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598A -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598A
KR20150098598A KR1020150051950A KR20150051950A KR20150098598A KR 20150098598 A KR20150098598 A KR 20150098598A KR 1020150051950 A KR1020150051950 A KR 1020150051950A KR 20150051950 A KR20150051950 A KR 20150051950A KR 20150098598 A KR20150098598 A KR 20150098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block
blocks
board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자일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어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어키즈 filed Critical (주)아이디어키즈
Priority to KR1020150051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598A/ko
Publication of KR2015009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유의 좌표값을 갖는 복수의 게임블록 배치부; 상기 복수의 게임블록 배치부 각각에 위치하는 게임블록과 상기 게임블록 상에 올려지는 다른 게임블록,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을 인식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인식된 다른 게임블록,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근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게임블록 배치부는 상기 게임블록이 끼워지는 돌기부 및 상기 게임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제공된 맵 정보에 따른 게임블록의 배치, 상기 게임블록에 올려진 다른 게임블록의 적층정보, 상기 게임블록에 올려진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을 인식하여 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블록 게임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Digital block game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적 블록 게임에 가상 현실과 조립 블록 기능을 접목하여 실감나는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 게임(Board Game)은 판 위에 말이나 카드를 놓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진행하는 게임을 의미한다.
일례로, 보드 게임은 블루마블(blue Marble)과 같이 일정한 게임판(보드)를 두고 그 위에 몇 개의 말을 올려 정해진 규칙에 따라 진행되는 게임을 의미하며, 블록 게임은 사용자간 직접 대면하여 즐기기 때문에 주로 혼자 즐기게 되는 컴퓨터 게임과는 다른 몰입도와 사용자 경험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블록을 이용한 보드 게임은 게임을 위한 판이 종이 등으로 구현되므로 게임 스토리를 현실감 있게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의 내용을 수정 보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리적 블록 게임에 가상의 3차원 미러월드와 조립식 블록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유의 좌표값을 갖는 복수의 게임블록 배치부; 상기 복수의 게임블록 배치부 각각에 위치하는 게임블록과 상기 게임블록 상에 올려지는 다른 게임블록,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을 인식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인식된 다른 게임블록,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근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게임블록 배치부는 상기 게임블록이 끼워지는 돌기부 및 상기 게임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제공된 맵 정보에 따른 게임블록의 배치, 상기 게임블록에 올려진 다른 게임블록의 적층정보, 상기 게임블록에 올려진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을 인식하여 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블록 게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접속부는 +자 형상의 복수의 핀을 포함하며, 상기 게임블록의 하단에는 상기 +자 형상의 복수의 핀 중 어느 한 방향의 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 형상의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임블록은 상부에는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은 상기 게임블록의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프링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임블록은 스위치블록, 모터블록, 스피커블록 및 디스플레이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블록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블록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블록에는 NFC 태그를 포함하는 스킨이 장착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게임블록이 읽은 NFC 태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게임성, 몰입도, 상호 작용성, 응용성, 사회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를 이용한 게임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판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블록에 말블록이 올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블록에 아이템블록이 올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블록에 아이템블록이 올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블록 및 기둥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블록 상에 NFC 태그가 부착된 스킨을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를 이용한 게임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감형 블록 게임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0), 공통 스크린 장치(102), 모바일 단말(104) 및 보드 조립체(1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스크린 장치(102) 및 모바일 단말(104)은 사용자 단말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보드 조립체(특히, 보드판(110))과 근거리 통신하며 서비스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한 보드 조립체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로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에 속하는 공통 스크린 장치(102)와 보드판(110)은 근거리 통신하며, 공통 스크린 장치(102)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게임에 공통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앱스토어 서버(108)를 통해 게임 진행을 위한 아이템 정보, 맵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와 공통 스크린 장치(102) 및 모바일 단말(104)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망,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블루투스, WiFi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통 스크린 장치(102)는 서비스 서버(100) 및 보드 조립체(106)와 연동하여 블록 게임 진행과 관련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확인해야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태블릿 p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며 소정 사이즈의 스크린을 갖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공통 스크린 장치(102)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면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응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스크린 장치(102)와 보드 조립체(106)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블록 게임 서비스는 실제 물리 공간에 존재하는 보드 조립체(106)를 통한 복수의 사용자의 게임 행위가 서비스 서버(100), 공통 스크린 장치(102) 및 모바일 단말(104)을 통해 가상 공간과 연계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조립체(106)는 보드판(110), 복수의 게임블록(112), 말블록(114) 및 아이템블록(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블록(112)은 말블록(114) 또는 아이템블록(116)이 올려지는 블록으로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를 포함하고 있어 게임블록(112) 상에 올려진 말블록(114) 또는 아이템블록(116)을 인식하고 이의 식별정보를 보드판(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게임블록(112)이 높이 방향으로 올려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보드판(110)은 순차적으로 올려지는 게임블록(112)에 대한 식별정보 및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 복수의 게임블록(112) 각각이 어느 높이에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게임 시작에 앞서 서비스 서버(100)는 공통 스크린 장치(102)로 블록 게임을 위한 맵 정보 및 게임 스토리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맵 정보는 물리 공간에서 복수의 게임블록의 배치를 위한 정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판(110) 상에 배치되어야 하는 복수의 게임블록(112) 각각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블록은 미리 설정된 기능에 따라 시작블록, 이벤트블록, 트랩블록, 무빙블록, 선택블록, 퀴즈블록, 종료블록, 버튼 블록, 디스플레이블록, 모터블록, 스위치블록, 사운드블록, 진동블록, 보블록 및 기둥블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블록, 모터블록, 스위치블록, 사운드블록 등은 특수 구동블록으로 정의되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판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블록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드판(110)은 게임블록 배치부(200) 및 조형블록 배치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블록 배치부(200)는 게임블록(112)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고유 좌표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블록 배치부(200)는 게임블록(112)이 끼워지고 또한, 게임블록(112)과 접속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게임블록 배치부(200)는 돌기부(210) 및 접속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210)는 보드판(110)의 바닥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며, 게임블록(112)의 하단에 형성된 수용부(301)와 맞물린다.
