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588A - 유체 작동식 밸브 - Google Patents

유체 작동식 밸브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588A
KR20150098588A KR1020150023560A KR20150023560A KR20150098588A KR 20150098588 A KR20150098588 A KR 20150098588A KR 1020150023560 A KR1020150023560 A KR 1020150023560A KR 20150023560 A KR20150023560 A KR 20150023560A KR 20150098588 A KR20150098588 A KR 20150098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valve
bore
valve housing
spr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979B1 (ko
Inventor
로베르트 마이어
크리스티안 슈텔즐레
Original Assignee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filed Critical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5009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7/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042The valves being provided with fuel passages
    • F02M61/045The valves being provided with fuel discharge orif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7/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02M47/02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of accumulator-injector type, i.e. having fuel pressure of accumulator tending to open, and fuel pressure in other chamber tending to close, injection valves and having means for periodically releasing that closing pressure
    • F02M47/022Mechanically actuated valves draining the chamber to release the clos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8Arrangement of fuel passages inside of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02M61/12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guiding or centring means for valv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20Closing valves mechanically, e.g. arrangements of springs or weights or permanent magnets; Damping of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4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injection valves held closed by a cyclically-operated mechanism for a time and automatically opened by fuel pressure, e.g. constant-pressure pump or accumulator, when that mechanism releases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3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or avoiding stress, e.g. the stress caused by mechanical force, by fluid pressure or by temperature vari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4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avoiding effect of cavitation, e.g. er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46Valves, e.g. injectors, with concentric valv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50Arrangements of springs for valves used in fuel injectors or fuel injection pumps

Abstract

밸브 하우징(3)을 갖는 유체 작동식 밸브, 특히 연료 분사 밸브로서, 밸브 하우징 내에서, 한편으로는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는 밸브 본체(6), 특히 노즐 니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동 요소(7)가 안내되며, 구동 요소는,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과 접촉하는 스프링 요소(11)의 스프링력으로 인해 구동 요소(7)가 밸브 본체(6)를 밸브 시트에 대항하여 폐쇄 위치로 압박하는 방식으로, 밸브 본체(6)와 상호 작용하고, 반면 밸브 본체(6)에 존재하는 유체 압력은 스프링 요소(1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밸브 본체(6)를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올리며, 유체 누출이 스프링 요소(11)를 수용하는 밸브 하우징(3)의 스프링 챔버(10) 내에 포집되며 그리고 밸브로부터 누출 라인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 내에 적어도 하나의 보어(17, 18)가 도입되고, 상기 보어는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과 스프링판(9)의 제2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6)을 연결한다.

Description

유체 작동식 밸브{FLUID-OPERATED VALV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 및 청구항 9의 전제부에 따른 유체 작동식 밸브에 관한 것이다.
