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968A - 만돌린 슬라이서 - Google Patents

만돌린 슬라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968A
KR20150091968A KR1020140139039A KR20140139039A KR20150091968A KR 20150091968 A KR20150091968 A KR 20150091968A KR 1020140139039 A KR1020140139039 A KR 1020140139039A KR 20140139039 A KR20140139039 A KR 20140139039A KR 20150091968 A KR20150091968 A KR 20150091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lade
platen
slicer
julien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429B1 (ko
Inventor
조슈아 스튜어트
저스틴 배글리
사샤 카포시
Original Assignee
프로그레시브 인터네셔널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340,128 external-priority patent/US9682490B2/en
Application filed by 프로그레시브 인터네셔널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프로그레시브 인터네셔널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9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5Household devices therefor cutting one single slice at each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7Household devices therefor having a holder for the product to b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8Household devices therefor making several incisions and cutting cubes or the like, e.g. so-called "julienne-c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돌린 슬라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만돌린 슬라이서는 슬라이싱 블레이드 및 조절가능한 슬라이싱 경사부를 포함한다. 일련의 줄리엔 블레이드가 격납 위치와 경사부 상부의 전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블레이드 지지체가 복수의 슬라이싱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경사부의 말단 단부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만돌린 슬라이서{MANDOLINE SLICER}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1년 2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440,691호를 우선권 주장하는 2012년 2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3/367,952호의 연속 출원이며, 또한 본 명세서에서 그 내용이 참조되는 2014년 2월 4일자로 출원인 미국 가출원 제61/935,751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만돌린형(mandoline-type) 슬라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만돌린 슬라이서(slicer)는 수년 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현존하는 슬라이서는 하나 또는 다른 관점에서 부족하다. 다수의 슬라이서는 사용이 어렵거나 또는 슬라이싱 트레이의 경로를 즉시 추종하지 않아, 사용자가 이들을 전부 생략하게 유도하는 슬라이싱 가드(guard)를 갖는다. 소비자 슬라이서는 또한 조정이 어렵고 다양한 슬라이싱 및 분쇄(grating) 작업을 위해 즉시 사용될 수 없다. 통상의 만돌린 슬라이서는 그 한계 때문에 드물게 사용되는 단일작업(unitask) 장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만돌린 슬라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더 완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만돌린 슬라이서는 트레이 상에서의 활주 이동을 위해 위치된 핸드 가드를 갖고 블레이드 트레이에 고정된 슬라이싱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슬라이싱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슬라이싱 깊이를 지시하는 조정 손잡이를 사용하여 단계식으로 조정 가능하다.
몇몇 양태는 사용중이 아닐 때 블레이드 트레이의 아래로 후퇴될 수 있고 사용중일 때 블레이드 트레이의 위로 선택적으로 신장될 수 있는 일련의 줄리엔 블레이드(julienne bla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품 물품이 슬라이싱 블레이드 및 줄리엔 블레이드 상으로 통과함에 따라, 식품 물품은 얇은 스트립으로 절단된다.
바람직한 핸드 가드가 일 측벽을 따라 형성된 채널 내에 장착된 슬라이서의 일 측면에 고정된다. 핸드 가드는 슬라이싱될 식품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 위치로 피벗될 수 있고, 폐쇄 위치로 피벗될 수도 있다. 일련의 자석 또는 다른 수단이 슬라이싱 가드를 트레이에 대해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전진가능한(extendable) 또는 후퇴가능한(retractable) 2세트의 줄리엔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슬라이싱 블레이드가 복수의 슬라이싱 블레이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가적인 특징을 포함한다.
도 1은 슬라이싱 가드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만돌린 슬라이서의 바람직한 양태의 상면 사시도.
도 2는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상면 평면도.
도 3a는 핸드 가드가 부분적으로 분해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부분 측면 분해도.
도 3b는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정면도.
도 4는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저면 평면도.
도 5는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부분 확대 저면도.
도 7은 만돌린 슬라이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핸드 가드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부분 확대 상면 사시도.
도 9는 핸드 가드를 갖지 않고 분쇄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피벗된 슬라이싱 경사부의 부분을 갖고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상면 사시도.
도 10은 핸드 가드가 부착된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상면 사시도.
도 11은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측면도.
도 12는 핸드 가드가 부착된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상면도.
도 13은 핸드 가드가 부착되지 않은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상면도.
도 14는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저면도.
도 15는 절첩 레그가 후퇴된 위치에 있는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측면도.
도 16은 플래튼 및 플래튼 지지체를 포함하는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부분 분해도.
도 17은 런아웃 플레이트 및 선택가능한 슬라이싱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부분 분해도.
도 18은 제1 위치에 있는 조절가능한 플래튼 지지체의 저면도.
도 19는 제2 위치에 있는 조절가능한 플래튼 지지체의 저면도.
도 20은 줄리엔 블레이드의 양쪽 세트 모두가 후퇴된 위치에 있는 줄리엔 블레이드의 세트를 갖는 줄리엔 블레이드 선택기의 사시도.
도 21은 일 세트의 줄리엔 블레이드는 후퇴된 위치에 있고 일 세트의 줄리엔 블레이드는 전진된 위치에 있는 줄리엔 블레이드 선택기의 사시도.
도 22는 줄리엔 블레이드의 양쪽 세트 모두가 전진된 위치에 있는 줄리엔 블레이드 선택기의 사시도.
도 23은 런아웃 플레이트는 상향으로 회전되고 있고 주 블레이드 프레임은 제1 전개 위치에 있는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사시도.
도 24는 런아웃 플레이트는 상향으로 회전되고 있고 주 블레이드 프레임은 중간 위치에 있는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사시도.
도 25는 런아웃 플레이트는 상향으로 회전되고 있고 주 블레이드 프레임은 제1 전개 위치에 있는 다른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의 사시도.
도 26은 바람직한 푸셔의 저면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푸셔의 정면도.
도 28은 도 27의 평면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9는 도 26의 푸셔의 분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바람직한 만돌린 슬라이서는 경사부(30)를 따라 슬라이싱 블레이드(40)를 향해 활주하도록 구성된 핸드 가드(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경사부(ramp)가 도 1 및 도 2에서 핸드 가드(10) 아래에 놓이고 슬라이싱 블레이드를 향해 이어지는 근접 제1 섹션(31) 및 슬라이싱 블레이드로부터 이격하여 연장하는 말단 제2 섹션(32)을 포함하는 2개의 섹션에 형성될 수 있다. 간극이 2개의 경사부 사이에 형성되어 2개의 부분이 서로에 대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정될 수 있게 한다. 제1 섹션은 생성된 슬라이스의 두께를 변경하기 위해 슬라이싱 블레이드의 레벨 미만의 가변 높이로 조정 가능하다.
