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131A -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131A
KR20150098131A KR1020140019284A KR20140019284A KR20150098131A KR 20150098131 A KR20150098131 A KR 20150098131A KR 1020140019284 A KR1020140019284 A KR 1020140019284A KR 20140019284 A KR20140019284 A KR 20140019284A KR 20150098131 A KR20150098131 A KR 20150098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device
ke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844B1 (ko
Inventor
이석재
주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9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844B1/ko
Priority to US14/513,912 priority patent/US10091451B2/en
Priority to EP15154283.4A priority patent/EP2911131B1/en
Priority to EP18204641.7A priority patent/EP3457376B1/en
Priority to CN201510079633.0A priority patent/CN104853250B/zh
Publication of KR2015009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131A/ko
Priority to US16/118,426 priority patent/US108487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조정 장치에 있는 화면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화면에 표시될 콘텐트 화면을 선택 가능한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 예 중 일부는 원격 조정 장치에 있는 제1 화면 키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분할된 복수로 화면 영역 중 제1 화면 영역에 콘텐트 화면을 표시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
아래 실시 예들은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화면을 키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키를 이용하거나 또는 원격 조정 장치인 리모컨을 많이 이용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되어 다운로드 받은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실행하거나 인터넷 브라우징도 가능하게 되었다.
리모컨의 크기 제한 및 키의 개수 제한에 의해 점점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사용자가 원격으로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에 TV 방송과 인터넷 화면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키의 개수가 적고 작은 크기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표시될 TV 방송 및 인터넷 화면을 선택하는 절차가 복잡하여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는 제1 화면 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광 출력 유닛, 및 상기 키 및 광 출력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화면 키의 눌림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광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콘텐트 화면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 중 제1 화면 영역에 상기 콘텐트 화면을 스케일링하여 표시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 조정 장치에서부터 제1 화면 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 유닛, 및 상기 광 수신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 중 제1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트 화면을 스케일링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은 콘텐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조정 장치에 있는 제1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콘텐트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 중 제1 화면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은 콘텐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조정 장치에서 멀티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 영역을 상기 콘텐트 화면 위에 중첩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화면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화면 영역 중 하나의 화면 영역에 콘텐트 화면을 표시되게 하는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화면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화면 영역 중 하나의 화면 영역에 표시가능한 축소된 콘텐트 화면을 표시되게 하는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화면 영역 중 하나의 화면 영역에 표시가능한 축소된 콘텐트 화면을 선택하는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화면 영역 중 하나의 화면 영역에 표시가능한 축소된 콘텐트 화면을 선택하는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멀티 화면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썸네일 화면 영역을 표시가능한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화면 키를 이용하여 표시된 썸네일 화면 영역 중 하나의 화면 영역에 콘텐트 화면을 표시가능한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화면 영역 중 하나의 화면 영역에 콘텐트 화면을 표시되게 하는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원격 조정 장치(100)에 있는 “키의 선택”은 키의 눌림 또는 키의 터치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원격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된다. 원격 조정 장치(remote controller, 1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조정 장치(100)에 있는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음성 인식, 또는 모션 인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음량 조정 및 비디오 재생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조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을 분할하여 다양한 콘텐트 화면(예를 들어, TV 방송, 스마트 허브 화면, 웹 페이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단축 아이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분할은 예를 들어, 2분할, 3분할 또는 4분할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분할 개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 정보(device information)내 항목을 이용하여 알 수 있다. 장치 정보의 항목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출력해상도, 화면의 대각선 길이, 화면(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가로/세로 길이, 또는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매뉴얼 또는 웹 페이지에 공개된 사양서(specification)에 대응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정보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분할 가능한 화면 개수(예를 들어, 2, 3, 4, 6, 9 등, 변경 가능)에 대응되는 항목이 있을 수 있다.
장치 정보는 저장 유닛(280)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장치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통신 유닛(230)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의 대각선 길이는 예를 들어, 66 ㎝, 80 ㎝, 101 ㎝, 152 ㎝, 189㎝ 또는 200㎝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가로/세로 길이는 예를 들어, 643.4 ㎜ x 396.5 ㎜, 934.0 ㎜ x 548.6 ㎜, 1,670.2 ㎜ x 962.7 ㎜, 2,004.3 ㎜ x 1,635.9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은 예를 들어, 4:3, 16:9, 16:10, 21:9 또는 2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항목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참조하면, 원격 조정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기능에 대응되는 다양한 키(버튼을 포함), 또는 터치 패드(102)를 포함한다. 원격 조정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기능에 대응되는 단일 기능 키 및 멀티 기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조정 장치(100)의 단일 기능 키(예를 들어, 스마트 허브 키(103), 멀티 화면 키(104))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의 제어에 대응되는 키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원격 조정 장치(100)에 있는 키는 대부분이 단일 기능 키일 수 있다.
