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304A -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304A
KR20150095304A KR1020140016456A KR20140016456A KR20150095304A KR 20150095304 A KR20150095304 A KR 20150095304A KR 1020140016456 A KR1020140016456 A KR 1020140016456A KR 20140016456 A KR20140016456 A KR 20140016456A KR 20150095304 A KR20150095304 A KR 20150095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oller
heat insulating
insulating shee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0716B1 (ko
Inventor
금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안
Priority to KR102014001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7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9/00Layout of apparatus or plants, e.g. modular laminat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시트를 하나의 단열 시트로 접착시 시트와 시트 사이에 기포 발생으로 인한 접착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하고 신속한 접착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단열 시트 제조장치로서, 일단 측으로 위치하여 제 1 시트를 권취, 공급하는 제 1 시트 롤러와, 상기 제 1 시트 롤러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2 시트를 권취, 공급하는 제 2 시트 롤러(112)로 형성되는 시트 권취 롤러와; 상기 시트 권취 롤러의 하부 측에 설치되고 외주 면으로는 다수 개의 핀이 형성되는 통기공 형성 롤러와; 상기 제 2 시트 롤러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2 시트의 일 측면을 고르게 용융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1 시트와 제 2 시트를 가압으로 접착하여 단열 시트를 형성토록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로 형성되는 접착 롤러와; 상기 접착 롤러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형성된 단열 시트를 권취 하는 단열 시트 회수 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a insulation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of Improved quality having a function}
본 발명은 단열 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시트를 하나의 단열 시트로 접착시 시트와 시트 사이에 기포 발생으로 인한 접착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하고 신속한 접착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포장지, 식품용기, 단열재 등으로 사용되는 단열 시트는 전체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시트와 일 측은 은박 층을 형성하고 타 일 측은 폴리에틸렌 층을 형성한 제 2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단열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롤러와 히터 등을 포함하는 제조장치가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 시트 제조장치는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접착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에 미세 기포가 형성되므로 인해 전체가 고르고 긴밀한 접착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접착강도가 저하되어 제 1 시트와 제 2 시트가 상호 분리되거나, 기포에 의한 요철 부분 형성으로 은박 층이 자주 훼손되어 단열 및 반사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내열성, 내습성, 내한성 등과 같은 품질저하를 억제하거나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열 접착을 위해 제 1 시트 또는 제 2 시트의 일 측면이 용융되도록 가열시 열선, 가스불 또는 열선 등을 내장한 롤러로 이루어지는 히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의 일 측면 전체가 고르게 용융되지 않아 접착불량이 발생하고, 또 고른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어느 일 측으로 과도한 열 공급이 이루어져 시트의 원형이 일그러져 훼손되거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히터와 가열 대상체인 제 1 시트 또는 제 2 시트와의 간격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얇거나 두꺼운 단열 시트의 제조시 히터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가열 온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균일한 온도의 제공이 용이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320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접착시 기포 발생 없이 고르고 견고한 접착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접착을 위한 시트의 가열을 안전하고 균일하게 이루도록 하며, 단열 시트의 두께에 따른 히터의 위치조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 시트의 품질향상을 이루고 불량발생과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열 시트 제조장치로서, 일단 측으로 위치하여 제 1 시트를 권취, 공급하는 제 1 시트 롤러와, 상기 제 1 시트 롤러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2 시트를 권취, 공급하는 제 2 시트 롤러(112)로 형성되는 시트 권취 롤러와; 상기 시트 권취 롤러의 하부 측에 설치되고 외주 면으로는 다수 개의 핀이 형성되는 통기공 형성 롤러와; 상기 제 2 시트 롤러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2 시트의 일 측면을 고르게 용융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1 시트와 제 2 시트를 가압으로 접착하여 단열 시트를 형성토록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로 형성되는 접착 롤러와; 상기 접착 롤러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형성된 단열 시트를 권취 하는 단열 시트 회수 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공 형성 롤러는 제 1 시트 롤러로부터 풀려나가는 제 1 시트의 전체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른 통기공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는 온도변화가 크지 않은 여러 개의 애자를 수용하는 본체가 하부 측에 형성되고, 상부 측에는 