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972A - 산소흡수성 필름 및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소흡수성 필름 및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5972A KR20150105972A KR1020157021382A KR20157021382A KR20150105972A KR 20150105972 A KR20150105972 A KR 20150105972A KR 1020157021382 A KR1020157021382 A KR 1020157021382A KR 20157021382 A KR20157021382 A KR 20157021382A KR 20150105972 A KR20150105972 A KR 201501059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ygen
- absorbing
- polyester resin
- resin composition
- fil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09J7/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layer)을 갖는 필름으로, 상기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이 적어도 2개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지며, 그 중에서 가장 낮은 유리 전이온도가 0℃ 미만인 산소흡수성 필름을 제공한다.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온도가 -20℃ 내지 10℃의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유리 전이온도가 -10℃ 이하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착성 및 산소흡수성이 우수한 산소흡수성 필름 및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료, 식품 및 의약품의 포장재료 용도로 다양한 산소흡수성 수지 재료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국제공개 제2005/105887호 팸플릿). 또한, 이와 같은 산소흡수성 수지 재료를 이용한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특개2011-144281호 공보 등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산소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접착제는, 산소흡수에 따른 산화 경화반응(oxidative curing reaction)에 의한 체적 수축(volume shrinkage)의 영향으로 내부 응력(internal stress)이 발생하고, 산소흡수 후의 적층 강도(laminate strength)가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착성 및 산소흡수성이 우수한 산소흡수성 필름 및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layer)을 갖는 필름으로서, 상기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이 적어도 2개의 유리 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를 가지며, 그 중에서 가장 낮은 유리 전이온도가 0℃ 미만인, 산소흡수성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 전이온도가 -20℃ 내지 10℃의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유리 전이온도가 -10℃ 이하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포함하는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필름에서는,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이 적어도 2개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지고, 그 중에서 가장 낮은 유리 전이온도가 0℃ 미만으로, 산소흡수에 따른 산화 경화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응력을, 유리 전이온도가 0℃ 미만인 유연한 성분이 완화할 수 있어, 우수한 산소흡수 성능을 발현하면서 산소흡수 전후에 걸쳐 높은 적층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에서는, 유리 전이온도가 -10℃ 이하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첨가하여,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산소흡수에 따른 산화 경화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응력을 완화할 수 있어, 우수한 산소흡수성능을 발현하면서 산소흡수 전후에 걸쳐 높은 적층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필름은,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을 함유하며, 상기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이 적어도 2개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지고, 그 중에서 가장 낮은 유리 전이온도가 0℃ 미만이다.
상기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은, 산소와의 반응성을 갖는 접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에틸렌초산비닐계 접착제, 염화비닐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등에 산소흡수 기능을 부여한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건식 적층(dry lamination)용 접착제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우레탄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주제(main agent)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조합한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의 유리 전이온도가 가장 낮은 0℃ 미만인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5℃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진다. 유리 전이온도가 가장 낮은 성분 이외의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은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를 포함하고,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 전이온도가 0℃ 미만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는, 산소흡수반응(산화 경화반응)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 응력에 의해 적층 강도를 저하시킨다. 한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 전이온도가 0℃ 미만의 성분은, 산화 경화반응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 응력을 그 유연성으로 완화할 수 있다. 이 2 성분이 개시시부터 종료시까지 충분하게 상용화(compatibilization)된 상태에서 유리 전이온도가 단일하더라도 비교적 높은 적층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성분이 상용화되지 않고 상분리(phase separation)된 상태, 즉 적어도 2 성분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지는 상태를 실현함으로써,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A)의 산화 경화에 따라 상기 성분의 유리 전이온도가 상승하여 강한 내부 응력이 발생하여도, 유리 전이온도가 0℃ 미만의 성분이 내부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므로, 산소흡수 개시시점부터 산소흡수 후에 이르기까지 높은 적층 강도를 더욱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산소흡수 개시 전부터 비상용화계(incompatible system)에 의해 2 성분 이상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으나, 산소흡수 개시시에는 상용화계(compatible system)의 단일 상(phase)이고, 산소흡수 반응에 따른 반응유발 상분리에 의해 2 성분 이상의 유리 전이온도로 나눠지는 재료설계를 하는 것이, 필름 외관이나 도막(coating film) 두께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는, 산소와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또는 결합기를 구조 중에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산소와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또는 결합기로서, 예를 들어 탄소-탄소 이중결합기, 알데히드기, 페놀성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탄소-탄소 이중결합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고, 불포화 지환 구조(unsaturated alicyclic structure)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불포화 지환 구조와 산소와의 반응에서는, 수지의 자동산화반응에서의 부생성물인 저분자량 분해성분의 발생량이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불포화 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원료로 이용한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4-메틸-△3-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4-메틸-△3-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cis-3-메틸-△4-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cis-3-메틸-△4-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이다. 