt% 내지 15wt%; 및 희토류 금속인 산화란탄늄(La2O3)과 네오듐 산화물(Nb2O5) 10wt% 내지 30wt%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규소 산화물은 전체 유리조성물에 대하여 10wt% 내지 20 wt%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산화물 혼합체는 탄산바륨(BcCO3)를 0.5wt% 내지 20wt%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알카리 금속 산화물은 Li2O, Na2O, K2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희토류 금속은 란탄족 계열의 산화물로써 La, Ce, Nd, Eu, Yb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세라믹 형광체는 이트륨-알루미늄-가넷(Yttrium Aluminium Garnet; YAG)계, 루테늄-알루미늄-가넷(Lutetium Aluminium Garnet; LuAG)계, 질화물(Nitride)계, 황화물(Sulfide)계 또는 규산염(Silicate)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산화 규소(SiO2), 산화 붕소(B2O3) 및 산화 아연(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40wt% 내지 60wt%;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탄산염(Carbonate) 화합물 10wt% 내지 15wt%; 및 희토류 금속인 산화란탄늄(La2O3)과 네오듐 산화물(Nb2O5) 10wt% 내지 30wt%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광 GaN층과 굴절률 매칭이 잘되어 광추출 효율이 높아지는 고신뢰성 및 높은 광학적 특성을 갖는다.
도 1은 굴절률 증가로 인한 광효율 증가의 메커니즘 모식도 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격형 고굴절률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굴절률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굴절률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조성물은 산화 규소(SiO2), 산화 붕소(B2O3) 및 산화 아연(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40wt% 내지 60wt%;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탄산염(Carbonate) 화합물 10wt% 내지 15wt%; 및 희토류 금속인 산화란탄늄(La2O3)과 네오듐 산화물(Nb2O5) 10wt% 내지 30wt%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 규소, 상기 산화 붕소 및 상기 산화 아연으로 이루어진 상기 산화물 혼합체는 유리 조성물을 유리화하여 유리를 제조할 때, 가장 기본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들로, 유리를 형성하는 산화물 중에서도 망목형성산화물(Network Former) 또는 그물눈형성산화물에 속한다. 상기 산화물 혼합체는 유리의 가장 기본 성분으로 이 조성만으로도 3성분계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붕소는 유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본적인 재료이나, 조명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형광체 플레이트로 제조할 때 상기 산화 붕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뢰성, 광 투과율 등의 광특성을 크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상술한 형광체 플레이트의 백화현상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붕소는 전체 조성물 중 20wt% 미만으로 함유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형광체 플레이트 제조 시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형광체 플레이트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유리 프리트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형성해야 한다.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추기 위해서 알칼리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탄산염(Carbonate) 화합물 10wt% 내지 15wt% 포함된다.
상기 알칼리 금속은 칼륨(K), 나트륨(Na) 또는 리튬(Li), 즉 주기율표 I족에 해당하는 원소들을 지칭한다. 상기 탄산염 화합물은 탄산칼륨(K2CO3), 탄산나트륨(Na2CO3), 탄산리튬(Li2CO3)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산염 화합물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조성물 내에 알칼리 금속 성분이 증가할 경우, 유리 조성물이 유리되지 않거나, 형광체 플레이트의 광특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총 함량이 15wt% 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조성물에는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성분으로서 희토류 금속인 산화란탄늄(La2O3)과 네오듐 산화물(Nb2O5) 10wt% 내지 30wt%를 포함한다. 상기 성분들은 유리내 굴절률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상기 성분들의 증가로 종전에 비하여 투과율이 낮아질 수 있으나, 산화 인을 첨가하여 이를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산화 인은 고반응성 성분이기 때문에 과량 첨가될 경우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5wt%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는 상술한 유리 조성물을 유리화하여 수득되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10㎛인 유리 프리트를 매트릭스로 하고, 적어도 1종의 형광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 프리트는 산화 규소(SiO2), 산화 붕소(B2O3) 및 산화 아연(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40wt% 내지 60wt%;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탄산염(Carbonate) 화합물 10wt%내지 15wt%; 및 희토류 금속인 산화란탄늄(La2O3)과 네오듐 산화물(Nb2O5) 10wt% 내지 30wt%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볼 밀(Ball Mill)로 40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혼합한 후, 용융로에 투입한다. 상기 유리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용융 온도를 조절하여 용융할 수 있다. 이때, 용융 온도는 1300℃ 내지 1600℃일 수 있고, 종래의 유리 제조 프로세스에 따라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조성물에 포함된 원료가 균질하게 용해될 수 있는 온도를 선택하여 용융한다. 이때, 1600℃를 초과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면 휘발 성분이 많아지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용융물을 트윈롤에 부어 ??칭을 수행하여, 유리 컬릿(Glass Cullet)을 준비한다. 상기 유리 컬릿을 분쇄하여 유리 프리트를 준비한다.
