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457A - 유리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457A
KR20150092457A KR1020140012855A KR20140012855A KR20150092457A KR 20150092457 A KR20150092457 A KR 20150092457A KR 1020140012855 A KR1020140012855 A KR 1020140012855A KR 20140012855 A KR20140012855 A KR 20140012855A KR 20150092457 A KR20150092457 A KR 20150092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old
glass
trimm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수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락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락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락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12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2457A/ko
Publication of KR2015009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1/00Severing glass sheets, tubes or rods while still plastic
    • C03B21/04Severing glass sheets, tubes or rods while still plastic by punching ou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5/00Press-moulding glass
    • C03B2215/40Product characteristics
    • C03B2215/46Lenses, e.g. bi-convex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4Cutting or splitting in curves, especially for making spectacl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스 포밍공정과 트리밍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버 제거와 연마공정의 후처리 작업을 최소하고자 창작된 유리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물의 상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형(23)과, 성형물의 하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하형(26)과, 상기 금형(23, 26)을 지지하는 프레임(22)과, 상기 금형(23, 26)을 각각 상하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21, 27)와, 상기 금형(23, 26)의 이동 경로를 구속하는 가이드(24)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2)으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채 체결되며, 링 형상으로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를 분할하는 한 개 이상의 선 전단부(28)와;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를 전단하는 전단부(29)를 구비한 트리밍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상형 작동실린더, 하형 작동실린더 및 고정된 트리밍부(25)로 인하여, 유리성형공정에서 프레스 포밍과 트리밍이 동시에 이루어져 매끈한 가장자리를 형성하여 후처리 공정이 간소화되고, 이송용 집게장치(30)을 구비함으로서, 유리소재를 일정하게 공급하게 됨에 따라, 유리 성형물의 불량율을 60%이상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성형장치{Glass-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유리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스 포밍공정과 트리밍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버 제거와 연마공정의 후처리 작업을 최소하고자 창작된 유리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 소재를 사용하여 비구면 조명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체의 형상에 대응한, 서로 대향하는 성형면을 갖는 한 쌍의 상하 금형에 의해, 가열하여 연화 상태로 된 성형 소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이들의 금형의 성형면을 전사하는 몰드 프레스 성형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몰드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금형의 성형면의 열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성형 사이클 타임을 단축화하기 위해, 금형과 성형 소재를 각각 따로따로 예열하여, 예열된 성형 소재를 금형에 공급하여 즉시 프레스 성형을 행하는 방법(비등온 프레스 성형법)을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종래의 유리렌즈 성형장치에 있어서, 공급되는 유리소재가 금형의 하형과 상형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유리소재가 하형의 캐비티 내의 주변부에 치우친 부적절한 위치에 공급되면, 도 1과 같이 유리소재를 가압하여 프레스 할 때에, 그 일부가 캐비티의 주위에 스며 나와 유리렌즈에 성형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복수의 금형에 의해 복수의 유리소재를 일제히 가압하여 프레스 할 때는, 일부의 유리소재가 성형형의 부적절한 위치에 장전되어 있으면, 그 유리소재가 과잉으로 가압되어 파쇄될 뿐만이 아니라, 다른 금형의 유리소재에 가압 부족이 발생하여 많은 유리렌즈에 성형불량으로 파생될 수도 있다.
상기의 문제는 금형 전체에 영향을 주어, 상형과 하형의 동축성이 상실되는 것을 의미하고, 상형과 하형 사이의 수평 방향의 축 어긋남(시프트)이나, 상형과 하형의 상대적인 경사(틸트)가 발생되며, 특히, 성형체가 광학소자인 경우에는, 심각한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가로등이나 조명등에 사용되는 비구면 조명렌즈에 있어서, 도 1에서 나타난 것 처럼 가장자리부로 흘러나온 부분을 제거하고, 연마하는 후처리 비용이 제조비용의 30~40%를 차지할 정도로 후처리 비중이 높은 실정이다.
