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038A - 유체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유체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038A
KR20150097038A KR1020140018099A KR20140018099A KR20150097038A KR 20150097038 A KR20150097038 A KR 20150097038A KR 1020140018099 A KR1020140018099 A KR 1020140018099A KR 20140018099 A KR20140018099 A KR 20140018099A KR 20150097038 A KR20150097038 A KR 20150097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unit
filter
connection line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호
김명훈
주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7038A/ko
Publication of KR20150097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 및 일측이 상기 유체공급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부에 결합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연결라인 및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 및 미세입자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줄임으로써, 유입되는 이물질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해 유체가 오염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저장탱크{FLUID RESERVIOR TANK}
본 발명은 윤활유 및 연료등의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유체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전세계 물자수송의 절반 이송을 차지하는 운송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서는 강판이나 형강 등과 같은 소재로 부품을 조립하여 이들 부품으로부터 선체블록을 조립한 후에 선체블록들을 재조립하는 블록건조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에는 엔진 등의 주변장치들에 사용되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장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장탱크(1)는 유체를 수용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공급부(20), 상기 공급부(20)에 결합되는 커버부(30) 및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유증기배출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선박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단에는 상기 공급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된다. 유체를 상기 본체(10)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20)에는 유체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된 공급호스(21)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공급호스(21)를 따라 상기 본체(10)에 유체이 공급된다.
상기 커버부(30)는 유체를 상기 본체(10)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급부(20)를 개방한다. 상기 커버부(30)는 유체 공급이 완료되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급부(20)를 차단한다.
상기 유증기배출부(40)는 상기 본체(10)에 수용된 유체가 가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유증기를 상기 본체(10)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유증기배출부(4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10)에 형성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장탱크(1)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유체를 재보충하거나, 상기 유증기배출부(40)를 통해 유증기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급부(20) 및 상기 유증기배출부(40)를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분 및 미세입자 등의 이물질이 유입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장탱크(1)는 수분이나 미세입자등의 이물질이 상기 공급부(20) 및 상기 유증기배출부(40)를 통해 유입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유체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장탱크(1)는 유체의 성능 및 특성이 저하됨으로써,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주변장치의 작동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주변장치가 손상되거나 파손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장탱크(1)는 상기 주변장치를 유지보수하는데 사용되는 부대비용이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줄임으로써, 유체가 미세입자 및 수분에 의해 오염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유체 저장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 및 일측이 상기 유체공급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부에 결합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연결라인 및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이물질에 포함된 수분 및 미세입자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 1 필터부 및 상기 제 1 필터부 및 상기 연결라인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필터부는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재필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에 따르면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유체공급부를 향할수록 경사가 감소되게 상기 유체공급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는 상기 저장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라인에 결합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저장부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 및 상기 배출라인에 설치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저장부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저장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라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분 및 미세입자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줄임으로써, 유입되는 이물질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해 유체가 오염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장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에서 유체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에서 압력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10), 상기 저장부(11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유체공급부(120), 상기 저장부(110)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130), 및 상기 유체공급부(120) 및 상기 필터부(13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140)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공급부(120)는 상기 저장부(11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연결라인(140) 및 상기 유체공급부(120)을 통해 상기 저장부(110)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상기 연결라인(140)은 상기 유체공급부(120) 및 상기 필터부(130)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상기 필터부(130) 및 상기 연료공급부(120)를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저장부(1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줄임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유체가 오염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유체의 성능 및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엔진등의 주변장치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변장치에 작동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주변장치를 유지보수하는데 사용되는 부대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부(110), 상기 유체공급부(120), 상기 필터부(130) 및 상기 연결라인(14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에서 유체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저장부(110)는 주변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110)의 상단에는 상기 유체공급부(1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유체는 연료 또는 윤활유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저장부(110)에는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유체공급부(120)는 상기 저장부(11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유체공급부(120)에는 유체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된 공급파이프(111)가 삽입된다. 