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185A -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185A
KR20150100185A KR1020140021656A KR20140021656A KR20150100185A KR 20150100185 A KR20150100185 A KR 20150100185A KR 1020140021656 A KR1020140021656 A KR 1020140021656A KR 20140021656 A KR20140021656 A KR 20140021656A KR 20150100185 A KR20150100185 A KR 20150100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wer
terminal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Priority to KR102014002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0185A/ko
Publication of KR2015010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낚시대 전동릴의 +, - 단자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에 있어서, 낚시대에 밴드에 의해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착용이 가능하도록 사각의 스틱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휴대를 위한 고리(102)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고, 전동릴의 +, -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다수개의 2차 전지로 이루어진 전지모듈(200)과;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전동릴로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하단에 돌출형성되는 +, - 모듈 단자(300)와; 상기 하우징(100) 상단에 내설되고, 야간에 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랜턴조명(400)과; 상기 +, - 모듈 단자(300)가 형성된 반대편측 하우징 하부 측면에 형성된 USB 충전단자(500)와; 상기 랜턴조명(400)과 상기 USB 충전단자(500) 사이의 하우징 중앙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 및 점멸이 제어되는 LED 모듈부(600)와; 상기 하우징(100) 일측면에 스위치(710)가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스위치(710)의 터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랜턴조명(400)과 상기 USB 충전단자(500) 및 상기 LED 모듈(600)로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을 제어하고, 상기 LED 모듈부(600)의 점등 및 점멸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7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Electric-reel power supply for multi-functional fishing rod}
본 발명은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대용 전동릴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동릴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휴대 및 충전을 통한 재사용성이 우수하며, 전동릴의 동작 이외에 랜턴, 실내등, 취침등, 비상등, 고장표시등, USB 충전방식의 스마트폰 충전 파워뱅크 기능의 다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낚시와 같은 야외 레져활동에 필요한 조명, 충전팩의 역할을 통해 보다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한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심이 예를들어, 100m 정도로 깊은 바다에서 낚시하는 경우 잡히는 어종은 대략 우럭, 대구, 광어, 농어 등이고 무게는 대략 10Kg, 길이 80-90cm 전후이나 낚시줄에 걸려 있는 경우 부하는 순간적으로 약 50Kg 정도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수심이 깊고 잡히는 물고기가 대형이므로 이러한 바다낚시에는 낚시대에 전동릴을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통상 전동릴은 전원구동을 위하여 전원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보통 낚시대와는 별도로 분리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 시동용으로 사용되는 12V 배터리를 전원케이블로 연결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배터리 자체 무게가 5Kg으로 무거워서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고, 낚시 중에도 이동 반경에 제약을 주는 불편한 점이 있다.
고효율의 2차 전지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는 영향으로, 최근에는 상술한 오토바이 시동용 배터리보다 부피가 작아진 휴대용 배터리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역시도 크기와 부피만 줄어들었을 뿐 마찬가지로 휴대하기에는 다소 무거운 1Kg 정도의 무게를 가지고 있고 전원케이블로 낚시대의 전동릴 구동부와 연결하여서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휴대성과 이동성을 어느 정도는 완화시키기는 하지만 이 역시도 낚시대와 분리되어 있는데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가 낚시 중에 이동하기 위해서 별도로 배터리를 챙겨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제약을 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배터리가 별도 분리되어 있는 기존의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는 단순히 전동릴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에 불과하고, 낚시 등의 야외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가전기구 내지는 조명이 필요로 하여 별도로 구비하여 각각 휴대 이동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전동릴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장치를 휴대성 및 이동성이 뛰어난 새로운 전원장치가 요구되고 있고, 속속 개시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전동릴은 어군탐지 기능과 같은 첨단기능도 LCD 표시창을 통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대형 어종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전류 용량이 1(무부하시)-30(부하시)Amp이고, 전압이 12-17V의 배터리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2-8842호에는 전동릴의 하우징에 일체로 3개의 원통형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원장치를 구성한 낚시대용 전동릴 구동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한 전류용량과 전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며 상기 조건을 충족하려고 하면 무게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앞서도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낚시를 야간에도 즐기는 사람이 많아 전동릴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장치 및 별도의 랜턴을 챙겨야 하고,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장시간 즐기는 낚시의 특성상 별도의 스마트폰용 배터리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 등이 있어 사실상 낚시를 즐기기도 전에 구비하고 챙겨야 할 물건이 많아 휴대성이나 이동성에 있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전동릴을 사용하는 낚시에 있어 야간에도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는 랜턴기능 내지는 낚시과정에서 비상상황 등에 따른 비상등, 경고등, 실내등과 같은 조명기능은 물론 스마트폰을 사용함에 있어 전원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파워뱅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원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휴대성 및 이동성이 뛰어나고, 낚시대용 전동릴의 전원을 고르게 공급하여 전동릴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며, 사용이 완료된 후 충전을 통한 재사용성이 우수하고, 전동릴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공급 이외에 야간에 랜턴, 실내등, 취침등으로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낚시 등 레져활동 중 발생되는 비상상황 내지는 차량의 고장으로 