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239B1 - 인터로킹 유닛 - Google Patents

인터로킹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239B1
KR102027239B1 KR1020180129972A KR20180129972A KR102027239B1 KR 102027239 B1 KR102027239 B1 KR 102027239B1 KR 1020180129972 A KR1020180129972 A KR 1020180129972A KR 20180129972 A KR20180129972 A KR 20180129972A KR 102027239 B1 KR102027239 B1 KR 102027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interlock
door
key
slid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순신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8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 E05B35/086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using a pair of interlocked keys, one of the keys being non-removable; key-storing devices from which only one key can be removed at a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로크에 키가 삽입될 시에 이탈을 방지하여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목적으로 한다. 그 구성은, 합치되어 닫히는 양측의 도어 가운데, 일측 도어에 구비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인터로크, 상기 인터로크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 내에 구비되는 푸셔, 타측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의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 상단에 구비되며 인터로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터로킹 유닛이다.

Description

인터로킹 유닛 {Inter Locking Unit}
본 발명은 인터로크 키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로크에 키가 삽입될 시, 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인터로킹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의 각 부분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기계적, 유압적이거나 공압적 등의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계를 작동할 수 없게 하는 기구를 인터로크(Inter Lock)이라 하며, 안전측면에서 기계의 위험부분에 설치하는 안전커버 등이 개방되면, 해당 기계를 가동할 수 없게 하거나, 안전장치 등이 정상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면 기계를 작동할 수 없다. 또한 안전장치 등이 작동하면 기계가 급정지하는 등, 작업자에 대한 위험과 유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가운데 인터로크 키(Inter Lock Key)는 인터로크, 키와 스위치가 구비되어 인터로크에 키가 삽입되어 잠금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경우, 인터로크(1), 키(3)와 조립용 브라켓(5)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양쪽의 도어에 각각 브라켓을 활용하여 인터로크(1)와 키(3)를 조립한다. 그리고 양측의 도어를 닫으면 인터로크(1)의 홀로 키(3)가 삽입되어, 삽입신호를 감지한 후 잠기게 되는데, 해제 스위치를 누르면 잠김 해제가 되어 도어를 열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터로크 키는 도어에 브라켓(5)으로 조립을 하는 구조이기에, 제관품에 의한 누적 공차가 발생하며, 인터로크(1)에 키(3)가 삽입될 시, 인터로크(1)의 홀에 맞는 위치에 삽입되지 못하고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조립부의 누적공차와 도어의 흔들림 등으로 인해 키가 브라켓(5)의 파손으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들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로크에 키가 삽입될 시에 이탈을 방지하여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로킹 유닛은, 합치되어 닫히는 양측의 도어 가운데, 일측 도어에 구비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인터로크, 상기 인터로크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 내에 구비되는 푸셔, 타측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의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 상단에 구비되며 인터로크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로킹 유닛이다.
또한, 상기 푸셔는, 옆면이 경사진 원뿔형의 푸셔 헤드와, 상기 푸셔 헤드를 지지하며 탄성체가 감겨있는 기둥형태의 푸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는, 상기 타측 도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와 평행한 방향으로 기둥형상으로 상기 이동부에 생성되며, 탄성체가 감겨있는 푸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푸시 바가 상기 푸셔를 밀어낼 수 있도록 출입 가능한 일측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가 상기 푸시 바에 의해 밀릴 때 상기 푸셔 바디가 하강할 수 있는 타측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인터로크에 키가 삽입될 시에 이탈을 방지하여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인터로크 키 장착된 도어가 열렸을 때의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의 인터로크 키가 장착된 도어가 닫혔을 때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로킹 유닛이 장착된 도어를 열 때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로킹 유닛이 장착된 도어를 닫을 때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3과 4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로킹(Inter Locking) 유닛은, 합치되어 닫히는 양측의 도어 가운데, 일측 도어(10)에 구비되는 지지 브라켓(50), 상기 지지 브라켓(50)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인터로크(30), 상기 인터로크(30)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블록(70), 상기 고정블록(70) 내에 구비되는 푸셔(80), 타측 도어(20)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50)의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블록(60), 상기 슬라이딩 블록(60) 상단에 구비되며 인터로크(3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키(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푸셔(80)는, 옆면이 경사진 원뿔형의 푸셔 헤드(81)와, 상기 푸셔 헤드(81)를 지지하며 탄성체(82)가 감겨있는 기둥형태의 푸셔 바디(8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60)는, 상기 타측 도어(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6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62)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63)를 포함하며, 상기 키(40)와 평행한 방향으로 기둥형상으로 상기 이동부(63)에 생성되며, 탄성체(64)가 감겨있는 푸시 바(6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70)은 상기 푸시 바(61)가 상기 푸셔(80)를 밀어낼 수 있도록 출입 가능한 일측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80)가 상기 푸시 바(61)에 의해 밀릴 때 상기 푸셔 바디(83)가 하강할 수 있는 타측의 홀을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도면과 같이 두 개의 도어가 양측에서 합치되는 형태로, 일측 도어(10)에는 지지 브라켓(50)이, 타측 도어(20)에는 슬라이딩 블록(60)이 구비되어 양측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다.
먼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일측 도어(10)와 타측 도어(20)를 잡고 도어를 닫기 시작하면, 일측 도어(10)에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딩 블록(60)의 이동부(63)가 이동하면서 푸시 바(61)가 푸셔 헤드(81)를 밀게 되고, 푸시 바(61)로부터 받은 힘에 의해 푸셔(80)의 탄성체(82)가 수축하게 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에 인터로크(30)에 키(40)가 체결되었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키(40)를 고정하게 되고, 일측 도어(10)도 고정된다.
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열을 경우, 인터로크(30) 해제 스위치를 누른 후 인터로크(30)에서 신호 감지가 되면, 고정되어 있던 키(40)를 해제한다. 키(40)가 해제되면서 일측의 도어가 열리기 시작하면, 푸셔(80)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체(82)의 복원력으로 인해 고정블록(70) 내에서 하강해있던 푸셔(80)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탄성체(82)의 복원력과 푸셔(80)의 미는 힘으로 인해 슬라이딩 블록(60)의 푸시 바(61)를 밀게 되며, 이동부(63)가 밀리게 되며 슬라이딩 블록(60)은 원위치에 돌아가게 되고, 도어가 개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해, 인터로크(30)에 키(40)가 삽입될 시에 이탈을 방지하여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일측 도어
20: 타측 도어
30: 인터로크
40: 키
50: 지지 브라켓
60: 슬라이딩 블록
61: 푸시 바
62: 고정부
63: 이동부
64: 탄성체
70: 고정블록
80: 푸셔
81: 푸셔 헤드
82: 탄성체
83: 푸셔 바디

