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132A -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132A
KR20150010132A KR20130084683A KR20130084683A KR20150010132A KR 20150010132 A KR20150010132 A KR 20150010132A KR 20130084683 A KR20130084683 A KR 20130084683A KR 20130084683 A KR20130084683 A KR 20130084683A KR 20150010132 A KR20150010132 A KR 2015001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pointer
hard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년
김건수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0132A/ko
Priority to US14/257,375 priority patent/US20150026638A1/en
Publication of KR2015001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 및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포인터를 상기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하드키와 매핑된 하드키 매핑 영역에 위치해 있는 중에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드키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EXTRNAL INPUT DEVICE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로는 마우스(mouse), 조이스틱(joystick), 전자 펜 마우스(electronic pen mouse), 전자 펜(electronic pen), 태블릿 디지타이징(tablet digitizing),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트랙볼(track ball) 등이 있다.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한 장치이다. 전자 장치에 입력 장치가 유/무선으로 연결되면, 사용자는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키패드만을 통한 사용자 입력뿐만 아니라 손 또는 전자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표시부인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또는 호버링(Hovering)하여 입력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 음성, 눈동자(또는 홍채)의 움직임, 생체 신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전자 장치에서 하드키들(hard keys)을 실행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전자 장치의 하드키들을 조작하여 하드키들의 기능을 실행하였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가 연결된 상태의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도 전자 장치의 하드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직접 하드키들을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손쉽게 전자 장치의 하드키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의 하드키들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하드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외부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가 특정 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키버튼에 인접한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신호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 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의 기능은, 상기 키버튼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가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키버튼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포인터가 특정 영역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 도형, 아이콘, 기능별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복수 개의 메뉴를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메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하나씩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포인터가 특정 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상기 키버튼에 인접한 일부 영역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신호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 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의 기능은, 상기 키버튼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뉴가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키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 전에, 상기 포인터가 특정 영역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기 전,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텍스트, 도형, 아이콘, 기능별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복수 개의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메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하나씩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의 하드키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하드키들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확인하고,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하드키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로서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한 각종 전자 장치(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가 입력 장치와 연결되고,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의 하드키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한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텔레비전(television, 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비디오 헤드 유닛(car video head unit),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하드키(hard key)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소프트키(soft key)와 반대되는 키이다. 하드키는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상, 하, 좌, 우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하드키들은 전자 장치의 표시부를 제외한 하우징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드키의 용어는 하드웨어 버튼 및 하드웨어 키의 용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설정된 하드키 매핑 영역은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영역이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의해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중 포인터가 하드키 매핑 영역으로 진입하면, 진입된 영역과 매핑된 전자 장치의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로는 마우스, 조이스틱, 전자 펜 마우스, 전자 펜, 태블릿 디지타이징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뿐만 아니라 키보드, 키패드,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장치이거나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의 하우징에 입력 장치를 착탈 가능한 수납 공간이 구비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와 입력 장치는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전자 펜 수납 공간에 전자 펜(electronic pen)은 수납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면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매개 전자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인 마우스가 매개 전자 장치인 컴퓨터(computer)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다시 컴퓨터가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장치인 마우스는 매개 전자 장치인 컴퓨터를 통해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우스를 통해 전자 장치의 표시부 상의 포인터를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시켜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가 매개 전자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에는, 입력 장치는 매개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인 마우스가 매개 전자 장치인 컴퓨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다시 컴퓨터가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장치인 마우스는 컴퓨터와 전자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하여 컴퓨터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하거나 전자 장치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에 포함되어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입력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인 마우스가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다시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장치인 마우스는 전자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에 포함된 입력 장치는 다른 전자의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입력 장치가 연결되면, 전자 장치는 표시부 상의 임의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로부터 포인터를 이동과 관련된 신호인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 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포인터가 전자 장치의 표시부 상의 하드키들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 입력 장치로부터 하드키의 기능 실행과 관련된 신호인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하드키들과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다음과 같이 매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하드키 별로 매핑될 표시부 상의 각 하드키 매핑 영역을 생성하고 하드키 당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하드키 별로 가장 가까운 표시부 상의 가장자리에 하드키 매핑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하드키 매핑 영역을 인접한 하드키와 매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자 장치의 하드키의 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표시부 상의 하드키 매핑 영역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는 동일한 대상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키들을 표시부 상의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버튼들(볼륨 증가 버튼 및 볼륨 감소 버튼)과 인접한 표시부 상의 가장자리에 하드키 매핑 영역을 생성하여 볼륨 버튼들과 생성된 하드키 매핑 영역을 매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 동일한 대상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하드키들의 기능 중 원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는 서로 다른 기능의 복수 개의 하드키들을 표시부 상의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하드키들로는 볼륨 증가 버튼, 볼륨 감소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뒤로 가기 버튼 및 전원/잠금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 복수 개의 하드키들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화면상에서 하드웨어 버튼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로서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통신 모듈(12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및 서버 등과 같은 다른 휴대 단말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통신 모듈(12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100)은 제어부(110), 통신 모듈(12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이동통신 모듈(121), 서브 통신 모듈(130) 