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300A -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300A
KR20150098300A KR1020140019391A KR20140019391A KR20150098300A KR 20150098300 A KR20150098300 A KR 20150098300A KR 1020140019391 A KR1020140019391 A KR 1020140019391A KR 20140019391 A KR20140019391 A KR 20140019391A KR 20150098300 A KR20150098300 A KR 20150098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waypoint
route
driver
opt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300A/ko
Priority to US14/477,082 priority patent/US9273977B2/en
Publication of KR2015009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와 동승자의 출발지가 다른 경우 동승자의 탑승을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운전자의 출발지 및 동승자의 출발지를 포함한 복수의 출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동승자의 출발지가 경유지로 설정되면, 운전자의 출발지와 목적지 및 상기 경유지에 대한 경로 탐색이 진행되는 단계와; 동승자 출발지가 경유지로 미설정되면, 동승자의 각종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에 동승자를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via point of navigation}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와 동승자의 출발지가 다른 경우 동승자 탑승을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용 내비게이션, 포털사이트의 지도정보는 출발지, 경유지(옵션), 목적지를 입력하여 최적의 루트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출발지, 경유지(옵션), 목적지를 입력하면, 교통 및 도로 정보를 비롯한 지도정보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추천 경로가 안내되고, 운전자 또는 사용자는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여 주행을 한다.
이렇게 내비게이션을 탑재한 자동차의 주행시, 카풀을 통해 동승자를 탑승시켜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물론, 운전자가 동승자의 출발지를 경유하여 픽업하면 좋지만, 동승자의 출발지가 운전자의 출발지와 차이가 많이 날 경우, 동승자를 배려하기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설정해야 한다.
동승자 배려를 위한 제3의 경유지 즉, 최적의 경유지를 설정해야 하는 경우, 운전자는 지도와 교통정보 혹은 동승자의 선호 대중교통 및 편의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경유지를 찾아야 하지만,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각종 정보와 동승자의 선호 정보를 취합하지 못하므로, 동승자를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및 각종 정보를 활용한 신개념 경유지 설정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운전자와 동승자의 공동의 목적지를 비롯하여 서로 다른 각각의 출발지를 입력하는 동시에 선정된 경유지까지 동승자의 이동을 위한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에 동승자가 편리하게 탑승하여 목적지까지 단시간 내에 갈 수 있는 최적의 경유지를 선정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출발지 및 동승자의 출발지를 포함한 복수의 출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동승자의 출발지가 경유지로 설정되면, 운전자의 출발지와 목적지 및 상기 경유지에 대한 경로 탐색이 진행되는 단계와; 동승자 출발지가 경유지로 미설정되면, 동승자의 각종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에 동승자를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는: 선정된 경유지까지의 동승자 이동을 위한 선호 교통수단과, 교통수단 환승 횟수와, 기본 추천경로를 기준으로 한 허용경유반경을 포함하는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는 과정과;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탐색이 진행되는 과정과;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의 교통수단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과; 취득된 교통수단 정보와 입력된 동승자의 선호 교통정보를 비교하여, 동승자를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조회 및 선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조회 및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취득된 교통수단 정보 중 기본 추천경로로부터의 허용경유반경 내에 동승자의 경유지까지의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횟수에 매칭되는 교통수단 정보가 존재하는 위치가 최적의 경유지로 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 후 선정된 최적의 경유지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적의 경유지 위치를 비롯하여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정보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 후,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포함하는 주행경로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 후에는, 동승자에게 최적의 경유지와 경유지까지의 이동을 위한 교통수단 및 경유지까지의 소요시간을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 후 선정된 최적의 경유지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안의 경유지 위치를 비롯하여 차안의 경유지에 존재하는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정보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 후, 차안의 경유지를 포함하는 주행경로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 후 선정된 최적의 경유지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동승자에게 차안의 경유지와 경유지까지의 이동을 위한 교통수단 및 경유지까지의 소요시간을 통보한다.
또한, 상기 차안의 경유지가 동승자에게 충족되지 않는 경우, 기본 추천경로를 기준으로 한 허용경유반경을 재입력하면 동승자를 위한 다른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가 더 진행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와 동승자의 공동의 목적지를 비롯하여 서로 다른각각의 출발지를 입력하는 동시에 선정된 경유지까지 동승자의 이동을 위한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여서,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중에 동승자가 편리하게 탑승하여 목적지에 단시간 내에 도착할 수 있는 최적의 경유지를 안내받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내비게이션의 경로 산출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동승자 배려를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설정한 경우의 주행경로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개념도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운전자와 동승자의 공동의 목적지를 비롯하여 서로 다른 각각의 출발지를 입력으로 하는 동시에 선정된 경유지까지의 동승자 이동을 위한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에 동승자가 편리하게 탑승하여 목적지까지 단시간 내에 갈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경유지를 찾는데 주안점이 있다.
첨부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작동하여 GPS에 의한 차량 위치가 화면에 표시되면(S101), 주행 목적지를 설정가능한 상태가 되어 운전자가 자신의 목적지를 입력한다(S102).