원격 조정 장치(100)의 멀티 기능 키(예를 들어, 컬러 키(10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는(또는 설정되는) 부가 기능의 제어에 대응되는 키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컬러 키(105)는 적색 키(red, 105a), 녹색 키(green, 105b), 황색 키(yellow, 105c) 및 청색 키(blue, 105d)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키(105)의 배열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컬러 키(105)의 개수는 추가 또는 삭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키(10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콘텐트를 분할되는 복수의 분할 화면 중 하나의 화면 영역(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을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컬러 키(105) 중 적색 키(105a)는 콘텐트 화면을 제1 화면 영역(201, 도 1a 참조)에 표시되게 하고, “제1 화면 키”라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녹색 키(105b)는 콘텐트 화면을 제2 화면 영역(202, 도 1a 참조)에 표시되게 하고, “제2 화면 키”라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적색 키(105a)는 콘텐트 화면을 제3 화면 영역(203, 도 1a 참조)에 표시되게 하고, “제3 화면 키”라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황색 키(105d)는 콘텐트 화면을 제4 화면 영역(204, 도 1a 참조)에 표시되게 하고, “제4 화면 키”라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분할된 화면 개수에 대응하여 원격 조정 장치(100)의 컬러 키(105)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분할 된 화면 개수가 2인 경우, 원격 조정 장치(100)의 할당되는 컬러 키(105)의 개수는 2이며, 적색 키(105a) 및 녹색 키(105b)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황색 키(105c) 및 청색 키(105d)가 선택되는 경우, 분할된 화면 개수가 2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황색 키(105c) 및 청색 키(105d)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분할된 화면 개수가 3인 경우, 원격 조정 장치(100)의 할당되는 컬러 키(105)의 개수는 3이며, 적색 키(105a), 녹색 키(105b) 및 황색 키(105c)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청색 키(105d)가 선택되는 경우, 분할된 화면 개수가 3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청색 키(105d)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분할된 화면 개수가 4인 경우, 원격 조정 장치(100)의 할당되는 컬러 키(105)의 개수는 4이며, 적색 키(105a), 녹색 키(105b), 황색 키(105c) 및 청색 키(105d)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는 원격 조정 장치(100)는 제어 유닛(110), 입력 유닛(120), 통신 유닛(130), 광 출력 유닛(150), 저장 유닛(180) 및 전원 유닛(190)을 포함한다. 또한, 원격 조정 장치(100)는 통신 유닛(130) 없이 제어 유닛(110), 입력 유닛(120), 광 출력 유닛(150), 저장 유닛(180) 및 전원 유닛(190)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조정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가능한 전자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원격 조정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아니함)을 설치가능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아니함)을 설치가능한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를 가지는 전자 장치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 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노트 PC(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도시되지 아니함)에서 기능 키(예를 들어, 음량 키, 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아니함)을 설치가능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0)은 프로세서(Processor, 111), 원격 조정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원격 조정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0)은 원격 조정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구성 요소들(120 내지 19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 유닛(110)은 전원 유닛(190)을 이용하여 내부 구성 요소들(120 내지 180)에게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 유닛”이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11), 롬(112) 및 램(113)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이 수신하는 키(121) 또는 터치 패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120)은 발화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또는 원격 조정 장치(100)의 모션(motion)을 검출하는 센서(124, 예를 들어,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키(121)는 도 1b의 키(103, 104 및 105)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도 1b의 터치 패드(10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120)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예를 들어,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유닛(13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유닛(130)은 무선랜 유닛(131)과 근거리통신 유닛(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 통신 유닛(132) 중 하나, 또는 무선랜 유닛(131)과 근거리통신 유닛(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유닛(131)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을 이용하여 AP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유닛(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또한, 근거리통신 유닛(132)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AP없이 무선으로 휴대 장치(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출력 유닛(15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예를 들어, 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광 수신 유닛(250)으로 출력한다.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리모컨 코드 포맷은 제조사 전용인 리모콘 코드 포맷 및 상용 리모콘 코드 포맷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리모컨 코드 포맷은 리더 코드(leader code) 및 데이터 영역(data word)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되는 광신호는 반송파(carrier wave)에 변조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저장 유닛(180)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원격 조정 장치(100)는 IR-LED(infrared-laser emitting diode)포함할 수 있다.
