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186A -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186A
KR20150106186A KR1020140028360A KR20140028360A KR20150106186A KR 20150106186 A KR20150106186 A KR 20150106186A KR 1020140028360 A KR1020140028360 A KR 1020140028360A KR 20140028360 A KR20140028360 A KR 20140028360A KR 20150106186 A KR20150106186 A KR 20150106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elevator
cove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규
Original Assignee
박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규 filed Critical 박윤규
Priority to KR102014002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186A/ko
Publication of KR2015010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내벽과 천장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양패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재사용이 가능하며 중량을 가볍게 하여 취급이 용이한 동시에 엘리베이터 내벽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천장판(12)과 벽판(13)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도록 최 상측에 위치하는 평판 상의 평판부(21)와, 상기 평판부의 하부로 연장되고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완충용 엠보싱이 형성된 엠보싱부(22)와, 상기 엠보싱부(22)의 하부로 연장되고 벽판의 손잡이(14)를 감쌀 수 있도록 측면 관측상 '⊂'자형으로 굴절된 커버부(23)와, 상기 커버부의 하부로 연장된 평판 상의 연장부(24)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 벽판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벽 보양부재(20); 상측이 상기 연장부에 부착되어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위치한 벽판을 커버하기 위한 제2벽 보양부재(3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PROTECTING PANEL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내벽과 천장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양패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재사용이 가능하며 중량을 가볍게 하여 취급이 용이한 동시에 엘리베이터 내벽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집기나 이삿짐 등을 실어나르는 경우 엘리베이터 내측 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양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9-0110560호(특허문헌 1)에서는 아파트나 빌딩에 설치되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내부 상측의 상부조명박스 또는 천정판의 전방을 제외한 좌,우양측과 후방 모서리 부분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절개부 내측으로 각각 천,가죽,합성수지필름 중 어느 하나로된 보양재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본체내에 롤형태로 감겨져 있는 보양장치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보양재의 끝단을 각각 절개부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로 통과시킨후 걸림고리가 형성된 스톱바에 고정설치 하여 평상시에는 보양재의 끝단에 고정설치된 스톱바가 절개부에 걸려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이삿짐이나 물건을 운반시에는 보양재의 끝단을 하측으로 잡아 당겨 보양재 끝단의 스톱바에 형성된 걸림공을 좌,우측벽면과 후방벽면의 하측단에 각각 형성한 걸림고리에 걸어서 고정토록 구성된 내벽보호용 보양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엘리베이터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와 유사한 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899354호(특허문헌 2)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상측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지의 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에 상측부가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롤에 감겨지거나 상기 권취롤에서 풀어지면서 상기 케이지의 안쪽 벽면을 따라 승강되도록 된 보호커튼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권취롤에서 상기 보호커튼을 풀어서 상기 케이지의 바닥면으로 내려줌으로써 상기 보호커튼에 의해 상기 케이지의 안쪽 벽면을 보호하도록 된 엘리베이터용 판낼 보양커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들은 엘리베이터 카에 구동모터와 보호커튼(보양재)이 일체로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엘리베이터 자체의 중량이 증가하여 평상시에도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야기하여 전기비용이 상승하는 등 유지비용이 비싸고, 구동모터의 고장이나 보호커튼(보양재)이 찢어졌을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이때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해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 상측으로 올라가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위험성이 있는 등 유지 보수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제 2009-0110560호 공개특허공보(2009.10.22 공개)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899354호 등록특허공보(2009.5.26 공고)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벽과 천장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양패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재사용이 가능하며 중량을 가볍게 하여 취급이 용이한 동시에 엘리베이터 내벽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천장판과 벽판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도록 최 상측에 위치하는 평판 상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하부로 연장되고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완충용 엠보싱이 형성된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의 하부로 연장되고 벽판의 손잡이를 감쌀 수 있도록 측면 관측상 '⊂'자형으로 굴절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하부로 연장된 평판 상의 연장부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 벽판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벽 보양부재; 상측이 상기 연장부에 부착되어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위치한 벽판을 커버하기 위한 제2벽 보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천장판을 커버하도록 평판 상으로 된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또는 하향 굴절되어 연장되고 외측면이 엘리베이터 내의 마주보는 벽면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벽 부양부재에 부착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천장 보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측판을 커버할 수 있도록 평판 상으로 된 출입측판 보양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입측판 보양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의 측벽을 커버하도록 굴절된 평판 상의 측벽 보호부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벽 보양부재 또는 제2벽 보양부재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도록 굴절된 평판 상의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허문헌들과 같이 엘리베이터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구조가 아니므로 유지비용의 증가를 방지하고, 또한 무게가 가벼우므로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비숙련자도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해체 후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투명한 소재로 되어 있어서 엘리베이터 내부 고유의 벽면이나 거울 등이 투시되므로 갑갑함을 느끼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 보양부재를 보이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정면 관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천장 보양부재를 보이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정면 관측 단면도이다.