연료 분사 밸브로서 설계되는 유체 작동식 밸브는 밸브 시트를 제공하는 밸브 하우징을 포함하고, 밸브 하우징 내에서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고 노즐 니들로서 설계되는 밸브 본체가 안내된다. 밸브 하우징 내에서, 밸브 본체와 상호 작용하는 구동 요소가 추가로 안내되고, 구동 요소는, 이 구동 요소의 스프링판과 접촉하는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기인하여 구동 요소가 밸브 본체를 밸브 시트에 대항하여 폐쇄 위치로 압박하는 방식으로, 밸브 본체와 상호 작용한다. 특히, 정해진 유압이 밸브 본체에 작용할 때, 유압은 밸브 본체를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여기서, 밸브의 스프링 요소는 밸브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스프링 챔버 내에 배치되고, 스프링 요소 자체는 제1 단부에 의해 구동 요소의 스프링판 상에 지지되고 제2 단부에 의해 스러스트 요소 상에 지지되며, 스러스트 요소는 조절 나사를 통해 구동될 수 있고 밸브의 소위 랜스 보어(lance bore) 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밸브의 작동 도중에, 유체 누출은 스프링 챔버 내에 포집될 수 있으며, 유체 누출은 스프링 챔버로부터 시작하여 랜스 공간 내로 배출되고 랜스 공간으로부터 출발하여 누출 라인을 통해 밸브로부터 멀어지게 배출될 수 있다. 실시로부터 공지된 그러한 유체 작동식 밸브에서는, 스프링 챔버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 요소가 파손 위험에 노출되고, 그 결과 스프링 요소가 파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괴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스프링 요소의 파손 위험이 감소되는 새로운 타입의 유체 작동식 밸브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은 새로운 타입의 유체 작동식 밸브를 창출하는 것에 대한 목적에 기초를 둔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유체 작동식 밸브에 의해 해소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어가 구동 요소의 스프링판 내로 도입되고, 이 보어는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밸브 하우징의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과 스프링판의 제2 측부에 배열되는 밸브 하우징의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구동 요소의 스프링판에 적어도 하나의 보어가 도입될 때, 보어는 부분 공간을 스프링판의 제2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과 연결하고, 밸브의 전환 또는 개방 도중에 그리고 이에 따라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으로 상기 전환 또는 개방에 의해 야기되는 유체 누출의 운반 도중에, 구동 요소의 펌핑 작용이 크게 방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의 개방 도중에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 내의 압력 증가가 회피될 수 있고, 그 결과 스프링 요소의 손상 위험이 명백하게 감소하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보어가 스프링판 내에 도입되고, 보어들은 스프링판 위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과 스프링판 아래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을 연결한다. 이 때문에, 구동 요소의 펌핑 작용이 밸브의 개방 도중에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어서, 스프링 요소의 손상 위험이 효과적으로 감소하게 될 수 있다.
유리한 추가 개량에 따르면, 한편으로 스프링판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스프링 챔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보어가 스프링판 내로 도입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스프링판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그리고 스프링 챔버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대각선 보어(diagonal bores)가 도입되며, 중앙 보어는 스프링판 위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제1 부분 공간으로 개방되며, 대각선 보어들은 스프링판 아래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제2 부분 공간으로 개방된다. 여기서, 중앙 보어는 스프링판의 스프링 가이드를 관통한다. 이에 의해, 밸브의 개방 도중에 구동 요소의 펌핑 작용이, 스프링 요소의 손상 위험을 더욱 감소시키도록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유리한 추가 개량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는 제1 단부에 의해 구동 요소의 스프링판과 접촉하며 그리고 제2 단부에 의해 조절 나사와 상호 작용하는 스러스트 요소와 접촉하며, 스러스트 요소에는 스러스트 요소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가 도입되고, 이 보어는 스프링 챔버를 랜스 보어와 커플링시키며, 누출 라인이 랜스 보어로부터 분기된다.
스러스트 요소 내에 도입되는 보어 때문에, 즉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을 랜스 보어에 커플링되도록 하는 보어 때문에,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 내에 포집되는 유체 누출이, 랜스 보어의 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누출 라인의 방향으로,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으로부터 특히 효과적으로 배출되며, 그 결과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 내에 압력 생성(pressure build-up)이 마찬가지로 저지(counteract)될 수 있다. 이 조치를 통해, 스프링 요소의 손상 위험이 또한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9에 따른 유체 작동식 밸브에 의해 해소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밸브 하우징의 스프링 챔버, 즉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이 밸브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보어를 통해 누출 배출부에 직접 커플링된다. 이 경우에, 밸브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보어 또는 각각의 보어는, 구동 요소의 펌핑 효과를 통해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 내로 운반되는 유체 누출이, 밸브의 전환 시간 또는 개방 시간 이내에 스프링 챔버 밖으로 보어 또는 각각의 보어를 통해 완전히 배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가 결정된다.
