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104A -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104A
KR20150098104A KR1020140019233A KR20140019233A KR20150098104A KR 20150098104 A KR20150098104 A KR 20150098104A KR 1020140019233 A KR1020140019233 A KR 1020140019233A KR 20140019233 A KR20140019233 A KR 20140019233A KR 20150098104 A KR20150098104 A KR 20150098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sample pattern
distance
image
cent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박명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104A/ko
Priority to CN201410210403.9A priority patent/CN104853179A/zh
Publication of KR20150098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도트 마크가 구비된 샘플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샘플 패턴부; 평가 대상이 되는 촬영 장치가 정지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모델 파형에 기초하여 촬영 장치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정지 상태에서 상기 촬영 장치가 상기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 촬영 영상과 진동 상태에서 상기 촬영 장치가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2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을 평가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한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Evaluation system for optical image stabiliz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에는 렌즈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하게 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사용자가 잡고 촬영하다 보면, 사용자의 미세한 손떨림 등에 의해 카메라 모듈이 흔들리게 되어 정확한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손떨림을 보정 하기 위한 구성이 카메라 모듈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손떨림을 보정 하는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미세한 손떨림이 카메라 모듈에 전달될 경우, 손떨림을 상쇄시킴으로써 정확하고 깨끗한 영상 또는 사진 등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품출시 전에, 이러한 손떨림을 보정 하는 구성부품이 정확하게 작동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장시간 반복적으로 흔들어주어 그 작동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손떨림 보정 평가 장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1 화상을 취득한 후에,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2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손떨림 보정 평가 장치는 제1 화상에 있어서 해상도를 나타내는 제1 해상도를 검출하고, 제2 화상에 있어서 해상도를 나타내는 제2 해상도를 검출하며, 제1 해상도와 제2 해상도에 기초해서 손떨림 보정 기능을 평가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손떨림 보정 평가 장치에 있어서 사용하는 샘플 패턴은 2축 방향에 대하여 동시에 해상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주변부(일예로 검은색)와 비교하여 보색(일예로 흰색)을 가지며,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되는 십자 형상의 샘플 패턴이다.
이와 같은 샘플 패턴을 사용하여 손떨림 보정 평가 장치는 획득된 화상에서 관심 영역의 검은 색 사이의 흰색이 거리를 계산하여 평가한다.
이때, 손떨림 보정 평가 장치는 검은 색과 흰색의 50% 되는 콘트라스트(Contrast)를 설정하여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50% 콘트라스트에서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국내공개특허 2012-0140359호 국내공개특허 2010-01043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트라스트에 민감하지 않는 도트 마크(dot mark)로 이루어진 샘플 패턴을 사용하여 손떨림 보정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복수의 도트 마크가 구비된 샘플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샘플 패턴부; 평가 대상이 되는 촬영 장치가 정지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모델 파형에 기초하여 촬영 장치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정지 상태에서 상기 촬영 장치가 상기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 촬영 영상과 진동 상태에서 상기 촬영 장치가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2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을 평가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중심을 원점으로 할때 좌표축상 4분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 마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복수의 도트 마크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마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복수의 도트 마크의 각각에 대하여 도트 마크 주위에 인식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초기 중심점을 산출하여 초기 수평 거리와 초기 수직 거리를 구하고,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보정 중심점을 산출하여 보정 수평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를 구하며, 초기 수평 거리와 보정 수평 거리의 차이와 초기 수직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의 차이를 구하여 평가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복수의 서브 마크의 각각에 대한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서브 중심점간에 최대 중심점간 거리를 구하고, 구해진 최대 중심점간 거리를 평균하여 보정 중심점을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복수의 서브 마크의 각각에 대한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복수의 서브 중심점에 대하여 복수의 중심점간 거리를 구하고, 상기 복수의 중심점간 거리를 일정 개수 합산하고 평균하여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구한 