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925A -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925A
KR20150093925A KR1020140014515A KR20140014515A KR20150093925A KR 20150093925 A KR20150093925 A KR 20150093925A KR 1020140014515 A KR1020140014515 A KR 1020140014515A KR 20140014515 A KR20140014515 A KR 20140014515A KR 20150093925 A KR20150093925 A KR 2015009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ver
teeth
bucket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수
Original Assignee
윤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길수 filed Critical 윤길수
Priority to KR102014001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925A/ko
Publication of KR2015009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83Wear elements for buckets or implement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91Tool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평탄판의 체결커버 구조를 개선하여 이빨커버의 분리과정 없이도 버킷과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버킷이빨 간의 간격 차이에 상관없이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버킷과의 설치가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 버킷에 결합되는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에 있어서,
일정 면적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 평탄판,
상기 평탄판의 상부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전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버킷의 이빨 및 이빨커버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제1체결커버 및 제2체결커버,
상기 제1, 2체결커버와 이빨커버 및 이빨을 동시에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WORK PLATE FOR SHOVEL BUCKET}
본 발명의 굴삭기의 버킷에 설치되어 지면을 평평하게 다질 때 사용되는 평탄화 장치에 관한 기술이고, 특히 기존에 비해 버킷과의 연결구조를 간소화 시켜 설치 및 분리 작업이 편리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등의 마무리 과정에서는 지면을 평평하게 다지는 지면 평탄화 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과정은 대부분 굴삭기의 버킷에 별도의 평탄화 장치를 설치하여 실시되는데, 평탄화 장치는 평평한 판재의 일측단부에 체결커버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버킷의 이빨을 체결커버 내에 삽입체결하여 버킷과 일체화 시킨 상태로 사용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버킷의 이빨에는 이빨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이빨커버가 씌워지는데, 종래에는 체결커버가 이러한 이빨커버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버킷과 평탄판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이빨커버를 이빨로부터 분리시킨 뒤 이빨이 체결커버에 삽입체결되는 구조로 버킷과의 결합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평탄판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버킷 이빨과 체결커버를 분리시킨 뒤 이빨커버를 다시 이빨과 체결시켜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렇게 평탄판과 버킷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마다 이빨커버를 이빨과 체결 및 분리시켜야 하므로 그 과정이 너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이빨커버를 분리한 후 별도 보관을 해야 하므로 보관 과정에서 분실의 우려도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버킷은 제품에 따라 각 이빨 간의 간격이 약간의 차이가 있는 반면, 체결커버는 평탄판 좌우 양단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양 체결커버 간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체결커버가 이빨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므로 내부공간도 이빨과 거의 동일한 모양 및 크기를 갖기 때문에, 특정 버킷을 체결할 때 양 이빨 간의 간격과 양 체결커버 간의 간격이 틀려 이빨과 체결편 간의 삽입체결이 불가능한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 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1677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1677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평탄판의 체결커버 구조를 개선하여 이빨커버의 분리과정 없이도 버킷과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굴삭기용 지면평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버킷이빨 간의 간격 차이에 상관없이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버킷과의 설치가 가능한 굴삭기용 지면 평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굴삭기 버킷에 결합되는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에 있어서,
일정 면적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 평탄판, 상기 평탄판의 상부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전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버킷의 이빨 및 이빨커버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제1체결커버 및 제2체결커버, 상기 제1, 2체결커버와 이빨커버 및 이빨을 동시에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2체결커버와 각 이빨커버 및 이빨의 양측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체결커버 중 어느 하나의 삽입구 및 삽입공간의 좌우폭은 다른 하나의 삽입구 및 삽입공간의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폭이 더 큰 체결구에 삽입된 이빨커버의 측면과 해당 체결커버의 내측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버킷과 평탄판 과의 체결과정에서 버킷의 이빨커버를 이빨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이빨에 이빨커버가 끼워진 상태로 이빨커버까지 체결커버에 삽입되기 때문에 이빨커버의 분리 및 체결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양 체결커버의 좌우 폭에 차이를 둠에 따라 양측 이빨 간 간격이 차이가 나는 버킷을 설치할 때에도 이빨의 삽입이 가능하므로 모든 버킷과의 결합이 가능한 장점도 갖는다.