및 방송 통신 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ead only memory, ROM, 112) 및 휴대 단말(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12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 스크린(190)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표시부인 터치 스크린(19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버튼(161)들을 매핑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버튼들(161)과 매핑될 터치 스크린(190)상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생성된 영역과 버튼(161)들을 매핑하고, 매핑된 정보를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 장치와 휴대 단말(100)이 연결되면, 터치 스크린(190) 상의 임의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포인터의 위치를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포인터가 버튼들(161)과 매핑된 터치 스크린(190)상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진입하였는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포인터의 위치가 버튼들(161)과 매핑된 터치 스크린(190)상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입력 장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영역과 매핑된 버튼들(161)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의 세부 구성은 도 4의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은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 외에,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통한 제스처 입력, 버튼(161) 또는 키패드(166)를 통한 스위치/버튼 입력, 마이크(162)를 통한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 유닛(168)이 터치 스크린(190)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호버링(Hovering) 이벤트와 같은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미도시), 입/출력 모듈(160), 및 센서모듈(17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 눈동자 움직임, 홍채 인식, 생체신호 등 휴대 단말(1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휴대 단말(100) 내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168)(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 등) 또는 진동 소자(16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는 이러한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을 생성한다. 이러한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는 진동 패턴 자체, 진동 패턴의 식별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제어 신호는 단순히 진동 생성의 요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00)은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1),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100)이 외부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의 무선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과 외부 다른 전자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가시광(Visible Light Communications)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서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입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예,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6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62),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3),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이어폰 연결 잭(167) 및 입력 유닛(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160)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터치 스크린(190) 상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소리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방송 데이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휴대 단말(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소리(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통화 연결음,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에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하드웨어 버튼(161)의 기능이 실행되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100)은 다른 장치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소자(164)가 동작한다. 진동 소자(164)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소자(164)는 제어부(110)에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하드웨어 버튼(161)의 기능이 실행되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기계적인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버튼(161)의 기능별로 진동의 세기, 진동 주기를 다르게 진동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전원 소스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거나,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65)는 입력 수단을 구비한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65)는 입력 수단을 구비한 장치와 연결된 매개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에 설치되는 물리적인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166)는 입력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탈착 가능하게 포함하거나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에 설치되는 물리적인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은 이어폰 연결잭(167)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휴대 단말(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인출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휴대 단말(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있고,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시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과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즉,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를 통지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유닛(168)은 입력 수단을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입력 유닛(168)이 인출 또는 분리될 경우에 표시부인 터치 스크린(190)상의 임의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90)의 상측에 입력 유닛(168)이 위치한 경우에 입력 유닛(168)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여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위치 변화에 대응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휴대 단말(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 또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의 회전, 휴대 단말(100)의 가속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휴대 단말(100)의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157) 등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휴대 단말(100)까지의 전파 도달 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모듈(12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또는 터치 스크린(190)의 동작에 따라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휴대 단말(100)의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 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내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휴대 단말(1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미도시)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에 의해 버튼(161)과 터치 스크린(190)상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매핑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핑된 정보는 터치 스크린(190)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면적과 해당 하드키 매핑 영역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161)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hard disk drive: HDD), 자기 테이프(magnetic disk),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optical disk),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는 휴대 단말(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컨대,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168)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손가락 및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을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손가락 및 입력 유닛(168)의 터치나 접근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의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지,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는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 가능한 간격 이하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 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위치뿐만 아니라 호버링 간격 또는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 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수단이 터치 스크린(190)을 누르는 압력을 검출할 수 있고, 확인된 압력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의 전면(101) 중앙에는 터치 스크린(190)이 배치된다. 