유리성형의 후처리공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0500413호와 KR 10-0988014호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재질로 된 회전하는 연마용 휠을 사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연마용 휠을 사용하여 유리 성형물을 연마하고 에지(edge)의 버(burr)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은 고가의 다이아몬드 재질로 된 연마용 휠을 교체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비경제성과, 성형물의 모서리를 모두 연마하기 위해서는 연마용 휠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용 지그가 필요하며 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장치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연마 후에 재질의 조각이나 가루와 같은 부산물이 생기므로 작업장 내의 청결도가 저하되는 점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리 성형에 있어서, 후처리 공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성형공정에서 불규칙한 가장자리를 제거할 수 있는 트리밍 공정을 포함하는 기술과, 유리 소재를 하형 금형 캐비티 내에 일정하게 위치하도록 공급하는 이송 기술이 필요하다.
1. KR 10-1344175, '유리렌즈 성형장치 및 유리렌즈 성형방법', 등록일자: 2013.12.16. 2. KR 10-2010-0015588, '유리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몰드 프레스 성형장치', 공개일자: 2010.02.12. 3. KR 10-0500413, '프레스성형에 의해 블로잉성형의 표면효과를 갖는 유리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연마장치', 등록일자: 2005.06.30. 4. KR 10-0988014, '유리기판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등록일자:2010.10.08. 5. KR 10-1359730, '고주파를 이용하는 유리연마장치', 등록일자: 2014.01.2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후처리 공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프레스 포밍공정과 트리밍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리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공급되는 유리소재를 금형 캐비티 내에 일정하게 위치하도록 공급하는 이송용 집게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물의 상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형(23)과, 성형물의 하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하형(26)과, 상기 금형(23, 26)을 지지하는 프레임(22)과, 상기 금형(23, 26)을 각각 상하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21, 27)와, 상기 금형(23, 26)의 이동 경로를 구속하는 가이드(24)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2)으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채 체결되며,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를 분할하는 한 개 이상의 선 전단부(28)와;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를 전단하는 전단부(29)를 구비한 트리밍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트리밍부(25)의 선 전단부(28)는 전단부(29)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 및 버를 분할하여 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소재를 공급하는 이송용 집게장치(30)와, 성형물의 상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형(23)과, 성형물의 하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하형(26)과, 상기 금형(23, 26)을 지지하는 프레임(22)과, 상기 금형(23, 26)을 각각 상하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21, 27)와, 상기 금형(23, 26)의 이동 경로를 구속하는 가이드(24)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집게장치(30)는, 유리소재를 파지하는 집게(34)와; 상기 집게(34)를 수직이동하게 하는 수직 작동실린더(32)와; 상기 집게(34)를 수평이동하게 하는 수평 작동실린더(31)과; 상기 수직 작동실린더(32)와 수평 작동실린더(31)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는 수직가이드(36)과 수평가이드(33)을 포함하되, 상기 집게(34)의 유리소재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소재의 외형부와 형합한 구조이며 상기 집게(34) 내측면부에 다수개의 핀 형상의 촉침(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용 집게장치(30)를 통해 금형 캐비티에 일정하게 유리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된 유리소재를 가스토치(40)로 가열하여, 유동성을 가지게 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이후, 유리성형장치(20)로 프레스 포밍하는 프레스 공정단계와; 상기 프레스 공정단계 이후, 금형의 상형(23)의 작동 실린더(21)가 더 인장되면서 트리밍부(25)로 인하여 성형물의 가장자리가 트리밍되는 전단공정 단계와; 상기 트리밍 단계 이후, 제품을 추출하기 위하여, 하형(26)의 작동 실린더(27)가 인장되어 제품을 금형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프레스성형과 트리밍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으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상형 작동실린더, 하형 작동실린더 및 고정된 트리밍부(25)로 인하여, 유리성형공정에서 프레스 포밍과 트리밍이 동시에 이루어져 매끈한 가장자리를 형성하여, 후처리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트리밍부(25)의 높이가 다른 선 전단부(28)는 전단부(29)를 구비함으로서, 성형된 유리소재의 파손위험의 적어지고, 전체적으로 전단되는 것보다 전단력을 약화시켜 작동실린더에 부하를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이송용 집게장치(30)을 구비함으로서, 유리소재를 일정하게 공급하게 됨에 따라, 유리 성형물의 불량율을 60%이상 줄일 수 있다.