도1은 버킷과 평탄화 장치 간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버킷과 평탄화 장치 간의 결합 사시도
도3은 도2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도4는 도2 상태에서의 정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평탄판(100)과 체결커버(200) 및 체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평탄판(100)은 실제 지면과 접촉되어 지면의 평탄화 작업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재 형태이고 좌우 길이는 굴삭기 버킷의 좌우폭 이상을 갖도록 제작되며 재질은 금속재가 적용되어 지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 현상 등이 최소화 되도록 한다.
참고로 평탄판의 면적은 적용되는 굴삭기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적용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평탄판(100) 중 지면과 실제 접촉이 이루어지는 하부면에 별도의 보호패드 등을 설치하여 작업과정에서 평탄판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평탄판(100)에는 체결커버(200)가 설치된다.
체결커버(200)는 평탄판(100)과 굴삭기 버킷(300) 간의 연결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체결커버(210)와 제2체결커버(220)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1체결커버(210)는 버킷(300) 중 일측 제일 외곽에 위치하는 이빨커버(이하 '제1이빨커버(320)'라 함)와의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 하부면이 개방된 관 형태이고 평탄판(100)의 상부면 중 일측 단부 부근에 위치되고 양측벽의 하단부가 평탄판(10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용접 등을 통해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이렇게 설치된 제1체결커버(210)의 전측에는 버킷(300)의 제1이빨커버(320)가 삽입될 제1삽입구(2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1이빨커버(320)가 수용될 제1삽입공간(21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체결커버(210)는 상부면이 제1삽입구(212)가 형성된 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울기 구조는 제1이빨커버(320)에 형성된 경사면의 기울기에 맞게 적용된다.
따라서 제1이빨커버(320)가 삽입되었을 대 제1이빨커버(320)와 제1체결커버(21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체결커버(210)은 제1삽입공간(214)의 좌우폭이 제1이빨커버(320)의 좌우폭과 거의 동일하게 제작되어 제1이빨커버(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삽입공간 내에서 흔들림 현상 등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1체결커버(210)의 양측벽에는 후술하는 제1체결부재(410)의 관통체결을 위한 제1체결공(2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체결공(216)은 버킷(300)의 제1이빨커버(320)와 해당 이빨에 관통체결되어 있는 기본체결핀(340)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체결커버(210)와 함께 체결커버(200)를 구성하는 제2체결커버(220)는 버킷 중 제1이빨커버(320)와 대칭되는 타측 외곽에 위치하는 이빨커버(이하 '제2이빨커버(330)'라 함)와의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제1체결커버(210)와 동일한 형상, 즉 하부면이 개방된 관 형태이고 평탄판(100)의 상부면 중 제1체결커버(210)가 설치된 쪽과 반대되는 쪽 단부 부근에 위치되어 양측벽의 하단부가 평탄판(100)의 상부면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이렇게 설치된 제2체결커버(220)의 전측에는 제2이빨커버(330)가 삽입될 제2삽입구(22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이빨커버가 수용될 제2삽입공간(22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2체결커버(220)는 상부면이 제2삽입구(222)가 형성된 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울기 구조는 역시 제2이빨커버(330)의 기울기에 맞게 적용된다.
