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748B1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748B1
KR102210748B1 KR1020140101259A KR20140101259A KR102210748B1 KR 102210748 B1 KR102210748 B1 KR 102210748B1 KR 1020140101259 A KR1020140101259 A KR 1020140101259A KR 20140101259 A KR20140101259 A KR 20140101259A KR 102210748 B1 KR102210748 B1 KR 102210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home
home device
informa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827A (ko
Inventor
김준형
김세훈
공동건
천재익
손유미
윤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69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850076B/zh
Priority to PCT/KR2014/012562 priority patent/WO2015093887A1/ko
Priority to US15/106,028 priority patent/US9992677B2/en
Priority to EP14872138.4A priority patent/EP3086506B1/en
Publication of KR2015007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기기로부터 접속 토큰(token)의 수신에 사용되는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 기기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ID: identifier)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코드와 상기 사용자 ID를 상기 제어 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토큰을 수신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와, 상기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와, 상기 제어 기기가 위치하는 국가에 대한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국가 코드(country code)를 상기 제어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접속 토큰,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RATING A HOME DEVICE TO A SERVER IN A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 내에 설치된 홈 디바이스(device)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발전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들을 홈 게이트웨이(HGW: Home Gateway)를 통해 통합하여 외부의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 일례로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즉 인터넷)로 연결함으로써, 인터넷과 연계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댁 외에서 댁 내의 홈 디바이스들과 연결하여 제어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야만 하는데, 이는 동일한 제어 서비스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댁 내와 댁 외의 제어 방법 및 절차가 달라 사용성(Usability)이 저해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댁 내와 댁 외에 상관 없이 동일한 방법 및 절차에 따라 다양한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제어기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직접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버에 등록된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기기로부터 접속 토큰(token)의 수신에 사용되는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 기기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ID: identifier)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 코드와 상기 사용자 ID를 상기 제어 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와, 상기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와, 상기 제어 기기가 위치하는 국가에 대한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국가 코드(country code)를 상기 제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토큰,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기기가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상기 제어 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 기기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ID: identifier)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ID(UUID: unique user ID) 및 기기 정보를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할 상기 피어 ID와, 상기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와, 상기 제어 기기가 위치하는 국가에 대한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국가 코드(country Code)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및 기기 정보를 제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할 피어 식별자(ID: identifier)(peerID)를 상기 제어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피어 ID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계정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상기 계정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token)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ID: identifier)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인증 코드가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한 인증 코드와 동일한지 확인하고, 상기 두 인증 코드가 동일할 경우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할 상기 접속 토큰을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상기 연결 서버가,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식별자(ID: identifier)(peerID)와, 상기 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와, 상기 제어기기가 위치하는 국가에 대한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국가 코드(countryCode)와, 상기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접속 토큰을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응하여 로그인에 성공했음을 알리는 로그인 응답을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되면,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홈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기기로부터, 접속 토큰(token)의 수신에 사용되는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ID: identifier)를 수신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토큰을 수신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와, 상기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와, 상기 제어기기가 위치하는 국가에 대한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국가 코드(country code)를 상기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인증 코드와 상기 사용자 ID를 상기 계정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접속 토큰,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하도록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제어기기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상기 제어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를,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ID: Identifier)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ID(UUID: unique user identifier) 및 기기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할 상기 피어 ID와, 상기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와, 상기 제어기기가 위치하는 국가에 대한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국가 코드(country Code)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 및 기기 정보를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할 피어 식별자(ID: identifier)(peerID)를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어 ID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계정 서버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token)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제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인증 코드가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한 인증 코드와 동일한지 확인하고, 상기 두 인증 코드가 동일할 경우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할 상기 접속 토큰을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ID: identifier)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연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식별자(ID: identifier)(peerID)와, 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와, 상기 제어기기가 위치하는 국가에 대한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국가 코드(countryCode)와, 상기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접속 토큰을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응하여 로그인에 성공했음을 알리는 로그인 응답을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되면,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 통지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댁 내와 댁 외에 상관 없이 동일한 방법 및 절차에 따라 다양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교환되는 정보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들 간의 통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연결 서버에 로그인된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 간의 연결 설정 및 해제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기기가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계정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교환되는 정보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기기가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제어기기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계정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연결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댁 내와 댁 외 간에 연동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일례로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계정 서버(Account server), 연결 서버(Connectivity server), 푸시 서버(Push server), 펌웨어 관리 서버(Firmware management server)들 중 서비스 서버, 계정 서버 및 연결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과 상기 서비스 서버, 계정 서버 및 연결 서버 간에 연동하여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설명하기에 앞서 댁 내(혹은 댁 외) 설치된 홈 디바이스들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이미 연결된 상태라 가정한다. 즉 신규 구매된 홈 디바이스는 댁 내(혹은 댁 외) 최초 설치 시에 홈 네크워크 시스템, 일례로 제어기기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수행하며, 이때 제어기기는 신규 구매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와 피어 그룹 식별자(ID:Identifier)(peerGroup ID) 및 국가 코드(countryCode)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의 고유 ID인 고유 사용자 식별자(UUID: Unique User Identifier)와 그 밖에 타입(type), 이름(name), 디스크립션(description), 제조사(manufacturer), 모델 ID, 시리얼 번호(serialNumber), 판매 지역(salesLocation), 버전(versions) 등을 포함한다. 또한 peerGroup ID는 특정 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해서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지시하고, countryCode는 제어기기의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를 지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101), 제어기기 (103), 서비스 서버(105), 계정 서버(107), 연결 서버(109)를 포함한다.
제어기기(103)는 사용자가 홈 디바이스(101)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상기 홈 디바이스(101)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이며, 일례로 스마트 폰 등의 이동 단말이나 텔레비전(TV: Televison) 등이 될 수 있다.