균일한 온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덮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 롤러 단열 시트의 두께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부롤러의 양단을 베어링이 형성된 슬라이더에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상부롤러의 하부에서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레일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 측으로는 실린더가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자의 내부 또는 밑면에는 필라멘트가 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반복되게 권선되고, 반복 권선에 따른 피치는 전 구간에 걸쳐 균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밑면 양측으로는 브래킷을 통해 신축동작하는 실린더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일 측으로는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레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는 견고한 접착을 이루도록 냉각 롤러로 구성하고, 상부롤러의 일 측에는 내부로 냉매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 일 측에는 주입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는 25℃ 이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시트에 통기공을 형성하는 통기공 형성 롤러를 통해 제 2 시트와의 접착시 발생하는 기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에 기포 발생으로 인한 요철현상을 방지하여 고르고 견고한 접착으로 이루어 품질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히터를 통해 다양한 두께의 단열 시트 제조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체의 온도변화가 일정한 애자를 형성한 히터를 통해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시트 제조장치의 일부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롤러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시트 제조장치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트 제조장치의 측면으로서 베이스 프레임을 제거한 후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이송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트 제조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가 공급되는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트 제조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가 공급되어 단열 시트가 제조, 권취 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 권취 롤러(110)와, 통기공형성 롤러(120)와, 히터(130)와, 접착 롤러(140) 및 시트 회수 롤러(15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 권취 롤러(110)는 일단 측으로 위치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시트(S1)를 권취, 공급하는 제 1 시트 롤러(111)와, 상기 제 1 시트 롤러(111)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일 측은 은박 층을 형성하고 타 일 측은 폴리에틸렌 층을 형성한 제 2 시트(S2)를 권취, 공급하는 제 2 시트 롤러(112)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시트 롤러(111)와 제 2 시트 롤러(112)는 상기 접착 롤러(140)와 시트 회수 롤러(150)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가 풀려져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일단 또는 양단이 한 쌍의 베어링(161)에 의해 지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시트 롤러(111)와 제 2 시트 롤러(112)는 제 1 시트(S1) 또는 제 2 시트(S2)의 공급이나 교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일단은 별도의 지지부재에 의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지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시트 롤러(111)와 제 2 시트 롤러(112)는 제 1 시트(S1) 또는 제 2 시트(S2)의 공급이나 교체시, 상기 베어링(161)에 의해 지지 되어 있는 일단을 약간 들어올린 후, 좌,우로 회전시켜 시트(S1) 또는 제 2 시트(S2)를 끼우거나 빼내는 작업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시트 롤러(111)와 제 2 시트 롤러(112)의 타 일단은 별도의 지지부재(도면부호 미도시)에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동작 가능하도록 결합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회전동작을 위한 지지 구조는 연결 조인트, 베벨기어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통기공 형성 롤러(120)는 상기 시트 권취 롤러(110)의 하부 측에 설치되고, 원활한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양단이 베어링(161)에 의해 지지 되며 외주 면으로는 다수 개의 핀(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통기공 형성 롤러(120)는 예컨대, 제 1 시트 롤러(111)로부터 풀려나가는 제 1 시트(S1)를 받침 지지하면서 다수 개의 핀(121)이 제 1 시트(S1)의 전체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른 통기공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의 접착시 시트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상기 통기공으로 원활하게 배출하여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의 견고한 접착을 이룸과 동시에 기포로 인한 접착불량이나 들뜸 현상 등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열 시트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상기 제 2 시트 롤러(112)의 일 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송되는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가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제 2 시트(S2)의 일 측면을 얇고 고르게 용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터(130)는 니크롬(Ni-Cr) 또는 철 크롬(Fe-Cr)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열 선인 필라멘트(filament)(미도시)와 연결되어 전류공급(통전)시 발열하는 