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213A -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213A
KR20150101213A KR1020140022641A KR20140022641A KR20150101213A KR 20150101213 A KR20150101213 A KR 20150101213A KR 1020140022641 A KR1020140022641 A KR 1020140022641A KR 20140022641 A KR20140022641 A KR 20140022641A KR 20150101213 A KR20150101213 A KR 2015010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touch
input
wear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042B1 (ko
Inventor
조치현
허창룡
박근형
김새롬
이경희
백건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042B1/ko
Priority to US14/571,573 priority patent/US9727184B2/en
Priority to EP14200277.3A priority patent/EP2913739B1/en
Publication of KR2015010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05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INPUT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다양한 입력을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각 전자 장치에서의 효과적인 입력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들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의 입력 방식으로 사용되는 터치 입력 방식은 주로 정전식 터치 방식이다. 상기 정전식 터치 방식은 셀프 정전 방식과 뮤츄얼 정전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셀프 정전(Self Capacitance) 방식은 터치 전극 패턴 자체의 정전용량 값과 손가락 등의 감지 대상에 의한 부하 정전용량의 합으로 표현되는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싱글 터치를 인식한다. 뮤추얼 정전(Mutual Capacitance) 방식은 두 개 이상의 터치 전극 패턴(Tx/Rx) 사이에 형성된 뮤추얼 정전용량 값이 존재하고, 감지 대상에 의해 뮤추얼 정전용량 값이 감소되는 양을 센싱하는 방법이다. 뮤추얼 정전 방식은 내구성이 우수한 편이고, 멀티 터치가 가능하여 최근에는 뮤추얼 정정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정전 용량 터치의 경우 터치되는 물체(예컨대, 손가락)에 유도되는 정전용량 값의 변화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터치 구분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성이 제약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착용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에 의한 터치 입력과 착용하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계 발생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계 발생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계 발생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동작;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동작;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된 지점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및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된 지점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및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신체의 일부와 접촉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의해 전계를 생성시키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에 의한 터치 입력과 착용하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계 발생 크기를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을 구분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계 발생 패턴을 제어하고, 각 전계 발생 패턴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계 발생 주파수를 제어하고, 각 전계 발생 주파수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과 미착용한 손의 전계 발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람과 미착용한 사람의 전계 발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계 생성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계형 장치의 신호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 입력 방식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 여부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 여부에 따른 임계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착용을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임계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계값 변경에 따른 신호 세기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계값 변경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계값 변경 및 전계 검출에 의해 사용자 및 착용한 손을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을 구별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주파수 사용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시 터치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터치시 터치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계형 장치 착용 및 미착용시의 파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식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설치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이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계(electric field)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예컨대, 터치 또는 호버링 등)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예컨대, 터치 또는 호버링)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예컨대,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신체 일부(예컨대, 손가락)를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패드)에 접촉할 때,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의 접촉과 구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구별된 사용자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환경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에 의한 터치 입력과 착용하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예컨대,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예컨대, 왼손)을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패드)에 접촉할 때,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예컨대, 오른손)에 의한 접촉과 구별하거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의 접촉과 구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구별된 사용자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환경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계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계 발생 크기 또는 전계 발생 패턴 또는 전계 발생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예컨대, 미리 설정된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의해 설정된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로 전계를 발생시키는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신체 일부(예컨대, 손가락)를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패드)에 접촉할 때, 터치 스크린에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판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구별된 사용자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환경들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카메라, 휴대 장치,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텔레비전(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은행의 ATM, 상점의 POS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의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시계형 장치, 안경형 장치, 의류형 장치 등)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들의 개념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00a)와 제2 전자 장치(100b)는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호 간에 또는 일방향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0a)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자 장치(100b)는 시계형 장치 또는 안경형 장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기 장치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0a)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0b)가 서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0a)가 상기 제2 전자 장치(100b)와 통신하지 않고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제2 전자 장치(100b)를 신체에 접촉한 상태(예컨대, 상기 제2 전자 장치(100b)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100a)의 터치 패드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100a)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0b)는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 