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870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870B1
KR101778870B1 KR1020157013390A KR20157013390A KR101778870B1 KR 101778870 B1 KR101778870 B1 KR 101778870B1 KR 1020157013390 A KR1020157013390 A KR 1020157013390A KR 20157013390 A KR20157013390 A KR 20157013390A KR 101778870 B1 KR101778870 B1 KR 10177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air
product
waist reg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514A (ko
Inventor
야스히로 야마나카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와,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되는 한쌍의 타겟부(95)와, 타겟부가 고정되며,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 가능한 외장 시트(60)를 구비하고, 한쌍의 타겟부는, 제품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타겟부에는, 제1 무늬(M11)가 첨부되고 있고, 외장 시트의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는, 제1 무늬와 상사형의 제2 무늬(M12)가 첨부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의 앞 몸통 둘레 영역에는,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되는 타겟부가 마련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는, 착용자의 좌측의 위치와, 착용자의 우측의 위치에 분리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장착할 때는, 뒤 몸통 둘레 영역의 패스닝 테이프를 앞 몸통 둘레 영역측으로 끌어 당긴 후, 착용자의 좌측에 위치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좌측의 타겟부에 고착시키고, 착용자의 우측에 위치하는 패스닝 테이프를 우측의 타겟부에 고착시킴으로써,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장착할 수 있다.
장착자는,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장착시킬 때에 타겟부에 맞추어 패스닝 테이프를 고착하고 있으며, 타겟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패스닝 테이프를 고정한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를 타겟부에 잠그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 공개 소화56-7708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는, 좌측의 타겟부와 우측의 타겟부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폭 방향으로 연속한 타겟부와 비교하여, 타겟부의 면적이 작다. 패스닝 테이프를 잠그는 위치의 기준이 되는 타겟부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장착자는, 패스닝 테이프를 타겟부에 잠그기 어려워, 장착하기 어렵다고 하는 불안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를 잠그는 위치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조정하기 어렵다고 하는 불안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타겟부를 폭 방향에 연속하여 마련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좌측의 타겟부와 우측의 타겟부 사이에 대응하는, 연속한 타겟부의 폭 방향 중앙은, 일반적인 체형의 착용자에게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실질적으로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되지 않는 영역이다. 이러한 실질적으로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착지 않는 영역에 타겟부를 마련하면, 자재의 낭비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재의 낭비를 억제하면서, 장착하기 어려운 것이나 조정하기 어려운 것 등의 장착자의 불안감을 억제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가지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있고, 또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폭 방향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되는 한쌍의 타겟부와, 상기 한쌍의 타겟부가 고정되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 가능한 외장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타겟부는,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겟부에는, 제1 무늬가 첨부되고 있고, 상기 외장 시트의 상기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는, 제1 무늬와 상사형의 제2 무늬가 첨부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1-F1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F2-F2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배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1-F1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F2-F2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전개도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톱 시트(50),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레그 신축부(75) 및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탄성 부재(81)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 몸통 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뒤 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뒤 몸통 둘레부(등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쌍의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레그 개구부(35)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의 측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고 부르고, 제품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고 부른다.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걸쳐 있고, 또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수체(40)를 구비한다.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와 코어 랩(40b)에 의해 구성된다.
흡수성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하며, 분쇄 펄프나 고흡수 폴리머 등, 공지의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형의 코어 랩(40b)에 의해 싸여 있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면측의 일부는, 액체 투과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혹은 티슈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질량 약 10 g/㎡∼30 g/㎡의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 또는 질량 약 10 g/㎡∼30 g/㎡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에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된다. 또한,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에는,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60a)가 구비된다.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측 가장자리부에는,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된다. 사이드 플랩(70)은, 앞 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아래 영역(25),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걸쳐 있고, 또한 흡수체(40)보다 제품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매 중첩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사이드 플랩(70)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구비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한쌍으로서,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을 따라서 연장되어,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에 고착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타겟부(95)는, 한쌍으로서, 앞 몸통 둘레 영역 내의 피부 비접촉면에 배치되어,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고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겟부(95)의 구성은, 후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영역(20), 뒤 몸통 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몸통 둘레 유지부가 구성된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걸어 맞춤 부재가 마련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타겟부(95)가 마련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의 흡수체에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이드 플랩(70)에는, 레그 개구부(35)보다 제품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쌍의 레그 신축부(75)가 구비된다.
