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916B1 - Drain facility of bridge - Google Patents

Drain facility of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916B1
KR102337916B1 KR1020210077566A KR20210077566A KR102337916B1 KR 102337916 B1 KR102337916 B1 KR 102337916B1 KR 1020210077566 A KR1020210077566 A KR 1020210077566A KR 20210077566 A KR20210077566 A KR 20210077566A KR 102337916 B1 KR102337916 B1 KR 10233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trench
bridge
holder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효순
안혜진
Original Assignee
진효순
안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효순, 안혜진 filed Critical 진효순
Priority to KR1020210077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9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Abstract

Disclosed is a drain facility for a bridge to easily install a grating on the open front part of a trench and prevent accumulation of sludge flowing along with rainwater on an assembly part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grating and the trench. The disclosed drain facility for a bridge includes: a holder, as an installation part,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a trench at the upper part of the trench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a front opening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opened to the front; an upper fixing part separably fixing the upper part of a grating to the holder; and a lower fixing part separably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grating to the inner side of the trench.

Description

교량용 배수시설{DRAIN FACILITY OF BRIDGE}DRAIN FACILITY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슬래브의 갓길 방호벽에 매립 설치되는 트랜치의 개방된 전면부에 그레이팅을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레이팅의 하부와 트랜치의 조립 부위로 우수와 함께 유동되는 슬러지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레이팅을 통해 트랜치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모아 설정 위치로 배출 안내함에 따라 트랜치 내부의 슬러지 청소 설정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종배수관의 직경 또는 위치를 가변 후 관지지브라켓에 조립 가능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설치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교량용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open front part of a trench buried in the shoulder protection wall of a bridge slab to facilitate the grating, and the lower part of the grating and the assembly part of the trench It prevents the sludge flowing with rainwater from being deposited, collects the sludge flowing into the trench through the grating and guides the discharge to the set location, thereby extending the set period for cleaning the sludge inside the trench,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workers, and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workers. It relates to a drainage system for bridges that can be assembled on a pipe support bracket after varying the diameter or position of the bridge, providing convenience for installation work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교량에는 우수 등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통상 교량의 슬래브쪽에 배수로가 형성되는데, 교량의 배수시설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 교량(도로)의 교면 침수로 교통사고가 유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의 자중 증가로 인해 일부 배수관의 연결고리가 탈락되어 중대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In bridges, drainage channels are usually formed on the slab side of the bridge so that rainwater can be easily discharged. 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the self-weight of the drain pipe, some of the drain pipes may be disconnected, which may lead to a serious safety accident.

즉, 교량의 배수관 굴곡 및 연결부 막힘으로 인해 교면 배수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많아 교면 배수시설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소개된 대부분의 교량에 적용된 배수로는 통상 교량의 슬래브를 천공하고 슬래브의 길이방향으로 배수관을 매입시켜, 교량의 우수가 슬래브의 천공부위 및 배수관을 통해 집수된 후 교량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In other words, due to the bending of the bridge drainage pipe and blockage of the connection part, the efficiency of the bridge drainage is lowered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so improvement of the bridge drainage system is required. The drainage system applied to most of the bridges introduced so far is usually to drill the slab of the bridge and embed the drainag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 so that rainwater from the bridge is collected through the slab drilling part and the drainage pipe and then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is average.

그런데 기존 교량의 배수 시스템은 배수관 내부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외부에서 막힌 부분을 찾을 수 없으므로 유지 및 점검 작업이 대단히 불편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슬래브를 훼손한 후 다시 배수관을 포함하는 슬래브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필요 이상으로 유지비용이 많이 발생될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xisting bridge drainage system is very inconvenient to maintain and inspect because it cannot find the clogged part from the outside even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drainage pipe.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costs may be higher than necessar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교량의 슬래브를 천공하고 그 천공부위에 배수관을 매입시키는 기존 교량의 배수 시스템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시키고자 소개된 개량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889995호의 교량용 배수관로 및 그 시공방법을 보면 구조적으로 슬래브의 파손을 줄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유지 및 보수작업을 향상시키는 측면이 있으나, 방호벽에 내설되는 한쪽의 배수부와 외부 노출되는 다른 한쪽의 배수부를 연결시키는 거치부가 방호벽에 내설된 배수부의 하단에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으로 결합 구성됨에 따라, 방호벽 밖에 외부 노출되어 설치 연결되는 이들 거치부와 다른 한쪽의 배수부가 방호벽에 대해 구조적으로 대단히 불안정되게 일체 구조화된 결합상태를 갖게 되며, 이는 많은 양의 배수가 일순간에 배출될 때 이들 구조체들이 쉽게 분리 파손될 수 있다는 구조적인 열악함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 improvement technology introduced to impro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existing bridge drainage system in which the slab of the bridge is drill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drainage pipe is embedded in the drilling part, it is an improvement technology introduced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0889995 for bridges. If you look at the drainage pi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t structurally reduces the damage of the slab and improves durability while improving the maintenance and repair work. As the mounting par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rainage unit built into the protection wall by line contact rather than by surface contact, these mounting units exposed outside the protection wall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drainage part are structurally very unstable with respect to the protection wall. It has a bonding state, which has not been solved because of the structural poorness that these structures can be easily separated and broken when a large amount of drainage is discharged at once.