Claims (4)

  1. 합치되어 닫히는 양측의 도어 가운데, 타측 도어(20)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50),
    상기 지지브라켓(50)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는 인터로크(30),
    상기 인터로크(30)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블록(70), 상기 고정블록(70) 내에 구비되는 푸셔(80),
    일측 도어(10)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브라켓(50)의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블록(60),
    상기 슬라이딩 블록(60) 상단에 구비되며 인터로크(3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푸셔(80)는 옆면이 경사진 원뿔형의 푸셔 헤드(81)와, 상기 푸셔 헤드(81)를 지지하며 탄성체(82)가 감겨있는 기둥형태의 푸셔 바디(83)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60)은 상기 타측 도어(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62)와, 상기 고정부(62)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63)와, 상기 키(40)와 평행한 방향으로 기둥형상으로 상기 이동부(63)에 생성되며, 탄성체(64)가 감겨있는 푸시 바(61)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로킹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푸시 바가 상기 푸셔를 밀어낼 수 있도록 출입 가능한 일측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가 상기 푸시 바에 의해 밀릴 때, 상기 푸셔 바디가 하강할 수 있는 타측의 홀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로킹 유닛.
KR1020180129972A 2018-10-29 2018-10-29 인터로킹 유닛 KR10202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72A KR102027239B1 (ko) 2018-10-29 2018-10-29 인터로킹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72A KR102027239B1 (ko) 2018-10-29 2018-10-29 인터로킹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239B1 true KR102027239B1 (ko) 2019-10-01

Family

ID=6820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972A KR102027239B1 (ko) 2018-10-29 2018-10-29 인터로킹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4354A (zh) * 2017-09-20 2017-12-29 芜湖常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机器人安全门锁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4354A (zh) * 2017-09-20 2017-12-29 芜湖常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机器人安全门锁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310B1 (ko) 랜딩 도어를 통해 샤프트 내의 진입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랜딩 도어용 안전 록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JP7072552B2 (ja) 安全扉のための、保護ロック付きロック装置
JPH0638685B2 (ja) 閉鎖配電盤
US10435927B2 (en) Adjust dead-latching bolt mechanisms
EP2112674B1 (en) Safety switch apparatus
WO2012005662A1 (en) Locking device with striking arrangement and automatic locking
KR102027239B1 (ko) 인터로킹 유닛
WO2017175329A1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0401167Y1 (ko) 창호 잠금장치
KR101604280B1 (ko) 배전반
CN107642521B (zh) 联锁式组装机构
JP6279939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US20210340791A1 (en) Overhead door interlock device
CN104053846A (zh)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US20120279131A1 (en) Safety device for a movable barrier
PT1365089E (pt) Dispositivo de segurança para saídas de emergência
JP5722724B2 (ja) 安全スイッチ
JP7492400B2 (ja) 扉閉鎖順位調整器、観音開き式扉、警報装置
JP7333054B2 (ja) 収納ボックス
JP6892482B2 (ja) 電気式施解錠装置
JPH06299750A (ja) マグネット錠装置
KR20090054036A (ko) 미닫이창문의 안전잠금장치
KR20240038483A (ko) 락아웃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US1086082A (en) Switch-leve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