이때, 동승자가 없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입력한 운전자의 목적지에 대한 주행경로가 탐색된다(S103).
반면, 동승자가 있는 경우, 동승자의 출발지를 입력하는 동시에 입력된 동승자 출발지를 경유지로 설정하면, '출발지(운전자 출발지)→경유지(동승자 출발지)→운전자 및 동승자 목적지'에 적합한 주행경로가 탐색된다(S104).
그리고, 동승자가 있더라도, 동승자의 출발지가 운전자의 출발지와 차이가 많이 날 경우, 동승자를 배려하기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설정한다.
즉,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에 동승자 배려를 위한 제3의 경유지 즉, 최적의 경유지를 설정하여,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에 동승자가 중간에 편리하게 탑승하여 목적지까지 단시간 내 이동할 수 있는 최적의 경유지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동승자의 출발지를 고려한 최적 경유지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최적 경유지는 동승자의 각종 선호 교통정보를 고려하여 운전자의 출발지로부터 운전자와 동승자의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에서 동승자를 배려하기 위해 선정되는 경유지이다.
먼저, 운전자의 출발지 및 동승자의 출발지를 포함한 복수의 출발지를 내비게이션에 입력하고(S201), 최적 경유지 산출을 위한 동승자의 각종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동승자의 각종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동승자가 선정된 경유지까지 이동할 때 사용할 선호 교통수단을 입력하는 과정(S202)과, 교통수단 환승 횟수를 입력하는 과정(S203)과, 운전자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기본 추천경로(도 5의 A 참조)를 기준으로 한 허용경유반경(최적 경유지로 선정가능한 영역)을 입력하는 과정(S204)을 포함한다.
상기 선호 교통수단은 예를 들어, 버스, 지하철, 택시, 도보, 무관 등의 항목으로 구분 입력되고, 상기 교통수단 환승 횟수는 1회, 2회, 무관 등으로 구분 입력되며, 또한 경유지 반경은 1km, 5km, 10km, 무관 등으로 구분 입력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기본 추천경로는 내비게이션에 운전자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주행경로이며, 이러한 기본 추천경로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허용경유반경은 동승자를 배려한 최적 경유지로 선정 가능한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 추천경로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까지 최적 경유지로 선정가능한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교통정보를 이용한 주행경로 탐색이 진행되어(S205), 탐색된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을 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에, 바람직하게는 기 입력된 기본 추천경로로부터의 허용경유반경 내에, 교통수단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206).
참고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교통정보 및 교통수단 정보 등을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취득할 수 있다.
계속해서, 취득된 교통수단 정보 중, 기 입력된 동승자의 선호 교통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지를 비교 판단하여, 동승자를 위한 최적 경유지를 조회 및 선정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207).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최적 경유지를 조회 및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취득된 교통수단 정보들 중 기 입력된 기본 추천경로로부터의 허용경유반경 내에 동승자의 경유지까지의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횟수와 매칭되는 교통수단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 후,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횟수에 매칭되는 적합한 교통수단 정보가 존재하는 위치를 최적 경유지로 선정한다.
도 5를 참조로 예를 들면, 동승자가 선호 교통수단을 지하철로 입력하는 동시에 환승 횟수를 무관으로 입력하고 허용경유반경은 5km로 입력한 경우, 입력된 교통수단 정보가 상기와 같이 취득된 교통수단 정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횟수에 매칭되는 교통수단 정보가 존재하는 위치를 최적의 경유지(C)로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된 최적의 경유지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 동승자가 원하는 교통수단 및 환승 횟수에 매칭되는 경유지로 만족되면, 최적의 경유지 위치를 비롯하여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정보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 후(S208), 최적 경유지를 포함하는 주행경로가 목적지까지의 최종 추천경로(도 5의 B 참조)로서 표시된다(S209).
즉,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최종 추천경로)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되며, 이때 상기 최종 추천경로는 동승자가 운전자의 차량에 탑승하는 위치로서 최적의 경유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와 같이 선정된 최적의 경유지를 향하여 주행을 하는 동시에, 동승자에게 최적의 경유지와 경유지까지 이용할 교통수단 및 경유지까지의 소요시간을 통보한다(S210).
상기 최적의 경유지에 도착해서는 동승자를 픽업하여 태운 뒤, 다시 목적지를 향하여 주행을 한다(S211).
한편, 선정된 최적의 경유지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즉 교통수단 및 환승 횟수 중 일부가 동승자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차안(제2)의 경유지 위치를 비롯하여 차안의 경유지에 존재하는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정보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제시된다(S212).
이어서, 동승자가 차안의 경유지를 만족하면, 차안의 경유지에 존재하는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정보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계속 표시(S213)된 후, 차안의 경유지를 포함하는 주행경로가 화면에 표시된다(S214).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와 같이 선정된 차안의 경유지를 향하여 주행을 하게 되는 동시에, 동승자에게 차안의 경유지와 경유지까지 이용할 교통수단 및 경유지까지의 소요시간을 통보한다(S215).