통신망, 지상파 방송 통신망, 위성 방송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100a)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0b)가 근거리에 위치할 경우 상기 통신 수단들 중의 일 예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0a)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0b)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두 장치들 간에 페어링(pairing)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들의 개념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0a)의 일 예는 스마트폰(210)일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100b)의 일 예는 시계형 장치(220)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기 장치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210)과 시계형 장치(220)는 유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210)에서는 상기 시계형 장치(220)로 전계 발생을 위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시계형 장치(220)에서는 상기 스마트폰(21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정보에 의해 특정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를 갖는 전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시계형 장치(22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210)의 터치 패널(예컨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면, 상기 시계형 장치(220)로부터 발생된 전계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210)에서 사용자의 시계형 장치(220)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를 구분할 수도 있으며, 시계형 장치(220)를 착용한 손의 위치를 구분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a)로서 스마트폰(210)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제2 전자 장치(100b)로서 시계형 장치(22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기 장치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과 미착용한 손의 전계 발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로서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300)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계형 장치(330)에서는 미리 설정된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의 전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한 사용자가 스마트폰(300)의 터치 스크린을 손으로 터치할 때,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터치와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을 구분함으로써 후술하는 도 27 내지 도 43에서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한 손(310)으로 터치하는 경우와 상기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하지 않은 손(320)으로 터치하는 경우를 구분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시계형 장치(330)에서 전계가 발생할 때,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하지 않은 손으로부터 전달되는 전계의 크기가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한 손으로부터 전달되는 전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달되는 전계의 크기의 차이를 스마트폰(300)의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에서 구분함으로써 스마트폰(300)에서는 사용자의 터치가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한 손에 의한 터치인지 착용하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왼손(310)에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할 경우, 상기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하고 있는 왼손(310)에서 발생하는 전계(340)의 크기는 상기 시계형 장치(33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오른손(320)에서 발생하는 전계(35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300)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왼손(310)으로 터치하는 경우와 오른손(320)으로 터치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함으로써 도 27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람과 미착용한 사람의 전계 발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사람(410)은 신체의 일부를 스마트폰(400)에 접촉할 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전계(411)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사람(410)의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420)의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터치한 사람이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구별할 수도 있으며, 각 시계형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전계의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거나 인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에 따라 터치 패드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입력 또는 오른손 입력을 구분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자의 입력과 미착용자의 입력을 구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고 터치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반드시 신체에 착용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에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발생된 전계가 손가락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 및 도 4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발생시키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손가락으로 터치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어느 일부가 스마트폰에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 및 도 4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발생시키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필요는 없으며,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계를 감지할 수 있는 어느 부분이 접촉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시계형 장치)에서 전계를 발생시키는 방법의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계 생성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컨대, 시계형 장치는 본체부(500)와 밴드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500)의 전면부(front)(510)에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500)의 후면부(rear)(5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5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500)는 정현파, 구형파 등의 파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신호 발생기를 내장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500)의 후면부(또는 배면부)(520)(예컨대, 신체와 접촉하는 면) 또는 상기 밴드부(530)에 상기 신호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521, 53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신호 발생기(function generator)를 통해 전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전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시계형 장치)의 후면부 또는 밴드부(band)에 형성된 전극(electrode)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형 장치 내의 신호 발생기를 통해 생성된 다양한 형태의 전계는 시계형 장치의 후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으로 제공되고, 사용자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여 상기 시계형 장치 후면부에 구비된 전극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면, 상기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전계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형 장치 내의 신호 발생기를 통해 생성된 다양한 형태의 전계는 시계형 장치의 밴드(예컨대, 상기 밴드에서 신체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으로 제공되고, 사용자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여 상기 밴드에 형성된 전극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면, 상기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전계가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발생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신호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신호 발생기는 신호 생성부(630), 전압 조절부(640), 전극(6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630)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파형을 생성하여 출력시키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생성부(630)는 GPIO 출력과 같은 제어 가능한 신호나 오실레이터, XTAL 출력 등의 클럭 소스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신호의 주기, 진폭(Amplitude) 등을 제어하기 위해 증폭기, 레벨 쉬프터(Amplifier, level shifter)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도 있다.