핸드 가드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파지 기둥(pillar)(13)을 둘러싸는 넓은 플랜지(12)를 갖고 형성된다. 기둥(13)은 그 중심에서 중공형이고, 정합하는 원통형 인서트(14)를 수용한다. 인서트(14)는 경사부를 따라 블레이드를 향해 식품 물품을 활주시키기 위해 식품 물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일련의 스파이크(18)(도 3a 및 도 7 참조) 또는 유사한 파지면을 갖는 저부 단부를 갖는다. 인서트는 식품 물품이 다수회 슬라이스됨에 따라 경사부를 향해 하향으로 계속 이동하기 위해 기둥 내에서 상향 및 하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인서트(14)는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에서 인서트를 통해 연장하는 보어(15)를 포함하여 당근과 같은 기다란 식품 물품이 보어를 통해 블레이드 내에 위치될 수 있게 되고 반면에 식품 물품의 대향 단부는 도 2의 평면도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인서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보어의 수직 측벽은 식품 물품과 측벽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일련의 리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는 바람직한 양태에서 사용자의 손의 4개의 손가락까지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되는 손가락 컵(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어(15)와는 달리, 손가락 컵(16)은 손가락 컵 내의 손가락이 트레이 또는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부를 갖고 형성된다. 따라서, 보어 내에 삽입된 물품은 줄곧 트레이 및 블레이드를 통과할 수 있지만, 손가락 컵 내에 삽입된 물품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가드는 경사부의 대향 측면들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33, 34)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측벽은 경사부 위의 가드의 간극도를 제공하기 위해 경사부의 일반적으로 평면형 표면 위로 상승된다.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벽은 경사부를 따라 가드의 선형 이동 경로를 보장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가드 플랜지(12)의 일 측면은 하나 이상의 패드(17)를 포함한다. 패드는 측벽을 따라 활주하기 위한 가드의 능력을 향상시켜 마찰을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도시되어 있는 양태에서, 2개의 패드가 제공되는데, 하나는 전방을 향하고 하나는 가드 플랜지의 제1 측면의 후방 단부를 향하고, 각각의 패드는 플랜지의 표면적보다 훨씬 작은 표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가드 플랜지의 제1 측면은 경사부의 제1 측벽(33)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가드 플랜지의 제2 측면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힌지(20)에 의해 가드에 고정된 피벗식 커플링(21)을 포함한다. 커플링은 가드가 슬라이서와 접촉 유지되고 사용 중에 탈선할 수 없는 것을 보장한다.
슬라이서 경사부의 제2 측벽(34)은 제2 측벽의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슬롯(50)(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슬롯은 측벽의 측방향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슬롯 내의 수직벽으로 전이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하부면을 갖고 형성된다. 슬롯의 상부 부분은 현수 에지를 갖고 형성되어, 슬롯이 연장하는 가늘고 긴 측면에 수직인 단부로부터 볼 때 슬롯이 L자 형상으로서 구성되게 된다.
커플링(21)은 도 3b 및 도 7에 가장 양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자 형상 슬롯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상보형 핑거(22)를 갖고 형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커플링은 피벗 연결부로부터 가드벽의 상부 부분을 따라 슬롯으로 하향으로 연장하는 만곡된 측면을 포함한다. 측면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양태에서 핑거가 L자 형상 슬롯의 수직부 내에 포획되도록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 굴곡부를 갖는 만곡된 핑거로 전이한다. 따라서, 커플링의 핑거부는 측방향에서 슬롯에 삽입되거나 슬롯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고, 오히려 슬롯을 따라 단지 종방향으로만 활주할 수 있다. 커플링은 슬라이서의 단부에서 슬롯의 개방 단부에 이를 위치시킴으로써 삽입되고, 이어서 슬롯 내로 커플링을 활주시킨다. 일단 제 위치에서, 파지 및 가드 플랜지는 경사부(30)로부터 이격하여 상향으로 피벗될 수 있거나 또는 하향으로 피벗될 수 있어 경사부와 평행하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드가 경사부와 평행한 작동 가능한 위치로 피벗될 때[즉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위치로 힌지(20)에서 피벗됨], 인서트(14)의 하부면 및 파지 스파이크(18)는 경사부의 표면 상부로 다소 상승된다. 이는 파지부 및 스파이크가 블레이드를 가로질러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서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인서트(14)는 인서트가 기둥을 통해 완전히 낙하하여 경사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둥의 상부 가장자리(23)에 접하는 주연 플랜지(22)를 갖고 형성된다.
제2 측벽(34)은 상부면에 형성된 채널(51)을 더 포함한다. 채널은 커플링의 피벗을 형성하는 힌지의 라운딩된 형상을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되고 구성되어, 이에 의해 힌지가 측벽을 따라 아래로 원활하게 활주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경사부는 블레이드(40)로 이어지는 경사부(31)의 제1 부분을 따라 다양한 높이로 조정 가능하다. 경사부의 제1 부분은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복수의 리브를 갖고 선택적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평면형 상부면을 포함한다. 하부면은 하부면에 피벗식으로 장착되고 하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그(90, 91)를 포함한다. 레그는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된 경사부의 단부를 따라 경사부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되고, 경사부의 대향 측벽들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레그는 측벽들 중 각각의 하나에 피벗식으로 고정되어 경사부의 제1 부분이 레그 상에 규정된 피벗축 둘레로 피벗할 수 있게 한다.
경사부(31)의 상단부는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에서 피벗축 둘레에서 피벗식으로 이동 가능하고, 바람직한 양태에서 피벗축은 레그가 저장된 및 전개된 위치로 피벗식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레그(90, 91)에 의해 또한 공유된 공통 피벗축이다. 따라서, 레그(90, 91) 및 경사부(31)의 제1 부분은 모두 대향하는 피벗점(61, 62)에서 공통 피벗축을 따라 장착된다. 스프링(63)이 하향 위치에서 경사부를 편위시키기 위해 레그(91) 중 하나의 피벗축 상에 탑재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양태에서, 스프링은 경사부의 하부측에 부착된 일 단부 및 경사부를 하향으로 압박하고 블레이드에 인접한 경사부의 부분을 블레이드 아래의 하향 위치로 편위시키기 위해 레그에 인접한 측벽에 부착된 대향 단부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다.
경사부(31)의 제1 부분은 블레이드에 인접한 경사부의 제1 단부에 대해 절단 블레이드의 깊이를 조정하기 위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경사부의 제1 부분은 피벗점(64) 둘레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여, 이에 의해 블레이드(40)에 대한 경사부의 제1 부분의 에지의 위치 설정을 선택적으로 변경한다. 조정 기구가 경사부의 하부측을 도시하고 있는 도 4 내지 도 6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진다. 손잡이(77)는 측벽의 외부면 상에 위치되고, 회전 이동을 위해 액슬에 탑재된다. 액슬은 액슬이 제1 기어(72)에 고정되는 측벽의 내부면으로 측벽을 통해 연장한다. 제1 기어의 치형부는 측벽에 의해 또한 피벗식으로 지지되는 제2 기어(73)의 치형부와 맞물린다. 제2 기어는 또한 경사부의 폭을 가로질러 대향 측벽으로 연장하는 액슬(71)에 고정된다. 측벽의 대향 단부에서, 제3 기어(75)는 액슬에 탑재되고 측벽에 핀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의 회전은 제1 기어(72)의 회전 및 치형부의 맞물림에 의해 제2 기어(73) 및 제3 기어(75)의 회전을 야기한다.
경사부 지지부(70)가 대향 측벽들의 내부면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되어 일반적으로 경사부의 제1 부분에 의해 형성된 평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활주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비스듬한 U자 형상이고, 여기서 베이스부는 각형성되고, 2개의 직립부는 동일하지 않은 길이를 갖는다. 직립부의 각각은 각각의 기어(73, 75)의 치형부와 맞물리는 일련의 치형부(74, 7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기어 및 제3 기어(측벽에 적소에서 고정되어 있음)의 회전은 치형부(74, 76)의 이동에 의한 지지 구조체의 측방향 이동을 야기한다.