레그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길며,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레그 개구부(35)를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레그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으며, 일부가 레그 개구부(35)에 대하여 경사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나 실 고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는 부분이며,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은 상태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내측[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중앙쪽]에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구비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사이드 플랩(70)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종래에 있어서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70)과 별도의 시트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 사이에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마련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패스닝 테이프 사이를 제품 폭 방향으로 수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하는 부재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될 수 있는 한 얇고 굽힘 강성이 낮으며, 폭이 들어가는 비율이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 강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신체를 따라 구부러지기 쉬워져, 착용자의 신체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신체를 따라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폭이 들어가는 정도가 작은 재료에 의해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가 제품 폭 방향으로 신장한 경우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 방향의 수축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가 가랑이 하측으로 물러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로서, 단위 중량이 20 g/㎡∼45 g/㎡인 신축성 필름을 이용하였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길이의 1.5배∼2.5배로 연장된 후, 핫 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외장 시트(60)에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외장 시트(60)와 백 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 랩(40b)이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허리 둘레 신축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체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는, 사이드 플랩(70)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허리 둘레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허리 둘레 신축부가 제품 폭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에 연결된 기재 시트(91)와, 복수의 걸어 맞춤 부재로서의 걸어 맞춤 훅(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고, 기재 시트(91)에 고정된 훅 시트(92)를 구비한다. 훅 시트(92)는, 걸어 맞춤 부재가 마련된 영역이며, 전술한 몸통 둘레 유지부는, 훅 시트(92)로부터 제품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훅 시트(92)는, 기재 시트(91)에 고정, 구체적으로는 접합되어 있다.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의 접합은, 패스닝 테이프(90)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점형, 선형 혹은 스파이럴형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열 시일 등으로 접합되어도 좋다.
기재 시트(91)는,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매 중첩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91)로서는, 스펀 본드(SB) 또는 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SMS) 등의 제법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복수매의 경우는 합계 단위 중량)은, 30 g/㎡∼120 g/㎡이며, 바람직하게는 40 g/㎡∼90 g/㎡이다.
(2) 타겟부 및 외장 시트의 구성
한쌍의 타겟부(95)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폭 방향 중심을 지나며, 또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대상으로 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타겟부(95)는,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타겟부(95)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가 각각 고착하도록, 착용자의 좌측에 대응하는 위치와, 우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다.
타겟부(95)는, 패스닝 테이프의 걸어 맞춤 훅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훅과 루프의 걸림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타겟부로서는, 예컨대, 에어 스루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타겟부(95)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만들어진 섬유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에 부착된 루프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95)로서, 벌크 부직포로서, 그 일부를 엠보스함으로써 부직포 표면의 보풀이 이는 것을 방지한 부직포를 이용하여도 좋다.
타겟부에는, 제1 무늬(M11)가 첨부되어 있다. 제1 무늬(M11)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적어도 타겟부(95)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에 첨부되어 있으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무늬(M11)는, 격자형으로 배치된 마름모꼴의 무늬이며, 타겟부(95)를 구성하는 부직포를 엠보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타겟부(95)가 고정된 외장 시트(60)에는, 제2 무늬(M12)가 첨부되어 있다. 제2 무늬(M12)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적어도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에 첨부되어 있으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무늬(M12)는, 격자형으로 배치된 마름모꼴의 무늬이며, 외장 시트(60)를 구성하는 부직포를 엠보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무늬의 마름모꼴 무늬는, 제2 무늬의 마름모꼴의 무늬보다 크다.
또한, 외장 시트(60)는,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장 시트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피부 비접촉면측에 훅재가 걸리는 루프재가 마련된 시트재여도 좋다.
제1 무늬(M11)와 제2 무늬(M12)는, 상사형이면 좋고, 동일 치수의 형상이어도 좋으며, 치수가 상이하지만 형상이 동일한 상사형이어도 좋다. 또한, 제1 무늬(M11)와 제2 무늬(M12)는, 적어도 외형이 상사형이면 좋고, 윤곽이 되는 선의 개수나 선의 굵기가 상이한 구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제1 무늬 및 제2 무늬가, 다각형인 경우에는, 제1 무늬와 제2 무늬가 각수가 동일한 다각형으로서, 각의 각도가 상이한 구성도 상사형에 포함하는 개념이다.
외장 시트의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는, 제1 무늬(M11)와 상사형의 제2 무늬(M12)가 첨부되어 있다. 타겟부에 첨부된 제1 무늬(M11)와, 외장 시트의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 첨부된 제2 무늬(M12)가 상사형이기 때문에, 한쌍의 타겟부와 외장 시트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을 시각적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의 고착 대상은, 타겟부(95)로 하면서도, 장착자가 타겟부 사이의 영역을 일체화하여 인식함으로써, 타겟부의 면적이 작은 것에 기인하는 불안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는, 외장 시트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 고착 가능하기 때문에, 예컨대, 타겟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위치, 특히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 패스닝 테이프를 잠근 경우라도, 패스닝 테이프를 앞 몸통 둘레 영역에 잠궈,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할 수 있다.
