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834A -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6834A KR20210026834A KR1020190108168A KR20190108168A KR20210026834A KR 20210026834 A KR20210026834 A KR 20210026834A KR 1020190108168 A KR1020190108168 A KR 1020190108168A KR 20190108168 A KR20190108168 A KR 20190108168A KR 20210026834 A KR20210026834 A KR 202100268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me appliance
- unregistered
- module
- registration
- register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 H04L67/2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0—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 and external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기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와 서버에 미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 상호 간에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는 미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기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와 서버에 미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 상호 간에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는 미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출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간에 통신 가능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및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대중화와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의 발전에 따라, 통신 기능을 갖춘 홈 어플라이언스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통신 기능을 갖춘 홈 어플라이언스는 가정 내의 공유기와 같은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의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원격으로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81270호, 2014.07.01. 공개)에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원격 제어 정보와 전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장치에 접속하고, 통신 장치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한 후, 서버로 제품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이동 단말기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주변의 AP 장치 중 통신 장치와 연결된 AP 장치를 스캔해야 하고, 사용자가 통신 장치와 연결된 AP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등록 과정이 진행되는 경우, AP 장치에 대한 스캔 작업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AP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 제품 등록에 실패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등록 메커니즘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탐색 작업이 이동 단말기가 아닌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시 이미 사용된 네트워크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 간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별도 입력 없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달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에 기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는 서버에 연결된 AP와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에 기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는, AP(Access Point)와 연결되고,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AP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AP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와이파이 모듈이 주기적으로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와이파이 모듈은 AP 모드로 동작시 주변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탐색하기 위해 비콘(beacon)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은, 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히든 SSID를 사용하고, 컨트롤러는, 와이파이 모듈의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히든 SSID를 인식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이 히든 SSID를 인식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와 연결되도록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에 미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는 AP에 연결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연결을 통해 등록 진행을 위한 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에 미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갖춘 와이파이 모듈 및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탐색하도록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고,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히든 SSID가 미리 설정된 히든 SSID 리스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히든 SSID가 미리 설정된 히든 SSID 리스트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이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연결을 시도하도록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할 수 있고,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연결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연결된 AP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이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AP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AP와의 연결을 시도하도록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서버와 연결되고,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서버에 연결된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푸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푸쉬 신호를 토대로 서버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등록 컨펌 요청을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탐색 작업이 이동 단말기가 아닌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AP 장치에 대한 스캔 작업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동 단말기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시 이미 사용된 네트워크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 간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별도 입력 없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제품 등록 성공률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서비스 중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등록 서비스를 설명하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등록 서비스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못한 경우에 제공되는 등록 서비스의 일 예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못한 경우에 제공되는 등록 서비스의 다른 예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서비스 중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등록 서비스를 설명하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등록 서비스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못한 경우에 제공되는 등록 서비스의 일 예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못한 경우에 제공되는 등록 서비스의 다른 예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20)를 통해 가정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들(10a, 10b)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 이동 단말기(20), AP(30; Access Point), 및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 포괄하여 10)는 가정 등의 공간에 설치되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도 1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의 일 예로서 세탁기(10a), 냉장고(10b)가 도시되어 있으나, 홈 어플라이언스의 종류 및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 중 하나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 즉, 서버(40)에 등록되지 않은 홈 어플라이언스)이고, 나머지 하나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 즉, 서버(40)에 이미 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소지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PC 등과 같은 고정형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2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정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의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를 서버(4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를 서버(40)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6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AP(30)는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를 서버(4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는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AP(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AP(30)는 가정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공유기, 라우터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 후술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예를 들어, 10b)의 와이파이 모듈의 AP 모드와의 용어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AP(30)는 사용자 AP(30)로 정의한다.