후에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재차 평균하여 보정 중심점을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일정 개수를 선정할 때에 중심점간 거리가 큰 순서로 일정 개수를 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일정 개수를 선정할 때에 중심점간 거리가 큰 순서로 일정 개수를 제외하고 나머지로부터 일정 개수를 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에서 제1 촬영 영상과 제2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부;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부가 수신한 제1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초기 중심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보정 중심점을 산출하는 중심점 추출부; 및 상기 중심점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각 도트 마크에 대한 초기 중심점을 이용하여 초기 수평 거리와 초기 수직 거리를 구하고,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보정 중심점을 이용하여 보정 수평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를 구하여 초기 수평 거리와 보정 수평 거리의 차이와 초기 수직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의 차이를 구하여 평가치로 하는 평가치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평가 대상이 되는 촬영 장치를 보관 유지하는 진동대; 사람이 촬영 장치를 잡고 촬영할 때에 촬영 장치가 받는 손떨림을 재현하기 위한 손떨림 모델 파형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 및 상기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로부터 공급되는 손떨림 모델 파형에 기초하여 진동대의 진동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화상 처리 장치가 촬영 장치로부터 정지된 상태에서 복수의 도트 마크가 구비된 샘플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생성된 제 1 촬영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 (B)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진동 상태에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생성된 제 2 촬영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획득한 제1 촬영 화상과 제2 촬영 화상을 이용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중심을 원점으로 할때 좌표축상 4분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 마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복수의 도트 마크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마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복수의 도트 마크의 각각에 대하여 도트 마크 주위에 인식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제1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초기 중심점을 산출하여 초기 수평 거리와 초기 수직 거리를 구하는 단계; (C-2)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보정 중심점을 산출하여 보정 수평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를 구하는 단계; 및 (C-3)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초기 수평 거리와 보정 수평 거리의 차이와 초기 수직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의 차이를 구하여 평가치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복수의 서브 마크의 각각에 대한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서브 중심점간에 최대 중심점간 거리를 구하고, 구해진 최대 중심점간 거리를 평균하여 보정 중심점을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복수의 서브 마크의 각각에 대한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복수의 서브 중심점에 대하여 복수의 중심점간 거리를 구하고, 상기 복수의 중심점간 거리를 일정 개수 합산하고 평균하여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구한 후에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재차 평균하여 보정 중심점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트 마크를 사용하여 손떨림 보정의 정확도를 평가하게 되어 도트 마크의 중심만 찾기 때문에 버(Blur)가 심하게 되어도 상대적으로 종래 방식 보다 정확하게 손떨림 보정 기능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의 샘플 패턴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2의 샘플 패턴부에서 보정 중심점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해상도 평가 시스템은 광원(110)과, 샘플 패턴부(120)와, 진동대(130)와, 셔터 버튼부(140)와,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와, 제어부(160)와, 촬영 장치(170) 및 화상 처리 장치(20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진동대(130)와,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 그리고 제어부(160)는 진동 발생 장치(101)을 구성한다.
상기 광원(110)은 촬영 장치(170)가 샘플 패턴부(120)를 촬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광을 공급한다.
그리고, 샘플 패턴부(120)는 촬영 장치(170)의 손떨림 보정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샘플 패턴이 게재되고 있는 차트 도면이다.
촬영 장치(170)는 이 샘플 패턴부(120)를 피사체로 촬영하여 화상을 생성한다. 덧붙여 샘플 패턴부(12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해 설명한다.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는 사람이 촬영 장치(170)를 잡고 촬영할 때에 촬영 장치(170)가 받는 손떨림(흔들림)을 재현하기 위한 정보(손떨림 모델 파형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이 손떨림 모델 파형 정보에는 피치방향(피치 방향 131), 요 방향(요 방향 132), 롤 방향(롤 방향 133)의 3개의 방향에 있어서의 촬영 장치(170)의 회전운동을 재현하기 위해서, 3개의 방향의 손떨림 모델 파형이 포함되어 있다.
손떨림 모델 파형은, 릴리즈 타이밍을 기준으로 할 시간 축으로 둘 수 있는 복수의 구간 마다 생성된 구간 손떨림 모델 파형을 이어 맞추어 생성된다.
또,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는 그 손떨림 모델 파형에 있어서의 셔터 버튼(릴리즈 버튼)의 누름 타이밍(릴리즈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누름 타이밍 정보)도 기록하고 있다. 이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는 기록하고 있는 손떨림 모델 파형 및 누름 타이밍 정보를 제어부(160)에 공급한다.
