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069A -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 Google Patents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069A
KR20150106069A KR1020140028081A KR20140028081A KR20150106069A KR 20150106069 A KR20150106069 A KR 20150106069A KR 1020140028081 A KR1020140028081 A KR 1020140028081A KR 20140028081 A KR20140028081 A KR 20140028081A KR 20150106069 A KR20150106069 A KR 20150106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bridge
guide
main bod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5024B1 (en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기술개발(주) filed Critical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to KR102014002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024B1/en
Publication of KR2015010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which comprises: grating water collection ports arranged to be spaced inside a bridge protective wall, wherein a first inflow hole is formed in one surface; a grating connecting the neighboring grating water collection ports, and wherein a second inflow hole is formed in one surface; and a lateral drain coupled to the grating water collection ports. The grating water collection ports and the lateral drain are not left from the bridge protective wall.

Description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linear drainage apparatu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waterworks apparatu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하천, 운하, 저지대, 골짜기 등에는 사람, 차량 등이 통행할 수 있도록 교량이 설치된다. 교량은 상판과, 상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방호벽과, 그리고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판 또는 방호벽에는 빗물, 오수 등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Bridges are installed in rivers, canals, lowlands, and valleys so that people and vehicles can pass through them. The bridge consists of a top plate, a barrier formed at the edge of the top plate to prevent fall, and a bridge supporting the top plate. A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water such as rainwater or sewage is installed on the top plate or the barrier wall.

배수장치에는 물의 유입과 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집수구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점배수장치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유입구가 형성되며 배출구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선배수장치가 있다.The drainage device includes a point drainage device in which water collecting ports at which water is simultaneously introduced and drai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 upstream water supply device in which an inlet is formed as a w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nd an outlet is formed at intervals.

선배수장치는 상판을 따라 길게 배치된 뒤 방호벽 또는 상판을 보강하는 철근에 고정된다. 이후 선배수장치는 철근 주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일부가 덮힌다.The predecessor device is arranged along the top plate and is fixed to the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the barrier wall or the top plate. Thereafter, the prefabricated device is partially covered by the concrete pouring around the reinforcing bars.

그러나, 선배수장치를 철근에 고정한 뒤 콘크리트 타설을 바로 진행하지 않고, 그 사이에 전선, 통신선을 배치하는 등 여러 가지 중간공정이 진행된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판에는 방호벽 및 상판 시공에 사용되는 여러 장비들이 이동하고 작동한다. 중간공정으로 인해 선배수장치를 철근에 고정한 뒤 교량 바닥 및 방호벽의 타설이 이뤄지기까지 짧게는 1월, 길게는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However, various intermediate processes are carried out, such as placing wires and telecommunication lines therebetween, without fixing the prefabricated devices to the reinforcing bars and proceeding immediately with concrete pouring. Before the concrete is laid, various devices used for fire wall and roof construction move and operate on the roof. It takes a short time in January and a long time more than a year until the bridging floor and the wall are put in place after fixing the senior water system to the reinforcing bar due to the intermediate process.

콘크리트 타설 전에 선배수장치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간공정 중에 작업자, 장비 등이 철근에 고정된 선배수장치를 건들게 된다. 이때 선배수장치를 초기에 설정한 수평 및 높이 등이 어긋나고 심지어 선배수장치가 파손되는 일이 잦았다. 이 경우 선배수장치를 다시 설치하거나 수평 등을 점검해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되었다. 선배수장치의 수평, 높이, 파손 등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면 선배수장치의 수평 및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없으며, 높이 및 수평 등이 어긋하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Since the overhead water system is install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before the concrete pouring, an operator, equipment, At this time, the horizontal and the height, which were set at the initial stage, were shifted and even the old water system was frequently damaged. In this case, the construction period has to be increas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install the old water system or check the horizontal lighting. If the concrete is installed without recognizing the horizontal, height, breakage, etc. of the water supply system, the horizontal and height of the water supply system can not be adjusted.

등록특허 제10-1088163호 (2011.11.23)Registration No. 10-1088163 (2011.11.23) 실용신안등록 제20-0300027호 (2002.12.23)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00027 (December 23, 2002)

본 발명은 작업자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설치성이 향상된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pre-watering apparatus with minimized contact of a worker and improved installation performanc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는 교량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된 그레이팅 집수구들, 이웃한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연결하며, 일면에 제2 유입홀들이 형성된 그레이팅, 그리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결합된 횡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와 상기 횡배수관은 상기 교량 방호벽을 벗어나지 않는다The bridge water prime m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rating collecting gap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bridge and have first inlet hol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second inlet holes connected to neighboring grating collecting holes, A grating, and a transverse drain pipe coupled to the grating catch, wherein the grating catch and the transverse drain pipe do not leave the bridge barrier

상기 교량 선배수장치는, 상기 횡배수관의 길이를 연장하는 토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idge prewate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ipe extending a length of the transverse water pipe.

상기 교량 선배수장치는 상기 교량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횡배수관에서 배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종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idge water prehea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drain pipe disposed outside the bridge, through which water drained from the horizontal drain pipe flows.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는,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rating collecting port may further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first inlet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nd an adjusting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adjusting the horizontal and height of the main body.

