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945A -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945A
KR20130089945A KR1020120004753A KR20120004753A KR20130089945A KR 20130089945 A KR20130089945 A KR 20130089945A KR 1020120004753 A KR1020120004753 A KR 1020120004753A KR 20120004753 A KR20120004753 A KR 20120004753A KR 20130089945 A KR20130089945 A KR 20130089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
participants
item
survey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1015B1 (ko
Inventor
홍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피크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피크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피크옵
Priority to KR102012000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설문조사를 조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은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한 고객 중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하는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 상기 여론조사항목제공부가 제공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의 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 상기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통해 각각 산출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 결과를 상기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통합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가 제공하는 각 여론조사항목은 하나의 질의항목과 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각 여론조사항목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는 상기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통합하여 하나의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한다.
이를 통해, 실제 인터넷상에서 개인들의 관심에 의한 자발적 참여를 통하여 피조사자 모집이 진행될 수 있고, 이들은 특정 목적이 있는 설문조사로 느끼지 못하므로 보다 솔직하고 의미 있는 답변 수집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Survey and pol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설문조사를 조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여론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와, 세계화 시대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자료를 쉽게 열람하거나 원하는 자료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제는 연구자가 연구 대상의 자료를 얼마만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느냐가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히, 국내 인터넷 사용자수가 이미 3천 9백만명, 전세계 인터넷 사용자수는 20억에 달하고, 컴퓨터 보급률과 인터넷 사용률이 지속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인터넷을 학문분야에 접목시키려는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전반적인 추세에 의해 통계학의 한 분류인 표본론의 여론조사 방법도 기존의 면접조사, 우편조사, 전화조사, 직접조사 등의 방법과 더불어 인터넷 여론조사라는 새로운 조사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 여론 조사는 전 세계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시간이나 장소의 제한에서 벗어나 신속하게 많은 응답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국내 유관기관 및 여론 조사 기관에서 인터넷 여론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0037432호 등에 개시된 종래의 여론조사 방법은 설문조사 참여자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거나 설문을 조사한 뒤, 참여자로부터 취득한 정보와 설문 내용을 기초로 여론조사 결과를 수치나 그래프 등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여론조사 방법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질의항목에 대한 선택항목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을 뿐 여전히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종래의 설문조사는 한 명의 피조사자가 다수의 문항들에 응답을 하여 하나의 설문조사가 완성되는 방식으로 특정 수의 피조사자를 모집하여 조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막대한 자금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자원이 부족한 개인, 중소기업 등은 다수의 피조사자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기에 상당한 부담과 어려움을 갖는다. 물론 이러한 경우, 인터넷상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이메일,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블로그 등의 여러 미디어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배포하는 해결방안이 있겠지만, 사람들은 특정한 혜택 없이 여러 개의 문항을 응답을 하는데 있어서 시간을 할애하고 싶어하지 않으며, 이메일과 SNS 등 개인의 영역에서 원하지 않는 정보는 스팸으로 간주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피조사자 모집에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충분한 수의 피조사자가 모이지 않는 경우에는 전체 인구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500~1,500명의 설문 또는 여론조사를 시행해야 95% 신뢰구간에 3% 정도의 표본오차가 나오는 신뢰성 있는 조사로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500명 이상의 피조사자를 리서치 목적으로 모집을 하기 위하여 막대한 비용 및 시간이 필요하다. 이로 인하여 적은 수의 설문/여론조사가 시행이 된다면 조사 결과 자체에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조사자들의 답변이 질적으로 신뢰성이 있는지 판단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가상 피조사자를 통한 결과 조작 또는 피조사자들의 성의 없는 답변 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0037432호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설문조사를 조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여론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은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한 고객 중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하는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 상기 여론조사항목제공부가 제공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의 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 상기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통해 각각 산출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 결과를 상기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통합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가 제공하는 각 여론조사항목은 하나의 질의항목과 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각 여론조사항목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는 상기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통합하여 하나의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는 상기 통합된 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통해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접속한 고객에게 제공하는 메인서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대 또는 거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통해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로 분류하는 분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분류부를 통해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한 고객 중에서 상기 참여자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고객에게만 상기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분류부를 통해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한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은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한 고객에게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하고 여론조사를 수행한 후 결과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여론조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중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포함하고 하나의 질의항목과 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상기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각 여론조사항목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통합하여 하나의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통합하여 하나의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통합된 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 비율을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대 또는 거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로 분류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이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것은, 상기 분류한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제 인터넷상에서 개인들의 관심에 의한 자발적 참여를 통하여 피조사자 모집이 진행될 수 있고, 이들은 특정 목적이 있는 설문조사로 느끼지 못하므로 보다 솔직하고 의미 있는 답변 수집을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이라는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더 많은 수의 피조사자 모집이 용이하여 결과의 질이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응답률이 높은 poll의 장점을 최대 활용한 설문조사로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피조사자 모집 및 조사 실행에 있어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을 수 있고 높은 비용을 지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 개인 등과 같이 시간/비용에 한계가 있는 사용자들에게도 대중을 대상으로 쉽고 빠르고 저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설문조사를 시행할 수 있는 활로를 열어 줄 수 있다.