이 경우, 유체는 상기 공급파이프(111) 및 상기 유체공급부(120)을 통해 상기 저장부(110)로 공급된다. 상기 유체공급부(120)에는 상기 연결라인(140)이 결합된다. 상기 유체공급부(120)는 상기 공급파이프(111)가 삽입되는 삽입부(121) 및 상기 삽입부(12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1)에는 상기 공급파이프(111)가 삽입된다. 이 경우, 유체는 상기 공급파이프(111) 및 상기 삽입부(121)를 통해 상기 저장부(1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1)는 상기 개폐부(12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개폐부(122)는 상기 삽입부(121)를 개폐한다. 예컨대, 상기 개폐부(122)는 상기 저장부(110)에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121)에 상기 공급파이프(111)가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부(121)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개폐부(122)는 삽입부(121)로부터 상기 공급파이프(111)가 분리되면, 상기 삽입부(121)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삽입부(121)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저장부(110)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연결라인(14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연결라인(140) 및 상기 유체공급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부(110)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 및 미세입자등의 이물질과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유체가 혼합되지 않도록 수분 및 미세입자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140)은 상기 유체공급부(120) 및 상기 필터부(13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라인(140)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공급부(12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필터부(130)가 결합된다. 기체가 상기 저장부(110)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라인(140)은 상기 필터부(130)에 의해 필터링된 기체가 상기 유체공급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부(110)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유체공급부(120)에 상기 연결라인(11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필터부(130) 및 상기 연료공급부(120)를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줄임으로써, 상기 저장부(1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줄일 수 있으므로, 유체의 성능 및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엔진등의 주변장치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변장치에 작동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주변장치를 유지보수하는데 사용되는 부대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필터부(130)는 수분 및 미세입자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 1 필터부(131) 및 상기 제 1 필터부(131) 및 상기 연결라인(140)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필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131)는 상기 저장부(110)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 및 미세입자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상기 제 1 필터부(131)는 상기 제 2 필터부(132)와 연결된다. 상기 제 1 필터부(131)는 수분 및 미세입자가 제거된 기체가 상기 제 2 필터부(132)로 유입되도록 기체에 포함된 수분 및 미세입자를 제거한다.
상기 제 2 필터부(132)는 상기 제 1 필터부(131) 및 상기 연결라인(14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필터부(132)는 상기 제 1 필터부(131)에서 필터링된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재필터링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제 1 필터부(131)를 거치면서, 기체에 포함된 수분 및 미세입자가 제거되고, 상기 제 2 필터부(132)를 거치면서 기체에 잔존하는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된 기체가 상기 저장부(11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제 1 필터부(131)를 통해 기체에 포함된 수분 및 미세입자를 제거하고, 상기 제 2 필터부(132)를 통해 필터링된 기체에 포한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기체에 포함된 수분 및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유체가 수분 및 미세입자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엔진등의 주변장치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더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된 유체를 정화시키거나,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제 1 필터부(131)에서 수분 및 미세입자를 제거한 뒤 상기 제 2 필터부(132)에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미세입자에 의해 상기 제 2 필터부(132)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제 2 필터부(132)에 미세입자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제 2 필터부(132)의 보수 및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필터부(132)를 유지보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필터부(131)는 기체중의 수분 및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브리더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부(131)는 기체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필터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라인(140)은 상기 필터부(130)에서 상기 유체공급부(120)를 향할수록 경사가 감소되게 상기 유체공급부(12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라인(140)은 상기 유체공급부(120)에 결합된 일측이 상기 필터부(130)에 결합된 타측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유체공급부(12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라인(140)은 상기 필터부(130) 에서 상기 유체공급부(120)를 향할수록 경사가 감소되게 상기 유체공급부(120) 및 상기 필터부(13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유체공급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부(110)에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 유체가 상기 연결라인(14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유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유체가 상기 연결라인(140)을 따라 상기 필터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130)에 유체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필터부(130)에 유체가 잔존함에 따라 상기 필터부(13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130)를 