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632A -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632A
KR20150089632A KR1020140010494A KR20140010494A KR20150089632A KR 20150089632 A KR20150089632 A KR 20150089632A KR 1020140010494 A KR1020140010494 A KR 1020140010494A KR 20140010494 A KR20140010494 A KR 20140010494A KR 20150089632 A KR20150089632 A KR 20150089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guide groove
plat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2623B1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4001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6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는: 상하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축과, 승강축의 양측 증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판과, 승강판의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판과, 승강판과 지지판에 마련되고, 승강축의 승강시 승강판의 회전을 통해 승강축을 반전시키는 반전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REVERSE DEVICE FOR SUPPLYING COMPONRNT}
본 발명은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축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된 지지판이 반전유도부의 승강을 통한 안내에 의해 반전하게 함으로써, 캡, 커버 등의 부품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반전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제품(cup merchandise)은 컵에 유제품 또는 아이스크림 등의 액상물을 공급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커버(cover, 리드)를 컵 상측에 안치하고, 열을 가해 융착하고, 다시 캡(cap)을 씌워서 제조하여 판매하게 된다.
캡 또는 커버를 공급할 때, 상측에서 상하로 적재된 캡 또는 커버보관부재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축에 캡 또는 커버를 흡착하거나 잡아주는 이송부재를 구비하여 상측에서 공급된 캡 또는 커버를 180°반전하여 하측에 위치한 컵의 상면에 덮어주기위해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캡 또는 커버을 180°반전하는 기존의 반전장치에는 기어를 이용하여 반전하는 장치가 제안되어져 있으나, 부품수가 많아 복잡하므로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마모에 의해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기어 등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되므로 미관상 깔끔하지 못하고, 작업자가 부딪쳐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88458호(발명의 명칭: 뚜껑 공급장치, 2012.09.27: 등록)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승강축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된 지지판이 반전유도부의 승강을 통한 안내에 의해 반전하게 함으로써, 캡, 커버 등의 부품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반전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는, 상하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축; 상기 승강축의 양측 중 적어도 이느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의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판; 및 상기 승강판과 상기 지지판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축의 승강시 상기 승강판의 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축을 반전시키는 반전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유도부는, 상기 승강판에 돌출 형성되는 직진롤러: 상기 직진롤러에 이격되어 상기 승강판에 형성되는 회전롤러; 상기 지지판에 직진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직진롤러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직진안내홈; 및 상기 회전롤러가 삽입되어 이동하고, 상기 직진안내홈에 일부 겹치도록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직진부와, 상기 직진부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회전안내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홈은 상기 직진안내홈에 비해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롤러는 회전롤러축에 결합되는 간격부재에 의해 상기 직진롤러에 비해 상기 승강판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직진안내홈과 상기 회전안내홈의 직진부는 서로 겹치게 형성되고, 상기 직진안내홈과 상기 회전안내홈의 굴곡부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안내홈의 굴곡부는 상하로 대칭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직진안내홈은 상기 굴곡안내홈에 비해 상하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빈전유도부는, 상기 승강판에 형성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의 일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승강판에 형성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의 타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승강판에 형성되는 제3롤러; 상기 제1롤러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제1직진부와, 상기 제1직진부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제1굴곡부를 포함하는 제1안내홈; 상기 제2롤러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제2직진부와, 상기 제2직진부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제2굴곡부를 포함하는 제2안내홈; 및 상기 제3롤러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제3직진부와, 상기 제3직진부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제3굴곡부를 포함하는 제3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안내홈은 상기 제2,3안내홈에 비해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제1롤러는 제1롤러축에 설치되는 간격부재에 의해 상기 제2,제3롤러에 비해 상기 승강판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제2,제3안내홈의 제1,제2,제3직진부는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홈과 상기 제3안내홈은 중심부위에서 상호 교차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홈은 상기 제2,제3안내홈에 비해 상하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제2,제3롤러는 상기 승강판에 이등변삼각형 또는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유도부는, 상기 승강판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안내롤러; 상기 승강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내롤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안내롤러; 상기 제1안내롤러를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의 일부영역에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안내부; 및 상기 돌출안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안내롤러를 안내하여 상기 승강판을 반전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인접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반전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홈부는 상기 돌출안내부의 전 구간 중 중심부위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돌출안내부는 상기 반전홈부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롤러와 상기 제2안내롤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안내부의 최고점과 상기 반전홈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며, 상기 제1안내롤러가 상기 돌출안내부의 최고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안내롤러가 상기 반전홈부에 삽입될 때, 상기 승강판은 90°회전되며, 상기 제1안내롤러는 제1안내롤러축에 설치되는 간격부재에 의해 상기 제;2안내롤러에 비해 상기 승강판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곡안내부의 상하 진입측에는 상기 지지판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중심이 형성되는 제1곡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곡률부를 제외한 상기 굴곡안내부의 나머지 구간에는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회전 중심이 형성되는 제2곡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곡률부의 회전반경은 상기 제1곡률부의 회전반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는, 승강축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된 지지판이 반전유도부의 승강을 통한 안내에 의해 반전하게 함으로써, 캡, 커버 등의 부품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반전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중간 지점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상측 지점 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중간 지점 조립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상측 지점 조립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는, 상하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축(2)과, 승강축(2)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판(10)과, 승강판(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판(20)과, 승강판(10)과 지지판(20)에 마련되고, 승강축(2)의 승강시 승강판(10)의 회전으로 승강축(2)을 반전시키는 반전유도부(30,130,230)를 포함한다.
