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937A - 인터벌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인터벌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937A
KR20150089937A KR1020150008512A KR20150008512A KR20150089937A KR 20150089937 A KR20150089937 A KR 20150089937A KR 1020150008512 A KR1020150008512 A KR 1020150008512A KR 20150008512 A KR20150008512 A KR 20150008512A KR 20150089937 A KR20150089937 A KR 20150089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shooting
interval
power sav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5/2324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9Recording in, or reproducing from, a specific memory area or areas, or recording or reproducing at a specific moment
    • H04N1/2133Recording or reproducing at a specific moment, e.g. time interval or time-lapse
    • H04N5/23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촬상 장치(1)는 인터벌 촬영 처리부(52)와, 동작 관리 제어부(53)를 구비한다.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으로 반복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을 제어하고,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 또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의 차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벌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IMAGE CAPTURE APPARATUS PERFORMING INTERVAL SHOOTING, IMAGE CAPTURE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터벌 촬영에 있어서, 실제의 촬영 처리 이외의 인터벌 시간도 촬영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 전지의 소모나 촬상 장치의 온도 상승과 같은 폐해가 있기 때문에,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하는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9386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촬영 간격의 값에 의거하여, 자동 전원 오프 및 자동 전원 온의 시간이 자동 설정된다.
그러나, 촬영 기술도 다양하게 되어 오고 있으며, HDR(High Dynamic Range)기술을 사용해서 예술적인 화상 처리를 실시한 촬영을 실행하는 HDR 아트와 같은 특수한 촬영을 실행하면 연사된 화상을 합성하는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촬영에 비해 촬영 후의 처리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반드시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한 촬상 장치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으로 반복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와, 상기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 또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전력 관리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련된 촬상 방법은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으로 반복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처리와, 상기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 또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전력 제어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관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으로 반복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기능과, 상기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 또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전력 제어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해당 도면은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은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기술이 이하의 도면과 아울러 고려되면, 본원의 더욱 깊은 이해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의 기능적 구성 중, 인터벌 촬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촬영 씬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의 촬상 장치가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인터벌 촬영 처리 중,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인터벌 촬영 처리 중, 복귀 제어 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성된다.
촬상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ROM(Read Only Memory)(12)과, RAM(Random Access Memory)(13)과, 버스(1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와, 촬상부(16)와, 입력부(17)와, 출력부(18)와, 기억부(19)와, 통신부(20)와, 드라이브(21)를 구비하고 있다.
CPU(11)는 ROM((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9)로부터 RAM(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13)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1), ROM((12) 및 RAM(13)은 버스(14)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촬상부(16), 입력부(17), 출력부(18), 기억부(19), 통신부(20) 및 드라이브(21)가 접속되어 있다.
촬상부(16)는 도시하지는 않지만, 광학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렌즈부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광을 집광하는 렌즈,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된다.
포커스 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피사체 상을 결상시키는 렌즈이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일정한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렌즈이다.
광학 렌즈부는 또 필요에 따라, 초점, 노출, 화이트 밸런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가 마련된다.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 소자나, AFE(Analog Front End)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에는 광학 렌즈부로부터 피사체 상이 입사된다. 그래서, 광전 변환 소자는, 피사체 상을 광전 변환(촬상)해서 화상 신호를 일정 시간 축적하고, 축적한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해서 AFE에 순차 공급한다.
AFE는 이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대해,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신호 처리에 의해서, 디지털 신호가 생성되고,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를 이하, 「촬상 화상의 데이터」라고 한다. 촬상 화상의 데이터는 CPU(11)나 도시하지 않은 화상 처리부 등에 적절히 공급된다.
입력부(17)는 각종 버튼 등으로 구성되며, 유저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출력부(18)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화상이나 음성을 출력한다.