제어부(160)는 진동대(130)의 동작(진동 동작)을 제어한다. 이 제어부(160)는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손떨림 모델 파형에 기초하여, 이 손떨림 모델 파형이 나타내 보이는 진동(손떨림)이 촬영 장치(170)에 인가될 수 있도록 진동대(130)의 진동 동작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160)는 셔터 버튼부(140)를 제어하고, 촬영 장치(170)의 셔터 버튼이 눌러질 수 있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16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진동대(130)를 진동시키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샘플 패턴부(120)의 촬영 화상과 진동대(130)를 진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샘플 패턴부(120)의 촬영 화상을 촬영 장치(170)에 생성시킨다.
즉, 제어부(16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촬영 화상과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촬영 화상을 촬영 장치 (170)에 생성시킨다.
덧붙여 진동대(130)를 진동시켜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로부터 공급되는 누름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셔터 버튼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손떨림 모델 파형 정보가 나타내 보이는 진동의 공급 개시부터 공급 종료까지의 기간(진동 재현 기간)에 있어서, 누름 타이밍 정보가 나타내 보이는 타이밍(릴리즈 타이밍)에 촬영 장치(170)의 셔터 버튼이 눌러지도록 셔터 버튼부(140)를 제어한다.
진동대(130)는 진동대(130)의 스테이지에 놓여진 물체에 진동을 더하는 것이다. 이 진동대(130)의 스테이지에는 진동을 주는 대상의 물체(촬영 장치 170)가 고정 되어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손떨림 모델 파형 정보가 나타내 보이는 손떨림의 진동이 촬영 장치(170)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촬영 장치(170)에 진동이 더해져 손떨림에 의한 피치 방향(피치 방향 131), 요 방향(요 방향 132), 롤 방향(롤 방향 133)의 회전운동이 재현된다.
셔터 버튼부(140)는 촬영 장치(170)의 셔터 버튼을 눌러지도록 한다. 이 셔터 버튼부(140)는 제어부(160)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진동 재현 기간에 있어서의 누름 타이밍 정보가 나타내 보이는 타이밍에 있어서 촬영 장치(170)의 셔터 버튼이 눌러지도록 한다.
촬영 장치(17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의 평가 대상의 촬영 장치이다. 이 촬영 장치(17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ON 상태로 진동대(1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촬영 장치(170)은 손떨림 보정 기능의 평가를 위해서 진동대(130)를 정지시킨 상태로 샘플 패턴부(120)를 촬영한 촬영 화상과 진동대(130)를 진동시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로 샘플 패턴부(120)를 촬영한 촬영 화상을 생성한다. 즉, 촬영 장치(17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촬영 화상과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촬영 화상을 생성한다.
덧붙여 촬영 장치(170)는 셔터 버튼이 셔터 버튼부(140)에 의해 눌러진다. 화상 처리 장치(200)는 촬영 장치(170)가 생성한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촬영 장치 (170)의 손떨림 보정 기능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치를 생성하는 것이다.
덧붙여 이 화상 처리 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해 설명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1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100)은 샘플 패턴부(120)와, 진동대(130)와,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와, 제어부(160)와, 셔터 버튼부(140)와, 촬영 장치 (170)및 화상 처리 장치(200)를 구비한다.
또, 화상 처리 장치(200)는 화상 데이터 취득부(210)와, 중심점 추출부(220)과, 평가치 생성부(230) 및 평가치 기록부(240)를 구비한다.
덧붙여 화상 처리 장치(200)에 있어서의 기능 구성 이외는, 도 1의 외관 구성에 있어서 나타내 보인 각 구성에 각각 대응해, 이들에 대해서는 도 1에 있어서 설명하였다.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200)에 주목해 설명한다.
화상 데이터 취득부(21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의 평가에 필요한 촬영 화상을 촬영 장치(170)로부터 취득한다. 즉, 화상 데이터 취득부(210)는 진동대(130)를 정지시킨 상태로 샘플 패턴부(120)를 촬영한 촬영 화상과 진동대(130)를 진동시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로 샘플 패턴부(120)를 촬영한 촬영 화상을 촬영장치(170)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취득부(210)는 촬영 장치(170)가 2매의 촬영 화상을 취득한 후에, 촬영 장치(17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로부터 촬영 화상을 판독하고, 2매의 촬영 화상을 취득한다.
