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820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820A
KR20150085820A KR1020157013982A KR20157013982A KR20150085820A KR 20150085820 A KR20150085820 A KR 20150085820A KR 1020157013982 A KR1020157013982 A KR 1020157013982A KR 20157013982 A KR20157013982 A KR 20157013982A KR 20150085820 A KR20150085820 A KR 20150085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longitudinal direction
sheet
region
wais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야스히로 야마나카
츠네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5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hoo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0)의 패스닝 테이프(90)는, 기재 시트와, 훅 시트를 구비한다. 기재 시트는, 사이드 플랩에 접합된 접합부(93)와, 선단부(96)를 갖는다. 선단부(96)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L11)는, 5∼12 mm이다. 접합부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훅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L12)는, 2∼12 mm이다. 훅 시트와 선단부(96)의 경계에서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L13)는, 기재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와 훅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L14)의 2배 이상이다. 훅 시트(92)는, 훅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선단부(96)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중간점(C1)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을 고정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을 고정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패스닝 테이프는, 기재와, 기재 표면의 일부에 접착되는 훅재를 구비한다. 기재의 일단은, 일회용 기저귀에 접합되는 접합부가 된다. 한편, 기재의 타단은, 일회용 기저귀보다 폭 방향의 외측 단부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된다. 훅재는, 연장부에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의 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는, 훅재가 배치되지 않고, 착용시에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의 제조방법은, 특허문헌 1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가 연속된 연속체와 훅재가 연속된 연속체가 적층된 적층체를 절단함으로써 제조한다. 연속체의 절단 궤적은, 하나의 패스닝 테이프의 연장부의 선단과 인접하는 패스닝 테이프의 연장부의 기단부의 경계가 된다. 하나의 패스닝 테이프와 인접하는 패스닝 테이프 사이에 폐재가 없어, 자재를 유효 활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5796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패스닝 테이프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패스닝 테이프는, 패스닝 테이프를 연속하여 형성하고 있어, 하나의 패스닝 테이프에서의 연장부의 선단 형상이, 인접하는 패스닝 테이프에서의 연장부의 기단 형상이 된다. 예컨대, 패스닝 테이프의 일단을 파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일단의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인접하는 패스닝 테이프의 간격을 넓게 하여 제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패스닝 테이프의 간격을 넓게 하면, 패스닝 테이프의 접합부의 면적도 커진다.
패스닝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일회용 기저귀의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나 흡수체를 구성하는 펄프 등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는,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플랩 등에 접합되어 있고, 패스닝 테이프가 접합된 영역의 강성은, 주위보다 높아진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는, 착용자의 허리 둘레나 다리 둘레의 근방에서 사이드 플랩 등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의 접합부가 길어지면, 강성이 높은 영역이 증가하여, 착용시의 위화감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접합부의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 인접하는 패스닝 테이프의 간격을 좁게 하여 제조하면, 파지하는 연장부의 면적이 작아져, 장착시의 조작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시의 위화감을 억제하면서, 장착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또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적어도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걸쳐, 또한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에 고정하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사이드 플랩에 연결된 기재 시트와,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에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걸어맞춤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기재 시트에 고정된 훅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사이드 플랩에 접합된 접합부와, 상기 훅 시트보다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선단부(96)를 갖고 있고, 상기 선단부(96)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길이는, 5∼12 mm이고, 상기 접합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상기 훅 시트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는, 2∼12 mm이고, 상기 훅 시트와 상기 선단부(96)의 경계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기재 시트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와 상기 훅 시트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의 2배 이상으로서, 상기 훅 시트는, 상기 훅 시트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중간점보다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한 F1-F1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한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패스닝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패스닝 테이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한 F1-F1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한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전개도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톱 시트(50),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레그 신축부(75) 및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탄성 부재(81)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몸통 앞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뒤 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몸통 뒷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쌍의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레그 개구부(35)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고 하고, 제품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고 한다.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걸쳐, 또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40)를 구비한다.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와 코어 랩(40b)에 의해 구성된다.