도 1은 유리성형에 있어서 대표적인 문제점의 일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유리 성형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유리성형 공정의 구성도
도 4는 유리성형 공정의 평면도
도 5는 이송용 집게장치(30)의 상세도
도 6은 유리성형 단계별 공정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부분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유리성형에 있어서, 대표적인 불량사례의 일 실시예이다.
종래의 유리렌즈 제조방법은, 성형물보다 많은 유리소재가 금형의 하형과 상형과의 사이에 공급하여, 프레스 포밍하여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부분을 후처리공정에서 매끈하게 한다.
그로 인해 유리성형에서 후처리 비용이 제조비용의 30~40%를 차지할 정도로 후처리 비중이 높은 실정이며, 성형물을 연마하고 에지(edge)의 버(burr)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은 고가의 다이아몬드 재질로 된 연마용 휠을 교체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비경제성과, 성형물의 모서리를 모두 연마하기 위해서는 연마용 휠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용 지그가 필요하며 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장치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연마 후에 재질의 조각이나 가루와 같은 부산물이 생기므로 작업장 내의 청결도가 저하되는 점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후처리 공정을 줄이고자 프레스 포밍공정과 트리밍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리 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유리 성형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유리성형 공정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소재공급단계와 프레스 성형 단계일때의 상태도이며, 도 2B는 전단공정때 하형 작동실린더가 아래로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성형공정은 원통형태의 유리소재(50)을 컨베어로 공급하는 장치와, 상기 유리소재를 히터를 구비한 예열장치(10)로 예열하고,예열된 유리소재를 유리성형장치(20) 내 일정한 위치에 이송시키는 이송용 집게장치(30)와, 상기 유리성형장치(20)에 공급된 유리소재(50)을 가열하여 유동성을 부여하는 가스토치(40)과, 상기 유리성형장치(20)을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는 턴 테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열장치(10)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있어 산업계 넓은 분야에서 급속히 확대되어 이용되고 있다.
첫째, 고주파 전원 이외에 별도의 연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경제성이 뛰어나며, 둘째, 적절한 주파수를 선택했을 때 균일한 온도와 속도를 임의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품위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셋째, 초단위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며 재료의 재질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넷째, 교류 전류만을 사용하여 가열하므로 완전한 무공해의 작업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유리 성형장치(2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형물의 상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형(23)과, 성형물의 하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하형(26)과, 상기 금형(23, 26)을 지지하는 프레임(22)과, 상기 금형(23, 26)을 각각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21, 27)와, 상기 금형(23, 26)의 이동 경로를 구속하는 가이드(24)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2)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채 고정되며,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를 분할하는 한 개 이상의 선 전단부(28)와;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를 전단하는 전단부(29)를 구비한 트리밍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 전단부(28)은 끝단부가 삼각뿔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단부(29)는 링 형상으로 상단부가 날까로운 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리밍부(25)의 선 전단부(28)는 전단부(29)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 및 버를 분할하여 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성형에 사용되는 프레스 성형 동작은 350℃ 내지 800℃의 온도 환경 하에서 행해지므로, 성형 장치나 구동축, 혹은 각 모형 등에 열변형이 발생하여, 상하형의 동축성을 정밀도 높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힘든다
따라서, 유리를 프레스 성형하기 위하여서는 금형의 상형과 하형의 수평 방향의 축 어긋남(시프트)이나, 상형과 하형의 상대적인 경사(틸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프레스 압력 및 전단력이 줄이는 것이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 트리밍부(25)의 높이가 다른 선 전단부(28)는 전단부(29)를 구비함으로서, 성형된 유리소재의 파손위험의 적어지고, 전체적으로 전단되는 것보다 전단력을 약화시켜 작동실린더에 부하를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 4는 유리성형 공정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이송용 집게장치(30)의 상세도이다.
도 4A는 이송용 집게장치(30)에 원상태인 경우의 상태도이며, 도4B는 이송용 집게장치가 인장되어 유리소재를 유리성형장치(20)에 공급할 때의 상태도이다.