또한, 이들 배수부를 통해 교량 밖으로 우수와 함께 배출되는 각종 오물과 이물질이 적절히 정화 처리되지 못하고 그대로 배수로를 통해 교량 아래쪽으로 배출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쉽게 배수로가 막히면서 원활한 배수처리가 방해될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지는 못하고 있다. 결국 배수라인을 형성하는 이들 배수부 및 거치부의 막힘으로 인해 유지관리가 불량하고 배수효율이 저하되며, 빗길 대형 교통사고의 우려가 문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various wastes and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ogether with rainwater out of the bridge through these drainage units are not properly purified and are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bridge through the drainage channels as they are. The problem has not been resolved. In the end, due to the clogging of these drainage parts and mounting parts forming the drainage line, maintenance is poor, drainage efficiency is lowered, and concerns about large-scale traffic accidents in the rain are being raise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technology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 슬래브의 갓길 방호벽에 매립 설치되는 트랜치의 개방된 전면부에 그레이팅을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레이팅의 하부와 트랜치의 조립 부위로 우수와 함께 유동되는 슬러지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용 배수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open front part of the trench buried in the shoulder protection wall of the bridge slab to facilitate the grating, and the lower part of the grating and the assembly part of the trenc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to prevent sludge flowing with rainwater from being deposited.

본 발명은 그레이팅을 통해 트랜치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모아 설정 위치로 배출 안내함에 따라 트랜치 내부의 슬러지 청소 설정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교량용 배수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sludge flowing into the trench through the grating and guides the discharge to the set position, thereby extending the set period for cleaning the sludge inside the trench, thereby providing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to provide convenience to workers.

본 발명은 종배수관의 직경 또는 위치를 가변 후 관지지브라켓에 조립 가능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설치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교량용 배수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that can be assembled on a pipe support bracket after varying the diameter or position of a vertical drainage pipe to provide convenience for installation work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은; 교량용 슬래브의 갓길 방호벽에 매립되고, 전측개방구를 형성한 트랜치; 상기 전측개방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자가 설정치 이상인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면서 우수를 상기 트랜치 내부로 유입 허용하도록 유입홀을 통공한 그레이팅; 및 상기 그레이팅이 상기 전측개방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그레이팅을 상기 트랜치의 전측에서 회동 안내하거나 또는 상기 트랜치의 개방된 측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 안내하면서 조립과 분해를 허용하는 설치부를 포함한다.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ench embedded in the shoulder protection wall of the slab for a bridge and forming a front opening; a grating that is separably installed in the front opening and has an inlet hole to allow rainwater to flow into the trench while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particles exceeding a set value; and an installation part allowing assembly and disassembly while guiding the grating to rotate in the front side of the trench or slide movement in the open lateral direction of the trench so that the grating can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전측개방구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트랜치의 상부에서 상기 트랜치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전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홀더; 상기 그레이팅의 상부를 상기 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고정부; 및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를 상기 트랜치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한다.The installation part may include: a holder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trench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ench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front opening,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open to the front; an upper fixing part for detachably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grating to the holder; and a lower fixing part for removably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grating to the inside of the trench.

상기 홀더는, 상측면을 형성하는 어퍼패널; 및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어퍼패널에서 연장되는 연장패널을 포함한다.The holder may include: an upper panel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n extension panel extending from the upper panel to form the inner space.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그레이팅의 상부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돌부; 상기 그레이팅에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통공 형성되는 개구홀부; 및 상기 그레이팅의 타측에서 상기 개구홀부에 일부 삽입된 채 상기 연장패널을 끼움하여, 상기 그레이팅을 상기 홀더에 거치 고정하는 클립을 포함한다.The upper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receiv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an upper side of the grating and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an opening hole formed through the grating to be opened on both sides; and a clip for fitting the extension panel whil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at the other side of the grating to mount and fix the grating to the holder.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어퍼패널의 하측면에 돌출된 걸림돌부; 및 상기 그레이팅 또는 상기 수용돌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상기 연장패널에 끼움시, 대응되는 상기 걸림돌부를 수용함으로써 위치 고정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한다.The upper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and a locking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grating or the receiving protrusion, and fixed in position by receiving the corresponding locking protrusion when the clip is fitted to the extension panel.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전측개방구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트랜치의 내측에서 돌출되고,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1후크; 및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 타측에 돌출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후크에 걸리는 제 2후크를 포함한다.The lower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hook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trench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opening, and formed to be open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hook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and caught on the corresponding first hook.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유입홀로 유입되는 상기 우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담거나 또는 상기 트랜치의 내부의 설정 위치로 이동 안내하기 위해, 하부 일측에 포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at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cket on one lower side to contain the sludge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let hole or to guide the movement to a set position inside the trench.

