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609A -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 Google Patents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609A
KR20150102609A KR1020140024681A KR20140024681A KR20150102609A KR 20150102609 A KR20150102609 A KR 20150102609A KR 1020140024681 A KR1020140024681 A KR 1020140024681A KR 20140024681 A KR20140024681 A KR 20140024681A KR 20150102609 A KR20150102609 A KR 20150102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elastic
support
body portion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1410B1 (ko
Inventor
김병수
음용진
Original Assignee
(주)로보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티즈 filed Critical (주)로보티즈
Priority to KR102014002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410B1/ko
Priority to PCT/KR2015/001974 priority patent/WO2015130147A1/ko
Publication of KR2015010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 B21J15/50Removing or cutting devices for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학교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효과적으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탄성리벳이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 1 발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출수단의 양 끝단에는 한 쌍의 제 1 지지판이 마련되도록 그 사이에 제 1 개방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판의 내측은 탄성리벳이 걸리도록 제 1 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지지판의 단부는 상기 제 1 걸이부를 통해 탄성리벳이 수직으로 탈착되도록 곡면으로 구비되는 제 1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RIVET TOOL FOR DESORPTING OF ELASTIC RIVET}
본 발명은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학교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효과적으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블록이나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과학교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과학교구는, 복수의 블록 또는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단순한 형태로 조립하는 수준으로 구성되는 수준에서부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체의 제공을 통해, 더욱 견고하면서 다양한 동작이 가능한 로봇형상 구현이 가능한 수준까지 출시되고 있다.
아동이나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까지도 대상으로 하는 이러한 높은 수준의 블록 및 플레이트형 교구는, 다양한 형상 구현이 가능하도록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이루어야 한다.
예컨대, 각 구성품 간의 자유로운 움직임(회동 등)이 가능해야 하고, 각 구성품의 결합뿐만 아니라 분리도 용이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학교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체 간의 결합이 나사를 이용한 체결 조립이거나, 혹은 납땜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 조립 편리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추가적인 도구가 필요하고, 일단 조립된 후에는 분해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임체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이 어느 특정한 부분으로 한정되는 경우 좀더 세밀하고 다양한 결합이 제약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을 구현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종래에는 탄성리벳과 이를 위한 리벳툴이 요구되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리벳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종래의 리벳툴(10)은 툴몸체(11)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걸어빼기부(12)를 통해 탄성리벳(70)을 탈착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종래의 리벳툴(10)은 돌출판(12a) 내측에 형성된 걸이리브(12b)를 탄성리벳(70)의 머리부에 고정시킨 후, 돌출판(12a)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단(12c)의 작용을 통해 탄성리벳(70)을 탈착시킬 수 있다.
돌출판(12a)의 단부는 직면으로 형성되고, 걸이리브(12b)는 돌출판(12a)의 단부와 평행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탄성리벳(70)은 사선방향으로 탈착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종래의 리벳툴(10)에 작용되는 받침점 및 작용점이 모두 직면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사선방향으로 탈착되는 탄성리벳(70)에는 다방면의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리벳(70)이 사선방향으로 탈착되는 과정에서, 과학교구의 제 1 플레이트(30) 및 제 2 플레이트(50)에 형성된 타공홀에 탄성리벳(70)이 맞닿아 탈착되므로, 서로 맞닿는 탄성리벳(70) 및 타공홀의 일단에 흡집 및 변형이 일어날 수 있었다.
