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545A -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Google Patents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7545A KR20150097545A KR1020157016418A KR20157016418A KR20150097545A KR 20150097545 A KR20150097545 A KR 20150097545A KR 1020157016418 A KR1020157016418 A KR 1020157016418A KR 20157016418 A KR20157016418 A KR 20157016418A KR 20150097545 A KR20150097545 A KR 201500975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hand
- held
- induction charging
- coi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0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97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5580 NiC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5813 NiM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85 anti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93 ferri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94 ferro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nickel metal hydr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ELJHCBNGDEXLD-UHFFFAOYSA-N nickel zinc Chemical compound [Ni].[Zn] QELJHCBNGDEX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52 storag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 H01M2/1022—
-
- H01M2/105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12a~d, 14a; 14c~d, 16a; 16c~d)과, 이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12a~d, 14a; 14c~d, 16a; 16c~d)의 충전을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코일(22a~d)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유닛(20a~d)을 포함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12a~d, 14a; 14c~d, 16a; 16c~d)은, 유도 충전 유닛(20a~d)의 코일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주 연장 방향(74a~d)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과, 이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을 충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코일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과, 이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을 충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코일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이미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과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뿐만 아니라, 상호 간에 공구 없이 분리될 수 있는 수공구 기계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과, 이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을 충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코일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은 유도 충전 유닛의 코일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주 연장 방향을 갖는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특히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 유닛과, 수공구 기계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에너지 저장 유닛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유닛들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수공구 기계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수공구 기계 상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대안으로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수공구 기계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예컨대 케이블과 같은 전원 공급 라인을 통해 전기 연결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수공구 기계"는, 특히 드릴링 기계, 드릴 해머, 톱, 대패, 스크류 드라이버, 밀링 기계, 그라인더, 앵글 그라인더 및/또는 다기능 공구, 또는 전지 가위, 관목 가위 및/또는 잔디 가위와 같은 정원 공구처럼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전기 기기를 의미한다. 대안으로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다른 기기, 예컨대 측정 기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축전지 셀 유닛"은, 특히 전류의 생성을 위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충전 전류의 인입을 통해 충전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을 포함하는 재충전 가능한 에너지 저장 유닛을 의미한다. 특히 축전지 셀 유닛은, 복수의 축전지 셀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 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축전지 셀 유닛은 각각 동일한 개수의 축전지 셀들을 구비한 복수의 축전지 셀 블록을 포함하고, 이들 축전지 셀 블록은 연속해서 수공구 기계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수공구 기계는 단일의 축전지 블록으로 가능할 수 있는 경우보다 더 오랜 시간에 걸쳐 전류를 공급받게 된다. "축전지 셀"은 특히 가역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의 전기 화학 저장을 위해 제공되는 유닛을 의미한다. 축전지 셀은 예컨대 납 축전지 셀, NiCd 축전지 셀, NiMH 축전지 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그러나 더 바람직하게는 리튬 기반 축전지 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축전지 셀은, 서로 상이한 정격 전압, 예컨대 1.2V, 1.5V 또는 3.6V의 정격 전압을 갖는 축전지 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축전지 셀들은 원통형 형태를 갖는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재충전 수공구 배터리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총 전압을 달성하기 위해, 직렬 회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축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3.6V의 전압을 갖는 하나의 축전지 셀, 7.2V의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총 전압을 위해 각각 3.6V의 전압을 가지며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축전지 셀, 또는 10.8V의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총 전압을 위해 각각 3.6V의 전압을 가지며 직렬로 연결된 3개의 축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의 방전 후에 수공구 기계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추가 축전지 셀들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용량은 효과적으로 증대된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총 전압의 생성을 위한 복수의 축전지 셀의 직렬 회로의 경우, 그에 상응하게 복수의 추가 축전지 셀이 용량의 증대를 위해 상호 간에 병렬로, 그리고 직렬 회로에 대해서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3개의 축전지 셀의 직렬 회로의 경우, 이들 축전지 셀은 바람직하게는 3개의 축전지 셀의 주 연장부에 대해 수직인 한 평면에서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다. "유도 충전 유닛"은, 유도를 통해 충전 전류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코일과 충전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축전지 셀 유닛의 충전을 위한 유닛을 의미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유도 충전 유닛은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코일의 인덕턴스의 증대를 위해 하나 이상의 코일 코어 유닛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유도 충전 유닛은 코일 코어에 상대적으로 유도 충전 코일을 포지셔닝하는 코일 포머(coil former)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유도 충전 유닛은, 충전의 제어를 위해, 그리고 특히 외부 객체 검출(foreign object detection)을 위해 유도 충전 장치의 유도 충전 기기와 연계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도 충전 코일"은, 특히 하나 이상의 작동 상태에서 유도 충전 기기의 유도 코일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고 충전 전자장치를 통해 축전지 셀로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권선을 포함하는 코일을 의미한다. 특히 유도 충전 코일은, 교류 전자기장을 교류 전류로 변환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교류 자장은 10 ~ 500kHz,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120kHz의 주파수를 갖는다. 특히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은 유도 충전 코일의 권선 축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충전 전자장치"는, 특히 축전지 셀들의 충전을 제어하고 전압 변환을 위한 특별한 전자 부재들을 포함하는 전자 유닛을 의미한다.
"주 연장 방향"은, 특히 축전지 셀이 그를 따라 최대 연장부를 포함하는 대칭축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코일 평면"은, 특히 유도 충전 코일의 권선들이 그 내에서 연장되는 평면을 의미한다. 특히 코일 평면은 유도 충전 코일의 권선 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축전지 셀의 주 연장 방향이 유도 충전 유닛의 코일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이라는" 것은, 특히 코일 평면과 주 연장 방향 사이의 각도가 90도와는 최대 30도만큼, 바람직하게는 최대 20도 만큼,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0도 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도만큼 차이 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주 연장 방향은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를 통해, 최대한 작은 횡방향 지름을 갖는 특히 조밀하게 형성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코일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축전지 셀의 치수에 비해, 높은 자계 강도를 통해 축전지의 신속한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상대적으로 더 큰 지름의 유도 충전 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유도 충전 유닛의 코일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 연장 방향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은, 제 1 축전지 셀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더 높은 총 전압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과 직렬 회로로 함께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어 이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의 방전 후에 수공구 기계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축전지 셀이 상호 간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추가 축전지 셀은 상호 간에 직렬로 연결되어 복수의 제 1 축전지 셀에 대해서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의 주 연장 방향이 유도 충전 유닛의 코일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는 것은, 특히 코일 평면과 주 연장 방향 사이의 각도가 0도와는 최대 30도만큼, 바람직하게는 최대 20도만큼,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0도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도만큼 차이 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주 연장 방향은 코일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축전지 셀을 조밀하게 지지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은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과 유도 충전 코일 사이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이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과 유도 충전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는 것은, 특히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코일 평면에 대해 평행한 모든 평면이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에 대해 교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조밀한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유도 충전 코일의 지름은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의 주 연장 길이보다 더 크다. "주 연장 길이"는, 특히 주 연장 방향을 따르는 길이를 의미한다. 