상기 조절부는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형성된 복수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는 볼트, 그리고 상기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ckets formed on the grating catch, bolts passing through the bracket, and first and second nuts coupled to the bolt with the bracket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는 그레이팅 집수구 및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연결되어 있는 그레이팅을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는,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상기 볼트에 체결된 제1 및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idg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grating collecting port and a grating connected to the grating collecting port, wherein the grating collecting port has first inlet hol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 main body, a plurality of brackets provided on the main body, a bolt passing through the bracket, and first and second nuts fastened to the bolt with the bracket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연결하며, 일면 일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유입홀들이 형성된 유입판,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판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레일, 그리고 상기 레일과 마주하고, 상기 유입판이 상기 몸체 내부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과 상기 지지바는 상기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grating includes a body connecting the grating collecting ports, a part of which is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inlet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portion of the body, and an inlet plate formed with the second inlet holes, And a support bar formed at one side of the opened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inlet plate portion is inserted and a support bar facing the rail and supporting the inlet plate so as not to be pushed into the body, May be formed along th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양측에는 상기 그레이팅의 단부를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홀은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상면 일부분이 생략되어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grating catch, the grating is formed with guide holes on both sides of the grating catch to guide the end of the grating into the guide hole,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catch is omitted .

상기 종배수관은,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를 연결하는 연결패널,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벽, 그리고 교량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패널의 폭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의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Wherein the vertical water pipe is vertically bent and has first and second guides facing each other with a gap therebetween, a connection panel connecting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nd first and second sidewalls facing each other and a cradle that can be disposed outside the bridge and that supports the first and second guides,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방법은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방호벽의 철근에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방호벽 주위에 배선공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배출구에 횡배수관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선공사를 끝낸 후에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그레이팅으로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철근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pre-water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grating collecting port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reinforcing bar of a barrier install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ridge top plate; Connecting a drainage pipe to a discharge port of a catchment, connecting the grating catches after grinding, and pouring concrete around the steel rope.

상기 교량 선배수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기 횡배수관에 캡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idge pre-wate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coupling the cap to the transverse pipe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상기 교량 선배수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횡배수관에 토출관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 외측에 상기 토출관과 연결된 종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idge water preheat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moving the cap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coupling a discharge pipe to the transverse pipe, and installing a longitudinal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utside the top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레이팅 집수구를 철근에 고정한 뒤 중간공정이 진행되고, 중간공정 후에 콘크리트 타설 바로 전에 그레이팅 집수구들 사이에 그레이팅이 설치되므로 중간공정 시 작업자, 장비 등에 의한 선배수장치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ating collecting port is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and the intermediate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grating is installed between the grating collecting holes just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after the intermediate proces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레이팅 집수구의 본체에는 상판을 기준으로 본체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가 결합되어 있다. 조절부는 본체에 연결된 브래킷, 단부가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판에 접할 수 있는 볼트 및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볼트에 체결된 제1, 2 너트를 포함한다. 제1, 2 너트가 볼트에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브래킷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본체의 수평 및 높이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볼트의 조절만으로 본체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조절이 용이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of the grating catch is coupled with a control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horizontal and height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The adjustment portion includes a bracke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bolt through which the end penetrates the bracket and can contact the top plate, and first and second nuts fastened to the bolt with the bracket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osition of the bracke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fastened to the bolt, and the horizontal and height of the main body may be adjusted. Therefore, i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and horizontal of the body by adjusting the bol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근에 고정된 그레이팅 집수구의 폭과 횡배수관의 길이 합이 철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계 타설시 그레이팅 집수구, 횡배수관은 타설장치와 간섭되지 않아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며 타설장치가 그레이팅 집수구, 횡배수관 등에 접촉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 등을 예방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of the width of the grating catch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and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draining pipe does not exceed the range of concrete placed in the reinforcing bars. 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machine, the grating catcher and the transverse catcher pipe are not interfered with the pouring equipment, so that it is easy to pour concrete, and prevent the breakdown that may occur when the pouring equipme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ating catcher and the side drain pip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교량 선배수장치가 설치된 교량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그레이팅 집수구와 그레이팅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IV-IV선을 따라 그레이팅 집수구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V-V선을 따라 그레이팅을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종배수관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배수본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3은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단계를 나타낸 시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bridge provided with the bridge pneumatic watering system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ating catch and grating shown i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ating catch along the line IV-IV shown in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ating along the line VV shown in Fig.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bell pipe shown in Fig. 2;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ain main body shown in Fig.
8 to 13 are views showing a construction step of a bridge pre-watering apparatu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dge pump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는, 그레이팅 집수구와 그레이팅을 포함한다.The bridge pr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rating catch and a grating.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집수구 및 그레이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그레이팅 집수구(100) 및 그레이팅(3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grating catch and grating of this embodimen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grating catch 100 and the grating 300 shown in Figs. 1 to 5,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그레이팅 집수구(100)는 본체(110) 및 조절부(200)를 포함하며, 교량의 방호벽 위치에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The grating catch 100 includes a body 110 and an adjuster 200 and may be spaced apart at the barrier wall position of the bridge.

본체(11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본체(110)의 양측에는 그레이팅(300)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홀(113a, 113b)이 형성되어 있고, 유도홀(113a, 113b)은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양측 상면 적어도 일부분이 생략되면서 형성된다.The main body 1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inside thereof penetr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Guide holes 113a and 113b for guiding the grating 3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At least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grating catch 100 are omitted from the guide holes 113a and 113b .