이들의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산소와의 반응성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산소흡수성 접착제용 수지의 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이소프렌(isoprene) 및 트랜스-피페릴렌(trans-piperyl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나프타(naphtha)의 C5 유분(留分, fraction)을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과 반응시킨 4-메틸-△4-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을 포함하는 이성체(isomer) 혼합물을, 구조이성화(structure isomerization)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공업적으로 제조된다.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원료로,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중합하는 경우, 디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메틸에스테르 등으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다.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는,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와 디올(diol)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2-페닐프로판디올, 2-(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알콜, α,α-디하이드록시-1,3-디이소프로필벤젠, o-크실렌글리콜, m-크실렌글리콜, p-크실렌글리콜, α,α-디하이드록시-1,4-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퀴논,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나프탈렌디올, 또는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디올(aliphatic diol),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이다. 1,4-부탄디올을 이용한 경우에는, 수지의 산소흡수 성능이 높고, 또한 산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분해물의 양도 적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에는,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이외에,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등, 그 외의 산성분 및 그의 유도체를 원료로서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로서는, 프탈산,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벤젠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등의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 디카르복실산, 술포이소프탈산(sulfoisophthalic acid), 술포이소프탈산 나트륨, 또는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프탈산,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로서는,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피멜산(pimelic acid), 수베르산(suberic acid), 아젤라산(azelaic acid), 세바스산(sebacic acid), 운데칸디오익산(undecanedioic acid), 도데칸디오익산(dodecanedioic acid), 3,3-디메틸펜탄디오익산(3,3-dimethylpentanedio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디프산, 숙신산이 바람직하며, 특히 숙신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환 구조를 갖는 헥사하이드로프탈산이나 이합체 산(dimer acid) 및 그의 유도체도 가능하다.
지방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로서는, 글리콜산(glycolic acid), 젖산(lactic acid), 하이드록시피발산(hydroxypivalic acid), 하이드록시카프로산(hydroxycaproic acid), 하이드록시헥산산(hydroxyhexano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산성분은,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디메틸이나 비스-2-하이드록시디에틸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이 에스테르화될 수 있다. 또한, 무수프탈산이나 무수숙신산과 같이 산무수물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 외의 산성분을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되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온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산소흡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결정성(crystallinity)을 제어함으로써 유기용제에의 용해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중합 중의 열에 의해 라디칼 가교반응이 쉽게 일어나므로, 상기 그 외의 산성분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중에 포함된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조성비가 감소하면, 중합 중의 겔화(gel formation)가 억제되어 고분자량의 수지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는, 다가(polyvalent) 알콜,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들의 유도체 등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가 알콜 및 다가 카르복실산을 도입하고 분기 구조(branching structure)를 제어함으로써, 용융점도(melt viscosity) 특성이나 용매에 용해된 폴리에스테르의 용액점도(solution viscosity)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다가 알콜 및 그의 유도체로는, 1,2,3-프로판트리올, 소르비톨, 1,3,5-펜탄트리올, 1,5,8-헵탄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propane),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3,5-디하이드록시벤질알콜,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다가 카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로는, 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 메조-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산(meso-butane-1,2,3,4-tetracarboxylic acid), 구연산, 트리멜리트산(trimellitic acid), 피로멜리트산(pyromellit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다가 알콜이나 다가 카르복실산 등의 3 관능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성분을 공중합하는 경우는, 전 산성분에 대해 5 몰%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유도체와, 1,4-부탄디올과, 숙신산 또는 무수 숙신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로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 중에 포함된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전 산성분에 대한 비율의 70 내지 95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 몰%이다. 또한, 숙신산 또는 무수 숙신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전 산성분에 대한 비율의 0 내지 15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2.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몰%이다. 이와 같은 조성비로 함으로써, 산소흡수성능 및 접착성이 우수한, 또한 유기용제에의 용해성이 우수한 산소흡수성 접착제용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의 유리 전이온도는 -20℃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이다. 유리 전이온도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충분한 산소흡수성능을 얻을 수 있다.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의 산가(acid value)는, 충분한 산소흡수성능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5 mgKOH/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gKOH/g 이하이다. 폴리에스테르의 산가가 5 mgKOH/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신속한 자동산화반응을 저해하여 안정적인 산소흡수성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의 산가 측정 방법은 JIS K 0070에 준한다.