발열체로서 온도변화가 크지 않은 여러 개의 애자(insulator , 碍子)(H)를 수용하는 본체(131)가 하부 측에 형성되고, 상부 측에는 균일한 온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덮개(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애자(H)의 내부 또는 밑면에는 상기 필라멘트가 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반복되게 권선된 나선 형태를 가짐으로써 그 발열량이 증대되도록 형성되고, 반복 권선에 따른 피치는 전 구간에 걸쳐 균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애자(H)는 제 2 시트(S)와 20㎜∼100㎜의 간격을 이루도록 높낮이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종래와 같이 열선이나, 불꽃이 제 2 시트(S2)를 직접 가열, 용융시키지 않기 때문에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히터(130)는 온도변화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송되는 제 2 시트(S2)의 일 측면 전체를 균일하고 안전하게 용융시킬 수 있어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의 접착을 고르고 견고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본체(131)의 밑면 양측으로는 브래킷을 통해 신축동작하는 실린더(133)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33)의 일 측으로는 실린더(133)의 피스톤 로드(133a)를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레버(134)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134)를 일 측(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작할 경우에는 피스톤 로드(133a)의 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애자(H)를 수용한 본체(131)가 하강하게 되고, 다른 일 측(예컨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작할 경우에는 피스톤 로드(133a)의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본체(131)가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단열 시트(S)의 두께가 두꺼운 것을 제작하거나 얇은 것을 제작하더라도 상기 레버(134)를 조작하여 실린더(133)의 피스톤 로드(133a)를 승,하강 동작시켜 본체(131)의 높낮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단열 시트(S)가 수용 되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접착 롤러(140)는 히터(130)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를 가압으로 접착하여 단열 시트(S)를 형성토록 하는 것으로서 상부롤러(141)와 하부롤러(142)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접착 롤러(140)는 히터(130)를 통과하면서 일 측면이 용융되어 있는 상기 제 2 시트(S2)의 용융 면이 제 1 시트(S1)에 접지됨과 동시에 가압 되어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접착 롤러(140)는 제조하고자 하는 단열 시트의 두께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상부롤러(141)와 하부롤러(142)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예컨대 상기 하부롤러(142)의 양단을 베어링(161)이 형성된 슬라이더(142a)에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142a)는 상기 상부롤러(141)의 하부에서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레일(142b)과 결합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42a)의 예컨대 하부 측으로는 실린더(143)가 결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42a)는 상기 실린더(143)의 신축 동작에 연동하여 승,하강 동작가능하게 되므로 단열 시트(S)의 두께에 따라 상부롤러(141)와 하부롤러(142)의 간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러(141)는 견고한 접착을 이루도록 냉각 롤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냉각 롤러로 구성되는 상부롤러(141)는 예컨대, 일 측에 내부로 냉매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타 일 측에는 주입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는 냉매인 냉각수의 공급을 위한 별도의 호스와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배관연결 또는 호스연결에 주로 사용되는 원터치형 결합구조 또는 나사결합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롤러(141)의 냉매 주입구(미도시)로 냉매인 냉각수를 주입할 경우에는 열교환 된 냉매를 교체 주입하도록 배출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시키고, 동시에 주입구로는 차가운 냉매가 지속적으로 주입되도록 수전(水栓)과 연결된 호스(hose)를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냉매는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의 신속하고 견고한 접착을 위해 25℃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냉매의 온도가 25℃ 이상일 경우에는 제 2 시트(S2)의 용융 면의 접착가능한 온도로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제 1 시트(S1)와의 접착시 신속하고 견고하게 접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접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온도는 항상 25℃ 이하를 이루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롤러(140)는 상기 상부롤러(141) 뿐만 아니라 하부롤러(142)를 냉각 롤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롤러(141)와 하부 롤러(142)는 일단 부분에 각각 종동 스프로킷(144b),(144c)이 결합 형성되고, 상기 종동 스프로킷(144b),(144c)의 하부에는 동력원인 모터(144)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44)의 축에는 원동 스프로킷(14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스프로킷(144b),(144c)과 원동 스프로킷(144a)에는 체인(145)이 결합 되어 상기 모터(144)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부 롤러(141)와 하부 롤러(142)를 회전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시트 회수 롤러(150)는 상기 접착 롤러(140)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형성된 단열 시트(S)를 권취 하고, 일단 부분에는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베어링(161)과, 종동 스프로킷(153)이 결합 형성된다.