흡수성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하고, 분쇄 펄프나 고흡수 폴리머 등, 공지된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형의 코어 랩(40b)에 의해 싸여 있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면측의 일부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혹은 티슈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질량 약 10∼30 g/m2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우-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질량 약 10∼30 g/m2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에는, 액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된다. 또한,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에는, 액불투과성의 백 시트(60a)가 구비된다.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옆가장자리에는,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된다. 사이드 플랩(70)은, 앞 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아래 영역(25),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걸쳐, 또한 흡수체(40)보다 제품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 중첩시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사이드 플랩(70)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구비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한쌍으로서,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에 고정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패스닝 테이프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타깃부(95)는, 한쌍으로서, 앞 몸통 둘레 영역 내의 피부 비접촉면에 배치되고,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영역(20), 뒤 몸통 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몸통 둘레 유지부가 구성된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걸어맞춤 부재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타깃부(95)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의 흡수체에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된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 크로치 신축부(200)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사이드 플랩(70)에는, 레그 개구부(35)보다 제품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쌍의 레그 신축부(75)가 구비된다.
레그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긴 것과 동시에, 제품 폭 방향(W)에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레그 개구부(35)를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레그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일부가 레그 개구부(3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나 실 고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는 부분이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내측(제품 폭 방향(W)에서의 중앙 근처)에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구비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사이드 플랩(70)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종래 주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70)과 별도의 시트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품 폭 방향에서의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 사이에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형성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패스닝 테이프(90) 사이를 제품 폭 방향으로 수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하는 부재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능한 한 얇고 굽힘 강성이 낮으며, 폭축소율이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 강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신체를 따라 잘 굽혀져, 착용자의 신체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신체에 따르게 하여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폭축소가 작은 재료에 의해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가 제품 폭 방향으로 신장된 경우에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 방향의 수축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서 일회용 기저귀가 가랑이 아래쪽으로 끌려 내려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로서, 단위 중량이 20∼45 g/m2인 신축성 필름을 이용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서의 길이의 1.5∼2.5배로 늘여진 후,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외장 시트(60)에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외장 시트(60)와 백 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 랩(40b)이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허리 둘레 신축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체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는, 사이드 플랩(70)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허리 둘레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허리 둘레 신축부가 제품 폭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2) 패스닝 테이프의 구성
계속해서, 도 4에 기초하여 패스닝 테이프(90)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패스닝 테이프(90)의 평면도이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에 연결된 기재 시트(91)와, 복수의 걸어맞춤 부재로서의 걸어맞춤 훅(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기재 시트(91)에 고정된 훅 시트(92)를 구비한다. 훅 시트(92)는, 걸어맞춤 부재가 형성된 영역이다.
훅 시트(92)는, 기재 시트(91)에 고정, 구체적으로는 접합되어 있다.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의 접합은, 패스닝 테이프(90)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가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점형, 선형 혹은 스파이럴형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열 시일 등으로 접합되어도 좋다.
기재 시트(91)는,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 중첩시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91)로는, 스펀본드(SB)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우-스펀본드(SMS)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복수장인 경우에는 합계 단위 중량)은, 30∼120 g/m2이고, 바람직하게는 40∼90 g/m2이다.
또, 부직포가 복수 적층된 적층체에 의해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단위 중량 10∼80 g/m2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75 g/m2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패스닝 테이프의 강도(파단 강도)를 확보하면서, 유연한 테이프로 하는 경우, 1장의 부직포보다 복수장의 부직포를 중첩하고, 서로의 접합면에서 접합부와 비접합부를 갖는 쪽이, 유연한 패스닝 테이프를 구성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는, 사이드 플랩(70)과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고, 사이드 플랩에 중복되어 배치된 제1 영역(R1)과, 사이드 플랩보다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영역(R2)을 갖는다. 또, 기재 시트는, 적어도 사이드 플랩에 연결되어 있으면 되고, 사이드 플랩(70) 및 외장 시트(60)에 연결되지 않고 외장 시트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좋다.