서버(40)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제조사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서버(40)는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계정, 단말기 정보, 사용자 AP 정보, 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는 이동 단말기(20)로부터 특정 홈 어플라이언스(예컨대, 냉장고(10b))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사용자 AP(30)를 통해 냉장고(1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냉장고(10b)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10a, 10b) 및 이동 단말기(20)의 제어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통신부(110a), 입력부(120a), 출력부(130a), 구동부(140a), 메모리(150a), 및 컨트롤러(16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구성들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종류에 따라 일부가 더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a)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를 사용자 AP(30)나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 등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a)는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와이파이 모듈(112a),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114a)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112a)은 컨트롤러(160a) 또는 와이파이 모듈(112a) 내의 마이컴(microcomputer)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 모드와 스테이션(station)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AP 모드는 다른 주변 기기(예를 들어, 다른 주변 홈 어플라이언스 등)가 와이파이 모듈(112a)로 접속함으로써 주변 기기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 간의 연결이 성립되는 모드일 수 있다. 반면, 스테이션 모드는 와이파이 모듈(112a)이 사용자 AP(30)로 접속함으로써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 사용자 AP(30) 간의 연결이 성립되는 모드일 수 있다.
입력부(120a)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신호 또는 데이터를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은 버튼, 다이얼, 터치패드, 마이크로폰(microph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a)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부(120a)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30a)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130a)는 그래픽 또는 텍스트 출력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나 광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수단으로서 스피커나 버저(buzz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a)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가 제공하는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가 세탁기인 경우, 구동부(140a)는 드럼 모터, 급수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a)에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동작을 위한 각종 알고리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히든 SSID 리스트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160a)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a)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이나 기능의 실행 명령 등에 기초하여 구동부(140a)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a)는 적어도 하나의 CPU, 마이컴, 프로세서, 집적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를 제어하기 위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정보를 서버(40)에 등록하여야 한다.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정보를 서버(40)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 서버(40) 간의 통신 연결이 성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와이파이 모듈(112a)은 사용자 AP(30)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 AP(30)를 통해 서버(40)와 연결될 수 있다.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가 사용자 AP(3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를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부터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와이파이 모듈(112a)은 가상 인터페이스(113a)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가상 인터페이스(113a)를 갖춘 와이파이 모듈(112a)을 통해 동시에 2개의 기기와 연결 가능하다.
참고로, 가상 인터페이스(113a)는 1개의 물리적인 Wi-Fi 인터페이스를 시분할하여 추가된 가상의 인터페이스인바, 와이파이 모듈(112a)은 이러한 가상 인터페이스(113a)를 통해 흡사 2개의 물리적인 Wi-Fi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것처럼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 연결되어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 AP(30)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AP(3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사용자 AP(30)와의 연결을 시도할 때 가상 인터페이스(113a)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 연결되어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의 연결을 종료한 후 사용자 AP(30)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참고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 간 연결(즉, 통신 연결)시 인증 작업은 보안을 위해 인증서 기반 서버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즉,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 간 통신은 보안 채널(예를 들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가 사용하는 통신 채널)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추후 도 6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는 통신부(110b), 입력부(120b), 출력부(130b), 구동부(140b), 메모리(150b), 및 컨트롤러(16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구성들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종류에 따라 일부가 더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b)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를 서버(40)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 등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b)는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와이파이 모듈(112b),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112b)은 컨트롤러(160b) 또는 와이파이 모듈(112b) 내의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 모드와 스테이션(station)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AP 모드는 다른 주변 기기(예를 들어, 다른 주변 홈 어플라이언스 등)가 와이파이 모듈(112b)로 접속함으로써 주변 기기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 간의 연결이 성립되는 모드일 수 있다. 반면, 스테이션 모드는 와이파이 모듈(112b)이 사용자 AP(30)로 접속함으로써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 사용자 AP(30) 간의 연결이 성립되는 모드일 수 있다.
