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393A -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393A
KR20190110393A KR1020180032305A KR20180032305A KR20190110393A KR 20190110393 A KR20190110393 A KR 20190110393A KR 1020180032305 A KR1020180032305 A KR 1020180032305A KR 20180032305 A KR20180032305 A KR 20180032305A KR 20190110393 A KR20190110393 A KR 20190110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승연
김병수
이두만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0393A/ko
Priority to PCT/KR2019/003123 priority patent/WO2019182309A1/ko
Publication of KR2019011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버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NETWORK OF APPLIANCE AND SERVER FOR PROCESSING THE METHO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들은 다양한 성능을 구현하면서 사용자에게 더욱 많은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전자 장치의 종류, 기능 또는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적합한 전자 장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들이 일정한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들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들은 일정한 공간 내에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옥내 또는 옥외에서 지역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지역적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전자 장치는 외부의 다른 네트워크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장치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는 공간적인 구분을 포함하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그룹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전자 장치의 종류나 사용자 등과 같은 다양한 가상의 그룹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가전 기기에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가전 기기에서는 입출력 장치의 기능이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외부의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가전 기기를 검색함으로써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때, 가전 기기 검색에 실패할 확률이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설정 의욕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미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된 가전 기기라 하더라도 가전 기기에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잃어버리거나 갱신해야 하는 상황(예컨대, 댁내 라우터의 변경 또는 이사 등)이 발생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가전 기기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WiFi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함에 있어, 이동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3G, 4G, 5G 등의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공중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설정을 할 수 있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저장된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저장된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3G, 4G, 5G 등의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공중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설정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 가전 기기를 검색하지 않고서도 연결할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는, 이미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된 가전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잃어버리거나 갱신해야 하는 상황(예컨대, 댁내 라우터의 변경 또는 이사 등)이 발생할 경우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여 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용이하게 재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제1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다앙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앙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IoT)(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100)는 제1 전자 장치(101), 제2 전자 장치(102), 또는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102)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102)는 제2 통신 네트워크(122)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3G, 4G, 5G 등의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공중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는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의 일 예로서 LTE 통신 네트워크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일 예로서 WiFi 통신 네트워크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와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 이외에도 D2D(device to device) 통신으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102)에 대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을 위해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기에 앞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에 대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기 연결된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서버(110)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의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상기 서버(11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상기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의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연결이 설정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2)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2 전자 장치(102)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2)가 제2 통신 네트워크(122)를 통해 연결된 후, 다양한 원인에 따라 제2 통신 네트워크(122)에 대한 연결이 단절되더라도,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기 연결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 및 서버(110)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에 대한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동작 또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게 요구되나, 필수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수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 상황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재설정 또는 연결 복원,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를 통해 통신할 수 없는 경우, 데이터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예: 서비스 ID)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예컨대, USB 동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예컨대, 라우터 ID, 라우터 패스워드, WiFi ID(예: SSID(service set identifier)), WiFi 패스워드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네트워크(122)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가전 기기 또는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동글(dongle)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서버(110)와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내장된 가전 기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서버(110)와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eSIM(embedded SIM) 칩이 내장된 가전 기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서버(110)와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내장된 USB 동글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02)가 USB 동글일 경우, 상기 USB 동글은 가전 기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USB 동글을 통해 제1 통신 네트워크(121)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200)(예: 도 1의 네트워크(100))는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제1 전자 장치(101)), 가전 기기(202)(예: 도 1의 제2 전자 장치(102)), 또는 서버(210)(예: 도 1의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10), 전자 장치(201), 및 가전 기기(202)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예: 도 1의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1) 및 가전 기기(202)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예: 도 1의 제2 통신 네트워크(122))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3G, 4G, 5G 등의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공중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는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는 예컨대,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201)와 가전 기기(202)는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 이외에도 D2D(device to device) 통신으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가전 기기(202)에 대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의 설정을 위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202)는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기에 앞서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에 대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202)는 기 연결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를 통해 서버(210)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와의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상기 서버(21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202)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를 통해 상기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와의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1)는 연결이 설정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202)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전 기기(202)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1)와 상기 가전 기기(202)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를 통해 연결된 후, 다양한 원인에 따라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에 대한 연결이 단절되더라도,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기 