접속부(212)는 게임블록(112)의 하단에 형성된 커넥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블록(112)의 커넥터(300)는 복수의 핀이 - 자 형태로 배치되며, 게임블록(112)이 어느 방향에 끼워지더라도 커넥터(300)와 접속부(212)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접속부(212)에서 복수의 핀(213)은 +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속부(212)는 +자 형상의 복수의 핀(213)을 포함하며, 게임블록(112)의 하단에는 +자 형상의 복수의 핀(213) 중 어느 한 방향의 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자 형상의 커넥터(300)가 형성된다.
조형블록 배치부(202)는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면서 보드판의 외주 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조형블록 배치부(202)는 기존에 널리 알려진 블록(예를 들어, 레고 블록)을 통해 데코레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게임블록(112)과 함께 조형블록을 배치함으로써 소정의 구조물 등을 형성하여 게임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판(110)은 보드판 연결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드판 연결부를 통해 복수의 보드판(110)을 연결하여 보드판(110)의 사이즈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드판(110)과 게임블록(112)은 접속부(212) 및 커넥터(300)를 통한 접점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00)는 게임블록(112)의 내부의 공간에는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302)로부터 연장되며, MCU(302)는 보드판(1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전원을 공급 받아 다른 블록의 인식 기능 및 인식된 블록에 관한 식별정보를 보드판(11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블록(112)의 상부에는 돌기부(304) 및 접속부(306)가 형성된다.
게임블록(112)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304)는 다른 게임블록(112)이 수직으로 올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수용부(306)는 다른 게임블록(1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해 형성된다.
보드판(110)과 마찬가지로 게임블록(112)의 상부에 형성된 접속부(306)의 복수의 핀은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블록(112)의 접속부(306)에는 말블록(114)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속부(306)는 게임블록(112)의 상부에서 단차를 가지면서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말블록(114)이 소정 깊이를 갖는 접속부(306)에 끼워지고, 말블록(114)의 하단에 형성된 커넥터(400)가 게임블록(112)의 상에 형성된 복수의 핀(307) 중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말블록(114)의 커넥터(400)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핀(포고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말블록(114)의 하단에 형성되는 커넥터는 도 3의 게임블록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임블록(112)의 MCU(302)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말블록(114)의 고유 저항값 또는 말블록(114)에 내장된 메모리로부터 읽은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말블록(114)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를 보드판(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블록과 아이템블록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블록(112)의 돌기부(304)에는 아이템블록(116)이 끼워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블록(116)의 하단에는 스프링핀(5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돌기부(304)에는 스프링핀(5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502)이 형성될 수 있다. 홈(502)에는 핀이 형성되어 스프링핀(5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304)의 일측에 접속부(600)가 형성되고, 아이템블록(116)의 하단에 커넥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보드판(110), 게임블록(112), 말블록(114) 및 아이템블록(116)의 결합 및 전기적 연결을 이용하여 미러월드 기반 체감형 블록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구동블록은 게임블록 중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블록으로서, 스위치 블록(700), 모터블록(702), 스피커블록(704) 및 디스플레이블록(70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블록(700)은 블록 상단에 버튼(710)이 구비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조립체(106)를 이용한 블록 게임에서 스위치를 누르는 미션이 주어져 사용자가 버튼(710)을 누르는 경우, 버튼 누름 정보가 스위치블록(700)과 연결된 보드판(110)에 전달된다.