지지 구조체의 베이스부(즉, 2개의 직립부 사이)는 경사부의 제1 부분의 하부측의 폭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경사부의 제1 부분의 하부측은 경사부의 피벗 단부로부터 이격하여 이동함에 따라 높이가 증가하는 일련의 단차 형성된 리브(78)를 갖고 형성된다. 제1 방향에서(즉, 블레이드를 향한 방향에서) 지지부(70)의 이동은 지지 구조체가 리브의 더 높은 단차부와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이에 의해 경사부를 상향으로 압박한다("상향"은 경사부의 저부측으로부터 경사부의 상부측을 향한 방향임). 최고 위치에서, 경사부는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의 첨예한 에지와 동일 높이에 있거나 또는 약간 상회하여 어떠한 슬라이싱도 발생할 수 없게 된다. 제2 대향 방향에서[즉, 블레이드(40)로부터 이격하여 레그를 향한] 지지부의 이동은 지지 구조체가 리브(78)의 더 짧은 단차부와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스프링(63)이 경사부를 하향으로 압박하여 이를 첨예한 블레이드 아래로 경사지게 한다. 손잡이(77)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지지부가 단차 형성된 리브를 따라 원하는 레벨에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하는 차등이 고정 블레이드의 위치에 대한 경사부의 수직 높이 사이에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된 슬라이스의 두께는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은 특정 손잡이 회전 위치에서 상대 슬라이싱 두께를 사용자에게 지시하기 위해 손잡이(77)에 인접한 두께 지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련의 줄리엔 블레이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의 확대도 및 도 5 및 도 6의 저면도에서 가장 양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블레이드(81)는 슬라이서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된 바아(80)에 의해 지지된다. 대응 일련의 슬롯(39)은 블레이드에 인접한 위치에서 경사부의 제1 부분 내에 형성되어, 수직 줄리엔 블레이드의 각각은 슬롯을 통해 상향으로 신장 가능하거나 슬롯 아래로 후퇴 가능하게 된다. 바아(및 따라서 줄리엔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40)의 첨예한 에지를 형성하는 라인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줄리엔 블레이드(81)의 수직 이동은 측벽들 중 하나의 외부 부분 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레버를 경유하여 실행된다. 도시되어 있는 양태에서, 레버는 슬라이싱 조정 손잡이에 인접하여 장착된다. 레버(83)는 측벽을 통해 연장하고 대향 측벽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는 경사부의 하부측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액슬에 탑재된다. 줄리엔 액슬(85)은 캠 표면(도 5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음)을 포함하여, 이에 의해 제1 위치로의 레버의 회전은 캡 표면이 줄리엔 바아를 상향으로 압박할 수 있게 하고 제2 위치로의 레버의 회전은 캠 표면이 줄리엔 바아로부터 이격하여 이동시켜, 이를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캠 표면은 실질적으로 액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여기서 액슬의 일 측면은 액슬의 대향 측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액슬의 양 대향 측면들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가져 이들이 줄리엔 바아(80)의 대응 편평한 하부면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호 편평한 표면의 결합은 사용자가 레버를 회전시켜 이를 회전할 수 있게 하지 않으면 줄리엔 액슬(85)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싱 조정 손잡이는 경사부가 체결된 위치로 조정될 때 줄리엔 블레이드가 후퇴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특징부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70)가 그 가장 먼 위치로 이동하여 리브(78) 상의 가장 높은 단차부에 결합할 때, 경사부는 블레이드(40)의 높이를 적어도 다소 초과하는 높이로 상향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경사부는 블레이드와 접촉하면 위험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실질적으로 안전한 위치에 있다. 줄리엔 블레이드는 수직이고 이들이 전개될 때 슬라이싱 블레이드(40)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를 갖기 때문에, 지지부(70)는 경사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에서 U자 형상의 베이스에서 지지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수직 스템(82)(도 6 참조)을 더 포함한다. 지지부가 리브 상에서 가장 먼 단차부를 향해 활주함에 따라, 스템은 줄리엔 액슬(85)의 에지에 조우하게 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줄리엔 바아가 이미 격납 위치에 있으면, 스템은 그와 접촉하지 않고 줄리엔 바아 아래로 활주한다. 줄리엔 액슬의 오프셋 축방향 정렬 때문에, 스템(81)에 의해 발생된 회전은 줄리엔 블레이드를 경사부의 표면 아래의 격납 위치로 후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된 또는 저장된 위치로의 조정 손잡이의 회전은 또한 줄리엔 블레이드가 이 위치에 미리 있지 않으면 저장된 위치로 후퇴될 수 있게 한다. 장치의 측벽 상의 적절한 지시기는 체결된 및 전개된 위치, 뿐만 아니라 리브 내의 다양한 단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시각적 지시를 제공한다.
말단 단부에서 슬라이서의 하부면은 도포된 미끄러지지 않는 또는 탄성 중합 재료를 갖는 푸트부를 포함한다. 근접 단부에서, 슬라이서는 피벗식으로 후퇴가능한 레그(90, 91)를 포함한다. 신장될 때, 레그는 슬라이서의 전방 단부에 대해 슬라이서의 후방 단부를 상승시키고, 이에 의해 슬라이서의 전방 단부를 향해 후방으로부터 하향 경사를 형성한다.
경사부(32)의 전방 또는 말단부는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서 경사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이는 그 아래에 위치된 분쇄 표면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피벗식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전방 경사부 표면(32)은 슬라이싱 블레이드에 인접한 제1 단부(35) 및 말단 제2 단부를 갖는다. 제1 단부는 피벗식으로 장착되어 경사부가 대략 180도 피벗점 둘레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피벗된 배향에서, 이는 슬라이싱 블레이드를 덮고 그렇지 않으면 그 표준 위치에서 경사부의 전방부 아래에 놓이는 분쇄 표면을 노출시킨다. 도 9에서, 경사부의 제1 단부(35)는 분쇄 표면(91)에 노출되도록 피벗되고, 반면 나머지 도면에서는 이는 피벗되어 분쇄 표면을 덮는다.
분쇄 표면(91)은 슬라이서의 전방 단부에 지지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분쇄 표면은 형상이 평면형이고 측벽의 폭에 걸친다. 분쇄 표면은 대향 측벽들의 각각의 전방 단부에, 예를 들어 위치(92)에 피벗식으로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수평 격납 위치와 약간 경사진 작동 위치 사이에서 다소 피벗할 수 있게 된다.
전방 경사부(32)의 피벗축에 인접하여, 각각의 측면은 피벗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아암(95)을 포함한다. 전방 경사부가 아암(95)을 지지하는 피벗축 둘레로 상향으로 피벗함에 따라, 아암은 경사부의 평면 아래에서 회전하고 아암의 단부는 분쇄 표면의 프레임의 단부의 하부면에 결합한다. 전방 경사부가 슬라이싱 블레이드를 덮는 점으로 그 피벗 이동을 계속함에 따라(즉, 대략 180도 회전되어 있음), 아암은 분쇄 표면의 단부를 상향으로 계속 들어올린다. 분쇄 표면과 접촉하는 아암의 면은 원하는 각도로 분쇄 표면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분쇄 표면은 전체 경사부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해 약간 경사진다. 따라서, 경사부(32)의 전방부의 회전은 아암이 분쇄 표면(91)의 인접 단부를 약간 상승시킬 수 있게 하여 경사부(32)의 회전된 전방 단부 및 분쇄 표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게 된다.
경사부의 전방부는 측벽을 따라 형성된 대응 슬롯에 결합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탭(36)을 더 포함하여, 경사부의 전방부가 분쇄 표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완전히 피벗될 때 탭이 슬롯에 결합하여 슬라이싱 블레이드에 일반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경사부의 전방부를 유지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경사부의 전방부는 측벽의 상부면의 레벨에 또는 이 레벨 미만에 있어 가드가 경사부의 전방부의 상부 위에서 분쇄 표면을 따라 활주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인 쌍의 슬롯(37)이 측벽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전방 경사부가 그 격납 위치에 있을 때 탭에 결합하여 분쇄 표면을 덮는다.