한쌍의 타겟부(95) 사이의 영역은, 일반적인 체형의 착용자에게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되지 않는 영역이다. 이러한 영역에 타겟부를 마련하면, 자재의 낭비가 생긴다. 또한, 외장 시트(60) 등, 외장체를 구성하는 시트재보다 높은 강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타겟부(95)에 있어서는, 타겟부(95)의 배치 영역을 넓히면, 일회용 기저귀 전체의 강성이 높아져, 장착감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타겟부(95)를 좌우에 이격하여 마련함으로써, 자재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타겟부의 강성에 의한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가 좌우에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타겟부 사이의 영역을 만짐으로써,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 중심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밤 어두울 때 등, 시각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 중심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타겟부가 좌우에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타겟부의 사이의 영역보다 타겟부가 배치된 부분의 강성이 높아져, 타겟부가 배치된 영역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외장 시트와 타겟부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예컨대, 15 g/㎡∼100 g/㎡이다. 부직포에 이용하는 섬유질재는, 코어 시스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가 선택된다. 이 복합 섬유는, 코어 성분을 구성하는 수지보다, 시스 성분이 저융점인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수지의 배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한 배합 비율은 100%이다.
섬유질재로서는, 코어 성분/시스 성분이 예컨대, PP(폴리프로필렌)/PE(폴리에틸렌), PP/저융점 PP,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저융점 PET, PET/PE의 조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섬유질재에 혼합하는 섬유로서는, 섬유질재의 시스 성분 수지와 상용성이 양호한 것이 선택된다. 예컨대, 레이온, PET, PP,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아크릴, 우레탄, 코튼 등의 섬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섬유질재의 굵기는, 1 dtex∼15 dtex이며, 바람직하게는 1.5 dtex∼9 dtex이다. 1 dtex 미만에서는, 단사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 수부재와의 걸어 맞춤 시에 섬유 절단이 일어나기 쉬워지며, 카드에 의한 웨브 형성이 어려워져 생산성이 저하한다. 15 dtex를 넘는 경우에는, 촉감이 나빠지며, 단위 중량당의 섬유 개수가 적어져 수부재와의 걸어 맞춤 강도가 극단적으로 저하한다.
사용되는 섬유질재의 길이는, 25 ㎜∼100 ㎜이며, 바람직하게는 30 ㎜∼60 ㎜이다. 길이가 25 ㎜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가 지나치게 짧기 때문에, 보풀 발생의 원인이 되고, 길이가 100 ㎜를 넘으면 카드에 의한 웨브의 형성이 어려워져 생산성이 저하한다.
외장 시트는, 예컨대 권축 섬유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로서는, 예컨대 열 수축 권축법를 이용한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열 수축 권축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융점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원재료 폴리머,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이나 코어 시스형에 따른 복합 섬유를 방사하여, 상기 융점의 차에 의한 열 수축차에 의해 권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을 코어, 에틸렌·프로필렌의 코폴리머를 시스로 하는 편코어시스형에 따른 열 수축 권축법에 의해 얻어지는 복합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원하는 권축수, 권축률, 권축 신장률, 권축 복원률 등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로 함으로써, 벌크 부직포로 할 수 있어, 엠보스에 의한 무늬를 시인하기 쉽게 하면서, 양호한 촉감을 실현할 수 있다.