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는, 실질적으로 탄소-탄소 이중결합기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성분의 중축합(polycondensation)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는,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가(iodine value)가 3 g/100 g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특히 1 g/100 g 이하의 폴리에스테르이다. 또한, 요오드가의 측정 방법은 JIS K 0070에 준한다.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의 요오드가가 3 g/100 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의 산소흡수반응에 따라 저분자량의 분해성분이 쉽게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전술의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의 성분으로 기재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헥사하이드로프탈산, 이합체 산(dimer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디올 성분으로는, 전술의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의 성분으로 기재한 디올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의 성분으로 기재한 지방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의 말단 관능기가 수산기인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등의 경화제에 의해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함께 경화가 진행되고, 접착제의 응집력이 높아져 바람직하다. 또한, n-부탄올이나 2-에틸헥산올 등의 모노알콜(monoalcohol), 지방산 등으로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알킬기 말단 변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의 유리 전이온도는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이다. 유리 전이온도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산소흡수에 따른 산화 경화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로 적합한 양태는, 유리 전이온도가 -20℃ 내지 10℃의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유리 전이온도가 -10℃ 이하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 및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폴리에스테르의 중축합(polycondensation)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interfacial) 중축합, 용액(solution) 중축합, 용융(melt) 중축합 및 고상(solid-state) 중축합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 및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합성하는 경우에는, 중합 촉매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티탄계, 게르마늄계, 안티몬계, 주석계, 알루미늄계 등의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중합 촉매가 사용가능하다. 또한, 질소함유 염기성 화합물, 붕산(boric acid) 및 붕산에스테르, 유기술폰산계 화합물 등의 공지된 중합 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중합의 경우에는, 인 화합물(phosphorus compound) 등의 착색방지제나 산화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중합 중이나 그 후의 가공 중의 산소흡수를 억제할 수 있어, 산소흡수성 수지의 성능 저하나 겔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의 수 평균분자량(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10000이다. 또한, 바람직한 중량 평균분자량(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은 5000 내지 2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70000이다. 분자량이 상기의 범위보다 낮은 경우는 수지의 응집력 즉, 크리프 내성(creep resistance)이 저하하고, 높은 경우는 유기용제에의 용해성의 저하나 용액점도의 상승에 의한 코팅성(coatability)의 저하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의 수 평균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이다. 또한, 바람직한 중량 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7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0이다. 분자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는 응집력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높은 경우는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의 상용성(compatibility) 저하나 용액 점도 상승에 의한 코팅성의 저하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 및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가 각각 상기 범위 내의 분자량인 경우에는, 응집력, 접착성 및 유기용제에의 용해성이 우수하고, 접착제 용액으로서 적합한 점도 특성을 갖는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중 또는 산소흡수성 필름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layer) 중의,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의 비율 A/B는,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9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이다. 비율 A/B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산소흡수 성능을 발현하면서, 산소흡수 전후에 걸쳐 높은 적층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또는 산소흡수성 필름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에는, 산소흡수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전이금속 촉매(transition metal catalyst)를 첨가할 수 있다. 전이금속 촉매로는,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의 전이금속과 유기산으로 이루어진 전이금속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또는 산소흡수성 필름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 중의 전이금속 촉매의 양은 금속환산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 ppm 내지 1000 pp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ppm 내지 500 pp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내지 200 ppm이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배합하고 경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필름에서,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은, 바람직하게는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로 이루어진 주제(main agent)에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배합하고 경화하여 사용하는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배합한 경우, 접착 강도 및 응집력이 높아지고, 또한, 실온부근의 저온에서의 큐어링(curing)이 가능해진다.