그레이팅 집수구(100)가 방호벽(12)에 배치될 때 본체(110)의 일면은 상판(11) 중앙을 향하며, 타면은 상판(11)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faces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1 and the other side faces toward the edge of the upper plate 11 when the grating catch 100 is disposed on the barrier wall 12. [

본체(110)의 일면에는 상판(11)의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홀(11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12)를 연장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타면에는 플랜지(1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플랜지(130)는 생략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first inlet holes 111 through which the water of the top plate 11 flows are formed at intervals, and on the other side, a discharge port 112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is discharged is formed. A flange 13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so as to extend the discharge port 112. However, the flange 130 may be omitted.

본체(110)에는 상판(11)을 기준으로 본체(110)의 수평, 높이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200)가 결합되어 있으며, 조절부(200)는 브래킷(211), 볼트(212), 제1 너트(213), 그리고 제2 너트(214)를 포함한다.A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horizontal and height of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11. 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 bracket 211, A first nut 213, and a second nut 214.

브래킷(211)은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 하부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211)에는 구멍(211a)이 형성되어 있다.The brackets 21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racket 211 is provided with a hole 211a.

볼트(212)의 단부는 구멍(211a)을 관통하며, 제1 너트(213)와 제2 너트(214)는 볼트(212)에 체결된 상태에서 브래킷(21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제1 너트(213)와 제2 너트(214)가 볼트(212)에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브래킷(211)의 위치가 달라진다. 제1 너트(213) 및 제2 볼트(212) 위치 조절로 본체(110)의 높이나 수평 등이 조절된다.The end of the bolt 212 passes through the hole 211a and the first nut 213 and the second nut 214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bracket 211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state of being fastened to the bolt 212. The position of the bracket 21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nut 213 and the second nut 214 are fastened to the bolt 212.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10,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like ar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nut 213 and the second bolt 212.

이와 같은 그레이팅 집수구(100)는 주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유입홀(111)은 별도의 패널이 본체(110)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주조와 동시에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211)도 본체(110)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유입홀(111) 및 브래킷(211) 형성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재료 사용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유입홀(111)이 형성된 패널이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11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패널이 손상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유입홀(111)이 본체(11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므로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The grating catch 100 may be formed by a casting method. The first inlet hole 111 is not formed by attaching a separate panel to the main body 110,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10 . Also, the bracket 211 may be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main body 110.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forming the first inlet hole 111 and the bracket 211 can be shortened, and the use of materials can be minimized. Further, when the panel having the first inlet hole 111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the panel may be damaged by the pressure of the incoming water.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let hole 111 The above-described problem does not occur because the light emitting diode 100 is directly formed on the main body 110.

그레이팅 집수구(100)는 방호벽(12)의 철근(121)에 밴딩, 리벳, 볼트,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며, 수평 및 높이가 조절된 후 고정될 수 있다.The grating catch 100 is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121 of the barrier wall 12 by bending, riveting, bolt, welding, or the like, and may be fixed after be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djusted.

그레이팅(300)은 몸체(310)와 유입판(320)을 포함하며, 이웃한 그레이팅 집수구(100)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된 물을 그레이팅 집수구(100)로 안내한다.The grating 300 includes a body 310 and an inflow plate 320 and is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grating collecting ports 100 to guide the introduced water to the grating collecting port 100.

그레이팅(300)은 배수 간격을 따라 배치된 그레이팅 집수구(1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310)의 길이가 본체(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몸체(310)는 유도홀(113a, 113b)을 통하여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몸체(310)와 본체(110)는 용접, 볼트, 리벳 등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몸체(310)와 본체(110) 사이에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The grating 300 is for connecting the grating catch 100 arranged along the drain interval. The length of the body 31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10. The body 31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guide holes 113a and 113b. The body 310 and the body 110 may be joined to each other by welding, bolt, rivet, or the like. Between the body 310 and the main body 110, a seal (not shown) for preventing leakage of water may be disposed.

몸체(310)의 일측은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 부분에는 유입판(320)이 설치되어 있다.One side of the body 310 is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flow plate 320 is installed at the open side.

유입판(320)에는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홀(32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311)의 일측 주변에는 유입판(320)을 고정하는 레일(312)이 형성되어 있고, 레일(312)에는 유입판(320)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312a)이 형성되어 있다.The inflow plate 320 is formed with second inflow holes 321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 rail 312 for fixing the inflow plate 320 is formed around one side of the opening 311. An insertion hole 312a through which the inflow plate 320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on the rail 312.

개방부(311)의 타측 주변에는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유입판(320)이 몸체(310) 내부로 밀리지 않도록 유입판(320)을 지지하는 지지바(313)가 형성되어 있다.A support bar 313 for supporting the inflow plate 3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311 to prevent the inflow plate 320 from being pushed into the body 310 by the pressure of the inflow water.

몸체(310) 내부가 쓰레기 등에 의해 막힐 경우 유입판(320)을 몸체(310)에서 분리한 뒤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inside of the body 310 is clogged with garbage or the like, the inflow plate 320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310 and the garbage can be removed.

