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288A -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7288A KR20180087288A KR1020187016761A KR20187016761A KR20180087288A KR 20180087288 A KR20180087288 A KR 20180087288A KR 1020187016761 A KR1020187016761 A KR 1020187016761A KR 20187016761 A KR20187016761 A KR 20187016761A KR 20180087288 A KR20180087288 A KR 201800872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ommunication connection
- external device
- pairing
- wireless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는,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페어링 블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메인 블록; 및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필요한 통신연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상기 메인 블록에 제공하는 페어링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페어링 블록이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페어링 블록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장치와의 페어링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자 입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플러그 인 플레이 방식의 블록들을 이용한 무선 통신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테플릿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다른 기기들과 통신하기 위해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는 통신 연결된 다른 기기들과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나아가 상기와 같은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을 지원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IoT 기술은 전자 장치와 다른 기기들이 통신 연결을 수립하 위한 페어링 동작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페어링 동작은 전자 장치와 다른 기기간의 신호 탐색, 식별 정보 검색, 인증 등의 다양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페어링 동작에서, 전자 장치의 화면 및 입력 수단 등을 통해 페어링 할 다른 기기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기기들에 대한 페어링 요청을 입력한다. 또한, 전자 장치 및 다른 기기들에서는 이와 같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인증 과정(예: 비밀번호 입력)을 거치고 있다.
종래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와 같은 다른 기기들과의 페어링 동작 또는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반복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다.
또한, 페어링을 하기 위한 검색 과정에서 표시되는 외부 장치들의 식별 정보들은 영어 알파벳 또는 숫자의 불규칙적인 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사용자들은 표시되는 식별 정보들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가 어떤 것인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나아가, 종래 전자 장치에서 페어링을 하기 위한 메뉴를 찾는 과정은, 해당 전자 장치의 기능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는 이상 단시간 내에 찾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 입력을 대체할 수 있는 플러그 인 방식의 블록들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는,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페어링 블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메인 블록; 및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필요한 통신연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상기 메인 블록에 제공하는 페어링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페어링 블록이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페어링 블록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에서,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페어링 블록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통신연결 정보만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에서, 상기 무선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제트웨이브(Z-WAVE)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에서, 상기 페어링 블록에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UUID 정보, 상기 외부 장치의 맥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에서, 상기 메인 블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페어링 블록과 접속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페어링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는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페어링 블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메인 블록;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필요한 통신연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 연결을 수립하며,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메인 블록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는 페어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에서, 상기 무선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제트웨이브(Z-WAVE)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페어링 블록에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UUID 정보, 상기 외부 장치의 맥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에서, 상기 메인 블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페어링 블록과 접속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페어링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는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페어링 블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메인 블록; 및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통신연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상기 메인 블록에 제공하는 페어링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가 방송하는 신호 중 상기 페어링 블록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통신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가 방송하는 신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BLE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BLE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페어링 블록과 메인 블록의 조립 동작만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IoT 기반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예: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블록이 가지는 통신연결 정보가 특정 외부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특정 외부 장치를 검색하는 불필요한 동작 없이도 직접 외부 장치와 통신연결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페어링 블록이 가지는 통신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외부 장치들에서 방송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불필요한 정보를 페어링 블록을 통해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과 페어링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언급하는 “통신연결 정보”는 메인 블록(100) 또는 페어링 블록(200)이 외부 