또, 상기 종동 스프로킷(153)의 하부에는 동력원인 모터(151)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51)의 축에는 원동 스프로킷(152)이 형성되며, 상기 종동 스프로킷(153)과 원동 스프로킷(152)에는 체인(154)이 결합 되어 모터(151)의 동작에 연동하여 시트 회수 롤러(150)를 회전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트 제조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60)을 통해 다수 개의 베어링(161)이 설치되고, 상기 각 베어링(161)을 통해 각 롤러의 일단 또는 양단이 지지 되며, 베이스 프레임(160)의 일 측으로는 히터(130), 접착 롤러(140) 및 시트 회수 롤러(150)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여러 스위치를 포함한 컨트롤박스(170)가 설치된다.
이러한 컨트롤박스(170)는 통상적으로 각 구성품의 제어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단열 시트(S)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 제 1 시트(S1)를 제 1 시트 롤러(111)에 장착하고 제 2 시트(S2)는 제 2 시트 롤러(112)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170)의 전원 스위치를 ON시키고 히터 동작 스위치(미 도시)를 ON시켜 히터(130)의 본체(131) 내에 수용 형성된 애자(H)를 제 2 시트(S2)의 용융온도로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필라멘트(filament)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열시킨다.
다음, 상기 제 1 시트(S1)를 복수 개의 지지 롤러(162)와 통기공 형성 롤러(120)를 거쳐 접착 롤러(140)의 상부 롤러(141)와 하부 롤러(142) 사이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시트(S1)는 통기공 형성 롤러(120)를 거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핀(121)에 의해 통기공(미도시)이 고르게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 2 시트(S2)를 복수 개의 지지 롤러(162)와 히터(130)를 거쳐 접착 롤러(140)의 상부 롤러(141)와 하부 롤러(142) 사이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시트(S2)는 히터(130)의 덮개(132)와 본체(131) 사이를 통과하면서 일 측면이 고르게 용융되어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는 상부 롤러(141)와 하부 롤러(142) 사이에서 상호 겹쳐져 견고하게 접착되어 단열 시트(S)가 제조된다.
이때, 상기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가 겹쳐지면서 발생 되는 기포는 제 1 시트(S1)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을 통해 완전히 배출되므로 기포 발생으로 인한 불량발생이 차단된다.
계속해서, 상기 단열 시트(S)의 일단을 상기 시트 회수 롤러(150)에 권취(감겨 지도록 함) 시킨다.
이후, 상기 시트 회수 롤러(150)와 접착 롤러(140)의 동작 스위치를 ON시켜 연속적인 단열 시트(S)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 회수 롤러(150)에 단열 시트(S)가 설정한 크기로 권취되면 작업자는 신속히 나이프로 단열 시트(S)를 절단한 후, 시트 회수 롤러(150)로부터 단열 시트(S)를 빼낸 후, 다른 권취 롤을 시트 회수 롤러(150)에 삽입하여 절단한 단열 시트(S)의 일단이 감겨 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의 중단없이 지속적인 단열 시트(S)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제 1 시트(S1) 또는 제 2 시트(S2)의 공급이 거의 완료되어 갈 경우에는 미리 준비된 다른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가 권취 되어 있는 롤을 상기 제 1 시트 롤러(111)와 제 2 시트 롤러(112)에 교체 장착한 후, 공급이 완료되어 가는 제 1 시트(S1) 또는 제 2 시트(S2)의 끝단과 새로 교체 공급되는 제 1 시트(S1) 또는 제 2 시트(S2)의 선단의 일부분을 겹쳐지게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의 중단없이 지속적인 단열 시트(S)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제 1 시트(S1)와 제 2 시트(S2)의 접착시 발생하는 기포는 통기공을 통해 계속해서 제 1 시트(S1)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또 단열 시트(S)의 두께에 따라 히터(130)의 본체(131)와 하부 롤러(142)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두께의 단열 시트(S)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향상과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단열 시트 제조장치 110 : 시트 권취 롤러
111 : 제 1 시트 롤러 112 : 제 2 시트 롤러
120 : 통기공 형성 롤러 121 : 핀
130 : 히터 131 : 본체
H : 애자 132 : 덮개
133 : 실린더 133a : 피스톤 로드
134 : 레버 140 : 접착 롤러
141 : 상부롤러 142 : 하부롤러
142a : 슬라이더 142b : 레일
143 : 실린더 144 : 모터
144a : 원동 스프로킷 144b, 144c : 종동 스프로킷
150 : 시트 회수 롤러 151 : 모터
152 : 원동 스프로킷 153 : 종동 스프로킷
154 : 체인 160 : 베이스 프레임
161 : 베어링 170 : 컨트롤박스
S : 단열 시트 S1 : 제 1 시트
S2 : 제 2 시트

Claims (8)

  1. 단열 시트 제조장치로서,
    일단 측으로 위치하여 제 1 시트를 권취, 공급하는 제 1 시트 롤러와, 상기 제 1 시트 롤러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2 시트를 권취, 공급하는 제 2 시트 롤러(112)로 형성되는 시트 권취 롤러와;
    상기 시트 권취 롤러의 하부 측에 설치되고 외주 면으로는 다수 개의 핀이 형성되는 통기공 형성 롤러와;
    상기 제 2 시트 롤러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2 시트의 일 측면을 고르게 용융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제 1 시트와 제 2 시트를 가압으로 접착하여 단열 시트를 형성토록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로 형성되는 접착 롤러와;