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300)의 구조를 위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300)은 본 출원 이전에 공지된 많은 구성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grating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grating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many configurations known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시공 순서를 보면, 그레이팅 집수구(100)를 방호벽(12)의 철근(121)에 고정한 후 전선이나 통신선을 배치하는 등의 여러 가지 중간공정이 진행되고, 이후 그레이팅 집수구(100)들 사이에 그레이팅(300)을 설치하며, 그런 다음 콘크리트 타설이 이뤄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배수장치를 사용하여 시공할 경우, 배수 간격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그레이팅 집수구(100)만 설치되고 길이가 긴 그레이팅(30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가지 중간공정을 수행하는 바, 작업자나 장비의 움직임에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만약, 그레이팅이 설치된 상태에서 여러 가지 중간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중간공정 수행 시 작업자나 장비 등에 의해 그레이팅의 수평이 어긋나거나 파손되어 다시 수평을 맞춰야 하거나 교체 등으로 인해 시공시간 등이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grilling catch 10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such as by fixing the grating catch 100 to the reinforcing bar 121 of the barrier wall 12 and arranging a wire or a communication line, A grating 300 is installed therebetween, and then a concrete pouring is performed.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prefabricate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grating catch 100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drain interval, and in the state where the long grating 300 is not installed, Performing the process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or equipment. If the intermediate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grating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ating is horizontally shifted or broken by the operator or equipment during the intermediate process, do.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bridge pump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는, 그레이팅 집수구(100), 그레이팅(300), 횡배수관(400), 토출관(500) 및 종배수관(600)을 포함하며, 교량(1)의 상판(11) 또는 방호벽(12)에 설치되어 상판(11)에 흐르는 빗물, 오수 등의 물을 교량(1) 외부로 배수시킨다.The bridge water prime 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rating water collecting port 100, a grating 300, a lateral water pipe 400, a discharge pipe 500 and a longitudinal water pipe 600, 11 or the barrier wall 12 to drain water such as rainwater, sewage or the like flowing in the upper plate 11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1. [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그레이팅 집수구 및 그레이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집수구(100) 및 그레이팅(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레이팅 집수구 및 그레이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grating catch and grating of the bridge pum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grating catch 100 and the grating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rating and the grating will be omitt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dge pum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횡배수관(400)은 플랜지(130)에 결합하여 배출구(112)를 연장한다. 횡배수관(400)의 일부분이 플랜지(130)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플랜지(130)가 생략된 경우 횡배수관(400)은 배출구(112)에 위치하여 본체(110)에 결합된다. 횡배수관(400)은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횡배수관(400)의 길이는 방호벽(12)의 두께에 따라 설정된다.The transverse drain pipe (400) is coupled to the flange (130) to extend the outlet (112). And a portion of the transverse drain pipe 400 is inserted into the flange 130. [ When the flange 130 is omitted, the lateral drain pipe 400 is positioned at the discharge port 112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he transverse drain pipe 4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10.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400 is se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rrier wall 12.

횡배수관(400)은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물을 교량(1) 외부로 배출한다. 물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횡배수관(400)은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The transverse drainage pipe (400) discharges the water of the grating catch (100)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1). The lateral water pipe 4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low of water is smoothly performed.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폭(W1)과 횡배수관(400)의 길이(L1)의 합(S)은 철근(121)에 콘크리트(122)가 타설된 방호벽(12)의 두께(T)와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다(도 2 참조). 이는 철근(121) 주변에 콘크리트(122)를 타설할 때, 특히 기계 타설할 때 그레이팅 집수구(100) 및 횡배수관(400)이 타설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횡배수관(40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130)가 횡배수관(400)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um S of the width W1 of the grating catch 100 and the length L1 of the transverse drain pipe 400 is equal to the thickness T of the barrier wall 12 in which the concrete 122 is placed in the reinforcing bar 121 Or may be short (see FIG. 2). This is to prevent the grating catch 100 and the lateral drain pipe 400 from interfering with the pouring device (not shown) when the concrete 122 is poured around the reinforcing bars 121, particularly when the machine is installed. The transverse drain pipe 40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flange 130 may serve as the lateral drain pipe 400.

횡배수관(400)에는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토출관(500)이 결합된다. 횡배수관(400)이 생략된 경우 토출관(500)은 플랜지(130)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관(500)은 철근(121) 주변에 콘크리트(122)를 타설한 후에 횡배수관(400)에 결합된다. 토출관(500)의 결합으로 그레이팅 집수구(100)와 횡배수관(400)의 내부는 방호벽(12) 외부로 연통된다. 이에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물은 횡배수관(400)과 토출관(500)을 통하여 교량(1)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러나 토출관(50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물 횡배수관(400)을 통하여 교량(1) 외부로 바로 배수될 수 있다.A discharge pipe 500 for extending the length is coupled to the lateral water pipe 400. When the lateral water pipe 400 is omitted, the discharge pipe 500 can be coupled to the flange 130. The discharge pipe 500 is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400 after placing the concrete 122 around the reinforcing bars 121. The inside of the grating catch 100 and the side water pipe 400 ar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barrier wall 12 by the engagement of the discharge pipe 500. The water of the grating catch 100 may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1 through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400 and the discharge pipe 500. However, the discharge pipe 50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water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1 through the water transverse drainage pipe 400.