화상 데이터 취득부(210)는 취득한 2매의 촬영 화상을, 중심점 추출부(220)로 공급한다.
중심점 추출부(220)는 화상 데이터 취득부(210)로부터 공급된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그 촬영 화상을 취득한 조건에 있어서의 각 도트 마크의 중심점을 추출한다.
이 중심점 추출부(220)는 진동대(130)를 정지시킨 상태로 샘플 패턴부(120)를 촬영한 촬영 화상(제 1촬영 화상)으로부터,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도트 마크의 중심점(이하에서는 이를 초기 중심점이라고 함)을 검출한다.
또, 중심점 추출부(220)는 진동대(130)를 진동시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로 샘플 패턴부(120)를 촬영 한 촬영 화상(제 2촬영 화상)으로부터,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도트 마크의 중심점(이하에서는 이를 보정 중심점이라고 한다)을 검출한다. 덧붙여 중심점 추출부(220)의 중심점 검출의 일례에 대해서는, 도 3과 더불어 도 4를 참조해 설명한다.
중심점 추출부(220)는 각 도트 마크에 대하여 생성한 2개의 중심점(초기 중심점 및 보정 중심점)을 평가치 생성부(230)에 공급한다.
평가치 생성부(230)는 중심점 추출부(220)로부터 공급되는 각 도트 마크의 초기 중심점과 보정 중심점에 기초하여, 촬영 장치(170)의 손떨림 보정 기능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치를 생성하는 것이다. 평가치 생성부(230)는 생성한 평가치를 평가치 기록부(240)에 공급한다.
평가치 기록부(240)는 평가치 생성부(230)로부터 공급된 평가치를 기록하는 것이다.이 평가치 기록부(240)에 기록된 평가치는, 예를 들면, 다른 촬영 장치가 생성한 평가치와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 화면(도시 하지 않고)에 표시되거나 한다. 이것에 의해, 촬영 장치의 손떨림 보정 기능의 성능이, 평가치를 이용하여 평가된다.
이와 같이,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100)에 의하면,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도트 마크의 중심점의 위치와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도트 마크의 중심정의 위치에 기초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치가 생성된다.
계속 되고, 화상 처리 장치(200)가 평가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피사체로서 이용되는 샘플 패턴부(120)에 대해 도 3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샘플 패턴부(120)의 샘플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도 3에는, 샘플 패턴부(120)에는 중심 도트 마크(5)를 기준으로 해서 4개의 방향에 주변 도트 마크(1~4)가 배치된 샘플 패턴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변 도트 마크(1~4)를 가상적인 선으로 연결하면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중심 도트 마크(5)를 원점으로 할 때에 가상적인 X축과 Y축을 설정하여 좌표로 그 위치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변 도트 마크 1은 X축과 Y축의 2차원 좌표로 표현할 때에 2분면에 위치하며, 주변 도트 마크 2는 X축과 Y축의 2차원 좌표로 표현할 때에 1분면에 위치하며, 주변 도트 마크 3은 X축과 Y축의 2차원 좌표로 표현할 때에 3분면에 위치하며, 주변 도트 마크 4는 X축과 Y축의 2차원 좌표로 표현할 때에 4분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샘플 패턴부(120)에는 주변 도트 마크(1~4)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주변 도트 마크(1~4)에 대응되어 주변 도트 마크 인식 영역(1-1~1-4)이 설정된다.
또한, 주변 도트 마크(1~4)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주변 도트 마크(1~4)에 대응되어 주변 도트 마트(1~4)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 마크(fiducial mark)(2-1~2-4)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샘플 패턴부(120)에 대하여 중심점 추출부(21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제1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1~4)의 중심점을 추출하여 초기 중심점으로 한다. 이러한 도트 마크(1~4)의 중심점을 산출하는 방법은 이미 공개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샘플 패턴부(120)의 각 도트 마크(1~4)가 진동대(130)에 의해 촬영 장치(170)에 진동이 전달되고 있는 상태에서 그리고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상태에서 촬영될 때에, 즉 제 2 촬영 화상에 있어서 각 도트 마크(1~4)가 하나의 도트 마크만 촬영된다면 좋다.
그러나, 실제 촬영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으로 인하여 여러개의 서브 도트 마크가 도트 마크 인식 영역에 산포되어 촬영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서브 도트 마크를 고려하여 각 도트 마크(1~4)에 대한 보정 중심점을 설정해야 한다.