입력부(120b)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은 버튼, 다이얼, 터치패드, 마이크로폰(microph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b)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부(120b)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30b)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130b)는 그래픽 또는 텍스트 출력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나 광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수단으로서 스피커나 버저(buzz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b)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가 제공하는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가 냉장고인 경우, 구동부(140b)는 압축기, 증발기, 제상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b)에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동작을 위한 각종 알고리즘,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히든 SSID 리스트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160b)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b)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이나 기능의 실행 명령 등에 기초하여 구동부(140b)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b)는 적어도 하나의 CPU, 마이컴, 프로세서, 집적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는 서버(40)에 이미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 AP(30)와 연결되어 있는바, 사용자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와이파이 모듈(112b)은 가상 인터페이스(113b)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는 가상 인터페이스(113b)를 갖춘 와이파이 모듈(112b)을 통해 동시에 2개의 기기와 연결 가능하다.
참고로, 가상 인터페이스(113b)는 1개의 물리적인 Wi-Fi 인터페이스를 시분할하여 추가된 가상의 인터페이스인바, 와이파이 모듈(112b)은 이러한 가상 인터페이스(113b)를 통해 흡사 2개의 물리적인 Wi-Fi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것처럼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는 와이파이 모듈(112b)을 통해 사용자 AP(30)와 연결되어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가상 인터페이스(113b)를 통해 주기적으로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112b)은 AP 모드로 동작시 주변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탐색하기 위해 비콘(beacon) 신호를 발생하고, 히든 SSID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모듈(112b)은 가상 인터페이스(113b)를 통해 히든 SSID를 인식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컨트롤러(160b)의 제어에 의해 히든 SSID를 인식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112b)은 연결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부터 푸쉬(Push)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연결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사용자 AP(30)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는 사용자 AP(30)와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가상 인터페이스(113b)를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추후 도 6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는 무선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은 이동 단말기(20)를 구현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닌 바, 이동 단말기(20)는 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20)를 서버(40) 등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210)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모듈(212), 와이파이 모듈(214), 기타 근거리 통신 모듈이나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32)와 음향 출력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32)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2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즉,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수신 가능)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2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부(232)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되고, 디스플레이부(232)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을 제어부(250)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이동 단말기(2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이동 단말기(2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이동 단말기(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명령어들, 히든 SSID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이동 단말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 상에 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즉,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라이언스 제어 어플리케이션(APP)(260)을 구동할 수 있다.
어플라이언스 제어 APP(260)은 서버(40) 또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라이언스 제어 APP(260)을 통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를 제어하거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를 서비스 상에 등록하거나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를 서비스 상에서 제거하는 등 다양한 관리를 할 수 있다.
참고로, 어플라이언스 제어 APP(260)이 실행되는 경우, 자동으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들이 탐색(예를 들어, 비콘 신호 발생을 통해 탐색)되거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들이 탐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든 SSID(즉, 이동 단말기(20)의 메모리(240)에 저장된 히든 SSID 리스트와 일치하는 히든 SSID)를 사용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는 모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들과 이동 단말기(20)와 동일한 사용자 AP(30)에 연결된 모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들이 탐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에 의해 탐색된 모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들은 이동 단말기(20)로 푸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푸쉬 신호에 응답하여,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연결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하고, 입력부(220) 또는 디스플레이부(23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수신된 연결 선택 입력을 토대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등록 컨펌 키 입력이 완료되면, 바로 해당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는 어플라이언스 제어 APP(260)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지는바,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서비스 상에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가 등록되는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서비스 중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등록 서비스를 설명하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등록 또는 제어하고자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10)를 제품(product)으로도 혼용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품(10)이 와이파이 모듈(112a, 112b)을 통해 다른 제품 및 사용자 AP(30)와 연결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가 와이파이 모듈(112a, 112b)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유사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품(10)의 컨트롤러(160a, 160b)가 와이파이 모듈(112a, 112b)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와이파이 모듈(112a, 112b)의 동작은 와이파이 모듈(112a, 112b) 내에 구비된 마이컴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제품(10)의 컨트롤러(160a, 160b)는 제품(10)의 메인 컨트롤러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모듈(112a, 112b) 내에 구비된 상기 마이컴까지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는 비콘 신호를 발생한다(S100).
