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127A -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127A
KR20150105127A KR1020140027386A KR20140027386A KR20150105127A KR 20150105127 A KR20150105127 A KR 20150105127A KR 1020140027386 A KR1020140027386 A KR 1020140027386A KR 20140027386 A KR20140027386 A KR 20140027386A KR 20150105127 A KR20150105127 A KR 20150105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touch
closed
key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046B1 (ko
Inventor
박영환
이한용
제갈지혜
김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27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4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 닫힌 도형의 내부에 키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통해 터치 스크린의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of touch keypad}
본 발명은 단말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입력한 임의의 도형 형상의 내부에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화면 터치 방식의 키패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 키패드는 전통적인 방식의 기계식 키패드와 달리 소프트웨어적인 조작으로 자유롭게 키패드의 키를 배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터치 스크린이 이용된 무선 통신 단말에서 터치 키패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무선 통신 단말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터치 키패드는 전통적인 키패드의 형상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이 포함된 단말을 사용하는 사람의 고유한 특성에 맞는 터치 키패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스크린이 포함된 단말의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의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 그리고 닫힌 도형의 내부에 키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에서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끝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작점과 끝점을 일치시킬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에서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의 끝점이 터치 입력의 시작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안에 있을 경우, 끝점을 시작점과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에서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의 끝점이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끝점과 시작점을 직선으로 잇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에서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는, 닫힌 도형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닫힌 도형을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에서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닫힌 도형을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은 닫힌 도형 및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하는 단계, 객체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키패드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은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제1 키가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터치되는 경우, 제1 키를 미리 정해진 제1 비율만큼 확대하거나 축소하거나 제1 키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확대되거나 축소되거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제1 키가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제2 키의 위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키와 제2 키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은 닫힌 도형 및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하는 단계, 키패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터치되는 경우, 키패드 객체를 미리 정해진 제2 비율만큼 확대하거나 축소하거나 키패드 객체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키패드 객체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의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도형 생성부, 그리고 닫힌 도형의 내부에 키패드를 생성하는 키패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에서 도형 생성부는,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끝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작점과 끝점을 일치시킬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에서 도형 생성부는, 터치 입력의 끝점이 터치 입력의 시작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안에 있을 경우, 끝점을 시작점과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에서 도형 생성부는, 터치 입력의 끝점이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끝점과 시작점을 직선으로 이을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에서 도형 생성부는, 닫힌 도형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닫힌 도형을 확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에서 도형 생성부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닫힌 도형을 축소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는, 닫힌 도형 및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하는 키패드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키패드 관리부는, 객체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객체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에서 키패드 관리부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키패드 객체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에서 키패드 생성부는,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제1 키가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터치되는 경우, 제1 키를 미리 정해진 제1 비율만큼 확대하거나 축소하거나 제1 키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확대되거나 축소되거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제1 키가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제2 키의 위로 이동하면, 제1 키와 제2 키의 위치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는, 닫힌 도형 및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하는 키패드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키패드 관리부는, 키패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터치되는 경우, 키패드 객체를 미리 정해진 제2 비율만큼 확대하거나 축소하거나 키패드 객체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키패드 객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손목, 손가락 또는 팔의 피로 없이 통신 단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터치 키패드를 이용한 입력 속도의 향상을 기재할 수 있으며, 터치 키패드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터치 스크린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그린 도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소프트웨어나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100)는, 도형 생성부(110), 키패드 생성부(120) 및 키패드 관리부(130)를 포함한다.
도형 생성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닫힌 도형'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키패드가 표시될 키패드의 윤곽을 그리게 되는데, 도형 생성부(110)는 사용자가 그린 윤곽을 닫힌 도형으로 완성한다.
키패드 생성부(120)는, 도형 생성부(110)에서 완성한 닫힌 도형의 내부에 키패드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키패드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키패드 생성부(120)는 사용자가 닫힌 도형의 내부에 사용자가 선택한 키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키패드에 적합하도록 닫힌 도형의 모양을 조금 변경할 수 있다.