기억부(19)는 하드 디스크 혹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20)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21)에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31)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21)에 의해서 리무버블 미디어(31)로부터 읽어 내어진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19)에 인스톨된다. 또, 리무버블 미디어(31)는 기억부(19)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19)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설정한 촬영 간격으로 촬영 처리를 실행하고, 소정의 촬영 간격으로 촬영된 복수개의 화상(이하, 「인터벌 촬영 화상」이라 함)을 취득하는 인터벌 촬영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종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촬영 간격이 너무 짧으면, 촬영 후의 보존 처리 등의 처리가 종료하기 전에 다음의 촬영 간격으로 되어 버려, 촬영이 실행되지 않고, 인터벌 촬영이 확약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촬영에 관한 처리(촬영 후의 처리나 촬영 전의 처리)를 고려해서 촬영 간격의 설정을 허용함으로써, 확실하게 인터벌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는 인터벌 촬영의 비촬영시에는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하지만,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즉, 촬상 장치(1)는 인터벌 촬영의 촬영마다의 촬영에 관한 처리(촬영 후의 처리나 촬영 전의 처리)를 고려해서 전력 절약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확실하게 인터벌 촬영을 실행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장치(1)에서는 인터벌 촬영의 촬영을 실행하고, 촬영 후의 처리가 종료할 때마다 다음의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시간을 토대로,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슬립을 실행하거나, 전력 절약(전원/슬립 오프)을 금지할지를 판정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표준적인 촬영 후의 파일화와 같은 보존 처리에 대해서도 소정의 처리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해당 처리를 고려해서, 처리가 종료한 타이밍에서 장치의 계시 기능과 같은 필요 최소한의 기능을 제외한 기능을 오프하거나,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를 소등하는 슬립을 실행하거나, 혹은 전력 절약(전원/슬립 오프)을 금지하는 어느 처리를 실행할지를 판정하도록 구성한다. 더 나아가서는 HDR 아트나 매크로에서 무한원까지 초점이 맞고 있는 전체 초점 매크로와 같은 촬영 후의 연사된 화상을 합성하는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많은 시간이 필요한 촬영 씬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촬영 씬에서 필요한 처리가 종료한 타이밍에서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슬립을 실행하거나, 전력 절약(전원/슬립 오프)을 금지하는 어느 처리를 실행할지를 판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슬립보다 전원의 오프가 전력 절약 효과는 높지만, 촬영 가능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은 길다.
또, 촬상 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스트로보 충전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다음회의 촬영까지의 동안에 스트로보 충전의 기동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기동 시간을 고려한 전원의 오프나 슬립으로부터의 복귀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서는 인터벌 촬영에 영향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한다.
도 2는 이러한 촬상 장치(1)의 기능적 구성 중, 인터벌 촬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인터벌 촬영 처리는 촬영 씬에 따른 설정하에서 인터벌 촬영을 실행하는 동시에, 촬영을 실행하지 않는 시기에 설정에 따른 전력 절약에 관한 동작 관리를 실행하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인터벌 촬영 처리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1)에 있어서, 촬영 씬 설정부(51)와, 인터벌 촬영 처리부(52)와, 동작 관리 제어부(53)가 기능한다.
또, 기억부(19)의 1영역에는 촬영 씬 정보 기억부(71)와, 인터벌 촬영 화상 기억부(72)와, 동작 조건 정보 기억부(73)가 설정된다.
촬영 씬 정보 기억부(71)에는 촬영 씬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의 정보(이하, 「촬영 씬 정보」라 함)가 기억된다.
촬영 씬 정보는 촬영 씬과, 촬영에 관한 파라미터가 대응지어져 있는 테이블(이하, 「촬영 씬 테이블」이라 함)을 포함한다.
여기서, 촬영 씬 테이블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촬영 씬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촬영 씬 테이블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촬영 씬」과,「촬영 간격」,「촬영 개수」,「포커스」,「노출」,「화이트 밸런스」,「셔터 스피드」,「촬영 처리 시간」,「복귀 시간」이 대응지어져 있다.
「촬영 씬」으로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멀」, HDR 처리를 실시한 화상을 원하는 경우의 「HDR 아트」, 인물을 촬영하는 경우의 「인물」, 야경을 촬영하는 경우의 「야경」, 꽃을 촬영하는 경우의 「꽃」, 야간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의 「야간(스트로보 충전)」이 있다.