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연결 정보는 특정 통신 방식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통신 방식의 경우, 통신연결 정보는 WIFI 모듈 정보(예: WIFI의 종류 정보, 주파수 정보 등), 외부 장치(300)의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 정보 또는 외부 장치(300)맥 어드레스(Mac Address) 정보와 같은 외부 장치(300)의 식별 정보, 및 WIFI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가 포함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WIFI 통신 방식의 경우, 통신연결 정보는 상기 AP의 맥 어드레스 정보와 같은 AP의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경우, 통신연결 정보는 블루투스 모듈 정보(블루투스의 종류 정보, 주파수 정보 등), 외부 장치(300)의 UUID 정보 또는 외부 장치(300)의 맥 어드레스 정보와 같은 외부 장치(300)의 식별 정보, 및 블루투스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의 경우, 통신연결 정보는 BLE 모듈 정보(예: 블루투스 4.0 방식과 관련된 모듈 정보, 주파수 정보 등), 외부 장치(300)의 UUID 정보 또는 외부 장치(300)의 맥 어드레스 정보와 같은 외부 장치(300)의 식별 정보, 및 BLE 통신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블록(200)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300)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1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연결 장치(1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100)과 페어링 블록(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 블록(100) 및 페어링 블록(200)은 레고(LEGO™) 블록 등과 같이 상호 조립될 수 있는 블록 형태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블록(1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페어링 블록(200)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블록(1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페어링 블록(200)과 접속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1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페어링 블록(2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150)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150)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은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연결 장치는 DIY(Do-It-Yourself) 방식의 직관적인 조립만으로 전원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를 통해, 페어링 블록(200)이 메인 블록(100)에 플러그 인(예: 접속)되면, 메인 블록(100)은 페어링 블록(200)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페어링 블록(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메인 블록(100)은 페어링 블록(200)으로부터 통신연결 정보(210)를 수신하여 통신 연결할 외부 장치(300)를 인식하고, 인식된 외부 장치(300)와 통신연결(예: 페어링)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연결과 관련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100)의 돌기(15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 블록(1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150)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며, 이러한 핀은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로 소자일 수 있다. 돌기 확대 영역(150_1)을 참조하면, 핀은 예를 들어, 데이터 핀(data pin), Vcc 핀, GND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페어링 블록(200)의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메인 블록(100)의 적어도 하나의 핀과 접촉될 수 있는 전자 소자 또는 전자 소자가 내장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100) 및 페어링 블록(200)은 브릭 형태로 조립될 수 있으며, 조립된 메인 블록(100) 및 페어링 블록(200)은 내장된 전기적 구성(예: 핀, 회로 모듈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상호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메인 블록(100) 및 페어링 블록(2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무선통신 모듈 및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록(100) 또는 페어링 블록(200)의 프로세서는, 메인 블록(100) 또는 페어링 블록(200)의 전원 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메인 블록(100) 또는 페어링 블록(2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록(100) 또는 페어링 블록(200)의 무선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모듈들을 통해 지원되는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제트웨이브(Z-WAVE)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록(100) 또는 페어링 블록(200)의 전원부는 메인 블록(100) 또는 페어링 블록(200)에 배터리(battery)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예를 들어, 메인 블록(100)의 전원부는 AC 또는 DC 전원을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공급받아 페어링 블록(200)에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페어링 블록(200)은 메인 블록(100)의 전원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포함된 전원부(예: DC전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페어링 블록(200)의 메모리는 통신연결 정보(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블록(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210)를 메인 블록(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블록(100)의 메모리는 상기 수신된 통신연결 정보(210)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300)와의 통신연결 시 상기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신연결 정보(210)는 메인 블록(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고 프로세서에 의해 바로 인식되거나 버퍼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구성들은 이하의 도 3 내지 도 5의 구성들에 공통적으로 또는 적어도 일부로서 각 도면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메인 블록(100) 및 페어링 블록(200)을 기반으로 외부 장치(300)와 통신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01)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01)은 메인 블록(100), 페어링 블록(200) 및 외부 장치(300)를 포함하며, 메인 블록(100)과 외부 장치(300)는 페어링 블록(200)의 지원 하에 무선통신(400) 연결(예: 페어링)을 수립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블록(100) 및 페어링 블록(200)은 무선통신 연결 장치(10)로 통칭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0)는 IOT 기반의 디바이스, 예컨대, 현관문에 포함된 센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300)은 메인 블록(100) 또는 페어링 블록(200)과 통신 연결 또는 데이터 송/수신 동작 수행을 위해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300)의 무선통신 모듈은 전술한 메인 블록(100) 또는 페어링 블록(200)의 무선통신 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300)의 무선통신 모듈은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및 Z-WAV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300)는 IoT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및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300)의 센서는 예를 들어, 가스 센서, 도어 락 센서, 심박 센서 및 생명 유지 관련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300)는 IoT 플랫폼에서 제어되기 위한 타겟 장치로서, 한정되지 않는 예를 들면, CCTV 카메라, 가정용 로봇,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냉장고, 