또한, 대중에게 쉽게 노출되는 방식으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함으로, 설문조사의 목적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직접적인 참여가 가능한 광고/홍보 등의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1)은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10),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20),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30), 메인서버(70)를 포함한다.
또한, 여론조사 시스템은 저장부(40), 분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10)는 단말기(5)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3)에 접속한 고객 중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한다.
단말기(5)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형태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10)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하는데, 각 여론조사항목은 하나의 질의항목과 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10)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은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를 포함하는데, 구체적으로 키워드 또는 태그는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이다.
또한, 키워드 또는 태그는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포함되는 단어(명사)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제시할 예시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20)는 여론조사항목제공부가 제공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의 조사 결과를 산출한다.
또한,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20)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각 여론조사항목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산출한다.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30)는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20)를 통해 각각 산출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 결과를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통합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한다.
또한,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30)는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통합하여 하나의 여론조사 결과(통합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한다.
또한,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는(30) 통합된 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 비율을 산출한다.
메인서버(70)는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30)를 통해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인터넷 웹페이지(3) 상에 단말기(5)를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제공한다.
저장부(40)는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대 또는 거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0)는 여론조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또한, 분류부(50)는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30)를 통해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저장부(40)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로 분류한다.
또한, 메인서버(70)는 분류부(50)를 통해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인터넷 웹페이지(3) 상에 제공한다.
또한, 메인서버(70)는 인터넷 웹페이지(3)에 단말기(5)를 통해 접속한 고객 중에서 참여자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고객에게만 분류부(50)를 통해 분류된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서버(70)는 분류부(50)를 통해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인터넷 웹페이지(3)에 단말기(5)를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1)이 실제로 구현되는 방식을 아래의 다수의 예를 통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독립적인 4개의 여론조사항목(이하 poll이라 한다)이 있다고 하면, 이 poll들은 조사자가 인터넷 웹페이지(3) 상에서 단말기(5)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3)에 접속한 고객 중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무작위로 답변을 얻은 poll들이며 그 각각은 독립성을 지닌다.
Poll_1. 향후 어떤 종류의 휴대폰을 구매할 예정인가
1. 폴더형 - 10%
2. 플립형 - 5%
3. 바형 - 5%
4. 스마트폰 - 75%
5. 구매의사가 없다. - 5%
Poll_2. 당신은 어느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구매할 예정인가
1. 삼성 - 30%
2. LG - 15%
3. 모토롤라 - 10%
4. HTC - 10%
5. Apple - 30%
6. 기타 - 5%
Poll_3. 당신이 향후 구매하려는 스마트폰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1. 통화품질 - 20%
2. 다양한 어플 - 30%
3. 큰 화면 - 5%
4. DMB - 5%
5. 사용하기 쉬운 UI/UX - 20%
6. 속도 - 10%
7. 기타 - 10%
Poll_4. 당신이 가장 선호하는 전자회사는
1. 삼성 - 35%
2. LG - 20%
3. 소니 - 10%
4. 애플 - 25%
5. 기타 - 10%
Poll_1과 Poll_2를 연결하면, Poll_1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75%가 향후 스마트폰을 구매할 예정이며, 이 중에 30%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을 구매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두 Poll의 여론조사 참여자의 22.5%는 삼성 스마트폰을 구매할 예정이다.