독자적으로 또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와 또한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와 더불어, 밸브의 개방 도중에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 내의 압력 생성이 또한, 스프링 챔버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 요소의 손상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전환 사이클 도중에 스프링 챔버 내로 운반되는 유체 누출은, 전환 시간 이내에 스프링 챔버 밖으로, 즉 스프링판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 밖으로 직접적으로, 밸브 하우징을 관통하는 보어 또는 각각의 보어를 통해, 완전히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개량은 종속 청구항 및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으로 제한하는 일 없이 도면의 도움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밸브의 세부사항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세부사항 II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세부사항 III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밸브의 세부사항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 V-V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유체 작동식 밸브, 특히 대형 디젤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중유로 작동되는 선박용 디젤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을 위한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연료 분사 밸브(1)의 부분 단면의 세부사항을 도시하며, 여기서 연료 분사 밸브(1)는 리셉터클(2) 내에 배열된다. 리셉터클(2)은 내연 기관의 실린더 헤드일 수 있다. 도 1의 연료 분사 밸브(1)는,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함께 나사 체결되는 2개의 섹션(4, 5)으로 조립되는 밸브 하우징(3)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밸브 하우징(3)의 상부 섹션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섹션(5) 내에 나사 체결되고 일부가 하부 섹션 내로 돌출한다.
밸브 하우징(3) 내에서, 도 3에서는 밸브 하우징의 하부 섹션(5) 내에서, 노즐 니들로서 설계되는 밸브 본체(6)가 안내되고, 밸브 본체는 밸브 하우징(3)의 하부 섹션(5)에 의해 제공되는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한다. 더욱이, 밸브 본체(6)와 상호 작용하는 구동 요소(7)가 밸브 하우징(3) 내에서, 즉 도 1에서는 밸브 하우징의 상부 섹션(4) 내에서 안내되고, 구동 요소는 밸브 본체(6) 상에 작용하는 구동 푸시로드(8)와 스프링판(9)을 포함하며, 밸브 하우징(3)의 스프링 챔버(10)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 요소(11)는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 상에 제1 단부에 의해 자체가 지지된다.
대향 배치되는 제2 단부에서, 스프링 요소(11)는 자체가 스러스트 요소(12) 상에 지지되고, 도시되지 않은 구동 나사가 스러스트 요소와 상호 작용하며, 구동 요소(7)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11)의 스프링력은 스러스트 요소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스프링 챔버(10)는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 공간(15)과 스프링판(9)의 제2 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 공간(16)으로 세분된다. 스프링 요소(11)는 제1 측부 상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15) 내에 수용된다.
밸브 하우징(3) 내에, 즉 밸브 하우징의 상부 섹션(4) 내에 랜스 보어(13)가 또한 도입되고, 스러스트 요소(12)가 랜스 보어(13)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거나 일부가 랜스 보어(13)를 통해 연장된다. 랜스 보어(13)에 의해, 연료가 연료 밸브(1)로 공급될 수 있고, 연료는 랜스 보어(13)로부터 시작하여 연료 공급 라인(14)을 통해 노즐 니들로서 구현되는 밸브 본체(6)로 공급된다.
구동 요소(7)는, 스프링 요소(11)에 의해 제공되는 스프링력에 기인하여 구동 요소(7)가 밸브 본체를 밸브 시트에 대항하여 그리고 이에 따라 밸브를 폐쇄 위치로 압박하는 방식으로, 노즐 니들로서 설계되는 밸브 본체(6)와 상호 작용한다. 특히, 적절한 연료 압력 또는 유체 압력이 스프링 본체(6)에 인가될 때, 밸브 본체(6)는 연료 밸브(1)를 개방하기 위하여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연료 밸브(1)의 개방 도중에, 스프링 챔버(10)로부터 시작되는 연료 누출이, 도 1에 보이지 않는, 누출 라인을 통해 연료 밸브(1)로부터 배출되는 랜스 보어(13)로부터 시작하도록 하기 위해 랜스 보어(13)에 진입할 수 있을 때, 연료 누출 또는 유체 누출이 스프링 챔버(10)에 진입할 수 있다.