터치 스크린(190)은 휴대 단말(100)의 전면(101)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휴대 단말(1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휴대 단말(100)이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질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a, 191b, 191c), 메인 메뉴 전환키(191d),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메뉴 전환키(191d)를 선택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 상태, 수신 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휴대 단말(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Status Bar; 192)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설치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전면(101)의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1) 및 근접 센서(172)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후면(103)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측면에는 예를 들어 전원/잠금 버튼(161d), 볼륨 증가 버튼(161f) 및 볼륨 감소 버튼(161g)을 갖는 볼륨 버튼(161e),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미도시),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는 휴대 단말(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설치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입력 수단을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설치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 유닛(168)이 장착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휴대 단말(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인출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버튼들(161)은 하드키들로 포함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예로서 휴대 단말(10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매핑하는 매핑부(114), 하드키와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이 매핑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15),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포인터가 하드키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판단부(116), 포인터가 하드키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면, 입력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하드키의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신호인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하드키는 표시부를 제외한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대상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하드키들은 서로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증가 버튼과 볼륨 감소 버튼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매핑부(114)는 하드키들과 매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드키 매핑 영역은 각각의 하드키와 인접한 표시부 상의 가장자리에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각각의 하드키의 설치 지점과 인접한 표시부 상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미리 설정된 면적을 갖는 하드키 매핑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매핑부(114)는 생성된 하드키 매핑 영역들과 하드키들을 각각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매핑부(114)는 표시부 상의 설정된 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설정하여 하드키들과 매핑할 수 있다. 매핑부(114)는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하드키 별로 각각 설정하고, 설정된 각각의 표시부 상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하드키들과 각각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매핑부(114)는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설정하고, 동일한 대상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복수 개의 하드키들을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증가 버튼 및 볼륨 감소 버튼들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매핑부(114)는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설정하고,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 버튼들을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표시부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표시부 상의 하드키들과 매핑된 복수 개의 하드키 매핑 영역을 설정하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사용할 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반면, 표시부 상의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하드키들을 매핑하면, 전자 장치에서는 입력장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 개의 하드키의 기능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매핑부(114)는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이 전자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면적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의 각 면적은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의 생산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의 각 면적은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처음 연결 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저장부(115)는 매핑부(114)에 의해 매핑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키들과 매핑된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의 면적, 각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판단부(116)는 포인터가 하드키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연결되면, 전자 장치의 표시부 상의 임의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 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판단부(116)는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이동 중에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16)는 포인터가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의 면적 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위치하는 경우에, 해당 하드키 매핑 영역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판단의 기준이 되는 시간은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의 생산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실행부(117)는 판단부(116)의 판단 결과, 포인터의 위치가 하드키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는 경우에 입력 장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행부(117)는 포인터의 위치가 하드키와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는 경우에,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을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방법으로는 텍스트, 도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가 복수 개인 경우에 실행부(117)는 복수 개의 하드키의 기능들을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가 복수 개인 경우에 실행부(117)는 복수 개의 하드키의 기능들을 텍스트, 도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복수 개의 하드키의 기능 중 하나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실행부(117)는 포인터가 하드키 매핑 영역에 진입하면, 입력 장치로부터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을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하드키 기능 표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행부(117)는 수신된 하드키 기능 표시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 또는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들의 기능들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장치가 마우스인 경우에, 마우스의 입력 신호에 의해 전자 장치의 포인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하드키 매핑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다가 재 진입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포인터의 이탈 동작과 재진입 동작을 하드키 기능 표시 신호로 인식하고,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 또는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들의 기능들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 장치가 마우스인 경우에, 전자 장치는 마우스 우 버튼 신호를 하드키 기능 표시 신호로 수신하여,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 또는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들의 기능들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 장치가 마우스인 경우에, 사용자가 하드키 매핑 영역에서 클릭한 후 포인터를 이동시키면, 전자 장치는 클릭한 후 포인터를 이동 동작을 하드키 기능 표시 신호로 인식하고,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 또는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들의 기능들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 장치가 마우스인 경우에, 사용자가 하드키 매핑 영역 내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시키면, 전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하는 동작을 하드키 기능 표시 신호로 인식하고,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 또는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들의 기능들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행부(117)는 입력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하드키의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진입한 복수 개의 하드키의 기능 영역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의 기능의 실행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발광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되는 하드키의 기능별로 다른 색의 발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행부(117)는 입력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하드키의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진입한 복수 개의 하드키의 기능 영역과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의 기능의 실행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진동 소자의 진동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되는 하드키의 기능별로 진동 세기 또는 진동 주기를 다르게 진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부(11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만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510). 판단 결과,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에 연결되었으면 다음 520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연결되지 않았으면 입력 장치가 연결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입력 장치, 전자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입력 장치,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독립된 입력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입력 장치의 경우에는 입력 장치가 활성화되면, 전자 장치와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 착탈 가능한 입력 장치 및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독립된 입력 장치의 경우에는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거나 매개 전자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입력 장치가 연결되면, 전자 장치의 표시부 화면 상에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520).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포인터 이동과 관련된 신호인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를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화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포인터가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530). 판단 결과, 포인터가 이동 중에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였으면, 다음 540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520 과정에서 생성된 포인터가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다음 540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 포인터가 이동 중에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로부터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과 관련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포인터가 하드키 매핑 영역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입력 장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도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없다.