중심점 추출부(220)가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서브 도트 마크에서 중심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도트 마크의 각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X축 상에서 다수의 서브 중심점에 대하여 가장 먼거리에 있는 최대 중심점 거리를 구하여 이를 평균한 평균점을 보정 X축 중심점으로 한다.
그와 동일하게 중심점 추출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도트 마크의 각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Y축 상에서 다수의 서브 중심점에 대하여 가장 먼거리에 있는 최대 중심점 거리를 구하여 이를 평균한 평균점을 보정 Y축 중심점으로 한다.
이와 달리 중심점 추출부(220)가 복수개의 서브 도트 마크에서 중심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도트 마크의 각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X축 상에서(Y축 도 동일함) 가장 먼거리에 있는 서브 도트 마크간의 서브 중심점 간의 거리를 구한 후에 그 다음 먼거리에 있는 중심점 간의 거리를 구한 후에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개의 서브 중심점간의 거리를 구한 후에 거리가 큰 순서로 일정 개수(일예로 5개)를 추출하여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구한후에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1/2로 하여(평균하여) 보정 X축 중심점(보정 Y축 중심점도 동일함)을 구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중심점 추출부(220)가 복수개의 서브 도트 마크에서 중심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 도트 마크의 각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X축 상에서(Y축 도 동일함) 가장 먼거리에 있는 서브 중심점간의 거리를 구한 후에 그 다음 먼거리에 있는 서브 중심점 간의 거리를 구한 후에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개의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구한 후에 거리가 큰 순서로 일정 개수(일예로 5개)를 제외한 후에 나머지를 일정 개수(일예로 5개) 추출하여 평균을 하여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구한후에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1/2로 하여(평균하여) 보정 X축 중심점(보정 Y축 중심점도 동일함)을 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정 X축 중심점과 보정 Y축 중심점은 보정 중심점이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샘플 패턴부(120)에 있어서 평가치 생성부(23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좌표축상 2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1과 같은 Y축 상에 같은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1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2의 초기 중심점을 이용한 제1 X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제1 수평 거리라고 할 수 있다)와 좌표축상 2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3과 같은 Y축 상의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4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4의 초기 중심점을 이용한 제2 X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제2 수평 거리라고 할 수 있다)를 구한 후에, 제1 X축간 거리와 제2 X축 간 거리의 평균을 구하여 초기 X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초기 수평 거리라고 할 수 있다)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샘플 패턴부(120)에 있어서 평가치 생성부(23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좌표축상 2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1과 같은 X축 상에 같은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3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3의 초기 중심점을 이용한 제1 Y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제1 수직 거리라고 할 수 있다)와 좌표축상 1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2와 X축 상의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4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4의 초기 중심점을 이용한 제2 Y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제2 수직 거리라고 할 수 있다)를 구한 후에, 제1 Y축간 거리와 제2 Y축 간 거리의 평균을 구하여 초기 Y축간 거리(초기 수직 거리라고 할 수 있다)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샘플 패턴부(120)에 있어서 평가치 생성부(23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좌표축상 2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1과 같은 Y축 상에 같은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1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2의 초기 중심점을 이용한 초기 제1 X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초기 제1 수평 거리라고 할 수 있다)와 좌표축상 2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3과 같은 Y축 상의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4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4의 초기 중심점을 이용한 초기 제2 X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초기 제2 수평 거리라고 할 수 있다)를 구한 후에, 초기 제1 X축간 거리와 초기 제2 X축 간 거리의 평균을 구하여 초기 X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초기 수평 거리라고 할 수 있다)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샘플 패턴부(120)에 있어서 평가치 생성부(23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좌표축상 2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1과 같은 X축 상에 같은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3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3의 초기 중심점을 이용한 초기 제1 Y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초기 제1 수직 거리라고 할 수 있다)와 좌표축상 1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2와 X축 상의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4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4의 초기 중심점을 이용한 초기 제2 Y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초기 제2 수직 거리라고 할 수 있다)를 구한 후에, 초기 제1 Y축간 거리와 초기 제2 Y축 간 거리의 평균을 구하여 초기 Y축간 거리(초기 수직 거리라고 할 수 있다)로 설정한다.
