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562A -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 Google Patents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562A
KR20150090562A KR1020140011362A KR20140011362A KR20150090562A KR 20150090562 A KR20150090562 A KR 20150090562A KR 1020140011362 A KR1020140011362 A KR 1020140011362A KR 20140011362 A KR20140011362 A KR 20140011362A KR 20150090562 A KR20150090562 A KR 2015009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ine
salt
l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택
박경
이정원
주민성
안재만
최정원
오정근
이진영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562A/ko
Publication of KR2015009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65G53/14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the gas flow inducing feed of the materials by suction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는 분리부, 제1 저장부, 제2 저장부 및 송풍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는 흡입라인을 통해 흡입된 염전의 소금물이 소금과 물(염수)로 분리된다. 상기 제1 저장부는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소금이 저장된다. 상기 제2 저장부는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물(염수)가 저장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제1 저장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분리부까지 상기 소금물이 이동되도록 흡입력을 인가한다.

Description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AUTOMATIC APPARATUS USED IN A SALTERN}
본 발명은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전의 소금물로부터 소금을 자동으로 채취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염전으로부터 직접 채취되는 소금의 품질은 매우 우수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염전으로부터 소금을 채취하는 것은 대부분 인력(人力)으로 수행되고 있어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여 생산 효율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염전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96887호에서는 염전의 소금물을 흡입하는 궤도차 구조와 상기 흡입된 소금물을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하여 소금 채취 전체 작업 중 일부를 자동화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110003호에서는 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소금 및 염수로부터 염수를 분리하고 이를 이송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소금 및 염수를 분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염전의 소금물로부터 소금과 염수를 분리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은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특히, 염전으로부터 소금을 채취하는 전체 공정을 하나의 자동화 기계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는 개발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전으로부터 소금과 염수를 분리하여 직접 소금을 채취할 수 있는 자동화 공정의 수행이 가능한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는 분리부, 제1 저장부, 제2 저장부 및 송풍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는 흡입라인을 통해 흡입된 염전의 소금물이 소금과 물(염수)로 분리된다. 상기 제1 저장부는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소금이 저장된다. 상기 제2 저장부는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물(염수)가 저장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제1 저장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분리부까지 상기 소금물이 이동되도록 흡입력을 인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부에서, 상기 흡입라인을 통해 흡입된 상기 소금물은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라인으로 흡입력을 인가한 공기는 상부로 순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부는,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소금물로부터 소금과 물(염수)을 분리하는 분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유닛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스크류, 및 상기 분리스크류의 하부에 위치한 타공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소금물 중 소금은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소금물 중 물(염수)는 상기 타공망을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제2 저장부는 배수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공망을 통과한 물(염수)이 상기 제2 저장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라인에는 상기 물(염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배수유닛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유닛은,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배수유닛으로 유입된 상기 물(염수)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개구되어 상기 물(염수)을 상기 제2 저장부로 배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부와 상기 송풍부는 송풍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송풍라인까지 공기 유동을 형성하여 상기 소금물에 흡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제1 저장부는 유출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흡입라인 및 상기 송풍라인을 통과한 공기 유동은 상기 유출라인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부와 상기 유출라인은 유출부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소금이 상기 유출라인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라인까지 연장된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유출부로 유출되는 소금이 상기 제1 저장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송풍부의 흡입력이 분리부를 통해 염전의 소금물까지 전달되므로, 염전의 소금물이 분리부로 인입되어 소금과 물(염수)로 분리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송풍부의 흡입력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하여 제1 저장부까지의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므로,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된 소금이 상기 송풍부의 흡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저장부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공기 흐름으로 염전의 소금물의 분리를 수행할 수 있어 염전소금 채취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송풍부는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제1 저장부의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므로, 상기 소금물의 유입과 상기 소금의 이동에 균일하게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분리부에서는 소금물은 하부로 이동되어 분리유닛에서 분리되며, 흡입력을 형성한 공기는 상부로 이동되어 계속 순환되어 흡입력을 유지하므로, 상기 공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유닛은 소금 입자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 입자만 통과할 수 있는 타공망을 포함하므로, 물(염수)이 하부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분리 과정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염수)의 배수시, 차폐유닛을 통해 소정압력 이상인 경우만 주기적으로 물(염수)가 배출되므로, 상기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를 지속적으로 동작시키면서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물(염수)을 주기적으로 외부로 제거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배수유닛의 개폐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100)(이하, 자동화장치라 함)는 분리부(110), 송풍부(120), 제1 저장부(130), 제2 저장부(140) 및 배수유닛(150)을 포함하며, 흡입라인(111), 송풍라인(121), 유출라인(131) 및 배수라인(14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110)는 상기 흡입라인(111)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라인(111)을 통과하여 흡입된 염전의 소금물(10)을 소금(11)과 물(염수)(12)로 분리한다.