종래의 유리렌즈 성형장치에 있어서, 공급되는 유리소재가 금형의 하형과 상형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유리소재가 하형의 캐비티 내의 주변부에 치우친 부적절한 위치에 공급되면, 도 1과 같이 유리소재를 가압하여 프레스 할 때에, 그 일부가 캐비티의 주위에 스며 나와 유리렌즈에 성형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복수의 금형에 의해 복수의 유리소재를 일제히 가압하여 프레스 할 때는, 일부의 유리소재가 성형형의 부적절한 위치에 장전되어 있으면, 그 유리소재가 과잉으로 가압되어 파쇄될 뿐만이 아니라, 다른 금형의 유리소재에 가압 부족이 발생하여 많은 유리렌즈에 성형불량으로 파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급되는 유리소재를 금형 캐비티 내에 일정하게 위치하도록 공급하는 이송용 집게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소재를 공급하는 이송용 집게장치(30)와, 성형물의 상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형(23)과, 성형물의 하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하형(26)과, 상기 금형(23, 26)을 지지하는 프레임(22)과, 상기 금형(23, 26)을 각각 상하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21, 27)와, 상기 금형(23, 26)의 이동 경로를 구속하는 가이드(24)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집게장치(30)는, 유리소재를 파지하는 집게(34)와; 상기 집게(34)를 수직이동하게 하는 수직 작동실린더(32)와; 상기 집게(34)를 수평이동하게 하는 수평 작동실린더(31)과; 상기 수직 작동실린더(32)와 수평 작동실린더(31)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는 수직가이드(36)과 수평가이드(33)을 포함하되, 상기 집게(34)의 유리소재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소재의 외형부와 형합한 구조이며 상기 집게(34) 내측면부에 다수개의 핀 형상의 촉침(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촉침(35)은 예열된 유리소재(50)의 온도로 열전도가 많이 발생하므로, 냉각성을 위하여 통풍구를 구비한 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촉침(35)은 파지하는 유리소재의 외형부와 형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유리성형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용 집게장치(30)를 통해 금형 캐비티에 일정하게 유리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된 유리소재를 가스토치(40)로 가열하여, 유동성을 가지게 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이후, 유리성형장치(20)로 프레스 포밍하는 프레스 공정단계와; 상기 프레스 공정단계 이후, 금형의 상형(23)의 작동 실린더(21)가 더 인장되면서 트리밍부(25)로 인하여 성형물의 가장자리가 트리밍되는 전단공정 단계와; 상기 트리밍 단계 이후, 제품을 추출하기 위하여, 하형(26)의 작동 실린더(27)가 인장되어 제품을 금형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프레스성형과 트리밍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공정 단계는 상형 작동실린더(21)가 더 인장하고 되고, 하형 작동실린더(27)가 아래로 작동하게 되면, 고정된 트리밍부(25)에 의해 성형물의 가장자리가 전단되면서 트리밍된다.
상기 트리밍부(25)로 인하여, 프레스 포밍과 트리밍이 동시에 이루어져 후처리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10: 예열장치, 20: 유리성형장치, 21: 상향 작동 실린더, 22: 프레임, 23: 상형, 24: 가이드, 25: 트리밍부, 26: 하형, 27: 하형 작동 실린더, 28: 선 전단부, 29: 전단부, 30: 이송용 집게장치, 31:수평 작동실린더, 32: 수직 작동실린더, 33: 수형 가이드, 34: 집게, 35: 촉침, 36: 수직 가이드, 40: 가스토치, 50: 유리소재

Claims (4)

  1. 성형물의 상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형(23)과, 성형물의 하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하형(26)과, 상기 금형(23, 26)을 지지하는 프레임(22)과, 상기 금형(23, 26)을 각각 상하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21, 27)와, 상기 금형(23, 26)의 이동 경로를 구속하는 가이드(24)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2)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채 고정되며,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를 분할하는 한 개 이상의 선 전단부(28)와;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를 전단하는 전단부(29)를 구비한 트리밍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성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부(25)의 선 전단부(28)는 전단부(29)와 일정높이를 유지하여,
    성형물 가장자리의 돌출부 및 버를 분할하여 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성형 장치.