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는, 예를 들어,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ylene diisocyanate; X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lysine diisocyanate), 리신 메틸 에스테르 디이소시아네이트(lysine methyl ester diisocyanate),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n-펜탄-1,4-디이소시아네이트(n-pentane-1,4-diisocyanate)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 이소시아테이트계 경화제로는, 예를 들어,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사이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ane-1,4-diisocyanate), 메틸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cyclohexyl diisocyanate), 디사이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cyclohexylmethane-4,4'-diisocyanat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는, XDI 및 HDI가 바람직하고,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는, IPDI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XDI이다. XDI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또는 산소흡수성 필름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은 가장 우수한 산소흡수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IPDI와 XDI, IPDI와 HDI 등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수지의 접착성 및 응집력을 향상시키지만 산소흡수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존재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이유로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주제(main agent)인 폴리에스테르 말단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형성된 방향족 우레탄 부위가, 산화방지제인 방향족 아민과 동일한 작용으로, 라디칼을 불활성화/안정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부가물(adduct)이나 이소시아누레이트(isocyanurate), 뷰렛체(biuret compound) 등, 분자량을 증대시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성분은, 주제(main agent)인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에 대해, 고형분 중량부로 3 phr 내지 30 phr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phr 내지 20 phr, 보다 바람직하게는 3 phr 내지 15 phr이다.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접착성 및 응집력이 불충분하게 되고, 지나치게 많으면, 수지 조성물 단위중량 중에 포함되는 산소흡수성분의 배합량이 적어져 산소흡수성능이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경화에 의해 수지의 운동성(mobility)이 현저하게 저하된 경우, 산소흡수반응이 진행하기 어려워지고 산소흡수성능은 저하한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의 하나의 양태는, 유리 전이온도가 단일하고, 또한, -2℃ 이하인 것이다. 이 경우, 산소흡수에 따른 산화경화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함과 동시에, 충분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일의 유리 전이온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이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은, 유기용제 등의 용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톨루엔, 크실렌,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는 잔류용제를 원인으로 하는 이취 문제(odor trouble)가 비교적 적어, 연질 포장(flexible package)의 건식 적층용 접착제의 용매로서 일반적이고, 산업적 응용을 고려하면 톨루엔이나 크실렌 등을 함유하지 않는 에틸아세테이트 단일 용제를 본 발명의 용매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또는 산소흡수성 필름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가수분해방지제, 항곰팡이제, 경화촉매, 증점제(thickener), 가소제(plasticizer), 안료(pigment), 충진제,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또는 산소흡수성 필름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을 구성하는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건식 적층용 접착제와 같이 복수의 필름을 적층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산소 차단성(oxygen barrier property)을 갖는 필름 기재와, 가열밀봉성(heat sealing property) 및 산소가스 투과성을 갖는 실란트 필름(sealant film)의 적층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외층 측면으로부터 산소 차단 기재층/산소흡수성 접착제층/실란트층의 적층 구성이 되고, 외부로부터 투과 진입하는 산소를 산소 차단 기재로 차단함으로써, 용기 외 산소에 의한 산소흡수성능의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산소흡수성 접착제가 산소투과성 실란트 필름을 통해 용기 내부의 산소를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산소 차단성을 갖는 필름기재 및 실란트 필름은 각각 단층일 수도 적층체(laminate)일 수도 있다. 산소 차단성을 갖는 필름 기재로는, 차단층으로서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의 증착 박막이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계 수지 또는 염화비닐리덴(vinylidene chloride)계 수지 등의 가스 차단성 유기 재료를 주제(main agent)로 하는 차단 코팅층을 갖는 이축연신(biaxially oriented) PET 필름, 이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또는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필름,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poly(meta-xylylene adipamide))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필름이나 알루미늄박(aluminium foil) 등의 금속박도 바람직하다. 이들의 산소 차단성을 갖는 필름 기재는, 동종 기재나 2종 이상의 이종 기재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축연신 PET 필름, 이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셀로판(cellophane), 종이 등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란트 필름의 재료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linear)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환상(cyclic) 올레핀 중합체,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간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나 그의 이온 가교물(ionomer),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비닐화합물 공중합체, 가열밀봉성을 갖는 PET, A-PET, PETG, PBT 등의 폴리에스테르나 무정형 나일론(amorphous nylon)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동종 재료나 이종 재료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복수의 필름 기재를 적층하는 경우, 공지된 건식 라미네이터(dry laminator)를 사용할 수 있다. 건식 라미네이터에 의해,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의 차단 필름 기재에의 도포, 건조 오븐에 의한 용제 휘산, 50 내지 120℃로 온도를 가한 닙롤(nip roll)에 의한 실란트 필름과의 맞붙임의 일련의 적층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의 도포량은, 고형분으로 0.1 내지 30 g/m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g/m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g/m2이다.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적층한 산소흡수성 적층 필름은, 실온부근의 온도, 예를 들어 10 내지 60℃에서 경화반응을 진행하므로 에이징(aging)(큐어링, curing)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경화는 대부분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에 의한 가교반응에 의한 것이고, 경화에 의해 접착 강도나 응집력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에이징은, 산소흡수성 적층 필름을, 예를 들어 산소 불투과성의 자루(bag) 등으로 밀봉함으로써, 산소부재 하 또는 산소차단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에이징 중에서의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산소흡수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용제에 용해하지 않고, 무용제형(solventless)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지된 무용제 라미네이터(non-solvent laminator)를 이용하여 산소흡수성 적층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접착제 용도에 제한되지 않고 도료(coating material) 용도로도 사용가능하여, 각종 필름 등의 코팅막으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적층한 산소흡수성 필름은, 다양한 형태의 자루상(bag-shaped) 용기나, 컵·쟁반 용기의 덮개 재료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자루상(bag-shaped) 용기로는, 세방향 또는 네방향 밀봉된 평평한 파우치(pouch)류, 거싯(gusset)부착 파우치류, 스탠딩(standing) 파우치류, 필로우(pillow) 포장 자루 등을 들 수 있다.
