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385A -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Google Patents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1385A KR20150101385A KR1020150021437A KR20150021437A KR20150101385A KR 20150101385 A KR20150101385 A KR 20150101385A KR 1020150021437 A KR1020150021437 A KR 1020150021437A KR 20150021437 A KR20150021437 A KR 20150021437A KR 20150101385 A KR20150101385 A KR 201501013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lug
- guide
- shutter plat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 플레이트에 대한 개폐 동작을 회동 타입으로 변경하여 셔터 플레이트의 동작상에 불량을 해소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셔터 플레이트가 개구부를 막는 형태로 회동 배치시에 자동으로 록킹 되도록 함으로써, 록킹 해제 없이 셔터 플레이트의 열림 회동에 의한 감전 및 전력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셔터 프레임에는 일 측면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의 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셔터 프레임의 배면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요홈부; 상기 가이드 요홈부의 측면 방향에 대한 개방을 막도록 셔터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 되는 마감부재; 상기 가이드 요홈부를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돌출되는 구조로 가이드 요홈부 내에 배치되어 몸체의 전진 이동시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고 후진 이동시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의 배면을 벗어나도록 위치하는 잠금봉과, 상기 몸체와 마감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몸체와 마감부재에 탄지 되어 몸체를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 방향으로 항상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셔터 플레이트에 대한 개폐 동작을 회동 타입으로 변경하여 셔터 플레이트의 동작상에 불량을 해소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셔터 플레이트가 개구부를 막는 형태로 회동 배치시에 자동으로 록킹 되도록 함으로써, 록킹 해제 없이 셔터 플레이트의 열림 회동에 의한 감전 및 전력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력 분배 공급, 전력 차단, 전력 공급 상황 등을 일괄적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는 배전반의 내부에는 부스바가 설치되어 있고, 배전반의 전면에는 배전반으로 진입하게 되는 접속 유니트와 부스바 간에 접속시 스파크 튐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자 셔터 배리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셔터 배리어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4939호(등록일 2004.06.22, 이하, "선행특허문헌"이라 함)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배전반의 셔터 배리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배전반의 셔터 배리어에 대한 동작을 간략히 살펴보면, 셔터 플레이트의 양측 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선단에 수직으로 구비된 가이드 리브에 의해 안내되어 셔터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개폐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접속을 위한 유니트가 배전반의 셔터 배리어를 통해 접속 진입시, 유니트의 가이드가 셔터 플레이트의 양편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블럭을 만나게 되고, 가이드의 경사구조에 의해 셔터 플레이트를 들어올리면서 접속을 위한 진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선행특허문헌에 제시된 셔터 배리어의 셔터 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동작을 취하면서 개폐되는데, 이때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시 셔터 플레이트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슬라이드 동작을 위한 여유 공차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승 및 하강 시에 셔터 플레이트의 일측 상단 모서리와 타측 하단 모서리가 가이드 리브의 내면에 찍히는 형태로 접촉하게 되면서 마찰력이 강하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셔터 플레이트의 승,하강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이 뻑뻑하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승,하강 동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는 셔터 플레이트의 닫힘에 대한 잠금 기능이나 임의적인 열림 동작을 구속하는 기능이 전혀 부여되어 있지 않아 예컨대, 작업자가 셔터 배리어의 주변 작업중 부주의 혹은 무심결에 손이나 도구 등이 진입되어 감전 또는 전력 사고가 발생하는 안전상에 큰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셔터 플레이트에 대한 개폐 동작을 회동 타입으로 변경하여 셔터 플레이트의 동작상에 불량을 해소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셔터 플레이트가 개구부를 막는 형태로 회동 배치시에 자동으로 록킹 되도록 함으로써, 록킹 해제 없이 셔터 플레이트의 열림 회동에 의한 감전 및 전력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셔터 프레임에는 일 측면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의 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의 배면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요홈부; 상기 가이드 요홈부의 측면 방향에 대한 개방을 막도록 셔터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 되는 마감부재; 상기 가이드 요홈부를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돌출되는 구조로 가이드 요홈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전진 이동시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고 후진 이동시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의 배면을 벗어나도록 위치하는 잠금봉과, 상기 몸체와 마감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몸체와 마감부재에 탄지 되어 몸체를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 방향으로 항상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봉과 대응하는 몸체의 타 측면에 돌출되는 구조로 가이드 요홈부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과 마주하는 마감부재에 형성되어 몸체의 후진 이동시 가이드봉이 마감부재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요홈부와 나란히 셔터 프레임에 형성되며 일측 부분이 확장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확장공을 포함하는 안내공; 상기 안내공과 연통하는 연결구조로 셔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안내공을 통과하는 구조로 셔터 