도 1, 도 4, 도 5,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승강축(2)은 승강수단(번호 미기재)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승강축(2)에는 상측에 상하로 적층된 캡(cap) 또는 커버 등의 부품(4)을 진공 흡착하거나 그립하기 위한 부착부재(5)가 구비되어 하측에 배치된 컨베이어(8)를 따라 이동하는 컵(cup, 6)의 상측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승강축(2)에 구비된 부착부재(5)는 진공 흡착부재 또는 그리퍼 (gripper)일 수 있다. 승강축(2)의 내부에는 에어가 공급되어 이동하는 에어관로가 구성되어 진공 흡입 타입의 부착부재(6)에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
승강축(2)의 양측 중 적어도 이느 일측에 구비된 승강판(10)은 지지판(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승하강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승강축(2)은 부착부재(6)를 이용하여 부품(4)을 승강 이동하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180°회전하는 반전유도부(30,130,230)가 필요하다. 반전유도부(30,130,230)는 승강판(10)이 지지판(20)의 가이드 경로따라 이동하면서 반전된다.
여기서 승강수단은 승강축(2)에 구비된 승강블록에 장착된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일 수 있다. 물론, 구동수단은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 등일 수 있다. 승강블록의 일측에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승강블록에 구비된 피니언기어와, 이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프레임 등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이 구비될 수 있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반전유도부(30)를 살펴 보도록한다.
반전유도부(30)는 승강판(10)에 돌출 형성된 2개의 롤러와, 2개의 롤러가 각각 삽입되는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2개의 안내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반전유도부(30)는, 승강판(10)에 돌출 형성되는 직진롤러(32)와, 직진롤러(32)에 이격되어 승강판(10)에 형성되는 회전롤러(34)와, 지지판(20)에 직진되게 함몰 형성되어 직진롤러(32)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직진안내홈(36)과, 회전롤러(34)가 삽입되어 이동하고, 직진안내홈(36)에 일부 겹치도록 지지판(20)에 형성되는 직진부(37)와, 직진부(37)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굴곡부(38)를 포함하는 회전안내홈(38)을 포함한다.
회전안내홈(38)은 직진안내홈(36)에 비해 더 깊게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롤러(34)는 회전롤러축(35)에 결합되는 간격부재(50)에 의해 직진롤러(32)에 비해 상기 승강판(10)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간격부재(50)는 회전롤러축(35)에 체결되는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간격부재(50)는 회전롤러축(35)에 단순 삽입되는 링부재일 수 있다.
직진안내홈(36)과 회전안내홈(38)의 직진부(37)는 서로 겹치게 형성된다.
직진안내홈(36)과 회전안내홈(38)의 굴곡부(39)는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안내홈(38)의 굴곡부(39)는 상하로 대칭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된다.
직진안내홈(36)은 굴곡안내홈(38)에 비해 상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전유도부(30)를 이용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의 첫 번째 도면을 살펴 보면, 승강판(10)에 설치된 직진롤러(32)는 직진안내홈(36)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승강판(10)에 설치된 회전롤러(34)는 회전안내홈(38)의 상측 직진부(37)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승강축(2)에 설치된 부착부재(8)는 상측으로 향하면서 캡 또는 커버등의 부품(2)을 진공 흡착으로 부착하게 된다.
