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834A -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834A
KR20150094834A KR1020140015001A KR20140015001A KR20150094834A KR 20150094834 A KR20150094834 A KR 20150094834A KR 1020140015001 A KR1020140015001 A KR 1020140015001A KR 20140015001 A KR20140015001 A KR 20140015001A KR 20150094834 A KR20150094834 A KR 2015009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text
answer
texts
question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159B1 (ko
Inventor
김경서
Original Assignee
김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서 filed Critical 김경서
Priority to KR102014001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1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답변 선택 후 질문을 선택하는 역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설문 의도에 부합하는 모집단을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OF SETTING SURVEY POPULATION,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설문 모집단 설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답변 선택 후 질문을 선택하는 역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설문 의도에 부합하는 모집단을 추출할 수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문은 조사를 하거나 통계 자료를 얻기 위해 특정 주제에 대하여 사람들의 의견을 묻는 것으로, 여러 사람들에게 똑같은 질문을 하고 답변을 구해 특정 주제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설문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설문은 설문 조사원이 조사 대상자를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서 조사하는 방법, 컴퓨터 통신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발법 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8536호는 설문 결과를 여러 각도에서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사용자 맞춤 설문 조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맞춤 설문 조사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설문조사 방식과 내용을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직접 작성함으로써 정확한 설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설문조사 방식의 설정, 설문 내용의 추가, 수정, 삭제 및 분석 결과의 획득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4881호는 설문조사 관제 단말기와 설문조사 단말기 사이의 신호 송신을 중계하는 설문조사 관리 서버, 설문조사 관제 단말기, 설문조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설문조사 관리 서버는 설문조사 수행자들이 태만하게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문은 조사를 수행하는 응답자들의 참여도가 떨어지고 조사 문항에 대한 응답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853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488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답변 선택 후 질문을 선택하는 역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설문 의도에 부합하는 모집단을 추출할 수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답변과 질문 간의 상관 관계에 따라 설문 모집단을 추출하여 설문 조사에 따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문 문항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설문 모집단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은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답변 텍스트와 설문 문항 식별자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은 상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되지 않은 나머지 질문 텍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에 대한 중요도에 따라 제1 질문 텍스트에 대응하는 설문 문항 식별자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답변 텍스트와 설문에 대한 주제 간의 연관도를 분석하여 상기 연관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문 문항에 대한 건너뛰기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후부터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기 전까지의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설문 모집단에서 제외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N번 반복하여 복수의 설문 문항 식별자들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기초로 설문 모집단에 대한 총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총 부합도는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T_C = {f(W1)+f(W2)+…+f(WN)} / N
f(W1): 제1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
f(W2): 제2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
f(WN): 제N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
N: 설문 문항 식별자 개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설문 주제에 대한 난이도에 따라 상기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가산하거나 또는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는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답변 텍스트 수신부, 상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질문 텍스트 수신부 및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부합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는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은 답변 선택 후 질문을 선택하는 역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설문 의도에 부합하는 모집단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은 답변과 질문 간의 상관 관계에 따라 설문 모집단을 추출하여 설문 조사에 따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은 설문 문항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설문 모집단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모집단 설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에서 수행되는 설문 모집단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모집단 설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설문 모집단 설정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및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온라인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와 연결되어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 및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장치 및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 및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수신하면 입력 수단(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키보드, 마우스)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답변 텍스트 및 제2 질문 텍스트를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에 제공할 수 있다.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는 온라인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어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 및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는 단일 컴퓨팅 장치로 제한되지 않고 분산 처리 가능한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는 이중 선택법 또는 다항 선택법 형식을 통해 설문을 수행할 수 있다. 