특히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의 충전을 위한 적은 충전 시간을 갖는 조밀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부재를 형성하는, 유도 충전 코일의 수용을 위한 코일 수용 영역을 구비한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한다. "배터리 하우징"은, 특히 주변 환경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벽부들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를 한정하며, 그리고 특히 수공구 기계 상에 조립되고, 그리고/또는 분해된 상태에서 주변 환경에 대해 유도 충전 유닛 및 축전지 셀들을 보호하고 손상 및/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 부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특히 배터리 하우징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형태 및 크기를 규정한다. 바람직하게 배터리 하우징은 수공구 상에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체결을 위한 체결 장치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배터리 하우징은, 수공구와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 사이에 전기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접촉 공동부들(contact cavity)을 포함한다. 특히 배터리 하우징은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만 밀폐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밀폐되어 형성되는 경우, 배터리 하우징으로부터 자유로운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영역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가 수공구 기계 상에 조립된 상태에서 수공구 기계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코일 수용 영역"은, 특히 유도 충전 유닛의 유도 충전 코일이 그 내부에 배치되는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배터리 하우징의 영역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코일 수용 영역은,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축전지 셀들을 에워싸는 배터리 하우징 영역들의 치수들과 다른 치수를 포함한다. "코일 수용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부재를 형성한다"는 것은, 특히 배터리 하우징의 코일 수용 영역이 배터리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측면 표면에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측면 표면에서 배터리 하우징의 추가 영역들에 비해 돌출되어 있거나 후퇴되어 있음으로써 추가 기기, 예컨대 유도 충전 기기 또는 수공구 기계의 상응하는 형상 끼워맞춤 부재가 형상 끼워맞춤 방식 연결의 형성을 위해 코일 수용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형상 끼워맞춤 리세스 내로 맞물린다거나, 또는 코일 수용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형상 끼워맞춤 돌출부를 에워싼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코일 수용 영역은, 배터리 하우징의 2개 이상의 측면 표면에서, 배터리 하우징의 인접 영역들에 비해서 측면 표면들에서 돌출하여 형상 끼워맞춤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형상 끼워맞춤 부재는, 충전 단계 동안,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유도 충전 기기 상에 형상 끼워맞춤 체결을 실현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배터리 하우징은 코일 수용 영역에 상대적으로 후퇴되어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을 수용하기 위한 축전지 셀 수용 영역을 포함한다. "축전지 셀 수용 영역"은, 특히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이 그 내부에 배치되는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배터리 하우징의 영역을 의미한다. "축전지 셀 수용 영역이 코일 수용 영역에 대해 후퇴되어 있다"는 것은, 특히 배터리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측면 표면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측면 표면에서 축전지 셀 수용 영역이 측면 표면 상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코일 수용 영역보다 더 작은 치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별도의 외부 체결 부재들 없이, 유도 충전 기기 또는 수공구 기계 상에 간편한 체결을 위한 조밀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가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코일 수용 영역과 다른 영역들에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바람직하게 작은 횡방향 치수, 및 그에 따른 조밀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가 달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라서, 유도 충전 유닛은, 유도 충전 코일에 대해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플레이트 영역을 구비한 코일 코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코일 코어 유닛"은,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코일의 인덕턴스를 증대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닛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자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페리 자성, 특히 연자성 재료, 예컨대 페라이트를 의미한다. 대안으로서, 강자성 및/또는 반강자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플레이트 영역"은, 특히 두께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코일 코어 유닛의 최소 치수의 최대 1/2 크기, 바람직하게는 최대 1/4 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8 크기인 두께를 갖는 코일 코어 유닛의 평평한 영역을 의미한다. 코일 코어 유닛의 "두께"는, 특히 유도 충전 코일의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코일 코어 유닛의 치수를 의미한다. 플레이트 영역이 "유도 충전 코일에 대해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한다"는 것은, 특히 유도 충전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계의 자계선들이 코일 코어 유닛의 플레이트 영역에 의해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 편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특히 자계의 자계 강도는,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의 위치에서, 플레이트 영역이 없는 상태에서 존재하는 자계 강도에 비해, 10% 이상만큼, 바람직하게는 20% 이상만큼,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만큼 약화된다. 특히 플레이트 영역은, 유도 코일 상에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을 투영할 경우, 투영 면적의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플레이트 영역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을 통해,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의 차폐를 달성한다. 특히 코일 코어 유닛은 플레이트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코일 코어 유닛의 플레이트 영역은, 플레이트 영역의 추가 부분 영역들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코일 평면 내에까지, 그에 따라 두께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유도 충전 코일의 권선들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 내에까지 연장되는 부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영역의 추가 부분 영역들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분 영역은 플레이트 영역의 일측 면 상에만 배치된다. 특히 플레이트 영역의 추가 부분 영역들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영역의 부분 영역은 이 부분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면 상에서 플레이트 영역의 기본 형태와 다른 기본 형태를 갖는다. 특히 플레이트 영역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기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부분 영역은 일측 면에서 그 플레이트 영역에 부착되고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의 적어도 부분적인 차폐를 통해, 유도 충전 코일의 자계를 통한 축전지 셀들의 부하는 적어도 감소될 수 있고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손상은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의 제안에 따라서, 플레이트 영역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는, 특히 플레이트 영역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되는 4개의 변에 의해 한정되는 표면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되는 변들"은, 특히 직선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는 변의 총 길이의 50% 이상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변들을 의미한다.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되는 변들은 장방형 형태, 특히 가장자리들이 라운딩된 장방형 형태를 한정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 영역은 측면들이 라운딩된 장방형의 기본 형태를 갖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영역의 표면의 원형 부분 영역은 플레이트 영역의 추가 부분 영역들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유도 충전 코일의 권선들에 의해 에워싸인 유도 충전 코일의 내부 영역 내에까지 연장된다. 