또한, 탄성리벳(70) 및 타공홀의 걸림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사용자가 무리하게 탄성리벳(70)을 탈착시키려는 행위로 인해 소재의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생겼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과학교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효과적으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탄성리벳이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 1 발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출수단의 양 끝단에는 한 쌍의 제 1 지지판이 마련되도록 그 사이에 제 1 개방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판의 내측은 탄성리벳이 걸리도록 제 1 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지지판의 단부는 상기 제 1 걸이부를 통해 탄성리벳이 수직으로 탈착되도록 곡면으로 구비되는 제 1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출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 돌출되어 양 끝단 사이에 제 2 개방구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내측에 형성되며 탄성리벳이 걸리도록 구비되는 제 2 걸이부 및 상기 제 2 지지판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이부를 통해 탄성리벳이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 2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판의 일단에는 내구성을 보강하는 제 1 리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며 탄성리벳이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 2 발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출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 돌출되어 양 끝단 사이에 제 2 개방구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내측에 형성되며 탄성리벳이 걸리도록 구비되는 제 2 걸이부 및 상기 제 2 지지판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이부를 통해 탄성리벳이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 2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걸이부를 통해 탄성리벳이 수직으로 탈착되도록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판의 일단에는 내구성을 보강하는 제 2 리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출수단 및 제 2 발출수단은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배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상기 제 1 발출수단에서 상기 제 2 발출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발출수단에는 제 1 걸이부를 통해 탄성리벳의 탈착방향을 유도할 수 있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 1 지지부의 작용으로 인해 제 1 걸이부에 유도되는 탄성리벳이 수직으로 탈착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형성된 타공홀의 중심선상, 즉 수직선상으로 탄성리벳이 탈착됨으로써, 아동이나 청소년 및 노인들의 힘으로도 손쉽게 취급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발출수단이 동시에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탄성리벳에 대응하여 탈착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과학교구용 프레임의 효과적인 조립 및 분리가 이루어져 아동 및 노약자 등에 의한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리벳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리벳툴을 통한 탄성리벳의 탈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을 나타내는 내측면도이다.
도 6는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벳툴의 탄성리벳 탈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벳툴의 제 2 발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 2 발출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의 배면도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1000)은 몸체부(1100), 제 1 발출수단(1300) 및 제 2 발출수단(1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1100)는 사선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도록 구현된다.
제 1 발출수단(1300)은 몸체부(11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탈착부재가 탈착되도록 구비된다.
제 2 발출수단(1500)은 몸체부(1100)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며 탈착부재가 탈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 1 발출수단(1300) 및 제 2 발출수단(1500)은 몸체부(1100)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1100)의 길이방향 배면에는 복수의 홈(1100a)이 형성된다.
이때, 홈(1100a)은 제 1 발출수단(1300)에서 제 2 발출수단(1500)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현된다.
몸체부(1100)의 배면으로는 복수의 홈(1100a)이 형성됨으로써, 독립된 공간을 갖는 각 홈(1100a)에는 내압이 작용하여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는 몸체부(1100)의 내구성을 보강해준다.
따라서, 형성된 홈(1100a)의 단면적은 제 1 발출수단(1300)을 통해 탈착되는 리벳부재가 제 2 발출수단(1500)으로 인해 탈착되는 리벳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격이 크므로, 제 1 발출수단(1300)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발출수단(1300)의 양 끝단에는 한 쌍의 제 1 지지판(1320)이 마련되도록 그 사이에 제 1 개방부가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지지판(1320)의 내측은 탈착부재가 걸리도록 제 1 걸이부(1325)가 구비된다.
또한, 제 1 지지판(1320)의 하단부는 제 1 걸이부(1325)를 통해 탈착부재가 수직으로 탈착되도록 곡면으로 구비되는 제 1 지지부(132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 쌍의 제 1 지지판(1320) 사이에는 제 1 개방구(1310)가 형성되고, 제 1 개방구(1310)의 내부로 리벳부재의 이동이 수시로 구현되기 때문에 제 1 지지판(1320)의 형상 유지에 치명적인 외력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 1 지지판(13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 1 지지판(1320)의 내구성이 보강되도록 제 1 리브(1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리벳툴(1000)은 로봇모듈 등의 과학교구에 적용되도록 그 소재가 강화플라스틱류로 구현되었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테인리스류 및 강철류 등의 소재강화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분리 또는 결합이 필요한 산업자재의 탈착작업에도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몸체부(1100)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힘이 잘 전달되도록 손가락마디에 대응하는 굴곡형상 또는 미끄럼 현상이 예방되도록 복수의 돌기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을 나타내는 내측면도이다.
