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106A -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106A
KR20150088106A KR1020140008514A KR20140008514A KR20150088106A KR 20150088106 A KR20150088106 A KR 20150088106A KR 1020140008514 A KR1020140008514 A KR 1020140008514A KR 20140008514 A KR20140008514 A KR 20140008514A KR 20150088106 A KR20150088106 A KR 2015008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aper
driving
current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국
이기영
김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8106A/ko
Priority to PCT/KR2014/006676 priority patent/WO2015111809A1/en
Priority to US14/340,927 priority patent/US9260260B2/en
Priority to EP15150985.8A priority patent/EP2899150B1/en
Priority to CN201510034192.2A priority patent/CN104811572B/zh
Publication of KR2015008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20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50Timing
    • B65H2513/512Starting;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70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electric power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적재된 용지를 급지롤러에 공급하는 리프트,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도록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모터, 모터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측정된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PAPER FEED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icro Switch나 Photo-interrupter와 같은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리프트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출력전류를 감지하여, 리프트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도록 충분히 리프팅 된 경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와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기능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화상형성장치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인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용지함에 적재된 용지가 용지를 화상형성형성부에 공급하는 급지롤러에 닿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Knock-Up 등의 리프트를 급지롤러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모터에 의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도록 리프트가 충분히 상승되면, 용지가 급지롤러 방향으로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역할을 Micro Switch나 Photo-Interrupter가 수행하였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라 Micro Switch를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Knock-Up 등과 같은 리프트(11)에 의해 용지가 급지롤러(13)에 닿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상승되면, 상승된 용지가 스위치(15)를 턴-온 시키고, 스위치(15)가 턴-온 되면 리프트(1)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정지시켜 용지가 더 이상 급지롤러(13) 방향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센서(Micor Switch, Photo-Interrupter)를 사용하여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면, 별도의 센서를 구비해야 함에 따라 재료비가 높아지게 되고 이는 제품 가격의 상승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Switch가 단선되거나 엑츄에이터 이탈 등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모터에 과도한 부하가 인가되어 부품 내구성의 하락, 오동작 / 탈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용지를 상승시키는 리프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리프트가 충분히 급지롤러 방향으로 충분히 상승되었다고 판단되면, 리프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제어하여 리프트가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승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적재된 용지를 급지롤러에 공급하는 리프트; 상기 용지가 상기 급지롤러에 닿도록 상기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측정된 상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저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기거나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늦출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를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류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낮출 수도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지롤러에 공급되는 상기 용지의 수를 카운팅하고, 기설정된 매수의 용지가 공급될 때마다 상기 리프트가 상기 급지롤러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용지의 수는 용지의 두께, 무게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모터에 흐르는 전류가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은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도록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은 상기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늦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류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낮출 수도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은 상기 급지롤러에 공급되는 상기 용지의 수를 카운팅 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매수의 용지가 공급될 때마다 상기 리프트가 상기 급지롤러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지의 수는 용지의 두께, 무게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은 상기 전류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도록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모터의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급지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존에 사용하던 리미트 센서(Micro Switch, Photo-Interrupter)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쇄 매수에 따라 리프트를 동작시키므로 용지와 급지롤러의 간격을 더욱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리미트 센서의 오동작에 따른 모터의 탈조, 기어 치열 망실, 코일 열화 등과 같은 내구성 하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라 Micro Switch를 이용하여 리프트를 상승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Protection 회로를 더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터에서 측정된 피드백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리프트(210), 모터(230), 센싱부(250),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2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리프트(210)는 용지함에 적재된 용지를 급지롤러에 공급한다. 리프트(210)는 Knock-Up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용지함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을 수 있도록 용지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터(230)는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도록 리프트(210)를 이동시킨다. 모터(230)는 LPF(Low Pass Fileter)를 거친 PWM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구동 드라이버 회로(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모터(230)가 리프트(210)를 이동시켜 리프트(210)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거나, 리프트(210)가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도록 설치된 리미트(스프링, 스펀지, 고무 등 탄성체 또는 기구물)에 닿으면,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230)의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모터(230)에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모터(230)의 부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이러한 역기전력의 변화는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모터(230)의 부하가 커짐에 따라,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가 상승하게 된다.
센싱부(250)는 이와 같이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한다.
Normal 상태에서는 모터에 일정한 크기의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측정되나, 리프트(210)가 한계점에 도달한 경우, 리프트(210)를 구동시키는 모터(230)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제어부(270)는 센싱부(250)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따라 모터(2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모터(230)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리프트(210)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아 더 이상 상승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23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모터(230)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이하 값으로 떨어질 때까지 모터(230)의 구동속도를 늦출 수도 있다.
