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123A - 공정 - Google Patents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123A
KR20150092123A KR1020157013553A KR20157013553A KR20150092123A KR 20150092123 A KR20150092123 A KR 20150092123A KR 1020157013553 A KR1020157013553 A KR 1020157013553A KR 20157013553 A KR20157013553 A KR 20157013553A KR 20150092123 A KR20150092123 A KR 2015009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agent
layers
polymer
shel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371B1 (ko
Inventor
스테판 본
세드릭 제프루와
띠릴리 상드랭 르
빠뜨리크 페랭
끌레르 보뜨랭
쎄실 몽또
나데쥐 판뚜스띠에
Original Assignee
지보당 에스아
르 쌍트르 나셔날 드 라 르쉐르쉐 씨앙띠피끄
유니베르시떼 삐에르 에 마리 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보당 에스아, 르 쌍트르 나셔날 드 라 르쉐르쉐 씨앙띠피끄, 유니베르시떼 삐에르 에 마리 퀴리 filed Critical 지보당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5009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20After-treatment of capsule walls, e.g. hardening
    • B01J13/22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6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ase separation
    • B01J13/14Polymerisation; cross-linking
    • B01J13/16Interfacial polymerisation
    • A23L1/2201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70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 A23L27/72Encap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39Coated compositions or coated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s, (micr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7(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 C11D3/3761(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in soli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nfectioner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a) 활성제를 6 미만의 pH를 갖는 수성 매질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분산된 활성제 상에 중합체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형성은 각 층이 앞선 층과 수소 결합할 수 있는 일련의 중합성 층들의 순차적인 증착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활성제-함유 캡슐의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되, 이때, 처음 두개의 층 중 하나는 폴리카복실산이고, 처음의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층은 합쳐서 10mN/m 초과의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interfacial compression dilation modulus)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의 캡슐화 방법. 상기 방법은 중합체성 쉘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여, 캡슐 벽이 강도를 잃지 않으면서 더욱 얇아지도록 한다. 본 기술은 향수 및 향미제의 캡슐화에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공정{PROCESS}
본원은, 활성제, 특히 향수의 캡슐화에 관한 것이다.
코어-쉘 마이크로캡슐, 즉, 원하는 활성제의 코어가 중합체성 쉘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마이크로캡슐은 알려져 있고 한동안 사용되어 왔다. 캡슐화를 위한 전형적인 활성제는 약학 및 의학 물질, 향수 및 향미제를 포함하고, 캡슐화는 그들의 보존과 후의 방출을 위해 사용된다. 용도의 전형적인 예는, 향수 분야에서는, 고급 향수, 섬유 유연제, 액상 세제, 및 분말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 용도와 같은 소비재; 샴푸, 컨디셔너, 코밍 크림(combing cream), 지속성(leave-on) 컨디셔너, 스타일링 크림, 비누, 바디 크림을 포함하는 개인 관리 및 모발 관리 용도; 데오도란트 및 발한억제제; 구강 관리 용도, 세정 조성물과 같은 가정 용도, 및 향미제 분야에서는, 모든 종류의 소비재 조성물들(식품, 음료 및 의약 조성물을 포함)을 포함한다.
캡슐화는 전형적으로 활성제를 쉘-형성 물질의 용액에 유화시키고, 중합체 쉘이 유화된 활성제 입자 또는 액적의 주위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매우 다양한 쉘 물질이 알려져 있고 사용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젤라틴, 아미노플라스트(우레아- 및 멜라민-폼알데하이드) 수지,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및 아크릴이 있다. 이들은 쉘의 형성에, 또는 그 후의 응고, 예컨대, 가교에 의한 응고에서 전형적으로 화학 반응을 수반한다.