유지보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에서 압력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연결라인(140)에 결합되는 압력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부(150)는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라인(140)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가열기구에 의해 유체가 가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유증기가 상기 필터부(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130)는 유증기에 포함된 유분이 잔존함에 따라 막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필터부(130)를 통해 기체가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압력조절부(150)는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조절부(150)는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151) 및 상기 배출라인(151)에 설치되는 밸브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라인(151)은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라인(151)은 상기 연결라인(14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151)은 상기 밸브부(152)의 동작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출라인(151)은 배출탱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라인(151)은 배출되는 유증기를 상기 배출탱크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부(152)는 상기 배출라인(151)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라인(151)을 개폐한다. 예컨대, 상기 필터부(130)가 막힘에 따라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밸브부(152)는 상기 배출라인(151)을 개방한다. 이 경우, 상기 밸브부(152)는 상기 배출라인(151)을 따라 배출됨으로써,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미만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152)는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압력이 기준압력 미만이면, 상기 배출라인(151)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배출라인(151) 및 상기 밸브부(152)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저장부(1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저장부(110)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저장부(110)가 폭발함에 따라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발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저장부(110)를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작업자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연결라인(140)에 설치되는 레버(14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141)는 상기 연결라인(140)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연결라인(140)에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레버(141)는 상기 연결상기 유체공급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부(110)에 유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유체가 상기 연결라인(14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라인(140)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탱크(100)는 상기 저장부(110)에 유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라인(140)을 통해 상기 필터부(130)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유체 저장탱크 110: 저장부
120: 유체공급부 130: 필터부
140: 연결라인 150: 압력조절부

Claims (4)

  1.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 및
    일측이 상기 유체공급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부에 결합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연결라인 및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이물질에 포함된 수분 및 미세입자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 1 필터부 및 상기 제 1 필터부 및 상기 연결라인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필터부는 상기 제 1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재필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유체공급부를 향할수록 경사가 감소되게 상기 유체공급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라인에 결합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저장부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 및 상기 배출라인에 설치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저장부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저장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라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탱크.
KR1020140018099A 2014-02-17 2014-02-17 유체 저장탱크 KR20150097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99A KR20150097038A (ko) 2014-02-17 2014-02-17 유체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099A KR20150097038A (ko) 2014-02-17 2014-02-17 유체 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38A true KR20150097038A (ko) 2015-08-26

Family

ID=5405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099A KR20150097038A (ko) 2014-02-17 2014-02-17 유체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70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430B1 (ko) 차세대 연료펌프 일체형 디젤 연료필터
US10668410B2 (en) Fuel filter comprising a fuel filter insert with a prefilter element and a main filter element
RU2442012C2 (ru) Маслоотделитель дл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газовом топливе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WO2018168847A1 (ja) フィルタ装置及び濾過装置
US11732658B2 (en) Filter valve assembly
US20200406171A1 (en) Differential pressure valve & filter system incorporating same
US20170087490A1 (en) Filter device
KR20150097038A (ko) 유체 저장탱크
WO2016170716A1 (ja) 燃料フィルタ
JP5930592B2 (ja) 内燃機関のエンジンオイルの貯留および濾過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内燃機関のエンジンオイルの循環および濾過のための方法
CN111107922B (zh) 过滤器装置
JP2005201080A (ja)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US10428775B2 (en) No filter no run fluid filter with integration of low pressure fluid system
EP3648864B1 (en) Filter cartridge with ventilation device
CN110234414B (zh) 具有含预过滤器元件和主过滤器元件的过滤器插件的流体过滤器
CA2827580A1 (en) Filter and system for removing emulsified water from a liquid
CN106413838A (zh) 具有通气管的过滤器元件以及过滤器组件
CN105752923B (zh) 一种适用于多类型油的供油装置
KR101945449B1 (ko) 여과장치
SE521242C2 (sv) Anordning för kontinuerlig borttransport av luft samt utbytbar enhet för en dylik anordning
KR20190069409A (ko) 필터 장치
KR20160062940A (ko) 캐니스터의 삽입형 필터 및 삽입형 필터를 갖춘 캐니스터
JP6317953B2 (ja) 燃料フィルタ装置
JP7070521B2 (ja) ベーパ回収装置
KR101786639B1 (ko) 해수 흡입용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