산소흡수성 필름을 적어도 일부분에 사용한 산소흡수성 용기는, 용기 외부로부터 투과하는 산소를 유효하게 차단하고, 용기 내에 잔존하는 산소를 흡수한다. 이로 인해, 용기 내의 산소 농도를 장기간 낮은 레벨로 유지하고, 내용물의 산소가 관련된 품질저하를 방지하며, 품질 수명(shelf-life)을 향상시키는 용기로서 유용하다.
특히, 산소 존재하에서 쉽게 열화하는 내용품으로서, 예를 들어, 식품으로는 커피콩, 차 잎, 스낵류, 쌀과자, 생·반생과자(raw or semi-raw confectionery products), 과일, 견과, 채소, 어류·육류제품, 어묵(paste product), 건어물, 훈제품(smoked food), 조림(佃煮, Tsukudani, 일본 조림식품), 생쌀(raw rice), 쌀밥류(cooked rice product), 유아식품, 잼(jam), 마요네즈, 케첩, 식용유, 드레싱, 소스류, 유제품 등, 음료로는 맥주, 와인, 과일쥬스, 녹차, 커피 등, 그 외에는 의약품, 화장품, 전자부품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값(value)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수 평균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지수(Mw/Mn)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토소사(Tosoh Corporation) 제; HLC-8120형 GPC)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측정하였다. 용매로는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였다.
(2) 산소흡수량
2 cm × 15 cm로 자른 적층 필름 시험 단편(piece)을, 내부 용적(internal volume) 85 cm3의 산소 불투과성의 강철박(steel foil) 적층 컵에 넣고 알루미늄박 적층 필름 덮개로 가열밀봉하여, 22℃ 분위기 하에서 보존하였다. 7일간 보존한 후의 컵 내의 산소농도를 마이크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장치(INFICON사 제; MicroGC 3000A)로 측정하고, 필름 1cm2당 산소흡수량을 산출하였다. 0.01 mL/cm2 이상을 양호, 0.01 mL/cm2 미만을 불량으로 하였다.
(3) 적층 강도
JIS K 6854-3에 따라, 23℃, 50% RH의 분위기 하에서, T형 박리시험에 의해, 넓이 15 mm, 길이 200 mm(비접착부 50 mm를 포함한다)의 시험 단편을 이용하여, 박리속도 300 mm/min의 측정조건에서 산소흡수성 접착제(막 두께 4 μm)에 의한 알루미늄박-LDPE 간의 적층 강도(단위: N/15 mm)를 측정하였다. 이때 1 N/15 mm 이상을 양호, 1 N/15 mm 미만을 불량으로 하였다.
(4) 유리 전이온도(Tg)
JIS K 7121에 따라, 시차 주사 열량측정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세이코인스트루멘트사(Seiko Instruments Inc.) 제; DSC6220)를 이용하여 질소기류 중, -70℃에서 10분간 보존한 후에 승온 속도 10℃/분의 조건에서,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 및 C), 및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의 Tg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산성분으로서 메틸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이성체 혼합물(히타치카세이(Hitachi Chemical Co., Ltd.); HN-2200)을 몰비 0.9, 그 외의 산성분으로서 무수숙신산을 몰비 0.1, 디올 성분으로서 1,4-부탄디올을 몰비 1.3, 중합촉매로서 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를 300 ppm 가하고, 질소 분위기 중의 150℃ 내지 200℃에서 생성되는 물을 제거하면서 약 6시간 반응시켰다. 계속하여 0.1 kPa의 가압 하에서, 200℃ 내지 220℃에서 약 3시간 중합을 수행하고,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수득하였다. 이때 Mn은 3400이고, Mw는 52600, Tg는 -5.0℃이었다.