대안적인 기술이 캡슐화된 활성제를 성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다음을 포함하는 활성제의 캡슐화 방법이 제공된다:
(a) 6 미만의 pH를 갖는 수성 매질에 활성제를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분산된 활성제 상에 중합체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형성은 각 층이 앞선 층과 수소 결합을 할 수 있는 일련의 중합성 층들의 순차적인 증착을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활성제-함유 캡슐의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고;
이때, 처음의 두개의 층 중 하나는 폴리카복실산이고, 처음의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층은 합쳐서 10mN/m 초과의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interfacial compression dilation modulus)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캡슐화된 활성제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데, 상기 캡슐화된 활성화제는 중합체성 쉘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활성제의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둘 이상의 중합체 층을 포함하되, 각각의 중합체 층은 인접한 층(들)에 수소-결합되고, 처음의 두개의 층 중 하나는 폴리카복실산이고, 처음의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층은 합쳐서 10mN/m 초과의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된 기술은 소위 레이어-바이-레이어(layer-by-layer; LbL) 캡슐화이다. 이전에는, 정전기적 인력 및/또는 수소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일련의 층들을 형성하기 위해 두 고분자 전해질을 희생 주형 코어(전형적으로 실리카)에 교차 적용(alternate application)하는 것을 수반하였다. 원하는 층이 얻어진 경우, 코어는 용해되어 이후 원하는 활성제로 채워질 수 있는 빈 캡슐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방출 물성의 전례없는 통제의 가능성을 제공하며, 약학 산업에서 큰 관심을 끌었다(예를 들어, Kozlovskaya et al, Chem . Mater . 2006, 18, 328-336 참고).
본원에서는, 활성제-함유 LbL 캡슐을 어떠한 종류의 주형도 사용하지 않고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를 위해, 처음의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층은 반드시 특별한 물리적 파라미터를 따라야 한다. 이 쉘은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논의된다.
본 방법은 많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1. 본 방법은 잔유물을 남길 수 있는 어떠한 화학 반응도 사용하지 않는다. 잔유물은 일부의 잠재적인 용도, 예를 들어, 화장품 및 개인 관리 용도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중합체는 안정하고 해중합(depolymerise)되어 원치않는 종을 제공하지 않는 중합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2. 본 방법은 캡슐 쉘의 특성의 정밀한 조정, 및 따라서 그들의 강인성 및 파쇄성(friability)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여, 적당한 시점에서의 깨어짐이 보장될 수 있다.
3. 본 방법은 다른 기술에 의해 제조된 것보다 상당히 더 얇은 쉘로 강인한 캡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형적인 캡슐 쉘은 100 내지 150nm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5nm 정도로 작은 두께의 강인한 쉘이 만들어질 수 있다. 전형적인 크기 범위는 5 내지 100, 특히 5 내지 70, 특히 5 내지 50nm이다.
4. 향수 캡슐화의 구체적인 경우에, 향기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는 캡슐의 제조가 가능하다. 특정 향수 성분, 특히 알데하이드는 특정 캡슐화 물질과 반응하는 경향을 가진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는 완전한 쾌감능력(hedonic capacity)을 실현하지 못한 향수 제조자에 의해 제조된 향수를 야기할 수 있다.
쉘의 처음의 두개의 층 중 하나는 폴리카복실산이어야 한다. "폴리카복실산"은 다수의 펜던트 카복실산기를 갖는 임의의 중합성 물질을 의미한다(이 용어는 공정의 조건 하에서 산이 될 수 있는 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두개의 층은 수소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수소 결합의 현상 및 하나의 물질이 다른 물질에 수소-결합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할 기준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 특정한 경우에,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추가의 파라미터를 추가적으로 고수해야 한다. 전형적인 조합은 폴리(메타크릴산)/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알콜)/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단 처음의 두개의 층이 적층되면, 다음의 층들은 처음의 두개의 층과 동일한 물질로부터 선택될 필요는 없다. 유일한 요구조건은 각 층이 이전의 층과 수소-결합하는 것이다. 이것은 원하는 물성을 위해 쉘의 특성을 조정하는 데에 상당한 융통성을 허용한다.