  3. 유리소재를 공급하는 이송용 집게장치(30)와, 성형물의 상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형(23)과, 성형물의 하단부의 형상을 성형하는 하형(26)과, 상기 금형(23, 26)을 지지하는 프레임(22)과, 상기 금형(23, 26)을 각각 상하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21, 27)와, 상기 금형(23, 26)의 이동 경로를 구속하는 가이드(24)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집게장치(30)는,
    유리소재를 파지하는 집게(34)와;
    상기 집게(34)를 수직이동하게 하는 수직 작동실린더(32)와;
    상기 집게(34)를 수평이동하게 하는 수평 작동실린더(31)과;
    상기 수직 작동실린더(32)와 수평 작동실린더(31)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는 수직가이드(36)과 수평가이드(33)을 포함하되,
    상기 집게(34)의 유리소재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소재의 외형부와 형합한 구조이며 상기 집게(34) 내측면부에 다수개의 핀 형상의 촉침(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성형 장치.
  4. 이송용 집게장치(30)를 통해 금형 캐비티에 일정하게 유리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된 유리소재를 가스토치(40)로 가열하여, 유동성을 가지게 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이후, 유리성형장치(20)로 프레스 포밍하는 프레스 공정단계와;
    상기 프레스 공정단계 이후, 금형의 상형(23)의 작동 실린더(21)가 더 인장되면서 트리밍부(25)로 인하여 성형물의 가장자리가 트리밍되는 전단공정 단계와;
    상기 트리밍 단계 이후, 제품을 추출하기 위하여, 하형(26)의 작동 실린더(27)가 인장되어 제품을 금형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프레스성형과 트리밍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성형 장치.
KR1020140012855A 2014-02-05 2014-02-05 유리성형장치 KR20150092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55A KR20150092457A (ko) 2014-02-05 2014-02-05 유리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55A KR20150092457A (ko) 2014-02-05 2014-02-05 유리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57A true KR20150092457A (ko) 2015-08-13

Family

ID=5405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855A KR20150092457A (ko) 2014-02-05 2014-02-05 유리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24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4014A (zh) * 2018-06-01 2018-12-07 商球 一种具有带装饰图案的钢化玻璃生产用印花装置
CN112479565A (zh) * 2020-11-30 2021-03-12 山东耀国光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硼硅玻璃杯制作用的成型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4014A (zh) * 2018-06-01 2018-12-07 商球 一种具有带装饰图案的钢化玻璃生产用印花装置
CN112479565A (zh) * 2020-11-30 2021-03-12 山东耀国光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硼硅玻璃杯制作用的成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386B1 (ko) 스크랩 처리 장치가 필요치 않은 핫스탬핑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핫스탬핑 성형방법
KR101903587B1 (ko) 완전몰드식 콘택트렌즈 정밀 분리장치
JP4130660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切断装置
US20060090512A1 (en) Press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a glass optical element using the apparatus
TWI628149B (zh) Glass plate 3D curved surface non-contac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20150092457A (ko) 유리성형장치
KR10227053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 및 강화유리 밴딩 방법
KR10200236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 및 강화유리 밴딩 방법
KR20150060461A (ko) 판유리의 곡면 성형 장치 및 곡면 성형 방법
CN110372182B (zh) 一种用于玻璃屏生产的3d热弯成型工艺
CN105773892A (zh) 一种光学镜片压铸装置
JP2006281242A (ja) プレス成型方法及びプレス成型装置
JP2022162536A (ja) 絞り成形方法及びそのプレス型
JP5236446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仕上げ装置
JP6204776B2 (ja)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0100493A (ja) 型材および型材を用いたガラス材料の成形方法
KR101738411B1 (ko) 진공흡착이동식 유리성형장치
JP2002172628A (ja) ゴム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5566432B2 (ja) 熱間成形品の製造方法、精密プレス成形用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CN114274507B (zh) 一种大型碳纤维复材天线曲面成型及原位修形方法
JP2636083B2 (ja) 光学素子の成形法
JPH01212240A (ja) 光学素子の成形装置
KR20040007962A (ko) 프레스 장치
CZ2018626A3 (cs) Způsob lisování optických prvků ze skla a forma pro jeho provádění
CN105538691A (zh) 一种散热器水室手动扣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