구체적으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컨트롤러(160b)는 와이파이 모듈(112b)을 통해 사용자 AP(30)로부터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와이파이 모듈(112b)이 주기적으로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b)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모듈(112b)은 상기 AP 모드로 동작시 주변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를 탐색하기 위해 비콘(beacon)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112b)은 상기 AP 모드로 동작시 히든 SSID를 사용할 수 있다.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비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컨트롤러(160a)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를 탐색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a)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컨트롤러(160a)는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세탁기의 전원 턴온(turn-on)) 발생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를 탐색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a)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모듈(112a)은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감지된 비콘 신호를 토대로 해당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를 탐색할 수 있다.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S120),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히든 SSID가 미리 설정된 히든 SSID 리스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구체적으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메모리(150a)에는 미리 설정된 히든 SSID 리스트(즉, 특정 제조사에서 제조된 제품에서만 사용하는 복수개의 히든 SSID가 기록된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60a)는 와이파이 모듈(112a)을 통해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히든 SSID를 메모리(150a)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히든 SSID 리스트와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히든 SSID가 미리 설정된 히든 SSID 리스트와 일치하는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에 연결 요청을 한다(S160).
구체적으로,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히든 SSID가 미리 설정된 히든 SSID 리스트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컨트롤러(160a)는 와이파이 모듈(112a)이 상기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 연결을 시도하도록(즉, 연결 요청을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a)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컨트롤러(160b)는, 와이파이 모듈(112b)의 가상 인터페이스(113b)를 통해 히든 SSID를 인식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112b)이 히든 SSID를 인식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 연결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b)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가 연결된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 푸쉬(Push) 신호를 전송한다(S180).
구체적으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와이파이 모듈(112a)이 상기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 연결된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컨트롤러(160a)는 와이파이 모듈(112a)이 상기 연결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 푸쉬(Push) 신호를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a)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컨트롤러(160b)는, 와이파이 모듈(112b)을 통해 상기 연결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부터 푸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AP(30)를 통해 서버(40)로 푸쉬 신호를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b)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는 사용자 AP(30)를 통해 수신한 푸쉬 신호를 이동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20)는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푸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서 이동 단말기(20)로 푸쉬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푸쉬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20)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연결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S200).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푸쉬 신호에 응답하여,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연결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푸쉬 신호를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푸쉬 신호에 응답하여 어플라이언스 제어 APP(260)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라이언스 제어 APP(260)이 실행됨에 따라,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부(232)를 통해 APP(260)의 실행 화면(즉,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연결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2)에 표시되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연결 선택 화면(5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 선택 화면이 표시되면,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32)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22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연결 선택 화면(500)의 '연결' 부분을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32)는 연결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2)는 수신된 연결 선택 입력을 제어부(250)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연결 선택 화면(500)의 '연결' 부분을 터치해야 한다.