프레임의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걸림 되는 안내돌기; 상기 마감부재에 형성되어 결합공의 선단 내면에 걸림 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프레임의 전면에는 잠금공을 형성한 잠금러그가 돌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에는 잠금러그의 잠금공과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공을 형성한 러그가 형성되어 있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러그와 러그의 밀착시, 상기 잠금러그와 러그 사이로 유니트에 구비되는 로드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로드의 진입 시 러그의 후방 이동을 위해 경사면이 잠금러그와 러그에 대칭을 이루며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셔터 프레임의 전면을 향해 경사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돌기의 일 측면에는 유니트에 구비되는 로드의 진입 시, 상기 경사돌기의 후방 이동을 위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 옆 측면에는 셔터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는 잠금러그의 잠그공과의 잠금을 위해 결합공을 형성한 러그가 붙어 있는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자동 록킹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셔터 플레이트와 하부 셔터 플레이트에는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와 일치하는 셔터 프레임에는 체결공을 형성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와 체결부 간에는 힌지핀을 구비하는 힌지나사로 힌지 결합 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의 외면에는 핀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홀에는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가 개구부를 막는 회동 방향으로 탄지 되도록 토션 스프링의 일측 탄지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탄지 되어 있고 타측 탄지부는 셔터 프레임에 탄지 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 플레이트의 개폐 방향이 상하 타입에서 회동 타입으로 변경됨으로써, 셔터 플레이트의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플레이트가 개구부를 막는 상태로 회동시에 자동으로 록킹 되어 셔터 플레이트의 회동에 의한 감전 및 전력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셔터 플레이트의 회동을 완전히 구속할 수 있는 잠금 기능이 부여되어 있어, 엄격한 관리와 함께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도 1a는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로서, 도 2a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셔터 플레이트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 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전면 요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배면 요부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셔터 플레이트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전면 요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배면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접속 유니트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에 진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와 도 6에 대한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7a에서는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배면에서 바라본 사사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전면 요부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를 나타낸 배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a 및 도 8b의 록킹수단의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a 및 도 8b의 셔터 플레이트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 4a에 대응하는 전면 요부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로서, 도 2a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셔터 플레이트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 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전면 요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배면 요부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셔터 플레이트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전면 요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배면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접속 유니트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에 진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와 도 6에 대한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7a에서는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배면에서 바라본 사사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전면 요부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를 나타낸 배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a 및 도 8b의 록킹수단의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a 및 도 8b의 셔터 플레이트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 4a에 대응하는 전면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도 1a에서는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서는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로서, 도 2a에서는 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서는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2b를 통해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10)는 사각 모양의 틀 형태를 이루는 셔터 프레임(12)과, 상기 셔터 프레임(12)의 면 상에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는 개구부(14)와, 상기 개구부(14)를 막는 구조로 배치되며 개폐시 회동을 하게 되는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와, 상기 개구부(14)의 폐쇄시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회동을 자동으로 구속하는 록킹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셔터 프레임(12)에는 접속 유니트(U)의 배전반 진입을 위해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4)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가 상부 및 하부 영역을 분할하여 막는 구조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5참조).