각각의 촬영 씬에서는 원하는 화상이나 피사체에 적합한 촬영 파라미터가 초기 설정되고, 예를 들면 「촬영 간격」 등에 있어서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유저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각 촬영 씬에서는 보존 처리 등으로, 촬영 후에 후처리의 시간이 걸린다. 또한, 촬영 후의 후처리의 시간에 관해서는 특히, 「촬영 씬: HDR 아트」의 경우에는 촬영 후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등을 위해 「촬영 처리 시간」이 다른 촬영 씬보다 많은 시간을 요하는 특성이 있다. 본 예의 촬영 씬 테이블에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체 초점 매크로의 촬영 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서는 전력 절약/복귀의 동작 제어에 의한 전원의 관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전원 오프나 슬립의 개시 시간을 「촬영 처리 시간」을 고려해서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또, 촬영 간격이 촬영 처리 시간보다 짧거나 촬영 처리 시간을 고려하면 거의 잔여 시간이 없는 경우에는 전원 오프나 슬립을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촬영 씬: 야간(스트로보 충전)」의 경우에는 촬영에 대비해서 스트로보 충전의 준비를 하기 위해, 촬영을 재개하기 전에 촬영에 복귀하기 위한 복귀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서는 전력 절약을 고려해서 전원의 관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복귀 시간」 을 공제하여, 전원 오프나 슬립의 유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2로 되돌아가, 인터벌 촬영 화상 기억부(72)에는 인터벌 촬영에서 취득한 복수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한다.
동작 조건 정보 기억부(73)에는 촬영 씬에 대응한 장치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건의 정보(이하,「동작 조건 정보」라 함)가 기억된다.
본 실시형태의 동작 조건 정보는 전력 절약 처리와 복귀 제어 처리의 동작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각종 조건식의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절약 처리의 동작은 전원 오프와, 슬립과,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의 동작이다.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하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건은 이하의 전력 절약 조건식 1에 있어서 T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이다.
R-(b1+b3)≥T1…전력 절약 조건식 1
또한,「R」은 인터벌 촬영마다의 촬영 후의 처리를 실행한 타이밍부터 다음회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이고,「b1」은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예: 10초)이며,「b3」은 촬영 씬에 의존하는 그 밖의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이고,「T1」은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하는 임계값(예: 1분)이다.
또, 슬립 상태로 이행하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건은 이하의 전력 절약 조건식 2에 있어서 T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이다.
R-(b2+b3)≥T2…전력 절약 조건식 2
또한,「R」은 인터벌 촬영마다의 촬영 후의 처리를 실행한 타이밍부터 다음회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이고,「b2」는 슬립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예: 3초)이며,「b3」은 촬영 씬에 의존하는 그 밖의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이고,「T2」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는 임계값(예: 10초)이다.
또,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로 하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건은 상술한 전력 절약 조건식 1 및 2에 대한 조건을 각각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로 된다.
이에 대해,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복귀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건은 이하의 복귀 조건식 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이다.
R-(b1+b3)≤0…복귀 조건식 1
또한, 「R」은 인터벌 촬영마다의 촬영 후의 처리를 실행한 타이밍부터 다음회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이고,「b1」은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예: 10초)이며,「b3」은 촬영 씬에 의존하는 그 밖의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이다.
또,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복귀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건은 이하의 복귀 조건식 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이다.
R-(b2+b3)≤0…복귀 조건식 2
또한,「R」은 인터벌 촬영마다의 촬영 후의 처리를 실행한 타이밍부터 다음회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이고,「b2」는 슬립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예: 3초)이며,「b3」은 촬영 씬에 의존하는 그 밖의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이다.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의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복귀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건은 이하의 복귀 조건식 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이다.
R-b3≤0…복귀 조건식 3
또한,「R」은 인터벌 촬영마다의 촬영 후의 처리를 실행한 타이밍부터 다음회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이고,「b3」은 촬영 씬에 의존하는 그 밖의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이다.
촬상 장치(1)에서는 상술한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실행을 전력 절약 조건식 1 및 2로부터 판단하고, 복귀 제어 처리의 실행을 복귀 조건식 1 및 2로부터 판단하는 것에 의해 실행한다. 즉, 촬상 장치(1)에서는 설정된 촬영 씬에 따라, 각 조건으로부터 전력 절약 제어 처리나 복귀 제어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도 2로 되돌아가, 촬영 씬 설정부(51)는 촬영 씬에 따른 촬영에 관한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씬 설정부(51)는 유저로부터의 촬영 씬의 선택을 접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저로부터의 촬영 씬의 선택을 접수하도록 구성했지만, 장치가 주위의 환경이나 피사체 등을 자동 판별하여 촬영 씬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촬영 씬 설정부(51)는 촬영 씬 정보 기억부(71)에 기억되는 촬영 씬 정보(구체적으로는 도 3의 촬영 씬 테이블)를 참조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촬영 씬에 따른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유저로부터의 파라미터 변경도 접수한다.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인터벌 촬영에 관한 촬상부(16)의 제어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설정된 개수의 인터벌 촬영 화상을 취득하기 위해 촬영 개수의 관리와, 촬상부(16)의 제어를 실행한다.