만약, 사용자가 연결 선택 화면(500)의 '연결' 부분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하지 못하는 경우(즉, 제어부(250)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부(232)를 통해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32)에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를 포함하는 연결 가능한 전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리스트 선택 화면(도 10의 540)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연결 선택 입력이 제어부(250)로 제공되면, 이동 단말기(20)는 등록 컨펌 요청을 서버(40)로 전송한다(S240).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부(232)로부터 제공받은 연결 선택 입력을 토대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등록 컨펌 요청을 서버(40)로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214)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컨트롤러(160b)는 와이파이 모듈(112b)을 통해 사용자 AP(30)에 연결된 서버(40)로부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등록 컨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컨트롤러(160b)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등록 컨펌 요청을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b)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와이파이 모듈(112a)을 통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부터 등록 컨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이동 단말기(20)에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등록 컨펌 요청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에서 서버(40)로 등록 컨펌 요청이 전송되면, 이동 단말기(20)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을 표시한다(S260).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등록 컨펌 요청을 서버(40)로 전송한 후, 어플라이언스 제어 APP(260)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32)에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등록 컨펌 요청을 서버(40)로 전송하는 작업(S240)과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작업(S260)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2)에 표시되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51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510)에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컨펌을 위해 사용자가 실행해야 하는 작업(예를 들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XXX 버튼을 3초 이상 눌러 주세요)이 표시될 수 있다.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510)이 표시되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입력부(120a)는 사용자로부터 등록 컨펌 키 입력을 수신한다(S28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 7에 도시된 방법으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등록 컨펌 키를 입력하는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입력부(120a)는 등록 컨펌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a)는 수신된 등록 컨펌 키 입력을 컨트롤러(160a)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록 컨펌 키 입력이 수신되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컨트롤러(160a)는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 전송한다(S300).
구체적으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컨트롤러(160a)는, 와이파이 모듈(112a)을 통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부터 등록 컨펌 요청을 수신한 후 사용자로부터의 등록 컨펌 키 입력이 확인된 경우,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a)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컨트롤러(160b)는, 와이파이 모듈(112b)을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부터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AP(30)를 통해 서버(40)로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b)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서버(40)로부터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참고로,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서버(40)로부터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성공 여부와 관련된 신호를 미수신한 상태인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진행율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2)에 표시되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진행율 화면(52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등록 진행율 화면에는 '제품과 정보 주고받는 중…(XX%)'이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제품과 정보 주고받는 중…(XX%)' 이후에 '서버에 제품 등록 중…(XX%)' 문구가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 제공되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320).
구체적으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의 컨트롤러(160b)는, 와이파이 모듈(112b)을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부터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AP(30)를 통해 서버(40)로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a)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사용자 AP(30)와 연결된다(S340).
구체적으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컨트롤러(160a)는, 와이파이 모듈(112a)을 통해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부터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에 연결된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112a)이 가상 인터페이스(113a)를 통해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AP(30)와의 연결을 시도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a)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 연결되어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가상 인터페이스(113a)를 통해 사용자 AP(30)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물론,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사용자 AP(30)와의 연결을 시도할 때 가상 인터페이스(113a)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 연결되어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와의 연결을 종료한 후 사용자 AP(30)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사용자 AP(30)와 연결되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사용자 AP(30)를 통해 서버(40)로 등록 정보를 전송한다(S360).
구체적으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컨트롤러(160a)는, 사용자 AP(30)로의 연결이 성공한 경우, 와이파이 모듈(112a)이 사용자 AP(30)를 통해 서버(40)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112a)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고유 정보는 제품의 식별을 위한 정보로서, 예컨대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유 정보는 제품 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 정보는, 서버(40)에서 사용자 계정(또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과 제품 간의 매칭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등록 정보가 수신되면, 서버(40)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등록 작업을 완료한다(S380).
구체적으로, 서버(40)는, 사용자 AP(30)로부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정보를 토대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등록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등록 작업이 완료되면, 서버(40)는 이동 단말기(20)로 등록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S400).