연이어, 도 4의 두 번째 도면을 살펴 보면, 승강축(2)이 하강함에 따라 직진롤러(32)는 직진안내홈(36)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고, 회전롤러(34)는 회전안내홈(38)의 상측 직진부(37)에서 굴곡부(39)로 이동함에 따라 기울어지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축(2)이 중간 부위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판(10)이 지지판(20)에서 90도 기울어지는 상태로 배치되고, 승강축(2)에 설치된 부착부재(8)는 좌측 수평으로 향하게 된다.
그 다음, 도 4의 세 번째 도면을 살펴보면, 승강축(2)이 하강함에 따라 직진롤러(32)는 직진안내홈(36)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고, 회전롤러(34)는 회전안내홈(38)의 굴곡부(39)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판(10)은 지지판(20)에서 90도 이상 기울어지는 상태로 회전하면서 하향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판(10)에 설치된 직진롤러(32)가 직진안내홈(36)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승강판(10)에 설치된 회전롤러(34)가 회전안내홈(38)의 하측 직진부(37)에 위치한다. 따라서, 승강판(10), 승강축(2) 및 부착부재(5)는 180°반전하여 부착부재(5)에 부착된 부품(4)을 컨베이어(8)를 따라 이동하는 컵(6) 상에 덮어주게 된다. 승강축(2)의 상승은 상기한 반대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회전안내홈(38)은 직진안내홈(36)의 직진 이동거리에 비해 굴곡진 부위의 이동거리가 더 큼에 따라 동일한 상하 높이에 대해 회전롤러(34)의 이동거리가 직진롤러(32)의 이동거리보다 더 크므로 승강판(10)은 회전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반전유도부(130)를 살펴 보도록 한다.
반전유도부(130)는 승강판(10)에 돌출 형성된 3개의 롤러와, 3개의 롤러가 각가 삽입되는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3개의 안내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빈전유도부(130)는, 승강판(10)에 형성되는 제1롤러(132)와, 제1롤러(132)의 일측으로 이격되게 승강판(10)에 형성되는 제2롤러(134)와, 제1롤러(132)의 타측으로 이격되게 승강판(10)에 형성되는 제3롤러(136)와, 제1롤러(132)가 삽입되도록 지지판(20)에 형성되는 제1직진부(139)와, 제1직진부(139)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제1굴곡부(140)를 포함하는 제1안내홈(138)과, 제2롤러(134)가 삽입되도록 지지판(10)에 형성되는 제2직진부(143)와, 제2직진부(143)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제2굴곡부(144)를 포함하는 제2안내홈(142)과, 제3롤러(136)가 삽입되도록 지지판(20)에 형성되는 제3직진부(147)와, 제3직진부(147)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제3굴곡부(148)를 포함하는 제3안내홈(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안내홈(138)은 제2,3안내홈(142,146)에 비해 더 깊게 형성된다.
제1롤러(132)는 제1롤러축(133)에 설치되는 간격부재(150)에 의해 제2,제3롤러(134,136)에 비해 승강판(10)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간격부재(150)는 제1롤러축(133)에 체결되는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간격부재(150)는 제[1롤러축(133)에 단순 삽입되는 링부재일 수 있다.
제1,제2,제3안내홈(132,134,136)의 제1,제2,제3직진부(139,143,147)는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안내홈(142)과 제3안내홈(146)은 중심부위에서 상호 교차 형성된다. 제2안내홈(142)과 제3안내홈(146)은 X자 형태로 교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안내홈(138)은 제2,제3안내홈(142,146)에 비해 상하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제2,제3롤러(132,134,136)는 승강판(10)에 이등변삼각형 또는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제2,제3롤러(132,134,136)를 지지하는 승강판(10)은 T자 형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전유도부(130)를 이용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의 첫 번째 도면을 살펴 보면, 승강판(10)에 설치된 제1롤러(132)는 제1안내홈(138)의 상측 제1직진부(139)에 위치하고, 제2롤러(134)는 제2안내홈(142)의 상측 제2직진부(143)에 위치하며, 제3롤러(136)는 제2안내홈(146)의 상측 제3직진부(147)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승강축(2)에 설치된 부착부재(8)는 상측으로 향하면서 캡 또는 커버등의 부품(2)을 진공 흡착으로 부착하게 된다.