이중 선택법은 [있다] 또는 [없다], [예] 또는 [아니오]와 같이 두 가지의 답변 텍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형식이고, 다항 선택법은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형식이다.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제1 답변 텍스트 및 제2 질문 텍스트를 기초로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 산출 과정은 도 2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는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 부합도 산출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는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여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한다.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은 설문에 포함된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 각각에 대한 응답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은 단어 또는 문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는 복수의 설문 문항들 각각과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연관하여 저장하고 복수의 설문 문항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는 제1 설문 문항과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연관하여 저장하고, 제2 설문 문항과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연관하여 저장하고,…, 제N 설문 문항과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연관하여 저장한 후 제1 설문 문항, 제2 설문 문항,…, 제N 설문 문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여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한다.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은 설문에 포함된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질의문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은 문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은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되지 않은 나머지 질문 텍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복수의 설문 문항들 각각과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연관하여 저장하고 복수의 설문 문항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제1 설문 문항에 대한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한 후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제2 설문 문항에 대한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한 후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제1 질문 텍스트에 대한 중요도에 따라 제1 질문 텍스트에 대응하는 설문 문항 식별자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제1 질문 텍스트가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데 얼마나 많은 영향이 작용하는지 분석하고 많은 영향이 작용할수록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하여 제1 질문 텍스트에 대응하는 설문 문항 식별자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복수의 설문 문항들 각각의 제1 질문 텍스트에 대한 중요도에 따라 제1 질문 텍스트에 대응하는 설문 문항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나열된 순서대로 설문 문항 식별자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제1 답변 텍스트와 설문에 대한 주제 간의 연관도를 분석하여 연관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에 설문 문항에 대한 건너뛰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제1 답변 텍스트가 설문에 대한 주제와의 연관도가 없으면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제공하지 않고 건너뛰기 기능(예를 들어, 건너뛰기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건너뛰기 이벤트를 수신하면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를 통해 다음 설문 문항에 대한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특정 설문 문항에 대한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한 후부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기 전까지의 소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소요 시간은 설문 문항 별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복수의 설문 문항들 각각에 동일한 타이머를 설정하거나 또는 복수의 설문 문항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에 따라 타이머 설정하고, 제1 설문 문항에 대한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함과 동시에 설정된 타이머를 작동시켜 설정된 타이머 시간 내에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지 못하면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를 통해 제2 설문 문항에 대한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타이머는 각각의 설문 문항 인근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부합도 산출부(230)는 제1 질문 텍스트와 제2 질문 텍스트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한다. 설문 모집단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설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들 중 설문에 대한 주제에 부합하는 사용자들의 집단에 해당한다.
부합도 산출부(230)는 제1 질문 텍스트와 제2 질문 텍스트가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를 설문 모집단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즉, 부합도 산출부(230)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설문 문항에 대한 답변 텍스트 및 질문 텍스트를 설문 주제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는데 제외시킬 수 있다.
부합도 산출부(230)는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를 통한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를 통한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과정이 N번 반복되도록 하여 복수의 설문 문항들의 설문 모집단에 대한 총 부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부합도 산출부(230)는 설문 주제에 대한 난이도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가산하거나 또는 감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합도 산출부(230)는 설문에 복수의 사용자들이 참여하고 설문 주제에 대한 난이도가 하에 해당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들이 특정 설문 문항에 대해 제1 답변 텍스트와 제2 질문 텍스트를 올바르게 선택하였지만 특정 사용자가 특정 설문 문항에 대해 제1 답변 텍스트와 제2 질문 텍스트를 올바르게 선택하지 않았으면 특정 사용자의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감산할 수 있다. 부합도 산출부(230)는 설문에 복수의 사용자들이 참여하고 설문 주제에 대한 난이도가 상에 해당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들이 특정 설문 문항에 대해 제1 답변 텍스트와 제2 질문 텍스트를 올바르게 선택하지 못하였지만 특정 사용자가 특정 설문 문항에 대해 제1 답변 텍스트와 제2 질문 텍스트를 올바르게 선택하였으면 특정 사용자의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가산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 및 부합도 산출부(23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에서 수행되는 설문 모집단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는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여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한다(단계 S301 및 단계 S302).