또한, 상기 상부 셔터 플레이트(16)의 배면 상단과 하부 셔터 플레이트(18)의 배면 하단에는 힌지공(22a, 24a)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힌지부(22b, 24b)가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22b, 24b)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대응 일치하는 셔터 프레임(12)의 배면 양측에는 체결공(26a, 28a)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체결부(26b, 2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26a, 28a)에는 서로 대응하는 힌지나사(30a, 32a)가 각각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나사(30a, 32a)에 길이를 가지고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힌지핀(30b, 32b)은 각각 해당하는 상기 힌지공(22a, 24a)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힌지 결합 구조에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는 각각 해당하는 힌지나사(30a, 32a)의 힌지핀(30b, 32b)을 중심으로 개폐 회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22b, 24b)의 양측 단부에는 핀홀(34, 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핀홀(34, 36)에는 탄성부재(38, 40)의 일측 탄지부(S1, S3)가 각각 삽입되는 구조로 탄지 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하는 타측 탄지부(S2, S4)는 셔터 프레임(12)의 배면에 각각 탄지 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8, 40)의 탄지 력은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가 개구부(14)를 항상 막는 회동 방향으로 발휘되도록 작용하고 있으며, 아울러 위와 같은 구조로 탄지 되는 상기 탄성부재(38, 40)로는 토션 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셔터 프레임(12)의 전면 일 측에는 잠금공(48)을 형성한 잠금러그(50)가 전면 방향을 향해 돌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상기 잠금러그(50)의 일 측면에는 안쪽에서 바깥 방향으로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경사면(T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러그(50)의 일 옆에는 셔터 프레임(12)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길이 방향을 향해 한 쌍의 가이드 요홈부(52)가 나란히 형성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 배치되는 가이드 요홈부(52)는 셔터 프레임(12)의 배면 즉,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 배면으로 통할 수 있도록 셔터 프레임(12)의 배면에 형성된 통공부(51)와 소통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요홈부(52)의 측면 개방부분인 셔터 프레임(12)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마감부재(54)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이러한 마감부재(54)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봉(62)의 인출을 위하여 가이드봉(62)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공(6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54)의 결합을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요홈부(52) 사이의 셔터 프레임(12) 측면에 결합공(66)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공(66)과 통하는 형태로 연결되는 안내공(56)은 한 쌍의 가이드 요홈부(52)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셔터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요홈부(52)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안내공(56)에는 일 측에 안내공(56)의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확장공(57)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결합공(66)에 결합 되는 마감부재(54)의 일면에는 결합공(66)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셔터 프레임(12)의 내면에 걸림 되는 구조로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69)는 후크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앞서 언급한 록킹수단(2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지지 기능을 하게 되는 몸체(70)와, 상기 몸체(70)의 일 측면으로부터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구조로 상기 가이드 요홈부(52)에 수용 배치되며 닫힘 회동 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6, 18)의 구속을 위해 몸체(70)가 전진 이동시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공(44, 46)으로 삽입되는 잠금봉(68)과, 상기 잠금봉(68)과 대응하는 몸체(70)의 타 측면으로부터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구조로 가이드 요홈부(52)에 수용 배치되는 가이드봉(62)과, 상기 가이드봉(62)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 되며 일단은 몸체(70)에 탄지 되고 타단은 마감부재(54)에 탄지 되는 탄성부재(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조로 탄지 되는 탄성부재(72)는 록킹수단(20)의 몸체(70)가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 방향으로 항상 전진 이동되도록 하는 탄발 력이 작용하며 아울러, 코일 스프링의 사용이 좋다.
또한, 상기 몸체(70)에는 상기 결합공(66)을 통해 안내공(56)으로 슬라이드 결합 되도록 안내돌기(58)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안내돌기(58)는 슬라이드 이동시 몸체(70)에 대한 가이드 기능과 함께 록킹수단(20)의 몸체(70)가 셔터 프레임(12)로부터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참고로, 상기 안내돌기(58)의 결합 이후 마감부재(54)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안내공(56)의 측 방향 즉, 안내공(56)과 연결되는 결합공(66)을 막아줌으로써 몸체(70)의 안내돌기(58)가 안내공(56)을 따라 결합공(66)으로 빠져나오게 되는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70)에는 러그(71)가 셔터 프레임(12)의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그(71)에는 셔터 프레임(12)에 형성된 잠금러그(50)의 잠금공(48)과 일치하게 되는 결합공(60)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앞서 설명된 상기 경사면(T1)과 마주하게 되는 러그(71)의 일 측면에는 안쪽에서 점차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면(T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잠금러그(50)의 경사면(T1)과 러그(71)의 경사면(T2)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잠금러그(50)와 러그(71) 간에 대응 밀착시, 경사면(T1)과 경사면(T2)에 의해 공간(T3)이 마련된다.
도 3a 및 도 3b는 셔터 플레이트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 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에서는 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서는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셔터 플레이트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 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에서는 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서는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70)는 몸체(70)와 마감부재(54)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탄성부재(72)의 탄발 력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 방향으로 항상 전진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몸체(70)가 전진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몸체(70)와 연동하는 잠금봉(68)의 일끝 부분이 가이드 요홈부(52)로부터 통공부(51)를 통해 인출되는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이 통공부(51)를 통해 인출되는 잠금봉(68)은 각각 대응하는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결합공(44, 46)으로 각각 삽입되는 결합 구조를 취하게 된다.