도 4는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상면에서 관측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 보양부재를 보이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정면 관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천장판(12) 및 상기 바닥판(11)과 천장판(12)의 각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3면의 벽판(13)으로 이루어지며, 도 4와 같이 1개 면에는 도어(17)가 설치된 출입벽판(15)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벽판(13)에는 가로 방향으로 손잡이(14)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엘리베이터 중 벽판(13)을 보양하기 위한 벽 보양부재는 제1벽 보양부재(20)와 제2벽 보양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벽 보양부재(20)는 평판부(21), 엠보싱부(22), 커버부(23) 및 연장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벽 보양부재(20) 중 평판부(21)는 엘리베이터의 천장판(12)과 벽판(13)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밀어넣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벽 보양부재(20)의 최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엠보싱부(22)는 상기 평판부(21)의 하부로 연장되고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완충용 엠보싱이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엠보싱은 다수 개가 돔 형태로 돌출된 형태, 지그재그로 굴절된 형태 등,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면, 그 형태는 제한이 없다.
상기 커버부(23)는 상기 엠보싱부(22)의 하부로 연장되어 벽판(13)의 손잡이(14)를 감쌀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측면 관측상 '⊂'자형으로 굴절되고 그 내부에 손잡이(14)가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연장부(24)는 상기 커버부(23)의 하부로 연장된 평판 형태의 것으로, 상기 제2벽 보양부재(30)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제1벽 보양부재(20)의 평판부(21), 엠보싱부(22), 커버부(23) 및 연장부(24)는 각각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벽 보양부재(30)는 예컨대 폴리캠(policham) 등 평판 형태의 판재로서,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합성수지재 판재이며, 상측 일부분이 상기 연장부(24)에 벨크로 테이프(2)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 등으로 부착되어 상기 손잡이(14)의 하부에 위치한 벽판(13)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벽 보양부재(20)와 제2벽 보양부재(30)는 PET, PP, PC,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경량화 및 얇은 판재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또한 엘리베이터의 벽면(13)이 투시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벽 보양보재(20)(30)를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제1벽 보양부재(20)의 상측에 위치한 평판부(21)를 천장판(12)과 벽판(13) 사이의 틈으로 끼워 넣은 후, 커버부(23) 내측으로 상기 손잡이부(14)를 넣는 형태로 하여 설치되고, 이후 연장부(24) 및 제2벽 보양부재(30)의 상부에 각각 암수 벨크로 테이프(2)를 부착하여 상호 고정하며, 엘리베이터 크기에 따라 1개의 벽판(13)에 대해 2개 또는 3개의 벽 보양부재(20)(30)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천장 보양부재를 보이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정면 관측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천장판(12)을 커버하여 보양하기 위한 천장 보양부재(4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천장판(12)을 커버하도록 평판 상으로 된 플레이트부(41)와, 상기 플레이트부(4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향 굴절되어 연장된 지지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부(42)는 상향 굴절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2)는 일정 면적을 가진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 외측면이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서 서로 마주보는 벽판(13)의 각 벽면에 설치된 제1벽 부양부재(20)의 상부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2) 등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상면에서 관측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출입벽판(15)은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7)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설치되며, 각 출입벽판(15)의 내측에는 도어(17) 측으로 굴절된 측벽(16)이 마련되어 출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출입측판 보양부재(5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측판(15)을 커버할 수 있도록 평판 상으로 된 것으로, 상기 출입측판 보양부재(50)의 일측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의 측벽(16)을 커버하도록 굴절된 평판 상의 측벽 보호부(51)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평판 상의 지지부(52)가 굴절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52)는 평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벨크로 테이프(2) 등을 통해 상기 제1벽 보양부재(20) 또는 그 하부에 위치한 제2벽 보양부재(3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측벽 보호부(51)는 셀로판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측벽(16)에 임시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7)의 내면을 커버하기 위해서 평판 상의 도어 보양부재(6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보양부재(60)는 일측 단부에 측면커버(61)가 굴절되어 있어서 도어(17)의 가장자리 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천장 보양부재(40)를 비롯하여, 출입벽판 보양부재(50) 및 도어 보양부재(60) 등은 PET, PP, PC,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경량화 및 얇은 판재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또한 엘리베이터의 천장판(12)과 출입벽판(15) 및 도어(17)의 면이 투시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1: 바닥판 12: 천장판