홈 디바이스(101)는 댁 내(혹은 댁 외)에 위치하며 제어기기(103)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기기이며, 가전기기(Smart Appliance), 보안기기(security devices), 조명기구(Lighting devices), 에너지기기(Energy devices) 등을 포함한다. 일례로 가전기기는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로봇청소기, 가습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보안기기는 도어락, 보안 카메라,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보안 센서 등이 될 수 있고, 조명기구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 될 수 있고, 에너지기기는 난방기기, 전력측정기, 전력 소켓, 전기 콘센트, 멀티탭 등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홈 디바이스(101)는 개인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IP 카메라, 인터넷 전화, 유/무선 전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커튼, 블라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정 서버(107)는 제어기기(103)의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서버이며, 상기 계정 서버(107)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계정 서버(107)에 로그인하면 단일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이용해서 서비스 서버(105)와 연결 서버(109)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 서버(109)는 홈 디바이스(101)와 제어기기(103) 간 메시지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홈 디바이스(101)와 제어기기(103) 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레전스(Presence) 정보와 원격에서도 방화벽(Firewall)을 통과해 상호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T(NAT-Traversal)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계정 서버(107)와 연결 서버(109)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도 다른 서비스에도 활용될 수 있는 공용 서버이다. 이에 반해 서비스 서버(105)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서비스만을 위해 운용되는 서버로써, 홈 디바이스(101)의 정보 회람을 위한 홈 디바이스 기기 정보와 그 밖에 상기 홈 디바이스(101)의 제어를 위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어기기(103)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일례로 스마트 홈 앱(Smart Home App) 등을 이용해 서비스 서버(105)에 접속하여 홈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홈 디바이스 정보를 회람 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홈 디바이스들의 일괄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제어 정보를 회람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제어기기(103)를 통해 홈 디바이스(101)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홈 디바이스(101)를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일례로 설명하나, 도 1에서 설명하는 절차는 댁내(또는 댁외) 설치 가능한 모든 홈 디바이스들 각각을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기기(103)는 스마트 홈 앱을 실행하고, 상기 스마트 홈 앱의 실행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기(103)는 계정 서버(107)에 자동으로 로그인(Login) 된다.(102단계) 여기서는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자(ID: Identifier) 및 패스워드를 통해 제어기기(103)가 계정 서버(107)에 자동으로 로그인 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제어기기(103)는 선택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계정 서버(107)에 로그인할 수도 있다. 또한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로그아웃(Logout) 되지 않는 한 일정 기간 유지되므로, 상기 로그인 정보가 유지되는 유효기간 내에는 매번 계정 서버(107)에 로그인하지 않아도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유효기간 내에는 추가적인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도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기기(103)는 댁 내(혹은 댁 외) 위치한 홈 디바이스들을 발견(Discovery)하고 상기 발견한 홈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홈 디바이스들 중 계정 서버(107)에 등록할 홈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며, 여기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홈 디바이스가 도시된 홈 디바이스(101)라 가정한다.
제어기기(103)는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홈 디바이스(101)와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Device to Device)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04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의 발견, 정보 수집 및 D2D인증 절차는 홈 디바이스(101)를 계정 서버(107)에 등록하기에 앞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동작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술하고자 하는 내용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기기(103)는 홈 디바이스(101)를 서비스 서버(105)에 등록하기 위해, 상기 계정 서버(107)에 인증 코드(Authentication Code) 요청을 전송하고,(106단계) 상기 계정 서버(107)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코드를 발급하여 제어기기(103)로 전송한다.(108단계) 상기 인증 코드는 홈 디바이스(101)가 계정 서버(107)로부터 접속 토큰(Access token)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접속 토큰은 홈 디바이스(101)가 연결 서버(109)에 접속할 때, 연결 서버(109)가 홈 디바이스(101)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제어기기(103)가 인증 코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동작을 구현하는 예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표 1은 상기 인증 코드 요청을 전송하는 메시지의 실시예(일례로 메시지 포맷)를 나타내고, 표 2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메시지의 실시예(일례로 메시지 포맷)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74550921-pat00001
Figure 112014074550921-pat00002
표 1 및 표 2는 제어기기(103) 내부의 구현에 대한 실시 예로서 실제 계정 서버(107)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절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기기(103) 내부에는 계정 서버(107)와의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Library) 형태의 연동 클라이언트, 일례로 계정 서버 클라이언트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제어기기(103)는 상기 연동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계정 서버(107)와 연동되는 서비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기기(103)의 스마트 홈 앱은 상기 연동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호출하고, 상기 연동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계정 서버(107)와 메시지를 교환한다.
또한 제어기기(103)는 계정 서버 등록 요청을 홈 디바이스(101)에게 전송한다.(110단계) 상기 계정 서버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메시지에는 계정 서버(107)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와 102단계에서 사용된 사용자 ID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기반의 RESTful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홈 디바이스(101)로 전달된다.
제어기기(103)가 RESTfu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계정 서버 등록 요청을 홈 디바이스(101)로 전달하는 메시지의 실시예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에서는 사용자 ID로 사용자의 이메일 ID(emailID)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사용자 ID는 그 밖에 사용자가 지정한 닉네임(Nickname), 주민번호, 전화번호와 같은 사용자 고유의 ID 등이 될 수도 있다. RESTful 프로토콜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프로토콜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112014074550921-pat00003
홈 디바이스(101)는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Refresh token), 전역 고유 식별자(GUID: Globally Unique Identifier)를 수신하기 위해, 제어기기(103)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계정 서버(107)에 전송한다.(112단계) 계정 서버(107)는 수신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가 상기 사용자 ID가 지시하는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발급한 인증 코드인지 검증한다. 즉 계정 서버(107)는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가 상기 108단계에서 발급한 인증 코드와 동일한지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가 상기 108단계에서 발급한 인증 코드와 동일하면, 계정 서버(107)는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가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발급한 인증 코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홈 디바이스(101)에게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GUID를 전송한다.(114단계) 여기서 GUID는 계정 서버(107)가 홈 디바이스(101)의 식별을 위해 별도로 할당하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또한 접속 토큰은 유효기간이 존재하여 미리 약속된 유효기간이 경과하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효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접속 토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유효기간 내에 상기 접속 토큰을 갱신하여야 한다. 상기 리프레시 토큰은 이러한 접속 토큰을 갱신하는데 사용된다. 접속 토큰을 갱신하는 절차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술하고자 하는 내용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코드와 같은 특정 키 값을 이용해 계정 서버(107)로부터 접속 토큰을 전달 받는 절차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명시하는 RFC (Request For Comment) 6749에서 상세히 기재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홈 디바이스(101)는 114단계에서 전송되는 접속 토큰을 수신하면, 상기 110단계에서 수신된 계정 서버 등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계정 서버 등록 응답을 제어기기(103)에 전송한다.(116단계) 이때 상기 계정 서버 등록 응답에는 계정 서버(107)에 홈 디바이스(101)를 등록하는데 성공하였음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계정 서버 등록 응답을 전송하는 메시지의 실시예(일례로 메시지 포맷)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한편 홈 디바이스(101)는 114단계에서 접속 토큰을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 디바이스(101)는 계정 서버(107)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전송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계정 서버(107)로부터 접속 토큰이 수신되지 않으면 홈 디바이스(101)를 등록하는데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계정 서버 등록 응답을 제어기기(103)에 전송한다. 여기서는 홈 디바이스(101)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접속 토큰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접속 토큰의 수신 여부는 그 밖의 다른 예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결정될 수 있다.