쉘은 처음의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층들이 10mN/m 초과, 바람직하게는 15mN/m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20mN/m 초과의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를 나타내야 한다. 이것은 임의의 주어진 중합체 선택지에 대해서 반복적인 비-창의적 실험에 의해 달성된다.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 E는 다음의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A0는 액적의 초기 면적이고, A는 액적의 면적이며, γ는 계면장력이다.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적합한 장치의 전형적인 예는 문헌[Cao et al i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004) 270:295-298]에 개시된 유형의 상승/펜던트 낙하 장력계(rising/pendant drop tensiometer)이다.
적절한 장치 및 측정 방법의 예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자세히 기술된다.
캡슐의 제조방법은 연속적인 중합체 용액을 수용액에 분산된 활성제에 인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각 층화 단계에서, 과량의 중합체가 사용되고 나머지는 다음 층의 인가 전에 세척된다. 이는 특정 비율의 중합체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가지며, 따라서 정밀한 조성의 한정이 필요없다.
본 공정의 추가의 이점은 중합체의 연계로 인해 높은 계면 모듈러스가 발생되어서, 유화, 미소유체 또는 프릴링(prilling)과 같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공정은 간단하고, 지금까지 얻을 수 없었던 두께의 비-가교된 벽을 갖는 활성제-함유 캡슐을 달성할 수 있게 할 만큼 강인하다. 멜라민-폼알데하이드 캡슐의 전형적인 벽 두께는 150nm이고; 본원에서의 두께는 5nm 정도로 낮을 수 있다. 게다가, 본 공정은 캡슐 특성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다공성, 강인성(제조, 혼합(compounding), 수송 및 저장의 혹독함을 견디도록 함), 및 파쇄성(friability)(캡슐이 적절한 시점에 파괴되어 그의 활성제를 방출할 수 있도록 함) 사이의 최적의 절충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얇은 벽의 비가교된 마이크로캡슐은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 어떠한 독성이나 민감성 잔유물도 남기지 않는다.
중합체 쉘은 필요에 따라서 가교되거나 고정화될 수 있다. 이는 임의의 편리한 수단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기 또는 수산기를 갖는 중합체가 아민, 글루타르알데하이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에폭사이드 또는 반응성 기능기를 갖는 규산염 커플링제와 같은 물질의 첨가에 의해 가교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규산염의 최종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R)nSi(ROH)4-n(여기에서 R은 C1-C3 알킬이고, n은 1 내지 4이다)의 가수분해, 및 LbL 캡슐의 슬러리에 대한 가수분해 생성물의 첨가에 의해 제공된다.
중합체 쉘은 선택적으로, 아미노플라스트(aminoplast),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또는 무기 마이크로캡슐을 쉘 상에 증착하여 얻기 위하여, 추가적인 화학작용의 기반(basis)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캡슐은 많은 상이한 용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인 조성물(즉, 특정 소비자 또는 산업상 최종 용도를 위해 판매되는 조성물)의 전형적인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i) 향수 산업에서, 고급 향수, 섬유 유연제, 액상 세제, 및 분말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 용도와 같은 소비재; 샴푸, 컨디셔너, 코밍 크림(combing cream), 지속성(leave-on) 컨디셔너, 스타일링 크림, 비누, 바디 크림을 포함하는 개인 관리 및 모발 관리 용도; 데오도란트 및 발한억제제; 치약 및 구강 청결제와 같은 구강 관리 용도, 세정 조성물과 같은 가정 용도, 약용 제품;
(ii) 향미제 분야에서는, 통조림 및 인스턴트 스프, 사전 포장된 식사, 냉동 식품, 빙과류, 제빵류, 음류, 유제품과 같은, 모든 종류의 소비재 조성물들;
(iii) 의학 분야에서는, 모든 유형의 의약 및 의학 물질들.