예컨대, 위와 같은 결합 구조를 취하게 되면, 개구부(14)의 개방을 위한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열림 회동이 잠금봉(68)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부 및 하부 셔터플레이트(16, 18)의 열림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위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열림 회동에 대한 구속이 이루어진 후, 상기 몸체(7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60)과 잠그러그(50)의 잠금공(48) 간에 잠물쇠 혹은 케이블 타이와 같은 클램프 수단 등을 이용하여 채워놓게 되면 작업자가 배전반의 접속과 차단에 따른 엄격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2b참조)
즉, 앞서 설명된 도 3a 및 도 3b 상태에서는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회동이 구속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접속 유니트(U)를 진입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 프레임(12)의 개구부(14)로 접속 유니트(U)를 진입시키고자 할 경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앞서 설명된 클램프 수단을 해제한 다음, 록킹수단(20)의 몸체(7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록킹수단(20)의 몸체(70)가 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가이드봉(62)은 마감부재(54)의 통공(64)을 통해 인출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탄성부재(72)는 몸체(70)의 이동으로 인한 가압으로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동시에, 상기 몸체(70)와 연동하는 잠금봉(68)은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결합공(44, 46)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는 상태가 되어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회동 구속이 해제되게 되고, 이러한 해제에 의하여 접속 유니트(U)가 셔터 프레임(12)의 개구부(14)를 통해 배전반 방향으로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 도 1b, 도 5 참조).
도 5에서는 접속 유니트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에 진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서는 도 5를 나타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도 7a 및 도 7b는 도 5와 도 6에 대한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7a에서는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배면에서 바라본 사사도이다.
설명에 앞서, 셔터 프레임(12)의 개구부(14)로 접속 유니트(U)를 진입시키고자 할 경우, 우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수단(20)의 몸체(7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록킹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해제를 위하여 몸체(70)의 후방 이동은 통상 작업자가 러그(71)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 5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유니트(U)의 일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로드(H)가 일종의 옵션으로 구비되어 있을 경우, 접속 유니트(U)의 진입 직전 잠금러그(50)의 경사면(T1)과 러그(71)의 경사면(T2)에 의하여 마련되는 공간(T3)으로 로드(H)가 우선 진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H)의 진입 위치가 미세하지만 벗어나게 될 경우, 로드(H)가 잠금러그(50)의 경사면(T1)과 러그(71)의 경사면(T2)을 타고 진입하게 되어 진입 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H)의 계속된 진입시, 점차적으로 굵어지는 로드(H)의 외경에 의해 러그(71)의 몸체(70)는 잠금러그(50)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안내공(56)과 가이드홈부(52)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로드(H)는 확장공(57) 으로 진입하게 된다.
위와 같이 로드(H)가 확장공(57)을 통해 어느 정도 진입을 하게 되어 상기 러그(71)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록킹 상태인 도 3b에서 록킹 해제 상태인 도 4b를 취하게 됨으로써 열림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가 열림 회동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접속 유니트(U)가 닫혀 있는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를 밀면서 개구부(14)로 진입을 시작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를 사용하게 되면, 특히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가 개구부(14)를 막는 회동 상태에서는 탄성부재(72)의 탄발력에 의해 록킹수단(20)의 몸체(70)가 전진 이동하여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회동을 자동 적으로 구속시키게 됨으로써, 예컨대 작업자가 유지 보수 작업 중 부주의 또는 무심결에 접속 유니트(U) 또는 손이나 작업도구의 진입을 강력하게 차단시켜 부주의 또는 무심결 발생할 수 있는 감전 및 전력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에 앞서 설명된 도 1a 내지 도 7b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도 8a 내지 도 9에서는 먼저, 몸체(70)의 상부 부분, 즉 셔터 프레임(12)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에는 경사돌기(7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경사돌기(74)의 일 측면에는 안쪽에서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는 경사면(T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돌기(74)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T4)은 앞서 설명된 경사면(T2)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또한, 상기 몸체(70)의 일 옆 측면에는 결합공(76)을 형성한 러그(78)가 붙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그(78)와 마주하게 되는 전방에는 잠금공(80)을 형성한 잠금러그(82)가 셔터프레임(12)에 고정되는 형태로 전면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잠금러그(82)는 몸체(70)의 러그(78)와 밀착되는 상태가 될 때, 즉 도면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없는 구속 상태가 될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잠금공(80)과 결합공(76) 간에 예를 들면, 잠물쇠 혹은 케이블 타이와 같은 클램프 수단 등을 이용하여 채워놓아 작업자가 배전반의 접속과 차단에 따른 엄격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셔터 배리어