제어기기(103)는 홈 디바이스(101)와의 사전 절차를 통해 획득한 홈 디바이스(101)의 기기 정보를 서비스 서버(105)에 등록하기 위해, 홈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105)로 전송한다.(118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메시지에는 홈 디바이스(101)의 고유 ID인 UUID와 상기 홈 디바이스(101)의 기기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홈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메시지의 실시예(일례로 메시지 포맷)는 표4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4074550921-pat00004
서비스 서버(105)는 상기 홈 디바이스 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홈 디바이스 등록 응답을 제어기기(103)로 전송한다.(120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 등록 응답을 전송하는 메시지에는 피어 ID(peerID)가 포함되며, 상기 피어 ID는 연결 서버(109)가 홈 디바이스(101)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서버(105)가 할당하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서비스 서버(105)는 댁내(또는 댁외) 위치한 모든 홈 디바이스들 각각에게 고유한 값의 피어 ID를 할당한다.
제어기기(103)는 연결 서버 등록 요청을 홈 디바이스(101)에게 전송하고,(122단계) 홈 디바이스(101)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연결 서버 등록 응답을 상기 제어기기(103)로 전송한다.(124단계) 상기 연결 서버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메시지에는 서비스 서버(105)로부터 수신한 피어 ID와 홈 디바이스(101)와의 사전 절차를 통해 획득한 피어 그룹 ID, 국가 코드가 포함된다. 여기서 피어 그룹 ID는 특정 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해서 서비스 서버(105)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지시하는 것으로, 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해서 등록된 제어기기(103) 및 홈 디바이스(101)는 동일한 피어 그룹 ID를 갖는다. 국가 코드는 제어기기(103)의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를 지시한다.
상기 연결 서버 등록 요청과 상기 연결 서버 등록 응답을 전송하는 메시지의 실시예(일례로 메시지 포맷)는 표5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4074550921-pat00005
이후 홈 디바이스(101)는 제어기기(103)로부터 수신한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와 계정 서버(107)로부터 수신한 접속 토큰을 이용하여 연결 서버(109)에 로그인한다.(126단계)
도 1에서는 제어기기(103)를 통해 홈 디바이스(101)의 기기 정보를 서비스 서버(105)에 등록하는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홈 디바이스(101)는 서비스 서버(105)로의 등록을 위한 정보를 제어기기(103)로부터 미리 획득하여, 제어기기(103)를 통하지 않고 홈 디바이스(101)의 기기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05)에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홈 디바이스(101)의 기기 정보를 제어기기(103)를 통하지 않고 서비스 서버(105)에 직접 등록하는 절차는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교환되는 정보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201), 제어기기 (203), 서비스 서버(205), 계정 서버(207), 연결 서버(209)를 포함한다.
상기 홈 디바이스(201), 제어기기 (203), 서비스 서버(205), 계정 서버(207), 연결 서버(209) 각각의 예와 기능은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기기(203)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마트 홈 앱을 실행하고, 상기 스마트 홈 앱의 실행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기(203)는 계정 서버(207)에 자동으로 로그인 된다.(202단계)
제어기기(203)는 댁 내(혹은 댁 외) 위치한 홈 디바이스들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홈 디바이스(101)를 서비스 서버(105)에 등록하기 위해, 계정 서버(207)에 인증 코드 요청을 전송하고, 계정 서버(107)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코드를 발급하여 제어기기(203)로 전송한다.(204단계) 상기 인증 코드는 홈 디바이스(201)가 계정 서버(207)로부터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접속 토큰은 홈 디바이스(201)가 연결 서버(209)에 접속할 때, 연결 서버(209)가 홈 디바이스(201)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또한 제어기기(203)는 계정 서버 등록 요청을 통해 204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홈 디바이스(101)에게 전송한다.(206단계) 여기서 사용자 ID는 일례로 이메일 ID, 닉네임(Nickname), 주민번호,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홈 디바이스(201)는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GUID를 수신하기 위해, 206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계정 서버(207)로 전송한다.(208단계)
계정 서버(207)는 208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가 상기 사용자 ID가 지시하는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발급한 인증 코드인지 검증한다. 즉 계정 서버(207)는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가 상기 204단계에서 발급한 인증 코드와 동일한지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가 상기 204단계에서 발급한 인증 코드와 동일하면, 계정 서버(207)는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가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발급한 인증 코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홈 디바이스(201)에게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GUID를 전송한다.(210단계) 여기서 GUID는 계정 서버(207)가 홈 디바이스(201)의 식별을 위해 별도로 할당하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한편, 제어기기(203)는 홈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통해 홈 디바이스(201)의 기기 정보와 상기 홈 디바이스(201)의 고유 ID인 UUID를 서비스 서버(205)로 전송한다.(212단계) 여기서 홈 디바이스(201)의 기기 정보와 UUID는 홈 디바이스(201)를 댁 내(혹은 댁 외)에 최초 설치 시 제어기기(203)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홈 디바이스(201)로부터 획득된 정보이다.
서비스 서버(205)는 상기 홈 디바이스 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홈 디바이스 등록 응답을 통해 피어 ID를 제어기기(203)로 전송한다.(214단계) 여기서 피어 ID는 연결 서버(209)가 홈 디바이스(201)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서버(205)가 할당하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서비스 서버(205)는 댁 내(혹은 댁 외) 위치한 모든 홈 디바이스들 각각에게 고유한 값의 피어 ID를 할당한다.
제어기기(203)는 연결 서버 등록 요청을 통해 상기 214단계에서 수신한 피어 ID와 그 밖의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홈 디바이스(201)로 전송한다.(216단계) 여기서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는 홈 디바이스(201)를 댁 내(혹은 댁 외)에 최초 설치 시 제어기기(203)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홈 디바이스(201)로부터 획득된 정보이다.
이후 홈 디바이스(101)는 상기 210단계에서 수신한 접속 토큰과 상기 216단계에서 수신한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이용하여 연결 서버(209)에 로그인한다.(218단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들 간의 통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장치들, 즉 홈 디바이스(301), 제어기기(303), 서비스 서버(305), 계정 서버(307), 연결 서버(309)를 포함한다.
제어기기(303) 내부에는 연결 서버(309)와의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 형태의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302)와, 계정 서버(307)와의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 형태의 계정 서비스 클라이언트(304)와, 스마트 홈 앱(306)이 탑재된다.