연료 밸브(1)의 개방 시에, 구동 요소(7)는 스프링 요소(1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스프링 챔버(10) 내에, 즉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 내에 위치하게 되는 연료가 압축된다. 이는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 내에서 압력 증가를 야기하고, 그 결과 스프링 요소(11)가 손상될 수 있다. 더욱이, 연료 밸브(1)의 전환 도중에, 즉 연료 밸브의 개방 도중에, 구동 요소(7)의 펌핑 작용 때문에 추가 연료가 스프링 챔버(10) 내로, 즉 구동 요소의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 내로 운반되고, 이 추가 연료는 구동 요소(7)의 상기 운동 때문에 밸브(1)의 개방 도중에 마찬가지로 압축되며, 그 결과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 내의 압력이 추가로 증가된다. 스프링 챔버(10)의 그러한 압력 증가는 스프링 요소(11)에 대한 부하가 되고,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 요소(11)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으로 인한 손상 위험을 받는다.
캐비테이션으로 인한 스프링 요소(11)의 손상 위험을 해소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어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에 도입되는데, 보어는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을 스프링 챔버의 제2 측부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6)과 연결한다. 따라서, 복수의 보어(17, 18)가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에 도입되고, 이 보어들은 구동 요소의 스프링판(9) 위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10)의 제1 부분 공간(15)을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 아래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10)의 제2 부분 공간(16)과 연결한다는 점이 도 2의 세부사항 II로부터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판(9)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스프링 챔버(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보어(17)가 스프링판(9) 내로 도입되고, 이 중앙 보어는 스프링판(9) 위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 내로 개방된다. 더욱이, 스프링판(9)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그리고 스프링 챔버(10)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대각선 보어(18)가 도입되고, 이 대각선 보어들(18)은 스프링판(9)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6)으로 개방된다. 이 경우에, 중앙 보어(17) 뿐만 아니라 대각선 보어(18)는 서로 연통하므로, 이에 따라 스프링 챔버(10)의 제1 부분 공간(15)이 보어(17, 18)를 통해 스프링 챔버(10)의 제2 부분 공간(16)에 연결된다.
스프링 챔버(10)의 2개의 부분 공간(15, 16)이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 내의 보어(17, 18)를 통해 연결된다는 점 때문에, 연료 밸브(1)의 개방 도중에 구동 요소(7)의 펌핑 작용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어, 기껏해야 밸브(1)의 개방 도중에 잔류할 수 있는 구동 밸브(7)의 펌핑 작용의 결과로서 작은 연료 누출이 스프링 챔버(10)로, 즉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 내로 운반된다. 이 때문에, 스프링 챔버(10), 즉 스프링 요소(11)가 수용되는 밸브 디스크(9) 위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 내의 압력 증가가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테이션으로 인한 스프링 요소(11)의 손상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11)는 자체가 제1 단부에 의해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 상에 지지되고 대향 배치된 제2 단부에 의해 스러스트 요소(12) 상에 지지된다. 도 1로부터, 스프링 요소(11)가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의 구역에서 뿐만 아니라 스러스트 요소(12)의 구역에서 모두 스프링 가이드(19, 20)를 통해 각각 안내되고, 스프링판(9)의 중앙 보어(17)는 스프링판(9)의 스프링 가이드(19)를 관통한다는 점이 명백하다.