물론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업적 조성물 기재(base) 및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캡슐에 함유된 캡슐화된 활성제를 포함하는 상업적인 조성물이 또한 제공된다. "상업적 제품 기재"는 특정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적으로 인정된(art-recognized) 성분을 의미한다. 이들의 성질 및 비율은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모든 이러한 배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의 범주 내이다.
첨가되는 캡슐의 함량은 최종 용도 및 조성물의 성질에 전적으로 의존할 것이다. 그러한 최종 용도 및 조성물의 다양성이 넓게 주어지면, 수반되는 가능한 비율도 동일하게 넓지만, 적합한 비율은 항상 비-창의적인, 반복 실험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본원은 특정 구현예를 묘사하는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로 기술된다.
실시예 1: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의 측정 방법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를 문헌[Cao et al i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004) 270:295-298]에 개시된 유형의 상승/펜던트 낙하 장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 물 내의 1중량%의 중합체 용액의 제조
a. 중합체를 Milli-Q 물에 2 중량%로 용해하였다. 18.2MΩ 저항률을 갖는 밀리포어(Millipore)(Milli-Q 시스템) 여과수를 사용하였다.
b. 용액을 12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c. 중합체 용액의 pH를 1M NaOH 또는 1M HCl을 이용하여 3으로 조정하였다.
d. 물을 1중량%의 중합체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첨가하였다.
2. 세정 용액의 제조: 밀리포어 물을 1M HCl을 사용하여 pH 3으로 조정하였다.
3. 오일/물 계면에서의 층 구성
a. 5mL의 제 1 중합체(중합체 A) 용액을 셀에 도입하였다.
b. 바늘의 말단부에서 향수의 액적을 셀 중에 형성하였다(액적의 부피는 시스템에 의존함)
c. 1시간 내지 12시간 대기하여 오일-물 계면에서의 중합체 흡착을 수행하였다.
d. 셀 내의 수성 상을 세정액으로 세정하여 과량의 중합체를 제거하였다. 세정은 벌크 상 교환(bulk phase exchange)으로 수행하였다. 15분 동안 10mL/min의 흐름이 있었다.
e. 15분간 대기
f. 셀 내의 수성 상을 제 2 중합체 용액(중합체 B)으로 세정하였다. 세정은 벌크 상 교환으로 수행하였다. 5분 동안 10mL/min의 흐름이 있었다.
g. 25분 내지 1시간 대기하여 오일-물 계면에서의 제 2 중합체 흡착을 수행하였다.
h. 상기 방법을 오일-물 계면에서 원하는 개수의 층을 얻을 때까지 반복하였다.
4. 계면 팽창-압축 모듈러스의 측정
a. 층들이 흡착되면, 측정을 수행하였다.
b. 영역 진동(area oscillation)을 0.1Hz의 진동수로 0.1 내지 10%의 영역 변형(area deformation)으로 진행하였다.
c.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의 값들을 앞서 주어진 방정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실시예 2: 향수-함유 캡슐의 제조
여기서 사용된 중합체는 폴리(메타크릴산)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이다.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되었을 때, 2개의 층이 150mN/m의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를 나타내었다.
5mL의 1%(중량) PMAA 수용액을 pH 3으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에 5mL의 전매 향수(proprietary fragrance)를 첨가하였다. 이 두 용액을 24시간 동안 접촉상태로 유지한 다음, 울트라-터락스TM(Ultra-turraxTM) 혼합기를 사용하여 24000rpm에서 2분간 유화시켰다. 유화액을 분별 깔때기에 첨가하고, pH 3의 물(10-3M HCl)로 세척하여 10% 향수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서서히 혼합한 다음, 24시간 동안 침전시켰다.
하부의 수성 상을 제거하고, 4회 세척하여 과량의 중합체를 추출하였다. 이 세척된 상을 약한 교반 하에서 pH 3의 1중량% 수성 PVP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상을 24시간 동안 침전시킨 다음, 이전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H 3에서 수세하였다. 침전, 하부층 제거 및 세척 단계들을 반복하였다.