모터블록(702)의 내부에는 모터(미도시)가 제공되며, 보드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보드판(110)의 제어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블록(702)에는 차단봉, 방향표시기와 같은 부수적인 기구가 결합될 수 있으며, 방향지시, 바람개비, 문 개방 여부, 자동문을 표현할 수 있다.
스피커블록(704)은 상단에 스피커 배치되며 게임 진행에 따라 소정 소리를 표현하거나 음계를 표현하는 블록으로서 보드판(110)의 제어에 따라 부저, 음계, 경고음 또는 멜로디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블록(706)은 상단에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블록으로서, 게임 진행에 따라 다양한 영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블록(706)을 통해 표정, 이벤트 영상, 동물 이미지, 방향지시, 설명글, 알파벳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특수블록은 LED 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LED 블록은 하나 이상의 LED가 장착되며, 소정 이벤트 발생 시 LED가 점멸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블록 및 기둥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과 같은 단일 게임블록(112)으로 표현할 수 없는 조형물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보블록(800)은 세로 방향으로 단일 게임블록(112)이 연속하여 형성되며, 기둥블록(802)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도 3과 같은 단일 게임블록(112)을 1×1 사이즈라 할 때, 보블록(800)은 3×1 또는 4×1 사이즈를 가질 수 있고, 기둥블록(802)는 1×3 사이즈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판(110)은 통신 모듈(900), 메인 컨트롤러(902), 인터페이스 모듈(904) 및 전원 모듈(9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 모듈(900)은 다른 장치(예를 들어, 공통 스크린 장치(102) 및 모바일 단말(104))와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900)은 공통 스크린 장치(102) 및 모바일 단말(104) 중 적어도 하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페어링 연결될 수 있다. 페어링 연결 과정 자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900)은 메인 컨트롤러(902)의 제어에 따라 페어링 연결된 공통 스크린 장치(102) 및 모바일 단말(104)로 게임블록(112)이 배치된 위치정보(즉, 좌표값)과 배치된 게임블록(112)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900)은 게임블록(112)의 위치정보, 식별정보 외에 높이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902)는 보드판(110) 상에 게임블록(112)이 배치되는 경우, 게임블록(112)에 전원을 공급하고, 게임블록(112)의 메모리(308)로부터 해당 게임블록(112)의 식별정보를 읽어오기 위한 수단이다.
보드판(110)에 게임블록(112)이 배치되는 것을 메인 컨트롤러(902)에 의해 감지되면, 메인 컨트롤러(902)는 통신 모듈(900)을 통해 배치가 감지된 게임블록(112)의 식별정보와 배치된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104) 및 공통 스크린 장치(102)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902)는 게임블록(112)에 올려지는 다른 게임블록(112), 말블록(114) 및 아이템블록(116)에 대한 식별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게임블록(112)의 상부에는 접속부(306)가 형성되며, 여기에 다른 게임블록(112) 또는 말블록(114)의 커넥터가 연결되기 때문에 보드판(110)의 메인 컨트롤러(902)는 보드판(110)에 바로 연결된 게임블록(112)을 경유하여 이의 상부에 올려진 게임블록(112) 또는 말블록(114)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902)는 게임블록(112)의 돌기부(304)에 결합되는 아이템블록(116)에 대한 식별정보도 수신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메인 컨트롤러(902)가 게임블록(112)의 메모리(308)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블록(112)을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홀 센서 방식, 저항 방식, 자석 방식 및 NFC 방식 등을 통해 게임블록(112)을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임블록(112)은 MCU를 포함하는 게임블록(910) 및 MCU를 포함하지 않는 더미블록(912)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블록(912)은 MCU를 포함하지 않고 저항성분만을 포함하며, 게임블록 적층에 의한 새로운 이미지 생성이 아닌, 게임블록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높이는 일반 블록의 1개 높이, 2개 높이 등을 하나의 더미블록(912)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가로 형태의 블록 2개, 3개 너비의 더미블록(912)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게임 블록(112)은 단일 사이즈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더미블록(912)은 다양한 높이 또는 너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아래의 두 개의 받치고 있는 블록의 인식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공통 스크린 장치(102)에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보드판(110)은 저항값 변화를 통해 더미블록(912)이 올려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904)은 전원 버튼 또는 LED 제어 스위치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경우, 보드판(110)의 메인 컨트롤러(902)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 컨트롤러(902)가 보드판(110)의 특정 개별격자에 배치된 게임블록(112)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LED 제어 스위치는 하나 이상의 LED와 연결되어 보드판(110)의 전원이 온(On) 되었는지 여부 및 현재 블록 인식(스캔) 중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 적색, 녹색, 청색의 on/off 상태를 각기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NFC 태그를 이용하여 게임블록(112) 등에 다양한 속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가 부착된 스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단어 또는 색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스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킨(1000)에는 게임블록(112)의 돌기부(210)에 끼워질 수 있는 홈(1002)이 형성되며, 스킨 내부에는 NFC 태그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블록(112)의 내부에는 NFC 리더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NFC 리더는 MCU(302) 내에 기능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게임블록(112)에 "ant"라는 스킨을 결합시키는 경우, 해당 스킨이 장착된 