상기 분쇄의 방법으로는 건식과 습식이 있고, 건식분쇄에는 볼 밀, 진동 밀 등의 방식이 있다. 볼 밀에 사용되는 세라믹 볼은 일반적으로 산화 알루미늄(Al2O3) 또는 산화 지르코늄(ZrO2)가 이용된다. 진동 밀은 진동운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분쇄물에 걸리는 충격이 크다. 습식분쇄는 액 중에서 분쇄물과 볼을 교반하여 분쇄를 하는 방법이다. 건식분쇄와 비교하여 미분쇄가 가능하다. 볼 밀 이외에 매체 교반 밀, 비드 밀이 이용되고 있다. 비드 밀은 직경 0.5mm 내지 2.0mm의 내마모성이 높은 세라믹스 볼(Bead)을 이용하는 분쇄기이다. 습식분쇄에 사용하는 액체는 물이나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내수성이 높은 유리인 경우 주로 물이 사용되고, 물을 사용하면 성분의 변동이 우려되는 경우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리 프리트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일 수 있다. 유리 프리트의 입경을 작게 할 경우 소결 후 내부 기공율이 줄어 광 특성 향상에 유리하다. 상기 유리 프리트의 입경이 10㎛를 초과할 경우, 추후 형광체와 혼합하여 소결할 경우 다수의 기공(Pore)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반면, 상기 유기 프리트의 입경이 1㎛ 미만일 경우에는 형광체와 혼합될 때 충분히 분산되지 못하여 충분히 형광체를 패시베이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밀링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도도 증가하여 소결 후에 백색도 유지가 어렵게 된다
상기 세라믹 형광체는 요구되는 광특성 및 조명의 색깔, 응용 분야 등에 따라 황색 또는 녹색, 또는 적색 형광체 중 하나의 형광체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여기하는 2종 이상의 형광체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형광체로는 이트륨-알루미늄-가넷(Yttrium Aluminium Garnet; YAG)계, 루테늄-알루미늄-가넷(Lutetium Aluminium Garnet; LuAG)계, 질화물(Nitride)계, 황화물(Sulfide)계 또는 규산염(Silicate)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형광체가 상기 유리 프리트에 대하여 10wt% 내지 20wt%가 되도록 혼합한다. 이때, 소결 후 투과도와 색차에 따라 형광체 혼합량은 미량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두께의 변화에 따라서도 형광체의 함량이 변화되는데, 두께 증가 시 형광체는 감량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유리 프리트 및 상기 세라믹 형광체의 혼합물이 플레이트 또는 원반 형태를 갖도록 서스(Stainless Use Steel, SUS) 몰드에 투입하여 일축성 압축을 한다. 이때, 압축은 7톤에서 5분간 수행된다. 압축된 상기 무기 형광체-유리 분말의 혼합물은 소성로에 넣어 소성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무기 형광체 및 유리 분말의 유리전이온도(Tg)에 따라서 소성을 수행하는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소성이 완료된 상기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는 본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특성에 맞도록 두께를 조절하고 표면조도(表面粗度)를 조절하기 위하여 표면 연마(Surface Polishing)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의 두께는 200㎛ 내지 1000㎛, 표면조도가 0.1㎛ 내지 0.3㎛가 되도록 연마를 수행한다.