상기 트랜치는 유입된 우수를 배수 안내하기 위해 횡배수관을 연결하고, 상기 방호벽 또는 상기 슬래브는 관지지브라켓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관지지브라켓은 상기 횡배수관에서 배수되는 상기 우수를 집수하여 유동 안내하는 종배수관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을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횡배수관은 축 방향을 따라 장홀 형상의 배출홀부를 하측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ench connects a transverse drainage pipe to drain and guide the inflow of rainwater, the protective wall or the slab fixedly installs a pipe support bracket, and the pipe support bracket collects the rainwater drained from the transverse drain pipe and guides the flow. Both sides are detachably coupl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vertical drain pipe, and the transverse drain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ng hole-shaped discharge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은 종래 기술과 달리 교량 슬래브의 갓길 방호벽에 매립 설치되는 트랜치의 개방된 전면부에 그레이팅을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레이팅의 하부와 트랜치의 조립 부위로 우수와 함께 유동되는 슬러지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idge drain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installed to facilitate the grating in the open front part of the trench buried in the shoulder protection wall of the bridge slab, unlike the prior 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grating and the trenc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udge flowing with rainwater from being deposited into the assembly site of the

본 발명은 그레이팅을 통해 트랜치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모아 설정 위치로 배출 안내함에 따라 트랜치 내부의 슬러지 청소 설정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operator by extending the set period for cleaning the sludge inside the trench by collecting the sludge flowing into the trench through the grating and guiding the discharge to the set position.

본 발명은 종배수관의 직경 또는 위치를 가변 후 관지지브라켓에 조립 가능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설치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for installation work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by being able to assemble the pipe support bracket after varying the diameter or position of the vertical drain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교량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 중 트랜치와 그레이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와 그레이팅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와 그레이팅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에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설치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종배수관을 관지지브라켓에 설치한 요부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stalled on a bridge of a bridge drain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ench and a grating in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ench and a g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trench and the g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nstallation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ing the grating in the tr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vertical drainage pipe of the bridge drainage facility installed on the pipe suppor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교량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 중 트랜치와 그레이팅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와 그레이팅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idge drainage system installed on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ench and a grating in a bridge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ench and the g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와 그레이팅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에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설치도이다.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trench and a g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install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ating is installed in the tr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종배수관을 관지지브라켓에 설치한 요부 확대도이다.9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in which the vertical drainage pipe of the bridge drainage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pipe suppor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10)용 배수시설(100)은 트랜치(200), 그레이팅(300) 및 설치부(400)를 포함한다.1 to 9 , the drainage system 100 for the bridg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nch 200 , a grating 300 , and an installation unit 400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교량(10)용 배수시설(100)은 도로나 교량(10) 등의 토목건축물의 가장자리 또는 중앙에 설치되어 우수(雨水)나 슬러지 등을 배수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drainage facility 100 for the bridg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edge or the center of a civil building such as a road or bridge 10, and serves to guide drainage of rainwater or sludge.

트랜치(200)는 우수 및 슬러지 등을 유입하여 배수 안내하도록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The trench 200 forms a space therein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guide the drainage by introducing rainwater and sludge.

아울러, 트랜치(200)는 교량(10)용 슬래브(20)의 갓길에 축조된 방호벽(30)에 매립되고, 우수와 슬러지 등을 유입 허용하도록 방호벽(30)의 전측으로 개방되는 전측개방구(210)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trench 200 is buried in the protection wall 30 built on the shoulder of the slab 20 for the bridge 10, and is opened to the front side of the protection wall 30 to allow rainwater and sludge to flow in. 210) is formed.

상세히, 트랜치(200)는 교량(10)용 슬래브(20)의 길이방향 특히 차량 운행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 또는 양측 가장자리의 방호벽(30)에 매립된다.In detail, the trench 200 is buried in the protective wall 30 of one edge or both ed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 20 for the bridge 10 , particularly along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이때, 트랜치(200)는 슬래브(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한 개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이웃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편의상, 트랜치(200)는 슬래브(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In this case, one trench 200 may be provid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 20 , or a plurality of trenches 200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trenches 200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 20 .

물론, 트랜치(200)는 타설되는 방호벽(30)에 대한 지지력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Of course, the trench 2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have a bearing capacity for the protective wall 30 to be poured,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또한, 그레이팅(300)은 방호벽(30)에서 도로 중앙측으로 노출된 트랜치(200)의 전측개방구(210)를 개폐하도록 트랜치(2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그레이팅(300)은 입자가 설정치 이상인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면서 우수와 슬러지 등을 트랜치(200) 내부로 유입 허용하도록 유입홀(310)을 통공한다.In addition, the grating 30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rench 200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210 of the trench 200 exposed from the protective wall 30 toward the center of the road. In addition, the grating 300 penetrates through the inlet hole 310 to allow rainwater and sludge to flow into the trench 200 while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particl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이때, 그레이팅(300)은 슬래브(20)에 대해 하나 구비되어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트랜치(200)에 동시에 연결되거나, 트랜치(200)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grating 300 may be provided for the slab 20 and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renches 200 arranged in a line, or may be provid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trenches 200 .