홈 디바이스(301) 내부에는 연결 서버(309)와의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 형태의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308)와, 홈 디바이스(301)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일례로 홈 디바이스 앱(Home Device App)(310)이 탑재되며, 계정 서버(307)와의 통신을 위한 계정 서비스 클라이언트(304)는 탑재되지 않는다. 홈 디바이스(301)는 홈 디바이스 앱(310)을 통해 계정 서버(307)와 통신한다.
또한 제어기기(303)는 스마트 홈 앱(306)을 통해 서비스 서버(305)와 통신하고, 홈 디바이스(301)는 홈 디바이스 앱(310)을 통해 서비스 서버(305)와 통신한다.
제어기기(303)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홈 디바이스(301)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기기(303)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마트 홈 앱(306)을 실행하고, 상기 스마트 홈 앱(306)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홈 디바이스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메시지를 제어기기(303)에 탑재된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302)를 통해 연결 서버(309)로 전달한다.(312단계, 314단계)
홈 디바이스(301)는 상기 홈 디바이스(301)에 탑재된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308)를 통해 연결 서버(309)로부터 제어기기(303)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수신하고,(316단계) 상기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308)는 수신한 메시지를 홈 디바이스 앱(310)에 전달한다.(318단계)
즉 제어기기(303)와 홈 디바이스(301)는 양 기기에 탑재된 연결 서비스 클라이언트들(302,308)을 통해, 스마트 홈 앱(306)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한편, 상기 연결 서비스 클라이언트들(302,308) 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상대 연결 서비스 클라이언트의 연결 상태 정보에 대한 수집이 필요하다. 도 4에서는 홈 디바이스(301)에 탑재된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308)와 어기기(303)에 탑재된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302)가 서로간에 연결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메시지 전달을 위한 채널을 생성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연결 서버에 로그인된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 간의 연결 설정 및 해제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401), 제어기기(403), 연결 서버(409)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제어기기(403)가 연결 서버(409)에 로그인된 상태(402)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홈 디바이스(401)는 계정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토큰과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한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이용하여 연결 서버(409)에 로그인 요청을 전송하고,(404단계) 연결 서버(409)에 로그인을 시도한다. 연결 서버(409)는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응하여 로그인에 성공했음을 알리는 로그인 응답을 홈 디바이스(401)에게 전송한다.(406단계) 여기서는 홈 디바이스(401)가 시도하는 로그인이 성공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만약 홈 디바이스(401)가 시도하는 로그인이 실패할 경우에는, 연결 서버(409)는 상기 로그인 요청에 대응하여 로그인에 실패했음을 알리는 로그인 응답을 전송한다.
홈 디바이스(401)가 연결 서버(409)에 로그인 되면,(408단계) 연결 서버(409)는 홈 디바이스(401)와 제어기기(403) 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레전스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를 제어기기(403)에 통지한다.(410단계) 상기 프레전스 정보는 일례로 상기 홈 디바이스(401)가 상기 연결 서버(409)에 로그인 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에는 상기 홈 디바이스(401)가 상기 연결 서버(409)에 로그인 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홈 디바이스(401)가 사용하는 IP 주소 및 포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홈 디바이스(401)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타입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타입 정보는 일례로 와이파이(Wi-Fi), 2G, 3G, 4G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를 통지 받는 제어기기(403)는 홈 디바이스(401)가 현재 연결 가능한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홈 디바이스(401)가 연결 서버(409)에서 로그아웃 할 경우, 연결 서버(409)는 상기 홈 디바이스(401)가 상기 연결 서버(409)에서 로그아웃 하였음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홈 디바이스(401)가 사용하는 IP 주소 및 포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홈 디바이스(401)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타입 정보 등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를 제어기기(403)에 통지한다.
도 4에서 설명한 404,406,408,410단계는 도 1의 126단계에 해당되는 홈 디바이스가 연결 서버에 로그인하는 절차를 보다 세분화하여 설명한 것이다.
이후 제어기기(403)는 스마트 홈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홈 디바이스(401)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412단계) 홈 디바이스(401)와 제어기기(403)간의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연결 요청을 홈 디바이스(401)로 전송한다.(414단계) 여기서 채널은 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어기기(403)와 홈 디바이스(401)가 송수신하기 위한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연결 요청은 제어기기(403)에 탑재된 연결 서버(409)와의 통신을 위한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를 통해 홈 디바이스(401)로 전송된다.
홈 디바이스(401)는 상기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연결 응답을 제어기기(403)로 전송한다.(416단계) 제어기기(403)는 스마트 홈 앱을 통해 홈 디바이스(401)와의 연결에 성공하였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414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401)와의 연결을 설정한다.(420단계)
제어기기(403)와의 연결 설정이 완료된 홈 디바이스(401)는 제어기기(403)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고,(422단계) 제어기기(403)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홈 디바이스(401)로 전송한다.(424단계) 제어기기(403)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면, 설정된 연결에 대한 해제를 요청하는 연결 해제 요청을 홈 디바이스(401)로 전송한다.(426단계) 홈 디바이스(401)와 제어기기(403)간의 연결이 해제된다.(428단계)
홈 디바이스(401)와 제어기기(403)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은 연결 서버(409)와의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 형태의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를 통해 송수신된다. 즉 414,416,424,426단계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은 홈 디바이스(401)에 탑재된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와 제어기기(403)에 탑재된 연결 서버 클라이언트를 통해 송수신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동작 주체에 해당되는 홈 디바이스는 댁 내(혹은 댁 외) 위치한 홈 디바이스들을 임을 가정하며, 도 5에서는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 간에 D2D 인증 절차가 완료된 이후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D2D 인증 절차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술하고자 하는 내용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서는 댁 내(혹은 댁 외) 위치한 홈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일례로 설명하나, 도 5에서 설명하는 동작은 댁내(또는 댁외) 위치한 모든 홈 디바이스들 각각을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502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제어기기로부터, 접속 토큰의 수신에 사용되는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ID를 수신한다. 여기서 홈 디바이스는 댁 내(혹은 댁 외)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기기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기기이며, 가전기기, 보안기기, 조명기구, 에너지기기 등을 포함한다. 일례로 가전기기는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로봇청소기, 가습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보안기기는 도어락, 보안 카메라, CCTV, 보안 센서 등이 될 수 있고, 조명기구는 LED, 램프 등이 될 수 있고, 에너지기기는 난방기기, 전력측정기, 전력 소켓, 전기 콘센트, 멀티탭 등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홈 디바이스는 PC, IP 카메라, 인터넷 전화, 유/무선 전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커튼, 블라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504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 전송한다.