수득한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에, Tg -26℃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1)(폴리사이져-W4010(POLYCIZER-W4010); DIC사 제; Mn: 3600, Mw: 9500)을 고형분 중량비 A/B1이 2.3이 되도록 혼합하고, 그 혼합물의 고형분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고형분 환산으로 7 phr(parts per hundred resin)이 되도록 HDI/IPDI계 경화제(KL-75; DIC 그래픽스사 제)를 혼합하고, 또한 촉매로서, 네오데칸산 코발트(cobalt neodecanoate)를 전고형분에 대한 금속환산량으로 80 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20 wt%의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a)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a) 용액을, 이축연신 PET 필름(막두께 12 μm)/우레탄계 접착제(막두께 4 μm)/알루미늄박(막두께 7 μm)으로 이루어진 적층 필름의 알루미늄박면(aluminium foil surface)에, #16의 바코터(bar coater)로 도포하였다. 헤어드라이어의 온풍으로 용제를 휘발시킨 후, 적층 필름의 접착제 도포면과, 30 μm LDPE 필름의 코로나(corona) 처리면을 서로 향하도록 하여 70℃의 열 롤(hot roll)을 통과시켜, 이축연신 PET 필름(막두께 12 μm)/우레탄계 접착제(막두께 4 μm)/알루미늄박(막두께 7 μm)/산소흡수성 접착제 (a)(막두께 4 μm)/LDPE(막두께 30 μm)로 이루어진 산소흡수성 적층 필름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산소흡수성 적층 필름을, 35℃ 질소분위기 하에서 5일간 큐어링(curing)한 후, 산소흡수량의 평가,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의 Tg 측정, 산소흡수 전 및 촉진 조건(acceleration condition)으로서 40℃에서 1주간의 산소흡수 후의 적층 강도의 평가에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촉진 조건으로서 40℃에서 2개월 동안의 산소흡수 후의 적층 강도의 평가,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의 40℃에서 2개월 동안의 산소흡수 후의 Tg 측정의 평가에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에, Tg -24℃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2)(테스락 2506-63; 히타치카세이 폴리머사(Hitachi Kasei Polymer Co., Ltd.) 제; Mn: 9700, Mw: 26000)를 고형분 중량비 A/B2가 1.0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b) 용액을 조제하고, 산소흡수성 필름을 제작하여, 큐어링한 후, 각 평가에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에, Tg -21℃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3)(DICDRY LX-75A; DIC사 제; Mn: 7400, Mw: 23000)을 고형분 중량비 A/B3이 1.0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c) 용액을 조제하고, 산소흡수성 필름을 제작하여, 큐어링한 후, 각 평가에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에, Tg -52℃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4)(테스락 TA 22-781; 히타치카세이 폴리머사(Hitachi Kasei Polymer Co., Ltd.) 제; Mn: 1000, Mw: 4500)을 고형분 중량비 A/B4가 2.3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d) 용액을 조제하고, 산소흡수성 필름을 제작하여, 큐어링한 후, 각 평가에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e) 용액을 조제하고, 산소흡수성 필름을 제작하여, 큐어링한 후, 각 평가에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에, Tg 4℃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C1)(DICDRY LX-520; DIC 그래픽스사 제; Mn: 8200, Mw: 20000)을 고형분 중량비 A/C1이 2.3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f) 용액을 조제하고, 산소흡수성 필름을 제작하여, 큐어링한 후, 각 평가에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에, Tg -9℃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C2)(DICDRY LX-703VL; DIC 그래픽스사 제; Mn: 7500, Mw: 17500)을 고형분 중량비 A/C2가 2.3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g) 용액을 조제하고, 산소흡수성 필름을 제작하여, 큐어링한 후, 각 평가에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
유리 전이온도 Tg(℃) |
산소흡수성능 (mL/cm2@22℃) |
적층 강도 (N/15 mm@23℃) |
종합평가 |
|||
7일 시험구 | 평가 | 산소흡수전 | 40℃-7일간 산소흡수후 | 평가 | ||||
실시예 1 | (a) | -13.2 | 0.034 | ○ | 3.3 | 2.4 | ○ | ○ |
실시예 2 | (b) | -14.1 | 0.017 | ○ | 3.6 | 3.2 | ○ | ○ |
실시예 3 | (c) | -10.5 | 0.021 | ○ | 2.8 | 2.7 | ○ | ○ |
실시예 4 | (d) | -14.8 | 0.034 | ○ | 3.9 | 2.7 | ○ | ○ |
비교예 1 | (e) | -1.5 | 0.034 | ○ | 4.0 | 0.6 | × | × |