종배수관(600)은 배수본체(610) 및 거치대(620)를 포함하며, 교량(1)의 외부에 설치되어 토출관(500)에서 배수되는 물을 하천, 지면 등으로 유도한다(도 6 및 도 7을 참조).The vertical drain pipe 600 includes a drain main body 610 and a mount 620 and is installed outside the bridge 1 to guid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500 to a river or a ground surface See FIG. 7).

배수본체(610)는 제1 가이드(611a), 제2 가이드(611b), 연결패널(613), 제1 측벽(614), 그리고 제2 측벽(615)을 포함하며, 물의 흐름을 유도한다.The drainage body 610 includes a first guide 611a, a second guide 611b, a connecting panel 613, a first side wall 614 and a second side wall 615 to guide the flow of water.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한다.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는 기설정된 폭을 가지는 패널이 그 폭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다. 이에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는 “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의 폭 방향 양측에는 제1 끼움홀(612a) 및 제2 끼움홀(612b)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guide 611a and the second guide 611b are formed identically and face each other with an interval. The first guide 611a and the second guide 611b are vertically ben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first guide 611a and the second guide 611b are formed in a " b " shape. A first fitting hole 612a and a second fitting hole 612b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widthwise sides of the first guide 611a and the second guide 611b.

연결패널(613)은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패널(613)의 양측은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의 제1 끼움홀(612a)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패널(613)의 폭(W1) 변화에 따라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의 사이 간격(G)이 조절된다. 연결패널(613)의 폭(W2)은 교량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anel 613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uide 611a and the second guide 611b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nel 613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611a and 611b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s 611a and 611b 612a. The gap G between the first guide 611a and the second guide 611b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idth W1 of the connection panel 613. [ The width W2 of the connection panel 613 may var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bridge.

제1 측벽(614) 및 제2 측벽(615)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제1 측벽(614)은 제1 가이드(611a)의 제2 끼움홀(612b)에 결합되어 있고, 제2 측벽(615)은 제2 가이드(611b)의 제2 끼움홀(612b)에 결합되어 있다. 제1 측벽(614)과 제2 측벽(615)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2 측벽(615)은 제2 끼움홀(612b)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가이드(611b)와 리벳,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The first side wall 614 and the second side wall 615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first side wall 614 is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hole 612b of the first guide 611a, 615 are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hole 612b of the second guide 611b. The first sidewall 614 and the second sidewall 615 face each other with a gap therebetween. The second side wall 615 is fixed to the second guide 611b by rivets, bolts or the like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hole 612b.

제1 측벽(614) 및 제2 측벽(615)의 결합으로 종배수관(600)에는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수로가 형성된다. 제1 끼움홀(612a)과 연결패널(613) 사이, 제2 끼움홀(612b)과 제1 측벽(614) 및 제2 측벽(615) 사이에는 물의 누출을 막는 실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The drainage pipe 6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wall 614 and the second sidewall 615 to form a drainage path for guiding the flow of water. A seal (not shown)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tting hole 612a and the connecting panel 613 and between the second fitting hole 612b and the first side wall 614 and the second side wall 615 .

거치대(620)는 거치 브래킷(621) 및 거치앵글(622)을 포함하며, 교량(1) 외측에서 배수본체(610)를 지지한다.The holder 620 includes a mounting bracket 621 and a mounting angle 622 and supports the drainage body 610 outside the bridge 1. [

거치 브래킷(621)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상부측이 교량(1)에 앵커볼트(621a)로 고정되어 있다. 거치 브래킷(621) 하부측에는 거치앵글(622)이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배수본체(610)를 지지한다. 배수본체(610)는 거치앵글(622)에 놓인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630)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브래킷(630)은 제1 측벽(614)과 리벳,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종배수관(60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관(500) 또는 횡배수관(400)에서 배수는 물은 교량(1) 외부로 바로 배수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621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upper side is fixed to the bridge 1 by anchor bolts 621a. A mounting angle 622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bracket 621 to support the drain main body 610. The drainage main body 610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630 while being placed on the mounting angle 622. The fixing bracket 630 is fixed to the first side wall 614 by rivets, bolts or the like. The vertical drain pipe 60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drainage water from the discharge pipe 500 or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400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1.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waterwork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FIG.

도 8은 방호벽 철근에 그레이팅 집수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그레이팅 집수구에 횡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그레이팅 집수구에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철근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횡배수관에 토출관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상판에 종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8 shows a state in which a grating catch is installed in a reinforcing bar wall,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a side drain pipe is installed in the grating catch,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grating is installed in the grating catch, 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pipe is installed in a lateral water pipe, and 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a water pipe is installed in a top pipe.

도 8을 참고하면, 교량의 상판(11) 가장자리에 방호벽(12)(도 2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철근(121)이 설치된 상태에서, 철근(121)에 배수 간격에 따라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들을 설치한다.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는 제1 유입홀(111)이 형성된 일면이 상판(11)의 중앙을 향하도록 하고, 배출구(112)가 형성된 타면이 상판(11)의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한다.8, when the reinforcing bars 121 for forming the barrier walls 12 (see FIG. 2) are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upper plate 11 of the bridge, (100a). The grating collecting receptacle 100 and the grating collecting receptacle 100a are formed such that the first inlet hole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11 and the other side on which the outlet 112 is formed faces the edge of the upper plate 11.