전술한 도 3 및 도 4를 바탕으로 도 5를 설명하자면, 사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1100)는 사용자의 힘이 전해지는 손잡이로 사용된다.
몸체부(1100)의 배면에 복수로 구비된 홈(1100a)은 제 1 발출수단(1300)에서 제 2 발출수단(1500)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되, 각 홈(1100a)의 사이에는 경계벽이 형성되어 각 홈(1100a)이 독립적인 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판(13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1 걸림부는 곡면으로 구비되어 그 단부가 몸체부(1100)의 일단과 동일선상에서 접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하지만, 제 1 걸림부의 단부와 몸체부(1100)의 일단이 접하는 접점은, 제 1 걸림부를 통해 유도되는 탈착소재가 제 1 개방구(13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두터운 경계벽을 이룬다.
즉, 탈착소재는 제 1 지지판(1320)의 내측에 구비된 제 1 걸림부를 따라 제 1 개방구(1310)로 유도된 후, 제 1 걸림부 단부와 몸체부(1100) 일단이 접하는 접점에서 고정 위치된다.
도 6는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벳툴의 탄성리벳 탈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설명하겠고, 탄성리벳(70)의 크기가 제 1 발출수단(1300)과 서로 대응되는 실시예를 따른다.
과학교구용 프레임으로써 탄성리벳(70)을 매개로 올바르게 조립된 제 1 플레이트(30) 및 제 2 플레이트(5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벳툴(1000)의 제 1 발출수단(1300) 및 제 2 발출수단(1500)을 통해 분리가능하다.
먼저, 도 6에서와 같이, 탄성리벳(70)의 제거를 통해 분리가 필요한 제 1 플레이트(30) 및 제 2 플레이트(50)에 있어서, 리벳툴(1000)의 제 1 지지부(1327)는 제 1 플레이트(30)의 상측과 맞닿게 된다.
이때, 제 1 지지부(1327)의 선단이 제 1 플레이트(30)의 상측과 맞닿게 되는데, 제 1 지지부(1327)가 곡면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제 1 지지부(1327)의 후단으로 갈수록 제 1 플레이트(30)와의 이격된 공간이 넓어진다.
도 7에서와 같이, 제 1 걸이부(1325)의 선단에 탄성리벳(70)의 머리부가 올바르게 끼워진 경우, 몸체부(1100)는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는 힘점이 된다.
그리고, 제 1 걸이부(1325)와 탄성리벳(70)이 끼워지는 영역은 작용점이 되며, 제 1 플레이트(30)와 맞닿는 제 1 지지부(1327)의 선단은 받침점이 된다.
이때, 제 1 지지부(1327)가 곡면을 이룸으로써, 몸채부가 제 1 플레이트(30) 및 제 2 플레이트(50)의 수직방향으로 더 회동되어 탄성리벳(70)의 머리부를 리벳툴(1000)의 제 1 걸이부(1325)에 걸어 끼울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서와 같이, 몸체부(1100)에 사용자의 힘이 더욱 가해지면 제 1 플레이트(30)의 상부 및 제 1 지지부(1327)의 후단이 맞닿아 받침점이 되고, 상대적으로 제 1 지지부(1327)의 선단은 이격공간이 발생된다.
또한, 제 1 지지부(1327) 및 제 1 플레이트(30)가 서로 맞닿아 받침점이 발생된 경우, 제 1 걸림부 및 탄성리벳(70)의 머리부가 맞닿아 작용점이 된다.
이때, 사용자의 힘이 몸체부(1100)에 가해짐에 따라, 곡면으로 형성된 제 1 지지부(1327)가 후단으로 갈수록 제 1 플레이트(30)와 맞닿게 되고, 이로 인해 탄성리벳(70)은 제 1 걸이부(1325)의 유도로 인해 제 1 개방구(1310)의 내부로 더욱 밀려들어간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탄성리벳(70)이 제 1 걸이부(1325)의 후단까지 유도된 경우, 제 1 지지부(1327)의 끝단에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받침점이 발생하여 제 1 플레이트(30)의 상측과 맞닿게 된다.