연이어, 도 8의 두 번째 도면을 살펴 보면, 승강축(2)이 하강함에 따라 제1롤러(132)는 제1직진부(139)에서 제1굴곡부(140)를 거쳐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롤러(134)는 제2직진부(143)에서 제2굴곡부(144)를 거쳐 우좌측으로 이동하며, 제3롤러(136)는 제3직진부(147)에서 제3굴곡부(148)를 거쳐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축(2)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축(2)이 지지판(20)의 중간부위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판(10)이 지지판(20)에서 90도 기울어지는 상태로 배치되고, 승강축(2)에 설치된 부착부재(8)는 좌측 수평으로 향하게 된다.
그 다음, 도 8의 세 번째 도면을 살펴 보면, 승강축(2)이 더 하강함에 따라 제1롤러(132)는 제1굴곡부(140)를 거쳐 좌측에서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롤러(134)는 제2굴곡부(144)에서 더 우측으로 이동하며, 제3롤러(136)는 제3굴곡부(148)에서 더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축(2)이 반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축(2)이 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승강판(10)에 설치된 제1롤러(132)는 제1안내홈(138)의 하측 제1직진부(139)에 위치하고, 제2롤러(134)는 제2안내홈(142)의 하측 제2직진부(143)에 위치하며, 제3롤러(136)는 제2안내홈(146)의 하측 제3직진부(147)에 위치된다. 따라서, 승강판(10), 승강축(2) 및 부착부재(5)는 180°반전하여 부착부재(5)에 부착된 부품(4)을 컨베이어(8)를 따라 이동하는 컵(6) 상에 덮어주게 된다.
한편, 승강축(2)의 상승은 상기한 반대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우선,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의 반전유도부(230)를 살펴 보도록 한다.
반전유도부(230)는 승강판(10)에 돌출 형성된 2개의 롤러와, 2개의 롤러가 각각 삽입되거나 지지되어 이동하는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1개의 홈부와, 1개의 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반전유도부(230)는, 승강판(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안내롤러(232)과, 승강판(10)에 구비되어 제1안내롤러(23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안내롤러(234)와, 제1안내롤러(232)를 안내하도록 지지판(20)의 일측면의 일부영역에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안내부(236)와, 돌출안내부(236)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안내롤러(234)를 안내하여 승강판(10)을 반전하도록 지지판(20)의 다른 일부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반전홈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반전홈부(240)는 돌출안내부(236)의 전 구간 중 중심부위에 함몰 형성된다,
돌출안내부(236)는 반전홈부(240)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안내롤러(232)와 제2안내롤러(234) 사이의 거리는 돌출안내부(236)의 최고점과 반전홈부(240) 최저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안내롤러(232)가 돌출안내부(236)의 최고점에 위치하고, 제2안내롤러(234)가 반전홈부(240)의 최저점에 삽입될 때, 승강판(20)은 90° 회전된다.
제1안내롤러(232)는 제1안내롤러축(233)에 설치되는 간격부재(250)에 의해 제2안내롤러(234)에 비해 승강판(20)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간격부재(250)는 회전롤러축(35)에 체결되는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간격부재(250)는 회전롤러축(35)에 단순 삽입되는 링부재일 수 있다.
돌출안내부(236)의 상하 진입측에는 돌출안내부(233)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의 반경(R1)이 형성되는 제1곡률부(237)가 구비된다.
제1곡률부(237)를 제외한 돌출안내부(236)의 나머지 구간에는 반전홈부(24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의 반경(R2)이 형성되는 제2곡률부(238)가 구비된다. 즉, 제1곡률부(237)와 제2곡률부(238)의 반경(R1,R2) 및 회전 중심은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제2곡률부(238)의 반경(R2)은 제1곡률부(236)의 반경(R1)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전유도부(230)를 이용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2의 첫 번째 도면을 살펴 보면, 승강판(10)에 설치된 제1안내롤러(232)는 돌출안내부(236))의 진입부 측에 위치하고, 승강판(10)에 설치된 제2안내롤러(234)는 반전홈부(240)의 상측 지지판(2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승강축(2)에 설치된 부착부재(8)는 상측으로 향하면서 캡 또는 커버등의 부품(2)을 진공 흡착으로 부착하게 된다.
연이어, 도 12의 첫 번째 도면을 살펴 보면, 승강축(2)이 하강함에 따라 제1안내롤러(232)는 돌출안내부(236)의 제1곡률부(237)를 거쳐 제2곡률부(238)로 이동하게 되면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안내롤러(234)는 지지판(20)의 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직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축(2)이 중간 부위에 도달하게 되면, 제1안내롤러(232)는 돌출안내부(236)의 제2곡률부(238)의 최고점에 도달하고, 제2안내롤러(234)가 반전홈부(240)의 최저점에 삽입되면서 승강판(10)이 지지판(20)에서 90도 기울어지는 상태로 배치되고, 승강축(2)에 설치된 부착부재(8)는 좌측 수평으로 향하게 된다.
