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755A -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755A
KR20180114755A KR1020170046844A KR20170046844A KR20180114755A KR 20180114755 A KR20180114755 A KR 20180114755A KR 1020170046844 A KR1020170046844 A KR 1020170046844A KR 20170046844 A KR20170046844 A KR 20170046844A KR 20180114755 A KR20180114755 A KR 20180114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ess point
memor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690B1 (ko
Inventor
강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690B1/ko
Priority to US15/923,362 priority patent/US11032862B2/en
Priority to EP18163409.8A priority patent/EP3389332B1/en
Priority to PCT/KR2018/004252 priority patent/WO2018190637A1/ko
Publication of KR2018011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바이스는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와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시,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하는 동작,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댁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디바이스가 통신부를 내장하며 서버에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액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 이하 AP로 칭함)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를 AP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통신 설정이 필요하다.
디바이스를 AP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에서 AP의 식별정보(예컨대 AP의 SSID)를 입력하는 통신 설정 작업이 필요하며,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신 설정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70 내지 80초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AP에 연결해야 할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반복적인 통신 설정 작업이 필요하며, 더욱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AP 변경 등으로 인하여 디바이스가 AP와 통신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디바이스를 AP에 연결하는 통신 설정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하며, 동일한 AP에 연결되는 디바이스가 많은 경우 이러한 통신 설정 작업을 반복해서 수행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즉 실질적으로 동시에 통신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신 설정 정보를 가족 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별도의 통신 설정 작업 없이도 가족 구성원이 주변의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AP가 교체되거나 AP와 연결이 끊어져서, AP와의 통신 설정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통신 설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통신 연결 지원 방법은, 통신으로 연결된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의 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연결된 것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기 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통신 연결 지원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은, 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전자장치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세스포인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하는 동작;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SSID 및 패스워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제조시 상기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AP와 연결이 끊어진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디바이스 관리 방법은, 전자장치에서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에서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동작;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에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버의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는 동작;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시, 통신으로 연결된 액세스포인트(AP)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의 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연결된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기 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시, 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액세스포인트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세스포인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하는 동작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SSID 및 패스워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식별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제조시 상기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이 끊어진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을 지원하는 전자장치 및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통신 연결하고, 상기 전자장치는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전자장치에게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서버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하는 동작,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디바이스 제조 시 상기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액세스포인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전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연결된 것을 상기 전자장치가 검출하고,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시,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에 통신 연결된 것을 상기 전자장치가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전자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 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서버의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는 UI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AP에 연결하는 UI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통신 설정하는 UI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통해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통신 설정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통해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통신 설정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AP가 교체됨에 따라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에 대해 통신 설정 과정을 다시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통해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통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및 TV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및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및 공기 청정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 이다.
전자장치(2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210), 통신부(220), (가입자 식별 모듈(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부(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 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및 모터(2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신부(220) 및 메모리(2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NFC 모듈(228) 및 RF 모듈(2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장치(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프로세서(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 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장치(2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10)가 실행시,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전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에 연결된 것을 전자장치가 검출하고, 전자장치와 연결된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에게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는 액세스포인트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는 전자장치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10)가 실행시,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장치(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컬러(color) 센서(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201)는 프로세서(2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252), (디지털) 펜 센서(254), 키(2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마이크(예: 마이크(2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프로젝터(266),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2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2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2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장치(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272), USB(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6), 또는 D-sub(D-subminiature)(2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전자장치(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전자장치(2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2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예: 전자장치(201))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412)는 프로세서(4121), 통신부(4123), 메모리(4125) 및 출력부(4129)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21)는 디바이스(41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121)는 통신부(4123) 및 메모리(4125)를 제어한다. 프로세서(412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통신부(4123)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컨대 WiFi)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AP 및 전자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4125)는 통신부(4123)를 통해 수신된 AP 식별정보 및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125)는 프로세서(4121)가 실행 시, 상기 메모리(4125)에 저장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하는 동작,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는 디바이스 제조시 디바이스의 메모리(4125)에 저장될 수 있다. 제 1 데이터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데이터는 전자장치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27)는 예컨대 물리적인 버튼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디바이스가 통신 설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4129)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피드백(feedback)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전자장치(201), 제 2 전자장치(202),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 액세스포인트(AP)(420, 422) 및 서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
전자장치(201)는 외부 전자장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201)는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의 통신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201)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장치(201)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전자장치(201)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410)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412)는 상기 전자장치(201)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201)에 통신 연결하고, 상기 전자장치(201)는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410)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412)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410)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412)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바이스(410)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412)는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410), 상기 제 2 디바이스(412) 및 상기 전자장치(201)에게 상기 전자장치(201)의 제 2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410)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412)는 상기 서버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201)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전자장치(201)는 예컨대 사용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AP(420, 422)에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부를 통해 서버(43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자장치(201)가 AP(420, 422)에 연결되는 경우, 전자장치(201)는 AP(420, 422)를 통해 서버(430)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하고자 하는 AP의 식별정보(예컨대, SSID) 및 패스워드를 전자장치(201)에 입력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201)는 사용자가 입력한 AP의 식별정보 및 패스워드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AP(420)에 연결하기 위해 SSID로 'KHOME' 을 패스워드로, '1234'를 입력하고, 전자장치(201)는 입력된 'KHOME' 및 '1234'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WiFi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액세스 포인트(4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AP(420)를 통해 서버(4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댁내에 있는 가전 제품, 예컨대 전자레인지(MWO: Micro Wave Oven), 냉장고, 세탁기 또는 에어컨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기 설정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는 예컨대 전자장치(201)가 AP 모드로 동작하면서 브로드캐스팅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예컨대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는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는 디바이스 제조시 제조업체에 의해 부여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제조업체에서 제조한 디바이스의 경우 동일한 제 1 데이터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하나의 제조업체가 제조한 것이면 디바이스(410), 디바이스(412) 및 디바이스(414)의 제 1 데이터는 동일 할 수 있다.