원격 조정 장치(100)는 통신 유닛(130) 및 광 출력 유닛(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조정 장치(100)는 통신 유닛(130) 및 광 출력 유닛(150) 중 하나 또는 통신 유닛(130) 및 광 출력 유닛(150)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130) 및 광 출력 유닛(150) 중 선택적으로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 유닛(18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180)은 통신 유닛(130), 광 출력 유닛(150), 및 전원 유닛(19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18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 유닛(19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120 내지 1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유닛(190)은 원격 조정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120 내지 180)에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원격 조정 장치(100)의 표면에 있는 키(121) 및 터치 패드(122)와 후면 커버(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2의 원격 조정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원격 조정 장치(1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는 원격 조정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유닛(230) 또는 외부 입력 유닛(260)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유닛(270)뿐만 아니라 튜너 유닛(220), 통신 유닛(230), 및 외부 입력 유닛(260)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유닛(270)뿐만 아니라 튜너 유닛(220), 통신 유닛(230), 및 외부 입력 유닛(260)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70)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튜너 유닛을 가지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튜너 유닛(Tuner, 220), 통신 유닛(230), 마이크 유닛(240), 카메라 유닛(245), 광 수신 유닛(250), 외부 입력 유닛(260), 디스플레이 유닛(270), 오디오 출력 유닛(275), 저장 유닛 및 전원 유닛(29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프로세서(Processor, 21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212)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내부 구성요소들(220 내지 290)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 유닛은 전원 유닛(290)에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220 내지 28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저장 유닛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화상 또는 영상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가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1), 롬(212) 및 램(2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유닛”이라는 용어는 프로세서(211), 롬(212) 및 램(213)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튜너 유닛(2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영상(video), 오디오(audio) 및 데이터(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 유닛(220)은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대응되는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24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영상, 오디오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 유닛(220)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 유닛(220)은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 유닛(22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 유닛을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외부 입력 유닛(260)에 연결되는 튜너 유닛(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23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통신 유닛(23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 유닛(23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유선 이더넷(Ethernet, 232), 무선랜(232) 및 근거리 통신(23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230)은 이더넷(232), 무선랜(232) 및 근거리 통신(23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유닛(240)은 사용자의 발화(utterance)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 유닛(240)은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유닛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유닛(240)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 유닛(240)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 유닛(240)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 유닛(24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 유닛(240)은 통신 유닛(230) 또는 외부 입력 유닛(26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245)은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245)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 유닛(245)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5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245)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유닛(22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수신된 모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245)은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245)은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245)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245)이 복수인 경우, 전면 커버(22)의 제2 카메라(245)와 인접(예를 들어, 제2 카메라(245)와의 간격이 2cm 보다 크고, 8cm 보다 작은) 하는 제2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245)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일체형뿐만 아니라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 유닛(245)을 포함하는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 닛(230) 또는 외부 입력 유닛(26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 수신 유닛(250)은 외부의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광창(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 유닛(250)은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신호에서 제어 신호를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제어 신호는 제어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 입력 유닛(26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영상(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데이터(예를 들어, 재생 명령) 등을 수신한다. 외부 입력 유닛(260)은 HDMI 입력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262), 컴포넌트 입력 잭(jack, 262), PC 입력 포트(port, 263), 및 USB 입력 잭(jack, 26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유닛(260)은 HDMI 입력 포트(262), 컴포넌트 입력 잭(262), PC 입력 포트(263), 및 USB 입력 잭(jack, 26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7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튜너 유닛(220)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70)은 통신 유닛(230) 또는 외부 입력 유닛(260)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예를 들어,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7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저장 유닛(2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70)은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27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콘텐트 화면(300a)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275)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튜너 유닛(220)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275)은 통신 유닛(230) 또는 외부 입력 유닛(260)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275)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저장 유닛(2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275)은 스피커(276), 헤드폰 출력 단자(277) 또는 S/PDIF 출력 단자(2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75)는 스피커(276), 헤드폰 출력 단자(277) 및 S/PDIF 출력 단자(27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유닛(275)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콘텐트 화면(300a)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 유닛(28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280)은 튜너 유닛(Tuner, 220), 통신 유닛(230), 마이크 유닛(240), 카메라 유닛(245), 광 수신 유닛(250), 외부 입력 유닛(260), 디스플레이 유닛(270), 오디오 출력 유닛(275) 및 전원 유닛(29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28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제어 유닛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저장 유닛”이라는 용어는 저장 유닛(280), 제어 유닛의 롬(222), 램(223)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또는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저장 유닛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화면 분할 개수에 대응되는 장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분할된 화면 개수에 대응되는 각 화면 영역의 면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유닛은 각 화면 영역에 표시될 콘텐트 화면의 축소 비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401a, 402a, 403a, 404a) 및 컬러의 숫자가 화면에 표시될 시간(예를 들어, 100 ㎳)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 수신되는 각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유닛은 표시될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a 내지 405d)의 면적, 위치, 또는 간격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썸네일 화면 영역(605)의 면적, 위치, 또는 간격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시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청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 유닛(29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220 내지 280)에게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유닛(290)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220 내지 280)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220 내지 29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220 내지 29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단계(S30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트 화면을 표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콘텐트 화면(300)을 표시한다. 