한편, 리프트(210)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를 통해 화상형성부에 공급됨에 따라 용지와 급지롤러와의 간격이 멀어지므로, 제어부(270)는 급지롤러로 공급되는 용지의 매수를 카운팅하여 기설정된 매수의 용지가 공급될 때마다 리프트(210)가 급지롤러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모터(23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매수의 용지가 10장이라면, 용지가 10장씩 급지롤러를 통해 화상형성부로 공급될 때마다 모터(230)를 제어하여 리프트(210)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설정된 매수가 10장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용지함에 적재된 용지의 종류, 두께, 무게,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용지의 두께 또는 무게가 커질수록 기설정된 매수를 작게 설정하거나 기기특성에 따른 급지롤러의 설계에 따라 오설정 및 최소 급지 매수를 고려하여 다른 매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0)는 공급되는 용지의 매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Regi센서, Feed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70)가 리프트(210)에 적재된 용지를 급지롤러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모터(230)를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급지롤러와 용지와의 간격을 고려하여 용지가 급지롤러로부터 멀어지도록 모터(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터(23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하면, Micro Switch 또는 Photo interrupter와 같은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리프트(210)를 급지롤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230)를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LPF를(291) 거친 PWM으로 일정한 크기의 Vref를 모터에 공급하는 구동부(2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용지가 적재된 급지부를 급지롤러 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리프트(210)에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기구적 리미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리미트를 설정하면,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가 리미티에 닿는 순간부터 리프트(210)를 움직이는 모터(230)의 부하가 증가된다.
모터(230)에 로드되는 부하의 크기는 모터에 발생되는 역기전력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역기전력의 변화는 모터에 흐르는 전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센싱부(250)는 모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제어부(270)에 센싱전압을 출력한다.
제어부(270)는 센싱전압을 이용하여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기설정된 리미트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용지가 급지롤러의 리미트에 도달하게 되면 모터(230)의 부하가 증가됨에 따라 역기전력이 증가되고 모터(230)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게 된다. 제어부(270)는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모터 정지 신호와는 별개로 모터(23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크면 즉시 모터(23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모터(230)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Protection 회로를 더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상 제어부(270)는 PWM을 감소시켜 모터를 정지시키거나 구동 속도를 느리게 한다. 또는 제어부(270)로부터 발생되는 모터 정지 신호와는 별개로 기설정해둔 기준전압과 모터로부터 감지된 센싱전압을 비교하는 비교회로를 이용하여, 모터(230)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준값을 추가하는 경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Enable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가 모터(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PWM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PWM 제어신호가 구동부(290)의 LPF(291) 및 구동회로(293)를 거쳐 모터(230)에 전달된다. 이후, 센싱부(250)는 모터(230)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센싱전압을 제어부(270) 또는 차단부(28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250)가 센싱전압을 제어부(270)에 전달하는 경로 1에 관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센싱부(250)가 센싱전압을 차단부(280)에 전달하는 과정만을 설명한다.
센싱부(250)가 모터(230)의 피드백 전류에 의해 측정된 센싱전압을 차단부(280)에 전달하면, 센싱전압이 LPF(281)을 거쳐 비교기(283)에 전달된다. 비교기(283)는 센싱전압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센싱전압이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구동부(290)에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Enable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센싱부(250)에서 측정된 센싱전압이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것은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충분히 닿을만큼 이동되어, 급지부를 급지롤러 방향으로 더 이동시킬 경우 모터(230)에 인가되는 부하가 증가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차단부(280)는 Enable 신호를 발생시켜 모터(23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부(270)를 통하지 않고, 차단부(280)의 Enable 신호에 의해 모터(230)의 동작을 제어하면, 필요한 시점에 보다 신속하게 모터(23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터에서 측정된 피드백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상 영역(510)에서는 모터(230)가 리프트(210)를 이동시켜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를 급지롤러 쪽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모터(230)에 걸리는 부하가 일정하므로, 모터(230)로부터 일정한 피드백 전류가 측정된다.
한편, 부하 상승 영역(520)에서 리프트(210)가 충분히 상승하여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가 리미트에 도달하면, 모터(230)에 인가되는 부하가 커짐에 따라 더 큰 피드백 전류가 측정된다. 이때, 제어부(270)는 모터(230)의 피드백 전류가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모터(230)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모터(230)의 구동 속도를 늦추어, 리프트(210)가 더이상 급지롤러 방향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리프트(210)가 급지롤러 방향으로 충분히 상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터(230)가 계속해서 구동되는 되면 탈조현상이 발생하여 모터(23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에, 탈조 영역(530)에서는 정상 영역(510)과는 다른 크기의 피드백 전류가 검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230)의 피드백 전류를 측정하여 측정된 피드백 전류를 기초로 모터(230)의 구동을 제어하면, Micor Switch나 Photo-Interrupter와 같은 리미트 센서가 없더라도 효율적으로 용지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는 리프트에 의해 급지롤러 방향으로 이동된다(S610). 그리고 리프트를 구동시키는 모터 흐르는 전류가 측정된다(S620). 모터에 흐르는 전류는 모터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들어, 용지가 급지롤러 방향으로 충분이 이동되어 더 이상 상승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모터가 리프트를 상승시키는 경우 모터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므로 역기전력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 모터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게 된다.
이에, 측정된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면(S630), 리프트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급지부의 위치에 따라 리프트를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저항부를 더 포함시키고, 전압의 크기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는 리프트에 의해 급지롤러 방향으로 이동된다(S710).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을 수 있도록 충분히 이동되면, 급지롤러에 용지가 공급되고, 급지롤러에 공급되는 용지의 수가 카운팅된다(S720).