외장 시트와 타겟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어, 착용자 등이 접하는 일이 많다. 외장 시트와 타겟부를 부직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장 시트와 타겟부를 부직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루프재로서 기능하여, 별도 루프재를 마련하는 일없이, 패스닝 테이프의 훅재와 걸어 맞출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타겟부의 엠보스율은, 외장 시트의 엠보스율보다 높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엠보스율이란, 전체 면적에 대한 엠보스가 형성된 면적의 비율이다. 타겟부의 엠보스율이 높기 때문에, 섬유의 보풀이 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 반복하여 패스닝 테이프를 착탈하였을 때에,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풀이 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엠보스부이지만,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 중 적어도 한쪽은, 엠보스 가공, 열 용착, 및 초음파 시일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엠보스 가공, 열 용착, 및 초음파 시일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1 무늬(M11)나 제2 무늬(M12)를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 중에 형성 대상 부위의 부직포에 대하여 용이하게 무늬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압력 및 발진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무늬가 되는 부위의 정도(농담이나, 주위에 대하여 눈에 띄게 하거나 눈에 띄지 않게 하거나, 윤곽을 또렷하게 하는 등)를 컨트롤하기 쉽기 때문에, 시인하기 쉬운 무늬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 중 적어도 한쪽은, 외장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배치된 백 시트의 착색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부는, 백 시트의 외장 시트측의 면에 마련할 수 있다. 백 시트에 착색부를 마련함으로써, 착용자 및 장착자가 가장 만지는 외장 시트의 부직포의 촉감이나 유연성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착색부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타겟부 및 외장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높은 복수열의 볼록형의 섬유 조밀부와, 이들 섬유 조밀부 사이에 마련되어 섬유 조밀부보다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낮은 홈형의 복수열의 섬유 성김부를 마련하고, 섬유 조밀부 또는 홈부를 제1 무늬(M11) 또는 제2 무늬(M12)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무늬(M11)와 제2 무늬(M12)를 마련하고, 또한 다른 구성에 따라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와 상이한 모양을 첨부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엠보스 가공으로 이루어지는 제1 무늬(M11)와 제2 무늬(M12)를 마련하고, 또한 섬유 조밀부 및 섬유 성김부로 이루어지는 줄무늬형의 모양을 타겟부나 외장 시트 전체에 첨부하여도 좋다.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는,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와 상이한 제3 무늬(M13)가 첨부되어 있다. 제3 무늬(M13)는, 백 시트에 인쇄된 착색부이며, 캐릭터의 무늬이다. 제3 무늬(M13)는, 한쌍의 타겟부(95)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3 무늬(M13)는,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와 상이하다. 무늬가 상이하다는 것은, 적어도 외형 형상이 상이한 것이며, 상사형을 포함하지 않는 개념이다.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는,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와 상이한 제3 무늬(M13)가 첨부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무늬(M11)와 제2 무늬(M12)와 상이한 형상의 제3 무늬(M13)에 의해,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의 폭 방향 중앙의 위치를 장착자에게 파악시킬 수 있다.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의 폭 방향 중앙의 위치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 중앙에 대응하고 있다.
장착자는,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 시에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 중앙을 착용자의 신체의 중심에 위치 맞춤한다.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의 폭 방향 중앙에 제3 무늬(M13)를 마련함으로써, 장착자는, 장착 시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제3 무늬(M13)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이기 때문에, 장착자는, 패스닝 테이프를 타겟부에 고착하기 전의 상태에서 항상 시인 가능하다.
또한, 야간 등, 비교적 어두운 장소에 있어서도, 제3 무늬(M13)를 기준으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의 위치 맞춤을 행하기 때문에, 제3 무늬(M13)는,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보다 눈에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3 무늬(M13)의 치수를 제1 무늬(M11)의 치수 및 제2 무늬(M12)의 치수보다 크게 하는 것이나, 제3 무늬(M13)의 색과, 제1 무늬(M11)의 색 및 제2 무늬(M12)의 색을 보색의 조합으로 하고, 또한 제1 무늬(M11)의 색과 제2 무늬(M12)의 색을 보색의 조합으로 하지 않음으로써, 제1 무늬(M11) 및 제2 무늬(M12)보다 제3 무늬(M13)를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짙은 색의 무늬로서, 흑색량이 많고, 백색량이 적으며, 순색량이 많은 무늬를 선택할 수 있다.
패스닝 테이프와 외장 시트의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과의 걸어 맞춤력은, 패스닝 테이프와 타겟부의 걸어 맞춤력보다 낮다.
패스닝 테이프의 선단(도 1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폭 방향 외측 단부)에는, 훅 시트(92)가 접합되어 있지 않아, 패스닝 테이프의 착탈 조작을 할 때에, 착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된다.
패스닝 테이프가 타겟부(95)에 고착된 상태로, 패스닝 테이프의 선단(도 1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폭 방향 외측 단부)은, 패스닝 테이프의 훅 시트(92)보다 제품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를 타겟부(95)로부터 제거할 때는, 착용자는, 패스닝 테이프를 제품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잡아당긴다.
이때, 예컨대, 패스닝 테이프의 훅 시트(92)가 타겟부(95)와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 걸쳐 고착되어 있는 경우, 훅 시트(92)와 외장 시트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고, 이어서, 훅 시트(92)와 타겟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떼어내기 위해, 패스닝 테이프와 외장 시트의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과의 걸어 맞춤력이 패스닝 테이프와 타겟부의 걸어 맞춤력보다 낮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를 원활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패스닝 테이프(90)가 타겟부(95)에 고착한 상태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둘러싸는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였을 때에, 패스닝 테이프가 타겟부로부터 박리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패스닝 테이프가 타겟부로부터 박리되는 힘은, 레그 개구부(35)측으로부터 작용한다. 따라서, 타겟부 사이의 영역보다 타겟부에 강하게 작용한다.