기재 시트(91)는, 사이드 플랩에 접합된 접합부(93)와, 훅 시트(92)보다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선단부(96)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91)의 접합부(93)는, 사이드 플랩(70) 또는 외장 시트에 접합된 영역이다. 접합부(93)는, 제1 영역(R1)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접합부(93)는, 제1 영역(R1)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영역(R1)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선단부(96)는, 훅 시트(92)보다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패스닝 테이프(90)의 폭 방향의 외측 단부를 포함한다.
기재 시트(91)의 선단부(96)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L11)는, 5∼12 mm이다. 선단부(96)는, 훅 시트(92)가 형성되지 않고, 패스닝 테이프(90)가 타깃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깃부에 고정되지 않는 부분이다. 선단부(96)는, 장착자가 패스닝 테이프(90)를 착탈할 때에 파지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선단부(96)는, 장착자가 파지하기 쉬운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수의 선단부(96)에 의하면, 장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어, 원활히 패스닝 테이프(90)의 착탈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장착자가 확실하게 선단부(96)를 파지할 수 있음으로써, 패스닝 테이프(90)의 부착 위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해져, 의도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합부(93)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훅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L12)는, 2∼12 mm이다. 훅 시트는, 타깃부에 고정하는 부분이고, 훅 시트의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걸어맞춤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패스닝 테이프(90)에 있어서는, 훅 시트의 면적을 넓히고자 하면, 패스닝 테이프(90)를 접합하는 접합부(93)의 면적이 넓어져, 강성이 높은 영역이 증가하는 것에 의한 위화감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접합부(93)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훅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거리(L12)는, 2∼12 mm로 설정함으로써, 훅 시트에 의한 걸어맞춤력을 얻으면서, 접합부(93)에 의한 착용시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훅 시트와 선단부(96)의 경계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L13)는, 기재 시트(91)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와 훅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L14)의 2배 이상이다. 패스닝 테이프(90)가 타깃부(95)에 고정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둘러싸는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90)는, 레그 개구부(35)의 근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였을 때에, 패스닝 테이프(90)가 착용자의 다리에 닿는 경우가 있다. 특히, 기재 시트(91)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는,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쉽다.
또한, 기재 시트(91)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는, 타깃부와의 걸어맞춤력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기재 시트(91)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와 훅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L14)는 짧은 쪽이 바람직하고, 짧을수록, 타깃부와의 걸어맞춤력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을 좁게 하여, 착용자의 다리에 패스닝 테이프를 잘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90)는, 제품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제품 폭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는 쇠퇴 형상이다. 따라서, 훅 시트와 선단부(96)의 경계는, 훅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아진다. 이 훅 시트와 선단부(96)의 경계에서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L13)를, 기재 시트(91)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와 훅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L14)의 2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착용자에 대한 접촉을 억제하면서, 걸어맞춤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훅 시트는, 훅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선단부(96)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중간점(C1)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훅 시트는, 제품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제품 폭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는 쇠퇴 형상이다. 따라서, 훅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와, 훅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서는, 훅재에 의한 걸어맞춤력이 상이하다. 따라서, 훅 시트 전체의 걸어맞춤력에 변동이 생긴다.
또한,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90)는, 레그 개구부(35)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였을 때에, 패스닝 테이프(90)가 타깃부로부터 박리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패스닝 테이프(90)가 타깃부로부터 박리되는 힘은, 레그 개구부(35)측으로부터 작용한다. 훅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의 걸어맞춤력과, 훅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외측 단부의 걸어맞춤력의 차가 크면, 걸어맞춤력이 강한 부분을 기점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패스닝 테이프(90)가 이동하여,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위치나 방향이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훅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선단부(96)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중간점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훅 시트의 폭 방향 중심보다 폭 방향 외측에 걸치는 영역에서, 훅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의 걸어맞춤력을 근접시킬 수 있고, 걸어맞춤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훅 시트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제2 영역의 제품 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서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중간점(C2)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품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서서히 짧아지지만, 예컨대, 패스닝 테이프(90)의 근원인 폭 방향 내측에서 지나치게 짧아지면, 선단부(96)의 면적을 확보할 수 없거나, 선단부(96)측의 훅 시트의 걸어맞춤력을 확보할 수 없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제2 영역의 제품 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서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중간점(C2)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90)의 선단부(96)측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기재 시트의 제2 영역의 외형은, 곡선 형상이다. 기재 시트의 제2 영역은, 사이드 플랩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고, 장착시에 손이 접촉하는 부분이다. 기재 시트의 제2 영역의 외형은, 곡선 형상인 것에 의해, 손에 대한 자극을 억제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 시트의 단부가 다리나 손에 의도치 않게 닿은 경우에 있어서, 다리 등에 대한 자극 및 패스닝 테이프 단부에 의한 선압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기재 시트의 제2 영역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 형상이면 되고, 기재 시트의 제2 영역의 외형의 일부가 직선 형상이어도 좋다.