구체적으로, 서버(40)는 등록 작업을 완료한 후 이동 단말기(20)의 와이파이 모듈(214)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서버(40)로부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등록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20)는 등록 완료 화면을 표시한다(S420).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서버(40)로부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완료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어플라이언스 제어 APP(260)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32)에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완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2)에 표시되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완료 화면(53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S340 단계에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 사용자 AP(30) 간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 등록 실패 신호를 전송하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는 사용자 AP(30)를 통해 서버(40)로 등록 실패 신호를 전송하며, 서버(40)는 이동 단말기(20)로 등록 실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가,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서버(40)로부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실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등록 실패 신호를 토대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실패 사유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등록 실패 사유를 포함하는 화면을 토대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사용자의 등록 재시도 선택 입력을 입력부(220) 또는 디스플레이부(232)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등록 재시도 선택 입력을 토대로 기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기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은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화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2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연결 선택 화면(도 6의 500)의 '연결' 부분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하지 못하는 경우(즉, 제어부(250)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부(232)를 통해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32)에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를 포함하는 연결 가능한 전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리스트 선택 화면(도 10의 540)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 가능한 전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리스트 선택 화면(540)이 도시되어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어플라이언스 제어 APP(260)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32)에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를 포함하는 연결 가능한 전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리스트 선택 화면(540)을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해당 화면(540)에는, 연결 가능한 전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리스트(예를 들어, Device 1, Device 2, Device 3)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군 선택지(예를 들어, 생활가전 - 일반세탁기, 드럼세탁기; 주방가전 - 냉장고)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연결 가능한 전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리스트 선택 화면(540)에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 예를 들어, Device 1)를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32)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 예를 들어, Device 1)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2)는 수신된 연결 선택 입력을 제어부(25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부(232)로부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연결 선택 입력을 토대로 기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 또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재등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은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화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사용자로 하여금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와이파이 모듈(112a)을 활성화시키도록 요청하는 화면(550)을 표시할 수 있다.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와이파이 모듈(112a)이 활성화된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와이파이 모듈(112a)은 AP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모듈(112a)이 AP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20)의 와이파이 모듈(214)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와이파이 모듈(112a)로 접속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접속 결과에 따라 이동 단말기(20)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가 연결되면, 제어부(250)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전송할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50)는 도 12에 도시된 AP 선택 화면(56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AP를 포함하는 리스트 중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와 연결할 사용자 AP(30)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명칭이 'AAA'인 사용자 AP(30)에 대응하는 아이템(562)이 선택되면, 제어부(250)는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AP(30)로의 접속시 패스워드가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사용자 AP(30)의 패스워드를 획득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 창(570)을 디스플레이부(23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스워드 입력 창(570)의 패스워드 입력 탭(572)에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250)는 입력된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이동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AP(30)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 AP(30)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사용자 AP(30)를 통해 서버(40)에 등록될 수 있다.
한편,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재등록 가이드 화면은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화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사용자로 하여금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클라이언트 모드 전환(예를 들어, 재부팅)을 요청하는 화면(580)을 표시할 수 있다.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가 클라이언트 모드로 전환된 경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로 클라이언트 모드 전환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b)는 사용자 AP(30)를 통해 서버(40)로 클라이언트 모드 전환 완료 신호를 전송하며, 서버(40)는 이동 단말기(20)로 클라이언트 모드 전환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20)의 제어부(250)는 와이파이 모듈(214)을 통해 수신한 클라이언트 모드 전환 완료 신호를 토대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에 대한 등록 컨펌 요청을 서버(40)로 전송하도록 와이파이 모듈(214)을 제어하고,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10a)의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2)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부터는, 도 5에서 전술한 S280~S420 단계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 상에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등록 서비스가 수행되는바,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등록 메커니즘이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은,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탐색 작업이 이동 단말기가 아닌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AP 장치에 대한 스캔 작업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은,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시 이미 사용된 네트워크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 간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별도 입력 없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제품 등록 성공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a: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10b: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20: 이동 단말기 30: AP