이전 단계를 PMAA 용액을 사용하여 반복하고 나서, PVP 용액으로 다시 반복하였다. 이러한 교대를 5개의 층이 증착될 때까지 계속하였다. 2층 이후, 마이크로캡슐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그들의 완전성(integrity)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하였다.
최종 향수-함유 캡슐의 평균 직경은 31㎛이고, 벽 두께는 14nm이었다.
실시예 3: 향수-함유 캡슐의 제조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50PAA1C12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이다. 50PAA1C12는 약간의 소수성 성분을 갖는 산이다: 백본(backbone)은 약 50000g/mol이다. 그래프트된(grafted) 부분은 12개의 탄소를 가지며, 1mol%로 그래프트된다(100 유닛 당 1 소수성 부분).
Figure pct00002
4층으로 증착되었을 때,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는 40mL/m이다.
5mL의 1%(중량) 50PAA1C12 수용액을 pH 3으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에 5mL의 전매 향수를 첨가하였다. 이 두 용액을 24시간 동안 접촉상태로 유지하고, 울트라-터락스TM 혼합기를 사용하여 24000rpm에서 2분간 유화시켰다. 유화액을 분별 깔때기에 첨가하고, pH 3의 물(10-3M HCl)로 세척하여 10% 향수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서서히 혼합한 다음, 24시간 동안 침전시켰다.
하부 수성 상을 제거하고, 4회 세척하여 과량의 중합체를 추출하였다. 이 세척된 상을 약한 교반 하에서 pH 3의 1중량% 수성 PVP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상을 24시간 동안 침전시킨 다음, 이전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H 3에서 수세하였다. 침전, 하부층 제거 및 세척 단계들을 반복하였다.
이전 단계를 PAA 용액을 사용하여 반복하고 나서, PVP 용액으로 다시 반복하였다. 이러한 교대를 원하는 수의 층이 얻어질 때까지, 이 경우에는 5개의 층이 얻어질 때까지 계속하였다. 2층 이후, 마이크로캡슐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조작할 수 있었다.
최종 향수-함유 캡슐의 평균 직경은 31㎛이고, 벽 두께는 18nm이었다.
실시예 4: 마이크로캡슐의 테스트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유형이지만 10개의 층을 갖는 PMAA/PVP 마이크로캡슐을 흡수지 상에 두었다. 다른 흡수지에는 캡슐 내의 종류의 전매 향수를 향수의 함량이 동일하도록 첨가하였다.
흡수지를 25℃ 및 정상 대기압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고, 8명의 훈련된 향수 패널리스트의 팀에 의해 평가하였다.
패널리스트들은 양쪽의 경우 모두 악취가 약하고 동일한 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캡슐을 가진 흡수지를 문질렀을 경우 향기의 두드러진 증가가 생성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 설명된 유형의 10-층 PMAA/PVP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바디 크림의 제조
바디 크림 배합물을 아래의 표에 나열된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3
바디 크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중량%의 마이크로캡슐을 표에 나타낸 바디 크림 배합물에 혼합하여 바디 크림을 제조하였다. 동일한 바디 크림에 캡슐 내의 종류의 전매 향수를 첨가된 향수의 함량이 동일하도록 첨가하였다.
바디 크림을 팔뚝의 피부에 0.5g의 함량으로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하여 적용하고, 팔뚝을 10초간 손가락을 사용하여 전체 표면을 문질러서 부드럽게 마사지하였다.
향수 강도를 8명의 훈련된 패널리스트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에 의해 4시간 이후 블라인드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패널리스트들은 양쪽의 경우 모두 악취가 약하고 동일한 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캡슐을 가진 팔뚝을 문질렀을 경우 향기의 두드러진 증가가 생성되었다.
실시예 6: 실시예 2의 10층 PMAA/PVP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풍미 변동(flavour-shifting) 아이스크림의 제조
체리 향미제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바닐라 향미제를 함유하는 pH 5의 아이스크림 배합물에 혼합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초기 미각은 바닐라였고, 캡슐이 구강 내의 pH 7에서 용해된 직후에는 체리향으로 되었다.