506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및 GUID를 수신한다. 상기 리프레시 토큰은 접속 토큰이 미리 약속된 유효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유효기간 내에 상기 접속 토큰을 갱신하는데 사용되는 토큰을 의미한다. 상기 GUID는 계정 서버에서 할당 및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508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제어기기로부터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수신한다. 상기 피어 ID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상기 피어 그룹 ID는 사용자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상기 국가 코드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를 의미한다.
510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506단계에서 수신한 접속 토큰과, 508단계에서 수신한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이용하여 연결 서버에 로그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기기가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2단계에서 제어기기는 상기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기기는 상기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이며, 일례로 스마트 폰 등의 이동 단말이나 TV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604단계에서 제어기기는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ID를 홈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606단계에서 제어기기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UUID와 기기 정보를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UUID 및 기기 정보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댁 내(혹은 댁 외) 최초 설치될 시 상기 제어기기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상기 제어기기가 획득하여 관리하는 정보이다. 또한 상기 기기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의 타입, 이름, 디스크립션, 제조사, 모델 ID, 시리얼 번호, 판매 지역, 버전 등을 포함한다.
608단계에서 제어기기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를 수신한다.
610단계에서 제어기기는 상기 수신한 피어 ID와, 그 밖에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홈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댁 내(혹은 댁 외) 최초 설치될 시 상기 제어기기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상기 제어기기가 획득하여 관리하는 정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에서 동작 주체에 해당되는 서비스 서버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서비스만을 위해 운용되는 서버이며, 홈 디바이스의 정보 회람을 위한 홈 디바이스 기기 정보와 그 밖에 상기 홈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702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UUID 및 기기 정보를 제어기기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한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의 타입, 이름, 디스크립션, 제조사, 모델 ID, 시리얼 번호, 판매 지역, 버전 등을 포함한다.
704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할 피어 ID를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피어 ID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계정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에서 동작 주체에 해당되는 계정 서버는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서버이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계정 서버에 로그인하면 단일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이용해서 서비스 서버와 연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능을 제공한다. 또한 계정 서버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도 다른 서비스에도 활용될 수 있는 공용 서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2단계에서 계정 서버는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제어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804단계에서 계정 서버는 홈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ID를 수신한다.
806단계에서 계정 서버는 802단계에서 전송한 제어기기 인증 코드와 804단계에서 수신한 홈 디바이스 인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806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제어기기 인증 코드와 상기 홈 디바이스 인증 코드가 동일하면, 계정 서버는 808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및 GUID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여기서 접속 토큰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리프레시 토큰은 접속 토큰이 미리 약속된 유효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유효기간 내에 상기 접속 토큰을 갱신하는데 사용되는 토큰을 의미한다. 상기 GUID는 계정 서버에서 할당 및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806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제어기기 인증 코드와 상기 홈 디바이스 인증 코드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계정 서버는 802단계로 진행하여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제어기기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서 동작 주체에 해당되는 연결 서버는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 메시지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 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레전스 정보와 원격에서도 방화벽을 통과해 상호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NAT-T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연결 서버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도 다른 서비스에도 활용될 수 있는 공용 서버이다.
또한 도 9에서는 연결 서버에 제어기기가 로그인된 상태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902단계에서 연결 서버는 피어 ID, 피어 그룹 ID, 국가 코드 및 접속 토큰을 이용한 로그인 요청을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피어 ID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피어 그룹 ID는 제어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국가 코드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를 의미하고,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토큰을 의미한다.
904단계에서 연결 서버는 902단계의 로그인 요청에 대응하여 로그인에 성공했음을 알리는 로그인 응답을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906단계에서 연결 서버는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 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 통지한다. 여기서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 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가 연결 서버에 로그인 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에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홈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IP 주소 및 포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타입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타입 정보는 일례로 와이파이, 2G, 3G, 4G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홈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제어기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홈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제어기기를 통하지 않고 서비스 서버에 직접 등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교환되는 정보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1001), 제어기기 (1003), 서비스 서버(1005), 계정 서버(1007), 연결 서버(1009)를 포함한다.
상기 홈 디바이스(1001), 제어기기 (1003), 서비스 서버(1005), 계정 서버(1007), 연결 서버(1009) 각각의 예와 기능은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기기(1003)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마트 홈 앱을 실행하고, 상기 스마트 홈 앱의 실행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기(1003)는 계정 서버(1007)에 자동으로 로그인 된다.(1002단계)
제어기기(1003)는 댁 내(혹은 댁 외) 위치한 홈 디바이스들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홈 디바이스(1001)를 서비스 서버(1005)에 등록하기 위해, 계정 서버(1007)에 인증 코드 요청을 전송하고, 계정 서버(1007)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코드를 발급하여 제어기기(1003)로 전송한다.(1004단계) 상기 인증 코드는 홈 디바이스(1001)가 계정 서버(1007)로부터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접속 토큰은 홈 디바이스(1001)가 연결 서버(1009)에 접속할 때, 연결 서버(1009)가 홈 디바이스(1001)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또한 제어기기(1003)는 계정 서버 등록 요청을 통해 1004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홈 디바이스(1001)에게 전송한다.(1006단계) 여기서 사용자 ID는 일례로 이메일 ID, 닉네임, 주민번호,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홈 디바이스(1001)는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을 수신하기 위해, 1006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계정 서버(1007)로 전송한다.(1008단계)
계정 서버(1007)는 1008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가 상기 사용자 ID가 지시하는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발급한 인증 코드인지 검증한다. 즉 계정 서버(1007)는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가 상기 1004단계에서 발급한 인증 코드와 동일한지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가 상기 1004단계에서 발급한 인증 코드와 동일하면, 계정 서버(1007)는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가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발급한 인증 코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홈 디바이스(1001)에게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GUID를 전송한다 을 전송한다.(1010단계) 여기서 GUID는 계정 서버(1007)가 홈 디바이스(1001)의 식별을 위해 별도로 할당하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한편, 제어기기(1003)는 서비스 서버(1005)로부터 서비스 서버(1005)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정보를 수신한다.(1012단계) 상기 서버 정보는 일례로 서비스 서버(1005)로의 접속을 위한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기(1003)는 서비스 서버(1005)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버 정보와 국가 코드를 홈 디바이스(1001)에게 전송한다.(1016단계) 상기 국가 코드는 홈 디바이스(1001)를 댁 내(혹은 댁 외)에 최초 설치 시 제어기기(1003)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홈 디바이스(1001)로부터 획득된 정보이다.