40: 서버
20: 이동 단말기 30: AP
40: 서버
Claims (20)
- 서버에 기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에 있어서,
AP(Access Point)와 연결되고,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AP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AP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와이파이 모듈이 주기적으로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파이 모듈은 상기 AP 모드로 동작시 주변의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탐색하기 위해 비콘(beacon) 신호를 발생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은,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히든 SSID를 사용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상기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히든 SSID를 인식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 모듈이 상기 히든 SSID를 인식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와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푸쉬(Push)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AP를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푸쉬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AP에 연결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등록 컨펌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연결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상기 등록 컨펌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연결된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상기 획득된 AP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AP를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대한 정보는 상기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서버에 미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에 있어서,
가상 인터페이스를 갖춘 와이파이 모듈; 및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탐색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히든 SSID가 미리 설정된 히든 SSID 리스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히든 SSID가 상기 미리 설정된 히든 SSID 리스트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 모듈이 상기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연결을 시도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이 상기 탐색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와 연결된 경우, 상기 연결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푸쉬(Push)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등록 컨펌 요청을 수신한 후 사용자로부터의 등록 컨펌 키 입력이 확인된 경우, 상기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 상기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된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상기 기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연결된 AP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AP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AP와의 연결을 시도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AP로의 연결이 성공한 경우, 상기 AP를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대한 정보는 상기 AP의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유 정보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서버에 연결된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푸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푸쉬 신호를 토대로 상기 서버로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등록 컨펌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을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푸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연결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연결 선택 화면을 토대로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연결 선택 입력을 토대로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등록 컨펌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컨펌 키 입력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하는 연결 가능한 전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리스트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연결 가능한 전체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 리스트 선택 화면을 토대로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연결 선택 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연결 선택 입력을 토대로 기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 또는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재등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등록 컨펌 키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성공 여부와 관련된 신호를 미수신한 상태인 경우,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진행율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실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등록 실패 신호를 토대로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실패 사유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실패 사유를 포함하는 화면을 토대로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등록 재시도 선택 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등록 재시도 선택 입력을 토대로 기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미등록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완료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168A KR20210026834A (ko) | 2019-09-02 | 2019-09-02 |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
EP20193852.9A EP3787235B1 (en) | 2019-09-02 | 2020-09-01 | Home appliance having an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a server |
EP23188008.9A EP4258719A3 (en) | 2019-09-02 | 2020-09-01 | Home appliance having an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a server |
US17/010,336 US11540245B2 (en) | 2019-09-02 | 2020-09-02 |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server |
US17/992,257 US12063618B2 (en) | 2019-09-02 | 2022-11-22 |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server |
US18/735,605 US20240334367A1 (en) | 2019-09-02 | 2024-06-06 |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ser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168A KR20210026834A (ko) | 2019-09-02 | 2019-09-02 |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834A true KR20210026834A (ko) | 2021-03-10 |
Family