비교예 2 | (f) | -0.3 | 0.027 | ○ | 5.7 | 0.7 | × | × |
비교예 3 | (g) | -1.5 | 0.028 | ○ | 3.7 | 0.6 | × | × |
|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조성물 |
유리 전이온도 Tg(℃) |
적층 강도 (N/15 mm@23℃) |
|
40℃-2개월간 산소흡수후 | 40℃-2개월간 산소흡수후 | 평가 | ||
실시예 1 | (a) | -11.1, 19.1 | 1.6 | ○ |
실시예 2 | (b) | -14.5, 21.8 | 2.7 | ○ |
실시예 3 | (c) | -18.2, 27.0 | 3.0 | ○ |
비교예 1 | (e) | 25.9 | 0.6 | × |
비교예 2 | (f) | 24.3 | 0.7 | × |
비교예 3 | (g) | 5.4, 28.3 | 0.6 | × |
Claims (11)
-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layer)을 갖는 필름으로서, 상기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이 적어도 2개의 유리 전이온도를 가지며, 그 중에서 가장 낮은 유리 전이온도가 0℃ 미만인 산소흡수성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이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를 포함하고,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 전이온도 0℃ 미만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산소흡수성 필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이,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로 이루어진 주제(main agent)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배합한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산소흡수성 필름.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에 포함된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가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원료로 하는 산소흡수성 필름.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산소 차단 필름 층, 산소흡수성 접착제 층, 및 실란트 필름 층으로 구성된 산소흡수성 필름.
- 유리 전이온도가 -20℃ 내지 10℃의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유리 전이온도가 -10℃ 이하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를 포함하는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B)의 비율 A/B가 0.6 내지 9인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추가로 배합한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전이온도가 단일하고, 또한, -2℃ 이하인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소흡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가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원료로 하는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이금속 촉매를 추가로 첨가한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007658A JP6075710B2 (ja) | 2013-01-18 | 2013-01-18 | 酸素吸収性接着剤樹脂組成物 |
JPJP-P-2013-007659 | 2013-01-18 | ||
JPJP-P-2013-007658 | 2013-01-18 | ||
JP2013007659A JP6115708B2 (ja) | 2013-01-18 | 2013-01-18 | 酸素吸収性フィルム |
PCT/JP2014/050972 WO2014112621A1 (ja) | 2013-01-18 | 2014-01-20 | 酸素吸収性フィルム及び酸素吸収性接着剤樹脂組成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5972A true KR20150105972A (ko) | 2015-09-18 |
KR101793354B1 KR101793354B1 (ko) | 2017-11-02 |
Family
ID=5120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1382A KR101793354B1 (ko) | 2013-01-18 | 2014-01-20 | 산소흡수성 필름 및 산소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10774248B2 (ko) |
EP (1) | EP2947128B1 (ko) |
KR (1) | KR101793354B1 (ko) |
CN (1) | CN104968753B (ko) |
WO (1) | WO201411262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65788B2 (ja) * | 2015-12-09 | 2019-02-06 | ロックペイント株式会社 | 酸素吸収性付与ラミネート接着剤樹脂組成物 |
WO2022064821A1 (ja) * | 2020-09-28 | 2022-03-31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酸素吸収性フィルム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18837A (en) | 1975-08-28 | 1982-03-09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Adhesive for wood and vinyl |
US5900473A (en) | 1997-06-16 | 1999-05-04 |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 Radiation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