특히 플레이트 영역은 적어도 유도 충전 코일의 지름보다 더 작은 축 방향 길이를 갖는다. "축 방향 길이"는, 특히 플레이트 영역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선인 측면에 대해 평행한 연장 길이, 타원형 플레이트 영역의 주축 또는 부축의 길이, 또는 원형 플레이트 영역의 지름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영역의 하나 이상의 추가 축 방향 길이는 유도 충전 코일의 지름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영역은 모서리들이 라운딩된 장방형 형태로서 형성되며, 이 장방형 형태는 유도 충전 코일의 지름보다 더 작으면서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방향 길이와, 이 축 방향에 대해 수직이면서 유도 충전 코일의 지름보다 더 큰 축 방향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코일 코어 유닛은 복수의 분리된 코어 편(core piece)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코일 코어 유닛이 복수의 분리된 코어 편"을 포함한다는 것은, 코일 코어 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상호 간에 분리되어 구성되고 분리되어 배치되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편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복수의 분리된 코어 편은 상호 간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특히 복수의 분리된 코어 편을 포함하는 코일 코어 유닛은, 자기 특성(magnetic characteristic)이 코일 코어 유닛의 일체형 형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특히 간단하게 형성되는 기본 형태를 갖는 코일 코어 유닛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방출 열을 분배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열 분배 부재를 포함한다. "열 분배 부재"는, 특히 국소적으로 제한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한되는 영역으로부터 열 전도, 열 복사 또는 대류를 이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산시키면서 상대적으로 더 큰 영역에 걸쳐 분배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특히 열 분배 부재는, 열 수송 부재를 에워싸는 부재들의 열 전도도의 두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인 열 전도도를 갖는다. "열 분배 부재는 방출 열을 분배하기 위해 제공된다"는, 특히 열 분배 부재가 제한되는 영역의 표면의 두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인 표면을 가지며, 그리고 제한되는 영역으로부터 떨어져 안내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출 열"은, 특히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의 충전 및/또는 방전 동안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열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열 분배 부재는 충전 전자장치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과 열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열 분배 부재는 하나 이상의 열 전도 코팅층을 포함한다. "열 전도 코팅층"은, 특히 열 전도 코팅층이 그 상에 적층되는 재료의 열 전도도의 두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인 열 전도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의미한다. "코팅층"은, 특히 적어도 캐리어 부재의 표면 상에 적층되고 캐리어 부재의 두께의 최대 1/5, 바람직하게는 최대 1/10,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20인 두께를 갖는 층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열 전도 코팅층은 최대 밀리미터 범위인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열 전도 코팅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조되어 브래킷으로서 형성된 캐리어 부재 상에 적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브래킷은,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로부터 충전 전자장치를 이격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국소적으로 증가되는 온도를 통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손상뿐만 아니라, 국소적으로 서로 상이한 온도를 통한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의 충전 과정 또는 방전 과정의 저하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적어도 유도 충전 유닛은 사전 조립된 모듈로서 형성된다. "사전 조립된 모듈"은, 특히 적어도 유도 충전 코일과, 이 유도 충전 코일이 그 상에 적층되는 코일 포머와, 충전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유도 충전 유닛이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제조 동안 하나의 단계에서 조립되어 완전한 모듈로서 추가 단계들에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추가 부품들과 함께 내장된다는 것 그리고 유도 충전 유닛이 전체로 수공구에서 분리될 수 있고 별도로 기능성에 대해 검사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내에 내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전 조립된 모듈은 유도 충전 유닛에 추가로, 코일 포머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하우징 부품과, 브래킷으로서 형성되어 조립 후에 사전 조립된 모듈의 개별 부분 부재들을 결속하는 열 분배 부재도 포함한다. 특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간소화된 조립이 달성되며, 그리고 복수의 다양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에서의 이용을 위해 분리될 수 있는 유도 충전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공구 기계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의 제안에 따라서, 수공구 기계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공구 없이 상호 간에 분리될 수 있다. "공구 없이 상호 간에 분리될 수 있다"는, 특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가 수공구 기계 상에서의 체결 후에 사용자에 의해 수공구 기계로부터 손상 없이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및/또는 수공구 기계는 수공구 기계 상에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체결을 위한 체결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체결 수단들은 사용자에 의해 수공구 기계로부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분리를 위해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수공구 기계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끼워질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수공구 기계로부터 당기는 것을 통해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간편한 교환성을 갖는 시스템이 달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은 수공구 기계 및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손잡이 하우징(handle housing)에 의해 에워싸인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손잡이 하우징에 의해 에워싸인다"는, 특히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이 주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주 연장 방향을 따라서 길이의 50% 이상에서 18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270도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60도의 각도 범위를 따라서 손잡이 하우징에 의해 에워싸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코일은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손잡이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손잡이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다"는, 특히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부피가 손잡이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가이드 특성을 갖는, 수공구 기계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조밀한 시스템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시스템은, 수공구 기계 상에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조립을 위해, 유도 충전 유닛의 코일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조립 방향을 갖는다. 특히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는 조립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도 충전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유도 충전 장치는 충전 단계 동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체결을 위한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을 포함한다.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은, 특히 충전 단계 동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형상 끼워맞춤 방식 체결을 위해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상응하는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재들을 의미한다. 특히 유도 충전 장치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공구 없이 상호 간에 분리될 수 있다. "충전 단계"는, 특히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이 유도 충전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유도 충전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충전되는 기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컨대 유도 충전 장치는, 배터리 수용 영역에 비해 돌출한 배터리 하우징의 코일 수용 영역의 수용을 위한 리세스들로서 형성된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유도 충전 장치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상호 간의 상대적 변위를 통한 충전 단계의 차단 또는 전달 효율성의 감소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유도 충전 장치 및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서로 다른 기본 형태를 갖는 포지셔닝 돌출부와 포지셔닝 리세스를 포함한다. "포지셔닝 돌출부"는, 특히 인접한 표면 영역들에 비해 돌출하여 포지셔닝 리세스 내로의 맞물림을 위해 제공되는 표면 영역을 의미한다. "포지셔닝 리세스"는, 특히 인접한 표면 영역들에 비해 후퇴되어 포지셔닝 돌출부 내로의 맞물림을 위해 제공되는 표면 영역을 의미한다. 특히 포지셔닝 돌출부와 포지셔닝 리세스는 상호 간에 다르지만, 상호 간에 대응하는 기본 형태들을 구비하여 형성되며, 예컨대 포지셔닝 돌출부는, 정방형 포지셔닝 리세스의 측면 길이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원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포지셔닝 돌출부는 적어도 한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일측 면의 한 단부 영역에, 포지셔닝 리세스의 횡방향 치수보다 더 작은 횡방향 치수를 가지며, 그럼으로써 끼움은 수월해진다. 특히 포지셔닝 리세스 내로 포지셔닝 돌출부의 간단한 삽입이 달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충전 유닛이 제안된다.
본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앞서 설명한 적용 및 실시예로만 국한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는 본원에 기술되는 작동 원리의 충족을 위해 개별 부재들, 부품들 및 유닛들의 본원에 언급한 개수와 다른 개수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장점들은 다음의 도면의 설명내용에서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4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는 조합되는 방식으로 수많은 특징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특징들을 적합하게 개별적으로 고려하고 합당한 추가 조합으로 통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유도 충전 유닛의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 연장 방향을 갖는 3개의 제 1 축전지 셀과, 3개의 추가 축전지 셀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를 하우징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시한 부분 개방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외부도이다.
도 3은 분해된 상태로 수공구 기계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조립된 상태로 수공구 기계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추가 축전지 셀들 및 유도 충전 유닛의 유도 충전 코일을 상부에서부터 바라보고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6은 도 4를 절단하여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사전 조립된 모듈로서의 유도 충전 유닛의 부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코일 코어 유닛을 통한 차폐를 나타내는 유도 충전 코일 및 코일 코어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코일 코어 유닛 및 유도 충전 코일을 상부에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포지셔닝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포지셔닝 리세스를 포함한 유도 충전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포지셔닝 돌출부와 포지셔닝 리세스의 서로 상이한 기본 형태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포지셔닝 돌출부와 포지셔닝 리세스의 서로 상이한 기본 형태들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단일의 제 1 축전지 셀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유도 충전 유닛의 코일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 연장 방향을 갖는 3개의 제 1 축전지 셀과, 3개의 추가 축전지 셀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추가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유도 충전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대안으로 형성된 유도 충전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외부도이다.