또,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후의 처리로서, 촬상부(16)로부터 출력된 인터벌 촬영 화상에 대해, 촬영 씬의 설정에 의거하여, 각종 촬영 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촬영 씬의 표준적인 처리로서의 화상의 보존 처리나 촬영 씬 특유의 처리로서, HDR의 처리를 실시한 화상의 생성 처리나 전체 초점 매크로의 처리를 실시한 화상의 생성 처리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후의 처리를 실시한 인터벌 촬영 화상을 기억하도록 인터벌 촬영 화상 기억부(72)를 제어한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장치의 전원 관리에 관한 동작이나, 전원 관리를 경유한 상태로부터의 복귀에 관한 동작 등의 각종 동작의 관리를 제어한다. 또,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와, 복귀 제어 처리부(92)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원 관리로서 전원 오프나 슬립을 실행하지만, 전원 오프는 렌즈의 침동 상태를 수반하는 각종 기능의 정지 상태를 포함하고, 슬립은 렌즈의 침동 상태를 수반하지 않는 각종 기능의 일시적인 정지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전원 오프, 슬립,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의 판정 및 제어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인터벌 촬영의 촬영 간격과, 촬영 후의 처리를 고려해서, 전원 오프, 슬립,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의 결정을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동작 조건 정보 기억부(73)에 기억되는 전력 절약 조건식 1 및 2에 의해, 전원 오프, 슬립,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의 결정을 실행한다. 즉,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전력 절약 조건식 1을 만족시킴으로써 전원 오프로 하고, 전력 절약 조건식 1을 만족시키지 않고 전력 절약 조건식 2를 만족시킴으로써 슬립으로 하고, 전력 절약 조건식 1 및 2 모두 만족시키지 않음으로써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로 한다.
또,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전력 절약 조건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원 오프, 슬립,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 중의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전원 오프 상태로의 이행, 슬립 상태로의 이행, 전원 오프 또는 슬립의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을 금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전원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 상태로부터 장치의 기능 복귀(촬영 대기 상태로의 복귀)의 판정 및 제어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인터벌 촬영의 촬영 간격과, 촬영 전의 처리를 고려해서, 전원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 상태로부터의 복귀의 결정을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동작 조건 정보 기억부(73)에 기억되는 복귀 조건식 1 내지 3에 의해, 전원 오프 상태, 슬립 상태,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 상태로부터의 복귀의 결정을 실행한다. 즉,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복귀 조건식 1을 만족시키는 것, 슬립 상태에서 복귀 조건식 2를 만족시키는 것,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 상태에서 복귀 조건식 3을 만족시킴으로써 복귀로 한다.
또,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전력 절약 조건의 판단 결과에 따라, 촬영 대기 상태로의 복귀 처리를 실행한다. 복귀 처리는 단순한 촬영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며, 촬영 씬에 따라서는 스트로보 충전 등의 기동 처리도 포함한다.
도 4는 도 2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의 촬상 장치(1)가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인터벌 촬영 처리는 유저에 의한 입력부(17)에의 인터벌 촬영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된다.
스텝 S11에 있어서, 촬영 씬 설정부(51)는 유저에 의해 입력부(17)를 통한 촬영 씬의 선택을 접수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촬영 씬 설정부(51)는 촬영 씬 정보 기억부(71)에 기억되는 촬영 씬 테이블을 참조해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촬영 씬에 따른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촬영 씬 설정부(51)는 유저에 의해 입력부(17)를 통해 설정된 촬영 씬의 파라미터의 변경을 접수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유저에 의해 입력부(17)를 통해 촬영 개시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 개시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4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촬영 개시 조작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촬영 개시 조작이 있던 경우에는 스텝 S14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이후의 인터벌 촬영에 대비하여, 촬영 개수를 0으로 카운트한다.
