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354A -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354A
KR20150098354A KR1020140019512A KR20140019512A KR20150098354A KR 20150098354 A KR20150098354 A KR 20150098354A KR 1020140019512 A KR1020140019512 A KR 1020140019512A KR 20140019512 A KR20140019512 A KR 20140019512A KR 20150098354 A KR20150098354 A KR 2015009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owder
puzzle
glass powder
transpare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4001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354A/ko
Publication of KR2015009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1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for moulded articles undergoing a thermal treatment at high temperatures, such as burning, afte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by spraying or proje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04B33/1324Recycled material, e.g. tile dust, stone waste, spent refractory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에 관한 것으로, 퍼즐의 형태를 가지는 세라믹 타일로 겉표면을 공병으로 타일을 유리질화 하여 이용하여 타일을 극대화하여 종래의 사각타일에서 탈피 할 수 있고, 공병을 활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타일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공병을 이용하므로 재료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Method of making a tile shaped like a puzzle using the ceramic empty bottle}
본 발명은 타일에 관한 것으로, 퍼즐의 형태를 가지는 세라믹 타일로 겉표면을 공병으로 타일을 유리질화 하여 이용하여 타일을 극대화하기 위한 퍼즐 모양의 타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일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네모 형태이다. 기존의 타일 형태는 네모의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이는 시공에 있어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함인데 그 편리함을 추구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타일 디자인에 대한 제한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곁 표면의 유리질화를 위해 값싼 저렴한 원료를 사용하여 해로운 물질이 발생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성분이 검출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형적인 사각형 타일에서 벗어나 새로운 타일 디자인을 제안하여 새로운 타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한 가격과 질 좋은 재료인 공병을 활용하여 타일의 표면을 유리질화 할 수 있다. 종래의 저렴하지만, 인체에 유해한 유약과 안료가 수행하는 역할을 공병이 대신하여 타일의 새로운 디자인을 가지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은 혼합단계, 형태 생성단계, 건조단계, 초벌단계, 시유단계 및 재벌단계로 이루어진다.
혼합단계는 타일재료를 뒤섞는 단계, 형태 생성단계는 혼합단계에서 얻은 뒤섞인 타일재료를 석고틀에 넣는 단계, 건조단계는 석고틀에서 타일재료를 건조하는 단계, 초벌단계는 건조된 타일재료를 초벌하여 타일로 소성하는 단계, 시유단계는 타일을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입히는 단계, 재벌단계는 시유단계를 거친 타일을 재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의 사각타일에서 탈피 할 수 있고, 공병을 활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타일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공병을 이용하므로 재료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의 순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혼합단계의 일실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형태 생성단계의 일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시유단계의 일실시 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의 순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은 혼합단계(S110), 형태 생성단계(S120), 건조단계(S130), 초벌단계(S140), 시유단계(S150) 및 재벌단계(S16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혼합단계의 일실시 예이다.
혼합단계(S110)는 타일재료를 뒤섞는 단계이다.
타일재료를 교반기에 넣고 3시간동안 돌려 재료를 뒤섞는다.
타일재료를 이때 액체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형태 생성단계의 일실시 예이다.
형태 생성단계(S120)는 혼합단계(S110)에서 얻은 뒤섞인 타일재료를 석고틀에 넣는 단계이다.
타일재료는 석고틀에 가득채운 후 20분 동안 가만히 두어 석고틀 안에 타일재료가 모두 채워지도록 기다린다.
그리고 석고틀의 일부를 재거하여 타일재료가 공기 중에 노출되도록 하고, 30분간 건조한 이후에 석고틀에서 타일재료를 완전히 분리하도록 한다.
건조단계(S130)는 석고틀에서 타일재료를 건조하는 단계이다.
건조단계(S130)에서는 타일재료를 10일정도 건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초벌단계(S140)는 건조된 타일재료를 초벌하여 타일로 소성하는 단계이다.
시유단계(S150)는 타일을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입히는 단계이다.
재벌단계(S160)는 시유단계(S150)를 거친 타일을 재벌하는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시유단계의 일실시 예이다.
시유단계(S150)는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에 타일을 담갔다가 빼내는 것을 일실시 예로 한다.
담그는 시간에 따라 타일에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입히는 두께가 달라진다. 담그는 시간은 3초 내지 7초 중 어느 하나의 시간동안 담그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타일에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입히는 두께는 얇게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얇게 입혀야만 타일이 완성된 이후 타일과 타일 사이에 공간이 간격이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시유단계(S150)는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타일에 도포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한다.
도포하는 시간 및 도포 횟수에 따라 타일에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입히는 두께가 달라지며, 두께가 얇게 도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투명유는 장석가루, 규석가루, 석회석 및 카오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장석가루는 24.7%, 규석가루는 46%, 석회석은 10.3%, 카오린은 19 %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일실시 예로 한다.
장석가루, 규석가루, 석회석 및 카오린으로 투명유를 만들기 위해 뒤섞는 과정에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의 양은 중요하지 않고 다만 장석가루, 규석가루, 석회석 및 카오린이 잘 섞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투명유에 아연화, 고령토, 백운석, 티탄 및 바륨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를 선택하여 더 부가할 수 있다. 투명유의 구성이 어떤 조합을 가지는가에 따라 타일의 색상이 변경되거나 표면의 질감이 변경 될 수 있다.
유리가루는 장석가루와 같은 크기로 세라믹형 공병을 파쇄한 가루인 것을 기본으로 하며, 1000도 이상에서 녹기 용이한 크기를 가지면 된다.
형태 생성단계(S120)는 석고틀에서 퍼즐 모양으로 타일재료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퍼즐의 모양을 이용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모양의 타일의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석고틀에서는 퍼즐 모양 이외에도 다양한 모양의 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초벌단계(S140)는 타일재료를 750도 내지 850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로 소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초벌하는 시간은 4시간에서 6시간을 넘기지 않는다.
타일재료는 실크소지(슈퍼화이트) 흙과 규산소다를 섞어 만드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흙의 총 용량의 규산소다를 4/1000을 섞어 1.75 비중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섞을 때는 물을 추가로 넣어서 흙과 규산소다를 잘 섞이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의 양은 중요하지 않고 다만 두 물질을 잘 섞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재료로 생성된 타일재료는 통상적으로 800도의 온도로 소성할 수 있다. 그러나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라 온도가 약간은 변동 될 수 있다.
재벌단계(S160)는 타일을 1000도 내지 1300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로 재벌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재벌하는 시간은 6시간에서 12시간을 넘기지 않는다.
유리가루는 통상적으로 1090도에서 녹으며, 투명유는 통상적으로 1100도에서 녹는 것으로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라 온도가 약간은 변동 될 수 있다.
유리가루는 투명유보다 적은 양을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리가루와 투명유의 비율을 4:6으로 사용하는 것을 일실시 예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S110 : 혼합단계 S150 : 시유단계