게임블록(112)을 보드판(110)에 끼우는 경우, 보드판(110)은 게임블록(112)이 읽은 스킨의 NFC 태그를 공통 스크린 장치(102)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공통 스크린 장치(102)에는 개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일한 게임블록(112)에 dog라는 새로운 스킨을 장착하는 경우, 게임블록(112)이 읽는 태그 정보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 공통 스크린 장치(102)는 강아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판(110)에 알파벳을 배치하는 경우, 공통 스크린 장치(102)가 알파벳의 조합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 o, g 각각의 스킨이 장착된 게임블록(112)을 순차적으로 보드판(110)에 배치하는 경우, 보드판(110)은 게임블록(112)의 식별정보와, 게임블록(112)이 올려진 순서 또는 배치된 위치정보를 공통 스크린 장치(102)로 전송하며, 공통 스크린 장치(102)는 dog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공통 스크린 장치(102)는 알파벳이 아니라, 소정 단어를 배치하는 경우, 단어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문장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04)에 NFC 리더를 포함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4)은 NFC 태그를 읽을 수 있고, NFC 태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

  1. 고유의 좌표값을 갖는 복수의 게임블록 배치부;
    상기 복수의 게임블록 배치부 각각에 위치하는 게임블록과 상기 게임블록 상에 올려지는 다른 게임블록,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을 인식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인식된 다른 게임블록,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근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게임블록 배치부는 상기 게임블록이 끼워지는 돌기부 및 상기 게임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제공된 맵 정보에 따른 게임블록의 배치, 상기 게임블록에 올려진 다른 게임블록의 적층정보, 상기 게임블록에 올려진 말블록 또는 아이템블록을 인식하여 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블록 게임 장치.
KR1020150051950A 2015-04-13 2015-04-13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KR20150098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50A KR20150098598A (ko) 2015-04-13 2015-04-13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50A KR20150098598A (ko) 2015-04-13 2015-04-13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472A Division KR101539887B1 (ko) 2014-02-20 2014-02-20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598A true KR20150098598A (ko) 2015-08-28

Family

ID=5405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950A KR20150098598A (ko) 2015-04-13 2015-04-13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85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323A (ko) * 2016-12-07 2018-06-19 (주)모션블루 블록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20180087288A (ko) * 2015-10-13 2018-08-01 주식회사 토이스미스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KR101957316B1 (ko) * 2017-11-28 2019-03-13 서지원 입체원목모형을 이용한 학습교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124100B1 (ko) 2019-05-20 2020-06-17 주식회사 글로벌코딩연구소 코딩 교육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288A (ko) * 2015-10-13 2018-08-01 주식회사 토이스미스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KR20180066323A (ko) * 2016-12-07 2018-06-19 (주)모션블루 블록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1957316B1 (ko) * 2017-11-28 2019-03-13 서지원 입체원목모형을 이용한 학습교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124100B1 (ko) 2019-05-20 2020-06-17 주식회사 글로벌코딩연구소 코딩 교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6266B (zh) 智能积木游戏装置、智能积木游戏的控制方法及系统
CA2963298C (en) Game system
US93334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nterconnecting blocks as input and output for electronic devices
KR20150098598A (ko)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CN113262506B (zh) 编码玩具、块、平台、形象体玩具以及编码方法
CN205363920U (zh) 一种智能儿童娱乐互动机器人
US20150321089A1 (en) A novel toy console and methods of use
EP3228370A1 (en) Puzzle system interworking with external device
US20160287979A1 (en) A Modular Connected Game Board System and Methods of Use
US9636576B2 (en) Gaming system and gaming device
EP315696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dart game match mode
EP3593406B1 (en) Interactive digital platform device and method
KR101502271B1 (ko) 3차원 디지털 보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53185A (ko) 동작카드를 이용한 블록완구 동작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3752022A (zh) 一种套圈玩具
KR101427377B1 (ko) 미러월드 기반 체감형 디지털 보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39887B1 (ko)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KR101458298B1 (ko) 체감형 보드 게임 장치
KR101708862B1 (ko) 디지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사물 인터넷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613740A (zh) 游戏单元
KR102217829B1 (ko) 놀이시설용 태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그 인식 방법
KR102000673B1 (ko) 상호작용 가능한 블록 도구
KR101356880B1 (ko) 물리적 매개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음성 통신 장난감
CN112619122B (zh) 一种电子桌游系统
KR20160133744A (ko)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