도 3은 분해된 상태로 수공구 기계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조립된 상태로 수공구 기계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추가 축전지 셀들 및 유도 충전 유닛의 유도 충전 코일을 상부에서부터 바라보고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6은 도 4를 절단하여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사전 조립된 모듈로서의 유도 충전 유닛의 부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코일 코어 유닛을 통한 차폐를 나타내는 유도 충전 코일 및 코일 코어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코일 코어 유닛 및 유도 충전 코일을 상부에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포지셔닝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포지셔닝 리세스를 포함한 유도 충전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포지셔닝 돌출부와 포지셔닝 리세스의 서로 상이한 기본 형태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포지셔닝 돌출부와 포지셔닝 리세스의 서로 상이한 기본 형태들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단일의 제 1 축전지 셀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유도 충전 유닛의 코일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 연장 방향을 갖는 3개의 제 1 축전지 셀과, 3개의 추가 축전지 셀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의 추가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유도 충전 장치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대안으로 형성된 유도 충전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3개의 제 1 축전지 셀(12a, 14a, 16a)과, 이 제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의 충전을 위한 유도 충전 코일(22a)을 포함하는 유도 충전 유닛(20a)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은 유도 충전 유닛(20a)의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인 주 연장 방향(74a)을 갖는다. 유도 충전 유닛(20a)의 코일 평면은, 유도 충전 코일(22a)의 권선들이 그 내에서 연장되고 유도 충전 코일(22a)의 권선 축 상에서 수직을 이루는 유도 충전 코일(22a)의 코일 평면에 상응한다. 또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유도 충전 유닛(20a)의 코일 평면에 대해 평행한 주 연장 방향(76a)을 갖는 3개의 추가 축전지 셀(13a, 15a, 17a)도 포함한다.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은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과 유도 충전 코일(22a)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 및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은 3.6V의 정격 전압을 갖는 리튬 이온 축전지에 의해 형성된다. 원칙상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로서는 예컨대 니켈 금속 수화물 축전지들, 니켈 카드뮴 축전지들, 또는 니켈 아연 축전지들처럼 다른 전해질들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정격 전압들을 갖는 축전지들도 사용될 수 있다.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은 직렬 회로로 서로 연결되어 10.8V의 총 전압을 갖는 제 1 셀 블록을 형성하고,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은 직렬 회로로 서로 연결되어 10.8V의 총 전압을 갖는 제 2 셀 블록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 1 셀 블록은 맨 먼저 수공구 기계(36a)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 2 셀 블록은 제 1 셀 블록의 방전 후에 수공구 기계(36a)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각각 3개의 제 1 축전지 셀(12a, 14a, 16a)로, 또는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로 이루어진 단일의 셀 블록을 이용할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두 배 높은 용량을 갖게 된다. 원칙상, 하나의 셀 블록 내에서,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의 셀들뿐만 아니라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의 셀들은 함께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축전지 셀(12a, 13a, 14a, 15a, 16a, 17a)은 공통 셀 블록 내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간단한 실시예에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공구 기계(36a)의 손잡이부(38a) 내에 수용되는 3개의 제 1 축전지 셀(12a, 14a, 16a)을 구비한 단일의 셀 블록만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도 1에, 상기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로 이루어진 제 2 셀 블록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을 통해 지시되어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축전지 셀들(12a, 14a, 16a) 중에서 하나의 축전지 셀만을 포함한다. 추가의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축전지 셀들(12a, 14a, 16a) 중에서 2개의 축전지 셀만을 포함한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가 축전지 셀들(12a, 14a, 16a) 중에서 하나, 2개 또는 3개의 축전지 셀을 포함하는 언급한 3개의 실시예 모두에서는, 유도 충전 코일(22a)은 축전지 셀들(12a, 14a, 16a) 중에서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의 충전을 위해 제공된다. 이 경우, 축전지 셀들(12a, 14a, 16a) 중에서 하나 이상의 축전지 셀은 유도 충전 유닛(20a)의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인 주 연장 방향(74a)을 갖는다.
유도 충전 유닛(20a)은, 유도 충전 코일(22a)에 대해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 및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을 차폐하는 플레이트 영역(62a)을 구비한 코일 코어 유닛(24a)을 포함한다.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축전지 셀 캐리어들(86a)의 수용 공간들 내에 배치된다. 축전지 셀 캐리어들(86a)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내부에서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의 배치의 더 나은 도해를 위해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축전지 셀 캐리어들(86a)은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의 주 연장 방향들(74a, 76a)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은 상기 방향을 따라서 축전지 셀 캐리어들(86a) 내로 삽입되고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축전지 셀 캐리어들(86a)은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을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고정하면서 주 연장 방향들(74a, 76a)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축전지 셀들을 부분적으로 에워싼다. 코일 코어 유닛(24a)은 유도 충전 코일(22a)과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 충전 코일 및 상기 축전지 셀들을 상호 간에 분리한다(도 6). 도 1에는, 유도 충전 코일(22a)은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에 대한 자신의 상대적인 배치의 도해를 위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부재를 형성하는 유도 충전 코일(22a)의 수용을 위한 코일 수용 영역(44a)과, 이 코일 수용 영역(44a)에 상대적으로 후퇴되어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의 수용을 위한 축전지 셀 수용 영역(46a)을 구비하고, 유도 충전 유닛(20a) 및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의 수용을 위한 배터리 하우징(18a)도 포함한다.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의 주 연장 방향(74a)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고려할 때, 코일 수용 영역(44a)은 하나 이상의 축을 따라서 축전지 셀 수용 영역(46a)을 돌출한다. 배터리 하우징(18a)은, 코일 수용 영역(44a) 및 축전지 셀 수용 영역(46a)을 형성하는 하나의 중앙 하우징 부품(30a) 및 2개의 측면 하우징 부품(32a, 34a)을 포함하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코일 수용 영역(44a)을 형성하는 하우징 부품들(32a, 34a)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을 한정하고 중앙 하우징 부품(30a)의 단부 영역들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정면 및 배면을 한정하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정면 상에는 LED 부재들을 포함하여 충전 상태의 시그널링을 위한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또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과 집전기 사이의 전기 전도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연결 부재들도 포함한다.
도 2에는, 하우징 부품들(30a, 32a, 34a) 상에 안착되어 상부 밀폐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부품(48a)을 구비하여 완전하게 밀폐된 배터리 하우징(18a)을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부품(48a)은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을 에워싸고 대향하는 면들 상에 래칭 부재들로서 형성된 잠금 고정 부재들(106a)(locking element)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배터리 하우징(18a)의 상단부에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수공구 기계의 상보적인 전기 접촉 부재들과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 부재들을 포함한 도 2에는 표시되지 않은 접촉 영역을 포함한다.
도 3에는, 분해된 상태로 수공구 기계(36a)와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로 이루어진 시스템(50a)이 도시되어 있다. 수공구 기계(36a)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수용부(84a)를 에워싸는 손잡이 하우징(40a)을 구비한 손잡이부(38a)를 포함하는 배터리 드릴 드라이버에 의해 형성된다. 손잡이부(38a) 상에는, 작동 동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와 수공구 기계(36a) 사이의 전류 회로를 폐쇄하는 작동 스위치(42a)가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수공구 기계(36a)는 작동을 위한 전류를 공급받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로서 형성되는 하우징 부품(48a)은 하우징 부품들(30a, 32a, 34a)과 함께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배터리 하우징(18a)을 형성한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잠금 고정 부재들(106a)에 의해 수공구 기계(36a) 상의 하우징 부품(48a) 상에 체결된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공구 없이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수용부(84a) 내로 삽입하는 것을 통해 잠금 고정 부재들(106a)에 의해 수공구 기계(36a) 상에서 체결된다(도 4). 수공구 기계(36a) 상에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조립을 위한 조립 방향(78a)은 유도 충전 유닛(20a)의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그에 따라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의 주 연장 방향(74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에 따라,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삽입 이동으로 수공구 기계(36a) 상에 조립된다. 이 경우,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은 수공구 기계(36a) 및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조립된 상태에서 주 연장 방향(74a)을 따르는 길이의 60%에서 주 연장 방향(74a)의 수직인 평면에서 360도의 각도 범위를 따라서 손잡이 하우징(40a)에 의해 에워싸인다. 유도 충전 코일(22a)은 조립된 상태에서 손잡이 하우징(40a)의 외부에 배치되며, 유도 충전 코일(22a)의 전체 부피는 손잡이 하우징(40a)의 외부에 위치한다.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은 조립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손잡이 하우징(40a)의 외부에 배치된다. 수공구 기계(36a) 및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공구 없이 상호 간에 분리될 수 있으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미도시된 릴리스 부재의 작동 후에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수용부(84a)에서 인출될 수 있다.