따라서 제2이빨커버(330)가 삽입되었을 대 제2이빨커버(330)와 제2체결커버(22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2체결커버(220)은 제1체결커버(210)와 달리 제2삽입공간(224)의 좌우폭이 제2이빨커버(330)의 좌우폭보다 크게 제작되어 제2이빨커버(330)가 삽입되었을 때 제2이빨커버(330)의 일측면과 삽입공간의 내측면 사이에는 간극(228)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버킷에 따라 제조 과정에서 각 이빨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렇게 제2체결커버(220)의 폭을 제2이빨커버보다 약간 크게함에 따라, 이빨 간격이 틀린 버킷과 결합되더라도 간극에 의해 원활히 체결커버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체결커버(220)의 양측벽에는 후술하는 제2체결부재(420)의 관통체결을 위한 제2체결공(226)이 형성되며, 제2체결공(226)은 버킷(300)의 제2이빨커버(330)와 해당 이빨(310)의 핀홀(H)에 관통체결되어 있는 기본체결핀(340)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설치된 체결커버(200)는 별도의 체결부재(400)를 통해 버킷(300)과 체결된다.
체결부재(400)는 체결커버(200)와 버킷(300) 간의 결합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체결부재(410)와 제2체결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체결부재(410)는 제1체결커버(210)와 제1이빨커버(320) 간의 체결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체결핀(412) 및 제1체결너트(414)로 구성되는데, 제1체결핀(412)은 제1체결공(216)과 동일한 직경의 핀 형태이고 제1체결커버(210)의 양측벽 간의 간격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체결핀(412)의 일측 단부에는 나사산(413)이 형성되어 [도 ]과 같이 제1체결핀(412)이 제1체결공(216)을 관통한 상태에서 제1체결너트(414)가 나사산에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체결부재(410)에 의한 체결구조는 후술하는 작용설명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제1체결부재(410)와 함께 체결부재(400)를 구성하는 제2체결부재(420)는 제2체결커버(220)와 제2이빨커버(330) 간의 체결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2체결핀(422) 및 제2체결너트(424)로 구성된다.
제2체결핀(422)은 제1체결핀(412)과 마찬가지로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태이고, 제2체결커버(220)의 양측벽 간의 간격보다 긴 길이로 제작되어 제2체결핀(422)이 제2체결커버(220)의 제2체결공(226)을 관통하였을 때 나사산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노출된 나사산에 제2체결너트(424)가 나사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2체결부재(420)에 의한 체결구조는 후술하는 작용설명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지면 평탄화 장치와 버킷의 이빨커버를 체결하는 과정은 다름과 같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평탄판과 버킷을 결합하기에 앞서 이빨커버를 이빨(31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이빨에 체결된 상태 그대로 평탄판과 버킷을 체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빨커버와 이빨(310) 간의 결합체를 제1, 2체결커버(210)(220) 내에 집어넣은 상태에서 기본체결핀(340)의 양단부가 각 체결커버의 양 제1체결공(216) 및 제2체결공(226)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 후 제1체결핀(412)의 나사산 단부를 한쪽 제1체결공(216)에 삽입시키고 제2체결핀(422)의 나사산 단부를 제2체결공(226)에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망치 등을 이용해 제1체결핀(412)과 제2체결핀(422)의 단부를 때려 앞쪽으로 밀면 제1체결핀(412) 및 제2체결핀(422)의 단부가 이빨커버에 끼워져 있던 각 기본체결핀(340)을 밀어내게 되고 이로 인해 각 기본체결핀(340)은 이빨커버와 이빨의 핀홀(H)로부터 빠져나와 반대쪽 제1, 2체결공을 통해 외부로 완전히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제1체결핀(412)과 제2체결핀(422)은 각각 한쪽 제1체결공(216)과 제2체결공(226)을 관통함과 동시에 각 기본체결핀(340)이 끼워져 있던 핀홀(H)에 끼워진 뒤 나선부는 핀홀과 반대쪽 체결공을 관통한 뒤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각 제1체결핀(412)과 제2체결핀(422)의 각 나사산에 제1체결너트(414)와 제2체결너트(424)를 체결시킴에 따라 제1체결핀(412) 및 제2체결핀(422)이 체결커버로부터 원치 않게 빠져나오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평탄판을 버킷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이빨커버를 분리시키지 않고 이빨커버가 이빨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직적 평탄판과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평탄판과 버컷간의 결합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만약 버킷의 이빨 간 간격이 타 버킷과 다른 경우라도, 제2체결커버(220)에 간극(22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이빨커버와 제2이빨커버가 원활히 각 체결커버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구조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이빨커버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빨커버와 이빨 간의 결합체가 체결커버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평탄판과 버킷 간 결합 및 분리과정에서 이빨커버를 일일이 분리 결합시켜야 하던 번거로움을 해소하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평탄판 200 : 체결커버