일 실시예에서,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면 제1 답변 텍스트와 설문 문항 식별자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설문 문항 식별자는 설문 문항을 식별할 수 있는 번호(예를 들어, 1, 2, 3 등)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연령대(예를 들어,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등) 별로 제1 답변 텍스트와 설문 문항 식별자를 연관하여 답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성별(예를 들어, 남자 또는 여자) 별로 제1 답변 텍스트와 설문 문항 식별자를 연관하여 답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여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한다(단계 S303 및 단계 S304).
일 실시예에서,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면 제2 질문 텍스트와 설문 문항 식별자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연령대(예를 들어,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등) 별로 제2 질문 텍스트와 설문 문항 식별자를 연관하여 질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성별(예를 들어, 남자 또는 여자) 별로 제2 질문 텍스트와 설문 문항 식별자를 연관하여 질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부합도 산출부(230)는 제1 질문 텍스트와 제2 질문 텍스트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한다(단계 S305).
부합도 산출부(230)는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를 통한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를 통한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과정이 N번 반복되도록 하여 복수의 설문 문항들의 설문 모집단에 대한 총 부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합도 산출부(230)는 복수의 설문 문항 식별자들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기초로 설문 모집단에 대한 총 부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총 부합도는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T_C = {f(W1)+f(W2)+…+f(WN)} / N
여기에서, f(W1)는 제1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 f(W2)는 제2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 f(WN)는 제N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 N은 설문 문항 식별자 개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1 질문 텍스트와 제2 질문 텍스트가 일치하는 설문 문항이 7개인 경우, 총 부합도는 제1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8, 제2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5, 제3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3, 제4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7, 제5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9, 제6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9, 제7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7, 설문 문항 식별자 개수가 10이면 4.8(
Figure pat00001
)로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질문 텍스트와 제2 질문 텍스트가 일치하는 설문 문항이 10개인 경우, 총 부합도는 제1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8, 제2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5, 제3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3, 제4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7, 제5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9, 제6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9, 제7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7, 제8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8, 제9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7, 제10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가 6, 설문 문항 식별자 개수가 10이면 6.9(
Figure pat00002
)로 산출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설문 문항에 대한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제2 설문 문항에 대한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제1 설문 문항에 대한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과 제2 설문 문항에 대한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는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 [A1-1] 및 [A1-2]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답변 텍스트 [A1-1]를 수신한다.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답변 텍스트 [A1-1] 및 [A1-2]와 연관된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 [Q1-1], [Q1-2], [Q1-3] 및 [Q1-4]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질문 텍스트 [Q1-2]를 수신한다. 부합도 산출부(230)는 답변 텍스트 [A1-1]와 연관된 질문 텍스트 및 질문 텍스트 [Q1-2]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부합도 산출부(230)는 답변 텍스트 [A1-1]와 연관된 질문 텍스트 및 질문 텍스트 [Q1-2]가 일치함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부합도 산출부(230)는 질문 텍스트 [Q1-2]를 선택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설문 모집단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답변 텍스트 수신부(210)는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 [A2-1] 및 [A2-2]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답변 텍스트 [A2-1]을 수신한다. 질문 텍스트 수신부(220)는 답변 텍스트 [A2-1] 및 [A2-2]와 연관된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 [Q2-1], [Q2-2] 및 [Q2-3]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질문 텍스트 [Q2-2]를 수신한다. 부합도 산출부(230)는 답변 텍스트 [A2-1]과 연관된 질문 텍스트 및 질문 텍스트 [Q2-2]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부합도 산출부(230)는 답변 텍스트 [A2-1]과 연관된 질문 텍스트 및 질문 텍스트 [Q2-2]가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즉, 부합도 산출부(230)는 질문 텍스트 [Q2-1]을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설문 모집단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사용자는 체크 박스(410, 510)를 통해 답변 텍스트 및 질문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체크 박스(410, 510)를 통해 답변 텍스트와 질문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라디오 박스, 콤보 박스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설문 모집단 설정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210: 답변 텍스트 수신부
220: 질문 텍스트 수신부
230: 부합도 산출부
240: 제어부

Claims (12)