유도 충전 코일(22a)의 지름은, 주 연장 방향(76a)을 따르는 길이에 의해 형성되는 추가 축전지 셀들(13a, 15a, 17a)의 주 연장 길이보다 더 크다(도 5). 또한, 유도 충전 코일(22a)의 지름은 주 연장 방향(74a)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의 지름보다 더 크다. 또한, 유도 충전 코일의 지름은,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의 최대 연장부의 길이, 예컨대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의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모서리 영역 사이의 대각선의 길이보다 더 크다. 또한, 유도 충전 코일(22a)의 지름은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의 주 연장 길이보다 더 크다. 그에 따라, 유도 충전 코일(22a)은 모든 축전지 셀(12a, 13a, 14a, 15a, 16a, 17a)을 돌출하며, 그럼으로써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의 신속한 충전이 달성된다. 유도 충전 코일(22a)은, 축전지 셀 수용 영역(46a)을 돌출하는 배터리 하우징(18a)의 코일 수용 영역(44a) 내에 배치된다. 유도 충전 코일(22a)은 코일 코어 유닛(24a)의 플레이트 영역(62a)에 의해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로부터 분리되고 도 5에는 플레이트 영역(62a)에 의해 덮이는 영역들에서 위치의 도해를 위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 영역(62a)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모서리들이 라운딩된 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플레이트 영역(62a)의 축 방향 길이들(80a, 82a)은 유도 충전 코일(22a)의 지름보다 더 작다(도 8). 코일 코어 유닛(24a)은 4개의 분리된 코어 편(26a, 27a, 28a, 29a)을 포함하고, 이들 코어 편은 모서리들이 라운딩된 사각형의 1/4에 각각 상응한다(도 9). 개별 코어 편들(26a, 27a, 28a, 29a)은 코일 포머(60a) 내에 위치하며, 이 코일 포머 내에는 유도 충전 코일(22a)도 고정되고 코일 포머(60a)의 플라스틱 부재들에 의해 상호 간에 분리된다. 라운딩된 모서리들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영역에서 개별 코어 편들(26a, 27a, 28a, 29a)은 일측 면 상에 증가된 두께를 가지며 조립된 상태에서는 유도 충전 코일(22a)의 코일 평면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증가된 두께를 갖는 영역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유도 충전 코일(22a)에 의해 에워싸이면서 이 유도 충전 코일에 인접한다(도 8).
유도 충전 유닛(20a)은, 유도 충전 코일(22a)과, 코일 코어 유닛(24a)과, 충전 전자장치(52a)와, 코일 포머(60a)와, 코일 포머(60a)를 체결하는 중앙 하우징 부품(30a)과, 열 분배 부재(54a)를 포함하여, 별도로 분리될 수 있는 사전 조립된 모듈(58a)로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유도 충전 코일(22a) 및 충전 전자장치(52a)는 자신들의 기능에 대해 검사될 수 있다(도 7). 열 분배 부재(54a)는,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의 충전 동안 충전 전자장치(52a)의 방출 열과, 방전 동안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의 방출 열을 분배하기 위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국소적인 과열은 방지된다. 이를 위해, 열 분배 부재(54a)는 중앙 하우징 부품(30a)의 주축을 따라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브래킷으로서 형성된다(도 6). 열 분배 부재(54a)의 측면 영역들은 충전 전자장치(52a)와 접촉하며, 그리고 열 분배 부재(54a)의 중앙 영역은 일측 면에서,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이 그 내에 배치되어 있는 축전지 셀 캐리어(86a)와 접촉되며, 그럼으로써 열은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과 충전 전자장치(52a) 사이에서 열 분배 부재(54a)를 경유하여 흐를 수 있다. 열 분배 부재(54a)는 알루미늄 소재의 열 전도 코팅층(56a)을 포함한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열 분배 부재(54a)는 완전하게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부품으로서도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전자장치(52a)는 유도 충전 코일(22a)에 대해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의 차폐를 위한 구리층으로 부분적으로 코팅된다.
도 10에는, 제 1 축전지 셀들(12a, 14a, 16a) 및 하우징 부품(48a)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배터리 하우징(18a)의 하면을 바라보면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를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하면 상에는, 라운딩된 모서리들을 갖는 정방형의 기본 형태를 갖는 포지셔닝 돌출부(64a)가 배치되며, 이 포지셔닝 돌출부는 하면이 바닥에 위치하도록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를 설치할 경우 바닥부와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그와 반대로 하면의 다른 부분 영역들에는 바닥부와의 접촉부가 없다. 또한, 포지셔닝 돌출부(64a)는 유도 충전 장치(66a)의 포지셔닝 리세스(68a) 내로의 맞물림을 위해 제공된다.
도 11에는, 유도 충전 기기(88a)를 구비한 유도 충전 장치(66a)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를 포함하는 시스템(72a)이 도시되어 있다. 유도 충전 기기(88a)는 상면에 포지셔닝 리세스(68a)를 구비한 설치 표면(90a)을 포함하며, 이 설치 표면 상에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가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의 충전을 위해 설치된다. 포지셔닝 리세스(68a)는 원형의 기본 형태와 3㎜의 깊이를 갖는다. 그러나 예컨대 2㎜, 5㎜의 깊이, 또는 1㎜만의 깊이와 같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합당한 것으로서 보이는 다른 치수들도 생각해볼 수 있다. 포지셔닝 돌출부(64a)는 포지셔닝 리세스(68a)의 깊이에 상응하는 단차 높이를 갖는다. 그에 따라, 포지셔닝 돌출부(64a) 및 포지셔닝 리세스(68a)는 서로 다른 기본 형태들을 갖는다. 포지셔닝 돌출부(64a) 및 포지셔닝 리세스(68a)의 치수는 상호 간에 매칭되며, 특히 포지셔닝 리세스(68a)의 치수는, 포지셔닝 돌출부(64a)를 확실하고 작은 유격으로 에워싸도록 매칭된다. 포지셔닝 돌출부(64a) 및 포지셔닝 리세스(68a)의 치수들 사이에는 작은 공차가 제공된다. 포지셔닝 리세스(68a) 내로 포지셔닝 돌출부(64a)의 맞물림은 사용자에 의해 촉각으로 감지될 수 있으면서,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 상에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충전 과정을 위해 최적인 포지셔닝을 사용자에게 시그널링한다.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원형의 포지셔닝 리세스(68a) 내에서의 수용을 위해 모서리들이 라운딩된 정방형의 기본 형태를 갖는 포지셔닝 돌출부(64a)가 제공된다(도 12). 그 대안으로서, 포지셔닝 돌출부(64a)는 원형의 기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정방형의 기본 형태를 갖는 포지셔닝 리세스(68a)의 내부에서 수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도 13). 또한, 그 대안으로서,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는 포지셔닝 돌출부(64a)를 포함하고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포지셔닝 리세스(68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축전지 셀들(12a, 13a, 14a, 15a, 16a, 17a)의 충전 동안, 전기 에너지는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의 미도시된 유도 코일을 통한 유도에 의해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유도 충전 코일(22a)로 전달되고 이 전달된 위치에서 전류를 유도한다. 충전 전자장치(52a)에 의해 전류는 변환되고 충전은 제어된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충전 단계 동안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 상에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를 설치할 때 포지셔닝 리세스(68a) 내에 포지셔닝 돌출부(64a)를 수용하는 것을 통해,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유도 충전 코일(22a) 및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의 유도 코일은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높은 전달 효율이 달성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예컨대 실수로 인한 충돌에 의해, 충전 단계 동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와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 상호 간의 상대적인 변위는 포지셔닝 리세스(68a) 내에서 포지셔닝 돌출부(64a)의 수용을 통해 부분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는 충전 단계 동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체결을 위한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을 포함한다.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은 파지 플레이트로서 형성되고,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코일 수용 영역(44a)의 수용을 위해 제공되는 형상 끼워맞춤 리세스를 포함한다.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은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의 대향하는 면들 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장착되어 설치 표면(90a)의 법선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 상에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를 설치하고 체결하기 위해,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경사져서 유도 충전 장치(66a )상에 안착되며, 그럼으로써 코일 수용 영역(44a)은 일측 면에서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에 맞물리게 된다. 이어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설치 표면(90a)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며, 그럼으로써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은 상향 방향으로는 설치 표면(9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면서 법선 방향의 방향으로 편향된다. 이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포지셔닝 돌출부(64a)가 포지셔닝 리세스(68a) 내로 맞물릴 때까지,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 사이에서 설치 표면(90a) 상에 끼워진다. 이어서,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은 배터리 하우징(18a)의 코일 수용 영역(44a)을 상부에서부터 둘러싼다. 이제,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은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를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제자리에 고정한다.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로부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분리를 위해,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이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가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의 형상 끼워맞춤 리세스의 주 연장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설치 표면(90a)의 법선 방향으로 상승되는 이동으로, 유도 충전 장치(66a)에서 인출된다.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은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의 본체 상에 클립 체결로 장착되고 공구 없이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원칙상,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은 본체와 분리되지 않게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의 가능한 대안적 구현예에서,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은 측면으로 편향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체결을 위해 측면으로 편향될 수 있다. 유도 충전 장치(66a)의 유도 충전 기기(88a)의 대안적 구성에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분리를 위해,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은 다시 측면으로 편향되며, 그럼으로써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7에는, 본 발명의 3개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기의 설명내용들 및 도면들은 실질적으로 실시예들 사이의 차이로만 국한되며, 동일하게 표시된 부품들과 관련하여, 특히 동일한 도면부호들을 갖는 부품들과 관련하여, 원칙상 다른 실시예들, 특히 도 1 내지 도 13의 도면들 및/또는 설명내용도 참조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구별을 위해, 도 1 내지 도 13에서의 실시예의 도면부호들 뒤에는 알파벳 a가 표시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서의 실시예들에서 알파벳 a는 알파벳 b 내지 d로 대체된다.