인한 비상상황시 비상등 및 고장표시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소형가전제품의 USB 충전방식을 통한 파워뱅크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여 전동릴 작동에 따른 전원공급과 다양한 부가기능을 통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는 낚시대 전동릴의 +, - 단자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에 있어서, 낚시대에 밴드에 의해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착용이 가능하도록 사각의 스틱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휴대를 위한 고리(102)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고, 전동릴의 +, -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다수개의 2차 전지로 이루어진 전지모듈(200)과;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전동릴로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하단에 돌출형성되는 +, - 모듈 단자(300)와; 상기 하우징(100) 상단에 내설되고, 야간에 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랜턴조명(400)과; 상기 +, - 모듈 단자(300)가 형성된 반대편측 하우징 하부 측면에 형성된 USB 충전단자(500)와; 상기 랜턴조명(400)과 상기 USB 충전단자(500) 사이의 하우징 중앙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 및 점멸이 제어되는 LED 모듈부(600)와; 상기 하우징(100) 일측면에 스위치(710)가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스위치(710)의 터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랜턴조명(400)과 상기 USB 충전단자(500) 및 상기 LED 모듈(600)로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을 제어하고, 상기 LED 모듈부(600)의 점등 및 점멸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7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2차 전지는 리튬폴리머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부(700)에는 과충전 보호, 과방전 보호 및 과전류 보호를 수행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뛰어나고, 낚시대용 전동릴의 전원을 고르게 공급하여 전동릴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며, 사용이 완료된 후 충전을 통한 재사용성이 우수하고, 전동릴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공급 이외에 야간에 랜턴, 실내등, 취침등으로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낚시 등 레져활동 중 발생되는 비상상황 내지는 차량의 고장으로 인한 비상상황시 비상등 및 고장표시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소형가전제품의 USB 충전방식을 통한 파워뱅크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여 전동릴 작동에 따른 전원공급과 다양한 부가기능을 통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의 저면에서 바라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가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의 저면에서 바라본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는 휴대성 및 이동성이 뛰어나고, 낚시대용 전동릴의 전원을 고르게 공급하여 전동릴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며, 사용이 완료된 후 충전을 통한 재사용성이 우수하고, 전동릴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공급 이외에 야간에 랜턴, 실내등, 취침등으로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낚시 등 레져활동 중 발생되는 비상상황 내지는 차량의 고장으로 인한 비상상황시 비상등 및 고장표시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소형가전제품의 USB 충전방식을 통한 파워뱅크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여 전동릴 작동에 따른 전원공급과 다양한 부가기능을 통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낚시대 전동릴의 +, - 단자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전지모듈(200), +, - 모듈 단자(300), 랜턴조명(400), USB 충전단자(500), LED 모듈부(600), 제어부(7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낚시대에 밴드에 의해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착용이 가능하도록 사각의 스틱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휴대를 위한 고리(10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전체 형상이 사각의 스틱형상을 취함으로써, 원통형의 낚시대에 밴드고정시 헛돌지 않고 밴드에 고정된 정위치에 고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단의 고리(102)를 통해 낚시대에 고정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허리나 가방 등의 견인고리 등에 의해 고정하여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보관이 안정적으로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전지모듈(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고, 전동릴의 +, -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다수개의 2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지모듈(200)의 2차 전지는 리튬폴리머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리튬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ies)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외부전원을 이용해 충전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인 '2차 전지'의 한 종류로 전해질 형태에 따라 리튬금속전지, 리튬이온전지, 리튬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리튬금속전지는 수명 및 안전성이 낮아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리튬이온전지가 개발되어 1991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상용화하였고, 이후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 대신 고체성분인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폴리머 전지가 개발 되어 차세대 2차 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리튬폴리머전지는 전해질이 고체 또는 젤 형태이기 때문에 불의의 사고로 전지가 파손되어도 전해질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아 발화하거나 폭발할 우려가 거의 없어 안정성이 확보되고, 에너지 효율도 리튬이온전지보다 높으며, 견고한 금속 외장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3mm이하 두께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무게도 30%이상 줄일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다. 특히 제조공정이 리튬이온전지에 비하여 비교적 쉬워, 대량생산 및 대형전지 제조가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리튬폴리머 전지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액체 전해질형 리튬이온 전지의 단점인 안전성 문제, 제조 비용의 고가, 대형 전지제조의 어려움, 고용량화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는 전지이다.
한편, 상기 +, - 모듈 단자(300)는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전동릴로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하단에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 - 모듈 단자(300)에 전선을 연결하여 전동릴과 전기적 결합이 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랜턴조명(400)은 상기 하우징(100) 상단에 내설되고, 야간에 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랜턴조명(400)의 전원은 앞서 상술한 전지모듈(20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이 가능하다.