도 3a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자 형상 슬롯(50) 내에 형성된 내부면은 슬롯 내의 핸드 가드 커플링의 이동을 느리게 하거나 또는 제한하도록 구성된 정지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정지부는 탄성 재료의 섹션으로서 구성되고,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TPE 또는 다른 탄성 재료를 수용하는 일련의 리브(100)를 형성한다. TPE는 추가의 내마찰성을 제공하여, 추가적으로 슬롯 내에 커플링을 보유하는 것을 보조하면서 원한다면 이 커플링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되어 있는 양태에서, 3개의 탄성 리브가 도시되어 있다. 더 많은 또는 적은 수의 리브가 대안 버전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의 만돌린 슬라이서가 도 10 내지 도 29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만돌린 슬라이서는 상술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와 추가적인 다른 몇몇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특정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슬라이서의 바람직한 양태들 중 일부의 양태에 따르면, 만돌린 슬라이서(110)는 핸드 가드 또는 푸셔(120)를 수용하기 위한 상향으로 연장된 레일 및 지지 레그(139)를 갖는 측벽(130a, 130b)으로 구성되는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도시된 양태에서, 레그는 프레임의 후방 단부에 피벗식으로 부착되며, 미끄러지지 않는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재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후방 푸트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프레임에 대한 피벗식 부착부의 위치와 푸트부 사이의 위치에서 대향하는 좌우 후방 레그들 사이에 핸들이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 및 도 13의 상면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만돌린 슬라이서는 (슬라이서의 후방에 인접한) 근접 단부 및 (슬라이서의 전방에 위치되며, 슬라이싱되는 물품의 이동 경로가 완성되는) 말단 단부를 갖는 플래튼(180)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플래튼은 후퇴가능한 수직 블레이드["줄리엔 블레이드"라고도 지칭됨]를 수용하기 위해 말단 단부에 2열의 홀(131, 132)을 포함한다. 주 블레이드(162)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측 레일들에 수직이 아닌 각도로 대향하는 프레임측 레일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주 블레이드의 첨예한 에지는, 플레튼을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 약간 위의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슬라이싱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블레이드 아래의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게 하는, 소형 간극에 의해 플래튼의 말단 단부로부터 분리된다.
플래튼이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플래튼과 런아웃 플레이트(runout plate)가 사실상 동일 평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런아웃 플레이트(181)(도 13 참조)가 슬라이서의 전방 단부에 위치설정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저장된 위치에서 플래튼은 적어도 주 블레이드와 런아웃 플레이트 약간 위로 상승된다.
플래튼 조절 장치 손잡이(140)는 프레임의 측방향 외부로 연장되며, 상술된 바와 같이 플래튼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회전되게 구성된다. 또한, 줄리엔/프라이(fry) 선택기 슬라이드(150)가 프레임의 측방향 외부로 연장되며, 한 쌍의 열의 줄리엔 블레이드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내부 선택기 프레임에 연결된다. 또한, 블레이드 손잡이(160)가 프레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블레이드를 슬라이싱을 위한 위치 내외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플래튼(180)의 사실상 대부분의 영역은 평면이며, 식품이 주 블레이드를 향해 이동될 때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후방 단부에서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리브 및 그루브(groove)를 포함한다. 슬라이서가 조립될 때 주 블레이드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되는 플래튼의 전방 단부에 제1 열의 홀(131) 및 제2 열의 홀(132)이 각각 위치설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플래튼은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양태에서는 다른 재료가 적절할 수 있다.
플래튼 지지체(182)(예컨대, 도 16의 분해도 참조)가 플래튼을 프레임에 대한 소정의 수직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플래튼 아래에 장착된다. 플래튼 지지체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탭(183a, 183b)를 각각 갖는 한 쌍의 대향하는 좌측 및 우측 레그를 후방 단부에 포함하고, 외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탭(184a, 184b)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대향하는 좌측 및 우측 레그를 전방 단부에 포함한다. 또한, 플래튼 지지체의 전방 단부는, 줄리엔 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그리고 플래튼에 형성된 제1 열의 홀(131)과 정렬되도록 위치설정되는, 일렬의 슬롯(185)을 포함한다.
플래튼 지지체의 외향으로 연장되는 탭은 프레임 측벽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수직 연장 그루브(예컨대, 133, 134)에 수용된다. 4개의 외향으로 연장되는 탭을 수용하기 위해 후방 단부에서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측벽 각각에 한 쌍의 그루브가 형성되는데, 도 16에서는 측벽들 중 하나에 형성된 그루브(133, 134)는 보이지만, 대향하는 그루브는 안 보인다. 그루브와 탭은 탭이 그루브 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플래튼 지지체가 상향 및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다.
높이 조절 장치(186)는 플래튼 지지체가 상승 및 하강되도록(이에 따라 플래튼이 상승 및 하강되도록) 대향하는 좌측 프레임 측벽과 우측 프레임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높이 조절 장치는 프레임 측벽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연장된 채널(예컨대, 136; 대향하는 측벽 내의 대향하는 채널은 안 보임)에 수용되는 한 쌍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핀(189a, 189b)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측벽은, 슬라이서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플래튼에 의해 형성된 영역 아래에 위치설정되는, 채널(136)을 포함한다. 채널(136)이 핀(189a, 189b)보다 길어, 높이 조절 장치가 채널 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어느 정도 선형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장치는, 높이 조절 장치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위치설정되고 그리고 대향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을 향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페그(187a, 187b, 188a, 188b)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장치의 좌측 및 우측 페그는 플래튼 지지체(도 18 및 도 19 참조)의 측방향 하향으로 현수되는 스커트(190, 191, 192, 193)에 형성된 내향 경사 채널(190a, 191a, 192a, 193a) 내에서 이동된다. 채널들이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져 있어, 높이 조절 장치의 플래튼 지지체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으로 인해 페그가 채널 내에서 상향 이동되어 플래튼 지지체를 높이 조절 장치를 향해 하향으로 견인한다. 높이 조절 장치의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플래튼 지지체를 상향으로 높이 조절 장치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한다.
높이 조절 장치의 하부면은 높이 조절 장치의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에 위치설정된 일련의 선형 기어 치형부(147, 148)로 형성된다. 안내 기어는 프레임의 대향하는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주 액슬(141)을 포함하며, 주 액슬의 각각의 단부에는 한 쌍의 기어(142, 143)가 위치설정된다. 기어(142, 143)는 대향하는 래크(147, 148)의 선형 기어 치형부와 맞물려, 액슬의 회전으로 인해 기어가 선형 기어 치형부 내에서 이동된다.
주 액슬의 말단 단부는 측벽에 장착된 정합 기어(136)와 맞물리는 일 세트의 축방향 치형부(149)로 종결된다. 정합 기어(136)(도 16 및 도 17 참조)는 측벽에 대해 제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주 액슬의 치형부(149)가 정합 기어(136)와 맞물릴 때 주 액슬이 회전되지 않는다. 주 액슬은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방향 프레임 지지체(200)에 형성된 채널(201) 내에 지지된다.
주 액슬(141)의 근접 단부는 조절 장치 손잡이(140)의 스템(145)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도 16의 분해도 참조). 조절 장치 손잡이의 스템은 조절 장치 손잡이의 회전이 주 액슬의 회전을 야기하도록 프레임 측벽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구성된 스프링(144)이 손잡이의 스템(145)에 탑재되며, 우측 기어(142)와 인접 프레임 측벽 사이에 위치설정된다. 스프링이 주 액슬을 좌측 측벽(130b)을 향해 내향으로 압박하여, 액슬 기어(149)가 액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정합 기어(136)와 맞물림으로써 플래튼을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사용자가 플래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140)를 우측 측벽(130a)으로부터 외향으로 잡아 당겨, 좌측 측벽(130b)에 위치설정된 정합 기어(136)로부터 축방향 기어 치형부(149)를 분리시키고 액슬의 회전 이동을 가능케 한다. 손잡이와 액슬의 회전으로 인해 기어(142, 143)가 조절 장치를 이동시켜, 플래튼 지지체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된다.