그리고, 그레이팅(300)은 재질과, 유입홀(310)의 형상 및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grating 300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and the shape and number of the inlet hole 310 .

한편, 설치부(400)는 그레이팅(300)이 전측개방구(210)를 개폐 가능하도록, 그레이팅(300)을 트랜치(200)의 전측에서 회동 안내하거나 또는 트랜치(200)의 개방된 측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 안내하면서 조립과 분해를 허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unit 400 guides the grating 300 to rotate from the front side of the trench 200 or in the open side direction of the trench 200 so that the grating 300 can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210 . Allows assembly and disassembly while guiding the slide movement.

이를 위해, 설치부(400)는 홀더(410), 상부고정부(420) 및 하부고정부(43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installation part 400 includes a holder 410 , an upper fixing part 420 and a lower fixing part 430 .

홀더(410)는 전측개방구(210)의 상측에 해당되는 트랜치(200)의 상부에서 트랜치(200)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전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416)을 갖는다.The holder 410 is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trench 20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rench 20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opening 210 , and has an internal space 416 open to the front.

홀더(410)는 트랜치(200)의 상측면의 전측 테두리 또는 전방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홀더(410)는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인 트랜치(200)의 축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면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특히, 홀더(410)는 트랜치(20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트랜치(20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The holder 41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ront edge or front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ench 200 . At this time, the holder 410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ench 200,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a line. In particular, the holder 41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trench 200 or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trench 200 .

아울러, 홀더(410)는 어퍼패널(412) 및 연장패널(41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lder 410 includes an upper panel 412 and an extension panel (414).

어퍼패널(412)은 트랜치(200)의 상부에서 전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홀더(410)의 상측면을 형성한다.The upper panel 41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rench 200 to the front side, and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410 .

그리고, 연장패널(414)은 어퍼패널(412) 또는 트랜치(200)의 상측면에서 대략 '니은자(ㄴ)' 형상으로 연장된다. 그래서, 어퍼패널(412)과 연장패널(414)로 이루어진 홀더(410)는 내부공간(416)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어퍼패널(412)과 연장패널(414)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nel 414 extends from the upper panel 412 or the upper side of the trench 200 in an approximately 'nie-eunja (b)' shape. Thus, the holder 410 made of the upper panel 412 and the extension panel 414 forms an inner space 416 . Of course, the upper panel 412 and the extension panel 414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또한, 상부고정부(420)는 그레이팅(300)의 상부를 홀더(4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고정부(430)는 그레이팅(300)의 하부를 트랜치(200)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upper fixing part 420 serves to detachably fix the upper part of the grating 300 to the holder 410 , and the lower fixing part 430 holds the lower part of the grating 300 inside the trench 200 . It serves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이때, 그레이팅(300)은 상부고정부(420)에 의해 홀더(410)에 고정됨에 연동되어, 하부고정부(430)에 의해 하부가 트랜치(200)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grating 300 is linked to being fixed to the holder 410 by the upper fixing part 420 , and the lower part is fixed to the trench 200 by the lower fixing part 430 .

상세히, 상부고정부(420)는 수용돌부(421), 개구홀부(422), 클립(423), 걸림돌부(424) 및 걸림홈부(425)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upper fixing part 420 includes a receiving protrusion 421 , an opening hole 422 , a clip 423 , a locking protrusion 424 , and a locking groove 425 .

수용돌부(421)는 그레이팅(30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홀더(4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수용돌부(42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protrusion 421 protrudes from an upper side of the grating 300 , and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410 . At this time, the receiving protrusion 42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아울러, 개구홀부(422)는 그레이팅(300)에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통공 형성됨에 따라, 클립(423)을 끼워 홀더(410)에 대해 그레이팅(300)을 지지 가능하다. 즉, 그레이팅(300)은 전측개방구(210)를 통해 트랜치(200)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개구홀부(422)의 내측면에 접한 채 클립(423)이 홀더(410)에 끼워짐에 따라, 트랜치(200)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s the opening hole 422 is formed through the grating 300 to be opened on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grating 300 with respect to the holder 410 by inserting the clip 423 . That is, the grating 30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trench 200 through the front opening 210 , and the clip 423 is inserted into the holder 410 whil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hole 422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disassemble in the trench 200 .

클립(423)은 그레이팅(300)의 타측에서 개구홀부(422)에 일부 삽입된 채 연장패널(414)을 끼움한다. 이에 따라, 클립(423)이 그레이팅(300)을 거치한 채 연장패널(414)에 고정된다. 그래서, 그레이팅(300)은 홀더(410)에 거치 고정된다.The clip 423 inserts the extension panel 414 while being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422 at the other side of the grating 300 . Accordingly, the clip 423 is fixed to the extension panel 414 with the grating 300 mounted thereon. So, the grating 300 is mounted and fixed to the holder 410 .