한편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정보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를 직접 조작하여 디바이스를 AP(420)에 연결시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AP(420)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가 AP(420)의 식별정보(예컨대 SSID)를 알아야 한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전자장치(201)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전자장치(201)로부터 AP(420)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201)를 AP 모드로 동작시키는 경우, 전자장치(201)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기 설정된 값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는 디바이스에 저장된 디바이스의 제 1 데이터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를 소프트 AP 모드로 동작시키고,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를 통신 설정 모드로 동작시키는 경우,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201)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전자장치(201)를 AP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장치에서 통신설정 앱(App)을 실행시킬 수 있다. 통신설정 앱은 디바이스 제조업체에서 제공되거나 또는 제 3 자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201)에서 통신설정 앱을 실행시키면 전자장치(201)는 AP 모드로 동작하면서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에 저장된 제 1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사용자는 통신설정 앱 실행 전에 서버(430)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1)는 통신 연결되어 있는 AP(420)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전자장치(201)가 브로드캐스팅한 전자장치(201)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의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201)에게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다. 전자장치(201)가 연결을 승인하면, 전자장치(201)와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전자장치(201)에 연결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예컨대 '에어컨', '냉장고' 등)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전자장치(20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장치(20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연결된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에게 AP(420)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일괄적'의 의미는 '동시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전자장치(201)로부터 AP(42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AP(42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AP(420)에 연결할 수 있다.
AP(420)는 서버(4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AP(420)에 연결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AP(420)를 통해 서버(430)에 연결될 수 있다.
서버(430)는 댁내의 디바이스를(예컨대 가전제품, IoT)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430)는 AP(420)에 연결된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의 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모델명 등)를 저장하여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를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서버(430)는 사용자 계정(User Account)을 생성하여 댁내에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기 위해서는 계정 정보가 있어야 된다. 계정 정보는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201)는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에게 계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430)는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연결되면, 계정 정보를 통해 서버(430)의 사용자 계정에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를 등록할 수 있다. 서버는 전자장치(201)에게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서버(430)에 등록되면, 사용자는 전자장치(201)를 통해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430)에 에어컨(410)이 연결된 경우, 서버(430)는 에어컨의 온도 및 동작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30)는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여 댁내에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장치(201)를 통해 서버(430)의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여 계정에 등록된 에어컨(4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전자장치(202)는 사용자와 계정이 연동되거나 계정이 공유될 수 있다. 제 2 전자장치(202)는 예컨대 가족 구성원의 전자장치 일 수 있다.
제 2 전자장치(202)가 전자장치(201)의 사용자 계정을 공유 또는 사용자 계정과 연동되는 경우, 제 2 전자장치(202)는 는 별도의 디바이스 등록과정 없이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자장치(202)는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를 전자장치(202)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계정으로 복사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전자장치(202)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이하 '제 2 사용자 계정'으로 칭함)에 제 1 전자장치(201)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이하 '제 1 사용자 계정'으로 칭함)에는 없는 제 3의 디바이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 1 전자장치(201)는 계정 연동을 통해 제 3의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정보를 제 1 사용자 계정에 추가함으로써 계정 정보를 갱신(update)할 수 있다.
한편 서버(430)에 연결되는 AP(420)가 AP(422)로 교체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서버(430)와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서버(430)와 연결이 끊어지면, 기 설정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201)와 연결할 수 있다.