전압 조절부(640)는 상기 레벨 쉬프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생성부(630)에서 출력된 파형을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시켜 전극(650)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전압 조절부(640)는 제어부(controller)(610)(예컨대, AP(Application Processor))에 의한 제어 신호에 따라 레벨의 증폭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10)는 신호 생성부(630)와 서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620)를 통해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전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출력 신호의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610)에서 신호 생성부(630) 또는 전압 조절부(640)로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원하는 전계 발생을 위한 원하는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여 전극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와 통신으로 연결(예컨대, 페어링)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610)에서는 무선 통신부(620)를 통해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로 제2 전자 장치에서 필요한 전계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는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610)에서 신호 생성부(630)를 제어하거나, 제어부를 통해 전압 조절부(640)를 제어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계의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는 출력 전압 스윙(voltage swing)을 통해 원하는 주파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와 증폭기(Amplifier)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벨 쉬프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증폭기는 상기 레벨 쉬프터가 생성할 수 있는 출력 이상의 전압 세기가 필요할 경우, 필요에 따라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신호는 전극으로 전달되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여 전극이 신체의 피부에 접촉하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 입력 방식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820)의 터치 스크린에 형성된 터치 패턴(821)은 X-Y 패턴(X-Y pattern) 형태로서 송신부(Tx) 및 수신부(Rx)를 격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서 전기적인 커플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패턴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 컨트롤러(Touch Controller)(822)는 터치 패턴(821)의 전기적인 커플링의 변화량(예컨대, 줄어드는 정전 용량(capacitance_의 크기)을 감지하고,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의 x, y 좌표를 계산한 후, 이를 디지털 신호로 수치화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823)로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823)에서는 터치 컨트롤러(8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에 대응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손가락(1000)이 전자 장치(820)의 터치 패드를 터치하면, 사람의 손가락(820)에서 형성된 전계에 의해 상기 터치 패턴(821) 상에서 전기적인 커플링의 변화(예컨대,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컨트롤러(82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커플링의 변화량을 감지함으로써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형 장치(810)를 착용하고 터치 패드를 터치할 경우,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고 터치할 경우와 비교할 때 전기적인 커플링의 변화량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형 장치(810)를 착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터치의 경우 스마트폰의 TX 전극 패턴에서 드라이빙되는 신호에 의한 전계(E-field)를 RX 전극 패턴에서 센싱하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형 장치(810)를 착용한 터치의 경우는 상기 시계형 장치(810)에서 유기되는 전계를 추가하여 RX 전극 패턴에서 센싱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 여부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은 도전체(conducto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 패널을 터치할 때, 전기적인 커플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고 터치할 경우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고 터치할 경우 커플링의 변화량은 도 14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이하게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도 14를 참조하면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고 터치할 경우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정전 용량(Capacitance)의 변화량(ΔC)은 C1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고 터치할 경우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ΔC)은 C2로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의 차이로 터치 입력시 시계형 장치의 착용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 여부에 따른 임계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에서 터치 입력을 구분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터치 임계값(Threshold)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된 정전 용량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된 정전 용량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함으로써 상기 터치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터치인지 아닌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착용을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임계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된 제1 임계값에 의해 터치 패널의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고 손가락만으로 터치할 경우 정전 용량의 변화량(ΔC)은 제1 임계값보다는 큰 값이므로 터치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ΔC)이 제2 임계값보다는 작은 값이므로, 시계형 장치는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임계값과는 다른 제2 임계값에 의해 시계형 장치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할 경우 정전 용량의 변화량(ΔC)는 제1 임계값보다는 큰 값이므로 터치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ΔC)이 제2 임계값보다도 큰 값이므로,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고 터치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제2 임계값을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를 식별할 수도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위치(예컨대, 왼손 또는 오른손)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동일한 종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라 할지라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전계의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킴으로써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식별하거나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6 내지 도 18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터치 입력을 구분하기 위한 제2 임계값을 실시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16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을 실시간으로 변경시키고, 상기 변경한 값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전송된 값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생성기에서 발생하는 전계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간에 제2 임계값을 B로 설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신호 생성기에서는 t1 시간 이후 상기 제2 임계값 B에 대응한 신호(예컨대, 2.6V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t2 시간에 제2 임계값을 A로 설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신호 생성기에서는 t2 시간 이후 상기 제2 임계값 A에 대응한 신호(예컨대, 1.8V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t3 시간에 제2 임계값을 C로 설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신호 생성기에서는 t3 시간 이후 상기 제2 임계값 C에 대응한 신호(예컨대, 3.5V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터치할 경우 상기와 같이 생성된 신호에 의해 발생된 전계에 따른 정전 용량 변화를 상기 스마트폰에서 감지하고, 해당 임계값을 적용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인증하거나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계값 변경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스마트폰과 시계형 장치가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에 의해 페어링되고, 발생하는 신호의 크기 또는 패턴 또는 주파수를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함으로써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스마트폰과 시계형 장치가 페어링되어 있는 상태일 경우 상기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를 스마트폰의 주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주인의 시계형 장치가 스마트폰과 페어링되어 있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전계를 생성하고, 스마트폰에서는 상기 생성된 전계에 의해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주인의 시계형 장치를 인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처리할 수 있다.