12 : 셔터 프레임
14 : 개구부
16 : 상부 플레이트
18 : 하부 플레이트
20 : 록킹수단
22a, 24a : 힌지공
22b, 24b : 힌지부
26a, 28a : 체결공
26b, 28b : 체결부
30a, 32a : 힌지나사
30b, 32b : 힌지핀
34, 36 : 핀홀
38, 40 : 탄성부재
44, 46, 60, 66, 76 : 결합공
48, 80 : 잠금공
50, 82 : 잠금러그
52 : 가이드 요홈부
54 : 마감부재
56 : 안내공
58 : 안내돌기
62 : 가이드봉
64 : 통공
68 : 잠금봉
70 : 몸체
71, 78 : 러그
72 : 탄성부재
74 : 경사돌기
12 : 셔터 프레임
14 : 개구부
16 : 상부 플레이트
18 : 하부 플레이트
20 : 록킹수단
22a, 24a : 힌지공
22b, 24b : 힌지부
26a, 28a : 체결공
26b, 28b : 체결부
30a, 32a : 힌지나사
30b, 32b : 힌지핀
34, 36 : 핀홀
38, 40 : 탄성부재
44, 46, 60, 66, 76 : 결합공
48, 80 : 잠금공
50, 82 : 잠금러그
52 : 가이드 요홈부
54 : 마감부재
56 : 안내공
58 : 안내돌기
62 : 가이드봉
64 : 통공
68 : 잠금봉
70 : 몸체
71, 78 : 러그
72 : 탄성부재
74 : 경사돌기
Claims (9)
- 면적을 가지고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있는 셔터 프레임(12)과, 상기 셔터 프레임(12)의 개구부(14)를 상부 및 하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막도록 배치되는 구조로 회동 결합 되는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로 이루어진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에 있어서,
상기 셔터 프레임(12)에는 일 측면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배면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요홈부(52);
상기 가이드 요홈부(52)의 측면 방향에 대한 개방을 막도록 셔터 프레임(12)의 측면에 결합 되는 마감부재(54);
상기 가이드 요홈부(52)를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록킹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20)은 몸체(70)와, 상기 몸체(70)의 일 측면에 돌출되는 구조로 가이드 요홈부(52)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70)의 전진 이동시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고 후진 이동시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의 배면을 벗어나도록 위치하는 잠금봉(68)과, 상기 몸체(70)와 마감부재(54)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몸체(70)와 마감부재(54)에 탄지 되어 몸체(70)를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 방향으로 항상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부재(7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봉(68)과 대응하는 몸체(70)의 타 측면에 돌출되는 구조로 가이드 요홈부(52)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봉(62)과, 상기 가이드봉(62)과 마주하는 마감부재(54)에 형성되어 몸체(70)의 후진 이동시 가이드봉(62)이 마감부재(54)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64),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홈부(52)와 나란히 셔터 프레임(12)에 형성되며 일측 부분이 확장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확장공(57)을 포함하는 안내공(56);
상기 안내공(56)과 연통하는 연결구조로 셔터 프레임(12)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공(66);
상기 몸체(70)에 형성되어 안내공(56)을 통과하는 구조로 셔터 프레임(12)의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걸림 되는 안내돌기(58);
상기 마감부재(54)에 형성되어 결합공(66)의 선단 내면에 걸림 되는 결합부(69);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제 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프레임(12)의 전면에는 잠금공(48)을 형성한 잠금러그(50)가 돌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70)에는 잠금러그(50)의 잠금공(48)과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공(60)을 형성한 러그(7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러그(50)와 러그(71)의 밀착시, 상기 잠금러그(50)와 러그(71) 사이로 유니트(U)에 구비되는 로드(H)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T3)을 마련하고 로드(H)의 진입 시 러그(71)의 후방 이동을 위해 경사면(T1, T2)이 잠금러그(50)와 러그(71)에 대칭을 이루며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제 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70)에는 셔터 프레임(12)의 전면을 향해 경사돌기(7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돌기(74)의 일 측면에는 유니트(U)에 구비되는 로드(H)의 진입 시, 상기 경사돌기(74)의 후방 이동을 위해 경사면(T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70)의 일 옆 측면에는 셔터 프레임(12)의 전면에 형성되는 잠금러그(82)의 잠그공(80)과의 잠금을 위해 결합공(76)을 형성한 러그(78)가 붙어 