이때, 클립(423)은 그레이팅(300)의 타측(전측)에서 일측(후측) 방향으로 개구홀부(422)에 삽입되는데, 개구홀부(422)를 완전히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클립(423)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연장패널(414)은 그레이팅(30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클립(423)의 해당 부위로 억지 삽입된다. 다시 말해서, 클립(423)은 개구홀부(422)의 내측면에 접한 채 홀더(410)에 끼워져 그레이팅(300)을 지지하고, 그레이팅(300)의 전방으로 강제 분리시 그레이팅(300)을 트랜치(200)에서 분해가 가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lip 42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part 422 from the other side (front side) to the one side (rear side) direction of the grating 300 , and is formed so as not to completely pass through the opening hole part 422 . Then, while the clip 423 is elastically opened, the extension panel 414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lip 423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grating 300 . In other words, the clip 423 is inserted into the holder 41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hole 422 to support the grating 300, and when forcibly separated in the front of the grating 300, the grating 300 is inserted into the trench ( 200) to enable decomposition.

물론, 클립(423)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레이팅(300) 각각을 홀더(410)에 대해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필요한 클립(423)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Of course, the clip 423 is applicable to various shapes and various materials. The number of clips 423 required to stably mount each of the gratings 300 to the holder 410 is not limited.

또한, 수용돌부(421)가 홀더(410) 내측에 위치한 채, 클립(423)이 그레이팅(300)의 상부를 연장패널(414)에 거치 고정한 경우, 그레이팅(300)은 유입홀(310)로 유입되는 우수의 수압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립(423)이 연장패널(414)과 그레이팅(3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eiving protrusion 421 is positioned inside the holder 410 and the clip 423 mounts and fixes the upper portion of the grating 300 to the extension panel 414 , the grating 300 is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310 . Shaking may be caus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inflowing rainwater. Due to this, the clip 423 may be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panel 414 and the grating 300 .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걸림돌부(424)와 걸림홈부(425)가 구비된다.To prevent this, a locking protrusion 424 and a locking groove 425 are provided.

걸림돌부(424)는 어퍼패널(412)의 하측면에 돌출된다.The locking protrusion 424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412 .

아울러, 걸림홈부(425)는 그레이팅(300) 또는 수용돌부(421)에 함몰 형성되어, 클립(423)이 연장패널(414)에 끼움시, 대응되는 걸림돌부(424)를 자연적으로 수용한다. 그래서, 그레이팅(300)은 상부가 홀더(4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 425 is recessed in the grating 300 or the receiving protrusion 421, and when the clip 423 is fitted to the extension panel 414, the corresponding locking protrusion 424 is naturally accommodated. So, the top of the grating 300 is firmly fixed to the holder 410 .

이때, 어퍼패널(412)은 하부방향으로 지지부재(413)를 연장 형성한다.In this case, the upper panel 412 extends the support member 413 in the lower direction.

걸림돌부(424)가 대응되는 걸림홈부(425)에 수용시, 지지부재(413)는 그레이팅(300)의 상부 타측을 접하여 지지한다. 지지부재(413)는 탄성적으로 홀더(410)의 내부공간(416) 방향으로 휘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When the locking protrusion 424 is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locking groove 425 , the support member 413 contacts the other upper side of the grating 300 to support it. The support member 413 may extend elastically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416 of the holder 410 .

그래서, 그레이팅(300)은 일측이 연장패널(414)의 단면에 접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us, one side of the grating 300 is stably fixed in contact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extension panel 414 .

또한, 하부고정부(430)는 제 1후크(432) 및 제 2후크(434)를 포함한다.Also, the lower fixing part 430 includes a first hook 432 and a second hook 434 .

제 1후크(432)는 전측개방구(210)의 하측에 해당되는 트랜치(200)의 내측에서 돌출되고,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그레이팅(300)의 유입홀(310)로 유입되는 슬러지가 제 1후크(432)의 내측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first hook 432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trench 200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opening 210 and is formed to be opened downward. Thus, the sludge flowing into the inlet hole 310 of the grating 30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hook 432 .

제 1후크(43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트랜치(200)에서 대략 '기역자(ㄱ)'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한다.The first hook 432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and for convenience, it is illustrated as protruding from the trench 200 in an approximately 'giyeokja (a)' shape.

그리고, 제 2후크(434)는 그레이팅(300)의 하부 타측에 돌출되어, 대응되는 제 1후크(432)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제 2후크(43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cond hook 43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lower side of the grating 300 to be caught by the corresponding first hook 432 . The second hook 434 is applicable in various shapes.

따라서, 수용돌부(421)가 홀더(410)에 삽입 후, 그레이팅(300)이 홀더(41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 제 2후크(434)는 자연적으로 제 1후크(432)에 수용된다. 아울러, 그레이팅(300)은 우수의 수압 등이 작용하더라도 흔들림이 방지된다.Accordingly, after the receiving protrusion 421 is inserted into the holder 410 , when the grating 300 move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holder 410 , the second hook 434 is natur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ok 432 . In addition, the grating 300 is prevented from shaking even when water pressure of rainwater is applied.

한편, 그레이팅(300)은, 트랜치(200)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클립(423)이 제거시, 하향 이동하게 된다. Meanwhile, the grating 300 moves downward when the clip 423 is removed to be separated from the trench 200 .