연결된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 및 서버(210)를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에 대한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202)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동작 또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게 요구되나, 필수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수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 상황은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의 재설정 또는 연결 복원,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를 통해 통신할 수 없는 경우, 데이터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스마트폰(예: 도 2의 전자 장치(201), 도 1의 제1 전자 장치(101)), 가전 기기(302)(예: 도 2의 가전 기기(202) 또는 도 1의 제2 전자 장치(102)), 또는 서버(310)(예: 도 2의 서버(210) 또는 도 1의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310), 스마트폰(301), 및 가전 기기(302)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302)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SIM 카드가 내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302)에 SIM 카드가 내장되지 않는 경우, 상기 SIM 카드가 내장된 USB 동글(303)을 가전 기기(302)에 연결함으로써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1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서버(210)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또는 통신 모듈(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10)는 정보 등록 모듈(411), 또는 네트워크 설정 모듈(4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는 상기 정보 등록 모듈(411) 또는 네트워크 설정 모듈(412)이 프로세서(410)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보 등록 모듈(411) 또는 네트워크 설정 모듈(412)은 메모리(420)에 프로그램 형태로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410)에 의해 상기 메모리(4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로딩될 때, 상기 프로세서(410)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10)는 후술하는 도 7의 각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430)는 통신 모듈(430)을 통해 전자 장치(201) 또는 가전 기기(202)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430)은 서버(21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 또는 가전 기기(202))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430)은 프로세서(41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43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1) 또는 가전 기기(202)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정보 등록 모듈(411)은 상기 통신 모듈(430)을 통해 전자 장치(201)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예: 서비스 ID)를 수신하여 등록 정보 데이터베이스(440) 또는 메모리(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등록 모듈(411)은 상기 통신 모듈(430)을 통해 가전 기기(202)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202)의 식별 정보(예컨대, USB 동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가전 기기(202)로부터 수신된 가전 기기(202)의 식별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상기 메모리(420) 또는 등록 정보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설정 모듈(412)은 상기 통신 모듈(430)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201)로부터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의 설정 정보(예컨대, 라우터 ID, 라우터 패스워드, WiFi ID(예: SSID), WiFi 패스워드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설정 모듈(412)은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로부터 수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의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430)을 통해 상기 가전 기기(202) 또는 가전 기기에 연결된 USB 동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202)는 상기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전 기기(202)는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통신 모듈(530), 가입자 식별 모듈(540), 또는 인터페이스(5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530) 또는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540)은 별도의 USB 동글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USB 동글은 상기 가전 기기(202)의 외부에서 상기 인터페이스(550)를 통해 상기 가전 기기(202)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구동하여 프로세서(510)에 연결된 가전 기기(202)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다른 구성요소(예: 가입자 식별 모듈(540) 또는 통신 모듈(53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520)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52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메모리(52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미들 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가전 기기(202)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510) 또는 통신 모듈(5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530)은 가전 기기(202)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 또는 서버(210))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530)은 프로세서(51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530)은 이동 통신 모듈(531)(예: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5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222)(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221)(예: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53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모듈(531)은 가입자 식별 모듈(54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가전 기기(202)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53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BT 모듈, GPS 모듈, NFC 모듈 또는 RF(radio frequency)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540)(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가전 기기(202)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5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 상기 BT 모듈, 상기 GPS 모듈 또는 상기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BT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집적 칩(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BT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540)은 SIM 카드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5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가전 기기(202)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550)는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55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전 기기(202)가 USB 동글을 통해 서버(210)와 연결될 경우, 상기 가전 기기(202)는 상기 인터페이스(550)를 통해 USB 동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202)의 프로세서(510)는 후술하는 도 8의 각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 기능부 또는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 또는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서버(예: 도 4의 서버(210))는,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회로(예: 도 4의 통신 모듈(430)),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20));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과 관련된 통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동글(dongl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상기 USB 동글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상기 WiFi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미가입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통신사 서버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가입을 요청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서비스 ID)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저장된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상기 WiFi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가,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제1 전자 장치(101)(예: 스마트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에 서비스 정보(예: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도 9a, 도 9b, 또는 도 9c 중 적어도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1)에서 서버(110)에 접속하여 화면을 통해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예: 고객 ID(서비스 ID))를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상기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또는 제2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예: USB 동글의 식별 정보(ID), 또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입력된 정보는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602에서,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예: 전화 번호, 전자 장치의 일련 번호 등)를 등록 정보로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제2 전자 장치(102)(예: 가전 기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USB 동글의 식별 정보, 또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동글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USB 동글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가전 기기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04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예: 서비스 ID)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부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는 라우터 ID, 라우터 패스워드, WiFi ID(예: SSID), 또는 WiFi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06에서, 상기 서버(110)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607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는 라우터 ID, 라우터 패스워드, WiFi ID(예: SSID), 또는 WiFi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할 때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요청을 받을 때 전송할 수도 있다.