즉, Poll_1에서는 하나의 선택항목이었던 “스마트폰”이 Poll_2의 질의항목의 “스마트폰”과 공통되므로 Poll_2가 Poll_1에 종속되는 Poll이 된다.
또한, Poll_1과 Poll_3을 연결하면, Poll_1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75%가 향후 스마트폰을 구매할 예정이며, 이중에 20%는 통화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두 Poll의 여론조사 참여자의 15%는 스마트폰의 통화품질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 된다.
즉, Poll_1과 Poll_2의 관계와 같이 Poll_3이 Poll_1에 종속되는 Poll이 된다.
또한, Poll_2와 Poll_3은 “스마트폰”이라는 공통 키워드 또는 태그가 질문에 속해 있으므로, 종속하거나 지배하는 구조가 아닌 대등한 관계를 가지고 독립적인 형태이므로 위의 내용만 가지고는 연결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Poll_2와 Poll_3 두 개 Poll 모두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가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고, 이들이 어떤 답변을 선택했는지 파악이 가능하다면, 둘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통합된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Poll_2에서 삼성전자를 선택한 여론조사 참여자 중에 Poll_3에도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가 Poll_3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대답(대답 1)을 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구매할 여론조사 참가자는 통화품질, 큰 화면, 속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통합된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대답 1) Poll_2 -> Poll_3. 당신이 향후 구매하려는 스마트폰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1. 통화품질 - 20%
2. 다양한 어플 - 10%
3. 큰 화면 - 20%
4. DMB - 10%
5. 사용하기 쉬운 UI/UX - 10%
6. 속도 - 20%
7. 기타 - 10%
다른 예로, Poll_3에서 통화품질을 가장 중요하다고 선택한 여론조사 참여자 중에 Poll_2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가 아래와 같은 답변(대답 2)을 했다고 가정한다. 이를 통해서는 스마트폰에서 통화품질이 가장 중요하다고 선택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50%가 삼성전자를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답 2)Poll_3 -> Poll_2. 당신은 어느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구매할 예정인가
1. 삼성 - 50%
2. LG - 20%
3. 모토롤라 - 10%
4. HTC - 5%
5. Apple - 10%
6. 기타 - 5%
또 다른 예로, Poll_1, Poll_2, Poll_3을 모두를 통합하여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Poll_1과 Poll_2를 통합한 위의 예에서와 같이 두 Poll의 여론조사 참여자의 22.5%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구매할 예정이고, (대답 1)을 볼 때 이들은 통화품질, 큰 화면, 속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결론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Poll_1과 Poll_3을 통합한 위의 예에서와 같이 두 Poll의 여론조사 참여자의 15%는 스마트폰의 통화품질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대답 2)를 볼 때 이들 중 50%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구매할 예정이다.
또한, Poll_2과 Poll_4는 선택항목에서 공통된 태그/키워드가 발견되며 서로 대등한 관계에 있다. 역시 Poll_2과 Poll_4에 모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들을 분석함으로 두 개의 Poll을 상관관계를 만들 수 있다.
일 예로, Poll_4에서 삼성을 가장 선호하는 전자회사라고 결정한 여론조사 참여자들중 Poll_2에도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답변이 아래(답변 3)와 같다고 가정한다면 삼성을 전자회사로써 가장 선호하는 사람들의 80%는 스마트폰도 삼성 제품을 결정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답변 3)Poll_4 -> Poll_2. 당신은 어느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구매할 예정인가
1. 삼성 - 80%
2. LG - 5%
3. 모토롤라 - 3%
4. HTC - 2%
5. Apple - 5%
6. 기타 - 5%
다른 예로, Poll_2에서 삼성 스마트폰을 구매할 것이라고 답했던 여론조사 참여자들중 Poll_4에도 참여한 사람들의 답변이 아래(답변 4)와 같다고 가정한다. 이를 통해서 삼성 스마트폰 구매 예정자들 중 30%만이 삼성전자에 충성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삼성전자가 조사자(여론조사 수행 기관)인 경우, 본 결과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충성도가 낮다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추가적으로 새로운 분석을 통하여 해 해법을 찾아 나아갈 수 있다.