ID=7234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8168A KR20210026834A (ko) | 2019-09-02 | 2019-09-02 |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3) | US11540245B2 (ko) |
EP (2) | EP4258719A3 (ko) |
KR (1) | KR20210026834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7088A1 (ko) * | 2021-03-16 | 2022-09-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WO2022215839A1 (ko) * | 2021-04-07 | 2022-10-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 |
WO2023286894A1 (ko) * | 2021-07-16 | 2023-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품 등록 방법 |
WO2023120885A1 (ko) * | 2021-12-20 | 2023-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외선 송신을 통한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
WO2024048808A1 (ko) * | 2022-08-30 | 2024-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등록 가능한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위한 방법 |
WO2024075998A1 (ko) * | 2022-10-07 | 2024-04-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른 전자 장치의 등록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49063B2 (en) | 2015-06-04 | 2021-06-29 | Centriq Technology, Inc. | Asset communication hub |
CN113783759A (zh) * | 2020-06-09 | 2021-12-10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家电设备及其配网方法、控制终端、计算机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00838309A (en) * | 2007-03-14 | 2008-09-16 | Funtoro Inc | System of independent video/audio playing and sharing by sections and method thereof |
US8625552B2 (en) * | 2008-12-31 | 2014-01-07 | Microsoft Corporation | Wireless provisioning a device for a network using a soft access point |
JP2012083945A (ja) * | 2010-10-12 | 2012-04-26 | Canon Inc | 印刷システム、印刷変換サーバ、ポータブルデバイス、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8600344B2 (en) * | 2012-02-15 | 2013-12-03 | Bright House Networks, Llc | Integrating a mobile hotspot into a larger network environment |
KR102048362B1 (ko) | 2012-12-21 | 2019-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2046928B1 (ko) * | 2013-01-07 | 2019-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CN104468675B (zh) * | 2013-09-25 | 2019-06-1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数据处理方法和设备 |
KR101631435B1 (ko) * | 2014-09-05 | 2016-06-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
WO2019089164A1 (en) * | 2017-11-06 | 2019-05-09 | Intel Corporation | Secure device onboarding techniques |
KR102400580B1 (ko) * | 2018-01-22 | 2022-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른 전자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KR20190099586A (ko) | 2018-02-19 | 2019-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및 서버 |
KR101980039B1 (ko) | 2018-03-26 | 2019-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기기 자동 등록 시스템 및 방법 |
-
2019
- 2019-09-02 KR KR1020190108168A patent/KR20210026834A/ko unknown
-
2020
- 2020-09-01 EP EP23188008.9A patent/EP4258719A3/en active Pending
- 2020-09-01 EP EP20193852.9A patent/EP3787235B1/en active Active
- 2020-09-02 US US17/010,336 patent/US11540245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11-22 US US17/992,257 patent/US12063618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6-06 US US18/735,605 patent/US20240334367A1/en active Pending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7088A1 (ko) * | 2021-03-16 | 2022-09-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WO2022215839A1 (ko) * | 2021-04-07 | 2022-10-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 |
WO2023286894A1 (ko) * | 2021-07-16 | 2023-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품 등록 방법 |
KR20230012846A (ko) * | 2021-07-16 | 2023-0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품 등록 방법 |
WO2023120885A1 (ko) * | 2021-12-20 | 2023-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외선 송신을 통한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
WO2024048808A1 (ko) * | 2022-08-30 | 2024-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등록 가능한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위한 방법 |
WO2024075998A1 (ko) * | 2022-10-07 | 2024-04-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른 전자 장치의 등록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068068A1 (en) | 2021-03-04 |
EP4258719A2 (en) | 2023-10-11 |
US12063618B2 (en) | 2024-08-13 |
US20240334367A1 (en) | 2024-10-03 |
EP3787235B1 (en) | 2023-08-02 |
US20230084984A1 (en) | 2023-03-16 |
EP4258719A3 (en) | 2023-12-06 |
US11540245B2 (en) | 2022-12-27 |
EP3787235A1 (en) | 2021-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787235B1 (en) | Home appliance having an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a server | |
US11882431B2 (en) | Network system of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same | |
CN111277474B (zh) | 家用电器、家用电器的网络连接系统和家用电器的网络连接方法 | |
US20110312272A1 (en) | Remote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KR20140052690A (ko) |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제어방법 | |
WO2017068560A1 (ja) | 通信装置 | |
JP2016042693A (ja) | 通信タグを設けたデバイスのユーザによる操作を検出する方法、対応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ユーザ端末、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 |
KR102137422B1 (ko) |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 |
JP2016504641A (ja) | 物理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有さないデバイスとサポートデータを交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KR20120008435A (ko) | 액세스 포인트 및 그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 |
JP2015132947A (ja) | 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 |
CN113556723B (zh) | 智能设备的激活方法、智能设备、智能设备的激活系统 | |
KR102390887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 |
US9608837B1 (en) | Method for using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home network | |
KR101923930B1 (ko) | 개인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20170023245A (ko) |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이용한 오토 페어링 시스템 | |
CN112449441A (zh) | 家电系统和家电设备 | |
KR20240030278A (ko) | 자동 등록 가능한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위한 방법 | |
EP4351185A1 (en) | Network distribu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KR20090050512A (ko) | 통화단말을 통한 원격제어 방법 및 통화단말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 |
KR20230158291A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장치의 등록 방법 및 장치 | |
JP2018182513A (ja) | 通信装置および通信設定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