플래튼은 주 블레이드 프레임(161)에 의해 지지되는 절단 블레이드에 인접하게 종결된다. 주 블레이드 프레임은 대체로 삼각형 형상이며, 주 블레이드(162)가 일 측부에 장착되고 제2 블레이드(163)가 제2 측부에 장착된다. 도시된 양태에서, 제2 블레이드는 와플 블레이드이다. 세레이션(serration) 또는 스캘럽(scalloped) 에지를 갖는 다른 블레이드도 사용될 수 있다. 삼각형의 주 블레이드 프레임(161)의 제3 측부는 좌측 측벽(130b)의 내부 벽을 따라 위치설정된다.
주 블레이드(162) 및 제2 블레이드(163)의 두께로 인해 주 블레이드 프레임(161) 위로 약간의 단차 또는 높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런아웃 플레이트(181)의 두께는, 블레이드들 중 어느 하나가 제 위치에 있을 때 주 블레이드 또는 제2 블레이드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주 블레이드 또는 제1 블레이드의 높이 약간 아래에 위치되어 런아웃 플레이트가 주 블레이드 프레임 위에서 아래로 회전되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슬라이싱되는 대상이 플래튼 아래로 이동되어 블레이드와 조우하게 되며, 런아웃 플레이트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런아웃 플레이트 아래로 계속 이동될 수 있다.
주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와 제1 블레이드가 조우되는 어펙스(apex)에 위치설정되는 장착 플레이트(165)를 포함한다. 장착 플레이트는 우측 프레임 측벽(130a)에 형성된 홀을 통해 연장되는 블레이드 손잡이(160)로부터의 스템(167)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중심 슬롯을 갖는 원통형 허브(166)로 종결된다.
주 블레이드 프레임의 제2 측부는 중심 장착 스템(164)을 갖는 긴 형상의 핀(179)으로 종결된다. 장착 스템(164)은 좌측 측벽(130b)의 내부에 형성된 리세스(137)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리세스는 장착 스템에 형성된 상보적 공동 내부에 끼워맞춰지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짧은 돌출부(137a)를 더 포함한다. 또한, 긴 형상의 채널(138)이 좌측 측벽에 형성되며, 이 채널의 사실상 중간부에 리스세(137)가 위치설정된다. 주 블레이드 프레임이 프레임 내의 제 위치에 있을 때, 긴 형상의 핀(179)은 채널(138) 내에 수용되며 스템(164)은 리세스(137) 내에 수용된다.
블레이드 손잡이(160)는 프레임의 우측부에 형성된 홀(169)을 통해 연장되는 스템(167)을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168)은 스템 주위에서 이동되고 그리고 장착 플레이트(165)와 프레임 측벽(130a) 사이에 포획된다. 스프링은 주 블레이드 프레임을 우측 측벽(130a)으로부터 좌측 측벽(130b)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하여 핀(179)을 긴 형상의 채널(138) 내로 밀어 넣는다. 따라서, 긴 형상의 핀과 채널의 구성은 주 블레이드 프레임(161)의 회전을 방지한다.
주 블레이드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블레이드 손잡이를 프레임(130a)의 우측 측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외향으로 잡아 당긴다. 핀(179)이 채널(138)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스프링이 압축된다. 그러나, 스템(164)은 리세스 내에 유지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리세스의 돌출부 또한 스템에 형성된 공동 내에 유지된다. 따라서, 주 블레이드 프레임은 핀의 채널로부터의 분리로 인해 리세스 내에서 이제 회전될 수 있다.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주 블레이드 프레임은 필요에 따라 제1 또는 제2 블레이드가 플래튼을 향해 위치설정되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런아웃 플레이트(181)는 플래튼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되는 제1 또는 제2 블레이드가 아닌 주 블레이드 프레임의 대부분을 덥는다. 런아웃 플레이트(181)는 U자형 말단을 갖는 전방 단부(194)를 포함하는데, 이 전방 단부는 좌측 프레임 측벽(130a)과 우측 프레임 측벽(130b) 사이에서 연장되는 비임 또는 액슬(135) 주위에 스냅 끼움될 수 있다. 런아웃 플레이트(181)의 액슬에 대한 부착으로 인해 런아웃 플레이트가 액슬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
측방향 탭(182)이 런아웃 플레이트에, 바람직하게는 런아웃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런아웃 플레이트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작업 위치에 있을 때, 탭은 우상부 측벽(130a)에 형성된 얕은 우물부(well; 129) 내에 안착된다. 블레이드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탭(182)을 파지하여 런아웃 플레이트(181)를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상승된 위치로 상향 회전시킴으로써, 주 블레이드 프레임(161)을 회전시키기 위해 접근할 수가 있다. 블레이드 프레임이 회전되면, 런아웃 플레이트는 사용될 수 있도록 다시 제 위치로 내려진다. 얕은 우물부(192)는 런아웃 플레이트를 사용될 수 있게 블레이드 프레임에 대해 하향으로 꼭 맞게 유지시키기 위해 탭(182)과 함께 마찰 끼움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우물부와 탭은 런아웃 플레이트를 제 위치에 로킹시키기 위한 자석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주 블레이드(162)는 플래튼(180)에 인접해 있고 제2 블레이드(163)는 플래튼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설정되는 제1 위치에 있는 것으로 주 블레이드 프레임(161)이 구성되어 있다. 런아웃 플레이트(181)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상향 회전될 때[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액슬(135)에 대해 피벗될 때], 주 블레이드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해 접근할 수가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손잡이(160)가 외향으로 잡아 당겨져, 주 블레이드(162)와 제2 블레이드(163)가 플래튼 및 런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평면 외부로 회전된 중간 회전 위치에 주 블레이드 프레임(161)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로부터, 주 블레이드 프레임은 도 23에 도시된 배향에서 180도 뒤집혀 도 25에 도시된 배향이 될 때까지 계속 회전될 수 있다. 이런 구성에선, 제2 블레이드(163)가 플래튼에 인접해 있으며, 주 블레이드(162)가 플래튼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주 블레이드 프레임이 소정의 위치로 회전될 때, 손잡이가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내향으로 다시 압박됨으로써, 주 블레이드 프레임을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위치에 로킹시키도록 핀이 채널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런아웃 플레이트는 슬라이서가 제2 블레이드(163)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주 블레이드 프레임(161)의 상부를 향해 다시 아래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한 쌍의 열의 수직 블레이드가 또한 제공된다. 2열의 수직 블레이드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제2 열의 블레이드는 2열의 수직 블레이드 양자 모두가 플래튼 위로 상승될 때 각각의 블레이드가 제1 열의 블레이드들 사이에서 교번되게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식품은 스트립들로 절단되는데,이 스트립들은 상승된 2열의 블레이드 양자 모두에 의해 전달되기 때문에 제1 열의 블레이드만이 상승되는 경우보다 2배 더 넓다. 일례에서, 각각의 프레임의 블레이드는 8mm 만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프레임이 상승될 때 엇갈림 간격(staggered spacing)은 4mm의 블레이드 간격을 형성한다. 이런 블레이드의 간격은 다른 양태에선 더 넓어지거나 더 좁아질 수 있으며, 몇몇 양태에서 블레이드는 제1 열의 블레이드와 제2 열의 블레이드가 상이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8mm의 간격은 감자를 스트립이나 프라이로 절단하는데 더 유용하기 때문에, 이런 블레이드의 간격은 프라이를 위해 고려될 수 있다.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들 간격은 줄리엔 절단에 더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블레이드 프레임은 프라이 블레이드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2 블레이드 프레임은 줄리엔 블레이드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블레이드들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더 이격되거나, 서로 더 인접해질 수 있다.