스텝 S16에 있어서,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을 실행한다. 즉,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씬의 설정에 의거하여, 촬상부(16)를 제어한다.
또한,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에 있어서 모니터링을 하고, 화상을 출력부(18)에 표시시키도록 구성해도 좋고,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정지하고, 출력부(18)의 표시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스텝 S17에 있어서,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상부(16)로부터 출력된 인터벌 촬영 화상에 대해, 촬영 씬의 설정에 의거하여, 각종 촬영 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후의 처리를 실시한 인터벌 촬영 화상을 인터벌 촬영 화상 기억부(72)에 기억시킨다.
스텝 S18에 있어서,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후의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 후의 처리가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8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6으로 되돌아간다.
촬영 후의 처리가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8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9로 진행한다.
스텝 S19에 있어서,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개수를 1개 인크리먼트해서 카운트한다.
스텝 S20에 있어서,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개수분 완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 개수분 완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인터벌 촬영 처리는 종료한다.
촬영 개수분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로 진행한다.
스텝 S21에 있어서,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복귀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복귀 제어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6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인터벌 촬영 처리 중,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설명한다.
도 5는 인터벌 촬영 처리 중,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31에 있어서,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전력 절약 조건식 1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력 절약 조건식 1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31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4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전력 절약 조건식 1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즉,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1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2로 진행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장치의 각 기능부를 제어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전력 절약 조건식 2를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력 절약 조건식 2를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33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5로 진행한다. 스텝 S35의 처리는 후술한다.
전력 절약 조건식 2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즉,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3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4로 진행한다.
스텝 S34에 있어서,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장치의 각 기능부를 제어한다.
스텝 S35에 있어서,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전력 절약 제어(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를 금지한다. 즉,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도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되어,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91)는 기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치의 각 기능부를 제어한다.
다음에, 인터벌 촬영 처리 중, 복귀 제어 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설명한다.
도 6은 인터벌 촬영 처리 중, 복귀 제어 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51에 있어서,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전원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원 오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51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53으로 진행한다. 스텝 S53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스텝 S52에 있어서,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복귀 조건식 1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전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복귀 조건식 1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52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복귀 조건식 1을 만족시키는 상태로 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복귀 조건식 1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즉,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전으로 된 경우에는 스텝 S52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56으로 진행한다. 스텝 S56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슬립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슬립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53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55로 진행한다.
슬립 상태인 경우에는 스텝 S53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54로 진행한다.
스텝 S54에 있어서,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복귀 조건식 2를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슬립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전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복귀 조건식 2를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54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복귀 조건식 2를 만족시키는 상태로 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복귀 조건식 2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즉, 슬립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전으로 된 경우에는 스텝 S54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56으로 진행한다.
스텝 S55에 있어서,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복귀 조건식 3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기동 상태로부터 촬영 씬에 의존하는 그 밖의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전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복귀 조건식 3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55에 있어서 NO로 판정되어, 복귀 조건식 3을 만족시키는 상태로 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복귀 조건식 3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즉, 기동 상태로부터 촬영 씬에 의존하는 그 밖의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전으로 된 경우에는 스텝 S55에 있어서 YES로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56으로 진행한다.
스텝 S56에 있어서, 복귀 제어 처리부(92)는 촬영 대기 상태로의 복귀 처리를 실행한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의 전력 절약 조건식 및 복귀 조건식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전력 절약 조건식 1, 2 대신에 이하의 식이 적용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전력 절약 조건식 1, 2에서는 촬영 후의 처리가 종료할 때마다 다음의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에 따라 전력 절약에 관한 제어를 결정하고 있었지만, 본 예의 전력 절약 조건식 1, 2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과 도 3의 촬영 씬 테이블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촬영 씬에 따른 촬영 후의 처리 시간의 차로 전력 절약에 관한 제어를 결정한다.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하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건은 이하의 전력 절약 조건식 1에 있어서 T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이다.
I-(a+b1+b3)≥T1…전력 절약 조건식 1
또한, 「I」는 촬영 간격이고, 「a」는 촬영 씬마다의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며,「b1」은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예: 10초)이고,「b3」은 촬영 씬마다의 그 밖의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이며,「T1」은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하는 임계값(예: 3분)이다.