콘텐트 화면(300)은 TV 방송 화면, 스마트 허브 화면, 웹 페이지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단축 아이콘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 화면(300)은 원격 조정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원격 조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사용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S302)에서, 결정된 시간 동안 눌러진 제1 화면 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시간 동안 적색 키(제1 화면 키, 105a)가 선택(310) 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적색 키(105a)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신호를 광 출력 유닛(15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시간 동안 적색 키(제1 화면 키, 105a)가 선택(310)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적색 키(105a)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13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키의 선택”은 키의 눌림(press), 또는 키의 터치(touch 또는 contact)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500 ㎳(설정을 통해 변경 가능)일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에서 설정된 시간은 리모컨 코드 포맷의 제1 리더 코드(leader code)에서부터 후속하는 제2 리더 코드까지의 신호 주기(예를 들어, 제2 리더 코드에 후속하는 연속 코드(continuous code)가 출력되기 전)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제1 화면 키가 선택됨을 의미할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이 원격 조정 장치(100)의 모델 또는 제조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를 광 수신 유닛(250)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23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는 표시되는 콘텐트 화면(300)을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화면 분할 개수에 대응되는 각 화면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각 화면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게 콘텐트 화면(300)의 축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컬러 키(105a)에 대응되는 제1 화면 영역(301)에 축소된 콘텐트 화면(300a)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 화면의 대각선 길이 및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 중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가 UHD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을 4 분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100㎝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을 4 분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이 16:9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을 4 분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301 내지 304)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301a, 302a, 303a, 304a)를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100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301 내지 304)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301a, 302a, 303a, 304a)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301 내지 304)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배경 컬러(도시되지 아니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301)의 배경 컬러는 적색, 제2 화면 영역(302)의 배경 컬러는 녹색, 제3 화면 영역(303)의 배경 컬러는 황색, 또는 제4 화면 영역(304)의 배경 컬러는 청색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2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701, 702)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701a, 702a)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701, 702)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배경 컬러(도시되지 아니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701)의 배경 컬러는 적색, 제2 화면 영역(702)의 배경 컬러는 녹색일 수 있다.
도 3의 단계(S30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화면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게 콘텐트 화면을 표시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축소된 콘텐트 화면(300a)을 표시한다. 콘텐트 화면(300a)의 축소 비율은 제1 화면 영역(301)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301)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25%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제1 화면 영역(301)에 25%로 축소된 콘텐트 화면(300a)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면 영역(301)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25%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콘텐트 화면(300)의 상/하/좌/우 여백 중 적어도 하나의 여백을 제거하여 기존 대비 26% 이상 축소(예를 들어, 26 ~ 40% 정도) 된 축소된 콘텐트 화면(300a)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100)의 다른 컬러 키(105b 내지 105d)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대응되는 다른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콘텐트 화면(300a)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 유닛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이미지의 출력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축소된 콘텐트 화면(300a)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 유닛에 저장된 사운드의 출력 등)을 오디오 출력 유닛(275)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에 대응되게 다른 콘텐트 화면(도시되지 아니함)을 제2 화면 영역(302) 내지 제4 화면 영역(304)에 대응되게 축소된 콘텐트 화면(도시되지 아니함)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S30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이 축소된 콘텐트 화면(300a)을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하는 경우, 원격 조정 장치(100)의 화면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단계(S40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트 화면을 표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콘텐트 화면(400)을 표시한다. 콘텐트 화면(400)은 TV 방송 화면, 스마트 허브 화면, 웹 페이지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단축 아이콘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 화면(400)은 원격 조정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단계(S402)에서, 결정된 시간 동안 눌러진 제1 화면 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500 ㎳, 설정을 통해 변경 가능) 동안 적색 키(제1 화면 키, 105a)가 선택(410)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적색 키(105a)에 대응되는 제11 제어 신호를 광 출력 유닛(15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시간 동안 적색 키(제1 화면 키, 105a)가 선택(410) 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적색 키(105a)에 대응되는 제11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13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출력되는 제11 제어 신호를 광 수신 유닛(250)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출력되는 제11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23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제11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11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제11 제어 신호는 제1 화면 영역(201)에 표시가능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을 표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화면 분할 개수에 대응되는 각 화면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각 화면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게 콘텐트 화면(300)의 축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제1 화면 영역(201)에 표시가능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썸네일 콘텐트 화면의 표시 위치(예를 들어, 중앙, 왼쪽, 오른쪽, 위, 아래), 크기(예를 들어, 640 x 340, 또는 344 x 258, 변경 가능) 및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결정된 썸네일 화면의 표시 위치, 크기 및 간격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a 내지 405d)의 면적은 제1 화면 영역(401)의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a 내지 405d)의 면적은 제1 화면 영역(401)의 면적의 20 ~ 90% 정도일 수 있다.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a 내지 405d) 중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의 면적은 제1 화면 영역(401)의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될 썸네일 콘텐트(405)를 결정할 수 있다. 썸네일 콘텐트(405)는 제조사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설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썸네일 콘텐트(405)는 TV 방송, 스마트 허브, 웹 페이지, 또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콘텐트(405)는 우선 순위(priority)를 가질 수 있다. 우선 순위가 있는 썸네일 콘텐트의 경우, 다른 썸네일 콘텐트와 비교하여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4 분할된 화면에 결정된 썸네일 콘텐트에 대응되는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a 내지 405d)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결정된 썸네일 콘텐트 화면은 홈 페이지(405a), TV 방송(405b), On TV(405c)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405d)을 화면 중앙 영역에 상/하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401 내지 404)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401a, 402a, 403a, 404a)를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100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301 내지 304)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301a, 302a, 303a, 304a)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401 내지 404)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배경 컬러(도시되지 아니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401)의 배경 컬러는 적색, 제2 화면 영역(402)의 배경 컬러는 녹색, 제3 화면 영역(403)의 배경 컬러는 황색, 또는 제4 화면 영역(404)의 배경 컬러는 청색일 수 있다.