훅 시트(92)와 접합부(93)의 거리(L15)는, 2∼1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93)는 사이드 플랩에 접합되고, 일회용 기저귀가 장착된 상태에서 훅 시트(92)는 타깃부(9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훅 시트(92)와 접합부(93)의 영역은, 일회용 기저귀가 장착된 상태에서 어느것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형되기 쉬운 영역이다. 훅 시트(92)와 접합부(93)의 거리가 지나치게 길면,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였을 때 등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변형되기 쉬워져, 패스닝 테이프(90)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훅 시트(92)와 접합부(93)의 거리가 지나치게 짧으면,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였을 때 등에 변형되는 영역이 없어, 착용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훅 시트(92)와 접합부(93)의 거리는, 2∼12 mm인 것에 의해, 자유로운 움직임을 확보하면서, 패스닝 테이프(90)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기재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 단부에는, 제품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이 되는 볼록부(97)와, 제품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패이는 형상이 되는 오목부(9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97)와 오목부(98)를 형성함으로써, 기재 시트를 변형시키는 힘이 작용했을 때에, 제품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 단부가 볼록부(97)와 오목부(98)를 갖는 곡선 형상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을 저감시키고, 착용자의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볼록부 및 오목부는, 곡선 형상이다. 기재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 단부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속하여 존재하며, 또한 볼록부 및 오목부가 곡선 형상인 것에 의해, 패스닝 테이프의 외측 단부가 다리나 손에 의도치 않게 닿은 경우에 있어서, 다리 등에 대한 자극 및 패스닝 테이프 단부에 의한 선압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패스닝 테이프와 앞 몸통 둘레 영역의 걸어맞춤력은, 0.3 N/30 mm∼1.5 N/30 mm이다. 본 출원인이 여러가지 검증을 행한 결과, 패스닝 테이프의 걸어맞춤력이 1.5 N/30 mm를 초과하면, 착탈하기 어렵다는 인상을 시험자(유유아를 가진 모친)가 갖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0.3 N/30 mm보다 작으면, 패스닝 테이프가 일회용 기저귀 본체에 걸어맞춤하기 어렵다는 인상을 주고, 실제로는 패스닝 테이프가 떼어지지 않더라도, 패스닝 테이프가 떼어져 버린다는 인상을 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와 앞 몸통 둘레 영역의 걸어맞춤력은, 0.3 N/30 mm∼1.5 N/3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의 「걸어맞춤력」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걸어맞춤력은,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오토그래프 시험기(AG-X10plus)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대상의 패스닝 테이프로부터 훅 시트와 기재 시트를 폭 30 mm(폭 30 mm로 잘라내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폭 30 mm당으로 환산하여 결과를 판단)로 잘라낸 샘플을 준비했다. 마찬가지로,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되는 타깃부(외장 시트)를, 훅 시트보다 큰 사이즈로 잘라낸 샘플을 준비했다.
계속해서, 700 g 롤러(직경 85 mm, 폭 45 mm)를 5 mm/분의 속도로 주된 패스닝 테이프의 착탈 방향을 따라 움직여 양샘플을 압착했다. 압착한 양샘플을, 오토그래프 시험기에 세트하고, 인장 속도 300 mm/분에서의 양샘플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했다(단위 : N/30 mm). 이 때, 인장하는 방향은, 타깃 테이프면에 대하여, 훅 시트면이 135°의 각도가 되도록 설정했다. 또한, 훅 시트의 필 방향은, 패스닝 테이프를 타깃부로부터 떼어낼 때에 있어서의 주된 방향으로 했다.