실시예 7: 실시예 2의 10층 PMAA/PVP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지속성(leave-on) 헤어 크림의 제조
아래의 표에 나열된 성분을 혼합하여 지속성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4
1 DC 200 유체(예컨대, 유니발(Univar))
2 DC 345 유체(예컨대, 유니발(Univar))
3 ABILTM OSW 5(예컨대, 골드슈미츠(Goldschmidt))
4 DC 556 유체(예컨대, 유니발(Univar))
헤어 크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중량%의 마이크로캡슐을 상기 제조된 배합물에 혼합하여 지속성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다른 샘플의 바디 세척제에 캡슐 내의 종류의 전매 향수를 첨가된 향수의 함량이 동일하도록 첨가하였다.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하여 두 배합물을 모발 견본에 0.5g의 함량으로 도포하고, 모발을 10초간 손가락을 사용하여 전체 두피에 대하여 마사지하였다.
4시간 후 향수 강도를 8명의 숙련된 패널리스트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에 의해 블라인드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패널리스트들은 양쪽의 경우 모두 냄새가 약하고 동일한 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캡슐을 사용한 모발 견본을 문질렀을 경우 향기가 두드러지게 증가되었다.
실시예 8: 실시예 2의 10-층 PMAA/PVP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림블록(rim block)의 제조
화장실 림블록 젤 배합물을 아래의 표에 나열된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5
림블록의 총 중량에 대하여 2중량%의 전매 향수 2(상기 배합물의 향수 1과 상이한)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상기 제조된 림블록 배합물에 혼합하여 림블록 젤을 제조하였다. 동일한 배합물을 갖는 다른 림블록(향수 1을 포함)에 캡슐 내의 종류의 전매 향수 2(자유 향수와 상이함)를 첨가된 향수의 함량이 동일하도록 첨가하였다.
림블록 젤들을 다른 화장실에 적용하였다.
향기를 8명의 훈련된 패널리스트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에 의해 블라인드 테스트로 림블록을 물(pH 7)에 접촉시키기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캡슐이 없는 림블록의 경우, 패널리스트들은 마이크로캡슐의 부재로 인하여 림블록을 물과 접촉시키기 전과 후에 향기가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을 갖는 림블록의 경우, 화장실 물(pH 7)에 의해 pH가 증가하여 캡슐이 깨어지기 때문에, 림블록을 물에 접촉시키기 전과 후에 향기가 상당히 달랐다.

Claims (13)

  1. (a) 6 미만의 pH를 갖는 수성 매질에 활성제를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분산된 활성제 상에 중합체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형성은 각 층이 앞선 층과 수소 결합할 수 있는 일련의 중합성 층들의 순차적인 증착을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활성제-함유 캡슐의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는 활성제의 캡슐화 방법으로서,
    이때, 처음의 두개의 층 중 하나는 폴리카복실산이고, 처음의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층은 합쳐서 10mN/m 초과, 바람직하게는 20mN/m 초과의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interfacial compression dilation modulus)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제의 캡슐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처음의 두개의 층이 폴리(메타크릴산)/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알콜)/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연속적인 수성 중합체 용액이 과량으로 적용되고 나머지는 다음 층의 적용 전에 세척되는, 일련의 개별적인 층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쉘이 가교되는, 방법.