제1 블레이드 프레임(170)은 프레임의 대향하는 좌측 및 우측 측벽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블레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짧은 블레이드(170a)를 갖는다. 제1 블레이드 프레임은 프레임의 대향하는 단부들 각각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페그(173, 175)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블레이드 프레임(171)도 복수의 수직 블레이드(171a)와, 각가의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페그(173, 175)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수직 블레이드 프레임의 페그는 도 20 내지 도 2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줄리엔 선택기(151)에 형성된 채널 내에 수용된다. 선택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직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되는 식품의 폭을 제어하기 위해 수직 블레이드의 한 세트 또는 양쪽 세트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프라이/줄리엔 선택기로 지칭된다.
제1 채널(152)은 제1 측부에 위치설정되며, 제1 수평 부분과 제2 경사 부분으로 구성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상보적인 제2 채널이 프라이/줄리엔 선택기의 제2 측부에 형성된다. 제3 채널(153)은 제1 측부에 위치설정되며, 제1 경사 부분과 제2 수평 부분으로 구성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상보적인 제4 채널이 제2 측부에 형성된다.
제1 줄리엔 프레임(170)의 페그는 제1 및 제2 채널 내에 위치설정되고, 제2 줄리엔 프레임(171)의 페그는 제3 및 제4 채널 내에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경우, 제1 및 제2 줄리엔 프레임은, 경사 부분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플래튼을 통해 상향 전진되고 그리고 경사 부분의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플래튼 아래로 전진되도록, 대응하는 채널을 따라 활주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줄리엔 프레임은 슬라이서를 따르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대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대신, 슬라이서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고정된 위치를 점유한다. 이런 고정된 위치는 플래튼에 형성된 블레이드 슬롯(131, 132)의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선택기(151)는 블레이드 프레임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전후로 이동되는데, 이런 선택기의 앞뒤 이동으로 인해 블레이드 프레임이 선택기 채널 내에서 전후로 이동된다.
도 20에 도시된 제1 위치에서, 선택기는 슬라이서의 후방에(즉, 플래튼을 향해 그리고 런아웃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가장 인접해 있으며, 양쪽 프레임(170, 171)은 어떤 블레이드도 플래튼 위로 전진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세스된 위치에 존재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기(151)가 슬라이서의 전방 단부를 향해(즉, 런아웃 플레이트를 향해) 그리고 제2 선택기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프레임(170)은 제1 및 제2 채널(152)의 제1 경사 부분 위로 이동되어, 제1 세트의 블레이드를 플래튼에 형성된 제2 세트의 홀(132)을 통해 상향으로 상승시킨다. 한편, 제2 프레임(171)은 제1 및 제2 채널의 수평 부분 아래에 위치된 제3 및 제4 채널(153)의 수형 부분을 따라 초기에 이동된다. 이런 초기 수평 이동은 제1 세트의 블레이드가 상승되는 동안 제2 세트의 블레이드를 리세스된 위치에 유지시킨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세트의 블레이드는 상승되고 있고 제2 세트의 블레이드는 후퇴되어 있는 이런 위치에 블레이드들을 유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기(151)가 슬라이서의 후방 단부를 향해 더 이동되어 제3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프레임(170)은 제1 및 제2 채널(152)의 상부 수평 부분을 따라 이동되는데, 채널의 상부 부분은 수평이기 때문에 제1 프레임을 상승된 위치에 유지시킨다. 한편, 제2 프레임은 제3 및 제4 채널(153)의 경사 부분을 따라 이동되어, 제2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블레이드를 프래튼의 상부면 위로 상승시킨다.
탭(150) 또는 손잡이는 선택기에 부착되거나 선택기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슬라이서를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축방향으로 탭을 활주시켜(이에 따라 선택기를 활주시켜) 블레이드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 외부에 위치설정된다. 도시된 양태에선, 프레임은 상술된 바와 같은 블레이드 프레임들이 후퇴된 위치에 있는 상태, 하나의 블레이드 프레임이 상승된 위치에 있는 상태, 및 2개의 블레이드 프레임이 상승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 대한 탭 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마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선택기(151)는 상술된 바와 같이 중공 측벽 내에 포획되며, 하부 내부 측벽 에지에 의해 지지된다. 중공 내부 측벽은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프레임 측벽(130b) 내의 개방 채널(211, 212)을 통해 부분적으로 볼 수 있다. 선택기(151)는 대향하는 수직 측벽(158, 159)을 포함하며, 채널(152, 153)은 대향하는 수직 측벽들의 내향 표면에 형성된다. 좌측 및 우측 프레임 측벽(130a, 130b)은 선택기 측벽의 프레임 측벽 내에서의 축방향 활주 이동을 위해 선택기(151)의 수직 측벽(158, 159)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선택기는 선택기로부터 내향으로 또는 외향으로(또는 내외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플랜지로서 형성된 복수의 보유 표면(115 내지 118)을 포함한다. 보유 표면들은, 선택기를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내에 보유하고 그리고 프레임 내에서의 선택기의 선형 이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임의 내부 측벽들 내에 형성된 대응 선반 또는 그루브를 따라 이동되는 접합부를 형성한다. 프레임 측벽(130a, 130b)의 하부 에지의 개구는, 접합부(115 내지 118)가 수직 직립부(158, 159) 및 채널(152, 153)을 프레임 측벽들 내에 포획하는 동안, 선택기의 하부가 프레임을 통해 연장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양태에서, 제1 수평 채널(223)이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프레임 측벽(130a) 내에 형성된다. 우측 측벽의 제2 수평 패널은 내부 측벽의 프레임 내에 형성되며, 도 1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한 쌍의 대향하는 제3 및 제4 채널(221, 222)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 측벽(130b)에 형성된다. 수평 탭(216, 218)이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채널(221, 222) 내에 각각 안착된다. 선택기(151)의 대향하는 측벽의 접합부(217)가 도 2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측벽 프레임 부재(130a)에 형성된 수평 채널(223) 내에 안착된다. 접합부는 선택기 손잡이(150)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될 때 채널 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활주됨으로써, 선택기(151)를 런아웃 플레이트의 평면에 평행한 고정 수평면(또는 말단 경사 부분)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은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포스트의 각각의 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절단부(211, 212)를 갖는 하향 연장 내부 수직 포스트(210)를 포함한다. 도시된 양태에서, 프레임 측벽은 중공형이며, 상술된 바와 같은 좌측 및 우측 선택기 직립부 한정 채널을 중공형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채널(152, 153)은 내부를 향해 있으며, 절단부(211, 212)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제1 절단부(212)는 프레임의 절단부 내에서의 수직 이동을 가능케 하도록 제1 수직 블레이드 프레임(170)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절단부의 수직 에지들[수직 에지들 중 하나는 포스트(210)에 위치됨]은 블레이드 프레임(17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제2 절단부(210)는 제2 블레이드 프레임(171)을 수용하는데, 제2 블레이드 프레임을 제 위치에 포획하여 수직 이동은 허용하지만 수평 이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선택기의 이동은 블레이드 프레임(170, 171)의 종방향 이동 없이 블레이드 프레임(170, 171)의 채널 내에서의 이동을 야기하는데, 그 이유는 블레이드 프레임들이 프레임 측벽에 형성된 절단부(211, 212)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선택기의 블레이드 프레임에 대한 이동은 상술된 바와 같이 채널 내에서의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블레이드 프레임의 수직 이동을 야기한다.