전자장치(201)는 새로운 AP(422)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전자장치(201)가 다시 연결되면 새로운 AP(422)의 식별정보를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로 전송하고,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AP(422)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AP(422) 연결되고, 서버(430)와 다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서버(430)에 등록되면 서버(430)는 연결된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 및 전자장치(201)에게 새로운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새로운 식별정보(410, 412, 414)는 최초에 디바이스 제조시 부여된 식별정보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초에 디바이스 제조시 부여된 식별정보는 SSID가 'SamsungHome', 패스워드가 '1234' 이고, 서버(430)가 새롭게 부연한 식별정보는 SSID가 'SamsungHome_01', 패스워드가 '5678' 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 및 전자장치(201)는 서버가 부여한 새로운 식별정보(이하 '제 2 식별정보' 로 칭함)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서버(430)와 연결이 끊어져서 다시 통신 설정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201)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대로 전자장치(201)와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가 통신 설정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동일한 식별정보를 다른 사용자가 사용함으로 인해 다른 디바이스가 사용자 계정에 잘 못 등록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최초 디바이스 제조시 부여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201)에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바이스(410, 412, 414에 포함된 특정 버튼(예컨대 '이지셋업(easy setup)' 버튼)을 누르는 경우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는 최초로 부여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201)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는 전자장치(201)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1)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최초 부여된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한편 댁내 디바이스 중 일부가 전자장치(201)와 거리가 멀리 떨어져, 전자장치(201)와 직접 연결될 수 없는 경우에는 디바이스간 메시(mesh) 통신을 이용하여 AP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201), 제 2 전자장치(202), 제 1 디바이스(410), 제 2 디바이스(412), 제 3 디바이스(414), 액세스포인트(AP)(420, 422) 및 서버(43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412)와 전자장치(201)과 직접 통신 연결이 가능하다. 디바이스(410, 414)는 전자장치(201)와 거리가 멀어 직접 통신 연결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디바이스(412)는 전자장치(201)로부터 AP(42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바이스(410)로 전송하고, 디바이스(410)는 AP(420)의 식별정보를 다시 디바이스(414)로 전송한다.
디바이스(410, 414)는 수신한 AP(420)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AP(42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AP(420)에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서버의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는 UI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자장치(201)의 화면(501)에 사용자가 입력한 계정 ID(503) 및 패스워드(505)가 표시되어 있다.
전자장치(201)가 통신 설정 앱을 실행시키면 서버(430)는 화면(501)에 계정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501)에 계정 ID(503) 및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정 ID(503) 및 패스워드(505)를 입력하면 서버(430)의 사용자 계정에 접속할 수 있다. 계정 ID(503)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일 수 있다.
사용자가 계정 ID(503) 및 패스워드(505)를 입력하여,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자장치(201)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AP에 연결하는 UI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511)에 AP 식별정보 입력 버튼(513) 및 사용자가 입력한 AP 식별정보(515, 517)가 도시되어 있다.
AP 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AP의 SSID(515) 및/또는 패스워드(51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AP에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화면(511)에는 AP의 SSID(515) 및 패스워드(517) 입력을 요구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SSID(515) 및 패스워드(517)를 입력하면 AP는 입력된 SSID(515) 및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전자장치를 인증하고, 전자장치는 AP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된 AP의 SSID(515) 및 패스워드(517)는 전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AP의 SSID 및 패스워드는 전자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전자장치는 복수의 디바이스에게 AP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SSID를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화면에 연결 가능한 AP 리스트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리스트에 표시된 AP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SSID를 입력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통신 설정하는 UI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통신 설정 앱을 실행하면 전자장치는 서버의 계정에 접속하고, 화면(521)에는 버튼(52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523)을 선택하면, 전자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525, 527)의 리스트가 화면(521)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화면(531)에 현재 연결된 디바이스의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533)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리스트에 표시된 디바이스에게 AP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는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AP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AP에 연결하고, AP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서버는 연결된 디바이스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고, 등록이 완료되면 화면(541)에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543, 54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통해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통신 설정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AP(420), 서버(430), 전자장치#1(201),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 및 전자장치#2(202)가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1(412)는 제 1 디바이스이다. 디바이스#2(410)는 제 2 디바이스이다. 디바이스#3(414)는 제 3 디바이스이다. 전자장치#1(201)는 외부 전자장치 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AP(420)에 연결하기 위한 AP(420)의 SSID는 'KHome', 패스워드는 '1234'로 가정한다. 디바이스(410, 412, 414)가 제조시 제조업체로부터 부여 받은 제 1 데이터, 예컨대 SSID는 'SamsungHome', 패스워드는 '1234'로 가정한다. 전자장치#1(201)가 AP 모드로 동작할 때, 전자장치#1(201)의 SSID는 'SamsungHome', 패스워드는 '1234'로 가정한다.