반면, 다른 패턴으로 전계를 발생시키는 타인 A의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고 터치할 경우, 스마트폰에서는 이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해당 입력 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처리하거나 스마트폰이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계를 발생시키지 않는 타인 B의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고 터치할 경우, 스마트폰에서는 마찬가지로 이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해당 입력 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처리하거나 스마트폰이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스마트폰과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사람이 상기 스마트폰을 터치하는 예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과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을 통해 임계값을 전송받으므로 그에 따라 전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을 식별한 터치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스마트폰과 페어링 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람이 터치할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설정된 임계값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전계를 발생할 수 없거나 전계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을 식별한 터치 인식이 불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계값 변경 및 전계 검출에 의해 사용자 및 착용한 손을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과 착용하지 않은 손에 의해 나타나는 각각의 전계 차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에 의한 터치 인식을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지 않은 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전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전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미착용한 손의 경우 인체의 저항값으로 인해 전계가 약해지므로 상기 임계값 이하의 전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계 세기의 차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람에 대해 착용한 손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미착용한 손의 경우에도 전계의 세기는 작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과 유사한 패턴의 전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람에 대한 인증과 동시에 착용한 손과 미착용한 손의 구별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는 절차들을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에서 제2 임계값을 변경(1902)시키고, 상기 변경된 임계값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예컨대, 시계형 장치)로 전송(1904)할 수 있다.
상기 전송된 제2 임계값을 수신(1906)한 제2 전자 장치는 수신된 제2 임계값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발생(1908)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패널을 터치(1910)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발생된 신호로부터 생성된 전계에 의하여 제1 전자 장치에서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감지(1912)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는 상기 감지된 정전 용량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구분(예컨대, 제2 전자 장치의 착용 유무 또는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인지 착용하지 않은 손인지 여부를 구분)하여 처리(1914)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을 구별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에서 터치가 입력(2002)되면, 정전 용량의 변화량(ΔC)을 인식(2004)할 수 있다.
상기 인식 결과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ΔC)이 제2 임계값(2ndTh)보다 클 경우(2006),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터치로 인식(2008)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ΔC)이 제2 임계값(2ndTh)보다 크지는 않으나, 제1 임계값(1stTh)보다는 클 경우(2010),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터치로 인식(2012)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ΔC)이 제1 임계값(1stTh)보다도 크지 않을 경우(2010)에는 터치가 입력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에 의해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터치 또는 착용하지 않은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터치에 의한 터치 인터럽트(touch interrupt)가 발생(2014)하고, 미리 설정된 해당 UX(User Experience) 시나리오에 따른 입력 처리를 수행(2016)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전극을 통해 형성되는 전계의 전압 레벨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전극을 통해 형성되는 전계의 패턴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전극을 통해 형성되는 전계의 주파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터치 또는 호버링 동작일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상기 설정한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이면, 일반적인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동작;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범위는,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의 사이이며,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이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동작;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범위는,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의 사이이며,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이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주파수 사용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에서 터치를 센싱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 범위(예컨대, 30KHz ~ 330KHz) 내에서 TX 전극 패턴으로 드라이빙시킬 n개(예컨대, f1 ~ f5의 5개)의 주파수를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개의 주파수를 선정함으로써 다양한 전자파 노이즈가 유입되는 경우 센싱 주파수를 호핑(Hoping)할 수 있다.
또한,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시계형 장치에서 사용할 터치 주파수 사용 대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터치에 대한 센싱 주파수와 중첩되지 않는 주파수 영역을 시계형 장치의 주파수 대역(예컨대, 30KHz ~ 60KHz)으로 선정하고, 나머지 주파수 대역(예컨대, 61KHz ~ 330KHz)을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터치 센싱을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시 터치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터치시 TX 전극 패턴으로 f1 ~ f5까지의 주파수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하면, 상기 전송된 신호는 RX 전극 패턴으로 유도된다.