13: 벽판 14: 손잡이
15: 출입벽판 16: 측벽
17: 도어
20: 제1벽 보양부재 21: 평판부
22: 엠보싱부 23: 커버부
24: 연장부
30: 제2벽 보양부재 40: 천장 보양부재
41: 플레이트부 42: 지지부
50: 출입벽판 보강부재 51: 측벽보호부
52: 지지부
60: 도어 보강부재 61: 측면커버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천장판(12)과 벽판(13)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도록 최 상측에 위치하는 평판 상의 평판부(21)와, 상기 평판부의 하부로 연장되고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완충용 엠보싱이 형성된 엠보싱부(22)와, 상기 엠보싱부(22)의 하부로 연장되고 벽판의 손잡이(14)를 감쌀 수 있도록 측면 관측상 '⊂'자형으로 굴절된 커버부(23)와, 상기 커버부의 하부로 연장된 평판 상의 연장부(24)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 벽판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벽 보양부재(20);
    상측이 상기 연장부에 부착되어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위치한 벽판을 커버하기 위한 제2벽 보양부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천장판을 커버하도록 평판 상으로 된 플레이트부(41)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또는 하향 굴절되어 연장되고 외측면이 엘리베이터 내의 마주보는 벽면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벽 부양부재에 부착되는 지지부(42)로 이루어진 천장 보양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측판(15)을 커버할 수 있도록 평판 상으로 된 출입측판 보양부재(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입측판 보양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의 측벽을 커버하도록 굴절된 평판 상의 측벽 보호부(51)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벽 보양부재 또는 제2벽 보양부재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도록 굴절된 평판 상의 지지부(5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양부재는 PET, PP, PC,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양부재는 엘리베이터의 벽면이 투시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KR1020140028360A 2014-03-11 2014-03-11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KR20150106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60A KR20150106186A (ko) 2014-03-11 2014-03-11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60A KR20150106186A (ko) 2014-03-11 2014-03-11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186A true KR20150106186A (ko) 2015-09-21

Family

ID=5424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360A KR20150106186A (ko) 2014-03-11 2014-03-11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18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12U (ko) 2016-11-22 2018-05-30 김수현 패션성 승강기 도어 보양재
KR20180002095U (ko) 2016-12-29 2018-07-09 김수현 이형지 절취선이 구비된 승강기 보양재
KR101876867B1 (ko) * 2017-01-19 2018-07-10 주식회사 프로패드 엘리베이터 내벽 보호 패드
KR200490036Y1 (ko) * 2018-09-12 2019-09-11 주식회사 코리아엠에프 핸드레일 보호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12U (ko) 2016-11-22 2018-05-30 김수현 패션성 승강기 도어 보양재
KR20180002095U (ko) 2016-12-29 2018-07-09 김수현 이형지 절취선이 구비된 승강기 보양재
KR101876867B1 (ko) * 2017-01-19 2018-07-10 주식회사 프로패드 엘리베이터 내벽 보호 패드
KR200490036Y1 (ko) * 2018-09-12 2019-09-11 주식회사 코리아엠에프 핸드레일 보호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367B2 (en) Elevator car for reduced upper ends of elevator shafts
KR20150106186A (ko) 엘리베이터용 보양패널
US8851147B2 (en) Segmented wind lock configuration for overhead roll-up doo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110053443A (ko) 경량 유리판을 구비한 엘레베이터 시스템
JP2009208946A (ja) エレベータ引き戸の案内装置
CN109476455B (zh) 具有特殊构造的保护顶盖的电梯设备
ES2754272T3 (es) Ascensor
EP2832674B1 (en) Monitor system for elevator doors
US20130233652A1 (en) Elevator system with emergency operation and backup power supply at the same location as the elevator drive
KR101271336B1 (ko) 기립 특성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보양재 및 이의 시공 방법
JP5997909B2 (ja) 開閉装置
KR101682180B1 (ko)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커버 기능을 갖는 보호패드
KR20080024802A (ko) 더블 상하작동 스크린도어
CN102844208A (zh) 用于汽车结构的卷门系统
JP7342644B2 (ja) 簡易資材置場
JP5951585B2 (ja) エレベータ保護部材の取付方法
JP4679878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装置
JP6140455B2 (ja) 防水装置のシート
TWI526390B (zh) Lift into the anti-fall device
JP2007085134A (ja) シャッター装置
WO2022013765A1 (en) A safety device for lifting systems
ITPD20090176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 un profilo guida di una tenda ad attico
JP6112924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JP2012184116A (ja) エレベータ引き戸の案内装置
US20190217135A1 (en) Concertina Smoke or Fire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