동작 608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101)와의 제2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서버(예: 도 1의 서버(110))는 제1 전자 장치(101)(예: 스마트폰)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서비스 정보(예: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예: 전화 번호, 전자 장치의 일련 번호 등)를 등록 정보로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702에서, 상기 서버는 제2 전자 장치(102)(예: 가전 기기)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USB 동글의 식별 정보, 또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동글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USB 동글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가전 기기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예: 서비스 ID)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부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704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는 라우터 ID, 라우터 패스워드, WiFi ID(예: SSID), 또는 WiFi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는 라우터 ID, 라우터 패스워드, WiFi ID(예: SSID), 또는 WiFi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할 때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요청을 받을 때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제2 전자 장치(102)(예: 가전 기기 또는 USB 동글)는 삽입된 SIM 카드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동작 802에서,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연결된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USB 동글의 식별 정보, 또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동글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USB 동글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가전 기기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서버(110)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는 라우터 ID, 라우터 패스워드, WiFi ID(예: SSID), 또는 WiFi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04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101)와의 제2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 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다앙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01)(예: 스마트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에 접속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1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10)을 통해 사용자는 고객 ID, 패스워드, 또는 LTE S/N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서버(110)에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고객 ID는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예: 서비스 ID)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패스워드는 상기 고객 ID에 대한 로그인 또는 인증을 위해 설정하는 패스워드일 수 있다. 상기 LTE S/N은 제2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예: USB 동글의 식별 정보(ID))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9a의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10)은 제2 전자 장치(102)가 USB 동글이며, 상기 USB 동글이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01)(예: 스마트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에 접속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2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20)을 통해 사용자는 고객 ID, 패스워드, LTE S/N, 가전 S/N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서버(110)에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9a의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10)에서 보다 가전 S/N을 더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가전 S/N은 가전 기기마다 부여된 가전 기기 식별 정보(ID) 또는 일련 번호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9b의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20)은 제2 전자 장치(102)가 USB 동글이며, 상기 USB 동글이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9b의 화면을 통해 서비스 정보를 서버(110)에 등록할 경우, 서버(110)에서는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되는 가전 S/N를 상기 화면을 통해 입력된 가전 S/N와 비교하고, 동일할 경우에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정보에 매핑하여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01)(예: 스마트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에 접속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3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30)을 통해 사용자는 고객 ID, 패스워드, 가전 S/N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서버(110)에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9c의 서버 등록용 웹 포털 화면(930)은 제2 전자 장치(102)가 가전 기기이며, 가전 기기 내에 SIM 카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에 표시되는 서비스 등록 화면일 수 있다. 서버(110)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2)의 제조 시 개통된 SIM 카드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서버 등록용 웹 포털(930)에서 상기 가전 S/N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2)의 제조 시 상기 가전 S/N 정보에 대응하는 LTE S/N 정보를 이미 저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고객 ID에 대해 가전 S/N 정보 및 LTE S/N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앙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102)에 대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이후, 재설정이 필요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을 통해 재설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재설정이 필요할 경우, 서버(110)에서는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에 대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과 관련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서버(110)로부터 제2 전자 장치(102)에 대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과 관련된 통지를 수신하고, 도 10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하면서 설정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장치(101)의 제1 화면(1010)에는 "고객님의 기기가 WiFi 재설정이 필요합니다. 진행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1010)에서 사용자가 "OK"를 선택하면, 제2 화면(1020)에서 "기기에 설정할 WiFi 정보를 선택해 주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면(1020)에서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102)와 연결할 특정 WiFi 정보를 선택하면, 제3 화면(1030)에서 "고객님의 기기에 WiFi 설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화면(1020)에서 사용자가 특정 WiFi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WiFi 정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서버(110)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장치(102)에서의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상기 WiFi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1에서 제1 전자 장치(101)(예: 스마트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에 서비스 정보(예: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도 9a, 도 9b, 또는 도 9c 중 적어도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1)에서 서버(110)에 접속하여 화면을 통해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예: 고객 ID(서비스 ID))를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상기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또는 제2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예: USB 동글의 식별 정보(ID), 또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입력된 정보는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1102에서,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예: 전화 번호, 전자 장치의 일련 번호 등)를 등록 정보로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제2 전자 장치(102)(예: 가전 기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USB 동글의 식별 정보, 또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동글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USB 동글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가전 기기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104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예: 서비스 ID)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부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를 서버(110)를 거치지 않고 제2 전자 장치(102)로 직접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 정보가 서버(110)를 거치도록 하지 않음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1105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을 위해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모드로 상태를 변경시키고,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2)가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한 상황임을 서버(110)에 통지할 수 있다. 