도 4의 단계(S402)의 제어 신호 출력은 도 3의 단계(S302)의 제어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4의 단계(S403)에서, 제1 화면 영역에 표시가능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나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방향 키(101) 중 상(上) 방향 키(101a)가 선택(420)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상 방향 키(101a)에 대응되는 제12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한다. 사용자에 의해 상 방향 키(101a)가 한 번씩 선택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한 번씩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12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상 방향 키(101a)가 설정된 시간 동안 선택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연속적으로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제12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230) 및 광 수신 유닛(250) 중 하나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제12 제어 신호는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12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커서(405k)를 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2 제어 신호는 커서(405k)의 이동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12 제어 신호는 커서(405k)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최초 표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1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커서(405k)를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c)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 패드(102)가 선택(430)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터치 패드(102)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3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터치 패드(102)가 아니라 다른 키(106)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다른 키(106)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3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제13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230) 및 광 수신 유닛(250) 중 하나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제13 제어 신호는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13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서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c)이 선택됨을 알 수 있다. 제13 제어 신호는 선택된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c)을 제1 화면 영역(4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선택된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c)을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화면 영역(401)에 표시됨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선택된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c)의 원 크기에 대응되는 원래 콘텐트 화면(500, 도 9a 참조)을 제1 화면 영역(401)의 면적에 대응되게 스케일링(scaling,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S404)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화면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게 선택된 썸네일 콘텐트 화면을 표시한다.
도 8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선택된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c)을 표시한다.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c)의 스케일링 비율은 제1 화면 영역(401)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401)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25%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제1 화면 영역(401)에 원래 콘텐트 화면(500, 도 9a 참조)을 25%로 스케일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면 영역(401)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25%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원래 콘텐트 화면(500, 도 9a 참조)의 상/하/좌/우 여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여 기존 대비 26% 이상 스케일링(예를 들어, 26 ~ 40% 정도)된 원래 콘텐트 화면(500, 도 9a 참조)을 제1 화면 영역(40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100)의 다른 컬러 키(105b 내지 105d)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대응되는 다른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c)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 유닛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이미지의 출력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c)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 유닛에 저장된 사운드의 출력 등)을 오디오 출력 유닛(275)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에 대응되게 다른 썸네일 콘텐트 화면(405a, 405b, 405d)을 제2 화면 영역(402) 내지 제4 화면 영역(404)에 대응되게 스케일링하여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S30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이 선택된 썸네일 콘텐트 화면에 대응되는 원래 썸네일 화면(500, 도 9a 참조)을 스케일링하여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하는 경우, 원격 조정 장치(100)의 화면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단계(S50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트 화면을 표시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콘텐트 화면(500)을 표시한다. 콘텐트 화면(500)은 TV 방송 화면, 스마트 허브 화면, 웹 페이지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단축 아이콘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단계(S501)에서, 콘텐트 화면(500)은 TV 방송 화면일 수 있다. 콘텐트 화면(500)은 원격 조정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단계(S502)에서, 눌러진 제1 화면 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적색 키(제1 화면 키, 105a)가 선택(510)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적색 키(105a)에 대응되는 제21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130) 및 광 출력 유닛(150) 중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출력되는 제21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230) 및 광 수신 유닛(250) 중 하나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제21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21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제21 제어 신호는 이후에 수신될 제22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트 화면을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 화면 영역(501)에 표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분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화면 분할 개수에 대응되는 각 화면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각 화면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게 콘텐트 화면(제22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의 축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501 내지 504)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501a, 502a, 503a, 504a)를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100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501 내지 504)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501a, 502a, 503a, 504a)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영역(301 내지 304)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배경 컬러(도시되지 아니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301)의 배경 컬러는 적색, 제2 화면 영역(302)의 배경 컬러는 녹색, 제3 화면 영역(303)의 배경 컬러는 황색, 또는 제4 화면 영역(304)의 배경 컬러는 청색일 수 있다.
도 5의 단계(S502)의 제어 신호 출력은 도 3의 단계(S302)의 제어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5의 단계(S503)에서, 제1 화면 키와 함께 눌러진 스마트 허브 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1 화면 키(105a)가 선택(510)되고, 스마트 허브 키(103)가 함께 선택(520)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스마트 허브 키(103)에 대응되는 제22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130) 및 광 출력 유닛(150) 중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출력되는 제22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230) 및 광 수신 유닛(250) 중 하나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제22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22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스마트 허브 키(103)에 대응되는 스마트 허브 화면(550)을 제1 화면 영역(5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제1 화면 영역(501)에 표시되는 스마트 허브 화면(550)의 축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단계(S504)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화면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게 스마트 허브 화면을 표시한다.