한편, 이와 같은 샘플 패턴부(120)에 있어서 평가치 생성부(23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좌표축상 2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1과 같은 Y축 상에 같은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1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2의 보정 중심점을 이용한 보정 제1 X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보정 제1 수평 거리라고 할 수 있다)와 좌표축상 2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3과 같은 Y축 상의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4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4의 보정 중심점을 이용한 보정 제2 X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보정 제2 수평 거리라고 할 수 있다)를 구한 후에, 보정 제1 X축간 거리와 보정 제2 X축 간 거리의 평균을 구하여 보정X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보정 수평 거리라고 할 수 있다)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샘플 패턴부(120)에 있어서 평가치 생성부(23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좌표축상 2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1과 같은 X축 상에 같은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3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3의 보정 중심점을 이용한 보정 제1 Y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보정 제1 수직 거리라고 할 수 있다)와 좌표축상 1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 2와 X축 상의 지점에 위치하는 좌표축상 4분면에 있는 주변 도트 마크4의 보정 중심점을 이용한 보정 제2 Y축간 거리(이를 달리 표현하면 보정 제2 수직 거리라고 할 수 있다)를 구한 후에, 보정 제1 Y축간 거리와 보정 제2 Y축 간 거리의 평균을 구하여 보정 Y축간 거리(보정 수직 거리라고 할 수 있다)로 설정한다.
이처럼 평가치 생성부(23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구한 초기 X축간 거리(초기 수평 거리)와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상태에서 구한 보정 X축간 거리(보정 수평 거리)의 차이를 산출하고,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구한 초기 Y축간 거리(초기 수직 거리)와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상태에서 구한 보정 Y축간 거리(보정 수직 거리)의 차이를 산출하여 손떨림 보정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치로 하며, 그 값이 작을수록 손떨림 보정의 정확도가 좋은 것이다. 이때, 그 정확도는 축별로 평가할 수 있거나 합산하여 전체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트 마크를 사용하여 손떨림 보정의 정확도를 평가하게 되어 도트 마크의 중심만 찾기 때문에 버(Blur)가 심하게 되어도 상대적으로 종래 방식 보다 정확하게 손떨림 보정 기능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은 우선, 진동대(130)에 고정된 촬영 장치(170)에 대해 샘플 패턴부(120)까지의 거리, 노광 시간, 화각, 감도등의 촬영을 위한 조건이 설정된다(스텝 S111)
그리고, 진동대(130)가 제어부(16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정지상태로 설정되고, 진동대(130)가 정지 처리를 한다(스텝 S112).
계속 되고, 촬영 장치(170)의 셔터 버튼이 셔터 버튼부(140)에 의해 눌러지면 촬영 화상( 제 1촬영 화상)이 생성되는 촬영 처리를 한다(스텝 S113).
그 후, 그 생성된 촬영 화상(제 1촬영 화상)이 촬영 장치(17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에 기록 된다(스텝 S114).
그 후, 손떨림 모델 파형 및 누름 타이밍 정보가 제어부(160)에 의해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150)로부터 취득된다(스텝 S115).
그리고, 이 취득된 모델 파형에 기초하여 제어부(160)는 진동대(130)를 진동시키는 진동 처리를 한다(스텝 S116).
계속 되고, 진동 개시부터의 경과시간이 누름 타이밍 정보가 나타내 보이는 누름 타이밍(릴리스 타이밍)이 된지 아닌지가, 제어부(160)에 의해 판단된다.
그리고, 릴리스 타이밍으로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 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17), 릴리즈 타이밍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릴리즈 타이밍이 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17), 촬영 장치(170)의 셔터 버튼이 셔터 버튼부(140)에 의해 눌러져 촬영 화상(제 2촬영 화상)이 생성되는 촬영 처리를 한다(스텝 S118).
그 후, 그 생성된 촬영 화상(제 2촬영 화상)이 촬영 장치(17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에 기록 된다(스텝 S119).
계속 되고, 촬영 장치(170)이 생성한 2개의 촬영 화상(제 1촬영 화상 및 제 2촬영 화상)이 화상 처리 장치(200)의 화상 데이터 취득부(210)에 의해 취득된다(스텝 S120).