도 2로부터,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의 스프링 가이드(19)는 구동 요소(7)의 종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10°내지 30°, 특히 대략 20°에 달하는 각도(α)를 갖는 모따기부(21)를 포함한다.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의 스프링 가이드(19)의 구역에서 모따기부(21)는 스프링 요소(11)에 작용하는 힘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연료 밸브(1)의 스프링 요소(11)의 손상 위험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유리한 추가 개량에 따르면, 스러스트 요소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22)가 스프링 요소(10)와 대면하는 스러스트 요소(12)의 단부에 도입되고, 이 보어를 통해 스프링 챔버(10), 즉 스프링판(9) 위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15)이 랜스 보어(13)에 커플링되거나 연결된다. 스프링 챔버(10), 즉 스프링 챔버의 위쪽 상부 부분 공간(15)에 포집되는 연료 누출은, 랜스 보어(13)로부터 시작하여 밸브(11)로부터 누출 라인을 통해 배출되도록, 스러스트 요소(12)의 상기 보어(22)를 통해 랜드 보어(13)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누출 또는 연료 누출은 특히 밸브의 전환 도중에 또는 밸브의 개방 도중에 스프링 챔버(10) 또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으로부터 랜스 보어(13)로 배출될 수 있고, 그 결과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 내의 압력 증가가 저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 요소(11)의 캐비테이션으로 인한 손상 위험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유체 작동식 밸브(1)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며, 도 4 및 도 5의 밸브(1)의 경우, 도 1 내지 도 3의 밸브(1)에 관해서 동일한 조립체에 대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들 조립체에 대해 상기 설명을 참조하고, 아래에서는, 도 4 및 도 5의 밸브(1)가 도 1 내지 도 3의 밸브와 상이한 그러한 세부사항만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2개의 양태는 또한 서로 조합된 밸브(1)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양태들 또는 양태들의 특징부는 또한 그들끼리만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밸브(1)에 채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연료 분사 밸브(1)의 경우에, 밸브 하우징(3)의 스프링 챔버(10), 즉 구동 요소(7)의 제1 측부 또는 밸브 디스크(9) 위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은 적어도 하나의 보어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보어를 통해 직접 누출 배출부에 커플링되며, 보어는 밸브 하우징(3), 즉 도 4에 따른 밸브 하우징을 통해 밸브 하우징(3)과 밸브(1)의 리셉터클(2)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 누출 또는 연료 누출을 배출하는 환형 공간(24)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총 4개의 그러한 보어(23)가 밸브 하우징(3)으로, 즉 밸브 하우징의 상부 섹션(4)에 도입되고, 보어는 제1 측부에 또는 스프링판(9) 위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을 환형 공간(24)과 직접 커플링시킨다. 이 경우에 보어(23)는 밸브 하우징(3)의 종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보어들(23)의 단면은, 구동 요소(7)의 펌핑 효과를 통해 스프링 챔버(10)로, 즉 스프링 챔버의 부분 공간(15)으로 운반되는 유체 누출 또는 연료 누출이, 밸브의 전환 시간 이내에, 즉 밸브(1)를 개방하는 데에 요구되는 시간 이내에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으로부터 보어(23)를 통해 환형 공간(24)으로 직접적으로 그리고 완전히 배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가 결정된다. 이 때문에, 또한 스프링 요소(11)가 수용되는, 스프링판(9) 위에 또는 제1 측부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 내의 압력 증가가 효과적으로 저지되고 스프링 요소(11)의 캐비테이션으로 인한 손상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1: 밸브 2: 리셉터클
3: 밸브 하우징 4, 5: 섹션
6: 밸브 본체 7: 구동 요소
8: 구동 푸시로드 9: 스프링판
10: 스프링 챔버 11: 스프링 요소
12: 스러스트 요소 13: 랜스 보어
14: 연료 라인 15, 16: 부분 공간
17: 중앙 보어 18: 대각선 보어
19, 20: 스프링 가이드 21: 모따기부
22, 23: 보어 24: 환형 공간

Claims (11)

  1. 밸브 하우징(3)을 갖는 유체 작동식 밸브, 특히 연료 분사 밸브로서,