도 14에는, 제 1 축전지 셀(12b)과, 3개의 추가 축전지 셀(13b, 15b, 17b)과, 제 1 축전지 셀(12b) 및 추가 축전지 셀들(13b, 15b, 17b)의 충전을 위한 유도 충전 코일(22b)을 구비한 유도 충전 유닛(20b)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b)의 대안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1 축전지 셀(12b)은, 유도 충전 유닛(20b)의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인 주 연장 방향(74b)을 갖는다. 3개의 추가 축전지 셀(13b, 15b, 17b)은, 유도 충전 유닛(20b)의 코일 평면에서 연장되는 주 연장 방향(76b)을 갖는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b)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되지만, 전술한 예시에서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갖는 유도 충전 코일(22b)을 포함한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b)는, 유도 충전 유닛(20b)의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 연장 방향(74b)을 갖는 단일의 제 1 축전지 셀(12b)을 포함하기 때문에,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b)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b)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갖는 손잡이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축전지 셀(12b)은 직렬 회로의 추가 축전지 셀(13b)과 함께 서로 연결되어 7.2V의 총 전압을 갖는 제 1 셀 블록을 형성하고, 추가 축전지 셀들(15b, 17b)은 서로 연결되어 7.2V의 총 전압을 갖는 제 2 셀 블록을 형성하며, 이 제 2 셀 블록은 제 1 셀 블록의 방전 후에 전류 공급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원칙상,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b)는 단일의 축전지 셀(12b)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추가 축전지 셀들(13b, 15b, 17b)이 파선으로 도시된 것을 통해 지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3개의 제 1 축전지 셀(12c, 14c, 16c)과, 이 제 1 축전지 셀들(12c, 14c, 16c)의 충전을 위한 유도 충전 코일(22c)을 구비한 유도 충전 유닛(20c)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c)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1 축전지 셀들(12c, 14c, 16c)은, 유도 충전 유닛(20c)의 코일 평면에 대해 수직인 주 연장 방향(74c)을 갖는다. 또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c)는, 유도 충전 유닛(20c)의 코일 평면에 대해 평행한 주 연장 방향(76c)을 갖는 3개의 추가 축전지 셀(13c, 15c, 17c)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제 1 실시예에 상응하며, 다만 제 3 실시예의 3개의 추가 축전지 셀(13c, 15c, 17c)의 주 연장 방향(76c)이 제 1 실시예의 3개의 추가 축전지 셀(13a, 15a, 17a)의 주 연장 방향(76a)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될 뿐이다.
유도 충전 장치(66d)의 대안적 형성과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d)를 포함하는 시스템(72d)의 대안적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d)는 그 유형과 관련하여 제 1 실시예의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에 상응한다. 유도 충전 장치(66d)는, 실질적으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유도 충전 기기(88d)와, 추가로, 충전 단계 동안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d)의 체결을 위한 유도 충전 장치(66a)의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d)을 구비한 프레임(92d)을 포함한다. 프레임(92d)은 프레임 부품들의 표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부(104d)를 포함하고, 이 지지부 위쪽에는 2개의 측면 브래킷(96d, 98d)이, 그리고 일측 면에서는 측면 브래킷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 브래킷(100d)이 상승되어 있다(도 17a, 도 17b). 이 경우, 파지 브래킷(100d)은 측면 브래킷(96d)에서부터 측면 브래킷(98d) 쪽으로 연장된다. 유도 충전 기기(88d)는 지지부(104d) 상에 설치되며, 그런 다음 프레임(92d)의 내부에 배치된다. 파지 브래킷(100d)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삽입 개구부(102d)로서 형성되는 프레임(92d)의 면이 배치되며, 이 면은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d) 내로, 그리고 설치 표면(90d) 상에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d)의 삽입을 위해 제공된다(도 16).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d)은, 충전 단계 동안, 축전지 셀 수용 영역(46d)에 비해 돌출한,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d)의 배터리 하우징(18d)의 코일 수용 영역(44d)을 상부로부터 둘러싸기 위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d)는 설치 표면(90d) 상의 한 위치에 고정된다.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d) 및 유도 충전 장치(66d)의 유도 충전 기기(88d)는, 도 16에는 사시도인 이유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서로 다른 기본 형태들을 갖는 한 쌍의 포지셔닝 리세스 및 포지셔닝 돌출부를 포함한다. 프레임(92d)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나사들을 통해 상호 간에 단단히 결합되는 2개의 부분 쉘로 구성된다. 또한, 원칙상, 프레임(92d)은 단일의 단단한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10a~d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12a~d 제 1 축전지 셀
13a~d 추가 축전지 셀
14a~d 제 1 축전지 셀
15a~d 추가 축전지 셀
16a~d 제 1 축전지 셀
17a~d 추가 축전지 셀
18a~d 배터리 하우징
20a~d 유도 충전 유닛
22a~d 유도 충전 코일
24a~c 코일 코어 유닛
36a 수공구 기계
44a~d 코일 수용 영역
54a 열 분배 부재
58a~c 사전 조립된 모듈
62a~c 플레이트 영역
64a,d 포지셔닝 돌출부
66a~d 유도 충전 장치
68a,d 포지셔닝 리세스
74a~d 제 1 축전지 셀의 주 연장 방향
76a~d 추가 축전지 셀의 주 연장 방향
12a~d 제 1 축전지 셀
13a~d 추가 축전지 셀
14a~d 제 1 축전지 셀
15a~d 추가 축전지 셀
16a~d 제 1 축전지 셀
17a~d 추가 축전지 셀
18a~d 배터리 하우징
20a~d 유도 충전 유닛
22a~d 유도 충전 코일
24a~c 코일 코어 유닛
36a 수공구 기계
44a~d 코일 수용 영역
54a 열 분배 부재
58a~c 사전 조립된 모듈
62a~c 플레이트 영역
64a,d 포지셔닝 돌출부
66a~d 유도 충전 장치
68a,d 포지셔닝 리세스
74a~d 제 1 축전지 셀의 주 연장 방향
76a~d 추가 축전지 셀의 주 연장 방향
Claims (17)
-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12a~d, 14a; 14c~d, 16a; 16c~d)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12a~d, 14a; 14c~d, 16a; 16c~d)의 충전을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코일(22a~d)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충전 유닛(20a~d)을 포함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12a~d, 14a; 14c~d, 16a; 16c~d)은, 상기 유도 충전 유닛(20a~d)의 코일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주 연장 방향(74a~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충전 유닛(20a; 20c~d)의 코일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 연장 방향(76a; 76c~d)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13a~d, 15a~d, 17a~d)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13a~d, 15a~d, 17a~d)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12a~d, 14a; 14c~d, 16a; 16c~d)과 상기 유도 충전 코일(22a~d)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충전 코일(22a~d)의 지름은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축전지 셀(13a~d, 15a~d, 17a~d)의 주 연장 길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부재를 형성하면서 상기 유도 충전 코일(22a~d)의 수용을 위한 코일 수용 영역(44a~d)을 포함하는 배터리 하우징(18a~d)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충전 유닛(20a~c)은 플레이트 영역(62a~c)을 구비한 코일 코어 유닛(24a~c)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영역은 상기 유도 충전 코일(22a~c)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12a~c, 14a; 14c, 16a; 16c)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영역(62a~c)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 열을 분배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열 분배 부재(54a)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충전 유닛(20a~c)은 사전 조립된 모듈(58a~c)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수공구 기계(36a)와,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로 