도 9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스마트 허브 화면(550)을 표시한다. 스마트 허브 화면(550)의 축소 비율은 제1 화면 영역(301)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301)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25%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제1 화면 영역(301)에 25%로 축소된 스마트 허브 화면(55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면 영역(301)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25%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스마트 허브 화면(550)의 상/하/좌/우 여백 중 적어도 하나의 여백을 제거하여 기존 대비 26% 이상 축소(예를 들어, 26 ~ 40% 정도) 된 축소된 스마트 허브 화면(550)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100)의 다른 컬러 키(105b 내지 105d)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대응되는 다른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스마트 허브 화면(550)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 유닛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이미지의 출력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스마트 허브 화면(550)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 유닛에 저장된 사운드의 출력 등)을 오디오 출력 유닛(275)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에 대응되게 다른 콘텐트 화면(도시되지 아니함)을 제2 화면 영역(502) 내지 제4 화면 영역(504)에 대응되게 축소된 콘텐트 화면(도시되지 아니함)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단계(S504)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이 스마트 허브 화면(550)을 제1 화면 영역(501)에 표시하는 경우, 원격 조정 장치(100)의 화면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단계(S60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마트 허브 화면을 표시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콘텐트 화면(600)을 표시한다. 콘텐트 화면(600)은 TV 방송 화면, 스마트 허브 화면, 웹 페이지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단축 아이콘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단계(S601)에서, 콘텐트 화면(600)은 스마트 허브 화면일 수 있다. 콘텐트 화면(600)은 원격 조정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단계(S602)에서, 결정된 시간 동안 눌러진 멀티 화면 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500 ㎳, 설정을 통해 변경 가능) 동안 멀티 화면 키(Multi Screen, 104)가 선택(410)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멀티 화면 키(104)에 대응되는 제31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130) 및 광 출력 유닛(150) 중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조정 장치(100)에서부터 출력되는 제31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230) 및 광 수신 유닛(250) 중 하나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제31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31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썸네일 화면 영역(605)을 표시할 수 있다. 제31 제어 신호는 이후에 수신될 제32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스마트 허브 화면(600)을 썸네일 화면 영역(605)에서 하나의 화면 영역(605a 및 605d 중 하나)에 표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1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썸네일 화면 영역(605)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썸네일 화면 영역(605)의 개수에 대응되는 각 썸네일 화면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각 썸네일 화면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게 스마트 허브 화면(600)의 축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썸네일 화면 영역(605)의 표시 위치(예를 들어, 중앙, 왼쪽, 오른쪽, 위, 아래), 크기(예를 들어, 904 x 424, 또는 602 x 282, 변경 가능) 및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결정된 썸네일 화면 영역(605)의 표시 위치, 크기 및 간격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썸네일 화면 영역(605)을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썸네일 화면 영역(605a 내지 605d)의 면적은 제1 화면 영역(601)의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썸네일 화면 영역(605a 내지 605d)의 면적은 제1 화면 영역(601)의 면적의 15 ~ 90% 정도일 수 있다. 썸네일 화면 영역(605a 내지 605d) 중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화면 영역의 면적은 제1 화면 영역(601)의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스마트 허브 화면에 중첩하여 썸네일 화면 영역(605a 내지 605d)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썸네일 화면 영역(605a 내지 605d)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605aa, 605bb, 605cc, 605dd)를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100 ㎳)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썸네일 화면 영역(605a 내지 605d)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컬러의 숫자(605aa, 605bb, 605cc, 605dd)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썸네일 화면 영역(605a 내지 605d)에 컬러 키(105)의 컬러에 대응되는 배경 컬러(도시되지 아니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605a)의 배경 컬러는 적색, 제2 화면 영역(605b)의 배경 컬러는 녹색, 제3 화면 영역(605c)의 배경 컬러는 황색, 또는 제4 화면 영역(605d)의 배경 컬러는 청색일 수 있다.
도 6의 단계(S603)에서, 스마트 허브 화면을 표시가능한 썸네일 화면 영역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눌러진 제1 화면 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적색 키(105a)가 선택(620)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적색 키(105a)에 대응되는 제32 제어 신호를 통신 유닛(130) 및 광 출력 유닛(150) 중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32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썸네일 화면 영역(605)에서 제1 썸네일 화면 영역(605a)을 선택할 수 있다. 제32 제어 신호는 표시되는 스마트 허브 화면(600)을 썸네일 화면 영역(605) 중 제1 썸네일 화면 영역(605a)에 표시함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3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커서(605k)를 제1 썸네일 화면 영역(605a)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컬러 키(105a)에 대응되는 썸네일 화면 영역(605)의 제1 썸네일 화면 영역(605a)에 스마트 허브 화면(600)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단계(S604)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화면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게 스마트 허브 화면을 표시한다.