(답변 4)Poll_2 -> Poll_4. 당신이 가장 선호하는 전자회사는
1. 삼성 - 30%
2. LG - 20%
3. 소니 - 5%
4. 애플 - 35%
5. 기타 -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에 따르면, 위의 내용은 하나의 예시일 뿐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 위와 같이 예로 든 기업의 리서치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경제, 경영 등 여러 분야에서 조사자의 목적에 따라 활용범위가 매우 넓어지며, 위의 방식 이외에도 poll들 간의 연결에 따라 다양한 분석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에 따르면, 여론조사 참여자 정보(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등)에 따라 그룹별 세분화(Segmentation)된 결과를 도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 질문에서 남성/20~29세/서울거주에 해당하는 피조사자들의 결과만 모아놓고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세분화된 결과는 조사자의 목적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
또한, 여론조사 참여자를 모집하는데 있어서 보다 많은 수를 더욱 빠르게 모집하기 위해 기업 등에 Sponsor를 받아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 즉, 게시되는 여론조사 항목을 다른 여론조사 항목과 대비하여 위치 및 빈도수에 혜택을 주어 다른 사용자들에게 노출이 잘되게 할 수 있다. 게시되는 위치에 따라 인터넷 배너광고와 같이 CPV (Cost per Vote)/CPM (Cost per Impression)에 따라 차등 비용을 책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포함하고 하나의 질의항목과 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한다(200). 그리고, 제공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를 산출한다(210). 각 여론조사항목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산출한다(220).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하나로 통합하여 하나의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한다(230). 산출된 결과를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한다(24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포함하고 하나의 질의항목과 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한다(300). 제공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를 산출한다(310). 각 여론조사항목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산출한다(320).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하나로 통합한다(330). 통합된 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를 산출한다(340). 통합된 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 비율을 산출한다(350).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한다(36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포함하고 하나의 질의항목과 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한다(400). 제공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를 산출한다(410). 각 여론조사항목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산출한다(420).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하나로 통합한다(430). 통합된 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를 산출한다(440).
통합된 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 비율을 산출한다(450).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대 또는 거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460).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로 분류한다(470). 분류한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한다(480).
1 : 여론조사 시스템 3 : 인터넷 웹페이지
5 : 단말기 10 :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
20 :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 30 :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
40 : 저장부 50 : 분류부
70 : 메인서버

Claims (10)

  1.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한 고객 중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하는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
    상기 여론조사항목제공부가 제공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의 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
    상기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통해 각각 산출된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 결과를 상기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통합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론조사항목제공서버가 제공하는 각 여론조사항목은 하나의 질의항목과 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여론조사결과산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각 여론조사항목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는 상기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통합하여 하나의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는 상기 통합된 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통해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접속한 고객에게 제공하는 메인서버;를 더 포함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대 또는 거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2 여론조사결과산출부를 통해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로 분류하는 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분류부를 통해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한 고객 중에서 상기 참여자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고객에게만 상기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제공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분류부를 통해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한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8.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한 고객에게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하고 여론조사를 수행한 후 결과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여론조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중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각각 공통된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포함하고 하나의 질의항목과 둘 이상의 선택항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상기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 각각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각 여론조사항목에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통합하여 하나의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여론조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여론조사항목의 질의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키워드 또는 태그를 기준으로 각 여론조사항목 중 둘 이상을 통합하여 하나의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통합된 둘 이상의 여론조사항목에 참여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 비율을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여론조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대 또는 거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로 분류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한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이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것은,
    상기 분류한 참여자 정보별 여론조사 참여자의 수와 여론조사 참여자 수 대비 각 선택항목의 선택비율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것인 여론조사 방법.