이 경우, 상기 흡입라인(111)을 통해 상기 소금물(10)을 흡입할 수 있도록 인가되는 흡입력은 상기 송풍부(120)를 통해 발생된다.
상기 송풍부(120)는 흡입력을 생성하며, 상기 송풍부(120)에서 생성된 흡입력을 통해 공기(20)가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송풍부(120)에서 생성된 흡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20)는 상기 흡입라인(111)으로부터 상기 분리부(11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라인(12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소금물(10)은 상기 흡입라인(111)을 따라 상기 분리부(11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분리부(110)에서는, 상기 공기(20)는 상기 송풍부(12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분리부(110)의 상부에 연결된 상기 송풍라인(121)을 통해 상기 분리부(110)의 외부로 유출되며, 상기 소금물(10)은 중력에 의해 상기 분리부(110)의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분리부(110)는 하부에 배치된 분리유닛(115)을 포함하며, 상기 소금물(10)은 상기 분리유닛(115)에서 소금(11)과 물(12)로 분리된다. 이 경우, 상기 분리유닛(11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일단이 상기 송풍라인(121)을 통해 상기 분리부(110)와 연결된 상기 송풍부(120)는, 타단은 상기 유출라인(131)을 통해 상기 제1 저장부(130)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흡입라인(111)을 통해 상기 소금물(10)을 흡입한 상기 공기(20)는 상기 송풍라인(121)을 통해 상기 송풍부(120)로 유입되며, 상기 송풍부(120)에서는 일 방향의 공기 흐름을 유지하여 상기 유출라인(131)을 통해 상기 제1 저장부(130)로 상기 공기(20)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송풍부(120)는, 상기 공기(20)가 상기 흡입라인(111), 상기 분리부(110), 상기 송풍라인(121), 상기 송풍부(120), 상기 유출라인(131) 및 상기 제1 저장부(130)의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공기 유동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유출라인(131)과 상기 분리유닛(115)은 유출부(13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분리유닛(115)에서 분리된 소금(11)이 상기 유출부(132)를 통해 상기 유출라인(131)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유출라인(131)에 형성된 상기 공기(20)의 유동에 의해 상기 소금(11)은 상기 송풍부(120)로부터 상기 제1 저장부(130)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저장부(130)에 상기 소금(11)은 축적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부(120)에서 생성한 일 방향의 공기의 유동에 의해 소금물(10)이 흡입되고, 분리된 소금(11)은 제1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유닛(115)에서 분리된 물(염수)(12)는 상기 유출라인(131)과는 서로 구별된 상기 배수라인(141)을 통해 상기 제2 저장부(140)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저장부(140)에는 상기 물(염수)(12)이 저장된다.