이때, 탄성리벳(70) 및 제 1 걸림부가 맞닿아 작용점이 발생함으로써, 탄성리벳(70)은 제 1 플레이트(30)의 관통홀에서 수직방향으로 탈착된다.
결과적으로,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벳툴(1000)에 의한 탄성리벳(70)의 탈착과정에 있어서, 제 1 걸이부(1325)를 통해 탄성리벳(70)의 탈착방향이 유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 1 지지부(1327)의 지렛대 역할로 인해, 제 1 걸이부(1325)에 유도되는 탄성리벳(70)이 수직으로 탈착되어 외력에 의한 소재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의 중심선상, 즉 수직선상으로 탄성리벳(70)이 탈착됨으로써, 아동이나 청소년 및 노인들의 힘으로도 손쉽게 취급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벳툴(1000)의 제 2 발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 2 발출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제 2 발출수단(1500)은 제 1 발출수단(1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리벳(90)을 탈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리벳툴(1000)의 제 2 발출수단(1500)은 제 2 지지판(1520), 제 2 걸이부(1525) 및 제 2 지지부(1527)로 이루어진다.
제 2 지지판(1520)은 몸체부(1100)의 타단에서 연장 돌출되어 양 끝단 사이에 제 2 개방구(1510)가 구비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
제 2 걸이부(1525)는 제 2 지지판(1520)의 내측에 형성되며 탄성리벳(90)이 걸리도록 구비된다.
제 2 지지부(1527)는 제 2 지지판(152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제 2 걸이부(1525)를 통해 탄성리벳(90)이 탈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한 쌍의 제 2 지지판(1520) 사이에는 제 2 개방구(1510)가 형성되고, 제 2 개방구(1510)의 내부로 탄성리벳(90)의 이동이 수시로 구현되기 때문에 제 2 지지판(1520)의 형상 유지에 치명적인 외력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 2 지지판(15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 2 지지판(1520)의 내구성이 보강되도록 제 2 리브(15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제 2 지지부(1529)는 제 2 걸이부(1525)를 통해 탄성리벳(90)이 수직으로 탈착되도록 곡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지지부(1529)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 2 발출수단(1500)은 이미 전술된 제 1 발출수단(1300)을 통해서 충분히 설명됨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도 3 내지 도 11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벳툴(1000)은 제 1 발출수단(1300) 및 제 2 발출수단(1500)이 동시에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리벳소재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용이한 탈착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더욱이, 과학교구용 프레임의 효과적인 조립 및 분리가 이루어져 아동 및 노약자 등에 의한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00: 리벳툴 11: 툴몸체
12: 걸어빼기부 12a: 돌출판
12b: 걸이리브 12c: 지지단
30: 제 1 플레이트 50: 제 2 플레이트
70, 90: 탄성리벳 1100: 몸체부
1100a: 홈 1300: 제 1 발출수단
1310: 제 1 개방부 1320: 제 1 지지판
1325: 제 1 걸이부 1327: 제 1 지지부
1330: 제 1 리브 1500: 제 2 발출수단
1510: 제 2 개방부 1520: 제 2 지지판
1525: 제 2 걸이부 1527, 1529: 제 2 지지부
1530: 제 2 리브

Claims (8)

  1.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탄성리벳이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 1 발출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출수단의 양 끝단에는 한 쌍의 제 1 지지판이 마련되도록 그 사이에 제 1 개방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판의 내측은 탄성리벳이 걸리도록 제 1 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지지판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걸이부를 통해 탄성리벳이 수직으로 탈착되도록 곡면으로 구비되는 제 1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판의 일단에는 내구성을 보강하는 제 1 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며 탄성리벳이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 2 발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출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 돌출되어 양 끝단 사이에 제 2 개방구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판;
    상기 제 2 지지판의 내측에 형성되며 탄성리벳이 걸리도록 구비되는 제 2 걸이부; 및