동작 701에서 사용자가 전자장치에서 통신 설정 앱을 실행하여 디바이스 일괄 추가 명령을 입력하면, 동작 702에서 전자장치는 연결할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SSID로 'KHome', 패스워드로 '1234'를 입력하고, 전자장치#1(201)는 입력된 'KHome' 및 패스워드 '1234'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703에서 SSID 'SamsungHome', 패스워드 '1234'인 AP로 일정 시간 동작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201)는 'SamsungHome'을 브로드캐스팅 한다.
디바이스#1(412)는 동작 704에서 연결 시작 모드로 동작을 하면서 제조시 부여된 SSID 및 패스워드(예컨대 'SsamsungHome', '1234')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201)에 연결시도를 한다. 디바이스#1(412)는 동작 707에서 전자장치#1(201)에 연결을 위한 승인 요청을 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710에서 디바이스#1(412)에 대해 승인을 하고, 디바이스#1(412)는 전자장치#1(201)와 연결된다.
디바이스#2(410)는 동작 705에서 연결 시작 모드로 동작을 하면서 제조시 부여된 SSID 및 패스워드(예컨대 'SsamsungHome', '1234')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201)에 연결시도를 한다. 디바이스#2(410)는 동작 708에서 전자장치#1(201)에 연결을 위한 승인 요청을 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711에서 디바이스#2(410)에 대해 승인을 하고, 디바이스#2(410)는 전자장치#1(201)와 연결된다.
디바이스#3(414)는 동작 706에서 연결 시작 모드로 동작을 하면서 제조시 부여된 SSID 및 패스워드(예컨대 'SamsungHome', '1234')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201)에 연결시도를 한다. 디바이스#3(414)는 동작 709에서 전자장치#1(201)에 연결을 위한 승인 요청을 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712에서 디바이스#3(414)에 대해 승인을 하고, 디바이스#3(414)는 전자장치#1(201)와 연결된다.
전자장치#1(201)는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와 연결된 후,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에게 실질적으로 동시에 AP(420)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즉, 전자장치#1(201)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 713, 동작 714, 동작 715에서 에서 연결할 AP(420)의 정보(예컨대 SSID로 'KHome', 패스워드로 '1234')를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동작 716에서 댁내 설치되어 있는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의 댓수를 확인한 후, 스테이션(station)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고, 동작 717에서 AP(420)에 연결하고, 동작 718에서 AP(420)를 통해 서버(430)의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기 위해 서버(430)에게 계정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사용자 계정에 접속한다. 한편 전자장치는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면서 자신에게 연결된 댁내 디바이스의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할 수 있다.
디바이스#1(412)는 동작 719 및 동작 722에서 수신한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AP(420)에 연결하고, 동작 725에서 AP(420)를 통해 서버(430)에 연결 및 디바이스#1(412)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디바이스#2(410)는 동작 720 및 동작 723에서 수신한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AP(420)에 연결하고, 동작 726에서 AP(420)를 통해 서버(430)에 연결 및 디바이스#2(410)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디바이스#3(414)는 동작 721 및 동작 724에서 수신한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AP(420)에 연결하고, 동작 727에서 AP(420)를 통해 서버(430)에 연결 및 디바이스#3(414)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서버(430)는 동작 728에서 전자장치#1(201)에 대해 인증을 완료한다.
서버(430)는 동작 729에서 디바이스#1(412)에 대해 인증을 완료하고, 디바이스#1(412)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한다.
서버(430)는 동작 730에서 디바이스#2(410)에 대해 인증을 완료하고, 디바이스#2(410)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한다.