그리고,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어 있지 않은 상태(OFF)에 있어서의 촬영 장치(170)에 의해 취득된 샘플 패턴의 각 도트 마크의 중심점(기초 중심점)이 중심점 추출부(220)에 의해 산출된다(스텝 S121).
그 후, 손떨림 보정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상태(ON)에 있어서의 촬영 장치(170)에 의해 촬영한 제2 화상의 각 도트 마크의 중심점(보정 중심점)이 중심점 추출부(220)에 의해 산출된다(스텝 S122). 그 자세한 과정은 위에서 도 3과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리고, 제1 촬영 형상의 기초 중심점과 제2 촬영 영상에 기초한 보정 중심점에 기초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치가 평가치 생성부 (230)에 의해 생성된다(스텝 S123). 그 자세한 과정은 위에서 도 3과 4를 참조하여설명되었다.
계속 되고, 그 생성된 평가치가 출력 되어 평가치 기록부(240)에 기록 되어(스텝 S124), 평가치 생성 처리 순서가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트 마크를 사용하여 손떨림 보정의 정확도를 평가하게 되어 도트 마크의 중심만 찾기 때문에 버(Blur)가 심하게 되어도 상대적으로 종래 방식 보다 정확하게 손떨림 보정 기능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110 : 광원
120 : 샘플 패턴부 130 : 진동대
140 : 셔터 버튼부 150 :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
160 : 제어부 170 : 촬영 장치
200 : 화상 처리 장치 210 : 화상 데이터 취득부
220 : 중심점 추출부 230 : 평가치 생성부
240 : 평가치 기록부

Claims (18)

  1. 복수의 도트 마크가 구비된 샘플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샘플 패턴부;
    평가 대상이 되는 촬영 장치가 정지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모델 파형에 기초하여 촬영 장치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정지 상태에서 상기 촬영 장치가 상기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 촬영 영상과 진동 상태에서 상기 촬영 장치가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2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을 평가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한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중심을 원점으로 할때 좌표축상 4분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 마크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복수의 도트 마크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마크가 구비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복수의 도트 마크의 각각에 대하여 도트 마크 주위에 인식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초기 중심점을 산출하여 초기 수평 거리와 초기 수직 거리를 구하고,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보정 중심점을 산출하여 보정 수평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를 구하며, 초기 수평 거리와 보정 수평 거리의 차이와 초기 수직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의 차이를 구하여 평가치로 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복수의 서브 마크의 각각에 대한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서브 중심점간에 최대 중심점간 거리를 구하고, 구해진 최대 중심점간 거리를 평균하여 보정 중심점을 추출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복수의 서브 마크의 각각에 대한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복수의 서브 중심점에 대하여 복수의 중심점간 거리를 구하고, 상기 복수의 중심점간 거리를 일정 개수 합산하고 평균하여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구한 후에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재차 평균하여 보정 중심점을 추출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일정 개수를 선정할 때에 중심점간 거리가 큰 순서로 일정 개수를 선정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일정 개수를 선정할 때에 중심점간 거리가 큰 순서로 일정 개수를 제외하고 나머지로부터 일정 개수를 선정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에서 제1 촬영 영상과 제2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부;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부가 수신한 제1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초기 중심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보정 중심점을 산출하는 중심점 추출부; 및
    상기 중심점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각 도트 마크에 대한 초기 중심점을 이용하여 초기 수평 거리와 초기 수직 거리를 구하고,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보정 중심점을 이용하여 보정 수평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를 구하여 초기 수평 거리와 보정 수평 거리의 차이와 초기 수직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의 차이를 구하여 평가치로 하는 평가치 생성부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평가 대상이 되는 촬영 장치를 보관 유지하는 진동대;
    사람이 촬영 장치를 잡고 촬영할 때에 촬영 장치가 받는 손떨림을 재현하기 위한 손떨림 모델 파형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 및
    상기 손떨림 모델 파형 기록부로부터 공급되는 손떨림 모델 파형에 기초하여진동대의 진동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12. (A) 화상 처리 장치가 촬영 장치로부터 정지된 상태에서 복수의 도트 마크가 구비된 샘플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생성된 제 1 촬영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
    (B)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진동 상태에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샘플 패턴부를 촬영하여 생성된 제 2 촬영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획득한 제1 촬영 화상과 제2 촬영 화상을 이용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
  13. 청구항 12 있어서,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중심을 원점으로 할때 좌표축상 4분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 마크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
  14.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복수의 도트 마크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마크가 구비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샘플 패턴부가 구비하고 있는 샘플 패턴은 복수의 도트 마크의 각각에 대하여 도트 마크 주위에 인식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제1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초기 중심점을 산출하여 초기 수평 거리와 초기 수직 거리를 구하는 단계;