    상기 제 2 지지판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이부를 통해 탄성리벳이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 2 지지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걸이부를 통해 탄성리벳이 수직으로 탈착되도록 곡면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판의 일단에는 내구성을 보강하는 제 2 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출수단 및 제 2 발출수단은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배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상기 제 1 발출수단에서 상기 제 2 발출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KR1020140024681A 2014-02-28 2014-02-28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KR10158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681A KR101581410B1 (ko) 2014-02-28 2014-02-28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PCT/KR2015/001974 WO2015130147A1 (ko) 2014-02-28 2015-03-02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681A KR101581410B1 (ko) 2014-02-28 2014-02-28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609A true KR20150102609A (ko) 2015-09-07
KR101581410B1 KR101581410B1 (ko) 2015-12-30

Family

ID=5400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681A KR101581410B1 (ko) 2014-02-28 2014-02-28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1410B1 (ko)
WO (1) WO20151301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0348A (zh) * 2017-06-19 2017-08-08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去铆钉钉头与镦头的工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7867B2 (en) * 2014-08-05 2017-05-02 Good Earth Tools, Inc. Spike claw pull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06734837A (zh) * 2017-01-19 2017-05-31 苏州爱吉亚电子科技有限公司 外置天线的铆钉拆解治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5164A (ja) * 1989-09-30 1991-07-30 Meiki Co Ltd 真空ポンプ用給排油装置
JP2002178275A (ja) * 2000-12-12 2002-06-25 Toshimitsu Yamamoto 釘抜き装置,釘抜き用間隔保持具および釘の引き抜き方法
JP3169360U (ja) * 2011-05-16 2011-07-28 武 江原 釘抜きバール
KR20130134253A (ko) * 2012-05-30 2013-12-10 주식회사 로보빌더 리벳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22276B (ko) * 1992-01-27 1994-04-11 Fujisawa Pharmaceutical Co
JP3071333U (ja) * 2000-02-28 2000-08-29 株式会社空研 釘抜き機
JP3175164U (ja) * 2012-01-16 2012-04-26 繁 大嶋 釘抜き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5164A (ja) * 1989-09-30 1991-07-30 Meiki Co Ltd 真空ポンプ用給排油装置
JP2002178275A (ja) * 2000-12-12 2002-06-25 Toshimitsu Yamamoto 釘抜き装置,釘抜き用間隔保持具および釘の引き抜き方法
JP3169360U (ja) * 2011-05-16 2011-07-28 武 江原 釘抜きバール
KR20130134253A (ko) * 2012-05-30 2013-12-10 주식회사 로보빌더 리벳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0348A (zh) * 2017-06-19 2017-08-08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去铆钉钉头与镦头的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0147A1 (ko) 2015-09-03
KR101581410B1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56621A1 (ja) 替刃着脱式の剃刀
KR101581410B1 (ko)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CN105030149A (zh) 清洁装置
US9403270B2 (en) Tool box with a positioning device
JP2013246865A (ja) ハードディスク用支持フレーム
TWI477222B (zh) 攜帶構件及其應用之電子裝置
KR200478170Y1 (ko) 하드디스크 장착용 결합체
TWM394523U (en) Structure for assembling/disassembling keyboard from a portable device
TWI580339B (zh) 硬碟固定裝置
US9282672B2 (en) Secur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case comprising the same
US9875863B2 (en) Key structure facilitating key cap removal
TWM498443U (zh) 快拆式固定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
TWI480719B (zh) 電源模組固定機構
TWM459965U (zh) 具有脫離結構之扭力扳手
KR20170035740A (ko) 리벳 제거 장치
TWI585797B (zh) 按鍵結構
JP5084935B2 (ja) 清掃具
CN110081008B (zh) 塔扇
KR101463235B1 (ko) 하이브리드형 슬라이드 운동기구
CN106468296B (zh) 滑动扣接结构及滑动扣接结构组合件
JP3188150U (ja) 吸引サンダー
KR20130134253A (ko) 리벳툴
JP3200844U (ja) 手袋着脱具
JP2005214332A (ja) 付加部材の取り付け構造
TWI469639B (zh) Detachable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