홈 디바이스(1001)는 1016단계에서 수신한 서버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서버(1005)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1005)에 접속하고, 홈 디바이스(1001)의 기기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5)에게 전송하여 등록한다.(1014단계) 그런 다음 홈 디바이스(1001)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5)로부터 피어 ID 및 피어 그룹 ID를 수신한다.(1018단계) 상기 홈 디바이스(1001)의 기기 정보 및 피어 그룹 ID는 홈 디바이스(1001)를 댁 내(혹은 댁 외)에 최초 설치 시 제어기기(1003)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홈 디바이스(1001)로부터 획득된 정보이다. 상기 피어 ID는 연결 서버(1009)가 홈 디바이스(1001)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서버(1005)가 할당하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5)는 댁 내(혹은 댁 외) 위치한 모든 홈 디바이스들 각각에게 고유한 값의 피어 ID를 할당한다.
이후 홈 디바이스(1001)는 상기 1010단계에서 수신한 접속 토큰과 상기 1016단계에서 수신한 국가 코드와 상기 1018단계에서 수신한 피어 ID 및 피어 그룹 ID를 이용하여 연결 서버(1009)에 로그인한다.(1020단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에서 동작 주체에 해당되는 홈 디바이스는 댁 내(혹은 댁 외) 위치한 홈 디바이스들을 임을 가정하며, 도 11에서는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 간에 D2D 인증 절차가 완료된 이후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D2D 인증 절차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술하고자 하는 내용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댁 내(혹은 댁 외) 위치한 홈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일례로 설명하나, 도 11에서 설명하는 동작은 댁내(또는 댁외) 위치한 모든 홈 디바이스들 각각을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2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제어기기로부터, 접속 토큰의 수신에 사용되는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ID를 수신한다. 여기서 홈 디바이스는 댁 내(혹은 댁 외)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기기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기기이며, 가전기기, 보안기기, 조명기구, 에너지기기, PC, IP 카메라, 인터넷 전화, 유/무선 전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커튼, 블라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1104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 전송한다.
1106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및 GUID를 수신한다. 상기 리프레시 토큰은 접속 토큰이 미리 약속된 유효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유효기간 내에 상기 접속 토큰을 갱신하는데 사용되는 토큰을 의미한다. 상기 GUID는 계정 서버에서 할당 및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1108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제어기기로부터 서버 정보 및 국가 코드를 수신한다. 상기 서버 정보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정보는 일례로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국가 코드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를 의미한다.
1110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피어 ID 및 피어 그룹 ID를 수신한다. 상기 피어 ID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상기 피어 그룹 ID는 사용자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1112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는 1106단계에서 수신한 접속 토큰과, 1110단계에서 수신한 피어 ID 및 피어 그룹 ID와, 1108단계에서 수신한 국가 코드를 이용하여 연결 서버에 로그인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기기가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02단계에서 제어기기는 상기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기기는 상기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이며, 일례로 스마트 폰 등의 이동 단말이나 TV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1204단계에서 제어기기는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ID를 홈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1206단계에서 제어기기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서버 정보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정보는 일례로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1208단계에서 제어기기는 서버 정보 및 국가 코드를 홈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국가 코드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를 의미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가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에서 동작 주체에 해당되는 서비스 서버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서비스만을 위해 운용되는 서버이며, 홈 디바이스의 정보 회람을 위한 홈 디바이스 기기 정보와 그 밖에 상기 홈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1302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어 기기로 서버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서버 정보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정보는 일례로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1304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홈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의 타입, 이름, 디스크립션, 제조사, 모델 ID, 시리얼 번호, 판매 지역, 버전 등을 포함한다.
1306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홈 디바이스로 피어 ID 및 피어 그룹 ID를 전송한다. 상기 피어 ID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상기 피어 그룹 ID는 사용자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도 14는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시된 홈 디바이스(1400)는 송신부(1410), 수신부(1420), 제어부(1430) 및 저장부(1440)를 포함한다.
홈 디바이스(1400)는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접속 토큰의 수신에 사용되는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ID를 수신부(142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1400)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홈 디바이스(1400)는 수신부(1420)를 통해 수신한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를 송신부(1410)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 전송한다.
홈 디바이스(1400)는 계정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및 GUID와,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수신부(142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리프레시 토큰은 접속 토큰이 미리 약속된 유효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유효기간 내에 상기 접속 토큰을 갱신하는데 사용되는 토큰을 의미하고, GUID는 계정 서버에서 할당 및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또한 피어 ID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피어 그룹 ID는 사용자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국가 코드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를 의미한다.
한편, 홈 디바이스(1400)는 수신부(1420)를 통해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서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피어 ID, 피어 그룹 ID는 제어기기가 아닌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상기 서버 정보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정보는 일례로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홈 디바이스(1400)는 수신부(1420)를 통해 수신한 접속 토큰, 피어 ID,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이용하여 연결 서버에 로그인한다. 이때 홈 디바이스의 제어부(1430)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송신부(1410) 및 수신부(1420)를 제어하고, 상기 송신부(1410) 및 수신부(1420)를 통해 송수신된 정보들은 저장부(1440)에 저장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제어기기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시된 제어기기(1500)는 송신부(1510), 수신부(1520), 제어부(1530) 및 저장부(1540)를 포함한다.