WO1998058034A1 (fr) | 1997-06-18 | 1998-12-23 | Toagosei Co., Ltd. | Procede de production d'un article etiquete |
JPH115959A (ja) | 1997-06-18 | 1999-01-12 | Toagosei Co Ltd | 感熱粘着剤組成物及び感熱粘着シート |
JPH115960A (ja) | 1997-06-18 | 1999-01-12 | Toagosei Co Ltd | 感熱粘着剤組成物及び感熱粘着シート |
ID28242A (id) | 1997-12-02 | 2001-05-10 | Henkel Kgaa | Perekat dan penggunaan daripadanya dalam bahan-bahan komposit |
EP1749847B1 (en) | 2004-04-30 | 2016-04-13 | Toyo Seikan Kaisha, Ltd. | Oxygen absorbing resin, oxygen absorbing resin composition and oxygen absorbing container |
EP2036936B1 (en) | 2006-04-12 | 2018-06-06 | Toyo Seikan Group Holdings, Ltd. | Oxygen-absorbing resin, oxygen-absorbing resin compositions and oxygen-absorbing containers |
JP5378639B2 (ja) * | 2006-04-20 | 2013-12-25 | 東洋製罐株式会社 | 樹脂配合用酸素吸収剤及びその製造方法 |
JP5026252B2 (ja) | 2007-07-06 | 2012-09-12 | 株式会社日本触媒 | 溶剤型再剥離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再剥離用粘着製品 |
JP5671802B2 (ja) | 2010-01-15 | 2015-02-18 | 東洋製罐株式会社 | 酸素吸収性樹脂及び酸素吸収性接着剤樹脂組成物 |
WO2010101290A1 (ja) | 2009-03-06 | 2010-09-10 | 東洋製罐株式会社 | 酸素吸収性溶剤可溶型樹脂及び酸素吸収性接着剤樹脂組成物 |
JP5403272B2 (ja) | 2010-03-04 | 2014-01-29 | 東洋製罐株式会社 | 2液硬化型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 |
US20130143734A1 (en) | 2010-08-19 | 2013-06-06 | Toyo Seikan Kaisha Ltd. | Resin for Oxygen-absorbing Adhesive and Oxygen-absorbing Adhesive |
CN103370351A (zh) * | 2010-12-28 | 2013-10-23 | 东洋制罐集团控股株式会社 | 二液硬化型氧吸收性树脂组合物及氧吸收性粘结剂 |
JP2013006893A (ja) * | 2011-06-22 | 2013-01-10 | Hitachi Chemical Co Ltd | 高熱伝導樹脂組成物、高熱伝導性硬化物、接着フィルム、封止用フィルム、及びこれらを用いた半導体装置 |
-
2014
- 2014-01-20 CN CN201480007050.0A patent/CN104968753B/zh active Active
- 2014-01-20 EP EP14740945.2A patent/EP2947128B1/en active Active
- 2014-01-20 US US14/759,420 patent/US10774248B2/en active Active
- 2014-01-20 KR KR1020157021382A patent/KR1017933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1-20 WO PCT/JP2014/050972 patent/WO201411262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
- 2020-08-06 US US16/986,470 patent/US11939495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774248B2 (en) | 2020-09-15 |
CN104968753A (zh) | 2015-10-07 |
CN104968753B (zh) | 2017-11-07 |
US20150353789A1 (en) | 2015-12-10 |
EP2947128A1 (en) | 2015-11-25 |
WO2014112621A1 (ja) | 2014-07-24 |
EP2947128A4 (en) | 2016-08-10 |
US20200362211A1 (en) | 2020-11-19 |
US11939495B2 (en) | 2024-03-26 |
KR101793354B1 (ko) | 2017-11-02 |
EP2947128B1 (en) | 2018-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20591B2 (ja) | 2液硬化型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及び酸素吸収性接着剤 | |
KR101796716B1 (ko) | 산소 흡수성 접착제용 수지 및 산소 흡수성 접착제 | |
KR101312669B1 (ko) | 산소 흡수성 용제 가용형 수지 및 산소 흡수성 접착제 수지 조성물 | |
JP5403272B2 (ja) | 2液硬化型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 | |
JP2024138446A (ja) |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酸素吸収性フィルム | |
US11939495B2 (en) | Oxygen-absorbing film | |
JP5671816B2 (ja) | 酸素吸収性溶剤可溶型樹脂及び酸素吸収性接着剤樹脂組成物 | |
JP5671802B2 (ja) | 酸素吸収性樹脂及び酸素吸収性接着剤樹脂組成物 | |
JP2021074969A (ja) | 酸素吸収性積層体又はその製造方法 | |
JP6115708B2 (ja) | 酸素吸収性フィルム | |
JP6443823B2 (ja) | 酸素吸収性フィルム | |
JP6075710B2 (ja) | 酸素吸収性接着剤樹脂組成物 | |
JP6090566B2 (ja) |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及び酸素吸収性接着剤樹脂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