상기 RX 전극 패턴으로 유도된 신호는 다음의 모듈들에 의해 프로세서(예컨대, AP)로 보낼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① 전계-전압 변환 모듈(Q-to-V) : 전계(E-field) 변화를 전압(voltage)으로 변환하는 모듈
② 복조 모듈(demodulator) : TX 전극 패턴에서 드라이빙되는 신호와 같은 주파수를 곱하는 모듈
③ 필터 모듈(filter) : 센싱 주파수 이외 대역의 잡음(noise) 제거용 필터 모듈
④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 아날로그 전압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모듈
⑤ 출력 데이터(Output data) : 디지털로 전환된 전압 레벨의 평균값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가락 터치 입력 시 RX 전극 패턴으로 유도된 전계는 상기 전계-전압 변환 모듈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압 파형은 TX 신호와 같은 주파수의 파형을 갖게 된다. 상기 변환된 전압 신호는, 복조 모듈과 필터 모듈에 의해 TX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성분은 상쇄되어 DC성분만 남게 된다. DC성분은 ADC 모듈에 의해 샘플링되고, 특정 구간 동안 적분된 값은 출력 데이터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출력 데이터는 AP로 전달되어 터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터치시 터치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터치 입력 시 시계형 장치에서 발생하는 f1 주파수 신호는 f2 ~ f5 주파수 신호들과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도 23에서 상술한 변환 과정을 거친 후에도 상쇄되지 않고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계형 장치에서 발생한 f1 주파수 신호의 검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시계형 장치에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할당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터치를 전자 장치에서 구별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계형 장치 착용 및 미착용시의 파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5는 시계형 장치의 프로토타입 제작을 통해 실제 30KHz 주파수 대역을 손에 유기시키고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검출된 파형을 나타낸다. 도 25를 참조하면,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사람에 의해 유기되는 신호의 파형(2520)과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에 의해 유기되는 신호의 파형(2510)이 구별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신호의 파형들을 구분하여 검출함으로써 터치 입력 발생 시 시계형 장치의 착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식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터치 컨트롤러 펌웨어(TSP controller firmware)의 출력 값을 커널 단의 터치 드라이버에서 읽어와서 좌표를 계산한 후 터치 프레임워크(Touch Framework)로 전달한다. 터치 프레임워크에서는 각 터치에 대한 기능을 구분하여 터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해당 터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컨트롤러 펌웨어는 터치 컨트롤러 내부에 있을 수 있으며, 도 26에서의 나머지 구성 부분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7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전자 장치에 적용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27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설치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이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2700)에서 필기 입력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제2 전자 장치(2711)를 착용하고 있는 손(2710)에 의한 터치와 제2 전자 장치(2711)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2712)에 의한 터치에 대해 각각 상이한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예컨대, 필기 입력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2 전자 장치(2711)를 착용하지 않는 손(2710)은 펜 기능을 수행하고, 제2 전자 장치(2711)를 착용하고 있는 손(2712)은 지우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전자 장치(2711)를 착용하고 있는 손(2710)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면, 지우개 기능이 설정되어 해당 터치된 지점에서의 이미지가 지워질 수 있다. 반면, 제2 전자 장치(2711)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2712)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면, 필기 입력 기능이 설정되어 해당 터치된 지점에서 필기 입력이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손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을 각각 구별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에서 설정을 변경(예컨대, 지우개 기능에서 필기 입력 기능으로의 설정 변경 또는 필기 입력 기능에서 지우개 기능으로의 설정 변경 등)하지 않고서도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입력 처리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2800, 2900)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제2 전자 장치(2820)를 착용하고 있는 손(2810)에 의한 터치와 제2 전자 장치(282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2910)에 의한 터치에 대해 각각 상이한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일한 아이콘(2801, 2901)을 선택하더라도, 제2 전자 장치(2820)를 착용하고 있는 손(2810)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면, 개인화된 기능을 위한 화면(283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282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2910)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면, 일반적인 기능을 위한 화면(2920)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보안이 필요한 개인화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도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컨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2900)의 화면에서 사진첩 아이콘 클릭 시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손(2910)은 공용 모드(public mode)(예컨대, 사용자가 별도로 보안 설정을 하지 않는 사진만 표시하거나, 인물 사진을 제외시킨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2820)를 착용하고 있는 손(2810)은 개인화된 모드(private mode)(예컨대, 사용자가 보안 설정을 한 사진과 동시에 표시, 인물 사진을 포함시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각 문자 입력키에 대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에 의한 터치와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를 각각 상이한 문자로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 입력 시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손은 기본 문자 입력 방식(예컨대, 한글, 소문자 등)로 입력 처리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은 변환 문자 입력 방식(예컨대, 쉬프트(shift) 입력, 타국어, 대문자, 쌍자음, 기호 등)으로 입력 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컨대, 문자 입력 상황에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으로 특정 문자 입력 키(예컨대, 'G' 또는 'ㅎ' 입력 키)를 터치하면, 한글 또는 쌍자음 입력과 같은 기본 문자 입력(예컨대, 'ㅎ')이 처리될 수 있다. 반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으로 특정 문자 입력 키(예컨대, 'G' 또는 'ㅎ' 입력 키)를 터치하면, 타국어 또는 쉬프트(shift) 입력과 같은 변환 문자 입력(예컨대, 'G')이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계형 장치를 착용한 손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을 각각 구별함으로써 문자 입력 키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변경(예컨대, 한글 입력 모드에서 영문 입력 모드로 변경 또는 영문 입력 모드에서 한글 입력 모드로 변경)시키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두 가지 입력 모드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에 의한 터치와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에 대해 각각 상이한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를 구분함에 따라 터치와 연계된 다양한 제스처(예컨대, 드래그(drag) 또는 스와이프(swipe) 등)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스크롤 시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손은 기본 속도로 스크롤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은 보다 빠른 속도로 스크롤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화면에서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으로 화면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하면, 미리 설정된 일반적인 속도(제1 속도)로 화면을 스크롤(scroll)할 수 있다. 반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2에서와 동일한 화면에서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으로 화면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하면, 미리 설정된 일반적인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제2 속도)로 화면을 스크롤(scroll)할 수 있다.