또, 본 명세서에서의 「길이」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계속해서, 신와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스프링 메저(테이프 : 유리 섬유가 들어 있는 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이 상태의 길이를 측정한다. 여기서, 10 샘플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에서 전술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치를 길이로 했다.
(3) 크로치 신축부의 형상
다음으로, 크로치 신축부(200)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보다,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의 일부에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 또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레그 신축부(75)와는 개별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40a)와 중복되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코어(40a)를 싸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복되는 위치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의 60% 이상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분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하고,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하지 않는 부분과 비교하여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앞 몸통 둘레 영역이나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수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허리 둘레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의 가랑이 하부에 평탄한 형상으로 유지되는 크로치 신축부(200)가 과도하게 신체에 밀착되지 않고,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가 적절히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가,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경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기 쉬워지고,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신체를 따라 평탄한 가랑이 아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기립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안정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에 걸쳐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착용자의 움직임이 있었던 경우(특히,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올리거나, 서거나, 앉거나 했을 때)에는, 착용자의 신체 표면 피부의 신축량(길이의 변화량)은, 배측보다 등측(둔부) 쪽이 커진다.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을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에 배치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를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움직임이 있었던 경우에도, 착용자 피부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일회용 기저귀(10)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르는 방향으로 움직여 버린다는 사태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 시트에 의해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성 시트를 배치한 영역의 흡수성 코어(40a)가 고르게 수축하여, 평탄한 형상 유지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 신축성 시트는, 예컨대, 레그 신축부(75)와 동일한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형·띠형의 탄성 부재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끼리의 간격이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면 된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수축시키기 위해, 인접하는 탄성 부재의 간격의 차는, 2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은, 구체적으로는, 1.2배 이상, 1.8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은, 1.4배로 설정된다. 신장률은,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신장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장률은, 신축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장률=(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또, 신장률의 측정은, 전술한 레그 신축부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을, 1.2배 이상 1.8배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 피부의 신축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신체 앞쪽이 수축하는 것과 같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면, 착용자의 둔부측의 피부에 있어서, 신체를 편 상태에 대하여 30% 정도 신장되는 부위가 존재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을 1.2배 미만으로 하면, 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고, 크로치 신축부(20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부에서의 흡수체 영역의 수축이 작고,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신체를 따르도록 평탄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을 1.8배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 방향에서의 수축 치수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가 존재하는 영역이, 신체를 따르는 것보다 밀착되는 상태가 되기 쉽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아래쪽으로 어긋나기 쉬워진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의 2∼8%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수축량은, 주름이 충분히 작아져, 샘플의 표면이 평활에 가까워지도록 신장된 상태에서의 길이 「b(mm)」와, 샘플의 신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자연 상태에서의 길이 「a(mm)」의 차이고, (b-a)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의 2∼8%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 대하여 장착하는 과정에서, 크로치 신축부(200)가, 바람직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기 쉬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8%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가 지나치게 수축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가 부족하고,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하기 어려워지거나, 일회용 기저귀(10) 및 착용자의 신체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과도하게 밀착되어 어긋나기 쉬워지거나 한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2% 미만으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시킨다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효과 자체가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흡수성 코어(40a)의 강성 및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의 강성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탄성 부재의 굵기나 배치하는 피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10) 본체를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로 했을 때에,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옆가장자리 전역이 수축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4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는, 절결(115)(절결(125))이 형성된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결(115) 및 절결(125)은,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저강성부에 해당한다. 또, 절결(115) 및 절결(125)을 형성하는 것 대신에, 절결(115) 및 절결(125)의 영역을,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해도 좋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가장자리를 따라 존재한다. 또, 절결(115) 및 절결(125)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특히 제품 폭 방향에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제품 폭 방향(W) 외측으로 감에 따라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가 넓어져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 외측이 보다 수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평탄한 「바닥부」가 보다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 절결(115)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 근처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절결(125)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 근처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바닥부」로부터 기립하고, 착용자의 몸(복부 및 둔부)의 라운딩을 따르도록 만곡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 자체의 형상이 착용자의 몸의 형태에 보다 근접할 수 있다.