    밸브 하우징 내에서, 한편으로는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는 밸브 본체(6), 특히 노즐 니들 및 다른 한편으로는 구동 요소(7)가 안내되며, 상기 구동 요소는, 상기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과 접촉하는 스프링 요소(11)의 스프링력으로 인해 상기 구동 요소(7)가 상기 밸브 본체(6)를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항하여 폐쇄 위치로 압박하는 방식으로, 상기 밸브 본체(6)와 상호 작용하고, 상기 밸브 본체(6)에 존재하는 유체 압력이 상기 스프링 요소(1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밸브 본체(6)를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올리며, 유체 누출이 상기 스프링 요소(11)를 수용하는 상기 밸브 하우징(3)의 스프링 챔버(10) 내에 포집되고 밸브로부터 누출 라인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유체 작동식 밸브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7)의 상기 스프링판(9) 내에 적어도 하나의 보어(17, 18)가 도입되고, 상기 보어는 상기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상기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과 상기 스프링판(9)의 제2 측부에 배열되는 상기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6)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17, 18) 또는 각각의 보어는 상기 스프링판(9) 위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과 상기 스프링판(9) 아래에 배열되는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6)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7)의 상기 스프링판(9) 내에 복수의 보어(17, 18)가 도입되고, 상기 보어는 상기 스프링판(9)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상기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5)과 상기 스프링판(9)의 제2 측부에 배열되는 상기 스프링 챔버(10)의 부분 공간(16)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9)에, 한편으로 상기 스프링판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스프링 챔버(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보어(17) 및 다른 한편으로 상기 스프링판(9)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그리고 상기 스프링 챔버(10)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대각선 보어(18)가 도입되고, 상기 중앙 보어(17)는 상기 스프링 챔버(10)의 제1 부분 공간(15)으로 개방되며, 상기 대각선 보어들(18)은 상기 스프링 챔버(10)의 제2 부분 공간(16)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보어(17)는 상기 스프링판(9)의 스프링 가이드(19)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가이드는 10°내지 30°의 각도를 갖는 모따기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10)는 제1 단부에 의해 상기 구동 요소(7)의 상기 스프링판(9)과 접촉하며 그리고 제2 단부에 의해 조절 나사와 상호 작용하는 스러스트 요소(12)와 접촉하며, 상기 스러스트 요소(12)에는 상기 스러스트 요소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가 도입되고, 상기 보어는 상기 스프링 챔버(10)를 랜스 보어(13)와 커플링시키며, 누출 라인은 상기 랜스 보어(13)로부터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8.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작동식 밸브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더 개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9. 밸브 하우징(3)을 갖는 유체 작동식 밸브, 특히 연료 분사 밸브로서,
    밸브 하우징 내에서, 한편으로는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는 밸브 본체(6), 특히 노즐 니들 및 다른 한편으로는 구동 요소(7)가 안내되며, 구동 요소는, 상기 구동 요소(7)의 스프링판(9)과 접촉하는 스프링 요소(11)의 스프링력으로 인해 상기 구동 요소(7)가 상기 밸브 본체(6)를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항하여 폐쇄 위치로 압박하는 방식으로, 상기 밸브 본체(6)와 상호 작용하고, 상기 밸브 본체(6)에 존재하는 유체 압력이 상기 스프링 요소(1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밸브 본체(6)를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올리며, 유체 누출이 상기 스프링 요소(11)를 수용하는 상기 밸브 하우징(3)의 상기 스프링 챔버(10) 내에 포집되고 밸브로부터 누출 라인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유체 작동식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3)의 상기 스프링 챔버(10)는 상기 밸브 하우징(3)을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어(23)를 통해 누출 배출부에 직접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3)의 상기 스프링 챔버(10), 즉 상기 스프링판(9) 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밸브 하우징의 부분 공간(15)이 상기 밸브 하우징(3)을 통해 연장되는 보어(23) 또는 각각의 보어를 통해 유체 누출을 배출하는 환형 공간(24)과 직접 커플링되고, 상기 환형 공간은 밸브를 수용하는 리셉터클(2)과 상기 밸브 하우징(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3)을 통해 연장되는 상기 보어(23) 또는 각각의 보어는, 상기 구동 요소(7)의 펌핑 효과를 통해 상기 스프링 챔버(10) 내로 운반되는 유체 누출이 밸브의 전환 시간 이내에 상기 스프링 챔버(10)로부터 상기 보어(23) 또는 각각의 보어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밸브.