상기 배수유닛(150)은 상기 배수라인(141)과 상기 제2 저장부(140)의 연결부에 고정되며, 상기 물(12)의 배수를 제어한다. 상기 배수유닛(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분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유닛(115)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분리스크류(119) 및 타공망(116)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스크류(119)는 중심축(117) 및 연장부(118)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스크류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분리스크류(119)는 상기 중심축(117)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중심축(117)으로부터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연장된 상기 연장부(118)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연장부(118)들 사이에 위치한 소금물(10)은 상기 중심축(117)의 회전에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상기 타공망(116)은 소금(11) 입자는 통과하지 못하나 물(12) 입자는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pore)들이 형성되므로, 상기 분리유닛(115)으로 이동된 상기 소금물(10) 중, 상기 물(12)은 상기 타공망(116)을 관통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스크류(119)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소금물(10) 중, 상기 타공망(116)을 통과하지 못한 소금(11) 만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된 소금(11)은 전술한 상기 유출부(132)를 통해 상기 유출라인(131)으로 유출된다.
한편, 상기 타공망(116)을 통과한 상기 물(염수)(12)는 상기 배수라인(141)으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유닛(115)에서는 상기 분리스크류(119)와 상기 타공망(116)을 통해, 상기 소금물(10)이 상기 소금(11)과 상기 물(12)로 분리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배수유닛의 개폐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들이다.
상기 배수라인(141)으로 배수된 상기 물(12)은 상기 제2 저장부(140)로 이동되기 전, 상기 배수유닛(150)을 통과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배수유닛(150)은 제1 유로(151), 제2 유로(152) 및 차폐유닛(153)을 포함하여, 상기 물(12)을 주기적으로 상기 제2 저장부(140)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주기적인 펌프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물(12)을 상기 제2 저장부(1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차폐유닛(153)은 상기 제1 유로(151) 및 상기 제2 유로(152)와 상기 배수라인(141)을 차폐하여, 상기 물(12)의 이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차폐유닛(153)까지 이동한 상기 물(121)이 미리 설정된 소정 압력 이하로 상기 차폐유닛(153)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차폐유닛(153)은 상기 배수라인(141)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물(12)은 상기 제2 저장부(140)로 이동되지 못한다.
반면,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차폐유닛(153)까지 이동한 상기 물(121)이 미리 설정된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기 차폐유닛(153)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차폐유닛(153)은 상기 배수라인(141)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물(12)은 상기 제2 저장부(140)로 이동된다.
이와 달리, 상기 차폐유닛(153)은 압력상태에 따라 개폐되는 대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가 제어될 수 있고, 나아가, 별도의 펌프부(미도시)의 동작에 동기화되어 개폐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153)의 개폐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므로, 상기 차폐유닛(153)이 폐쇄된 상태에서, 즉 상기 물(12)이 상기 제2 저장부(140)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저장부(140)에 저장된 물(12)을 외부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자동화 장치(10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제2 저장부(140)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송풍부의 흡입력이 분리부를 통해 염전의 소금물까지 전달되므로, 염전의 소금물이 분리부로 인입되어 소금과 물(염수)로 분리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송풍부의 흡입력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하여 제1 저장부까지의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므로, 상기 분리부에서 분리된 소금이 상기 송풍부의 흡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저장부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공기 흐름으로 염전의 소금물의 분리를 수행할 수 있어 염전소금 채취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송풍부는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제1 저장부의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므로, 상기 소금물의 유입과 상기 소금의 이동에 균일하게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분리부에서는 소금물은 하부로 이동되어 분리유닛에서 분리되며, 흡입력을 형성한 공기는 상부로 이동되어 계속 순환되어 흡입력을 유지하므로, 상기 공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유닛은 소금 입자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 입자만 통과할 수 있는 타공망을 포함하므로, 물(염수)이 하부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분리 과정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염수)의 배수시, 차폐유닛을 통해 소정압력 이상인 경우만 주기적으로 물(염수)가 배출되므로, 상기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를 지속적으로 동작시키면서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물(염수)을 주기적으로 외부로 제거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는 염전에서 염수를 분리하여 소금을 채취하는 작업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10 : 소금물 11 : 소금