조절부(200)의 조절로 상판(11)을 기준으로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높이 및 수평 등을 조절한다. 이후 그레이팅 집수구(100)는 철근(121)에 용접, 밴딩, 볼트, 리벳 등으로 고정한다.The height and the horizontal height of the grating catch 100 are adjusted with reference to the upper plate 11 by adjusting the adjuster 200. Thereafter, the grating catch 100 is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121 by welding, bending, bolt, rivet, or the like.

도 9를 참고하면, 설치된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의 플랜지(130)에 횡배수관(400)을 결합한다.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횡배수관(400)은 배출구(112)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횡배수관(400)의 단부에는 캡(410)을 결합한다. 그러나 캡(410) 결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ide water pipe 400 is coupled to the flange 130 of the installed grating 100 (100a). For the smooth drainage of water, the lateral drain pipe 400 is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it is far from the outlet 112. The cap 41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lateral water pipe 400. However, coupling of the cap 410 may be omitted.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와 횡배수관(400)를 설치할 때 이들이 철근(121)에 주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한다.When installing the grating collecting ports 100a and the lateral draining pipes 400, they are install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range of the concrete poured around the reinforcing bars 121.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의 설치가 완료되면 철근(121) 주변에 통신선, 전기선 등을 배선하고, 상판(11)에 교량(1) 시공에 필요한 장비(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송, 작동하는 중간공정을 진행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grating collecting ports 100a is completed, a communication line, an electric wire or the like is wired around the reinforcing bars 121 and the equipment (not shown) necessary for constructing the bridge 1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late 11, .

도 10을 참고하면, 장비 운반 및 중간공정 등이 완료되면 이웃한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사이에 그레이팅(300)을 설치한다. 그레이팅(300)의 양단부를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내부로 삽입한다.Referring to FIG. 10, a grating 300 is installed between neighboring grating collecting ports 100a when the equipment transportation and the intermediate process are completed. Both ends of the grating 300 are inserted into the gratings 100 and 100a.

그레이팅(300)의 일단을 일측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유도홀(113a)을 통하여 그레이팅 집수구(100) 내부로 삽입한다. 이후, 그레이팅(300)을 타측 그레이팅 집수구(100a)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레이팅(300)의 타단을 타측 그레이팅 집수구(100a) 내부로 삽입한다. 유도홀(113a)(113b)에 의하여 그레이팅(300)의 양단은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레이팅(300)의 양단부가 그레이팅 집수구(100, 100a) 내부로 삽입되어 유도홀(113a, 113b)은 폐쇄되며, 그레이팅(300)은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들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One end of the grating 300 is inserted into the grating catch 100 through the guide hole 113a of the grating catch 100 on one side. Thereafter, the grating 30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grating catch 100a, and the other end of the grating 3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grating catch 100a. Both ends of the grating 3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rating catch 100 (100a) by the guide holes 113a and 113b. Both ends of the grating 300 are inserted into the grating collecting ports 100 and 100a so that the induction holes 113a and 113b are closed and the grating 300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grating collecting ports 100 and 100a.

그레이팅(300)과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는 용접, 볼트, 리벳 등으로 결합되며 그레이팅(300)과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사이를 실링 처리한다. 그레이팅(300) 또한 철근(121)에 용접, 밴딩, 리벳, 볼트 등으로 고정한다.The grating 300 and the gratings 100 and 100a are joined by welding, bolts, rivets, etc., and the grating 300 and the gratings 100 and 100a are sealed. The grating 300 is also fixed to the reinforcing bars 121 by welding, bending, rivets, bolts or the like.

한편, 횡배수관(400) 설치는 그레이팅(300)을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에 설치한 다음에 할 수 있다. 횡배수관(400)은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제작 시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에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teral water pipe 400 can be installed after the grating 300 is installed in the grating catch 100 (100a).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400 may be coupled to the grating catch 100 (100a) when manufacturing the grating catch 100 (100a).

도 11을 참고하면, 기계 타설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철근(121) 주변에 콘크리트(122)를 타설하여 방호벽(12)을 완성한다. 이때 그레이팅 집수구(100)와 횡배수관(400)이 콘크리트 타설 범위 내에 위치하므로 타설장치에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횡배수관(400)에 캡(41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횡배수관(400)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1, the concrete wall 122 is laid around the reinforcing bars 121 by using a machine pouring device (not shown) to complete the barrier wall 12. At this time, since the grating catch 100 and the side drain pipe 400 are located within the concrete pouring range, they are not interfered with the pouring apparatus. Since the cap 410 is coupled to the side water pipe 400, the concrete does not flow into the side water pipe 400.

도 12를 참고하면,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캡(410)을 제거하고, 횡배수관(400)에 토출관(500)을 결합하여 횡배수관(400)을 방호벽(12) 외부로 연장한다.12,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e cap 410 is removed, and the discharge pipe 500 is connected to the side discharge pipe 400 to extend the side discharge pipe 400 to the outside of the barrier wall 12.