서버(430)는 동작 731에서 디바이스#3(414)에 대해 인증을 완료하고, 디바이스#3(414)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732에서 서버(430)에 등록된 디바이스(412, 10, 414)를 제어할 준비를 완료하고, 사용자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한편 제 2 전자장치(202)는 동작 741에서 서버(430)에 연결하고, 서버(430)에게 사용자 계정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430)는 동작 742에서 전자장치#1(201)에게 전자장치#2(202)에 대한 계정 연결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201)에 동작 743에서 전자장치#2(202)에 대해 계정 연결 승인을 하면, 서버(430)는 동작 744에서 전자장치#2(202)에 대해,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에 대한 정보 연동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메쉬(Mesh) 기술을 사용하여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통신 설정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AP(420), 서버(430), 전자장치#1(201),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 및 전자장치#2(202)가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1(412)는 제 1 디바이스이다. 디바이스#2(410)는 제 2 디바이스이다. 디바이스#3(414)는 제 3 디바이스이다. 전자장치#1(201)는 외부 전자장치 이다.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및 디바이스#3(414)는 메쉬 기술을 사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쉬 기술은 댁내가 넓은 경우 일부 디바이스가 댁내 공유기에 연결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각각의 디바이스간 통신으로 커버리지(coverage)를 확장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412)와 디바이스#2(410)는 통신으로 연결되며 디바이스#1(412) 및 디바이스#2(410)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2(410)와 디바이스#3(414)는 통신으로 연결되며 디바이스#2(410) 및 디바이스#3(414)는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전자장치#1(201)는 디바이스#1(412)와는 직접 통신이 가능하나, 디바이스#2(410) 및 디바이스#3(414)는 거리가 멀어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디바이스#1(412) 및 디바이스#2(410)는 AP(420)와 직접 통신이 가능하나, 디바이스#3(414)는 거리가 멀어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설명의 편의상 AP(420)에 연결하기 위한 AP(420)의 SSID는 'KHome', 패스워드는 '1234'로 가정한다. 디바이스(410, 412, 414)가 제조시 제조업체로부터 부여 받은 제 1 데이터, 예컨대 SSID는 'SamsungHome', 패스워드는 '1234'로 가정한다. 전자장치#1(201)가 AP 모드로 동작할 때, 전자장치#1(201)의 SSID는 'SamsungHome', 패스워드는 '1234'로 가정한다.
동작 801에서 사용자가 전자장치에서 통신 설정 앱을 실행하여 디바이스 일괄 추가 명령을 입력하면, 동작 803에서 전자장치는 연결할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SSID로 'KHome', 패스워드로 '1234'를 입력하고, 전자장치#1(201)는 입력된 'KHome' 및 패스워드 '1234'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805에서 SSID 'SamsungHome', 패스워드 '1234'인 AP로 일정 시간 동작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201)는 'SamsungHome'을 브로드캐스팅 한다.
디바이스#1(412)는 동작 807에서 연결 시작 모드로 동작을 하면서 제조시 부여된 SSID 및 패스워드(예컨대 'SsamsungHome', '1234')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201)에 연결 시도를 한다.
디바이스#2(410)는 동작 809에서 연결 시작 모드로 동작을 하면서 제조시 부여된 SSID 및 패스워드(예컨대 'SsamsungHome', '1234')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201)에 연결 시도를 한다.
디바이스#3(414)는 동작 811에서 연결 시작 모드로 동작을 하면서 제조시 부여된 SSID 및 패스워드(예컨대 'SsamsungHome', '1234')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201)에 연결 시도를 한다.
디바이스#1(412)는 동작 815에서 전자장치#1(201)에 연결을 위한 승인 요청을 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813에서 디바이스#1(412)에 대해 승인을 하고, 디바이스#1(412)는 전자장치#1(201)와 연결된다. 디바이스#1(412)가 전자장치#1(201)과 통신 연결되면, 전자장치#1(201)는 동작 821에서 디바이스#1(412)에게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전송한다.
한편 디바이스#2(410)는 동작 809에서 전자장치#1(201)과 거리가 멀어 전자장치#1(201)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받기 어려운 상태에 있으며, 동작 817에서 디바이스#1(412)를 통해 전자장치#1(201)의 SSID 및 패스워드를 공유 받는다.
디바이스#3(414)는 동작 819에서 전자장치#1(201)과 거리가 멀어 전자장치#1(201)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받기 어려운 상태에 있으며 동작 819에서 디바이스#1(412) 및 디바이스#2(410)을 통해 전자장치#1(201)의 SSID 및 패스워드를 공유 받는다.
디바이스#2(410)은 동작 823에서 메쉬 기술을 활용하여 디바이스#1(412)로부터 AP(420)에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예컨대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공유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바이스#3(414)도 동작 825에서 메쉬 기술을 활용하여 디바이스#2(410)으로부터 AP(420)에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를 공유 받을 수 있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827에서 댁내 설치되어 있는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의 댓수를 확인한 후, 스테이션(station)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고, 동작 827에서 AP(420)에 연결하고, 동작 831에서 AP(420)를 통해 서버(430)의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기 위해 서버(430)에게 계정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사용자 계정에 접속한다.
한편 전자장치는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면서 자신에게 연결된 댁내 디바이스의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할 수 있다.