그런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슬러지가 제 1후크(432)의 하부에 해당되는 트랜치(200)의 내부 전측에 퇴적될 경우, 그레이팅(300)이 하향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그레이팅(300)이 트랜치(200)로부터 분리가 어렵게 된다.However, when the sludge introduced with rainwater is deposi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rench 20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ok 432 , the grating 300 does not go down. Due to this,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grating 300 from the trench 200 .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그레이팅(300)은, 유입홀(310)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담거나 또는 트랜치(200)의 내부의 설정 위치로 이동 안내하기 위해, 하부 일측에 포켓(500)을 구비한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grating 300 contains the sludge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let hole 310 or to guide the movement to the set position inside the trench 200, the pocket 500 on the lower side. to provide

포켓(500)에 의해, 유입홀(310)로 유입되는 슬러지는 그레이팅(300)의 하부에 해당되는 트랜치(200)의 내부 전측에 상대적으로 덜 쌓이게 된다.Due to the pocket 500 , the sludge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310 is relatively less accumul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rench 20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300 .

물론, 포켓(50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pocket 500 is deformable in various shapes.

그리고, 포켓(500)에서 넘치는 슬러지가 그레이팅(300)의 하부에 해당되는 트랜치(200)의 내부 전측 쌓이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트랜치(200)는 내부 바닥면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20)을 형성한다. 경사면(220)의 경사각도(θ)는 한정하지 않는다.And, in order to minimize the accumulation of the sludge overflowing from the pocket 500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trench 20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grating 300, the trench 200 has an inner bottom surface gradually downwar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 photographic inclined surface 220 is formed.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220 is not limited.

아울러, 트랜치(200)는 유입된 우수를 배수 안내하기 위해 횡배수관(50)을 연결한다. 이때, 횡배수관(50)은 트랜치(200)의 전측개방구(210)를 형성한 전측에 반대되는 후측면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trench 200 connects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50 to guide the drainage of the introduced rainwater.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ransverse drain pipes 50 are connected along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where the front opening 210 of the trench 200 is formed.

그리고, 방호벽(30) 또는 슬래브(20)는 관지지브라켓(60)을 고정 설치한다. And, the protective wall 30 or the slab 20 is fixedly installed with the pipe support bracket (60).

관지지브라켓(60)은 방호벽(30) 또는 슬래브(20)에 볼팅 또는 앵커링 처리되어 고정된 채, 횡배수관(50)에서 배수되는 우수를 집수하여 유동 안내하는 종배수관(70)을 결속한다. 이때, 종배수관(70)은 우수 및 슬러지의 배출 흐름이 원활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ipe support bracket 60 is bolted or anchored to the protection wall 30 or the slab 20 and fixed, while collecting rainwater drained from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50 and guiding the flow. At this time, the vertical drain pipe 7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hat is opened upwar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flow of rainwater and sludge.

아울러, 종배수관(70)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플랜지(72)를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종배수관(70)의 직경 또는 설치 위치가 설정된 후, 플랜지(72)는 관지지브라켓(60)에 면접된 상태로, 체결부재(74)가 관지지브라켓(60)과 플랜지(72)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drain pipe 70 extends flanges 72 on both edges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after the diameter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rtical drain pipe 70 is set, the flange 72 is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support bracket 6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74 is connected to the pipe support bracket 60 and the flange 72 . detachably bind the

이때, 관지지브라켓(60)은, 체결부재(74)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체결부재(74)를 통한 종배수관(70)과의 체결 부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설치홈(62)을 형성한다. 그래서, 체결부재(74)는 헤드 부분을 설치홈(62)의 측방향을 통해 설치홈(62)으로 슬라이드 삽입한다. 이때, 체결부재(74)의 헤드 부분은 설치홈(62)의 개방된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설치홈(62)의 개방된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재(74)의 나사 결합부위는 종배수관(70)의 대응되는 플랜지(72)에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pipe support bracket 60 prevents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fastening member 74 and the installation groove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fastening part with the vertical drain pipe 7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74 can be freely changed. (62) is formed. Therefore, the fastening member 74 slides the head portion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62 through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62 . 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74 is made of a size not to be separated to the open lower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62). And, the screwe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74 protruding to the open lower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62 is fastened to the corresponding flange 72 of the vertical drain pipe (70).

그래서, 종배수관(70)은 관지지브라켓(60)에 견고하게 결속됨에 따라, 횡배수관(50)으로부터 낙하하는 우수 및 슬러지에 대한 지지력을 갖게 된다.So, as the vertical drain pipe 70 is firmly bound to the pipe support bracket 60 , it has support for rainwater and sludge falling from the transverse drain pipe 50 .

이때, 횡배수관(50)은 우수와 슬러지의 대부분이 종배수관(70)으로 공급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장홀 형상의 배출홀부(52)를 하측면에 형성한다. 횡배수관(50)의 하측면에서의 배출홀부(52)의 형성 위치는 종배수관(7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가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ransverse drain pipe 50 forms a long hole-shaped discharge hole 52 on the low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most of rainwater and sludge are supplied to the vertical drain pipe 70 .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part 52 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verse drain pipe 50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rtical drain pipe 70 .