키패드 관리부(130)는, 사용자가 그린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닫힌 도형과 함께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한다. 예를 들어, 키패드 관리부(13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키패드 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키패드 객체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그린 도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말의 설정 메뉴에서 '키패드 설정'을 선택하면, 단말은 도형 생성부(110) 및 키패드 생성부(120)를 활성화하고 화면을 키패드 설정 화면으로 전환한다(S201).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가 표시될 영역을 표시하는 도형을 키패드 설정 화면에 그리면, 도형 생성부(110)는 사용자가 그리는 도형이 닫힌 도형인지 확인하고(S202), 닫힌 도형이 아닌 경우 사용자가 그리는 도형을 닫힌 도형으로 완성한다(S203).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그린 도형이 닫힌 도형으로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형 생성부(110)는 사용자가 그린 도형을 닫힌 도형으로 완성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끝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즉, 닫힌 도형이 그려지지 않은 경우), 도형 생성부(110)는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끝점을 일치시킬 것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끝점이 시작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안에 있을 경우, 도형 생성부(110)는 터치 입력의 끝점을 시작점과 일치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끝점이 시작점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형 생성부(110)는 터치 입력의 끝점과 시작점을 직선으로 이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그린 도형의 시작점과 끝점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형 생성부(110)는 사용자가 그린 도형의 시작점과 끝점을 일치시켜서 닫힌 도형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도형 생성부는(110)는 완성된 닫힌 도형을 확대 및 축소할 수 있다. 닫힌 도형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감지된 경우, 도형 생성부(110)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닫힌 도형을 확대하고,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닫힌 도형을 축소시킬 수 있다.
이후, 단말의 키패드 생성부(120)는 닫힌 도형의 내부에 키패드를 생성하고(S204), 사용자는 사용자가 그린 도형을 윤곽으로 하는 터치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키패드 생성부(120)는 닫힌 도형을 확장하여 확장한 부분에 컨트롤키, 시프트키, 또는 방향키 등의 기능키를 생성할 수 있다(앞으로 '확장 버전 터치 키패드'라 함). 도 4를 참조하면, 확장 버전 터치 키패드의 아랫부분에는 시프트키와 방향키가 생성되었고, 윗부분(즉, 시프트키와 방향키의 윗부분)(401)에는 시프트키 및 방향키를 제외한 키가 생성되었다. 즉, 키패드 생성부(120)는 닫힌 도형에서 확장된 부분에 시프트키와 방향키 등의 기능키를 생성하고, 도형 생성부(110)에서 생성한 닫힌 도형의 내부(401)에 나머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확장된 부분에 생성되는 기능키는 통상의 키보드의 가장 아랫줄에 위치하는 키를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키패드 생성부(120)가 사용자가 그린 도형을 확장시켜서 키패드를 변형시키는 이유는 터치키패드에 인체공학적인 특징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것은 통상의 사용자가 단말을 손에 쥐었을 때의 엄지손가락 움직임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생성부(120)는, 통상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할 때 새끼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는 시프트 키 및 글자키와 다소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방향 키 등을 확장된 부분에 별도로 배치하여, 키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고 보편적인 타이핑 습관에 최적화된 터치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키패드 생성부(120)는 닫힌 도형의 내부에 모든 키가 생성된 터치 키패드(제1 터치 키패드)와, 닫힌 도형의 확장된 부분에 시프트 키 등 기능키가 생성된 확장 버전 터치 키패드(제2 터치 키패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터치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S205).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관리부(130)는 사용자가 그린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닫힌 도형과 함께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한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이 포함된 단말을 사용할 때 화면에 나타난 입력창을 터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키패드 객체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 키패드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 객체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하는 경우, 키패드 관리부(130)는 키패드 객체를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키패드 객체의 명도, 채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키패드 객체가 이동될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화면 터치 수단(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의 움직임에 따라 터치 키패드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멀티 터치 동작을 통해 터치 키패드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패드 객체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감지되고, 키패드 객체에 대해 각 멀티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터치 키패드의 크기가 확대될 수 있다. 또는 각 멀티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터치 키패드는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터치 키패드에 표시된 특정 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키패드에 포함된 키 중에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키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한다. 이후, 눌러진 키의 색이 변하거나, 키가 커지는 애니메이션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면에서 이동시키려는 키를 끌어서 키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ㅓ'키와 'ㅏ'키의 위치를 바꾸고자 할 때, 사용자는 'ㅓ'키를 길게 누른다. 이후, 'ㅓ'키의 색이 변하거나 키가 약간 커지게 되면, 사용자는 'ㅓ'키를 끌어서 'ㅏ'키의 위치로 가져간다. 또는 반대로 'ㅏ'키를 길게 누르고, 'ㅏ'키를 끌어서 'ㅓ'키의 위치로 가져간다. 이후, 사용자는 터치 키패드에서 'ㅓ'키와 'ㅏ'키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키패드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손목, 손가락 또는 팔의 피로 없이 통신 단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터치 키패드를 이용한 입력 속도의 향상을 기재할 수 있으며, 터치 키패드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터치 스크린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터치 스크린의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키패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끝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시작점과 끝점을 일치시킬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의 끝점이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안에 있을 경우, 상기 끝점을 상기 시작점과 일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의 끝점이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끝점과 상기 시작점을 직선으로 잇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단계는,
    상기 닫힌 도형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닫힌 도형을 확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닫힌 도형을 축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키패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모든 키를 배열하여 제1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닫힌 도형을 확장하여 상기 확장된 부분에 기능키를 배열하고,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상기 기능키가 아닌 나머지 키를 배열하여 제2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터치 키패드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키패드 또는 상기 제2 터치 키패드 중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닫힌 도형 및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 객체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키패드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키패드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제1 키가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키를 미리 정해진 제1 비율만큼 확대하거나 축소하거나 상기 제1 키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대되거나 축소되거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제1 키가 상기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제2 키의 위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와 상기 제2 키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닫힌 도형 및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터치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 객체를 미리 정해진 제2 비율만큼 확대하거나 축소하거나 상기 키패드 객체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키패드 객체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방법.