서버(101)에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한 상황임을 통지받고, 해당 서비스 ID를 기반으로 제1 전자 장치(101)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에 대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설정과 관련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를 상기 제2 전자 장치(102)에 근접시키고, 동작 1106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D2D 통신(예: BLE, soft AP)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 상기 D2D 통신을 통해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를 통해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입력(예컨대, WiFi 비밀 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07에서,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동작 1108에서, 다양한 이유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가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동작 1109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서버(110)로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동작 1110에서 제1 전자 장치(101)로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재설정 이후, 상기 제1 전자 장치(101)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전술한 1105 동작 내지 1107 동작을 통해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제1 전자 장치(1201), 제2 전자 장치(1202), 서비스 서버(1210)(예: 도 1의 서버(110)), 또는 통신사 서버(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210), 제1 전자 장치(1201), 제2 전자 장치(1202), 및 통신사 서버(1220)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201) 및 제2 전자 장치(1202)는 제2 통신 네트워크(1232)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3G, 4G, 5G 등의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공중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는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1201)와 제2 전자 장치(1202)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 이외에도 D2D(device to device) 통신으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의 제조 시 제1 통신 네트워크가 개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의 설치 시에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 설정을 통해 개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의 제조사에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의 제조 시에 가전 기기 또는 USB 동글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에 적용된 SIM 카드의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202)에서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210)에 접속하여 예컨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12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서비스를 등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1210)에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IMEI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사 서버(1220)로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에 대한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개통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통신사 서버(1220)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에 대해 개통을 처리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예컨대, USB 동글 또는 가전 기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사용하여 제2 전자 장치(1202)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12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는 상기 연결된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서비스 서버(1210)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와의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21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2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와의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201)는 연결이 설정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32)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201)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가 제2 통신 네트워크(1232)를 통해 연결된 후, 다양한 원인에 따라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에 대한 연결이 단절되더라도,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기 연결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 및 서비스 서버(1210)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에 대한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동작 또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게 요구되나, 필수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수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 상황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의 재설정 또는 연결 복원,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를 통해 통신할 수 없는 경우, 데이터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210)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301)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예: 서비스 ID)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210)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제2 전자 장치(1202)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예컨대, USB 동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2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로부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1202)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210)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1201)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의 설정 정보(예컨대, 라우터 ID, 라우터 패스워드, WiFi ID(예: SSID), WiFi 패스워드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210)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1201)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30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302)는 상기 서비스 서버(1210)로부터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네트워크(1232)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1301)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는 가전 기기 또는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동글(dongle)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는 상기 서비스 서버(1210)와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내장된 가전 기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는 상기 서비스 서버(1210)와 제1 통신 네트워크(1231)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내장된 USB 동글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202)가 USB 동글일 경우, 상기 USB 동글은 가전 기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USB 동글을 통해 제1 통신 네트워크(1231)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1에서 제1 전자 장치(101)(예: 스마트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에 서비스 정보(예: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1)에서 서버(110)에 접속하여 화면을 통해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예: 고객 ID(서비스 ID))를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상기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입력된 정보는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1302에서,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예: 전화 번호, 전자 장치의 일련 번호 등)를 등록 정보로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제2 전자 장치(102)(예: 가전 기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USB 동글의 식별 정보, 또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동글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USB 동글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가전 기기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04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부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305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 BLE, soft AP 등)(예컨대, 제3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306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 제3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307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동작 1308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로 서비스 정보(예: 서비스 ID)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동작 1309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예: 서비스 ID)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부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310에서, 다양한 이유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가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동작 1311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서버(110)로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동작 