또한, 트랜치(200)가 방호벽(30)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경우, 일렬로 배열된 트랜치(200)는 이웃한 가장자리끼리 이음브라켓(230)에 의해 구속 연결된다. 이음브라켓(230)은 트랜치(200)의 둘레면을 감싸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trenches 200 are provided along the protection wall 30 , the trenches 200 arranged in a l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joint bracket 230 with adjacent edges. The joint bracket 230 surround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ench 200 .

이때, 이음브라켓(230)이 트랜치(20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서 전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트랜치(200)는 상측면과 하측면에 설치안내부재(240)를 형성한다. 설치안내부재(240)는 트랜치(200)의 후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대응되는 이음브라켓(230)의 가장자리를 수용한다.At this time, so that the joint bracket 230 is not exposed to the front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rench 200, the trench 200 forms an installation guide member 240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240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trench 200 to accommodate the edge of the corresponding joint bracket 230 .

아울러, 트랜치(200)가 방호벽(30)에 매립된 상태에서, 설치안내부재(240)는 트랜치(200)의 하측면과 방호벽(30)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트랜치(200)의 상측면과 방호벽(30)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rench 200 is embedded in the protection wall 30 ,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240 prevents a gap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trench 200 and the protection wall 30 from being generated, and the trench 200 Prevents a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tective wall 30 from being generated.

물론, 이음브라켓(230)과 설치안내부재(2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joint bracket 230 and the installation guide member 240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그리고, 이음브라켓(230)은 이웃한 트랜치(200)의 가장자리끼리를 감싼 후 용접 등에 의해 트랜치(200)에 고정된다. 트랜치(200)는 이음브라켓(230)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Then, the joint bracket 230 is fixed to the trench 200 by welding or the like after wrapping the edges of the adjacent trench 200 . The trench 200 may be reinforced by a joint bracket 23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교량 20: 슬래브
30: 방호벽 50: 횡배수관
52: 배출홀부 60: 관지지브라켓
70: 종배수관 100: 배수시설
200: 트랜치 210: 전측개방구
220: 경사면 230: 이음브라켓
240: 설치안내부재 300: 그레이팅
310: 유입홀 400: 설치부
410: 홀더 420: 상부고정부
421: 수용돌부 422: 개구홀부
423: 클립 424: 걸림돌부
425: 걸림홈부 430: 하부고정부
432: 제 1후크 434: 제 2후크
500: 포켓
10: bridge 20: slab
30: barrier 50: transverse drain pipe
52: discharge hole 60: tube support bracket
70: vertical drain pipe 100: drain facility
200: trench 210: front opening
220: inclined surface 230: joint bracket
240: installation guide member 300: grating
310: inlet hole 400: installation part
410: holder 420: upper fixing part
421: receiving protrusion 422: opening hole part
423: clip 424: stumbling block
425: engaging groove 430: lower fixing part
432: first hook 434: second hook
500: pocket

Claims (6)