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에 의한 제스처와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에 의한 제스처에 대해 각각 상이한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동영상 재생 화면에서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으로 화면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하면, 미리 설정된 배속(예컨대, 2배속)으로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4에서와 동일한 동영상 재생 화면에서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으로 화면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배속보다 더 빠른 배속(예컨대, 8배속)으로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도 36 및 도 37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가 락 스크린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손에 의한 터치는 기존 락 해제 방법에 따라 해제하도록 구현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에 의한 터치는 서리를 닦아내듯 일부 영역만 긁어서 보는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면, 일반적인 락 해제 방법에 따른 해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락 스크린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면, 락 스크린을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터치된 부분만을 일부 화면 해제하여 보여줄 수도 있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제2 전자 장치(예컨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에 의한 터치 또는 제스처와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 또는 제스처에 대해 각각 상이한 입력 처리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잠금 화면 모드에서 잠금 해제(unlock)를 위해 동일한 터치 또는 제스처가 제1 전자 장치에 가해지더라도, 제2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에 따라 상이한 잠금 해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에 의한 터치 또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잠금이 해제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예컨대, 필수 애플리케이션 또는 개인 보안의 필요성이 낮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고,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개인 보안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통화 목록, 갤러리, 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잠금은 유지되는 부분 잠금 해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모드에서 시계형 장치의 착용 유무에 따라 사용자를 구분함으로써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에서 홈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때, 제2 전자 장치(예컨대, 시계형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에 의한 터치 또는 제스처와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 또는 제스처에 대해 각각 상이한 통지 바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홈 화면에서 동일한 터치 또는 제스처가 제1 전자 장치에 가해지더라도, 제2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에 의한 터치 또는 제스처(예컨대, 통지 바(notification bar)를 열람하기 위한 제스처)가 발생하면, 전체 통지(예컨대, 메시지, 업데이트, 사진, SNS 등의 통지)가 제공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 또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일부 통지(예컨대, 개인 보안의 필요성이 낮은 통지)만을 표시하고, 나머지 통지(예컨대, 개인 보안이 필요한 통지(예컨대, 메시지, 업데이트, 사진, SNS 통지 등)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홈 화면에서 시계형 장치의 착용 유무에 따라 통지 바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하, 도 42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 예를 설명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컨대, 도 4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의 제1 전자 장치(100a) 또는 제2 전자 장치(100b)의 일 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카메라, 휴대 장치,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텔레비전(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은행의 ATM, 상점의 POS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의 일 예로서 제1 전자 장치(100a)는 휴대 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가 될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100b)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시계형 장치, 안경형 장치, 의류형 장치 등)가 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들 중에서 일부 구성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100)의 세부 구조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터치스크린(17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터치스크린(17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싱글코어로 이루어지거나,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등과 같이 복수의 코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코어의 수는 단말의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모듈(120)은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셀룰러 모듈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랜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무선랜 모듈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WPS(Wi-Fi Positioning System)를 구동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모듈로써,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모듈(120)은 USB 통신 케이블, 시리얼 통신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와 소정의 통신 방식(예컨대, USB 통신, 시리얼 통신 등)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출력 모듈(130)은 버튼(131),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31)은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3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는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의 설정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는 소리모드, 진동모드, 소리 및 진동모드, 무음모드 등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이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스피커(132) 또는 진동모터(133)의 동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입/출력 모듈(130), 터치스크린(171)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50),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단말의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71)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제어부(110)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71)의 출력값을 제어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터치스크린(171)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71)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7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터치스크린(171)을 통해 입력받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 모듈은 사용자의 장치(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 및 RGB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은 장치(100)의 동작(예, 장치(100)의 회전,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는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은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마련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계형 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한 종류로, 일반적인 시계와 같이 팔목에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연산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장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주변 전자장치와 관련되는 통신 장치 등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내장하여 일반 촬영 또는 인식용 카메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100b)가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형 장치일 경우, 제1 전자 장치(100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 및 작은 처리 능력을 구비하는 저장부, 제어부, 및 입출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시계형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마련된 단말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시계형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하드웨어 구성물(예컨대, 시계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형 장치는 입출력 장치로서, 미리 정해진 소정 크기의 터치스크린(18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183)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시계형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181)을 통해, 카메라(185)를 통해 촬영된 화면을 표시하거나, 상기 촬영된 화면으로부터 인식된 객체의 분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계형 장치의 후면부 또는 밴드에 전계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71)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71)은 장치(100)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홈 스크린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스크린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스크린들 중 첫 번째 홈 스크린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홈 스크린일 수 있다. 