반면, 전자 장치는 포인터가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며, 입력 장치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위치 중인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540).
또한,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기능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610). 판단 결과,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연결되었으면 다음 620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가 전자 장치와 연결되지 않았으면 입력 장치가 연결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입력 장치가 연결되면,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620).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포인터의 위치 이동과 관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를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화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포인터가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630). 판단 결과, 포인터가 이동 중에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였으면, 다음 640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620 과정에서 생성된 포인터가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다음 640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 포인터가 이동 중에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화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포인터가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매핑된 표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면, 포인터가 위치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하드키 매핑 영역 내에서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640). 판단 결과,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하드키 매핑 영역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에는 다음 650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포인터의 위치가 하드키 매핑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630 과정으로 이동하여 진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하드키 매핑 영역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에는 포인터가 위치한 하드키 매핑 영역에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을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텍스트, 도형,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650).
또한,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에 복수 개의 하드키들이 매핑된 경우에는 복수 개의 하드키들의 기능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위치한 하드키 매핑 영역에 복수 개의 하드키들이 매핑된 경우에는 복수 개의 하드키의 기능들을 텍스트, 도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복수 개의 하드키의 기능 중 하나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하드키의 기능 실행과 관련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진입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660).
입력 장치의 선택 신호는 하드키의 기능을 선택과 관련된 신호이다. 선택 신호는 입력 장치에 생성된 신호 또는 신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가 입력 장치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 표시부 상의 하드키들과 매핑된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으로 포인터가 진입하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의 선택 신호로서 마우스 좌 버튼 신호, 마우스 우 버튼의 신호 및 마우스 휠 버튼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마우스 좌 버튼 신호, 마우스 우 버튼 신호, 마우스 휠 버튼 신호 중 적어도 두 가지 신호들의 조합된 신호를 선택 신호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입력 장치의 선택 신호는 입력 장치에 구비된 입력 수단에서 생성되는 신호들이 조합된 신호일 수 있다. 입력 장치가 하나의 버튼을 구비한 전자 펜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전자 펜의 하나의 버튼 신호의 수신 횟수를 인식하고, 전자 펜의 하나의 버튼 신호의 수신 횟수를 선택 신호로 수신하여, 전자 펜의 하나의 버튼 신호의 수신 횟수별로 대응하는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의 선택 신호는 입력 장치에 의해 생성된 하드키의 신호, 입력 장치의 하드키들의 조합 신호, 입력 장치의 소프트키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이 도시되었다. 휴대 단말(100)은 복수 개의 하드키들을 포함하고 있다.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좌측 면에 위치하는 하드키들로는 볼륨 버튼으로서 볼륨 증가 버튼(161f)과 볼륨 감소 버튼(161g)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우측 면에 휴대 단말(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거나 휴대 단말(100)의 잠금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전원/잠금 버튼(161d)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홈 버튼(161a),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메뉴 버튼(161b), 및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는 뒤로 가기 버튼(161c)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인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상기 하드키들과 각각 매핑된 하드키 매핑 영역들이 도시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190)의 좌측 상단에는 볼륨 증가 버튼(161f)과 매핑된 영역(351), 볼륨 감소 버튼(161g)과 매핑된 영역(352)이 설정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의 우측 상단에는 전원/잠금 버튼(161d)과 매핑된 영역(340)이 설정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의 하단의 좌측에는 메뉴 버튼(161b)과 매핑된 영역(320)이 설정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의 하단의 중앙에는 홈 버튼(161a)과 매핑된 영역(310)이 설정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의 하단의 우측에는 뒤로 가기 버튼(161c)과 매핑된 영역(330)이 설정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에 입력 장치가 연결되어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설정된 하드키 매핑 영역 내에 위치한 포인터(200)가 도시되고 있다. 휴대 단말(100)은 입력 장치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된 포인터(200)를 움직일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포인터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200)가 이동 중에 볼륨 감소 버튼(161g)과 매핑된 영역(352)에 진입하였다. 휴대 단말(100)은 포인터(200)가 휴대 단말(100)의 하드키들과 매핑된 터치 스크린(190) 상에 적어도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100)은 포인터(200)의 위치가 볼륨 감소 버튼(161g)과 매핑된 영역(352)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입력 장치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하드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포인터(200)가 현재 위치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의 기능인 휴대 단말(100)의 볼륨 감소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하드웨어 버튼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하드키와 일 대 일로 매핑된 하드키 매핑 영역이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각각 설정된 경우를 설명하였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복수 개의 하드키들과 매핑되어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 상에서 설정된 하드키 매핑 영역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이 도시되었다. 