정수기, TV 등의 가전 제품, 의료 기기, 가구, 건물/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01)은, 페어링 블록(200)이 사용자에 의해 메인 블록(100)에 플러그 인(예: 삽입) 되면, 메인 블록(100)은 페어링 블록(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페어링 블록(200)으로부터 통신연결 정보(210)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페어링 블록(200)이 메인 블록(100)에 삽입됨에 따라, 메인 블록(100)은 페어링 블록(200)으로부터 제공되는 통신연결 정보(210)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300)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메인 블록(100)은 인식된 외부 장치(300)와 무선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300)의 인식 또는 통신연결을 페어링 블록(200)고 메인 블록(100)이 접속됨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페어링 블록(200)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메인 블록(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수용하여 메인 블록(200)과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블록(200)은 메인 블록(100)에 삽입됨에 따라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210)를 적어도 하나의 홈에 포함된 핀을 통해 메인 블록(1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또는 돌기에 포함된 핀)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연결 정보(210)가 메인 블록(100)에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메인 블록(100)은 수신된 통신연결 정보(210)에 포함된 외부 장치(300)의 UUID 정보 또는 외부 장치(300)의 맥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 또는 확인하여 외부 장치(300)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블록(100)과 외부 장치(300)는 상호간의 식별 정보를 문의하거나 이에 응답하는 쿼리 및 응답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쿼리 및 응답 신호의 송/수신은 예컨대,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공지의 일반적인 기술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특정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인 블록(100)은 통신연결 정보(210)에 포함된 외부 장치(300)의 인증 정보를 통해 외부 장치(300)와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동작 수행이 완료됨에 따라, 메인 블록(100)은 외부 장치(300)와 통신 연결(예: 페어링)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수행 동작 또한, WIFI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등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정 인증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메인 블록(100) 및 외부 장치(300)간의 통신 연결 동작 및 인증 수행 동작은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페어링 블록(200)과 메인 블록(100)의 조립 과정만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01)이 인프라스트럭쳐 WIFI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01)은 메인 블록(100)가 외부 장치(300)간의 통신 중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연결 정보(21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블록(100)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연결 정보(210)를 페어링 블록(200)으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의 중개 하에 외부 장치(300)와 통신연결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01)은 복수개의 외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페어링 블록(200)은 복수개의 외부 장치들 중 특정 외부 장치에 대한 통신연결 정보(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블록(100)과의 접속에 반응하여 상기 특정 외부 장치에 대한 통신연결 정보(210)를 상기 메인 블록(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메인 블록(100)은 상기 특정 외부 장치에 대한 통신연결 정보(210)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들 중 특정 외부 장치를 식별하여 통신할 수 있다. 페어링 블록(200)에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210)는 특정 외부 장치(300)의 식별 정보 등을 가지고 있으므로, 페어링 블록(200)과 특정 외부 장치(300)는 하나의 셋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3과 같은 구성 및 구성들에 의해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외부 장치(300)와 통신연결 하기 위해 별도의 정보를 입력하는 동작 없이, 메인 블록(100)과 페어링 블록(200)의 직관적인 조립만으로 통신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페어링 블록(200)을 메인 블록(100)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사용자는 특정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을 간편하게 수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01)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개시되는 내용 중 도 3의 구성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으며, 도 4의 메인 블록(100), 페어링 블록(200) 및 외부 장치(300)의 구성은 도 3의 메인 블록(100), 페어링 블록(200) 및 외부 장치(300)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4의 메인 블록(1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페어링 블록(200)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블록(200)은 외부 장치(300)와의 통신 연결에 필요한 통신연결 정보(210)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메인 블록(10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연결 정보(210)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300)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 블록(200)의 홈과 메인 블록(100)의 돌기(150)가 접속되면, 페어링 블록(200)은 상기 홈과 돌기(150)에 포함된 핀을 통해 메인 블록(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페어링 블록(200)은 상기 인식된 외부 장치(300)와 무선통신 연결을 수립하며, 상기 외부 장치(300)와 상기 메인 블록(1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실시예와 다르게,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페어링 블록(200)과 외부 장치(300)간의 무선통신 연결이 수립된다. 이 경우, 페어링 블록(200)은 외부 장치(300)와 통신 연결하여 메인 블록(100)과 외부 장치(300)간의 무선통신을 중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메인 블록(100)은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은 페어링 블록(200)과 외부 장치(300)에만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블록(100)은 페어링 블록(200)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을 경유하여 외부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어링 블록(200)이 메인 블록(100)에 플러그 인(예: 삽입)되면, 페어링 블록(200)은 자체 전원 또는 메인 블록(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무선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면, 페어링 블록(200)은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210)를 확인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300)와 무선통신(4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400)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며, 이러한 근거리 통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제트웨이브(Z-WAVE)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페어링 블록(200)에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210)는, 상기 외부 장치(300)의 UUID 정보, 상기 외부 