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449B1 -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449B1
KR101631449B1 KR1020150134286A KR20150134286A KR101631449B1 KR 101631449 B1 KR101631449 B1 KR 101631449B1 KR 1020150134286 A KR1020150134286 A KR 1020150134286A KR 20150134286 A KR20150134286 A KR 20150134286A KR 101631449 B1 KR101631449 B1 KR 101631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control device
mobile
mobile terminal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구
곽범석
Original Assignee
전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준 filed Critical 전용준
Priority to KR1020150134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449B1/ko
Priority to US15/177,354 priority patent/US96088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한 중앙 장치에 기계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중앙 장치에 기계적 접속되면 상기 중앙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내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용 펌웨어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용 장치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는 제1 모바일 단말기에 기계적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 사이에 페어링(pairing)이 수행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방법{Method for using a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the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용 장치와의 페어링이 용이한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 내의 PC,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시스템 내부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인터넷이나 전화선을 통해 가정 내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컴퓨터나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냉/난방기 등 모든 디지털 가전제품을 제어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구축에 사용되는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는 대표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무선랜(Wireless LAN) 방식을 들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홈 네트워크 장치(디지털 가전제품)가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의 게이트웨이는 가정 내의 전원공급 시설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가정 내에서도 먼거리에 위치한 홈 네트워크 장치와 페어링(Pairing)하여 연결하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에 별도의 전원공급유닛(예시적으로 배터리)을 장착한 후, 먼거리의 홈 네트워크 장치 가까이로 이동하여 페어링하고 다시 가정의 전원공급 시설에 연결하였다.
이렇듯, 종래의 게이트웨이는 가정 내에서도 먼거리에 위치한 홈 네트워크 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연결/분리 조작 과정이 필요하여 불편하였고, 게이트웨이의 크기도 상당히 크기 때문에 홈 네트워크 장치 가까이로 이동시키는 것도 불편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39825호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용 장치와의 페어링이 용이한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한 중앙 장치에 기계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중앙 장치에 기계적 접속되면 상기 중앙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내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용 펌웨어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용 장치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는 제1 모바일 단말기에 기계적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 사이에 페어링(pairing)이 수행되는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에 USB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어, 제1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됨으로써 제1 모바일 단말기의 전원공급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유닛이나 장치가 필요 없어 휴대성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휴대성이 용이해진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는 게이트웨이용 펌웨어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원격제어를 하고자하는 홈 네트워크용 장치 가까이에서 홈 네트워크용 장치가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와 페어링 됨으로서,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게이트웨이용 펌웨어를 통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용 장치의 원격 제어도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 및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와 홈 네트워크용 장치가 페어링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한 중앙 장치(미도시)에 기계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에 기계적 접속되면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게이트웨이용 펌웨어 및 근거리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에 기계적 접속되어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되면, 상기 게이트웨이용 펌웨어 및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를 제어한다.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에는 상기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 네트워크 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와 기계적 접속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의 상기 통신 네트워크 모듈(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를 제어하는 명령이 전송되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이 명령을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와 기계적 접속되어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와 근거리에 있는 홈 네트워크용 장치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에 의해 페어링(Pairing)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와 근거리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후술되는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기계적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를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페어링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페어링되기 위한 구성 및 페어링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본체(10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내부에 상기 게이트웨이용 펌웨어(110) 및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1)에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150)가 구비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일부가 상기 본체(101)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본체(10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일정 거리 범위 내에서 위치하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페어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지-웨이브(Z-wave),블루투스(Bluetooth), RFID, NFC 등이 적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제1 입력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입력부(170)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30)의 페어링 승인 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입력부(170)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1)에 푸시(Push) 버튼 타입으로 적용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본체(101)에 구비된 푸시 버튼(제1 입력부, 170)을 누르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페어링 승인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페어링되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상기 게이트웨이용 펌웨어(110)를 통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기계적 접속되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는 예시적으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가 구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210)이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기계적 접속하면 상기 전원공금모듈(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원공급모듈(210)은 배터리(Battery)가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기계적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230)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가 상기 접속단자(23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계적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모듈(210)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페어링된다.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페어링되면, 상기 게이트웨이용 펌웨어(110)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를 제어하는 명령을 전달받는다.
이렇듯,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도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페어링하기 위해 제2 근거리 통신 모듈(3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310)은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30)과 마찬가지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 NFC 등이 적용된다.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는 어느 하나의 종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를 통해 외부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가전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정용 전자제품(냉장고, 에어컨, TV 등), 도어락, 가스안전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도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의 페어링 승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입력부(330)도 상기 제1 입력부(370)와 마찬가지로 푸시(Push) 버튼 타입으로 적용된다. 사용자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의 상기 제2 입력부(330)를 눌러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330)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페어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에 페어링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에 기계적 접속되어 있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를 분리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을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의 상기 접속단자(230)에 연결한다.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접속 연결되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구비된 상기 전원공급모듈(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된다.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페어링(Pairing) 할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를 페어링하기 위해서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상기 제1 입력부(170)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에 구비된 상기 제2 입력부(330)를 통해 각각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에 구비된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310)이 통신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가 페어링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입력부(170)와 상기 제2 입력부(330)를 통해 각각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해야만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가 페어링되지만,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입력부(1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30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활성화되면서 페어링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페어링을 승인하는 별도의 명령 입력이 없어도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 근처에 가는 것만으로도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310)이 통신 연결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단말기(100)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가 페어링된다. 다만, 이때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는 상기 제2 입력부(330)를 통해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이 입력되어야 한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와,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가 홈 네트워크용 장치와 페어링되는 구조가 도시된 것으로, 전술의 제1 실시예와 일부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와 달리, 유저 인터페이스 앱(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250)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250)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공급자가 제공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250)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페어링되는 것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즉,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해야만 상기 홈 네트워크 단말기(300`)와 페어링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제1 입력부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부가 생략되는 대신 제어부(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250)을 실행하여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이를 전송받아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50)에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와 연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에서 분리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를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연결한다.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의 연결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의 상기 접속단자(230)에 끼워 접속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연결되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의 상기 전원공급모듈(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활성화 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유저 인터페이스 앱(250)을 실행시킨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250)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직접 실행시킬 수도 있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가 활성화 되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와 동기화되면서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결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를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 근처로 가져간 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250)에서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250)에서 전달된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7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170)는 이를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의 입력부(330`)를 통해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310)이 통신 연결되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페어링된다.
도 4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를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와 페어링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전술한 제1, 제2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유저 인터페이스 앱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입력부가 포함되지 않은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이 입력된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400)는 예시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에 구비되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또 다른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100)와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400)에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앱(410)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400)에 설치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410)은 이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공급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400)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410)을 실행시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400)에서 입력된 명령은 상기 외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와 페어링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의 상기 접속단자(230)에 연결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의 상기 전원공급모듈(210)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에 연결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를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 근처로 가져다두고, 사용자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400)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410)을 실행시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400)에서 입력된 명령은 외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는 이를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70)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승인 명령을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에 구비된 상기 입력부(330`)를 통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의 페어링을 승인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310)이 통신 연결되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와 페어링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 100`)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 300`)와 페어링되면,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 100`)는 다시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에 기계적 접속하여 상기 중앙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300, 300`)는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100, 100`)를 통해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
101: 본체
110: 게이트웨이용 펌웨어 130: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150: USB 인터페이스 170: 제어부
200, 200`: 제1 모바일 단말기 210: 전원공급모듈
230: 접속단자
270: 유저 인터페이스 앱
300, 300`: 홈 네트워크용 장치
310: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330: 제2 입력부
330`: 입력부