1312에서 제1 전자 장치(101)로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313에서, 제1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서버(110)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314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제2 전자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서버(110)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1315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재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401에서 제1 전자 장치(101)(예: 스마트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에 서비스 정보(예: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1)에서 서버(110)에 접속하여 화면을 통해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예: 고객 ID(서비스 ID))를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상기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화면상에서 입력된 정보는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1402에서,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예: 전화 번호, 전자 장치의 일련 번호 등)를 등록 정보로서 상기 서비스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403에서, 제2 전자 장치(102)(예: 가전 기기)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USB 동글의 식별 정보, 또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동글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USB 동글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가입자 식별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SIM 카드가 설치된 가전 기기의 단말 식별 정보(예: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404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부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405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 BLE, soft AP 등)(예컨대, 제3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406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 제3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07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동작 1408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10)로 서비스 정보(예: 서비스 ID)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동작 1409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예: 서비스 ID)와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부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410에서, 다양한 이유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가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동작 1411에서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1412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서버(110)로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동작 1413에서 제1 전자 장치(101)로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 재설정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414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 BLE, soft AP 등)(예컨대, 제3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를 인식하고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415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 제3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16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제1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제2 통신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생략되어 실행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동작이 상기 동작들 사이에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6 내지 도 14의 동작들은 도시된 순서로 처리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한 실행 순서가 다른 동작의 실행 순서와 변경되어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동작들은 전자 장치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은 전자 장치 내에서 수행되고, 나머지 동작들은 서버에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요청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과 관련된 통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동글(dongl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상기 USB 동글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상기 WiFi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미가입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통신사 서버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가입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저장된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상기 WiFi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500) 내의 전자 장치(1501)의 블럭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500)에서 전자 장치(1501)(예: 도 1의 제1 전자 장치(101), 제2 전자 장치(102), 또는 서버(110))는 제1 네트워크(15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5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5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504) 또는 서버(15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1)는 서버(15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5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1)는 프로세서(1520), 메모리(1530), 입력 장치(1550), 음향 출력 장치(1555), 표시 장치(1560), 오디오 모듈(1570), 센서 모듈(1576), 인터페이스(1577), 햅틱 모듈(1579), 카메라 모듈(1580), 전력 관리 모듈(1588), 배터리(1589), 통신 모듈(1590), 가입자 식별 모듈(1596), 및 안테나 모듈(15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5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560) 또는 카메라 모듈(15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5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5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5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5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576) 또는 통신 모듈(15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5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534)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1534)는 내장 메모리(1536) 또는 외장 메모리(153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20)는 메인 프로세서(15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5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5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523)는 메인 프로세서(15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5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5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5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5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521)와 함께, 전자 장치(15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560), 센서 모듈(1576), 또는 통신 모듈(15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5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580) 또는 통신 모듈(15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전자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520) 또는 센서모듈(15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5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휘발성 메모리(15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5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540)은 메모리(15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542), 미들 웨어(1544) 또는 어플리케이션(15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50)는, 전자 장치(15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5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5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5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560)는 전자 장치(15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5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5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570)은, 입력 장치(15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5), 또는 전자 장치(15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576)은 전자 장치(15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5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5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578)는 전자 장치(15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5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5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5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588)은 전자 장치(15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589)는 