디바이스#1(412)는 동작 833 및 동작 839에서 전자장치(420)로부터 수신한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AP(420)에 연결하고, 동작 845에서 AP(420)를 통해 서버(430)에 연결 및 디바이스#1(412)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디바이스#2(410)는 동작 835 및 동작 841에서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AP(420)에 연결하고, 동작 847에서 AP(420)를 통해 서버(430)에 연결 및 디바이스#2(410)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한편 디바이스#3(414)는 동작 837에서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AP(420)에 연결하고 거리가 멀어 AP(420)에 직접 연결하기 어려운 경우, 동작 843에서 정보를 공유한 인접한 디바이스#2(410)에 연결하고, 디바이스#2(410)을 통해 동작 849에서 서버(430)에 연결 및 디바이스#3(414)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서버(430)는 동작 851에서 전자장치#1(201)에 대한 계정 인증을 완료한다.
서버(430)는 동작 853에서 디바이스#1(412)에 대해 인증을 완료하고, 디바이스#1(412)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한다.
서버(430)는 동작 855에서 디바이스#2(410)에 대해 인증을 완료하고, 디바이스#2(410)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한다.
서버(430)는 동작 857에서 디바이스#3(414)에 대해 인증을 완료하고, 디바이스#3(414)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859에서 서버(430)에 등록된 디바이스(412, 10, 414)를 제어할 준비를 완료하고, 사용자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2(202)는 동작 871에서 서버(430)에 연결하고, 서버(430)에게 사용자 계정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430)는 동작 873에서 전자장치#1(201)에게 전자장치#2(202)에 대한 계정 연결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201)에 동작 875에서 전자장치#2(202)에 대해 계정 연결 승인을 하면, 서버(430)는 동작 877에서 전자장치#2(202)에 대해,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에 대한 정보 연동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AP가 교체됨에 따라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에 대해 통신 설정 과정을 다시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AP(420), AP(422), 전자장치(201) 및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가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1(412)는 제 1 디바이스이다. 디바이스#2(410)는 제 2 디바이스이다. 디바이스#3(414)는 제 3 디바이스이다. 전자장치#1(201)는 외부 전자장치 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AP(420)에 연결하기 위한 AP(420)의 SSID는 'KHome', 패스워드는 '1234'로 가정한다.
AP(422)에 연결하기 위한 AP(422)의 SSID는 'KHome2', 패스워드는 '2345'로 가정한다.
디바이스(410, 412, 414)가 제조시 제조업체로부터 부여 받은 제 1 데이터, 예컨대 SSID는 'SamsungHome', 패스워드는 '1234'로 가정한다. 전자장치#1(201)가 AP 모드로 동작할 때, 전자장치#1(201)의 SSID는 'SamsungHome', 패스워드는 '1234'로 가정한다.
최초에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는 AP(420)에 연결되었으나 AP(422)로 교체되어 AP(420)와는 연결이 끊어진 상황을 가정한다.
동작 901에서 AP(420)이 AP(422)로 교체됨에 따라 AP의 식별정보가 변경된다
디바이스#1(412)는 AP(420)와 연결이 끊어지면서 동작 903에서 주기적으로 AP를 검색한다.
디바이스#2(410)는 AP(420)와 연결이 끊어지면서 동작 905에서 주기적으로 AP를 검색한다.
디바이스#3(414)는 AP(420)와 연결이 끊어지면서 동작 907에서 주기적으로 AP를 검색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909에서 새롭게 연결할 AP(422)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SSID로 'KHome2', 패스워드로 '2345'를 입력하고, 전자장치#1(201)는 입력된 'KHome2' 및 패스워드 '2345'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911에서 SSID 'SamsungHome', 패스워드 '1234'인 AP로 일정 시간 동작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201)는 'SamsungHome'을 브로드캐스팅 한다.
디바이스#1(412)는 동작 913에서 제조시 부여된 SSID 및 패스워드(예컨대 'SsamsungHome', '1234')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201)에 연결을 위한 승인 요청을 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919에서 디바이스#1(412)에 대해 승인을 하고, 디바이스#1(412)는 전자장치#1(201)와 연결된다.
디바이스#2(410)는 동작 915에서 제조시 부여된 SSID 및 패스워드(예컨대 'SsamsungHome', '1234')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201)에 연결을 위한 승인 요청을 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921에서 디바이스#2(410)에 대해 승인을 하고, 디바이스#2(410)는 전자장치#1(201)와 연결된다.
디바이스#3(414)는 동작 917에서 제조시 부여된 SSID 및 패스워드(예컨대 'SamsungHome', '1234')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201)에 연결을 위한 승인 요청을 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923에서 디바이스#3(414)에 대해 승인을 하고, 디바이스#3(414)는 전자장치#1(201)와 연결된다.