도 10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4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축소된 스마트 허브 화면(600a)을 표시한다. 스마트 허브 화면(600a)의 축소 비율은 제1 화면 영역(601)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 영역(601)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25%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제1 화면 영역(301)에 25%로 축소된 스마트 허브 화면(600a)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면 영역(301)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의 25%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스마트 허브 화면(600)의 상/하/좌/우 여백 중 적어도 하나의 여백을 제거하여 기존 대비 26% 이상 축소(예를 들어, 26 ~ 40% 정도)된 축소된 스마트 허브 화면(600a)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100)의 다른 컬러 키(105b 내지 105d)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 유닛은 대응되는 다른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축소된 스마트 허브 화면(600a)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 유닛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이미지의 출력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축소된 스마트 허브 화면(600a)의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 유닛에 저장된 사운드의 출력 등)을 오디오 출력 유닛(275)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은 수신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에 대응되게 다른 콘텐트 화면(도시되지 아니함)을 제2 화면 영역(602) 내지 제4 화면 영역(604)에 대응되게 축소된 콘텐트 화면(도시되지 아니함)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단계(S30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유닛이 축소된 스마트 허브 화면(600a)을 제1 화면 영역(301)에 표시하는 경우, 원격 조정 장치(100)의 화면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 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원격 조정 장치 101, 102, 103, 104, 105: 키
110: 제어 유닛 130: 통신 유닛
150: 광 출력 유닛 200: 디스플레이 장치
210: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유닛
300, 400, 500, 600: 콘텐트 화면
201, 202, 203, 204: 화면 영역 405: 썸네일 콘텐트 화면
605: 썸네일 화면 영역

Claims (17)

  1. 제1 화면 키;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광 출력 유닛; 및
    상기 제1 화면 키 및 상기 광 출력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화면 키의 눌림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광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콘텐트 화면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 중 제1 화면 영역에 상기 콘텐트 화면을 스케일링하여 표시되게 하는 원격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조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복수의 실행 기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부가 기능에 대응되는 멀티 기능 키인 원격 조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분할 개수에 대응하여 선택가능한 화면 키의 개수가 변경되는 원격 조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를 수신하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 중 제1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축소된 콘텐트 화면을 선택하는 원격 조정 장치.
  6. 원격 조정 장치에서부터 제1 화면 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 유닛; 및
    상기 광 수신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 중 제1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트 화면을 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 장치와 연결되는 통신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원격 조정 장치에서부터 제1 화면 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콘텐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조정 장치에서 제1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콘텐트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 중 제1 화면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중인 콘텐트 화면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에서 선택된 키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트 화면을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화면은 TV 방송 화면, 웹 페이지, 스마트 허브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면 키 중 선택가능한 키의 개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키의 선택이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 영역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게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 장치에 있는 방향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3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상기 복수의 썸네일 콘텐트 화면 중 선택된 하나의 콘텐트 화면을 상기 제1 화면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콘텐트 화면의 면적은 상기 제1 화면 영역의 면적보다 좁은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키의 선택이 유지되고, 상기 원격 조정 장치에 있는 스마트 허브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허브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4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 허브 키에 대응되는 스마트 허브 화면을 분할된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 중 상기 제1 화면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6. 콘텐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조정 장치에서 멀티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 영역을 상기 콘텐트 화면 위에 중첩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 키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 영역 중 제1 썸네일 화면 영역에 상기 콘텐트 화면을 표시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KR1020140019284A 2014-02-19 2014-02-19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KR10191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84A KR101917844B1 (ko) 2014-02-19 2014-02-19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US14/513,912 US10091451B2 (en) 2014-02-19 2014-10-14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EP15154283.4A EP2911131B1 (en) 2014-02-19 2015-02-09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EP18204641.7A EP3457376B1 (en) 2014-02-19 2015-02-09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CN201510079633.0A CN104853250B (zh) 2014-02-19 2015-02-13 遥控器及该遥控器的控制屏幕的方法
US16/118,426 US10848704B2 (en) 2014-02-19 2018-08-30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84A KR101917844B1 (ko) 2014-02-19 2014-02-19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131A true KR20150098131A (ko) 2015-08-27
KR101917844B1 KR101917844B1 (ko) 2018-11-13

Family

ID=5246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284A KR101917844B1 (ko) 2014-02-19 2014-02-19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091451B2 (ko)
EP (2) EP3457376B1 (ko)
KR (1) KR101917844B1 (ko)
CN (1) CN1048532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3479S1 (en) * 2013-09-06 2016-12-0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group
USD757029S1 (en) * 2013-10-11 2016-05-2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9041S1 (en) * 2013-10-17 2016-06-1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9040S1 (en) * 2013-10-17 2016-06-1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50116302A (ko) * 2014-04-07 2015-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161595A4 (en) * 2014-06-26 2018-0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application viewing