또, 슬립 상태로 이행하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건은 이하의 전력 절약 조건식 2에 있어서 T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이다.
I-(a+b2+b3)≥T2…전력 절약 조건식 2
또한, 「I」는 촬영 간격이고,「a」는 촬영 씬마다의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며,「b2」는 슬립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예: 3초)이고,「b3」은 촬영 씬마다의 그 밖의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이며,「T2」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는 임계값(예: 1분)이다.
또한, 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로 하는 전력 절약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조건은 상술한 전력 절약 조건식 1 및 2에 대한 조건을 각각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로 된다.
이에 대해, 복귀 제어 처리의 동작을 결정하는 복귀 조건식 1∼3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촬상 장치(1)는 인터벌 촬영 처리부(52)와, 동작 관리 제어부(53)를 구비한다.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으로 반복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을 제어한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 또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따라, 전력 절감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 또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기 위해,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인터벌 촬영 처리부(52)에 의해 제어되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과,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 가능하게 결정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촬영 처리가 종료하고나서 다음의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인터벌 촬영 처리부(52)에 의해 제어되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과,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의 차가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전력 절약 처리 상태로의 이행을 금지한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불필요하게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인터벌 촬영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인터벌 촬영을 확약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 또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인터벌 촬영 처리부(52)에 의해 제어되는 임의로 설정된 촬영 간격과, 임의로 설정된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 가능하게 결정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인터벌 촬영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고, 인터벌 촬영을 확약할 수 있다.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씬에 의해 촬영 처리의 설정 및 상기 촬영 간격의 설정을 변경해서 인터벌 촬영을 제어한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촬영 씬에 대응하는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인터벌 촬영을 확약할 수 있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인터벌 촬영 처리부(52)에 의해 제어되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과,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인터벌 촬영을 확약할 수 있는 동시에,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촬영 처리가 종료하고나서 다음의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과,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인터벌 촬영을 확약할 수 있는 동시에,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인터벌 촬영 처리부(52)에 의해 제어되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과,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의 차가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을 금지한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불필요하게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인터벌 촬영을 확약할 수 있다.
인터벌 촬영 처리부(52)는 촬영 씬에 의해 촬영 처리의 설정을 변경해서 인터벌 촬영을 제어한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촬영 씬에 대응하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인터벌 촬영의 촬영 방법에 관계없이, 인터벌 촬영을 확약할 수 있다.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 또는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의 복귀와는 다른 촬영 준비(예를 들면, 스트로보 충전 등)에 요하는 시간이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인터벌 촬영을 확약할 수 있다.
동작 관리 제어부(53)는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종류(예를 들면, 전원의 오프/슬립/전력 절약 제어의 금지 등)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효율적으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씬 테이블에는 촬영 씬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고정의 촬영 간격과, 촬영 처리 시간 및 그 밖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의 차를 기억해 두고, 그 값으로 전력 절약 제어나 복귀 제어를 결정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라이브 뷰를 확인하거나, 또는 촬영 개수를 확인하는 바와 같은 목적을 위해, 입력부(17)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복귀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개수의 촬영이 종료하기 전에. 입력부(17)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인터벌 촬영을 강제로 종료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촬상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인터벌 촬영 처리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일반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노트북, 프린터,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 휴대용 게임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환언하면, 도 2의 기능적 구성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촬상 장치(1)에 구비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어떠한 기능 블록을 이용할 것인지는 특히 도 2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1개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체로 구성해도 좋고, 소프트웨어 단체로 구성해도 좋으며,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좋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라도 좋다. 또,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라도 좋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도 1의 리무버블 미디어(31)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리무버블 미디어(31)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 포함), 광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 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Blu-ray(등록상표) Disc(블루 레이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도 1의 ROM(12)이나, 도 1의 기억부(19)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그 순서를 따라 시계열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밖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이나 치환 등 각종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촬상 장치 11: CPU
12: ROM 13 RAM
14 버스 15: 입출력 인터페이스
16: 촬상부 17: 입력부
18: 출력부 19: 기억부
20: 통신부 21: 드라이브
31: 리무버블 미디어 51: 촬영 씬 설정부
52: 인터벌 촬영 처리부 53: 동작 관리 제어부
71: 촬영 씬 정보 기억부 72: 인터벌 촬영 화상 기억부
73: 동작 조건 정보 기억부 91: 전력 절약 제어 처리부
92: 복귀 제어 처리부

Claims (15)

  1.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으로 반복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와,