이루어진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공구 기계(36a) 및 상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는 공구 없이 상호 간에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 1 축전지 셀(12a, 14a, 16a)은 상기 수공구 기계(36a) 및 상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손잡이 하우징(40a)에 의해 에워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공구 기계(36a) 상에 상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의 조립을 위해, 유도 충전 코일(20a)의 코일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조립 방향(78a)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유도 충전 장치(66a; 66d)와,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 10d)를 포함하는 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충전 장치(66a; 66d)는 충전 단계 동안 상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 10d)의 체결을 위한 형상 끼워맞춤 부재들(70a; 70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충전 장치(66a; 66d) 및 상기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 10d)는 서로 다른 기본 형태들을 갖는 포지셔닝 돌출부(64a; 64d) 및 포지셔닝 리세스(68a; 68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9 항에 따른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10a~c)의 유도 충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2112846.4 | 2012-12-21 | ||
DE102012112846 | 2012-12-21 | ||
DE102013201706.5 | 2013-02-01 | ||
DE102013201706 | 2013-02-01 | ||
DE102013226241.8 | 2013-12-17 | ||
DE102013226241.8A DE102013226241A1 (de) | 2012-12-21 | 2013-12-17 | Handwerkzeugakku |
PCT/EP2013/077132 WO2014096029A2 (de) | 2012-12-21 | 2013-12-18 | Handwerkzeugakku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7545A true KR20150097545A (ko) | 2015-08-26 |
Family
ID=508790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6418A KR20150097545A (ko) | 2012-12-21 | 2013-12-18 |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KR1020157016413A KR102135018B1 (ko) | 2012-12-21 | 2013-12-18 |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6413A KR102135018B1 (ko) | 2012-12-21 | 2013-12-18 |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3) | US20150318733A1 (ko) |
EP (3) | EP2936518B1 (ko) |
JP (3) | JP6109335B2 (ko) |
KR (2) | KR20150097545A (ko) |
CN (3) | CN105009238B (ko) |
DE (3) | DE102013226248A1 (ko) |
WO (3) | WO2014096029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14538B2 (en) | 2002-11-22 | 2010-05-11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Battery pack |
US7253585B2 (en) * | 2002-11-22 | 2007-08-07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Battery pack |
US9525293B2 (en) | 2011-12-30 | 2016-12-20 | Makita Corporation | Battery charger having angled wall in battery receiving opening, and battery pack charging system and cordless power tool system including same |
DE102013226248A1 (de) | 2012-12-21 | 2014-06-26 | Robert Bosch Gmbh | Handwerkzeugakku |
WO2015061370A1 (en) | 2013-10-21 | 2015-04-30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Adapter for power tool devices |
DE102014217272A1 (de) * | 2013-12-17 | 2015-06-18 | Robert Bosch Gmbh | Induktionsladevorrichtung |
EP3192142A4 (en) * | 2014-09-12 | 2018-05-16 | Robert Bosch GmbH | Interface and mounting structure for a wireless charger or intermediate piece |
CN107005064B (zh) * | 2014-10-03 | 2020-03-03 | 罗伯特·博世有限公司 | 用于电动工具的感应式充电套 |
CN105529836B (zh) * | 2016-01-25 | 2017-12-05 | 北京航空航天大学 | 一种用于超声铣削加工的非接触式感应供电装置 |
US10553843B2 (en) * | 2016-03-28 | 2020-02-04 | Transform Sr Brands Llc | Portable power tool, battery pack, and cell configurations for same |
CN106383318B (zh) * | 2016-08-25 | 2019-03-26 | 宁波良业电器有限公司 | 一种手持电动工具的电池块的电池监测模块 |
JP6910840B2 (ja) * | 2017-04-24 | 2021-07-28 | 株式会社マキタ | 電動工具 |
WO2019232065A1 (en) | 2018-05-30 | 2019-12-05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Fast-charging battery pack |
WO2020026095A1 (en) * | 2018-07-31 | 2020-02-0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Handheld device with a battery and a battery chassis |
DE102018130559B4 (de) * | 2018-11-30 | 2024-08-08 | GMC-I Messtechnik GmbH | Messgerät zum Messen elektrischer Größen |
EP3890084A1 (en) * | 2018-12-20 | 2021-10-06 | Globe (Jiangsu) Co., Ltd. | Electrical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electric tool system |
USD931802S1 (en) * | 2019-10-09 | 2021-09-28 | Würth International Ag | Battery |
DE102020207273A1 (de) | 2020-06-10 | 2021-12-16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System mit einer Handwerkzeugmaschine und einem ersten und zweiten Akkupack, sowi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m Akkupack |
US20220390095A1 (en) * | 2021-06-02 | 2022-12-08 | Ningbo Taller Electrical Appliance Co., Ltd. | Tool lamp with mobile power source |
EP4289562A1 (de) * | 2022-06-07 | 2023-12-13 | Hilti Aktiengesellschaft | Werkzeugmaschine mit parallelen abtriebs- und motorachsen |
WO2023193013A1 (en) * | 2022-03-31 | 2023-10-05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Battery pack |
Family Cites Families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75108A (en) * | 1971-10-12 | 1972-07-04 | Thomas H Nicholl | Induction charging device |
JPH0646531A (ja) * | 1992-07-23 | 1994-02-18 |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 充電装置 |
JP3306676B2 (ja) * | 1993-04-21 | 2002-07-24 |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小型電気機器 |
JPH07320964A (ja) * | 1994-05-23 | 1995-12-08 | Izumi Prod Co | 電磁誘導式充電器 |
JP2000069685A (ja) * | 1998-08-26 | 2000-03-03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非接触充電装置,非接触充電式電動歯ブラシ |
US9425638B2 (en) | 1999-11-01 | 2016-08-23 | Anthony Sabo | Alignment independent and self-align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
JP3764332B2 (ja) * | 2000-10-26 | 2006-04-0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電池パック |
US7589500B2 (en) * | 2002-11-22 | 2009-09-15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protection |
US7253585B2 (en) * | 2002-11-22 | 2007-08-07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Battery pack |
US7714538B2 (en) * | 2002-11-22 | 2010-05-11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Battery pack |
JP2005073350A (ja) * | 2003-08-22 | 2005-03-1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電動工具 |
WO2005099043A2 (en) * | 2004-03-31 | 2005-10-20 | Black & Decker Inc. | Battery pack - cordless power device interface system |
JP2006218228A (ja) * | 2005-02-14 | 2006-08-24 | Olympus Corp | バッテリユニット、そのバッテリユニットを有するバッテリ装置、医療機器および内視鏡 |