USD761272S1 (en) * 2014-09-02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3407S1 (en) * 2015-02-10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
USD802661S1 (en) * 2015-08-25 2017-11-14 Edgar Davin Salatandre Video card
KR102349861B1 (ko) * 2015-09-16 202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2500558B1 (ko) * 2016-03-16 2023-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80365175A1 (en) * 2017-06-19 2018-12-20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transmit i/o between devices based on voice input
CN107864392A (zh) * 2017-11-21 2018-03-30 山东浪潮商用系统有限公司 一种机顶盒及其业务实现方法
CN109976623A (zh) * 2017-12-27 2019-07-0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方法
US10650788B2 (en) * 2018-06-26 2020-05-12 Adobe Inc. Mapping the position of multiple paired display screens
USD852148S1 (en) * 2018-08-29 2019-06-25 Timotion Technology Co., Ltd. Handheld controller
CN109343923B (zh) * 2018-09-20 2023-04-07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机的用户界面焦点框缩放方法及设备
CN111464857B (zh) * 2019-01-18 2022-04-19 青岛海尔多媒体有限公司 用于电视的分屏应用控制方法、装置、电视及存储介质
CN111464856B (zh) * 2019-01-18 2022-05-31 青岛海尔多媒体有限公司 用于电视的分屏应用控制方法、装置、电视及存储介质
WO2021100894A1 (ko) * 2019-11-19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적외선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778135B2 (en) * 2019-12-12 2023-10-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channel display systems
GB2593493B (en) * 2020-03-24 2022-05-25 Kano Computing Ltd Audio output device
CN112150781A (zh) * 2020-10-27 2020-12-29 中图云创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便捷式操控显示荧幕的方法
US11457271B1 (en) * 2021-05-07 2022-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tributed utilization of computing resources for processing coordinated displays of video streams
CN113778315A (zh) * 2021-08-27 2021-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交互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14666642A (zh) * 2022-02-22 2022-06-2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分屏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7292532B (zh) * 2023-11-27 2024-02-06 深圳市天一欣科技有限公司 一种红外遥控器信号发送控制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369A (ja) * 1999-08-31 2001-03-16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4002520A (ja) * 2002-05-31 2004-01-08 Mitsubishi Chemicals Corp 重合体の製造方法
KR20050059353A (ko) * 2003-12-13 2005-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기의 부화면 이동 방법
US20100053436A1 (en) * 2008-08-29 2010-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KR20110051896A (ko) * 2009-11-11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1211405A (ja) * 2010-03-29 2011-10-20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受信装置および表示領域選択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515A (ja) * 1991-12-02 1993-06-18 Sony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及びその選局装置
JPH08237563A (ja) * 1995-02-28 1996-09-13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202658C (zh) 1996-03-15 2005-05-18 E盖德公司 录像节目索引和电子节目引导组合方法和选择节目的装置
BR9708196B1 (pt) 1996-03-15 2010-05-18 método de buscar por canais com um aparelho de televisão e método para navegar entre o modo de visualização de televisão normal e um guia de programa eletrÈnico (epg).
US6563515B1 (en) 1998-05-19 2003-05-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video window browsing
US20020144267A1 (en) 2001-03-29 2002-10-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television channel creation
JP2002354367A (ja) * 2001-05-25 2002-12-06 Canon Inc マルチ画面表示装置、マルチ画面表示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7107532B1 (en) * 2001-08-29 2006-09-12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within a user interface
US11076189B2 (en) * 2009-03-30 2021-07-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Personal media channel apparatus and methods
US9237296B2 (en) * 2009-06-01 2016-01-1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10034339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101742986B1 (ko) * 2010-07-26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40841A (ko) * 2010-10-20 2012-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기기에서 포인터 이동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8528012B2 (en) * 2011-09-06 2013-09-03 Motorola Mobility Llc Interactiv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30069041A (ko) *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140310642A1 (en) * 2013-04-15 2014-10-16 Microsoft Corporation Deferred placement promp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369A (ja) * 1999-08-31 2001-03-16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4002520A (ja) * 2002-05-31 2004-01-08 Mitsubishi Chemicals Corp 重合体の製造方法
KR20050059353A (ko) * 2003-12-13 2005-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기의 부화면 이동 방법
US20100053436A1 (en) * 2008-08-29 2010-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KR20110051896A (ko) * 2009-11-11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1211405A (ja) * 2010-03-29 2011-10-20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受信装置および表示領域選択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1131A1 (en) 2015-08-26
EP3457376A1 (en) 2019-03-20
EP2911131B1 (en) 2018-12-19
CN104853250B (zh) 2018-06-01
US20180376099A1 (en) 2018-12-27
US20150237290A1 (en) 2015-08-20
KR101917844B1 (ko) 2018-11-13
US10091451B2 (en) 2018-10-02
US10848704B2 (en) 2020-11-24
CN104853250A (zh) 2015-08-19
EP3457376B1 (en)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844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370386B (zh) 电子设备及操作其的方法
KR2016009786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41480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EP3018895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265928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024220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7012481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8536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7008195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600988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924795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7544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7007647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