푸셔(120)는 푸셔 코어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스파이크를 갖는 상부 푸셔 파지부를 포함한다. 코어는 블레이드와의 접촉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하부 플랜지(121)를 갖는 푸셔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플레이트(124)로 종결된다.
스파이크(126)는 푸셔 파지부(127)에 매설되는데, 도시된 양태에선 4개의 스파이크(126)가 제공되어 있다.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푸셔 프레임 내에 식품을 견고하게 보유하도록 긴 형상으로 구성된다. 푸셔 플레이트(124)는 스파이크가 푸셔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스파이크를 수용하도록 위치설정되는 일련의 홀(128)을 포함한다.
푸셔 코어는 푸셔 상부(125)로 종결되는 중심 포스트(119)를 포함하며, 이 푸셔의 중심 포스트는 푸셔 파지부(127)를 통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직으로 상승된 위치에서 스파이크(126)는 푸셔 플레이트(124)를 통해 노출됨으로써, 스파이크를 식품에 용이하게 찔러 넣을 수 있다. 또한, 푸셔 플레이트(124)는 푸셔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짧은 스파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상부와 푸셔 코어가 하부로 압박될 때, 푸셔 상부와 푸셔 코어는 식품을 푸셔를 통해 플래튼 상으로 압박한다. 확장된 슬라이싱 후에, 푸셔 코어는 푸셔 프레임의 하부로 하향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푸셔 프레임은 선단 및 후단 에지에 아치형부(arch; 122a, 122b)를 포함한다. 아치형부는 아치형부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당근과 같은 긴 형상의 식품을 푸셔 프레임이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아치형부는 아치형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짧은 스파이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 플래튼이 소정의 높이로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주 블레이드 아래로 플래튼을 하강시킴으로써 소정의 절단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플래튼은 경사지게 하강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 방식으로 하강되기 때문에, 슬라이싱할 때 덜 뭉치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블레이드 프레임은 2개의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위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줄리엔 및 프라이 블레이드는 표준 절단, 또는 줄리엔 또는 프라이 스트리핑에 의한 절단을 허용하도록 상승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시 내용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대신에, 본 발명은 이어지는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전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110 : 만돌린 슬라이서
120 : 핸드 가드 또는 푸셔
130 : 프레임
130a, 130b : 측벽
139 : 지지 레그
140 : 플래튼 조절 장치 손잡이
150 : 줄리엔/프라이 선택기 슬라이드
160 : 블레이드 손잡이

Claims (20)

  1. 만돌린 슬라이서로서,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에서 슬라이싱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며, 근접 단부 및 말단 단부를 갖는 플래튼과,
    상기 프레임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되는 블레이드 프레임으로서, 블레이드 프레임에 부착되는 주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를 갖고, 주 블레이드가 플래튼의 말단 단부에 인접해 있고 제2 블레이드가 플래튼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이격되어 있는 제1 위치와 제2 블레이드가 플래튼의 말단 단부에 인접해 있고 주 블레이드가 플래튼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이격되어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블레이드 프레임과,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말단 부분에 그리고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사이에 위치설정되고, 상기 주 블레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는 런아웃 플레이트(runout plate)를 포함하며,
    상기 주 블레이드와 플래튼은 블레이드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주 블레이드와 플래튼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만돌린 슬라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아웃 플레이트는 런아웃 플레이트가 블레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는 작업 위치와 런아웃 플레이트가 블레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되는 상승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피벗식으로 부착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런아웃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을 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방향 탭은 런아웃 플레이트를 작업 위치에 로킹시키기 위해 프레임의 정합 요소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은 삼각형 형상이며, 상기 주 블레이드는 상기 삼각형의 제1 측부를 점유하고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삼각형의 제2 측부를 점유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은 블레이드 프레임의 제1 측부와 제2 측부의 교차 지점을 점유하는 코너에 위치설정된 제1 피벗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의 제1 프레임 측벽에 피벗식으로 부착되며, 또한 블레이드 프레임의 제3 측부에 위치설정된 제2 피벗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의 제2 프레임 측벽에 피벗식으로 부착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은 제1 피벗 위치에 위치된 장착 플레이트에 위치설정되는 장착 허브와, 제2 피벗 위치에 위치되는 장착 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측벽의 제2 측벽은 긴 형상의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의 제3 측부는 블레이드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긴 형상의 채널 내에 수용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은 액슬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을 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와, 상기 액슬에 탑재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블레이드 프레임의 제3 측부를 상기 긴 형상의 채널 내로 압박하도록 위치설정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9. 만돌린 슬라이서로서,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에서 말단 단부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사이에 걸쳐 있는 주 블레이드와,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에서 슬라이싱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는 플래튼으로서, 근접 단부 및 말단 단부를 가지며, 상기 주 블레이드와 플래튼의 말단 단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위치설정되고,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로부터 만돌린 슬라이서의 말단 단부를 향해 이동되는 식품에 대한 슬라이싱 두께를 한정하기 위해 주 블레이드의 위치에 대해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플래튼의 말단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줄리엔 블레이드 슬롯을 갖는 플래튼과,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말단 단부에 위치설정되는 런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말단 단부와 근접 단부 사이에 형성된 종방향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며, 제1 경사부를 한정하는 제1 그루브를 포함하는 줄리엔 선택기와,
    제1 줄리엔 블레이드 프레임에 탑재되는 복수의 제1 줄리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줄리엔 블레이드 프레임은 제1 경사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줄리엔 선택기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 사이에서의 종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줄리엔 선택기의 제1 종방향으로의 이동은 제1 줄리엔 블레이드 프레임을 제1 경사부 위로 이동시켜 복수의 제1 줄리엔 블레이드가 복수의 제1 줄리엔 블레이드 슬롯을 통해 전진되게 하며,
    상기 줄리엔 선택기의 대향하는 제2 종방향으로의 이동은 제1 줄리엔 블레이드 프레임을 제1 경사부 아래로 이동시켜 복수의 제1 줄리엔 블레이드가 복수의 제1 줄리엔 블레이드 슬롯으로부터 후퇴되게 하는
    만돌린 슬라이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의 말단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줄리엔 블레이드 슬롯과,
    상기 줄리엔 선택기에 형성된 제2 경사부를 한정하는 제2 그루브와,
    상기 제2 경사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줄리엔 선택기에 장착되는 제2 줄리엔 블레이드 프레임에 탑재되는 복수의 제2 줄리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줄리엔 블레이드 프레임은 또한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 사이에서의 종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줄리엔 선택기의 제1 종방향으로의 이동은 제2 줄리엔 블레이드 프레임을 제2 경사부 위로 이동시켜 복수의 제2 줄리엔 블레이드가 복수의 제2 줄리엔 블레이드 슬롯을 통해 전진되게 하며,
    상기 줄리엔 선택기의 대향하는 제2 종방향으로의 이동은 제2 줄리엔 블레이드 프레임을 제2 경사부 아래로 이동시켜 복수의 제2 줄리엔 블레이드가 복수의 제2 줄리엔 블레이드 슬롯으로부터 후퇴되게 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는 상부 수평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루브는 하부 수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상부 수평 부분으로부터 만돌린 슬라이서의 말단 단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하부 수평 부분으로부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줄리엔 선택기는, 줄리엔 선택기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줄리엔 선택기를 소정의 종방향 이동 경로로 제한시키는, 복수의 측방향 연장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방향 연장 플랜지에 결합되는 복수의 채널을 더 포함하는 만돌린 슬라이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줄리엔 프레임은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중 하나의 프레임 측벽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의해 종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줄리엔 선택기는, 복수의 제1 줄리엔 블레이드와 복수의 제2 줄리엔 블레이드 양자 모두가 플래튼 아래로 후퇴되는 제1 위치와, 복수의 제1 줄리엔 블레이드는 플래튼 위로 전진되지만 복수의 제2 줄리엔 블레이드는 플래튼 아래로 후퇴되는 제2 위치와, 복수의 제1 줄리엔 블레이드와 복수의 제2 줄리엔 블레이드 양자 모두가 플래튼 위로 전진되는 제3 위치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위치설정될 수 있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16. 만돌린 슬라이서로서,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에서 말단 단부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사이에 걸쳐 있는 주 블레이드와,
    상기 주 블레이드로부터 만돌린 슬라이서의 말단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런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에서 슬라이싱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사이에 위치설정되는 플래튼으로서, 근접 단부 및 말단 단부를 가지며, 상기 주 블레이드와 플래튼의 말단 단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위치설정되는 플래튼과,
    상기 플래튼 아래에 위치설정되어 플래튼을 지지하고, 종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에 결합되는 플래튼 지지체와,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와 말단 단부 사이에서의 종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에 결합되지만 수직 이동은 제한되는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장치와 플래튼 지지체는 상보적인 결합면을 가짐으로써 높이 조절 장치의 종방향 이동이 플래튼 지지체의 수직 이동을 야기하며,
    상기 플래튼은 상기 만돌린 슬라이서의 근접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식품을 위한 슬라이싱 두께를 한정하도록 주 블레이드의 위치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만돌린 슬라이서.