장치(300)의 맥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300)와 관련된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 블록(200)과 외부 장치(300)가 무선통신 연결(예: 페어링)되면, 페어링 블록(200)은 무선통신(400)을 통해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메인 블록(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페어링 블록(200)은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홈에 포함된 핀을 통해 메인 블록(1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에 포함된 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블록(200)은 메인 블록(100)으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300)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핀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무선 통신(400)을 통해 외부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특히 메인 블록(100)이 별도의 무선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모듈 등)을 포함하지 않을 때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블록(100)이 대체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기본 통신 모듈만을 포함하고 있을 때, 블루투스 모듈 등을 포함하는 페어링 블록(200)을 경유하여 외부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의 실시예 또한, 페어링 블록(200)과 외부 장치(300)간의 인증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외부 장치들 중 특정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원리는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페어링 블록(200)에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210)는 특정 외부 장치(300)의 식별 정보 등을 가지고 있으므로, 페어링 블록(200)과 특정 외부 장치(300)는 하나의 셋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01)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개시되는 내용 중 도 3 및 도 4의 구성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으며, 도 5의 메인 블록(100), 페어링 블록(200) 및 외부 장치(300)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의 메인 블록(100), 페어링 블록(200) 및 외부 장치(300)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01)은, 메인 블록(1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페어링 블록(200)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블록(200)은 외부 장치(300)와의 통신 연결에 필요한 통신연결 정보(210)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메인 블록(10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연결 정보(210)를 상기 메인 블록(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메인 블록(100)은, 복수의 외부 장치(310, 320, 330)가 방송하는 신호 중 상기 페어링 블록(20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통신연결 정보(210)에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들과 달리, 도 5의 실시예에서, 제1 외부 장치(310), 제2 외부 장치(320) 및 제3 외부 장치(330)와 같은 복수의 외부 장치들은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을 포함하는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외부 장치들은 블루투스 4.0(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저전력 블루투스 비콘 방식이 적용되기 위한 BLE 송/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전력 블루투스 비콘 기술은 블루투스 신호를 활용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디바이스(예: 메인 블록(100))가 비콘(예: 외부 장치)을 인식하도록 비콘에서 BLE 패킷을 포함하는 신호를 방송하는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블록(100)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BLE 패킷을 포함하는 신호를 확인 또는 수신할 수 있는 BLE 송/수신 모듈(예: BLE 스캐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블록(100)은 페어링 블록(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연결 정보(210)를 기반으로 복수의 외부 장치(310, 320, 330)가 방송하는 신호(예: BLE 패킷) 중 상기 페어링 블록(20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통신연결 정보(210)에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 블록(200)으로부터 제공된 통신연결 정보(210)가 제2 외부 장치(32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메인 블록(100)은 복수의 외부 장치(310, 320, 330)가 방송하는 신호들 중 제2 외부 장치(320)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연결 정보(210)에는 제2 외부 장치(320)의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외부 장치(320)에서 방송되는 BLE 패킷 신호와 연관 또는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러한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외부 장치(320)가 방송되는 신호에는 BLE 패킷 신호뿐 아니라, 제2 외부 장치(32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블록(100)은 통신연결 정보(210)를 참조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310, 320, 330)에서 방송되는 신호들 중 제2 외부 장치(320)에서 방송되는 BLE 패킷 신호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블록(100)은 통신연결 정보(210)를 기반으로 특정 BLE 패킷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것 이외에, 상기 BLE 패킷을 전송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예: 페어링)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블록(200)에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210)는 특정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장치(320))의 식별 정보 등을 가지고 있으므로, 페어링 블록(200)과 특정 외부 장치(300)는 하나의 셋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별도의 입력 없이 메인 블록(100)과 페어링 블록(200)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다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정보들 중 특정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상술한 블록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페어링 블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메인 블록; 및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필요한 통신연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상기 메인 블록에 제공하는 페어링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페어링 블록이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페어링 블록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무선통신 연결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페어링 블록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통신연결 정보만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제트웨이브(Z-WAVE)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블록에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UUID 정보, 상기 외부 장치의 맥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통신 연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페어링 블록과 접속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페어링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페어링 블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메인 블록;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필요한 