교량용 슬래브의 갓길 방호벽에 매립되고, 전측개방구를 형성한 트랜치; 상기 전측개방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자가 설정치 이상인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면서 우수를 상기 트랜치 내부로 유입 허용하도록 유입홀을 통공한 그레이팅; 및 상기 그레이팅이 상기 전측개방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그레이팅을 상기 트랜치의 전측에서 회동 안내하거나 또는 상기 트랜치의 개방된 측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 안내하면서 조립과 분해를 허용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전측개방구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트랜치의 상부에서 상기 트랜치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전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홀더; 상기 그레이팅의 상부를 상기 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고정부; 및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를 상기 트랜치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측면을 형성하는 어퍼패널; 및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어퍼패널에서 연장되는 연장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그레이팅의 상부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돌부; 상기 그레이팅에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통공 형성되는 개구홀부; 및 상기 그레이팅의 타측에서 상기 개구홀부에 일부 삽입된 채 상기 연장패널을 끼움하여, 상기 그레이팅을 상기 홀더에 거치 고정하는 클립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클립은 상기 개구홀부의 내측면에 접한 채 상기 홀더에 끼워져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고, 상기 그레이팅의 전방으로 분리시 상기 그레이팅을 상기 트랜치에서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그레이팅은 하부 일측에 포켓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홀로 유입되는 상기 우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상기 포켓에 대응되는 상기 트랜치의 내부 바닥면에 쌓이는 것이 최소화된 채 상기 포켓을 따라 상기 트랜치의 내부의 설정 위치로 이동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시설.
a trench embedded in the shoulder protection wall of the slab for a bridge and forming a front opening; a grating that is separably installed in the front opening and has an inlet hole to allow rainwater to flow into the trench while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particles greater than a set value; and an installation unit allowing assembly and disassembly while guiding the grating to rotate in the front side of the trench or slide movement in the open lateral direction of the trench so that the grating can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The installation part may include: a holder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trench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ench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front opening, and having an inner space open to the front; an upper fixing part for detachably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grating to the holder; and a lower fixing part for removably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grating to the inside of the trench,
The holder may include: an upper panel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n extension panel extending from the upper panel to form the inner space,
The upper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receiv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an upper side of the grating and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an opening hole formed through the grating to be opened on both sides; and a clip for fitting the extension panel while being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at the other side of the grating to mount and fix the grating to the holder, so that the clip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hole portion and the holder It is inserted into the to support the grating, and to enable disassembly of the grating in the trench when the grating is separated in the front,
The grating has a pocket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so that accumulation of the sludge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let hole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corresponding to the pocket is minimized while setting the inside of the trench along the pocket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uided to the loca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어퍼패널의 하측면에 돌출된 걸림돌부; 및
상기 그레이팅 또는 상기 수용돌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상기 연장패널에 끼움시, 대응되는 상기 걸림돌부를 수용함으로써 위치 고정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시설.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and
The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cking groove that is recessed in the grating or the receiving protrusion and fixed in position by accommodating the corresponding locking protrusion when the clip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panel.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전측개방구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트랜치의 내측에서 돌출되고,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1후크; 및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 타측에 돌출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후크에 걸리는 제 2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시설.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lower fixing portion,
a first hook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trench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opening, and formed to be open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hook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and is caught on the corresponding first hook.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는 유입된 우수를 배수 안내하기 위해 횡배수관을 연결하고,
상기 횡배수관은 축 방향을 따라 장홀 형상의 배출홀부를 하측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시설.
4.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trench connects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to guide the drainage of the introduced rainwater,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is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long hole-shaped discharge hole on the lower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 또는 상기 슬래브는 관지지브라켓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관지지브라켓은 상기 횡배수관에서 배수되는 상기 우수를 집수하여 유동 안내하는 종배수관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을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시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tective wall or the slab is fixed and installed with a pipe support bracket,
The pipe support bracket is a drainage system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vertical drainage pipe for collecting and guiding the flow of the rainwater drained from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KR1020210077566A 2021-06-15 2021-06-15 Drain facility of bridge KR102337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66A KR102337916B1 (en) 2021-06-15 2021-06-15 Drain facility of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66A KR102337916B1 (en) 2021-06-15 2021-06-15 Drain facility of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916B1 true KR102337916B1 (en) 2021-12-09

Family

ID=7886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566A KR102337916B1 (en) 2021-06-15 2021-06-15 Drain facility of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91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163B1 (en) * 2010-05-27 2011-12-02 금창준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KR101166796B1 (en) * 2011-07-21 2012-07-26 김원주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where the maintenance is easy
KR20150106069A (en) * 2014-03-11 2015-09-21 신영기술개발(주)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KR101681875B1 (en) * 2016-09-12 2016-12-02 김원주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KR101994832B1 (en) * 2018-08-31 2019-07-01 이지용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KR102144253B1 (en) * 2020-03-24 2020-08-12 김은정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KR200493656Y1 (en) * 2020-10-21 2021-05-12 김은정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163B1 (en) * 2010-05-27 2011-12-02 금창준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KR101166796B1 (en) * 2011-07-21 2012-07-26 김원주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where the maintenance is easy
KR20150106069A (en) * 2014-03-11 2015-09-21 신영기술개발(주)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KR101681875B1 (en) * 2016-09-12 2016-12-02 김원주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KR101994832B1 (en) * 2018-08-31 2019-07-01 이지용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KR102144253B1 (en) * 2020-03-24 2020-08-12 김은정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KR200493656Y1 (en) * 2020-10-21 2021-05-12 김은정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895B1 (en)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of the bridge
JP4840870B2 (en) L-shaped gutter construction method
CN102482871B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KR101963429B1 (en) Gutter Structure
KR20170034295A (en) Expansion joints fo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755626B1 (en) Oil seperating drain apparatus of bridge
KR101776805B1 (en) Prefabricated bridge drainage system
KR102337916B1 (en) Drain facility of bridge
KR20100025159A (en) Drain apparatus for bridg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93656Y1 (en)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KR101215995B1 (en) Drain system for rainwater and polluted water
KR101175998B1 (en) Internal linear drainage equipment having road percolating water discharge ability of bridge
KR101319819B1 (en) The drainage system of bridge
KR101156980B1 (en)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and establishment method thereof for fine view improvement type
US7066195B2 (en) Two-way trap
KR101973983B1 (en) Trench cover and l-type concrete block equipped with this, and construction method of l-type concrete block
KR102360446B1 (en) Catchment Pipe and Trench Drain Pipeline System f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640239B1 (en) Catch Basin Three Steps Separation Type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21676A (en)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166796B1 (en)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where the maintenance is easy
KR102350582B1 (en) Drain pipe rainfall collecting for bridge linear drainage equipment
KR200411566Y1 (en) Oil seperating drain apparatus of bridge
KR200476485Y1 (en) Drainage structure
JP2005320767A (en) Drain gutter waterway
JP2004314000A (en) Oil-water 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