KR1020150023560A 2014-02-20 2015-02-16 유체 작동식 밸브 KR102179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2262.5A DE102014002262A1 (de) 2014-02-20 2014-02-20 Fluidbetriebenes Ventil
DE102014002262.5 2014-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588A true KR20150098588A (ko) 2015-08-28
KR102179979B1 KR102179979B1 (ko) 2020-11-17

Family

ID=5375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560A KR102179979B1 (ko) 2014-02-20 2015-02-16 유체 작동식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49386B2 (ko)
KR (1) KR102179979B1 (ko)
CN (1) CN104863766B (ko)
DE (1) DE102014002262A1 (ko)
FI (1) FI128242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6466A (ja) * 1987-10-07 1989-04-14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用燃料噴射ノズル
JPH05149461A (ja) * 1991-11-22 1993-06-15 Kayaba Ind Co Ltd 流量制御弁の圧力補償装置
JP2002542427A (ja) * 1999-04-16 2002-12-10 エム・テー・ウー・フリードリッヒスハーフェン・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2720U (ko) * 1978-06-14 1979-12-25
JPS54182721U (ko) * 1978-06-14 1979-12-25
JPS58214664A (ja) * 1982-06-07 1983-12-13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JPH01173464U (ko) * 1988-05-25 1989-12-08
JPH0286953A (ja) * 1988-09-21 1990-03-27 Kanesaka Gijutsu Kenkyusho:Kk 燃料噴射弁
DE19650865A1 (de) * 1996-12-07 1998-06-10 Bosch Gmbh Robert Magnetventil
DE19958239A1 (de) * 1999-12-03 2001-06-21 Siemens Ag Hydraulisches Ventil mit Anschlag
US6811092B2 (en) * 2002-04-19 2004-11-02 Robert Bosch Gmbh Fuel injector nozzle with pressurized needle valve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6466A (ja) * 1987-10-07 1989-04-14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用燃料噴射ノズル
JPH05149461A (ja) * 1991-11-22 1993-06-15 Kayaba Ind Co Ltd 流量制御弁の圧力補償装置
JP2002542427A (ja) * 1999-04-16 2002-12-10 エム・テー・ウー・フリードリッヒスハーフェン・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155105A (fi) 2015-08-21
CN104863766A (zh) 2015-08-26
FI128242B (en) 2020-01-15
DE102014002262A1 (de) 2015-08-20
CN104863766B (zh) 2019-04-02
KR102179979B1 (ko) 2020-11-17
JP2015178898A (ja) 2015-10-08
JP6549386B2 (ja)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901B1 (ko) 내연기관에사용되는연료분사장치
JP5238070B2 (ja)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弁
CN101578445B (zh) 用于将燃料喷射到内燃机燃烧室中的喷射器
US20090145404A1 (en) Injector of a fuel injection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193683C2 (ru) Гид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GB2285095A (en) Pressure balanced fuel injection valve
RU24260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прыскивания топлива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90034371A (ko) 연료 분사 시스템용 인젝터
JP4154425B2 (ja) 燃料噴射装置
KR870000506A (ko) 엔진의 연료 분사 장치
JP2005529264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バルブ
US20130214186A1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KR20010101179A (ko) 유압이 보강된 액츄에이터가 포함된 이중개폐형 제어밸브
US20100065020A1 (en) Fuel injector
US9133807B2 (en) Flow control system
KR100703921B1 (ko) 고압 저장기를 갖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기 및 내연기관
US6631853B2 (en) Oil activated fuel injector control valve
JP2006512533A (ja) 2つの同軸的な弁ニードルを備えた燃料噴射弁
US7370636B2 (en) Fuel injection system
KR101158631B1 (ko) 2중 연료분사밸브
KR100693254B1 (ko) 인젝터용 제어 밸브
US6928986B2 (en) Fuel injector with piezoelectric actuator and method of use
JP6329999B2 (ja) 燃料噴射ユニット及びシステム
KR20150098588A (ko) 유체 작동식 밸브
CN101639022A (zh) 喷射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