그 다음, 도 12의 세 번째 도면을 살펴보면, 승강축(2)이 더 하강함에 따라 제1안내롤러(232)는 돌출안내부(236)의 제2곡률부(238)를 거쳐 하측에 위치한 제1곡률부(237)를 거쳐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안내롤러(234)는 반전홈부(240)에서 이탈하여 제2안내롤러(232)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판(10), 승강축(2) 및 부착부재(5)는 180°반전하여 부착부재(5)에 부착된 부품(4)을 컨베이어(8)를 따라 이동하는 컵(6) 상에 덮어주게 된다.
한편, 승강축(2)의 상승은 상기한 반대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승강축 10 : 승강판
20 : 지지판 30 : 반전유도부
32 : 직진롤러 33 : 직진롤러축
34 : 회전롤러 35 : 회전롤러축
36 : 직진안내홈 38 : 회전안내홈
37 : 직진부 39 : 굴곡부
50,150,250 : 간격부재 132 : 제1롤러
133 : 제1롤러축 134 : 제2롤러
135 : 제2롤러축 136 : 제3롤러
137 : 제3롤러축 138 : 제1안내홈
139 : 제1직진부 140 : 제1굴곡부
142 : 제2안내홈 143 : 제2직진부
144 : 제2굴곡부 146 : 제3안내홈
147 : 제3직진부 148 : 제3굴곡부
232 : 제1안내롤러 233 : 제1안내롤러축
234 : 제2안내롤러 235 : 제2안내롤러축
236 : 돌출안내부 237 : 제1곡률부
238 : 제2곡률부 240 : 반전홈부

Claims (8)

  1. 상하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축(2);
    상기 승강축(2)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판(10);
    상기 승강판(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판(20); 및
    상기 승강판(10)과 상기 지지판(20)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축(2)의 승강시 상기 승강판(10)의 회전으로 승강축(2)을 반전시키는 반전유도부(30,130,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유도부(30)는,
    상기 승강판(10)에 돌출 형성되는 직진롤러(32):
    상기 직진롤러(32)에 이격되어 상기 승강판(10)에 형성되는 회전롤러(34);
    상기 지지판(20)에 직진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직진롤러(32)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직진안내홈(36); 및
    상기 회전롤러(34)가 삽입되어 이동하고, 상기 직진안내홈(36)에 일부 겹치도록 상기 지지판(20)에 형성되는 직진부(37)와, 상기 직진부(37)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굴곡부(38)를 포함하는 회전안내홈(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홈(38)은 상기 직진안내홈(36)에 비해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롤러(34)는 회전롤러축(35)에 결합되는 간격부재(50)에 의해 상기 직진롤러(32)에 비해 상기 승강판(10)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직진안내홈(36)과 상기 회전안내홈(38)의 직진부(37)는 서로 겹치게 형성되고,
    상기 직진안내홈(36)과 상기 회전안내홈(38)의 굴곡부(39)는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안내홈(38)의 굴곡부(39)는 상하로 대칭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직진안내홈(36)은 상기 굴곡안내홈(38)에 비해 상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유도부(130)는,
    상기 승강판(10)에 형성되는 제1롤러(132):
    상기 제1롤러(132)의 일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승강판(10)에 형성되는 제2롤러(134);
    상기 제1롤러(132)의 타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승강판(10)에 형성되는 제3롤러(136);
    상기 제1롤러(132)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20)에 형성되는 제1직진부(139)와, 상기 제1직진부(139)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제1굴곡부(140)를 포함하는 제1안내홈(138);
    상기 제2롤러(134)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10)에 형성되는 제2직진부(143)와, 상기 제2직진부(143)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제2굴곡부(144)를 포함하는 제2안내홈(142); 및
    상기 제3롤러(136)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20)에 형성되는 제3직진부(147)와, 상기 제3직진부(147)에 연결되어 굴곡 형성되는 제3굴곡부(148)를 포함하는 제3안내홈(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홈(138)은 상기 제2,3안내홈(142,146)에 비해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제1롤러(132)는 제1롤러축(133)에 설치되는 간격부재(150)에 의해 상기 제2,제3롤러(134,136)에 비해 상기 승강판(10)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제2,제3안내홈(132,134,136)의 제1,제2,제3직진부(139,143,147)는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홈(142)과 상기 제3안내홈(146)은 중심부위에서 상호 교차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홈(138)은 상기 제2,제3안내홈(142,146)에 비해 상하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제2,제3롤러(132,134,136)는 상기 승강판(10)에 이등변삼각형 또는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유도부(230)는,
    상기 승강판(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안내롤러(232);