  17. 제16항에 있어서, 주 액슬을 갖는 플래튼 조절 장치와,
    상기 주 액슬에 탑재되고 반경방향 기어 치형부를 갖는 제1 기어와,
    상기 주 액슬에 탑재되고 축방향 기어 치형부를 갖는 제2 기어와,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중 하나의 프레임 측벽에 위치설정되는 정합 기어와,
    상기 높이 조절 장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에 결합되는 래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어는 정합 기어가 제2 기어와 결합되는 제1 위치와 정합 기어가 제2 기어에서 분리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기어와 주 액슬은 회전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제2 기어와 주 액슬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주 액슬의 회전은 래크와 높이 조절 장치의 측방향 이동 및 플래튼 지지체의 대응하는 수직 이동을 야기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조절 장치의 주 액슬에 부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중 하나의 프레임 측벽과 주 액슬 사이에 위치설정되고 상기 정합 기어를 제2 기어를 향해 압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만돌린 슬라이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지지체는 경사진 채널을 각각 갖는 복수의 하향 연장 스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각각의 경사진 채널 내에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페그를 가지며, 상기 높이 조절 장치의 종방향 이동은 복수의 채널 내에서의 복수의 페그의 이동을 통해 플래튼 지지체의 수직 이동을 야기하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측벽들 중 하나의 프레임 측벽에 부착될 수 있는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푸셔 파지부와, 상기 내부 공동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푸셔 플레이트와, 상기 푸셔 파지부 내에 장착되고 푸셔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하향 현수 스파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 플레이트는 푸셔 파지부와 스파이크 양자 모두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인 만돌린 슬라이서.
KR1020140139039A 2014-02-04 2014-10-15 만돌린 슬라이서 KR101547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5751P 2014-02-04 2014-02-04
US61/935,751 2014-02-04
US14/340,128 2014-07-24
US14/340,128 US9682490B2 (en) 2011-02-08 2014-07-24 Mandoline sli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968A true KR20150091968A (ko) 2015-08-12
KR101547429B1 KR101547429B1 (ko) 2015-08-25

Family

ID=5162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039A KR101547429B1 (ko) 2014-02-04 2014-10-15 만돌린 슬라이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2902158B1 (ko)
KR (1) KR101547429B1 (ko)
CA (1) CA2861169C (ko)
HK (1) HK1213222A1 (ko)
IL (1) IL234352B (ko)
WO (1) WO20151196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72B1 (ko) * 2018-09-20 2019-04-10 (주)자드미디어웍스 두께 조절이 가능한 채 써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7841B1 (en) * 2016-02-16 2019-05-08 DKB Household UK Limited Food pushers and food holder systems and mandolines incorporating the same
CN211984924U (zh) 2018-10-16 2020-11-24 双马塑业有限公司 一种可折叠刨菜板及刨菜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30154A (en) * 1939-06-19 1940-12-05 Wilhelm Karl Luetsch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getable and like shredding devices
DE8500705U1 (ko) * 1985-01-14 1987-11-19 Hottenroth, Eberhard, 7336 Uhingen, De
FR2825043B1 (fr) * 2001-05-28 2003-09-19 Buyer De Coupe-legumes manuel de securite
US6805044B1 (en) * 2003-08-04 2004-10-19 Benriner Co., Ltd. Vegetable cutting utensil
FR2876616B1 (fr) * 2004-10-15 2007-01-05 Buyer Soc Par Actions Simplifi Coupe-legumes manuel de securite
US9038517B2 (en) * 2005-12-06 2015-05-26 Kai U.S.A Ltd. Mandolin slicer
US7694615B2 (en) 2006-10-31 2010-04-13 Helen Of Troy Limited Slicer
DE202008002233U1 (de) * 2008-02-18 2008-06-12 Repac, Cedomir Küchenhobel
US20090255391A1 (en) 2008-04-09 2009-10-15 Lance Hood Mandolin Slicer
US8430010B2 (en) 2008-11-19 2013-04-30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Hand held slicer
DE102009030851A1 (de) * 2009-06-26 2010-12-30 Cedomir Repac Küchenhobel
DE202009009557U1 (de) * 2009-07-10 2009-10-08 Hape Gmbh Hobel zum Schneiden von Obst, Gemüse oder ähnlichen Lebensmitteln
US20110067545A1 (en) * 2009-09-18 2011-03-24 Rodney Wilson Robbins Mandolin
US8181560B2 (en) * 2009-10-27 2012-05-22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Food processing tool
AU2012200700A1 (en) * 2011-02-08 2012-08-23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ndoline slicer
US8893602B2 (en) * 2011-03-07 2014-11-25 Conair Corporation Mandoline sli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72B1 (ko) * 2018-09-20 2019-04-10 (주)자드미디어웍스 두께 조절이 가능한 채 써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34352B (en) 2019-02-28
WO2015119664A1 (en) 2015-08-13
HK1213222A1 (zh) 2016-06-30
EP2902158B1 (en) 2016-09-07
EP2902158A1 (en) 2015-08-05
CA2861169C (en) 2022-05-10
CA2861169A1 (en) 2015-08-04
KR101547429B1 (ko) 2015-08-25
EP3098038A1 (en) 2016-11-30
EP3098038B1 (en)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0863A (ko) 만돌린 슬라이서
US10131069B2 (en) Hand-held slicer
US9682490B2 (en) Mandoline slicer
US8181560B2 (en) Food processing tool
CA2949141C (en) Spiral slicer
US10160133B2 (en) Mandoline slicer
EP1798010B1 (en) Adjustable slicing device
EP1955628B1 (en) Food Slicer and Grater
US7712402B2 (en) Adjustable slicer
US20090255391A1 (en) Mandolin Slicer
KR101547429B1 (ko) 만돌린 슬라이서
US20170252937A1 (en) Food slicer
CA2933118C (en) Spiralizing mandolin
EP3280573B1 (en) Mandoline sli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