전자장치#1(201)는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와 연결된 후,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에게 실질적으로 동시에 AP(422)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즉, 전자장치#1(201)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 925, 동작 927, 동작 929에서 연결할 AP(422)의 정보(예컨대 SSID로 'KHome2', 패스워드로 '2345')를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및 디바이스#3(414)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동작 931에서 댁내 설치되어 있는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의 댓수를 확인한 후, 스테이션(station)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고, 동작 933에서 AP(422)에 연결한다.
디바이스#1(412)는 동작 935 및 동작 941에서 AP(422)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AP(422)에 연결한다.
디바이스#2(410)는 동작 937 및 동작 943에서 AP(422)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AP(422)에 연결한다.
디바이스#3(414)도 마찬가지로 동작 939에서 AP(42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AP(422)에 연결한다.
전자장치#1(201)는 동작 945에서 서버(430)에 등록된 디바이스(412, 10, 414)를 제어할 준비를 완료하고, 사용자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서버(430)는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에 대해 인증을 완료하고, 디바이스#1(412), 디바이스#2(410), 디바이스#3(414)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고, 동작 947에서 연결된 AP(422)의 정보를 갱신한다.
도 10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통해 복수의 댁내 디바이스를 일괄적으로 통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동작 1001에서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액세스포인트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액세스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해 액세스포인트의 SSID 및/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전자장치는 입력된 SSID 및/또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동작 1003에서 전자장치의 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는 전자장치가 AP모드로 동작할 때 전자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며, 예컨대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자신의 SSID를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 사용자가 전자장치에서 통신 설정 앱을 실행시키면, 디바이스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기 설정된 식별정보(예컨대 SSID)가 브로드캐스팅 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의 SSID는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데이터와 동일할 수 있다. 전자장치 주변에 위치한 디바이스는 전자장치가 브로드캐스팅한 SSID를 수신하여, 전자장치를 식별하고,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하고, 통신 연결에 대한 승인을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가 브로드캐스팅하는 SSID가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 1 데이터와 동일하므로, 디바이스는 전자장치에게 자신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제품명 또는 모델명)을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자장치는 디바이스에게 패스워드를 요청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패스워드를 전자장치에게 전송하고, 전자장치는 이를 수신하여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을 승인할 수 있다. 승인이 완료되면 디바이스는 전자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동작 1005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에 연결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는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에 통신 연결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자신과 통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검출하여,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동작 1007에서 전자장치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게 AP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는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통신 연결된 경우,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에게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예컨대 SSID)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전자장치는 AP에 연결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디바이스에게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는 전자장치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통신 연결된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예컨대 제 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 및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 또는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자장치,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201, 202 : 전자장치
410, 412, 414 : 디바이스
420, 422 : 액세스포인트(AP)
430 : 서버

Claims (19)

  1.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통신 설정을 지원하는 전자장치 및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통신 연결하고, 상기 전자장치는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 연결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전자장치에게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서버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하는, 시스템.
  3.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하는 동작,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디바이스 제조 시 상기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액세스포인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전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연결된 것을 상기 전자장치가 검출하고,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전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SS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SS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시,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전자장치.
  10.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에 통신 연결된 것을 상기 전자장치가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 전자장치가 통신 연결된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동작;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가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통신 설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동작;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디바이스, 상기 제 2 디바이스 및 상기 전자장치에게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통신 설정 방법.
  13.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하는 동작;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제 2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제조 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16.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동작;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통신 연결된 것을 상기 전자장치가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통신 연결 지원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식별정보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의 SS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통신 설정 지원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SS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통신 설정 지원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통신 설정 지원 방법.