전자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90)은 전자 장치(15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 전자 장치(1504), 또는 서버(15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90)은 프로세서(15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590)은 무선 통신 모듈(15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5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5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5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5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5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5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5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5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590)(예: 무선 통신 모듈(15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599)에 연결된 서버(15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5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5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502, 1504) 각각은 전자 장치(15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5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5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2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저장된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네트워크 환경 101 : 제1 전자 장치
102 : 제2 전자 장치 110 : 서버
121 : 제1 통신 네트워크 122 : 제2 통신 네트워크
200 : 네트워크 환경 201 : 전자 장치
202 : 가전 기기 210 : 서버
221 : 이동 통신 네트워크 222 :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301 : 스마트폰 302 : 가전 기기
303 : USB 동글 310 : 서버
410 : 프로세서 411 : 정보 등록 모듈
412 : 네트워크 설정 모듈 420 : 메모리
430 : 통신 모듈 440 : 등록 정보 데이터베이스
510 : 프로세서 520 : 메모리
530 : 통신 모듈 531 : 이동 통신 모듈
532 : 근거리 통신 모듈 540 : 가입자 식별 모듈
550 : 인터페이스

Claims (20)

  1. 서버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과 관련된 통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동글(dongl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상기 USB 동글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상기 WiFi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미가입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통신사 서버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가입을 요청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서버.
  8.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처리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저장된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제1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상기 WiFi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제1 전자 장치.
  11.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요청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과 관련된 통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동글(dongl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USB 동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전 기기에 연결되는 상기 USB 동글로부터 상기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상기 WiFi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미가입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통신사 서버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가입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18.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2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저장된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상기 WiFi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KR1020180032305A 2018-03-20 2018-03-20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90110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05A KR20190110393A (ko) 2018-03-20 2018-03-20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PCT/KR2019/003123 WO2019182309A1 (ko) 2018-03-20 2019-03-18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05A KR20190110393A (ko) 2018-03-20 2018-03-20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93A true KR20190110393A (ko) 2019-09-30

Family

ID=6798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305A KR20190110393A (ko) 2018-03-20 2018-03-20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0393A (ko)
WO (1) WO201918230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421A1 (ko) * 2020-05-15 2021-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 그룹의 장치에게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030801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63060A (ko) * 2021-06-02 2022-12-09 (주)쿠첸 무작위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WO2023048485A1 (ko) * 2021-09-23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5109B (zh) * 2022-05-30 2024-01-26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控制命令的发送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295B1 (ko) * 2014-02-06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CN106211152B (zh) * 2015-04-30 2019-09-06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认证方法及装置
KR102303984B1 (ko) * 2015-06-22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기기의 가입 방법 및 장치
KR102493721B1 (ko) * 2016-02-04 202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70325270A1 (en) * 2016-05-06 2017-11-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421A1 (ko) * 2020-05-15 2021-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 그룹의 장치에게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030801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63060A (ko) * 2021-06-02 2022-12-09 (주)쿠첸 무작위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WO2023048485A1 (ko) * 2021-09-23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309A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6596B1 (ko) 외부의 IoT 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007416B1 (en) Multi-conn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29528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EP3373657B1 (en) Wireless router,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system for supporting connection to wireless router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CN106797553B (zh) 用于连接到外部设备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KR102226411B1 (ko) 재등록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110393A (ko)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US20160277878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7223327B (zh) 采用对配置信息的基于级别的发送的方法和电子设备
KR10220635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작업 연계 방법
KR20170097835A (ko)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스마트 홈 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9860359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neighbo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24734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일시적 언락 방법
US10659445B2 (en) Electronic apparatus, gatew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406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by which electronic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KR102190436B1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106090A (ko)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108626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and controlling controllees in smart home system
US20170134946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046964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20766B1 (ko) 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와 방법 및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방법
US20200068658A1 (en) Communication configu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thereof
KR20160063018A (ko)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이용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0746A (ko)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205203A1 (en) Method for active notification for intera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