한편, 상기 차안의 경유지도 동승자에게 충족되지 않는 경우, 다시 운전자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기본 추천경로를 기준으로 한 허용경유반경을 재입력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동승자 배려를 위한 다른 경유지를 산출하는 과정이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반복 진행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와 동승자의 공동의 목적지를 비롯하여 서로 다른 각각의 출발지를 입력하는 동시에 선정된 경유지까지 동승자의 이동을 위한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에 동승자가 편리하게 탑승하여 목적지까지 단시간 내에 갈 수 있는 최적의 경유지를 안내받을 수 있다.

Claims (8)

  1. 운전자의 출발지 및 동승자의 출발지를 포함한 복수의 출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동승자의 출발지가 경유지로 설정되면, 운전자의 출발지와 목적지 및 상기 경유지에 대한 경로 탐색이 진행되는 단계와;
    동승자 출발지가 경유지로 미설정되면, 동승자의 각종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에 동승자를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는:
    선정된 경유지까지의 동승자 이동을 위한 선호 교통수단과, 교통수단 환승 횟수와, 기본 추천경로를 기준으로 한 허용경유반경을 포함하는 선호 교통정보를 입력하는 과정과;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탐색이 진행되는 과정과;
    운전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 내의 교통수단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과;
    취득된 교통수단 정보와 입력된 동승자의 선호 교통정보를 비교하여, 동승자를 위한 최적의 경유지를 조회 및 선정하는 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조회 및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취득된 교통수단 정보 중 기본 추천경로로부터의 허용경유반경 내에 동승자의 경유지까지의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횟수에 매칭되는 교통수단 정보가 존재하는 위치가 최적의 경유지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 후, 선정된 최적의 경유지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적의 경유지 위치를 비롯하여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정보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 후,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포함하는 주행경로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 후에는, 동승자에게 최적의 경유지와 경유지까지의 이동을 위한 교통수단 및 경유지까지의 소요시간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 후 선정된 최적의 경유지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안의 경유지 위치를 비롯하여 차안의 경유지에 존재하는 선호 교통수단 및 환승 정보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 후, 차안의 경유지를 포함하는 주행경로가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 후 선정된 최적의 경유지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동승자에게 차안의 경유지와 경유지까지의 이동을 위한 교통수단 및 경유지까지의 소요시간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안의 경유지가 동승자에게 충족되지 않는 경우, 기본 추천경로를 기준으로 한 허용경유반경을 재입력하면 동승자를 위한 다른 경유지를 산출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KR1020140019391A 2014-02-20 2014-02-20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KR20150098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391A KR20150098300A (ko) 2014-02-20 2014-02-20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US14/477,082 US9273977B2 (en) 2014-02-20 2014-09-04 Method of setting via-point in navig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391A KR20150098300A (ko) 2014-02-20 2014-02-20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300A true KR20150098300A (ko) 2015-08-28

Family

ID=5379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391A KR20150098300A (ko) 2014-02-20 2014-02-20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73977B2 (ko)
KR (1) KR201500983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2013A (zh) * 2018-09-21 2019-05-14 北京小蓦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经由地路径导航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808B1 (ko) 2002-11-01 2005-09-29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의 다중경로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JP4252407B2 (ja) * 2003-09-05 2009-04-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経路誘導方法
JP4148075B2 (ja) 2003-09-08 2008-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647120B1 (ko) 2003-12-19 2006-11-17 에스케이 주식회사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91669B1 (ko) 2008-05-28 201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경로 검색 방법
TW201239805A (en) 2011-03-30 2012-10-01 Nat Univ Tsing Hua A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arpool service
KR101241610B1 (ko) 2011-11-15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최적의 중간탑승 위치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11801A (ko) 2012-04-02 2013-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경유지에 대한 경로 설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2013A (zh) * 2018-09-21 2019-05-14 北京小蓦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经由地路径导航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3977B2 (en) 2016-03-01
US20150233723A1 (en)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4772B2 (en) Multi-modal journey planner
US1102245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ane-level route guidance
JP2019526850A (ja) 輸送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98296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ane-level route guidance
EP356145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likelihood of a route
JP201211787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4375234B2 (ja) 経路計算装置
CN103201591A (zh) 信息提供装置
KR101570827B1 (ko) 차로변경행태를 고려한 안전운전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2011214877A (ja) 経路探索装置
JP201406660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および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2015107787A (ja) 走行曲線作成装置および走行支援装置
JP559962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50098300A (ko) 내비게이션의 경유지 설정 방법
JP2012107878A (ja) 経路探索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JP5428973B2 (ja) 経路案内装置
US2022009091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a link offset
KR102197199B1 (ko) 교차로 회전 통행 속도를 산출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JP5822364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サーバ、経路案内方法および経路案内プログラム
JP2017173107A (ja) 経路生成装置、経路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0086565A (ja) サーバ、車載装置及びサーバの制御方法
US20150153190A1 (en) Method of setting transit point of navigation
JP2008002886A (ja) 経路探索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11536586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a road object
CN11455048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