  1.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답변 텍스트와 설문 문항 식별자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은
    상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되지 않은 나머지 질문 텍스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에 대한 중요도에 따라 제1 질문 텍스트에 대응하는 설문 문항 식별자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답변 텍스트와 설문에 대한 주제 간의 연관도를 분석하여 상기 연관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문 문항에 대한 건너뛰기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후부터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기 전까지의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설문 모집단에서 제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N번 반복하여 복수의 설문 문항 식별자들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기초로 설문 모집단에 대한 총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총 부합도는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수학식]
    T_C = {f(W1)+f(W2)+…+f(WN)} / N
    f(W1): 제1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
    f(W2): 제2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
    f(WN): 제N 설문 문항 식별자에 대한 가중치
    N: 설문 문항 식별자 개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설문 주제에 대한 난이도에 따라 상기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가산하거나 또는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11.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답변 텍스트 수신부;
    상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질문 텍스트 수신부; 및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부합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12.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1 답변 텍스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복수의 답변 텍스트들과 연관된 제1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질문 텍스트들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제2 질문 텍스트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제1 질문 텍스트와 상기 제2 질문 텍스트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설문 모집단에 대한 부합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0140015001A 2014-02-10 2014-02-10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58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01A KR101580159B1 (ko) 2014-02-10 2014-02-10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01A KR101580159B1 (ko) 2014-02-10 2014-02-10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834A true KR20150094834A (ko) 2015-08-20
KR101580159B1 KR101580159B1 (ko) 2015-12-28

Family

ID=5405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001A KR101580159B1 (ko) 2014-02-10 2014-02-10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969A (ko) * 2021-09-15 2023-03-22 주식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 설문조사 지원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81A (ko) * 2000-05-25 2001-12-07 신웅호 인터넷 기반의 사용자 맞춤 설문조사 시스템
KR20110108022A (ko) * 2010-03-26 2011-10-05 이영국 질문을 통한 온라인 사용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9945A (ko) * 2012-01-16 2013-08-13 주식회사 스피크옵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4881A (ko) 2012-04-10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설문조사 관리 서버, 설문조사 관제 단말기, 설문조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81A (ko) * 2000-05-25 2001-12-07 신웅호 인터넷 기반의 사용자 맞춤 설문조사 시스템
KR100408536B1 (ko) 2000-05-25 2003-12-11 에스아이 주식회사 인터넷 기반의 사용자 맞춤 설문조사 시스템
KR20110108022A (ko) * 2010-03-26 2011-10-05 이영국 질문을 통한 온라인 사용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9945A (ko) * 2012-01-16 2013-08-13 주식회사 스피크옵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4881A (ko) 2012-04-10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설문조사 관리 서버, 설문조사 관제 단말기, 설문조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969A (ko) * 2021-09-15 2023-03-22 주식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 설문조사 지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159B1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78749B (zh) 客户端相似性的评估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8833458B (zh) 一种应用推荐方法、装置、介质及设备
US10395646B2 (en) Two-stage training of a spoken dialogue system
Andreadis Web surveys optimized for smartphones: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computer and smartphone users?
US113728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CN10944617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04933121A (zh) 一种用于外语学习、语言能力测试的方法、装置和系统
CN109451334B (zh) 用户画像生成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2001397A1 (zh) 交互资格等级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392041B2 (en) Delivery of two-way interactive content
WO2021135322A1 (zh) 一种自动出题方法、装置及系统
JP2023162332A (ja) 情報提供方法
KR101580159B1 (ko)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N113781084A (zh) 一种调查问卷展示方法和装置
US201102581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JP2016095575A (ja) アンケート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730340B1 (ko) 평가 대상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정량화하는 방법
CN111191143B (zh) 应用推荐方法及装置
CN104301205B (zh) 互动引导方法和装置
CN112884449B (zh) 用户引导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12035736B (zh) 信息推送方法、装置及服务器
JP2007102668A (ja) 統計比較処理装置
CN113796834A (zh) 认知能力评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407829A (zh) 在线学习资源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947830B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