  11. 터치 스크린의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닫힌 도형을 완성하는 도형 생성부, 그리고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키패드를 생성하는 키패드 생성부
    를 포함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도형 생성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끝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시작점과 끝점을 일치시킬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도형 생성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끝점이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안에 있을 경우, 상기 끝점을 상기 시작점과 일치시키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14. 제11항에서,
    상기 도형 생성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끝점이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끝점과 상기 시작점을 직선으로 잇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15. 제11항에서,
    상기 도형 생성부는,
    상기 닫힌 도형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닫힌 도형을 확대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닫힌 도형을 축소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16. 제11항에서,
    상기 키패드 생성부는,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모든 키를 배열하여 제1 터치 키패드를 생성하고, 상기 닫힌 도형을 확장하여 상기 확장된 부분에 기능키를 배열하고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상기 기능키가 아닌 나머지 키를 배열하여 제2 터치 키패드를 생성한 후, 상기 터치 키패드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키패드 또는 상기 제2 터치 키패드 중 하나를 표시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17. 제11항에서,
    상기 닫힌 도형 및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하는 키패드 관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관리부는,
    상기 키패드 객체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키패드 객체의 크기를 확대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키패드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포인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키패드 객체의 크기를 축소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19. 제11항에서,
    상기 키패드 생성부는,
    상기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제1 키가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키를 미리 정해진 제1 비율만큼 확대하거나 축소하거나 상기 제1 키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상기 확대되거나 축소되거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제1 키가 상기 키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제2 키의 위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키와 상기 제2 키의 위치를 교환하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20. 제11항에서,
    상기 닫힌 도형 및 상기 닫힌 도형의 내부에 생성된 키패드를 하나의 키패드 객체로 관리하는 키패드 관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 관리부는,
    상기 키패드 객체가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터치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 객체를 미리 정해진 제2 비율만큼 확대하거나 축소하거나 상기 키패드 객체의 명도, 채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키패드 객체를 이동시키는 터치 키패드 생성 장치.
KR1020140027386A 2014-03-07 2014-03-07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56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86A KR101567046B1 (ko) 2014-03-07 2014-03-07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86A KR101567046B1 (ko) 2014-03-07 2014-03-07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127A true KR20150105127A (ko) 2015-09-16
KR101567046B1 KR101567046B1 (ko) 2015-11-06

Family

ID=5424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86A KR101567046B1 (ko) 2014-03-07 2014-03-07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355A1 (ko) * 2018-08-23 2020-02-27 유승민 키패드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355A1 (ko) * 2018-08-23 2020-02-27 유승민 키패드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046B1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2722334B (zh) 触摸屏幕的控制方法及装置
JP2019220237A (ja) 文字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US20150185953A1 (en) Optimization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interface
US9870144B2 (en) Graph display apparatus,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10035724A (ko) 가상 키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577033B (zh) 一种输入法面板的设置方法和系统
JP2018067068A (ja) 描画処理方法、描画処理プログラム及び描画処理装置
CN103150105A (zh) 虚拟键盘的调整方法及系统
CN103309457A (zh) 一种输入法面板的设置方法及系统
US20120179963A1 (en) Multi-touch electronic device, graphic display interface thereof and object selection method of multi-touch display
US20110126100A1 (en) Method of providing gui for guiding start position of user operation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WO2023274067A1 (zh) 图标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WO2022111397A1 (zh) 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080042056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문자 입력 방법
JP2012178175A (ja) 表示制御装置、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59722A (ja) 携帯情報装置、ソフトキーボード表示方法、ソフトキーボード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230236673A1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KR101567046B1 (ko)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40048779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JP541492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JP6142553B2 (ja) 図形表示制御装置、図形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090765A1 (zh) 一种写字板、写字板组件以及写字板的书写方法
KR20090016209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