    상기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 또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전력 관리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과, 상기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 가능하게 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상기 촬영 처리가 종료하고나서 다음의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과, 상기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의 차가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으로서, 상기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 또는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고,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임의로 설정된 촬영 간격과, 상기 임의로 설정된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 가능하게 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부는 촬영하는 대상에 따라 설정되는 촬영 씬에 따라, 상기 촬영 처리의 설정 및 상기 촬영 간격의 설정을 변경해서 인터벌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상기 촬영 씬에 의거하여, 상기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과,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상기 촬영 처리가 종료하고나서 다음의 촬영까지의 잔여 시간과,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과,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의 차가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으로서, 상기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부는 촬영 씬에 의해 상기 촬영 처리의 설정을 변경해서 인터벌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상기 촬영 씬에 대응하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 또는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의 복귀와는 다른 촬영 준비에 요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제어부는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으로서,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종류, 또는 전력 절약 처리를 금지할지의 여부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종류는 해당 촬상 장치의 전원의 오프 또는 슬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으로 반복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처리와,
    상기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 또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전력 제어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5. 촬상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설정되어 있는 촬영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촬영 간격으로 반복 실행하는 인터벌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 기능과,
    상기 촬영 처리에 요하는 시간, 또는 촬영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에 요하는 시간에 따라, 전력 절약 처리 동작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전력 제어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50008512A 2014-01-28 2015-01-19 인터벌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50089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3040A JP6011555B2 (ja) 2014-01-28 2014-01-28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013040 2014-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937A true KR20150089937A (ko) 2015-08-05

Family

ID=5368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512A KR20150089937A (ko) 2014-01-28 2015-01-19 인터벌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00507B2 (ko)
JP (1) JP6011555B2 (ko)
KR (1) KR20150089937A (ko)
CN (1) CN1048115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7143B2 (ja) * 2016-11-14 202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182599A (ja) * 2017-04-17 2018-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
CN107566737A (zh) * 2017-10-10 2018-01-09 上海小蚁科技有限公司 延时拍照控制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相机
CN110401800B (zh) * 2019-08-26 2021-06-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器、拍摄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436A (en) * 1997-08-28 1999-12-14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 wake-up for time lapse image capture in an image capture unit
JP2004126242A (ja) * 2002-10-02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3709412B2 (ja) * 2004-04-30 2005-10-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取り扱い装置
JP2006093867A (ja) 2004-09-21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277837B2 (ja) 2005-08-03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648173B2 (ja) * 2005-12-01 2011-03-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顕微鏡用デジタルカメラ、顕微鏡用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0521737C (zh) * 2005-12-30 2009-07-29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数码影像设备的电源开启状态控制设备及其方法
CN101706673A (zh) * 2009-12-04 2010-05-12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可省电的显示装置、计算机系统及其省电方法
CN102158643B (zh) * 2010-12-17 2013-04-17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自动开关摄像单元的方法及系统
JP5857416B2 (ja) * 2011-02-28 2016-02-10 株式会社ニコン 撮影装置
JP6231804B2 (ja) * 2013-07-30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00507B2 (en) 2018-02-20
JP2015142197A (ja) 2015-08-03
CN104811594B (zh) 2019-06-18
CN104811594A (zh) 2015-07-29
US20150215533A1 (en) 2015-07-30
JP6011555B2 (ja)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772B1 (ko) 촬상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948997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time-lapse moving imag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386213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that can determine appropriate focus position, image captur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00225779A1 (en) Method and Device to extend camera battery life
KR20150090999A (ko) 타임 랩스 동영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7225763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200630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an aperture value based on a change in an aperture diameter,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US9674437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performing interval shooting
JP6149854B2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36120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performing interval shooting, image capture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50089937A (ko) 인터벌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US9674496B2 (en) Method for selecting metering mode and image capturing device thereof
JP2015119323A (ja) 撮像装置、画像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48424B2 (ja) 検出装置、検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合焦装置
JP6217237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66782B1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JP201209004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062825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JP6360409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
JP495246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9278155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7975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KR20150017307A (ko) 타임 랩스 동영상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JP5747638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0006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