12 : 물(염수) 20, 21 : 공기
110 : 분리부 111 : 흡입라인
115 : 분리유닛 116 : 타공망
119 : 분리스크류 120 : 송풍부
121 : 송풍라인 130 : 제1 저장부
131 ; 유출라인 140 : 제2 저장부
141 : 배수라인 150 : 배수유닛

Claims (13)

  1. 흡입라인을 통해 흡입된 염전의 소금물이 소금과 물(염수)로 분리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소금이 저장되는 제1 저장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물(염수)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제1 저장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분리부까지 상기 소금물이 이동되도록 흡입력을 인가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서,
    상기 흡입라인을 통해 흡입된 상기 소금물은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라인으로 흡입력을 인가한 공기는 상부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소금물로부터 소금과 물(염수)을 분리하는 분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스크류, 및 상기 분리스크류의 하부에 위치한 타공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소금물 중 소금은 일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소금물 중 물(염수)는 상기 타공망을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제2 저장부는 배수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공망을 통과한 물(염수)이 상기 제2 저장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라인에는 상기 물(염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배수유닛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닛은,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배수유닛으로 유입된 상기 물(염수)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개구되어 상기 물(염수)을 상기 제2 저장부로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와 상기 송풍부는 송풍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송풍라인까지 공기 유동을 형성하여 상기 소금물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제1 저장부는 유출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흡입라인 및 상기 송풍라인을 통과한 공기 유동은 상기 유출라인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와 상기 유출라인은 유출부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소금이 상기 유출라인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라인까지 연장된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유출부로 유출되는 소금이 상기 제1 저장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KR1020140011362A 2014-01-29 2014-01-29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KR20150090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62A KR20150090562A (ko) 2014-01-29 2014-01-29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62A KR20150090562A (ko) 2014-01-29 2014-01-29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62A true KR20150090562A (ko) 2015-08-06

Family

ID=5388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362A KR20150090562A (ko) 2014-01-29 2014-01-29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5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6808B2 (en) 2013-03-21 2019-08-13 Joong Il Choi Sea water evaporator, and evaporation rope module for salt prod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6808B2 (en) 2013-03-21 2019-08-13 Joong Il Choi Sea water evaporator, and evaporation rope module for salt prod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330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5761690U (zh) 一种大豆自动清洗装置
CN104722536B (zh) 汽车仪表的除尘装置
CN107840392A (zh) 一种污水分离工艺
JP5952601B2 (ja) 腹水処理装置及び腹水処理方法
KR20150090562A (ko) 염전소금 채취용 자동화장치
CN104984616A (zh) 纺织自动除尘装置
CN104399599B (zh) 一种自动下料出料脱油机
JP6183622B2 (ja) ドラム型濃縮機の固形物回収システム
KR20140050922A (ko) 천일염의 세척 및 탈수장치
JP5334155B2 (ja) 処理液循環利用システム
CN106378339B (zh) 一种卷纸加工设备
CN205730711U (zh) 离心式除尘装置
KR20110122505A (ko) 기판처리장치
JP5289296B2 (ja) 処理液の回収装置
CN209662672U (zh) 一种浸提罐除渣装置
JP2006325680A (ja) 連続洗濯機のリント除去・自動排出装置、および同方法
KR101239603B1 (ko) 스테인리스강의 산세폐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DK179189B1 (en) Method for restoring damaged electronic devices by cleaning and apparatus
JP6481379B2 (ja) クーラントゴミ回収装置
DK2781646T3 (en) Dryer with lint filter cleaning and with integrated shut-off valve
CN209677333U (zh) 加温加湿装置与振槽的衔接部分
CN215075264U (zh) 一种百合筛选除杂用振动装置
KR101656854B1 (ko) 유리가루 분리장치
EP1361022A2 (en) Circular vibratory finishing machine with automatic separation of the parts to be treated and of the finishing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