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744A -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744A
KR20160133744A KR1020150066666A KR20150066666A KR20160133744A KR 20160133744 A KR20160133744 A KR 20160133744A KR 1020150066666 A KR1020150066666 A KR 1020150066666A KR 20150066666 A KR20150066666 A KR 20150066666A KR 20160133744 A KR20160133744 A KR 20160133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kin member
user terminal
mobile application
smart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584B1 (ko
Inventor
신경철
박성주
강복현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로봇
Priority to KR102015006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5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은 외형 또는 기능이 다른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스마트 토이; 및 상기 스킨 부재의 결합 또는 교체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토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ADAPTIVE SMART TOY SYSTEM AND CONFIG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토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형 또는 기능이 다른 스킨 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외 시장의 토이 트랜드는 스마트, 디지털, 교육이 결합된 스마트 토이로, 그 성장세가 연평균 30% 육박하는 고성장 분야이다. 이러한 스마트 토이는 조종기 대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장난감을 제어하는 완구로, 최근 어린이들이 스마트 기기에 익숙해지면서 이런 종류의 상품들이 대거 출시되고 있다.
스마트 토이는 보통 스마트 기기와 무선으로 연동되는 부분, 토이 자체를 구동하기 위한 부분으로 크게 구성되어 일반적으로 보통 토이보다 가격이 비싼편이지만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어린이들이 늘면서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토이의 주 사용자인 아이들은 호기심이 많이 쉽게 싫증을 내는 경향이 있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스마트 토이에 대한 재활용의 여지가 전혀 없다. 따라서, 아이가 싫증이 날 경우, 가지고 놀던 스마트 토이를 버리고 새로운 스마트 토이를 다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부모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다.
최근 해외 시장의 토이 트랜드는 스마트, 디지털, 교육이 결합된 스마트 토이로, 그 성장세가 연평균 30% 육박하는 고성장 분야이다. 이러한 스마트 토이는 조종기 대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장난감을 제어하는 완구로, 최근 어린이들이 스마트 기기에 익숙해지면서 이런 종류의 상품들이 대거 출시되고 있다.
스마트 토이는 보통 스마트 기기와 무선으로 연동되는 부분, 토이 자체를 구동하기 위한 부분으로 크게 구성되어 일반적으로 보통 토이보다 가격이 비싼편이지만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어린이들이 늘면서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토이의 주 사용자인 아이들은 호기심이 많이 쉽게 싫증을 내는 경향이 있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스마트 토이에 대한 재활용의 여지가 전혀 없다. 따라서, 아이가 싫증이 날 경우, 가지고 놀던 스마트 토이를 버리고 새로운 스마트 토이를 다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부모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은 외형 또는 기능이 다른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스마트 토이; 및 상기 스킨 부재의 결합 또는 교체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토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토이는 상기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됨에 따라 상기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마트 토이로부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마트 토이로부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은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스마트 토이가 갖는 공통적인 구조로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어 기 설정된 외형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킨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상기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되면,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한 상기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면, 상기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장치는 제공한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결합 수단; 및 상기 스킨 부재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결합 수단과 결합되는 제2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킨 부재는 장착된 상기 제2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결합 수단에 물리적으로 부착되거나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면,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수의 스마트 토이가 갖는 공통적인 구조로 형성된 프레임 부재에 기 설정된 외형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킨 부재가 결합되는 단계;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한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상기 스킨 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외형 또는 기능이 다른 스킨 부재가 교체되면 교체된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제공하여 제공한 스킨 부재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스킨 부재의 교체만으로 새로운 스마트 토이의 구매 효력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킨 부재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개발만으로도 토이 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 토이의 개발시간 및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응형 스마트 토이가 활성화되면 이에 관련된 업체들의 참여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스마트 토이 시장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수단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의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외형 또는 기능이 다른 스킨 부재가 교체되면 교체된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제공하여 제공한 스킨 부재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은 스마트 토이(100), 사용자 단말(200), 및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토이(100)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조작에 따라 구동 될 수 있는 토이로서, 프레임 부재에 외형 또는 기능이 다른 스킨 부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스킨 부재는 물리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부재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마트 토이(100)는 전원이 온(on) 되거나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되는 경우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토이(100)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토이(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동에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획득된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LAN(Wireless LAN)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토이(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라 스마트 토이(100)를 구동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토이로부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토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식별 정보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되고, 제2 식별 정보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일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 설정된 기능을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제2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기능만을 활성화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서버(30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식별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제1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검색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스마트 토의의 스킨 부재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와 그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스마트 토이의 구동에 따라 제공 받은 점수를 기반으로 아이들의 성향이나 발달 정도를 산출하여 그 산출한 결과를 부모들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토이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토이(100)는 프레임 부재(110), 제1 결합 수단(120), 스킨 부재(130), 제2 결합 수단(140), 및 제어 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10)는 스마트 토이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몸체로서, 외형 또는 기능이 다른 다수의 스마트 토이가 갖는 공통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수단(120)은 프레임 부재(1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스킨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스킨 부재(130)는 프레임 부재(110)에 결합되어 기 설정된 외형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킨 부재(130)는 사용자의 놀이 성향에 따라 서로 다른 외형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변경하도록 프레임 부재(1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마트 토이의 외형 또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스킨 부재가 결합되고 제2 스마트 토이의 외형 또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스킨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킨 부재(130)에는 식별을 위한 별도의 제1 식별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스킨 부재(130)에 장착된 기능 소자에는 제2 식별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스킨 부재(13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 소자 예컨대,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 부재(130)는 물리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킨 부재는 결합 방식뿐 아니라 스마트 토이의 높이, 너비 등 기구적 특성뿐 아니라 전원 스위치, 충전 전원 스위치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제2 결합 수단(140)은 스킨 부재(130)의 일측에 장착되어 프레임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 수단(140)은 제1 결합 수단(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프레임 부재에 스킨 부재가 결합되어 특정 외형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캐릭터가 되며 스킨 부재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캐릭터 변경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제어 수단(150)은 스킨 부재(130)가 결합 또는 교체되는 경우 교체된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수단(150)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감지 수단을 통해 감지된 센싱값을 획득하여 그 획득된 센싱값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수단(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놀이가 레이싱 게임인 경우, 지정된 경로를 주행하는 동작, 주행 중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템을 획득하고 사용하는 동작 등에 관련된 센싱값을 획득한다. 이러한 센싱값은 놀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획득하게 되는 점수를 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수단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수단(150)은 근거리 통신부(151), 구동부(152), 감지부(153), 저장부(154), 및 제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각종 데이터 예컨대, 제어 명령, 센싱값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 토이를 구동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다수의 감지 수단으로 구성되어 구동에 따라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130)는 레이싱 게임인 경우 지정된 경로를 주행하는 중에 경계선을 벗어났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이나 주행 경로 상에 놓인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템을 획득하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감지부(130) 내 감지 수단에 의해 획득한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부를 구동 시키고 그 구동에 따라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센싱값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스마트 토이의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되는 경우 교체된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근거리 통신부(220), 입력부(230), 제어부(240), 표시부(250), 저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각종 데이터 예컨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스마트 토이와 각종 데이터 예컨대, 제어 명령, 제1 식별 정보, 제2 식별 정보, 및 센싱값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른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24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라 스마트 토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스마트 토이로부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제1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제1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 설정된 기능을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활성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라 스마트 토이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그 동작에 따라 감지된 센싱값을 기반으로 점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점수를 서비스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점수는 아이의 성향이나 발달 지수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25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뿐 아니라 식별 정보, 센싱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의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토이는 전원이 온(on) 되거나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되는 경우(S501)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할 수 있다(S502).
다음으로, 스마트 토이는 검출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50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토이로부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1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504).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은 그 확인한 결과로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S505).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 등록된 기능을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활성화/비활성화를 설정한 후(S506)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S507).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토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라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을 스마트 토이(100)에 제공할 수 있다(S508).
다음으로, 스마트 토이(100)는 제공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S509).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토이
200: 사용자 단말
300: 서비스 서버