제어기기(1500)는 상기 제어기기(1500)의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코드를 수신부(1520)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인증 코드는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코드를 의미하며, 상기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제어기기(1500)는 수신부(1520)를 통해 수신한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150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ID를 송신부(1510)를 통해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UUID와 기기 정보를 송신부(1510)를 통해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UUID 및 기기 정보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댁 내(혹은 댁 외) 최초 설치될 시 상기 제어기기(1500)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상기 제어기기(1500)가 획득하여 관리하는 정보이다. 즉 제어기기(1500)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UUID 및 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그 정보를 저장부(154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기기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의 타입, 이름, 디스크립션, 제조사, 모델 ID, 시리얼 번호, 판매 지역, 버전 등을 포함한다. 제어기기(1500)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피어 ID를 수신부(152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피어 ID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제어기기(1500)는 수신부(1520)를 통해 수신한 피어 ID와, 그 밖에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송신부(1510)를 통해 홈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댁 내(혹은 댁 외) 최초 설치될 시 상기 제어기기(1500)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상기 제어기기(1500)가 획득하여 관리하는 정보이다. 즉 제어기기(1500)는 피어 그룹 ID 및 국가 코드를 획득하고 그 정보를 저장부(1540)에 저장한다
한편, 제어기기(1500)는 수신부(1520)를 통해 피어 ID가 아닌 서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기기(1500)는 송신부(1110)를 통해 서버 정보 및 국가 코드를 홈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 정보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정보는 일례로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제어기기(1500)의 제어부(1530)는 송신부(1510)와 수신부(15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송신부(1510) 및 수신부(1520)를 통해 송수신된 정보들은 저장부(1540)에 저장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시된 서비스 서버(1600)는 송신부(1610), 수신부(1620), 제어부(1630) 및 저장부(1640)를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600)는 제어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홈 디바이스에 대한 UUID 및 기기 정보를 수신부(162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의 타입, 이름, 디스크립션, 제조사, 모델 ID, 시리얼 번호, 판매 지역, 버전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600)는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할 피어 ID를 송신부(1610)를 통해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피어 ID는 상기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1600)는 송신부(1610)를 통해 피어 ID가 아닌 서버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1600)는 수신부(1620)를 통해 홈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640)에 등록하고, 송신부(1610)를 통해 피어 ID 및 피어 그룹 ID를 홈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상기 서버 정보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정보는 일례로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기기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의 타입, 이름, 디스크립션, 제조사, 모델 ID, 시리얼 번호, 판매 지역, 버전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피어 그룹 ID는 서비스 서버(1600)의 저장부(1640)에 등록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서비스 서버(1600)의 제어부(1630)는 송신부(1610)와 수신부(16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송신부(1610) 및 수신부(1620)를 통해 송수신된 정보들은 저장부(1640)에 저장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계정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시된 계정 서버(1700)는 송신부(1710), 수신부(1720), 제어부(1730) 및 저장부(1740)를 포함한다.
계정 서버(1700)는 홈 디바이스가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송신부(1710)를 통해 제어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나타낸다.
계정 서버(1700)는 홈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코드와 상기 제어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ID를 수신부(1720)를 통해 수신한다.
계정 서버(1700)는 제어부(1730)를 통해, 송신부(1710)에서 전송한 제어기기 인증 코드와 수신부(1720)에서 수신한 홈 디바이스 인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기 제어기기 인증 코드와 상기 홈 디바이스 인증 코드가 동일하면, 제어부(1730)는 송신부(1710)를 통해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및 GUID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즉 계정 서버(1700)는 송신부(1710)를 통해 접속 토큰, 리프레시 토큰 및 GUID를 홈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여기서 접속 토큰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리프레시 토큰은 접속 토큰이 미리 약속된 유효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유효기간 내에 상기 접속 토큰을 갱신하는데 사용되는 토큰을 의미한다. 상기 GUID는 계정 서버에서 할당 및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
계정 서버(1700)의 제어부(1730)는 송신부(1710)와 수신부(17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송신부(1710) 및 수신부(1720)를 통해 송수신된 정보들은 저장부(1740)에 저장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연결 서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시된 연결 서버(1800)는 송신부(1810), 수신부(1820), 제어부(1830) 및 저장부(1840)를 포함한다.
연결 서버(1800)는 홈 디바이스로부터 피어 ID, 피어 그룹 ID, 국가 코드 및 접속 토큰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로그인 요청을 수신부(182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피어 ID는 연결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피어 그룹 ID는 제어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ID를 의미하고, 국가 코드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를 의미하고,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토큰을 의미한다.
연결 서버(1800)는 수신부(1820)를 통해 수신한 로그인 요청에 대응하여 로그인에 성공했음을 알리는 로그인 응답을 송신부(1810)를 통해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부(1810)를 통해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 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를 상기 제어기기로 통지한다. 여기서 홈 디바이스와 제어기기 간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일례로 홈 디바이스가 연결 서버에 로그인 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디바이스 연결 정보에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로그인 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홈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IP 주소 및 포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타입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타입 정보는 일례로 와이파이, 2G, 3G, 4G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40)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와,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를 상기 제어 기기 또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토큰, 피어 ID, 및 피어 그룹 ID를 기반으로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기기 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기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피어 그룹 ID와 상기 피어 ID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토큰을 갱신하는데 사용되는 리프레시(refresh) 토큰과, 상기 계정 서버에서 할당 및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전역 고유 ID(GUID: globally unique ID)를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상기 제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7.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기기가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상기 홈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상기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피어 ID와,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제어 기기의 홈 디바이스 등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 정보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의 홈 디바이스 등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UUID(unique user identifier) 및 상기 기기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기 정보,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UUID, 및 상기 피어 그룹 ID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댁 내 또는 댁 외에 최초 설치될 시 상기 제어기기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획득하여 관리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의 홈 디바이스 등록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의 홈 디바이스 등록 방법.
  11.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버에 등록하는 홈 디바이스에 있어서,
    수신부; 및
    제어 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접속 토큰을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와,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를 상기 제어 기기 또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접속 토큰, 피어 ID, 및 피어 그룹 ID를 기반으로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로그인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기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피어 그룹 ID와 상기 피어 ID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접속 토큰을 갱신하는데 사용되는 리프레시(refresh) 토큰과, 상기 계정 서버에서 할당 및 관리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전역 고유 ID(GUID: globally unique identifier)를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기기로부터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 토큰을 수신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디바이스.