상기 USB 충전단자(500)는 상기 +, - 모듈 단자(300)가 형성된 반대편측 하우징 하부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USB 충전단자(500)는 낚시 등의 야외 활동시, 스마트폰, MP3 등의 기기의 작동을 위한 충전을 위해 상기 전지모듈(200)의 전원을 USB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LED 모듈부(600)는 비상등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실내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랜턴조명(400)과 상기 USB 충전단자(500) 사이의 하우징 중앙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 및 점멸이 제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하우징(100) 일측면에 스위치(710)가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스위치(710)의 터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랜턴조명(400)과 상기 USB 충전단자(500) 및 상기 LED 모듈(600)로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을 제어하고, 상기 LED 모듈부(600)의 점등 및 점멸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에는 2차전지의 충전시, 과충전 보호, 과방전 보호 및 과전류 보호를 수행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는 기본적으로 전동릴에 전원의 공급과 함께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위치(710) 작동에 따라 제어부(700)는 랜턴조명(40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야간시 사용자의 안전보행 및 위치확인이 가능하고, 다시 사용자가 랜턴조명(400)을 차단하고, 스마트폰이나 기타 가전기기에 충전을 위해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충전단자(500)에 USB 케이블을 결합하여 스마트폰이나 기타 가전기기에 충전을 하도록 한다. 여기서, USB 충전단자(500) 주변으로 충전량을 후술되는 LED 모듈부(600)의 점등색깔 내지는 점등 갯수에 따라 표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710)를 터치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LED 모듈부(600)가 점등 및 점멸하도록 형성하여 실내등 및 비상등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는 전동릴에 공급되는 전원장치 이외에 랜턴, 실내등, 비상등, 충전을 위한 파워뱅크 기능을 다목적으로 수행이 가능하여 실외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최대로 제공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2 : 고리
200 : 전지모듈 300 : +, - 모듈 단자
400 : 랜턴조명 500 : USB 충전단자
600 : LED 모듈부 700 : 제어부
710 : 스위치

Claims (3)

  1. 낚시대 전동릴의 +, - 단자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에 있어서,
    낚시대에 밴드에 의해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착용이 가능하도록 사각의 스틱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휴대를 위한 고리(102)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고, 전동릴의 +, -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다수개의 2차 전지로 이루어진 전지모듈(200)과;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전동릴로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하단에 돌출형성되는 +, - 모듈 단자(300)와;
    상기 하우징(100) 상단에 내설되고, 야간에 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랜턴조명(400)과;
    상기 +, - 모듈 단자(300)가 형성된 반대편측 하우징 하부 측면에 형성된 USB 충전단자(500)와;
    상기 랜턴조명(400)과 상기 USB 충전단자(500) 사이의 하우징 중앙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 및 점멸이 제어되는 LED 모듈부(600)와;
    상기 하우징(100) 일측면에 스위치(710)가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스위치(710)의 터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지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랜턴조명(400)과 상기 USB 충전단자(500) 및 상기 LED 모듈(600)로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을 제어하고, 상기 LED 모듈부(600)의 점등 및 점멸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7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는 리튬폴리머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에는 과충전 보호, 과방전 보호 및 과전류 보호를 수행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KR1020140021656A 2014-02-25 2014-02-25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KR20150100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56A KR20150100185A (ko) 2014-02-25 2014-02-25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56A KR20150100185A (ko) 2014-02-25 2014-02-25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85A true KR20150100185A (ko) 2015-09-02

Family

ID=5424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656A KR20150100185A (ko) 2014-02-25 2014-02-25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01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219A (ko) 2018-06-08 2018-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두드림 패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16089B1 (ko) * 2022-06-30 2023-03-30 박성준 전원 공급장치가 구비된 낚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219A (ko) 2018-06-08 2018-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두드림 패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16089B1 (ko) * 2022-06-30 2023-03-30 박성준 전원 공급장치가 구비된 낚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58886A (ja) 充電式直流電源装置
CN208623377U (zh) 车辆应急启动电源
KR20120137813A (ko) 자전거용 다기능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150100185A (ko) 다기능 낚시대용 전동릴 전원장치
CN203800667U (zh) 一种手机移动式充电电源
KR101077947B1 (ko) 태양 전지 충전 장치가 갖추어진 배낭
CN102810894A (zh) 一种移动充电电源
CN106917977A (zh) 一种头灯
CN204578131U (zh) 一种汽车应急启动电源
KR101665884B1 (ko) 조명기능이 있는 휴대용 인력에 의한 관성발전 및 충전장치
CN204167978U (zh) 一种汽车应急启动电源
CN206977141U (zh) 一种多功能超级电容汽车应急启动电源
CN205212505U (zh) 输出单元可伸缩的充电宝
CN210669611U (zh) 一种超薄太阳能充电宝
CN204164696U (zh) 手提式太阳能led探照灯
CN203934716U (zh) 一种新型柔性电源腰带
CN203536989U (zh) 一种多功能移动电源
CN203489011U (zh) 一种远光手电筒
CN202712931U (zh) 多功能充电器
CN202513612U (zh) 移动充电器
CN202082641U (zh) 多功能太阳能呼救手电筒
CN204578132U (zh) 一种汽车应急启动电源
CN202812823U (zh) 便携式太阳能露营灯
CN210640700U (zh) 一种超高容的汽车应急启动电源装置
CN202906524U (zh) 一种便携式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