    상기 승강판(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안내롤러(23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안내롤러(234);
    상기 제1안내롤러(232)를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판(20)의 일측면의 일부영역에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안내부(236); 및
    상기 돌출안내부(236)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안내롤러(234)를 안내하여 상기 승강판(10)을 반전하도록 상기 지지판(20)의 다른 일부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반전홈부(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홈부(240)는 상기 돌출안내부(236)의 전 구간 중 중심부위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돌출안내부(236)는 상기 반전홈부(240)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롤러(232)와 상기 제2안내롤러(234)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안내부(236)의 최고점과 상기 반전홈부(240) 최저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며,
    상기 제1안내롤러(232)가 상기 돌출안내부(236)의 최고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안내롤러(234)가 상기 반전홈부(240)에 삽입될 때, 상기 승강판(20)은 90° 회전되며,
    상기 제1안내롤러(232)는 제1안내롤러축(233)에 설치되는 간격부재(250)에 의해 상기 제2안내롤러(234)에 비해 상기 승강판(20)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안내부(236)의 상하 진입측에는 상기 돌출안내부(233)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의 반경(R1)이 형성되는 제1곡률부(237)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곡률부(237)를 제외한 상기 돌출안내부(236)의 나머지 구간에는 상기 반전홈부(24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의 반경(R2)이 형성되는 제2곡률부(238)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곡률부(238)의 반경(R2)은 상기 제1곡률부(236)의 반경(R1)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KR1020140010494A 2014-01-28 2014-01-28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KR10157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494A KR101572623B1 (ko) 2014-01-28 2014-01-28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494A KR101572623B1 (ko) 2014-01-28 2014-01-28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32A true KR20150089632A (ko) 2015-08-05
KR101572623B1 KR101572623B1 (ko) 2015-11-27

Family

ID=5388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494A KR101572623B1 (ko) 2014-01-28 2014-01-28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6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493B1 (ko) * 2018-11-19 2020-06-05 주식회사 포비스코 부품 이송장치
KR102286382B1 (ko) * 2020-02-04 2021-08-05 김승현 부품 전달장치
WO2022173064A1 (ko) * 2021-02-09 2022-08-18 김승현 부품 전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493B1 (ko) * 2018-11-19 2020-06-05 주식회사 포비스코 부품 이송장치
KR102286382B1 (ko) * 2020-02-04 2021-08-05 김승현 부품 전달장치
WO2022173064A1 (ko) * 2021-02-09 2022-08-18 김승현 부품 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623B1 (ko) 201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986B2 (ja) 搬送物排出装置
KR101572623B1 (ko)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JP6110810B2 (ja) 溶接装置
KR101435911B1 (ko) 실린더의 밸런서를 포함하는 리프터
ITMI20130725A1 (it) Manipolatore per il prelievo e posizionamento di pezzi
EP3023366B1 (en) Rotary conveyor with change of pitch for transferring containers
KR101368841B1 (ko) 원통관 도장 장치
KR20180039908A (ko)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ITMI20130726A1 (it) Manipolatore per il prelievo e posizionamento di pezzi
US20170267456A1 (en) Passage forming apparatus
CN204094604U (zh) 一种全自动内孔抛光机
KR20110137206A (ko) 방향성을 갖는 흡판을 이용한 이동장치
KR101259832B1 (ko) 리프트형 판유리 방향 전환장치
WO2015186652A1 (ja) ワーク昇降装置
CN109382804B (zh) 升降自如的工件支撑装置
KR20120128214A (ko) 초고속 셔틀
CN109795878A (zh) 一种翻转取料装置
JP3179474U (ja) 搬送装置
JP5196659B2 (ja) 研削台車
KR101587335B1 (ko) 기판 이송장치
US7337644B2 (en) Assembled workstation
KR100850887B1 (ko) 캠을 이용한 글라스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공급장치
KR101368895B1 (ko) 오링 배출 장치
JP2011157193A (ja) リフト装置
JP3207602U (ja) 金型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