Claims (13)

  1. 외형 또는 기능이 다른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스마트 토이; 및
    상기 스킨 부재의 결합 또는 교체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토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토이는,
    상기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됨에 따라 상기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마트 토이로부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결과로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마트 토이로부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5.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스마트 토이가 갖는 공통적인 구조로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어 기 설정된 외형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킨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상기 스킨 부재가 결합 또는 교체되면,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한 상기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면, 상기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제공한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결합 수단; 및
    상기 스킨 부재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결합 수단과 결합되는 제2 결합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부재는,
    장착된 상기 제2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결합 수단에 물리적으로 부착되거나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면,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11. 다수의 스마트 토이가 갖는 공통적인 구조로 형성된 프레임 부재에 기 설정된 외형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킨 부재가 결합되는 단계;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한 상기 스킨 부재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상기 스킨 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스킨 부재의 제1 식별 정보와 그 스킨 부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의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모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KR1020150066666A 2015-05-13 2015-05-13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KR10168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666A KR101680584B1 (ko) 2015-05-13 2015-05-13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666A KR101680584B1 (ko) 2015-05-13 2015-05-13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744A true KR20160133744A (ko) 2016-11-23
KR101680584B1 KR101680584B1 (ko) 2016-11-29

Family

ID=5754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666A KR101680584B1 (ko) 2015-05-13 2015-05-13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051A (ko) * 2017-04-14 2018-10-24 주식회사 그레이포인트 스마트 큐브,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438A (ko) 2018-01-08 2019-07-17 강소영 상호교감형 아트토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051A (ko) * 2017-04-14 2018-10-24 주식회사 그레이포인트 스마트 큐브,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584B1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9785B (zh) 游戏系统
US20210283524A1 (en) Toy
US20110199194A1 (en) Programmable device and programming method
US20160184724A1 (en) Dynamic App Programming Environment with Physical Object Interaction
US93610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oftware development kit to enable configuration of virtual counterparts of action figures or action figure accessories
US20150321089A1 (en) A novel toy console and methods of use
US20050088302A1 (en) Radio frequency object locator system
EP3286718A1 (en) Context-aware digital play
CN106794378B (zh) 用于游戏件的存储和充电设备
EP3085422B1 (en) Game board
EP3593406B1 (en) Interactive digital platform device and method
JP2008279165A (ja) 玩具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85401B1 (ko) 스마트 토이 및 그 서비스 시스템
US20190289822A1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20220100281A1 (en) Managing states of a gesture recognition device and an interactive casing
KR101680584B1 (ko) 적응형 스마트 토이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KR20160026522A (ko) 조립 완구
US97034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performing information processing using non-contact communication with a data storage medium
US20090033470A1 (en) Apparatus for robot behavior series control based on rfid technology
KR102323488B1 (ko) 디지털 그림 그리기 장치 및 디지털 그림 그리기 방법
KR20160026523A (ko)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KR101356880B1 (ko) 물리적 매개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음성 통신 장난감
KR20190089540A (ko) 인형을 이용한 동물 키우기 게임 장치 및 방법
JP2021068385A (ja) 行動推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33743A (ko) 스마트 토이 기반 놀이 지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