또한, 절결(115)(절결(125))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뒤 몸통 둘레 영역(30)) 근처의 가장자리는, 원호형이다. 절결(115)(절결(125))의 가장자리는, 원호의 중심이 상기 가장자리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앞 몸통 둘레 영역(20))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착용자의 몸의 라운딩을 따른 변형이 보다 용이하고 또한 현저하게 일어나기 쉽다.
(4)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지 않는 방법에 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방법은, 일례이며, 다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은, 구성 부품 형성 공정과, 구성 부품 적재 공정과, 다리 둘레 형성 공정과, 절단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구성 부품 형성 공정에서는,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흡수 재료를 적층하여 흡수체(40)를 성형하거나, 패스닝 테이프(90)를 형성하거나 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적층체를 절단하여 형성한다.
도 5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적층체(100)의 절단 양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적층체(100)는, 기재 시트가 연속된 연속 기재 시트체 상에, 훅 시트가 연속된 연속 훅 시트가 고정된 시트재이다. 도 5에 도시한 MD는, 적층체의 반송 방향이고, CD는, 교차 방향이다. 적층체의 교차 방향에서의 치수는, 패스닝 테이프(90)의 제품 폭 방향의 2배보다 약간 작다. 적층체의 절단 궤적은, 교차 방향에서 패스닝 테이프(90)가 인접하며, 또한 반송 방향으로 패스닝 테이프(90)에 연속된 상태이다. 적층체로부터 패스닝 테이프(90)를 잘라냄으로써, 절단 전의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90) 사이에 위치하는 트림이 발생한다. 도 5에 있어서, 트림의 영역에 사선을 그어 표시한다.
트림은, 반송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고, 트림의 교차 방향에서의 치수는 변화되어 있다. 따라서, 트림에는, 인장 강도가 상이한 영역이 형성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A 영역은, B 영역보다 인장 강도가 낮아진다. 트림은, 패스닝 테이프(90)를 잘라낸 후에 폐기하는 부분이고, 폐기하기 위한 회수라는 관점에서는,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림을 폐기할 때에는, 절단 처리 등의 처리를 기계로 행한다. 그 때, 트림이 연속되어 있으면, 기계에 말려들 우려가 있다. 그러나, 트림에는, 인장 강도가 상이한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기계 처리시에 비교적 인장 강도가 낮은 영역이 분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러한 패스닝 테이프(90)를 제조함으로써, 회수시에 연속된 상태에서 트림을 회수할 수 있으며, 또한 기계 처리시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미세하게 트림이 절단되기 때문에, 폐기 처리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구성 부품 적재 공정에서는, 백 시트를 구성하는 웹 상에,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나, 톱 시트를 구성하는 웹 등의 다른 웹, 누설 방지 시트, 흡수체, 레그 신축부(75) 등의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적재한다.
다리 둘레 형성 공정은, 톱 시트(50), 외장 시트(60), 및 백 시트(60a)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다.
절단 공정에서는, 톱 시트(50), 백 시트(60a), 흡수체(40) 등이 배치된 연속체를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1제품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0)가 제조된다.
(5) 비교 평가
표 1 및 표 2는, 패스닝 테이프의 비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실시예 7, 및 비교예 1∼4에 관련된 패스닝 테이프에 관해 시험을 실시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및 2에 관련된 패스닝 테이프에 관해 비교 평가를 행했다. 비교 평가의 시험에서는, 시판되는 유니·참 주식회사 제조의 일회용 기저귀 「무니 넨네시다테 S 사이즈」를 이용하여, 실시예 1∼3에 관련된 패스닝 테이프 및 비교예 1 및 2에 관련된 패스닝 테이프를 일회용 기저귀에 갈아 붙임으로써, 평가 시험용의 샘플을 준비했다.