  17.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제어 기기에 있어서,
    수신부와,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기기에 대한 계정을 관리하는 계정 서버로부터 접속 토큰을 수신하는데 상기 홈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인증 코드를 수신하며,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홈 디바이스로 상기 인증 코드를 전송하며,
    상기 홈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피어 ID(peerID)를,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기기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피어 ID와,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피어 그룹 ID(peerGroupID)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상기 송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 정보를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UUID(unique user identifier) 및 상기 기기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송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기기 정보 및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UUID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댁 내 또는 댁 외에 최초 설치될 시 상기 제어 기기와 연결하는 사전 절차를 통해 획득하여 관리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토큰은 상기 홈 디바이스가 상기 홈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기기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서버가 상기 홈 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키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140101259A 2013-12-20 2014-08-06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10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69653.3A CN105850076B (zh) 2013-12-20 2014-12-19 在家庭网络系统中的服务器中注册家庭设备的装置和方法
PCT/KR2014/012562 WO2015093887A1 (ko) 2013-12-20 2014-12-19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US15/106,028 US9992677B2 (en) 2013-12-20 2014-12-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home device in server in home network system
EP14872138.4A EP3086506B1 (en) 2013-12-20 2014-12-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home device in server in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0650 2013-12-20
KR1020130160650 2013-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827A KR20150073827A (ko) 2015-07-01
KR102210748B1 true KR102210748B1 (ko) 2021-02-02

Family

ID=5378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259A KR102210748B1 (ko) 2013-12-20 2014-08-06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92677B2 (ko)
EP (1) EP3086506B1 (ko)
KR (1) KR102210748B1 (ko)
CN (1) CN1058500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001A (ko) * 2015-12-02 201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자원유닛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24055B1 (ko) * 2015-12-08 2022-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두 개의 api 토큰을 이용한 api 인증 장치 및 방법
US10567381B1 (en) * 2015-12-17 2020-02-18 Amazon Technologies, Inc. Refresh token for credential renewal
KR20170078273A (ko) * 2015-12-29 2017-07-07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지 내 입주민 대상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헬스케어 전용 통합 식별자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FR3047374B1 (fr) 2016-01-28 2018-07-27 Overkiz Procede de configuration, de controle ou de supervision d’une installation domotique
KR102435756B1 (ko) * 2016-02-15 202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 그룹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58762B1 (ko) * 2016-02-19 2023-07-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홈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525539B1 (ko) * 2016-06-03 202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JP7152765B2 (ja) * 2016-06-29 2022-10-13 株式会社プロスパークリエイティブ 通信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通信装置、管理装置及び情報端末
KR102590426B1 (ko) 2016-10-14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CN106534192B (zh) * 2016-12-15 2020-01-0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共享认证方法及系统、智能设备及控制方法
FR3061390B1 (fr) 2016-12-28 2022-12-16 Overkiz Procede de configuration, de controle ou de supervision d’une installation domotique
FR3061399B1 (fr) * 2016-12-28 2023-04-21 Overkiz Procede de configuration d’acces, de commande et de supervision a distance d’au moins un dispositif domotique appartenant a une installation domotique
FR3061400A1 (fr) 2016-12-28 2018-06-29 Overkiz Procede de configuration d’acces, de commande et de supervision a distance d’au moins un dispositif domotique appartenant a une installation domotique
US10708265B2 (en) 2017-03-13 2020-07-07 Amazon Technologies, Inc. Batch registration and configuration of devices
JP6841128B2 (ja) * 2017-03-30 2021-03-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サーバ、及び、サーバ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14690B1 (ko) 2017-04-11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6456B1 (ko) * 2017-06-12 2022-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566786B1 (ko) * 2017-09-28 2023-08-14 주식회사 경동원 홈 네트워크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AU2018351962B2 (en) * 2017-10-21 2021-11-04 Apple Inc. Personal domain for a virtual assistant system on a communal device
US11233647B1 (en) * 2018-04-13 2022-01-25 Hushmesh Inc.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CN108594683A (zh) * 2018-04-17 2018-09-28 天门市志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衣物管家智能交互系统及方法
KR102058972B1 (ko) * 2018-07-09 2019-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등록 방법
US11005971B2 (en) * 2018-08-02 2021-05-11 Paul Swengler System and method for user device authentication or identity validation without passwords or matching tokens
KR20200068068A (ko) * 2018-11-27 2020-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IoT 장치를 등록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그 작동 방법
US11070676B2 (en) * 2019-03-27 2021-07-20 Apple Inc. Embedded audio passcode in ringtone to establish secure connection for arbitrary phone relay
KR102294182B1 (ko) * 2019-06-12 2021-08-31 함윤희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242015B1 (ko) * 2019-06-12 2021-04-19 함윤희 홈 네트워크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DE102019005737A1 (de) * 2019-08-16 2021-02-18 Diehl Metering Systems Gmbh Verfahren zur Erst-lnbetriebnahme eines Datenerfassungsgeräts
CN112637208B (zh) * 2020-12-23 2022-04-0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目标设备的确权方法、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2021861B2 (en) * 2021-01-04 2024-06-2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Identity verification through multisystem cooperation
KR20220102469A (ko) * 2021-01-13 202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IoT 장치 및 IoT 장치를 서버에 온보딩 하는 방법
CN113688379B (zh) * 2021-08-20 2024-05-31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平台注册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3824690B (zh) * 2021-08-24 2023-10-27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控制请求的发送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5733631A (zh) * 2021-08-26 2023-03-03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家庭群组的加入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5412748A (zh) * 2022-07-26 2022-11-29 海南视联通信技术有限公司 业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4107223A1 (en) * 2022-11-17 2024-05-23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Non-custodial cryptocurrency wall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9758A1 (en) * 2004-01-06 200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ome network devices
US20130227660A1 (en) * 2010-11-05 2013-08-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gistration server, gatew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ret value to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483B1 (ko) 2002-03-12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기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5351994A (ja) 2004-06-08 2005-12-22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方法,プログラム
JP4984907B2 (ja) 2007-01-19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ダイレクトアクセス管理サーバ、イベント通知方法、ネットワーク家電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85121B2 (ja) * 2007-06-07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メッセージ処理方法、サービスサーバ、ダイレクトアクセス管理サーバ、ネットワーク家電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125652A1 (en) * 2008-11-14 2010-05-20 Olli Rantapusk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Binding Local Devices to User Accounts
KR101363115B1 (ko) 2011-12-16 2014-02-2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EP3051745B1 (en) 2013-09-23 2020-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management method and security management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9758A1 (en) * 2004-01-06 200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ome network devices
US20130227660A1 (en) * 2010-11-05 2013-08-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gistration server, gatew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ret value to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92677B2 (en) 2018-06-05
CN105850076A (zh) 2016-08-10
EP3086506A1 (en) 2016-10-26
EP3086506B1 (en) 2020-02-19
US20170006471A1 (en) 2017-01-05
KR20150073827A (ko) 2015-07-01
EP3086506A4 (en) 2017-05-17
CN105850076B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74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13640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96279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182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965473B2 (en) Smart object identification in the digital home
KR10247809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방문자 호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TWI524787B (zh) 配置安全無線網路
US9948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information for registration of device in smart home service
JP6250922B2 (ja) 無線接続システム
EP342556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gistering personal cloud apparatus in user portal server thereof
US20080077425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configuring and accessing a device on a network
WO2016040176A1 (en) Setup of multiple iot devices
KR102216111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7004649B2 (ja) 電子装置、電子装置の通信方法および移動端末機の通信方法
WO2017088795A1 (zh) 一种控制智能电器的方法和装置
CN112152827A (zh) 物联网设备的管理方法、装置、网关及可读存储介质
JP2014175698A (ja) スマートアクセスシステム
JP6407394B2 (ja) 無線接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