    (C-2)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보정 중심점을 산출하여 보정 수평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를 구하는 단계; 및
    (C-3)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초기 수평 거리와 보정 수평 거리의 차이와 초기 수직 거리와 보정 수직 거리의 차이를 구하여 평가치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복수의 서브 마크의 각각에 대한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서브 중심점간에 최대 중심점간 거리를 구하고, 구해진 최대 중심점간 거리를 평균하여 보정 중심점을 추출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제2 촬영 영상에서 각 도트 마크에 대한 복수의 서브 마크의 각각에 대한 서브 중심점을 구한 후에 복수의 서브 중심점에 대하여 복수의 중심점간 거리를 구하고, 상기 복수의 중심점간 거리를 일정 개수 합산하고 평균하여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구한 후에 평균 서브 중심점간 거리를 재차 평균하여 보정 중심점을 추출하는 손떨림 보정 평가 방법.
KR1020140019233A 2014-02-19 2014-02-19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8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33A KR20150098104A (ko) 2014-02-19 2014-02-19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1410210403.9A CN104853179A (zh) 2014-02-19 2014-05-16 抖动修正评价系统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33A KR20150098104A (ko) 2014-02-19 2014-02-19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104A true KR20150098104A (ko) 2015-08-27

Family

ID=5385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233A KR20150098104A (ko) 2014-02-19 2014-02-19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98104A (ko)
CN (1) CN1048531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7458A (zh) * 2016-01-04 2016-05-04 华北理工大学 单质体振动模糊图像采集及振动参数视觉测量实验平台
CN108333848A (zh) * 2017-01-19 2018-07-27 日本电产三协电子(东莞)有限公司 带抖动修正功能光学设备的抖动修正特性评价装置
JP6966229B2 (ja) * 2017-06-08 2021-11-1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機器の振れ補正特性評価装置
CN110620919B (zh) * 2018-06-20 2021-03-0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光学防抖测试装置、系统、防抖率确定方法及装置
CN110336995B (zh) * 2019-04-17 2021-03-30 中国信息通信研究院 用于拍照防抖性能测评的抖动轨迹生成方法、装置及系统
CN110290311B (zh) * 2019-04-17 2021-03-30 中国信息通信研究院 用于视频防抖性能测评的抖动轨迹生成方法、装置及系统
WO2022172650A1 (ja) * 2021-02-10 2022-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評価装置、評価方法、撮影手段の製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5610B2 (ja) * 2007-04-19 2011-1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画像の評価方法
JP2013025267A (ja) * 2011-07-26 2013-02-04 Sony Corp 評価方法、手振れモデル波形生成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4081756B (zh) * 2012-02-03 2017-07-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评价方法以及评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53179A (zh)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8104A (ko) 손떨림 보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JP5961945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画像処理装置を有するプロジェクタ及び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並びに、画像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TWI253006B (en) Image processing system, projector,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998719B2 (en) Non-planar surface projecting system, auto-calibration method thereof, and auto-calibration device thereof
JP6642610B2 (ja) 投影制御装置、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267427A1 (en) Projector, method of controlling projector, and program thereof
JP2019504522A (ja) ステレオカメラと構造化光とを用いた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を伴う奥行きマッピング
JP2013041166A (ja) プロジェクタ、その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95318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76786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033206A (ja) 投影型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投影型表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209532A (en) Interaction control system, method for detecting motion of object, ho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258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40491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849522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8781268B (zh) 图像处理装置和方法
US20180220113A1 (en) Projection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2017103688A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0955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2016042629A (ja) 撮影装置、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25063B1 (ko) 투사되는 영상을 은닉적으로 보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JP2016001853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56131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30027546A1 (en) Image measurement apparatus, image measur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883688B2 (ja) 設置状態検出システム、設置状態検出装置、及び設置状態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