    상기 접착 롤러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형성된 단열 시트를 권취 하는 단열 시트 회수 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 형성 롤러는 제 1 시트 롤러로부터 풀려나가는 제 1 시트의 전체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른 통기공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온도변화가 크지 않은 여러 개의 애자를 수용하는 본체가 하부 측에 형성되고, 상부 측에는 균일한 온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덮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롤러 단열 시트의 두께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부롤러의 양단을 베어링이 형성된 슬라이더에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상부롤러의 하부에서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레일과 결합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 측으로는 실린더가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의 내부 또는 밑면에는 필라멘트가 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반복되게 권선되고, 반복 권선에 따른 피치는 전 구간에 걸쳐 균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밑면 양측으로는 브래킷을 통해 신축동작하는 실린더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일 측으로는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레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는 견고한 접착을 이루도록 냉각 롤러로 구성하고, 상부롤러의 일 측에는 내부로 냉매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 일 측에는 주입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25℃ 이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KR1020140016456A 2014-02-13 2014-02-13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KR10155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56A KR101550716B1 (ko) 2014-02-13 2014-02-13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56A KR101550716B1 (ko) 2014-02-13 2014-02-13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304A true KR20150095304A (ko) 2015-08-21
KR101550716B1 KR101550716B1 (ko) 2015-09-07

Family

ID=5405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456A KR101550716B1 (ko) 2014-02-13 2014-02-13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7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398B1 (ko) 2011-10-24 2012-03-07 조영자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의 가열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716B1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5006B (zh) 用於旋轉式製袋機之封合器的帽蓋及穿孔器
US10500653B2 (en) Laminated foam product and methods for making laminated foam products
CN104943324B (zh) 一种用于制备热熔粘性墙布的复合机
KR100814945B1 (ko) 아스팔트 방수시트 제조장치
JP2004529011A (ja) 熱シール部及び孔線を形成する方法
US20100282400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and component parts thereof
KR101550716B1 (ko) 품질향상 기능을 갖는 단열 시트 제조장치
JP2017177545A (ja) 歯付ベルトの製造方法
US2017015176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nderlay material, and underlay material
JP2012148488A (ja) 樹脂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樹脂発泡成形品の製造設備
US4188253A (en) Machine for the fabrication of plasticboard
KR20130032975A (ko) 단열파이프 제조용 롤링장치
KR100570704B1 (ko) 오발덕트 제조장치
KR101572965B1 (ko) 방수시트 점융착 제조장치
KR101488306B1 (ko) 벽지와 피이폼을 갖춘 보온시트의 제조방법
JP6002393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帯状ゴム部材の溝付け装置
KR101297214B1 (ko) 주름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름관 성형방법
KR20020076975A (ko)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KR200379668Y1 (ko) 히터 분리형 연신사 제조장치
KR20060131491A (ko) 나선형 다중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WO2001036778A1 (en) Method for tailoring ends of cloth, apparatus to be used and tailored cloth manufactured according to this method
RU22248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клеивания рулонного кров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о склеивающим слоем
JP3221920U (ja) ラミネート装置
JP6363614B2 (ja) 螺旋巻回溶接管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KR102652861B1 (ko) 건강 기능용 필름의 양 및 불량 선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