  5. 제 5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아미노기 또는 수산기를 포함하고, 가교 물질, 바람직하게는 아민, 글루타르알데하이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에폭사이드 또는 규산염 커플링제의 첨가에 의해 가교가 수행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쉘에 최종 규산염 층이 제공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규산염 층이, (R)nSi(ROH)4-n(여기에서 R은 C1-C3 알킬이고, n은 1 내지 4이다)의 가수분해, 및 캡슐의 수성 슬러리에 대한 가수분해 생성물의 첨가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의 물질이 중합체 쉘 상에 증착될 수 있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물질이 아미노플라스트(aminoplast),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및 무기 물질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0. 중합체성 쉘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활성제의 코어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활성제로서,
    상기 쉘이 둘 이상의 중합체 층을 포함하고,
    각 중합체 층이 인접한 층(들)과 수소 결합하며,
    처음의 두개의 층 중 하나는 폴리카복실산이고, 처음의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층은 합쳐서 10mN/m 초과, 바람직하게는 20mN/m 초과의 계면 압축 팽창 모듈러스를 나타내는,
    캡슐화된 활성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쉘이 5nm의 최소 두께를 갖는, 캡슐화된 활성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쉘이 5 내지 100, 특히 5 내지 70, 더욱 특별히 5 내지 50nm의 두께를 갖는, 캡슐화된 활성제.
  13. 상업적인 조성물 기재(base) 및 제 10 항에 따른 캡슐화된 활성제를 포함하는 상업적인 조성물.
KR1020157013553A 2012-10-25 2013-10-25 공정 KR102182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290369.3 2012-10-25
EP12290369 2012-10-25
PCT/EP2013/072397 WO2014064252A2 (en) 2012-10-25 2013-10-25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123A true KR20150092123A (ko) 2015-08-12
KR102182371B1 KR102182371B1 (ko) 2020-11-25

Family

ID=4722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553A KR102182371B1 (ko) 2012-10-25 2013-10-25 공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940336B2 (ko)
EP (1) EP2911779B1 (ko)
JP (1) JP6423350B2 (ko)
KR (1) KR102182371B1 (ko)
CN (1) CN105188906B (ko)
AR (1) AR093133A1 (ko)
AU (1) AU2013336577B2 (ko)
BR (1) BR112015008313B1 (ko)
CA (1) CA2886338C (ko)
MX (1) MX366824B (ko)
TW (1) TWI605870B (ko)
WO (1) WO2014064252A2 (ko)
ZA (1) ZA2015023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34518B1 (ru) 2015-12-22 2020-02-17 Юнилевер Н.В. Микрокапсул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капсулы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тирки, включающая микрокапсулу
JP7231611B2 (ja) 2017-07-31 2023-03-0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洗剤添加剤
EP3498253B1 (en) * 2017-12-14 2021-02-17 Clariant International Ltd Vesicles for delayed delivery of fragrance thei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GB202118166D0 (en) 2021-12-15 2022-01-26 Givaudan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8131A (ja) * 1981-12-07 1983-06-10 Ricoh Co Ltd 粒状固体物質への樹脂被覆方法
JPS61125432A (ja) * 1984-11-22 1986-06-13 Lion Corp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DE69114674T2 (de) 1990-05-24 1996-04-18 Nippon Kayaku Kk Verfahren zu herstellung von mikrokapseln.