홈 스크린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71a, 171b, 171c), 메인메뉴 전환키(171d),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171d)는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71)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 볼륨운영모드와 같은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된 지점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및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범위는,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의 사이이며,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이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된 지점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및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범위는,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의 사이이며,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이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신체의 일부와 접촉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의해 전계를 형성시키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서 감지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에 대한 임계값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전극을 통해 생성된 전계의 전압 레벨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전극을 통해 생성된 전계의 발생 패턴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전극을 통해 생성된 전계의 주파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계형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상기 시계형 디바이스의 밴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상기 시계형 디바이스의 본체에서 신체와 접촉하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설정된 레벨만큼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전극으로 전송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전술한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150)에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을 위해 제어부(110) 내에 포함된 램(RAM, 1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에 따른 상기 프로그램 명령에 대응하여,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또는 지속적으로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에 필요한 UI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기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a : 제1 전자 장치 100b : 제2 전자 장치
210 : 스마트폰 220 : 시계형 장치
300 : 스마트폰 310 : 왼손
320 : 오른손 330 : 시계형 장치
340 : 왼손 전계 350 : 오른손 전계
400 : 스마트폰 410 : 시계형 장치 착용자
411 : 신체 전계 420 : 시계형 장치 미착용자
500 : 시계형 장치 510 : 전면부
520 : 후면부 521 : 전극
530 : 시계 밴드 531 : 전극
610 : 제어부 620 : 무선 통신부
630 : 신호 생성부 640 : 전압 조절부
650 : 전극 700 : 시계형 장치
810 : 시계형 장치 811 : 신호생성부
812 : 전극 820 : 스마트폰
821 : 터치 패턴 822 : 터치 컨트롤러
823 :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Claims (32)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전극을 통해 형성되는 전계의 전압 레벨과 관련된 정보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전극을 통해 형성되는 전계의 패턴과 관련된 정보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전극을 통해 형성되는 전계의 주파수와 관련된 정보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터치 또는 호버링 동작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상기 설정한 정보에 대응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이면, 일반적인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동작;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범위는,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의 사이이며,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이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동작;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범위는,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의 사이이며,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이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된 지점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및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범위는,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의 사이이며,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전자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의 터치 입력이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된 지점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및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범위에 해당하면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범위는,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의 사이이며,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전자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이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4.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설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신체의 일부와 접촉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의해 전계를 형성시키는 전극;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서 감지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량에 대한 임계값과 관련된 정보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전극을 통해 생성된 전계의 전압 레벨과 관련된 정보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전극을 통해 생성된 전계의 발생 패턴과 관련된 정보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전극을 통해 생성된 전계의 주파수와 관련된 정보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계형 디바이스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시계형 디바이스의 밴드에 형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시계형 디바이스의 본체에서 신체와 접촉하는 후면에 형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설정된 레벨만큼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전극으로 전송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40022641A 2014-02-26 2014-02-26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1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641A KR102219042B1 (ko) 2014-02-26 2014-02-26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4/571,573 US9727184B2 (en) 2014-02-26 2014-12-16 Identifying input in electronic device
EP14200277.3A EP2913739B1 (en) 2014-02-26 2014-12-24 Identifying input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641A KR102219042B1 (ko) 2014-02-26 2014-02-26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213A true KR20150101213A (ko) 2015-09-03
KR102219042B1 KR102219042B1 (ko) 2021-02-23

Family

ID=5244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641A KR102219042B1 (ko) 2014-02-26 2014-02-26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27184B2 (ko)
EP (1) EP2913739B1 (ko)
KR (1) KR102219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454A (ko) * 2015-09-16 2018-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 방해 신호 검출
US10671231B2 (en) 2013-08-13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detection