평가 시험에서는, 유니·참 주식회사 제조의 일회용 기저귀 「무니 넨네시다테 S 사이즈」를 평소 사용하고 있는 모친을 대상으로 하여, 평소대로 장착·교환을 각 샘플에 관해 실시하게 하고, 「패스닝 테이프의 선단부를 가지고 교환하기 쉬운가」라고 질문을 했다. 또, 샘플마다 시험을 행하는 대상자를 변경하여, 시험을 행했다. 따라서, 시험을 행하는 대상자에게는, 평소 사용하고 있는 「무니 넨네시다테 S 사이즈」에 대하여 교환하기 쉬운가 또는 교환하기 어려운가를 질문했다.
상기 질문에 대하여, 이하의 (1)인 인수의 비율이 70%를 초과하는 샘플을 관능 평가(촉감)가 양호하고, ○로 평가했다. 또한, 이하의 (1)인 인수의 비율이 70% 이하인 샘플을 관능 평가(촉감)가 충분히 양호하지 않고, ×로 평가했다.
(1) 교환하기 쉬움
(2) 교환하기 어려움
이러한 평가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선단부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는, 5∼12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표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4∼7, 및 비교예 3 및 4에 관련된 패스닝 테이프에 관해 비교 평가를 행했다. 비교 평가의 시험에서는, 시판되는 유니·참 주식회사 제조의 일회용 기저귀 「무니 넨네시다테 S 사이즈」를 이용하여, 실시예 4∼7에 관련된 패스닝 테이프 및 비교예 3 및 4에 관련된 패스닝 테이프를 일회용 기저귀에 갈아 붙임으로써, 평가 시험용의 샘플을 준비했다. 또, 기재 시트는, 단위 중량 70 g/m2의 스펀본드 부직포와, 단위 중량 20 g/m2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적층한 적층 시트를 이용했다.
평가 시험에서는, 유니·참 주식회사 제조의 일회용 기저귀 「무니 넨네시다테 S 사이즈」를 평소 사용하고 있는 모친을 대상으로 하여, 평소대로 장착·교환을 각 샘플에 관해 실시하게 하고, 사용 후의 패스닝 테이프의 접합부에서의 아기 피부의 상태(붉은기의 유무)를 모친에게 확인시킨 후에, 「아기의 다리 주위에 적합할 것 같은가」에 관해 5단계 평가를 받았다.
상기 질문에 대하여, 이하의 (1) 또는 (2)인 인수의 비율이 70%를 초과하는 샘플을 관능 평가(촉감)가 양호하고, 「◎」로 평가하고, (1) 또는 (2)인 인수의 비율이 60%를 초과하는 샘플을 관능 평가(촉감)가 좋고, 「○」로 평가했다. (1) 또는 (2)인 인수의 비율이 60% 이하인 샘플을 관능 평가(촉감)가 충분히 양호하지 않고, 「×」로 평가했다.
(1) 매우 좋음
(2) 약간 좋음
(3) 어느쪽도 아님
(4) 별로 좋지 않음
(5) 전혀 좋지 않음
이러한 평가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접합부의 기재 시트(91)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훅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는, 2∼12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6)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여러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련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47993호(2012년 11월 12일 출원)의 전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도입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장착시의 위화감을 억제하면서, 장착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 : 일회용 기저귀,
20 : 앞 몸통 둘레 영역,
25 : 가랑이 아래 영역,
30 : 뒤 몸통 둘레 영역,
35 : 레그 개구부,
40 : 흡수체,
40a : 흡수성 코어,
40b : 코어 랩,
50 : 톱 시트,
60 : 외장 시트,
60a : 백 시트,
70 : 사이드 플랩,
75 : 레그 신축부,
80 : 레그 사이드 개더,
81 : 탄성 부재,
85 : 허리 둘레 신축부,
90 : 패스닝 테이프,
91 : 기재 시트,
92 : 훅 시트,
93 : 접합부,
95 : 타깃부,
96 : 선단부,
97 : 볼록부,
98 : 오목부,
115 : 절결,
125 : 절결,
200 : 크로치 신축부,
L : 제품 길이 방향,
W : 제품 폭 방향

Claims (9)

  1.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또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걸쳐, 또한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에 고정하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사이드 플랩에 연결된 기재 시트와,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에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걸어맞춤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기재 시트에 고정된 훅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사이드 플랩에 접합된 접합부와, 상기 훅 시트보다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선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선단부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길이는 5∼12 mm이고,
    상기 접합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상기 훅 시트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는 2∼12 mm이고,
    상기 훅 시트와 상기 선단부의 경계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기재 시트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와 상기 훅 시트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의 2배 이상으로서,
    상기 훅 시트는 상기 훅 시트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중간점보다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사이드 플랩에 중복되어 배치되고, 상기 접합부가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사이드 플랩보다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훅 시트가 형성된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훅 시트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경계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중간점보다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의 상기 제2 영역의 외형은 곡선형인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 시트와 상기 접합부의 거리는 2∼12 mm인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이 되는 볼록부와 상기 제품 길이 방향 내측을 향해 패이는 형상이 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곡선 형상인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단위 중량 30∼120 g/m2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기저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단위 중량 10∼80 g/m2의 부직포가 복수 적층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기저귀.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의 걸어맞춤력은 0.3 N/30 mm∼1.5 N/30 mm인 일회용 기저귀.