KR1020120004753A 2012-01-16 2012-01-16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1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753A KR101301015B1 (ko) 2012-01-16 2012-01-16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753A KR101301015B1 (ko) 2012-01-16 2012-01-16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945A true KR20130089945A (ko) 2013-08-13
KR101301015B1 KR101301015B1 (ko) 2013-08-28

Family

ID=4921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753A KR101301015B1 (ko) 2012-01-16 2012-01-16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834A (ko) * 2014-02-10 2015-08-20 김경서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000132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아이디인큐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20128711A (ko) *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코드아이티 여론 조사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여론 조사 제공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3196B2 (en) * 2017-09-18 2020-08-04 Stephen Barry Glickma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odeling relationships between query responses in a data set
KR102163718B1 (ko) 2020-03-17 2020-10-08 주식회사 에스티리서치 설문조사 부정 응답자 판별 ai 프로그램
KR102365429B1 (ko) 2021-11-24 2022-02-23 주식회사 에스티리서치 불성실응답자를 판별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온라인 모바일 설문조사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137A (ja) * 2000-10-02 2002-04-12 Fuji Xerox Co Ltd アンケート質問票作成方法及びシステム
JP4808565B2 (ja) * 2006-08-03 2011-11-02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アンケート評価システム
JP2009223626A (ja) * 2008-03-17 2009-10-01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70125B1 (ko) * 2009-09-18 2012-07-31 송영선 복수의 인성 검사의 조합에 의한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834A (ko) * 2014-02-10 2015-08-20 김경서 설문 모집단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설문 모집단 설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000132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아이디인큐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20128711A (ko) *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코드아이티 여론 조사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여론 조사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015B1 (ko)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Impact of analy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enabled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on privacy and participation in ridesharing
Ali et al.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government development and the digital economy: the case of Asian countries
US9344519B2 (en) Receiving and correlation of user choices to facilitate recommendations for peer-to-peer connections
Chae et al. How do customers' SNS participation activities impact on customer equity drivers and customer loyalty? Focus on the SNS services of a global SPA brand
Li et al. A diffusion mechanism for social advertising over microblogs
Meyners et al. The role of mere closeness: How geographic proximity affects social influence
Royo‐Vela et al. The influence of belonging to virtual brand communities on consumers' affective commitment,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advertising: The ZARA case
Akman et al. Gender, age and income differences in internet usage among employees in organizations
Talò Community-based determinants of community engagement: A meta-analysis research
Farooq et al. The impact of social networking to influence marketing through product reviews
Dwivedi et al. Examining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and secondary influence on the behavioural intention to change internet service provider
KR101301015B1 (ko)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Bakhshi et al. Understanding online reviews: Funny, cool or useful?
Ganesan et al. Service innovation and customer performance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 study on mediation effect of corporate reputation
Ioanid et al. Factors influencing social networks use for business: Twitter and YouTube analysis
Scholz et al. Awareness, interest, and purchase: The effects of user-and marketer-generated content on purchase decision processes
Vaccari You’ve got (no) mail: How parties and candidates respond to e-mail inquiries in Western democracies
Bartosik‑Purgat International contexts of social media and e-WoM communication in the customer decision-making process
Terhanian et al. A process for developing an optimal model for reducing bias in nonprobability samples: The quest for accuracy continues in online survey research
Alfnes et al. Your privacy for a discount? Exploring the willingness to share personal data for personalized offers
Zhao et al. To participate or not to participate in a brand micro-blog: Facilitators and inhibitors
Zhu et al. How do network externalities affect customers' adoption intention in mobile app store: from a perception of consumer perceived value
Sally et al. A trend analysis on Sri Lankan politics based on facebook user reactions
Bodam et al. Effects of Social Media on Consumer Purchase Decision Process
Rahman et al. Construct validation of consumer complaint behavioral scale in the Malaysian mobile phone services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