휴대 단말(100)은 복수 개의 하드키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동일한 복수 개의 하드키들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하드키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인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휴대 단말(100)의 하드키들과 각각 매핑된 하드키 매핑 영역들이 도시되었다. 도 7에서는 터치 스크린(190)의 좌측 상단에는 볼륨 증가 버튼(161f)과 매핑된 영역(351), 볼륨 감소 버튼(161g)과 매핑된 영역(352)이 설정되었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증가 버튼(161f) 및 볼륨 감소 버튼(161g)이 공통으로 매핑된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350)이 설정되었다. 나머지 하드키들과 매핑된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설정된 하드키 매핑 영역들은 상기 도 7의 설명과 동일하게 하나의 하드키 당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이 설정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포인터(200)가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의 설정된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증가 버튼(161f) 및 볼륨 감소 버튼(161g)이 공통으로 매핑된 하드키 매핑 영역(350)으로 진입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 단말(100)은 포인터(200)가 위치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들의 기능을 텍스트, 도형,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포인터(200)가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 증가 버튼(161f) 및 볼륨 감소 버튼(161g)이 공통으로 매핑된 하드키 매핑 영역(350)에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인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볼륨 제어하는 기능이 도형(400)으로 도시되고 있다. 휴대 장치(100)는 입력 장치의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 신호는 볼륨 증가 기능 실행에 관한 선택 신호 또는 볼륨 감소 기능 실행에 관한 선택 신호이다. 휴대 단말은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포인터(200)가 위치한 하드키 매핑 영역과 매핑된 하드키들의 기능 중 하나인 볼륨 증가 기능을 실행하거나 볼륨 감소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이 도시되고 있다. 휴대 단말(100)은 복수 개의 하드키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동일한 복수 개의 하드키들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하드키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인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휴대 단말(100)의 하드키들과 매핑된 하드키 매핑 영역(360)이 표시되었다. 도 9에서 하드키 매핑 영역(360)이 휴대 단말(100)의 표시부인 터치 스크린(190)의 상단에 설정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드키 매핑 영역(360)은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의 임의의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360)은 휴대 단말(100)의 복수 개의 하드키들과 매핑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포인터(200)가 휴대 단말(100)의 복수 개의 하드키들과 매핑된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360)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휴대 단말(100)은 포인터(200)가 복수 개의 하드키들과 매핑된 하나의 하드키 매핑 영역(360)에 위치하는 경우에 포인터(200)가 위치한 하드키 매핑 영역(360)과 매핑된 하드키들의 기능들을 리스트(500) 형식으로 휴대 단말(2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휴대 단말(100)은 입력 장치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표시된 하드키들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200)가 위치하는 하드키 매핑 영역(360)과 매핑된 하드키들의 기능들을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정해진 순서대로 기능 하나씩 텍스트, 도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로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휴대 단말 110: 제어부
114: 매핑부 115: 저장부
116: 판단부 117: 실행부
120: 통신 모듈 130: 서브 통신 모듈
157: GPS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68: 입력 유닛 170: 센서 모듈
175: 저장부 180: 전원 공급부
190: 터치 스크린 195: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
200: 포인터

Claims (19)

  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포인터가 특정 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상기 키버튼에 인접한 일부 영역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 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의 기능은,
    상기 키버튼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가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키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 전에, 상기 포인터가 특정 영역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텍스트, 도형, 아이콘, 기능별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복수 개의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메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하나씩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외부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가 특정 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키버튼에 인접한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 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의 기능은,
    상기 키버튼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가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키버튼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포인터가 특정 영역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 도형, 아이콘, 기능별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복수 개의 메뉴를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키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메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하나씩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
KR20130084683A 2013-07-18 2013-07-18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10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683A KR20150010132A (ko) 2013-07-18 2013-07-18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4/257,375 US20150026638A1 (en) 2013-07-18 2014-04-21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inpu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683A KR20150010132A (ko) 2013-07-18 2013-07-18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132A true KR20150010132A (ko) 2015-01-28

Family

ID=5234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683A KR20150010132A (ko) 2013-07-18 2013-07-18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26638A1 (ko)