KR1020157013982A 2012-11-12 2013-11-08 일회용 기저귀 KR201500858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7993A JP5291234B1 (ja) 2012-11-12 2012-11-12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2-247993 2012-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820A true KR20150085820A (ko) 2015-07-24

Family

ID=4939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982A KR20150085820A (ko) 2012-11-12 2013-11-08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JP (1) JP5291234B1 (ko)
KR (1) KR20150085820A (ko)
CN (1) CN104780880B (ko)
AU (1) AU2013342439B2 (ko)
BR (1) BR112015010733A2 (ko)
MY (1) MY181849A (ko)
SA (1) SA515360416B1 (ko)
SG (1) SG11201503563VA (ko)
TW (1) TWI602552B (ko)
WO (1) WO2014073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6459B2 (ja) * 2016-02-01 2017-08-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9170729A (ja) * 2018-03-28 2019-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7049185B2 (ja) 2018-05-28 2022-04-0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N109805513B (zh) * 2019-03-06 2021-01-05 特步(中国)有限公司 一种扣带的制作工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4267B2 (ja) * 1997-12-01 2007-11-2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077707B2 (ja) * 2002-10-10 2008-04-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7870652B2 (en) * 2005-12-22 2011-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ers having improved comfort
AU2010246169A1 (en) * 2009-05-04 2011-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with highly extensible fastening member having stress distribution features
WO2010141819A1 (en) * 2009-06-04 2010-1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frangible bonding agent
JP5413000B2 (ja) * 2009-07-08 2014-02-1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止着テープ、止着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94197A (ja) 2014-05-22
SG11201503563VA (en) 2015-06-29
SA515360416B1 (ar) 2017-09-17
WO2014073648A1 (ja) 2014-05-15
AU2013342439B2 (en) 2017-07-20
TW201440744A (zh) 2014-11-01
AU2013342439A1 (en) 2015-06-04
JP5291234B1 (ja) 2013-09-18
CN104780880A (zh) 2015-07-15
MY181849A (en) 2021-01-11
BR112015010733A2 (pt) 2020-04-22
TWI602552B (zh) 2017-10-21
CN104780880B (zh)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2096B (en) Pull-o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5291214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50090098A (ko) 일회용 기저귀
JP6181407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425937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ための外側カバー
KR101919649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KR101778870B1 (ko) 일회용 기저귀
JP5940151B2 (ja) 吸収性物品
KR20150063961A (ko) 일회용 기저귀
JP5912491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20150085820A (ko) 일회용 기저귀
WO2014084236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91213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91215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735791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1688109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160147783A (ko) 1회용 기저귀 및 1회용 기저귀를 제조하는 방법
JP6184725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60037884A (ko) 일회용 기저귀
JP6118648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70122737A (ko) 일회용 기저귀
JP624041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00188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60037885A (ko) 일회용 기저귀
JP5697532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