용지가 급지롤러에 공급됨에 따라, 용지와 급지롤러와의 간격이 이격되므로 기설정된 매수의 용지가 급지롤러에 공급될 때마다(S730), 리프트가 급지롤러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모터가 제어된다(S740). 이때, 기설정된 매수의 용지의 수는 용지의 두께, 무게 및 재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모터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며(S750),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을 수 있도록 충분히 상승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터가 리프트를 상승시키면 모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므로, 모터에 흐르는 전류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S760), 리프트가 더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모터의 구동이 정지된다(S770).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용지와 급지롤러와의 간격에 따라 리프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용지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화상형성장치 210 : 리프트
230 : 모터 250 : 센싱부
270 : 제어부

Claims (15)

  1. 적재된 용지를 급지롤러에 공급하는 리프트;
    상기 용지가 상기 급지롤러에 닿도록 상기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측정된 상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저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기거나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를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류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지롤러에 공급되는 상기 용지의 수를 카운팅하고, 기설정된 매수의 용지가 공급될 때마다 상기 리프트가 상기 급지롤러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수는 용지의 두께, 무게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가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도록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류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롤러에 공급되는 상기 용지의 수를 카운팅 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매수의 용지가 공급될 때마다 상기 리프트가 상기 급지롤러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수는 용지의 두께, 무게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
  15.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급지 제어 방법은,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닿도록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트를 이동시키는 모터의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08514A 2014-01-23 2014-01-23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50088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514A KR20150088106A (ko) 2014-01-23 2014-01-23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CT/KR2014/006676 WO2015111809A1 (en) 2014-01-23 2014-07-23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paper feed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4/340,927 US9260260B2 (en) 2014-01-23 2014-07-25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paper feed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15150985.8A EP2899150B1 (en) 2014-01-23 2015-01-13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aper feeding thereof
CN201510034192.2A CN104811572B (zh) 2014-01-23 2015-01-23 图像形成装置、控制其送纸的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514A KR20150088106A (ko) 2014-01-23 2014-01-23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106A true KR20150088106A (ko) 2015-07-31

Family

ID=5244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514A KR20150088106A (ko) 2014-01-23 2014-01-23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60260B2 (ko)
EP (1) EP2899150B1 (ko)
KR (1) KR20150088106A (ko)
CN (1) CN104811572B (ko)
WO (1) WO20151118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64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플레이트 낙하 방지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금융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0360A (zh) * 2015-11-26 2016-02-03 东莞市赛图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工业扫描仪
US11051653B2 (en) 2016-03-11 2021-07-06 Taylor Commercial Foodservice, Llc Grill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vement when motor is “off”
JP7055007B2 (ja) 2017-11-30 2022-04-1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6981303B2 (ja) * 2018-02-27 2021-12-15 株式会社リコー 異常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113653B2 (ja) * 2018-04-17 2022-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及び原稿読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8747B2 (en) * 2001-02-06 2004-03-0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heet stack level control
JP2003137446A (ja) * 2001-11-01 2003-05-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7374163B2 (en) * 2004-10-21 2008-05-20 Lexmark International, Inc. Media tray stack height sensor with continuous height feedback and discrete intermediate and limit states
US8113645B2 (en) 2007-11-14 2012-02-14 Seiko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US8419008B2 (en) * 2009-01-30 2013-04-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95501A (ja) * 2009-02-23 2010-09-09 Ricoh Co Ltd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シート積載装置の昇降駆動制御方法、及び昇降駆動制御プログラム
CN102085967B (zh) * 2009-12-04 2013-11-27 株式会社理光 纸张传送装置和包括该纸张传送装置的成像设备
JP2012062127A (ja) * 2010-09-14 2012-03-29 Ricoh Co Ltd 用紙収納装置
JP5548584B2 (ja) 2010-10-27 2014-07-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53217B2 (ja) * 2010-10-29 2014-03-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680942B2 (ja) * 2010-11-15 2015-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フィー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64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플레이트 낙하 방지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9150B1 (en) 2019-10-09
US9260260B2 (en) 2016-02-16
CN104811572A (zh) 2015-07-29
US20150203305A1 (en) 2015-07-23
EP2899150A1 (en) 2015-07-29
WO2015111809A1 (en) 2015-07-30
CN104811572B (zh)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8106A (ko) 화상형성장치, 그의 급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88940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positioning device using method of sheet positioning
JP2007182265A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1317357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097712B2 (en)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er
US20110140353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9682839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20031650A (ko)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0793380B2 (en) Feeding apparatus
US9624061B2 (en) Sheet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061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media stack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US9193548B2 (en) Sheet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tus
JP2017061350A (ja) 媒体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記録装置
JP2015131699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53217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200013983A (ko) 복수 구간들에서 측정된 모터전류 크기들에 기초한 화성형성 장치의 잼 감지
JP6048021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3517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51400B2 (ja) 媒体厚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8821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332330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012169A (ja) 原稿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5744284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1411821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29476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