KR1020170046844A 2017-04-11 2017-04-11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844A KR102314690B1 (ko) 2017-04-11 2017-04-11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US15/923,362 US11032862B2 (en) 2017-04-11 2018-03-16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multiple devices
EP18163409.8A EP3389332B1 (en) 2017-04-11 2018-03-22 Commissioning of a plurality of devices
PCT/KR2018/004252 WO2018190637A1 (ko) 2017-04-11 2018-04-11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844A KR102314690B1 (ko) 2017-04-11 2017-04-11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755A true KR20180114755A (ko) 2018-10-19
KR102314690B1 KR102314690B1 (ko) 2021-10-20

Family

ID=6191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844A KR102314690B1 (ko) 2017-04-11 2017-04-11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32862B2 (ko)
EP (1) EP3389332B1 (ko)
KR (1) KR102314690B1 (ko)
WO (1) WO20181906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36A1 (ko) * 2020-07-29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32A (ko) * 2018-12-17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JP7463765B2 (ja) 2020-02-28 2024-04-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接続補助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7413879B2 (ja) * 2020-03-26 2024-0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電子デバイス、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040976A1 (en) * 2020-08-26 2022-03-03 Arris Enterprises Llc Unifi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CA3200042A1 (en) * 2020-12-03 2022-06-09 Anderson WIESE Remote wi-fi protected setup for joining a wi-fi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69A (ko)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125A (ko) 2003-07-03 2005-01-13 주식회사 웰소프트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0736046B1 (ko) * 2005-09-07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접속 기록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액세스 포인트에결합하도록 가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US7738891B2 (en) * 2005-12-02 2010-06-15 Nokia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application access point settings
US7580701B2 (en) * 2005-12-27 2009-08-25 Intel Corporation Dynamic passing of wireless configuration parameters
US8000276B2 (en) * 2007-02-05 2011-08-16 Wefi, Inc. Providing easy access to radio networks
KR101418255B1 (ko) 2007-05-31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US8493947B2 (en) * 2009-04-30 2013-07-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ecting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 data flow metric
KR20110047764A (ko)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55976B1 (ko) * 2011-08-25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장치의 활성화
KR101844211B1 (ko) 2011-12-28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US9031050B2 (en) * 2012-04-17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mobile device to enable another device to connect to a wireless network
KR102062580B1 (ko) 2012-12-13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9351158B2 (en) * 2013-03-08 2016-05-24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Method for wireless easy connect
CA2905862A1 (en) * 2013-03-12 2014-10-09 Gthrive, Inc. Network setup for limited user interface devices
US9185641B2 (en) * 2013-07-16 2015-11-10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Using discoverable peer-to-peer services to allow remote onboarding of headless devices over a Wi-Fi network
KR102202660B1 (ko) 2013-09-23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3640B1 (ko) 2013-09-23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5054254A1 (en) 2013-10-07 2015-04-16 Google Inc. Hazard detection unit facilitating user-friendly setup experience
KR102136543B1 (ko) 2013-12-17 202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93887A1 (ko) 2013-12-20 2015-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10823B1 (ko) 2013-12-20 2021-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홈 디바이스를 위한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2210748B1 (ko) 2013-12-20 2021-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32245B1 (ko) 2014-03-19 2020-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게이트웨이에서 스마트 플러그와 연결된 전자장치의 자동 매핑 방법 및 그 장치
US9918351B2 (en) * 2014-04-01 2018-03-13 Belkin International Inc. Setup of multiple IOT networks devices
US10314088B2 (en) * 2014-04-16 2019-06-04 Belkin International, Inc. Associating devices and users with a local area network using network identifiers
KR20160009207A (ko) 2014-07-15 2016-01-26 정현근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596603B2 (en) * 2014-08-01 2017-03-14 Qualcomm Connected Experiences, Inc. Distributed bulk onboarding process
KR101631435B1 (ko) * 2014-09-05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63666A (ko) 2014-11-27 2016-06-07 (주)메이딧 스마트플러그 인증 및 등록 방법
EP3241390A1 (en) 2014-12-30 2017-11-08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ocating a mobile device
KR101566339B1 (ko) 2015-01-09 2015-11-05 주식회사 스마트구루 연결정보를 이용한 기기 간 상호 연결 방법 및 장치
US10425276B2 (en) 2015-04-23 2019-09-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Provisioning an appliance for network connectivity
CN105933899B (zh) * 2016-04-14 2019-07-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接入点的接入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69A (ko)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36A1 (ko) * 2020-07-29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9332B1 (en) 2020-05-27
US11032862B2 (en) 2021-06-08
US20180295662A1 (en) 2018-10-11
WO2018190637A1 (ko) 2018-10-18
KR102314690B1 (ko) 2021-10-20
EP3389332A1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55508B (zh) 电子设备以及与外部电子设备进行混合通信的方法
KR102314690B1 (ko)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2390046B1 (ko) IoT 장치의 무선 라우터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라우터,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650444B1 (ko)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스마트 홈 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EP30692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US20160057553A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160277878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70129B1 (ko) 무선 제어 방법, 그 제어 장치 및 서버
KR102340917B1 (ko) 전자 장치 및 그 연결 방법
KR10224734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일시적 언락 방법
EP3300296B1 (en) Electronic device and gatewa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60066326A1 (en) Communication channel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550591B1 (ko) 전자 장치에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KR20150106233A (ko) 복수의 전자 장치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9820145B2 (en) Registration setting suppor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037298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area
KR102226522B1 (ko)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73242A (ko) 근거리 통신을 통해 스캔을 요청 또는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855534B (zh) 在智能家庭系统中用于搜索和控制受控者的方法和设备
CN106105279B (zh) 设备之间呼叫转移的方法
US10511967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50026775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33174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mediating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US20200068658A1 (en) Communication configu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thereof
KR10220681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기지국 리스트를 관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