210 : 제1체결커버 212 : 제1삽입구
214 : 제1삽입공간 216 : 제1체결공
220 : 제2체결커버 222 : 제2삽입구
224 : 제2삽입공간 226 : 제2체결공
228 : 간극 300 : 버킷
310 : 이빨 320 : 제1이빨커버
330 : 제2이빨커버 340 : 기본체결핀
400 : 체결부재 410 : 제1체결부재
412 : 제1체결핀 413 : 나사산
414 : 제1체결너트 420 : 제2체결부재
422 : 제2체결핀 424 : 제2체결너트
H : 핀홀

Claims (3)

  1. 굴삭기 버킷에 결합되는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에 있어서,
    일정 면적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 평탄판,
    상기 평탄판의 상부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전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버킷의 이빨 및 이빨커버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제1체결커버 및 제2체결커버,
    상기 제1, 2체결커버와 이빨커버 및 이빨을 동시에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2. 제2항에서,
    체결부재는 상기 제1, 2체결커버와 각 이빨커버 및 이빨의 양측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핀 형태로 이루어진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2체결커버 중 어느 하나의 삽입구 및 삽입공간의 좌우폭은 다른 하나의 삽입구 및 삽입공간의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폭이 더 큰 체결커버에 삽입된 이빨커버의 측면과 해당 체결커버의 내측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KR1020140014515A 2014-02-09 2014-02-09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KR20150093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515A KR20150093925A (ko) 2014-02-09 2014-02-09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515A KR20150093925A (ko) 2014-02-09 2014-02-09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925A true KR20150093925A (ko) 2015-08-19

Family

ID=5405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515A KR20150093925A (ko) 2014-02-09 2014-02-09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9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3529A (zh) * 2019-11-27 2020-03-06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挖掘机铲斗刮板及其安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3529A (zh) * 2019-11-27 2020-03-06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挖掘机铲斗刮板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8393B2 (ja) 伸縮自在の摩耗部材及び支持部材のためのねじで調整可能なコネクタ装置
KR101945606B1 (ko) 굴착 장비를 위한 마모 부재
US8434248B2 (en) Excavation retention assembly
US20130269222A1 (en) Excavator tooth retention device
US20090199442A1 (en) Excavation retention assembly
JP2009521628A (ja) 摩耗アセンブリ
RU2723834C2 (ru) Охват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штифт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экскаваторов и подобных машин
US20070227016A1 (en) Hole forming template for doors
KR20150093925A (ko) 굴삭기용 지면 평탄화 장치
US2299696A (en) Outlet box
US7511218B2 (en) Electrical box guard
NO343948B1 (no) Feste for skuffefront
JP5872774B2 (ja) 型枠締付け過ぎ防止補助部材
JP3159250U (ja) 幅木用クランプ
JP2005220930A (ja) クランプ
JP4327176B2 (ja) 床下工事における基礎コンクリート補強金具
AU2011221349B2 (en) A Component Locking System
JP5452213B2 (ja) 溝蓋受枠の固定装置
JP6210776B2 (ja)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ガード着脱装置
KR20120019835A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합클립
JP2017172309A (ja) サッシ部材
JP2011058217A (ja) 建設機械の滑り止め板の取付構造
JP6830847B2 (ja) 止水板の取付用基部構造
JP2015177147A (ja) チャンネルベース
JP3119713U (ja) コンクリート型枠傾倒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