있는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셔터 플레이트(16)와 하부 셔터 플레이트(18)에는 힌지공(22a, 24b)이 형성된 힌지부(22b, 24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22b, 24b)와 일치하는 셔터 프레임(12)에는 체결공(26a, 28a)을 형성한 체결부(26b, 28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22b, 24b)와 체결부(26b, 28b) 간에는 힌지핀(30a, 32b)을 구비하는 힌지나사(30a, 32a)로 힌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2b, 24b)의 외면에는 핀홀(34, 3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홀(34, 36)에는 상부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16, 18)가 개구부(14)를 막는 회동 방향으로 탄지 되도록 토션 스프링(38, 40)의 일측 탄지부(S1, S3)가 삽입되는 구조로 탄지 되어 있고 타측 탄지부(S2, S4)는 셔터 프레임(12)에 탄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22722 | 2014-02-26 | ||
KR1020140022722 | 2014-0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1385A true KR20150101385A (ko) | 2015-09-03 |
KR101659327B1 KR101659327B1 (ko) | 2016-09-30 |
Family
ID=5424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1437A KR101659327B1 (ko) | 2014-02-26 | 2015-02-12 |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932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29457B1 (en) * | 2019-06-12 | 2022-05-10 | Dean Latham | Panelboard an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
KR20220146950A (ko) * | 2021-04-26 | 2022-11-02 | 코리아알프스(주) | Mcc용 셔터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2418A (ja) * | 1992-06-30 | 1994-01-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引出形遮断器の安全シャッター装置 |
KR200354939Y1 (ko) | 2004-03-26 | 2004-07-01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배전반의 셔터 배리어 |
KR101269701B1 (ko) * | 2011-12-07 | 2013-05-30 | 윤여관 |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KR20140109117A (ko) * | 2013-03-05 | 2014-09-15 | 윤여관 |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
2015
- 2015-02-12 KR KR1020150021437A patent/KR1016593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2418A (ja) * | 1992-06-30 | 1994-01-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引出形遮断器の安全シャッター装置 |
KR200354939Y1 (ko) | 2004-03-26 | 2004-07-01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배전반의 셔터 배리어 |
KR101269701B1 (ko) * | 2011-12-07 | 2013-05-30 | 윤여관 |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KR20140109117A (ko) * | 2013-03-05 | 2014-09-15 | 윤여관 |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29457B1 (en) * | 2019-06-12 | 2022-05-10 | Dean Latham | Panelboard an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
KR20220146950A (ko) * | 2021-04-26 | 2022-11-02 | 코리아알프스(주) | Mcc용 셔터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9327B1 (ko) | 2016-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9701B1 (ko) |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
KR101191159B1 (ko) |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 |
KR101659327B1 (ko) |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
KR101602920B1 (ko) |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 |
TW201704614A (zh) | 多點緊固式鎖系統及使用該鎖系統的防爆門 | |
KR101604280B1 (ko) | 배전반 | |
KR101470048B1 (ko) | 2중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출입 장치 | |
KR101550404B1 (ko) | 3중 연동 도어의 도어 고정장치 | |
KR101168083B1 (ko) | 도어 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 |
KR101831246B1 (ko) | 도어 록킹장치 | |
KR20120066742A (ko) | 공작기계의 도어잠김 방지장치 | |
JP2015172270A (ja) | ロック防止装置 | |
JP6254115B2 (ja) | 蝶番 | |
KR20160063560A (ko) |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 |
KR20180073311A (ko) | 모터 컨트롤 센터용 흔들림 방지장치 | |
KR102322652B1 (ko) |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 |
JP2011141966A (ja) | ケーブルの抜け防止構造 | |
KR102471510B1 (ko) | 배전반의 잠금장치 | |
KR100868420B1 (ko) |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열림방지장치 | |
JP5039173B2 (ja) | 引き戸式自動ドア装置のロック装置 | |
JP4865505B2 (ja) | 引出形回路遮断器の引出装置 | |
JP2006299607A (ja) | ドア用錠受け金具 | |
KR101997560B1 (ko) | 모터 컨트롤 센터용 흔들림 방지장치 | |
KR102027239B1 (ko) | 인터로킹 유닛 | |
KR20140092612A (ko) | 차량용 시트의 힌지 체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