Claims (10)

  1. 타일재료를 뒤섞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얻은 뒤섞인 상기 타일재료를 석고틀에 넣어 퍼즐 모양으로 상기 타일재료의 외형을 형성하는 형태 생성단계;
    상기 석고틀에서 상기 타일재료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타일재료를 초벌하여 타일로 소성하는 초벌단계;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상기 타일에 입히는 시유단계; 및
    상기 시유단계를 거친 상기 타일을 재벌하는 재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유단계는
    상기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에 상기 타일을 담갔다가 빼내며,
    담그는 시간에 따라 상기 타일에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입히는 두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유단계는
    3초 내지 7초 중 어느 하나의 시간동안 담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유단계는
    상기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상기 타일에 도포하고,
    도포하는 시간 및 도포 횟수에 따라 상기 타일에 유리가루를 섞은 투명유를 입히는 두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유는
    장석가루, 규석가루, 석회석 및 카오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유는
    아연화, 고령토, 백운석, 티탄 및 바륨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를 선택한 후 더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가루는
    상기 장석가루와 같은 크기를 가지며,
    세라믹형 공병을 파쇄한 가루 또는 유리를 파쇄한 가루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하거나 또는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단계는
    상기 타일재료를 750도 내지 850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로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벌단계는
    상기 타일을 1000도 내지 1300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로 재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가루는 상기 투명유보다 적은 양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40019512A 2014-02-20 2014-02-20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50098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512A KR20150098354A (ko) 2014-02-20 2014-02-20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512A KR20150098354A (ko) 2014-02-20 2014-02-20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354A true KR20150098354A (ko) 2015-08-28

Family

ID=5405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512A KR20150098354A (ko) 2014-02-20 2014-02-20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8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435A (ko) 2019-09-06 2021-03-16 사회적협동조합 상생 폐도자기를 활용한 퍼즐타일과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435A (ko) 2019-09-06 2021-03-16 사회적협동조합 상생 폐도자기를 활용한 퍼즐타일과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9327B2 (ja) 釉薬組成物
CN101973788B (zh) 一种分相孔雀蓝釉的制备方法
KR101873871B1 (ko)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408517C (zh) 一种用于内墙砖坯体的化妆釉及制备方法
CN100355683C (zh) 釉下大红色料及其制备方法、陶瓷面釉及其制备方法和大红陶瓷釉下彩
CN106242290B (zh) 铁锰锈色釉瓷器及其制作工艺
CN112028487A (zh) 一种耐磨釉面日用瓷器釉料的制备方法
CN106747277A (zh) 镁质土陶瓷坯料及其制备方法
CN106698945A (zh) 一种以废旧釉料做为釉面原料的釉面砖及其制备方法
CN111606563A (zh) 一种抗摔钢化玻璃碗及其制备方法
KR20150098354A (ko)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CN106698949B (zh) 一种乳浊釉及其制备方法
US6534427B1 (en) Night glow glaze for ceramics
CN106746649A (zh) 高温亮光嫩黄釉及其陶瓷制品和制备方法
KR20150098378A (ko) 세라믹형 공병을 활용한 퍼즐형태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CN104774021A (zh) 一种用于窑炉耐火砖的粘接泥及其制备工艺
CN102531703A (zh) 一种不含锆英砂的乳浊釉
CN107352800A (zh) 一种无铅珐华彩基釉及其应用方法
KR101138008B1 (ko) 도자기의 유약도포방법
CN108148450B (zh) 一种褪色文物显色修复剂及其使用方法
KR101017359B1 (ko) 초강화자기, 초강화자기용 소지 및 그 제조방법
CN107698162A (zh) 一种黄底白色点状纹高温结晶釉及其制备方法
CN105271749B (zh) 磷灰石低锆复合熔块及其制备方法
CN105016786B (zh) 一种ptc热敏电阻陶瓷烧结匣钵涂层及其制备和应用
RU2546181C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масс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