도 13을 참고하면, 교량(1) 외측에 배수본체(610)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620)를 교량(1)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교량(1)의 주변 환경에 맞게 배수본체(610)의 폭을 조절한 뒤 거치대(620)에 배수본체(610)을 배치하여 토출관(500)과 연결되도록 한다. 고정브래킷(630)으로 배수본체(610)를 거치대(620)에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교량 선배수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판(11)에 아스콘 공사를 실시한다. 아스콘 공사는 종배수관(600) 설치 전에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mounting table 620 for supporting the drain main body 610 is installed outside the bridge 1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1. The width of the drain main body 6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bridge 1 and the drain main body 610 is disposed on the mount 620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500. [ The drainage main body 610 is fixed to the mount 620 by the fixing bracket 630 so as not to move.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ing water supply system is completed, ascon construction is carried out on the roof (11). Ascon Corporation can do before installation of the drainage pipe (6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교량 11: 상판
12: 방호벽 121: 철근
122: 콘크리트 100: 그레이팅 집수구
110: 본체
111: 제1 유입홀 112: 배출구
113a, 103b: 유도홀 200: 조절부
211: 브래킷 211a: 구멍
212: 볼트 213: 제1 너트
214: 제2 너트 300: 그레이팅
310: 몸체 311: 개방부
312: 레일 312a: 삽입홀
313: 지지바 320: 유입판
321: 제2 유입홀 400: 횡배수관
410: 캡 500: 토출관
600: 종배수관 610: 배수본체
611a: 제1 가이드 611b: 제2 가이드
612a: 제1 끼움홀 612b: 제2 끼움홀
613: 연결패널 614: 제1 측벽
615: 제2 측벽 620: 거치대
621: 거치 브래킷 622: 거치앵글
1: Bridge 11: Top plate
12: barrier wall 121: reinforcing bar
122: concrete 100: grating collector
110:
111: first inlet hole 112: outlet
113a, 103b: guide hole 200:
211: bracket 211a: hole
212: bolt 213: first nut
214: second nut 300: grating
310: body 311:
312: rail 312a: insertion hole
313: support bar 320: inlet plate
321: second inflow hole 400: lateral water pipe
410: Cap 500: Discharge tube
600: type water pipe 610: drain water body
611a: first guide 611b: second guide
612a: first fitting hole 612b: second fitting hole
613: connecting panel 614: first side wall
615: second side wall 620:
621: Mounting bracket 622: Mounting angle

Claims (12)

교량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된 그레이팅 집수구들,
이웃한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연결하며, 일면에 제2 유입홀들이 형성된 그레이팅, 그리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결합된 횡배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와 상기 횡배수관은 상기 교량 방호벽을 벗어나지 않는
교량 선배수장치.
Grating collectors spaced apart in the bridge and having first inlet hol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grating connecting adjacent grating collecting holes and having second inlet hol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grating collecting port
/ RTI >
Wherein the grating catch and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do not leave the bridge wall
Bridges.
제1항에서,
상기 횡배수관의 길이를 연장하는 토출관을 더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ischarge pipe extending a length of the lateral water pipe.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교량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횡배수관에서 배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종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vertical drain pipe disposed outside the bridge and through which water drained from the lateral drain pipe flows.
제1항에서,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는,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ating collecting port further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first inlet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nd an adjusting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adjusting a horizontal and a height of the main body.
제4항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형성된 복수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는 볼트, 그리고
상기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너트
를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ler
A plurality of brackets formed on the grating catch,
A bolt passing through the bracket, and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 RTI ID = 0.0 >
Containing
Bridges.
그레이팅 집수구 및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연결되어 있는 그레이팅을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는,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상기 볼트에 체결된 제1, 2 너트를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And a grating connected to the grating collector, wherein the grating collecto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irst inlet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brackets provided on the main body, A bolt passing through the bracket, and first and second nuts fastened to the bolt with the bracket interposed therebetween. 제4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그레이팅의 단부를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홀은 상기 본체의 상면 일부분이 생략되어 형성된 교량 선배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The guide hole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o as to guide the end of the grating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Receiving device.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연결하며, 일면 일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유입홀들이 형성된 유입판,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판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레일, 그리고
상기 레일과 마주하고, 상기 유입판이 상기 몸체 내부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
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과 상기 지지바는 상기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교량 선배수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In the grating,
A body connecting the grating collecting ports and having a part of one surface thereof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inlet plate removably coupled to an open portion of the body, the inlet plate having the second inlet holes formed therein,
A rail formed at one side of the open part of the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art of the inflow plate is inserted,
A support bar facing the rail and supporting the inflow plate so as not to be pushed into the body,
/ RTI >
The rail and the support bar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Bridges.
제3항에서,
상기 종배수관은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를 연결하는 연결패널,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벽, 그리고
교량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를 지지 고정하는 거치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패널의 폭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교량 선배수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ell pipe
The first and second guides being vertically bent and spaced apart,
A connection panel connecting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coupled to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nd facing each other, and
A cradle that can be coupled to the bridge and supports the first and second guides
/ RTI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anel
Bridges.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방호벽의 철근에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방호벽 주위에 배선공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배출구에 횡배수관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선공사를 끝낸 후에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그레이팅으로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철근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방법.
Installing grating collecting ports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reinforcing bars of a barrier wall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Conducting wiring work around the barrier wall,
Coupling a transverse drain pipe to the outlet of the grating catch,
Connecting the grating catches to the grating after finishing the wiring work, and
Placing concrete around the reinforcing bars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0항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기 횡배수관에 캡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joining the cap to the transverse drain pipe prior to the concrete being poured.
제11항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횡배수관에 토출관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 외측에 상기 토출관과 연결된 종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Removing the cap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and coupling the discharge pipe to the transverse pipe;
A step of installing a vertical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utside the upper plat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40028081A 2014-03-11 2014-03-11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KR101625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081A KR101625024B1 (en) 2014-03-11 2014-03-11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081A KR101625024B1 (en) 2014-03-11 2014-03-11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069A true KR20150106069A (en) 2015-09-21
KR101625024B1 KR101625024B1 (en) 2016-06-07