US10955983B2 (en) 2013-08-13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nteraction sen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4941B2 (en) 2012-10-04 2019-03-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sensor for tracking articulated body-parts
US9442597B2 (en) 2012-10-19 2016-09-13 Apple Inc. Sensor-based ESD detection
US10141929B2 (en) 2013-08-13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Proces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using machine learning
US10101869B2 (en) * 2013-08-13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dentifying device associated with touch event
US9811204B2 (en) * 2014-06-23 2017-11-07 Apple Inc. Time multiplexed touch detection and power charging
US9791420B2 (en) * 2014-08-29 2017-10-17 The Boeing Company Fluidless roller probe device
DE102014220535A1 (de) * 2014-10-09 2016-04-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ahrzeugmultimediaeinrichtung
US20170010695A1 (en) * 2015-07-09 2017-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multi-touch input detection
US20170010733A1 (en) * 2015-07-09 2017-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identify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US10289239B2 (en) * 2015-07-09 2019-05-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multi-touch input detection
US20170102697A1 (en) * 2015-10-08 2017-04-13 General Motors Llc Selecting a vehicle function to control us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137777B2 (en) 2015-11-03 2018-1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system control based on physiological traits
US10775845B2 (en) * 2016-03-18 2020-09-15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context awar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bile compute devices
CN105847627B (zh) * 2016-03-30 2018-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显示图像数据的方法和装置
US9860685B1 (en) 2016-06-29 2018-01-02 Cisco Technology, Inc. Presence indicator signal
US10437343B2 (en) * 2017-01-06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gmented reality control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10782651B2 (en) * 2018-06-03 2020-09-22 Apple Inc. Image capture to provide advanced features for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US11169548B2 (en) 2018-07-25 2021-11-09 Kohler Co. Water level detection via pressure sensing device
TWI742405B (zh) * 2019-07-19 2021-10-11 聯陽半導體股份有限公司 觸摸偵測裝置及觸摸偵測方法
US11221704B2 (en) * 2020-02-05 2022-01-11 Sigmasense, Llc. Screen-to-screen communication via touch sense elements
WO2021165050A1 (en) * 2020-02-17 2021-08-26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to secure health safety during charging of health wearable
US11928295B2 (en) * 2021-07-13 2024-03-12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proces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5999A1 (en) * 2001-05-14 2002-12-12 Shigeru Tajim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inputting a signal, and method therefor
US20090225036A1 (en) * 2007-01-17 2009-09-10 Wright David 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between user interactions
KR20100072198A (ko) * 2007-08-19 2010-06-30 링보우 리미티드 반지형 장치와 그 사용방법
WO2012169106A1 (ja) * 2011-06-10 2012-12-1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6320A (ja) 1995-08-24 1997-04-22 Symbios Logic Inc 図形入力装置および図形入力方法
GB2428094A (en) 2005-07-08 2007-01-17 Sharp Kk A controller for an input device, an input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an input device
RU2009111002A (ru) * 2006-08-27 2010-10-10 Май Мобайл Вотч Лимитед (Cn)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часы для системы gsm
KR101073309B1 (ko) 2009-11-24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365313B1 (ko) * 2010-06-10 2014-02-19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터치 패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
US8982094B2 (en) * 2012-12-28 2015-03-17 Shenzhen Huiding Technology Co., Lt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based on capacitive sensing and coupling via human body or direct device-to-device coupling
KR102148645B1 (ko) * 2013-03-15 2020-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3200B1 (ko) * 2013-05-07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US9569625B2 (en) * 2013-06-11 2017-02-14 Google Inc. Wearable device multi-mode system
KR102124481B1 (ko) * 2014-01-21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5999A1 (en) * 2001-05-14 2002-12-12 Shigeru Tajim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inputting a signal, and method therefor
US20090225036A1 (en) * 2007-01-17 2009-09-10 Wright David 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between user interactions
KR20100072198A (ko) * 2007-08-19 2010-06-30 링보우 리미티드 반지형 장치와 그 사용방법
WO2012169106A1 (ja) * 2011-06-10 2012-12-1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1231B2 (en) 2013-08-13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detection
US10955983B2 (en) 2013-08-13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nteraction sensing
KR20180042454A (ko) * 2015-09-16 2018-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 방해 신호 검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42015A1 (en) 2015-08-27
EP2913739B1 (en) 2019-04-17
EP2913739A1 (en) 2015-09-02
KR102219042B1 (ko) 2021-02-23
US9727184B2 (en)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042B1 (ko)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907013B2 (en) Continuity of applications across devices
EP2808781B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KR102120930B1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KR102144553B1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9773158B2 (en) Mobile device hav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using additional compon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WO2018082269A1 (zh) 菜单显示方法及终端
US10116787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140097902A (ko) 햅틱 패턴을 생성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40076261A (ko)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KR20160028823A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150065336A (ko) 전자 장치의 제스처 인식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10132A (ko)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27838A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핸드 라이팅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40348334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KR20160026135A (ko) 전자 장치 및 메시지 전송 방법
JP6169815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44757A (ko) 플로팅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9218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73512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2544A (ko) 전자 장치의 방향 기능 입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