KR (1) KR20150010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711A (ko) * 2015-07-03 2017-10-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조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49998S (en) * 2013-01-09 2013-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66318S1 (en) 2014-03-07 2016-09-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6245610B2 (ja) * 2014-03-28 2017-12-13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照明制御電源
US9692860B2 (en) * 2014-05-15 2017-06-27 Apple Inc. One layer metal trace strain gauge
KR20160114413A (ko) * 2015-03-24 2016-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671828B2 (en) 2014-09-19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dual touch sensors located on different sides of terminal bod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R3047630B1 (fr) * 2016-02-10 2018-04-20 Airbus Operations (S.A.S.) Dispositif de commande d'un systeme de communication d'un aeronef
JP2018132850A (ja) * 2017-02-14 2018-08-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
CN110275665A (zh) * 2019-05-23 2019-09-24 深圳龙图腾创新设计有限公司 一种触摸屏操作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D946018S1 (en) 2020-06-18 2022-03-1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3723B1 (en) * 1995-03-27 2005-06-07 Donald K. Forest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US6346935B1 (en) * 1998-09-14 2002-0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ouch-sensitive tablet
US6609095B1 (en) * 2000-01-21 2003-08-19 Paul D. Krause Electronic financial accounting system
US20070094597A1 (en) * 2004-11-04 2007-04-26 Rostom Mohamed A Dynami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esktop environment
US7509348B2 (en) * 2006-08-31 2009-03-24 Microsoft Corporation Radially expanding and context-dependent navigation dial
JP4353235B2 (ja) * 2006-11-06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操作支援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936481A1 (en) * 2006-12-22 2008-06-25 Xelion B.V. Menu in a user interface
US8650505B2 (en) * 2007-02-28 2014-02-11 Rpx Corporation Multi-state unified pie user interface
US8689139B2 (en) * 2007-12-21 2014-04-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Expandable user interface menu
US20100107067A1 (en) * 2008-10-27 2010-04-29 Nokia Corporation Input on touch based user interfaces
US20100251115A1 (en) * 2008-10-30 2010-09-30 Dell Products L.P. Soft Buttons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8423912B2 (en) * 2010-06-29 2013-04-16 Pourang Irani Selectable parent and submenu object display method with varied activation area shape
US20120026098A1 (en) * 2010-07-30 2012-02-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abletop mode
US20120120002A1 (en) * 2010-11-17 2012-05-1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proximity based control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9292171B2 (en) * 2010-11-17 2016-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order menu for context dependent actions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ES2686934T3 (es) * 2011-01-18 2018-10-22 Savant Systems Llc. Interfaz de control remoto que proporciona un funcionamiento con la cabeza subida y respuesta visual
JP5197777B2 (ja) * 2011-02-01 2013-05-15 株式会社東芝 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56859B2 (ja) * 2011-12-28 2016-07-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4134817A1 (zh) * 2013-03-07 2014-09-12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终端操控方法
US20140320420A1 (en) * 2013-04-25 2014-10-3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ased on touch operations
US9310890B2 (en) * 2013-05-17 2016-04-12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hake-based functions on a compu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711A (ko) * 2015-07-03 2017-10-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조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6638A1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526B1 (ko) 전자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실행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10132A (ko)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948763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portable device
US9851890B2 (en) Touchscreen keyboard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CN103870028B (zh) 使用笔提供用户交互的终端和方法
KR102113674B1 (ko) 다중 터치를 이용한 객체 선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8090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KR101815720B1 (ko)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2785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US201400553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olling
KR20150026109A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60028823A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14033772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related to user input on screen
US95633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input
US20150002417A1 (en) Method of processing user inpu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029608A (ko) 좌표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48334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KR20160026135A (ko) 전자 장치 및 메시지 전송 방법
US1010183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floating input
KR20140131051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9679B1 (ko) 입력 장치를 이용한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
KR20140092106A (ko)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과 저장 매체
KR20140026178A (ko) 어플리케이션의 마이크 사용 권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84797B1 (ko) 리스트 스크롤 바 제어 방법 및 모바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