Family

ID=5424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081A KR101625024B1 (en) 2014-03-11 2014-03-11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024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06B1 (en) * 2016-08-12 2016-12-05 신영기술개발(주) Drainpipe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KR101722646B1 (en) * 2015-11-13 2017-04-03 이장원 Water-proofing and water-draining apparatus for bridges
KR101994832B1 (en) * 2018-08-31 2019-07-01 이지용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KR102017871B1 (en) * 2018-10-30 2019-09-03 현빈개발 주식회사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using cantilever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200493656Y1 (en) * 2020-10-21 2021-05-12 김은정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KR102337916B1 (en) * 2021-06-15 2021-12-09 진효순 Drain facility of bridge
KR102346723B1 (en) * 2021-05-28 2022-01-03 (주)이알코리아 Bridge drainage pipe connection system
KR20220022607A (en) * 2020-08-19 2022-02-28 김정년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875B1 (en) * 2016-09-12 2016-12-02 김원주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KR101813621B1 (en) 2017-04-11 2017-12-29 정구선 Drainage System for Use in Bridges
KR101944980B1 (en) 2018-05-10 2019-02-01 다산기업 주식회사 Liner drain device using line type drainage guidance compon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2258378B1 (en) * 2020-09-28 2021-05-31 그린로드(주) Transverse drain pipe of apparatus for draining wastewater of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7Y1 (en) 2002-09-30 2003-01-06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Drainage apparatus of slab of bridge using rectangular pipe
KR101088163B1 (en) 2010-05-27 2011-12-02 금창준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KR101263000B1 (en) *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exhaust pipe attached duel pipe
KR101349720B1 (en) * 2013-10-10 2014-01-16 현빈개발 주식회사 Drainpipe structure for bridge
KR101351895B1 (en) * 2013-09-11 2014-01-20 김원주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of the brid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7Y1 (en) 2002-09-30 2003-01-06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Drainage apparatus of slab of bridge using rectangular pipe
KR101088163B1 (en) 2010-05-27 2011-12-02 금창준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KR101263000B1 (en) *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exhaust pipe attached duel pipe
KR101351895B1 (en) * 2013-09-11 2014-01-20 김원주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of the bridge
KR101349720B1 (en) * 2013-10-10 2014-01-16 현빈개발 주식회사 Drainpipe structure for bridg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646B1 (en) * 2015-11-13 2017-04-03 이장원 Water-proofing and water-draining apparatus for bridges
KR101682406B1 (en) * 2016-08-12 2016-12-05 신영기술개발(주) Drainpipe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KR101994832B1 (en) * 2018-08-31 2019-07-01 이지용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KR102017871B1 (en) * 2018-10-30 2019-09-03 현빈개발 주식회사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using cantilever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20220022607A (en) * 2020-08-19 2022-02-28 김정년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KR200493656Y1 (en) * 2020-10-21 2021-05-12 김은정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KR102346723B1 (en) * 2021-05-28 2022-01-03 (주)이알코리아 Bridge drainage pipe connection system
KR102337916B1 (en) * 2021-06-15 2021-12-09 진효순 Drain facility of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024B1 (en)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024B1 (en)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KR101577977B1 (en) Floodgate using hydraulic cylinder
JP4484287B2 (en) Building floor
KR101776805B1 (en) Prefabricated bridge drainage system
WO2017074245A1 (en) A shaft pipe collection module
KR1014208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epting water of intercepting sewer
SE0602178L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fixing the drainage channel
KR101094745B1 (en) Position set-up device of insert plate for pipe supporting tool installation
KR101221526B1 (en) A boundary stone
KR102258378B1 (en) Transverse drain pipe of apparatus for draining wastewater of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8952157B (en) Construction method for sharing screw hole by aluminum alloy template and climbing frame
KR20130114984A (en) Moving and lifting device of table form
CN209509149U (en) One kind can have enough to meet the need automatic adjustable regularization staircase and cut off the water supply high-altitude spray system
CN105113806B (en) Concrete floor displacement wood floor construction method and waterproof cloth fixing structure
KR200473612Y1 (en) deck plate with channel connection part
KR101156980B1 (en)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and establishment method thereof for fine view improvement type
CN207685959U (en) A kind of floor when construction for Super High intercepts water drainage arrangement
CN109138467B (en) Water interception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60121676A (en)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052339B1 (en) Prefabricated tank drainage of the deck
KR100312849B1 (en) Cast system for providing tunnel lining and process for forming tunnel lining by the same
JP2004314000A (en) Oil-water separator
KR20200009635A (en) Expansion joint for bridge with drainage function
CN109555131A (en) A kind of Construction of Civil Engineering foundation pit side-wall covering protection device
KR101491405B1 (en) extended drain installation structure of high-level road or step by step foundation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