통신연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 연결을 수립하며,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메인 블록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는 페어링 블록;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제트웨이브(Z-WAVE)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페어링 블록에 미리 저장된 통신연결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UUID 정보, 상기 외부 장치의 맥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통신 연결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페어링 블록과 접속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페어링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통신 연결 장치. -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페어링 블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메인 블록; 및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통신연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메인 블록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연결 정보를 상기 메인 블록에 제공하는 페어링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록은, 복수의 외부 장치가 방송하는 신호 중 상기 페어링 블록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통신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가 방송하는 신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록은 상기 BLE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BLE 스캐너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5/010754 WO2017065327A1 (ko) | 2015-10-13 | 2015-10-13 |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7288A true KR20180087288A (ko) | 2018-08-01 |
KR102115750B1 KR102115750B1 (ko) | 2020-05-27 |
Family
ID=5851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6761A KR102115750B1 (ko) | 2015-10-13 | 2015-10-13 |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5750B1 (ko) |
WO (1) | WO201706532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22565A1 (ko) | 2017-07-27 | 2019-01-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기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5545A (ko) * | 2020-06-16 | 2021-1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페어링된 장치 정보에 기반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09217A (ja) * | 2009-11-13 | 2011-06-02 | Panasonic Corp | 無線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無線lanアダプタ |
KR20150098598A (ko) * | 2015-04-13 | 2015-08-28 | (주)아이디어키즈 |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5025B1 (ko) * | 2011-05-25 | 2012-12-24 | 주식회사 유아이디에스 | 스마트폰과 접속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465522B1 (ko) * | 2013-03-26 | 2014-11-26 | 전자부품연구원 |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시스템 |
KR101481536B1 (ko) * | 2013-08-09 | 2015-01-13 | 전자부품연구원 | 디바이스 동적 연결을 위한 제어-룰 설정 방법 |
WO2015069031A1 (ko) * | 2013-11-06 | 2015-05-14 | 엘지전자(주) | 블루투스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링크 형성 방법 및 장치 |
US9712491B2 (en) * | 2014-03-03 | 2017-07-18 | Qualcomm Connected Experiences, Inc. | Access control lists for private networks of system agnostic connected devices |
-
2015
- 2015-10-13 KR KR1020187016761A patent/KR1021157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0-13 WO PCT/KR2015/010754 patent/WO201706532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09217A (ja) * | 2009-11-13 | 2011-06-02 | Panasonic Corp | 無線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無線lanアダプタ |
KR20150098598A (ko) * | 2015-04-13 | 2015-08-28 | (주)아이디어키즈 | 디지털 블록 게임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22565A1 (ko) | 2017-07-27 | 2019-01-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기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5750B1 (ko) | 2020-05-27 |
WO2017065327A1 (ko) | 2017-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1913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 |
CN107483715B (zh) | 终端与设备通信的方法和系统、终端、存储介质 | |
CN106416317B (zh) | 用于提供位置信息的方法和装置 | |
US1002808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 |
KR101769895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기 제어 방법, 이를 수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JP6211011B2 (ja) |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センサベースの設定および制御 | |
US11102645B2 (en) | Network registration method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device therefor | |
US982008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data sharing | |
KR102213110B1 (ko) | 끊김 없는 서비스를 위한 비콘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CN103067055A (zh) | 一种蓝牙连接方法及移动终端 | |
CN105100190A (zh) | 对账户与设备的控制关系进行管理的方法、装置和系统 | |
KR101174168B1 (ko) | IrDA를 이용한 블루투스 기기의 페어링 방법과 이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 |
KR20200069060A (ko) |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 |
KR20190083214A (ko) |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데이터 송수신 방법 | |
KR20190110393A (ko) |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 |
KR101388147B1 (ko) |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
KR20190095784A (ko) |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들과 연결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9331745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mediating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 |
KR102115750B1 (ko) |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 |
KR101388150B1 (ko) |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 |
KR20160029605A (ko) | 비콘과 위치 좌표값을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가 가능한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 |
CN108072885A (zh) | 定位模块的配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 |
KR101631449B1 (ko) |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방법 | |
KR101869983B1 (ko) | 휴대용 단말기, 그 동작 방법 및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 |
KR101388149B1 (ko) |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