상기 고체발광소자는 LED, OLED, LD(Laser Diode), Laser, VCSEL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130)의 상단부에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110)가 구비되어, 광원(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프리트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및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어 있는 세라믹 형광체를 포함한다. 하우징 내부(132)는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110)의 굴절률 보다 높거나 같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충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적분구(積分球)로서 광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적분구는 내부의 휘도가 어느 각도에서든지 일정하며, 시료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모두 포획하여 적분구 표면에 고른 조도로 분포되게 한다. 적분구 내벽의 코팅 재료로 특수 페인트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등이 있으며 그 내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분광 투과율의 경우는 시료 없이 투과되는 빛을 100%로 두고 철판 등 불투명 물체로 빛을 완전 차단한 경우를 0%로 한다. 투과색 중 투과 물질 내에서의 분산 효과가 클 때는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내지 6]
하기 표 1(실시예에 따른 유리프릿 조성물 및 제조된 유리 특성)의 조성성분을 가지는 세라믹 유리조성물은 먼저 각각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를 1300℃ 내지 1600℃의 고온에서 용융하여, 유리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리를 분쇄하여 1 내지 15㎛의 평균입경을 갖는 유리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리분말을 성형몰드에 투입한 후 5톤의 압력으로 5분간 압축성형한 후, 소성로에 투입하여 650℃에서 30분간 소성한 후 경면을 마모 처리하여 500㎛의 두께로 2㎛의 표면조도를 가지도록 경면을 처리하여 유리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유리 분말은 높은 투과율과 굴절률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열특성의 경우도 700℃이하에서 소성될 수 있는 적절한 연화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3]
Figure pat00002
상기 실시예 6의 유리조성물로 제조한 유리프리트 분말에 형광체(인터매틱스)를 하기 표 3의 조성비로 볼 밀에 혼합하여 충분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몰드에 투입하여 5톤의 압력으로 5분간 압축하여 압축성형물을 얻었다. 압축 성형물을 소성로에서 650℃의 온도로 40분간 소성하였으며, 이후 표면조도가 0.2㎛가 되도록 경면가공하여 형광체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광효율의 측정방법은 글라스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가 없는 상태에서 광원인 청색 LED의 광복사속(Radiant Flux)을 측정하고, 글라스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광속(Lumens)을 측정한 후, 앞서 측정한 청색 LED의 관복사속 값으로 나누어 광효율을 구하였다.
Figure pat00003
[비교예 4 내지 7]
상기 비교예 3의 유리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상기 실시예 7 내지 9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수록하였다.
Figure pat00004
결과 굴절율이 증가될수록 광효율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굴절율이 낮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유리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굴절률 및 투과도가 높고 열특성이 우수하며 본 발명의 유리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형광체 플레이트는 광효율에서도 현저한 상승을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병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형광체 플레이트

Claims (1)

  1. 산화 규소(SiO2), 산화 붕소(B2O3) 및 산화 아연(ZnO)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혼합체 40중량부 내지 60중량부;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탄산염(Carbonate) 화합물 10중량부 내지 15중량부; 및
    희토류 금속인 산화란탄늄(La2O3)과 네오듐 산화물(Nb2O5)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조성물.
KR1020190142291A 2019-11-08 2019-11-08 형광체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용 세라믹 플레이트 KR20210055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291A KR20210055919A (ko) 2019-11-08 2019-11-08 형광체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용 세라믹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291A KR20210055919A (ko) 2019-11-08 2019-11-08 형광체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용 세라믹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919A true KR20210055919A (ko) 2021-05-18

Family

ID=7615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291A KR20210055919A (ko) 2019-11-08 2019-11-08 형광체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용 세라믹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9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3799B2 (ja) 波長変換材料に用いられるガラス、波長変換材料、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US9840663B2 (en) Glass composition for photo-conversion member and ceramic photo-conversion member using the same
EP3476914A1 (en)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ame
TW201542766A (zh) 波長變換構件及使用其而成之發光裝置
WO2015008621A1 (ja) 蛍光体分散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887486B (zh) 用于白光led器件的条形码结构荧光陶瓷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60063245A (ko) 형광체 분산 유리
JP6365828B2 (ja) 波長変換材料に用いられるガラス、波長変換材料、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KR102201048B1 (ko) 고 신뢰성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TW201808844A (zh) 波長轉換構件
KR101559279B1 (ko) 형광체를 포함하는 유리 프릿 조성물
JP2016084269A (ja) 蛍光体分散ガラス
KR102584893B1 (ko) 형광체를 포함하는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55919A (ko) 형광체를 포함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용 세라믹 플레이트
WO2019065011A1 (ja) 波長変換材料に用いられるガラス、波長変換材料、波長変換部材及び発光デバイス
KR102318233B1 (ko)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제조용 조성물,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및 발광장치
KR102187046B1 (ko) 광변환 소자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KR20230172742A (ko) 고굴절 유리 프릿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9767B1 (ko)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제조용 조성물, 세라믹 형광체 플레이트 및 발광장치
KR102394051B1 (ko) 형광체 플레이트 제조용 조성물, 형광체 플레이트 및 조명장치
KR102318228B1 (ko) 조명 장치
JP7480472B2 (ja) 波長変換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装置
Jeong et al. Effect of Zirconium Dioxide in BaO-ZnO-B 2 O 3-SiO 2 system on Optical Properties of Color Conversion Glasses
KR102228380B1 (ko) 세라믹 광변환 부재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라믹 광변환 부재
KR102187045B1 (ko) 세라믹 광변환 부재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광변환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