Claims (5)

  1.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한 중앙 장치에 기계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중앙 장치에 기계적 접속되면 상기 중앙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내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용 펌웨어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용 장치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가 제1 모바일 단말기에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를 홈 네트워크용 장치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 사이에 페어링(pairing)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를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중앙 장치에 기계적으로 접속시켜서, 상기 중앙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외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용 펌웨어에 접속한 후, 상기 게이트웨이용 펌웨어 및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페어링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제1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에 각각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 사이에 상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에는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과 상기 입력부에 각각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 사이에 상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기에는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홈 네트워크용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과 상기 입력부에 각각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앱으로 입력받은 명령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기에 전달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 사이에 상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장치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기계적 접속은 USB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기계적 접속은 USB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수행되는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 방법.
KR1020150134286A 2015-09-23 2015-09-23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방법 KR101631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86A KR101631449B1 (ko) 2015-09-23 2015-09-23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방법
US15/177,354 US9608837B1 (en) 2015-09-23 2016-06-09 Method for using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86A KR101631449B1 (ko) 2015-09-23 2015-09-23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449B1 true KR101631449B1 (ko) 2016-06-17

Family

ID=5634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286A KR101631449B1 (ko) 2015-09-23 2015-09-23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08837B1 (ko)
KR (1) KR101631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793B1 (ko) * 2016-12-13 2023-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이 구현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GB2582441B (en) * 2019-02-28 2021-05-26 Fujitsu Client Computing Ltd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628A (ko) * 2001-12-12 2003-06-25 포디홈네트 홈피엔에이 모듈을 갖는 엑스디에스엘 모뎀 카드
KR20060039825A (ko) 2004-11-03 2006-05-09 (주)알피에이네트웍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
KR20080034236A (ko) * 2006-10-16 2008-04-21 하윤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통신 커넥터를 이용한 근거리무선네트워크 접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3184B2 (en) * 2001-07-13 2014-10-14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US9264755B2 (en) * 2001-07-13 2016-02-1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US9294705B2 (en) * 2008-06-27 2016-03-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biquitous appliance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628A (ko) * 2001-12-12 2003-06-25 포디홈네트 홈피엔에이 모듈을 갖는 엑스디에스엘 모뎀 카드
KR20060039825A (ko) 2004-11-03 2006-05-09 (주)알피에이네트웍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
KR20080034236A (ko) * 2006-10-16 2008-04-21 하윤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통신 커넥터를 이용한 근거리무선네트워크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08837B1 (en) 2017-03-28
US20170085389A1 (en)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3888B1 (en) Method for managing household devices
TWI488463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CN104504887B (zh) 一种无线遥控的控制方法及系统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80447A1 (en) Smart adapter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CN105739318A (zh) 智能插座、智能家居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137841B (zh) 基于智能插座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JP5891383B2 (ja) 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携帯端末、家庭電気機器、及び家庭電気機器の動作設定システム
KR102470455B1 (ko)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40135318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전기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6834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US9930612B2 (en) Smart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363179A (zh) 智能路由器、智能控制装置以及智能家居控制系统
CN105163371A (zh) 基于蓝牙的wifi设置系统及方法
KR20140089841A (ko) 전기제품
KR20180114755A (ko)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1449B1 (ko) 홈 네트워크용 이동식 제어장치의 이용방법
CN103310516B (zh) 一种门禁监控系统
CN103295389A (zh) 移动终端控制家电的方法、系统及外接设备
US9847017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commanded wirelessly by a user device for controlling a target device
JP6352077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専用操作器
CN107193227A (zh) 网关与智能移动插座双系统
KR101465967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확장이 가능한 동글형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TWI571132B (zh) Connection setting device and method
KR101402796B1 (ko) 중고휴대폰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 및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