JP3763681B2 (ja) * 1998-09-10 2006-04-05 三菱製紙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US7838037B2 (en) * 1999-11-17 2010-11-23 Tagra Biotechnologies Ltd. Method of microencapsulation
WO2002031092A2 (de) * 2000-10-11 2002-04-18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Verfahren zum einbringen von parfümölen in wasch- und reinigungsmittel oder kosmetika
US6740409B1 (en) 2000-11-15 2004-05-25 Board Of Trustees Of University Of Illinois Polymer films
JP2004067935A (ja) * 2002-08-08 2004-03-04 Konsho Ko 吸熱粒子
BR0305777A (pt) 2002-08-14 2004-10-05 Quest Int Composição, e, cápsulas
US7473467B2 (en) * 2002-09-03 2009-01-06 Firmenich Sa Preparation of microcapsules
EP1691791A2 (en) * 2003-10-02 2006-08-23 Trustees of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Capsules of multilayered neutral polymer films associated by hydrogen bonding
US20050227907A1 (en) * 2004-04-13 2005-10-13 Kaiping Lee Stable fragrance microcapsule suspension and process for using same
GB2432843A (en) 2005-12-02 2007-06-06 Unilever Plc Perfume carrying polymeric particle
GB2432844A (en) 2005-12-02 2007-06-06 Unilever Plc Laundry composition
GB2432850A (en) 2005-12-02 2007-06-06 Unilever Plc Polymeric particle comprising perfume and benefit agent, in particular a laundry composition
US20070138674A1 (en) 2005-12-15 2007-06-21 Theodore James Anastasiou Encapsulated active material with reduced formaldehyde potential
US20070138671A1 (en) 2005-12-15 2007-06-21 Anastasiou Theodore J Encapsulated active material with reduced formaldehyde potential
CN1839804A (zh) * 2006-01-04 2006-10-04 东南大学 用做药物缓释壁材料的多层磷脂蛋白质微胶囊及其制备方法
EP1834994B1 (de) * 2006-03-15 2010-07-14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Polyelektrolyt-verkapselte Pigmente
SG144763A1 (en) 2007-01-24 2008-08-28 Univ Singapore Reverse phase layer-by-layer encapsulation of highly water soluble materials
CA2593663A1 (en) * 2007-06-27 2008-12-27 The University Of Melbourne Multilayer polymer films
US20090047517A1 (en) * 2007-06-27 2009-02-19 Francesco Caruso Multilayer polymer films
AU2009234332B2 (en) 2008-01-15 2013-10-0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Oil emuls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and use thereof
WO2009138978A2 (en) 2008-05-12 2009-11-19 Tagra Biotechnologies Ltd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comprising microencapsulated colorants
US20110200534A1 (en) * 2008-08-21 2011-08-18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 T1-T2 Dual Modal MRI Contrast Agen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UMARl K.N. et al., "Encapsulation and release of rifampicin using poly(vinyl pyrrolidone)-poly(methacrylic acid) polyelectrolyte capsul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C 29 (2009) 2508-25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04367A (es) 2015-12-15
TW201438815A (zh) 2014-10-16
WO2014064252A2 (en) 2014-05-01
CA2886338A1 (en) 2014-05-01
AU2013336577A1 (en) 2015-04-09
JP6423350B2 (ja) 2018-11-14
CN105188906A (zh) 2015-12-23
CN105188906B (zh) 2018-09-04
BR112015008313A2 (pt) 2014-05-01
CA2886338C (en) 2021-01-12
KR102182371B1 (ko) 2020-11-25
AU2013336577B2 (en) 2016-10-06
TWI605870B (zh) 2017-11-21
EP2911779A2 (en) 2015-09-02
EP2911779B1 (en) 2018-12-12
BR112015008313B1 (pt) 2020-12-01
AR093133A1 (es) 2015-05-20
WO2014064252A3 (en) 2014-07-10
US10940336B2 (en) 2021-03-09
ZA201502344B (en) 2016-10-26
JP2016501707A (ja) 2016-01-21
BR112015008313A8 (pt) 2019-07-16
US20150223502A1 (en) 2015-08-13
MX366824B (es)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7723B1 (en) Multilayered core/shell microcapsules
RU2665380C2 (ru) Капсулы со структурой ядро-оболочка
EP2244689B1 (en) Deposition of lipophilic active material in surfactant containing compositions
US20040071742A1 (en) Encapsulated fragrance chemicals
JP2015517554A (ja) ハイブリッドコアセルベートカプセル
EP2588066B1 (en) Solid core coacervated capsules
JP2021500351A (ja) ヒドロゲルビーズ
JP6400015B2 (ja) カプセル
JP2004513220A (ja) 香り組成物
JP2021527554A (ja)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KR102182371B1 (ko) 공정
BR112017023472B1 (pt) Partícula de fornecimento de agente benéfico, composição e processo de produção de partículas
AU2015100509A4 (en) Process
Perrin et al. 12,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