WO2007111019A1 (ja) * | 2006-03-24 | 2007-10-04 | Kabushiki Kaisha Toshiba | 受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非接触充電装置 |
JP2007294274A (ja) * | 2006-04-26 | 2007-11-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二次電池包装体 |
ATE515045T1 (de) * | 2006-09-18 | 2011-07-15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r ermöglichung eines transfers elektrischer energie |
JP5370709B2 (ja) * | 2007-10-29 | 2013-12-18 | 日立工機株式会社 | 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工具 |
JP2008270007A (ja) * | 2007-04-23 | 2008-11-06 | Hitachi Koki Co Ltd | 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用いる電動工具 |
US8765280B2 (en) * | 2007-04-23 | 2014-07-01 | Hitachi Koki Co., Ltd. | Battery pack and battery-driven power tool using the same |
JP2008294385A (ja) * | 2007-04-24 | 2008-12-04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非接触電力伝送機器及びその受電用コイルブロックの製造方法 |
JP5118394B2 (ja) * | 2007-06-20 | 2013-01-1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非接触電力伝送機器 |
US9281695B2 (en) * | 2007-06-20 | 2016-03-08 | Black & Decker Inc. | Battery pack chargers and charging method |
JP4605192B2 (ja) * | 2007-07-20 | 2011-01-0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コイル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
JP2010041906A (ja) * | 2008-07-10 | 2010-02-18 | Nec Tokin Corp | 非接触電力伝送装置、軟磁性体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モジュール |
EP2161811A1 (en) * | 2008-09-05 | 2010-03-10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Inductive charger and charging method |
CN101771283B (zh) * | 2008-12-29 | 2012-10-10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充电系统 |
JP2010206871A (ja) * | 2009-02-27 | 2010-09-16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非接触被充電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る非接触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気機器 |
CN101841173B (zh) * | 2009-03-19 | 2013-04-24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充电系统 |
JP5569717B2 (ja) * | 2009-07-31 | 2014-08-13 | 日立工機株式会社 | 電池パック、該電池パックを充電する充電システム、および該電池パックを備えた電動工具 |
DE102009029537A1 (de) * | 2009-09-17 | 2011-03-31 | Robert Bosch Gmbh | Handwerkzeugmodul |
DE102010002702A1 (de) * | 2010-03-09 | 2011-09-15 | Robert Bosch Gmbh | Elektrogerät, insbesondere Elektrohandwerkzeug |
KR101232788B1 (ko) * | 2010-07-19 | 2013-02-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패키징 칩에 의한 무접점 배터리 장치 및 충전 시스템 |
JP5593200B2 (ja) | 2010-10-27 | 2014-09-17 | 株式会社マキタ | 電動工具システム |
JP5663353B2 (ja) * | 2010-10-27 | 2015-02-04 | 株式会社マキタ | 電動工具システム |
US9083198B2 (en) * | 2011-10-05 | 2015-07-14 | Blackberry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
KR101897822B1 (ko) * | 2011-12-02 | 2018-09-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DE102012206728A1 (de) * | 2012-04-24 | 2013-10-24 | Robert Bosch Gmbh | Akkuinduktivladevorrichtung |
JP5973229B2 (ja) * | 2012-05-18 | 2016-08-23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電池ユニット |
DE102013226228A1 (de) | 2012-12-21 | 2014-06-26 | Robert Bosch Gmbh | Induktivladespulenvorrichtung |
DE102013226248A1 (de) | 2012-12-21 | 2014-06-26 | Robert Bosch Gmbh | Handwerkzeugakku |
DE102013226229A1 (de) | 2012-12-21 | 2014-06-26 | Robert Bosch Gmbh | Induktionsladevorrichtung |
-
2013
- 2013-12-17 DE DE102013226248.5A patent/DE102013226248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3-12-17 DE DE102013226247.7A patent/DE102013226247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3-12-17 DE DE102013226241.8A patent/DE102013226241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3-12-18 EP EP13811202.4A patent/EP2936518B1/de not_active Not-in-force
- 2013-12-18 WO PCT/EP2013/077132 patent/WO2014096029A2/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2-18 JP JP2015548488A patent/JP610933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2-18 KR KR1020157016418A patent/KR201500975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2-18 EP EP13811485.5A patent/EP2936519B1/de not_active Not-in-force
- 2013-12-18 JP JP2015548489A patent/JP608866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2-18 WO PCT/EP2013/077134 patent/WO2014096031A2/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2-18 US US14/653,990 patent/US2015031873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2-18 KR KR1020157016413A patent/KR10213501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8 US US14/653,711 patent/US1022978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2-18 CN CN201380066754.0A patent/CN10500923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2-18 EP EP13811487.1A patent/EP2936520B1/de not_active Not-in-force
- 2013-12-18 WO PCT/EP2013/077140 patent/WO2014096034A2/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2-18 CN CN201380066755.5A patent/CN10507484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2-18 CN CN201380066752.1A patent/CN10512239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2-18 US US14/654,169 patent/US9721723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02-03 JP JP2017018485A patent/JP638169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97545A (ko) | 재충전형 수공구 배터리 | |
CN107408649B (zh) | 用于手持式工具机的蓄电池组和用于制造用于手持式工具机的蓄电池组的方法 | |
US10637109B2 (en) | Battery pack including contact arrangement contacting cladding surface of battery cell for a handheld power tool | |
CN107567663B (zh) | 用于手持式工具机的蓄电池组和手持式工具机 | |
EP2207222B1 (en) | Battery pack | |
KR20140128845A (ko) | 자동차용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 집합체용 내부 케이스 | |
KR20150142338A (ko) | 엔드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부싱을 포함한 배터리 팩 | |
JP7295096B2 (ja) | 電池パック | |
CA3224503A1 (en) | Energy storage power supply and energy storage device | |
EP1826841A2 (en) | Charging apparatus | |
JP2014138483A (ja) | 電池パック及び電気機器 | |
JP7550644B2 (ja) | バッテリパック | |
JP2019067558A (ja) | バッテリパック | |
KR102152884B1 (ko) | 배터리 케이스 | |
CN206639859U (zh) | 用于手持式工具机的蓄电池组 | |
US20150022146A1 (en) | System composed of a hand tool case and a hand tool battery | |
WO2019065290A1 (ja) | バッテリパック | |
KR101529220B1 (ko) | 배터리 팩 및 무접점 충전 시스템 | |
WO2009038789A1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harging module | |
WO2023114280A1 (en) | Battery charger with cooling and sealing construction | |
CN116137452A (zh) | 一种适配器、移动电源、电动工具及移动电源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