이때, 패스닝 테이프와 타겟부의 걸어 맞춤력이, 패스닝 테이프와 외장 시트의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과의 걸어 맞춤력보다 높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가 타겟부로부터 박리되는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패스닝 테이프와 타겟부의 걸어 맞춤을 풀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걸어 맞춤력」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걸어 맞춤력은, 시마즈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오토그래프 시험기(AG-X10plu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대상의 패스닝 테이프로부터 훅 시트와 기재 시트를 폭 30 ㎜(폭 30 ㎜로 절취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는, 폭 30 ㎜당으로 환산하여 결과를 판단)로 절취한 샘플을 준비하였다. 마찬가지로, 패스닝 테이프가 걸리는 타겟부(외장 시트)를, 훅 시트보다 큰 사이즈로 절취한 샘플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700 g 롤러(직경 85 ㎜, 폭 45 ㎜)를 5 ㎜/분의 속도로 주된 패스닝 테이프의 착탈 방향을 따라 움직여 양 샘플을 압착하였다. 압착한 양 샘플을, 오토그래프 시험기에 셋트하고, 인장 속도 300 ㎜/분에 있어서의 양 샘플의 걸어 맞춤력을 측정하였다(단위: N/30 ㎜). 이때, 인장하는 방향은, 타겟 테이프면에 대하여, 훅 시트면이 135°의 각도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훅 시트의 필 방향은, 패스닝 테이프를 타겟부로부터 벗길 때에 있어서의 주된 방향으로 하였다.
한쌍의 타겟부의 한쪽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L11)는, 50 ㎜∼90 ㎜이며, 한쌍의 타겟부의 한쪽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L12)는, 30 ㎜∼50 ㎜이다. 외장 시트의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L13)는, 20 ㎜∼50 ㎜이다. 또한, 한쌍의 타겟부의 제품 폭 방향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120 ㎜∼230 ㎜이다.
패스닝 테이프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는, 걸어 맞춤력의 확보와 다리 구멍을 방해하지 않는 관점에서 20 ㎜-40 ㎜로 한다. 타겟부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L12)는, 패스닝 테이프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패스닝 테이프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10 ㎜ 이상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겟부의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를 지나치게 길게 하지 않음으로써, 패스닝 테이프의 잠금 위치의 기준이 되어, 잠금 위치를 헤매지 않고 적정한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패스닝 테이프의 선단인 파지부의 제품 폭 방향의 폭은, 조작성의 관점에서 10 ㎜ 정도로 한다. 또한, 훅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폭은, 걸어 맞춤의 안정성과 조작성의 관점에서 15 ㎜∼30 ㎜로 한다. 타겟부의 한쪽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L11)는, 적어도 훅 시트가 고착되는 치수이면 좋고, 50 ㎜∼90 ㎜로 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의 한쪽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L11)가 훅 시트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훅 시트의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배의 부풂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장 시트의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L13)는, 20 ㎜∼50 ㎜이기 때문에, 인식 가능한 사이즈의 디자인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길이」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취출하고, 그 상태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 하에 있어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이어서, 신와소쿠테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스프링 메저(테이프: 유리 섬유가 들어간 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게 하도록 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이 상태의 길이를 측정한다. 여기서, 10 샘플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에서 전술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길이로 하였다.
(3) 크로치 신축부의 형상
다음에, 크로치 신축부(200)의 형상에 관해서 설명한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보다,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시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의 일부에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 또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레그 신축부(75)와는 개별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40a)와 중첩되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코어(40a)를 둘러싸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첩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의 60% 이상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분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되어,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되지 않은 부분과 비교하여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앞 몸통 둘레 영역이나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수축되지 않는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웨이스트 둘레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의 가랑이 아래부에 평탄한 형상으로 유지되는 크로치 신축부(200)가 과도하게 신체에 밀착하는 일이 없으며,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가 적절하게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가,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경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기 쉬워져, 착용 시에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신체를 따라 평탄한 가랑이 아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기립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의 피트성이 향상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안정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에 걸쳐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은,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착용자의 움직임이 있었던 경우(특히, 잠자는 자세에서 발을 올리거나, 서거나, 앉거나 하였을 때)에는, 착용자의 신체의 표면의 피부의 신축량(길이의 변화량)은, 배측보다도 등측(둔부) 쪽이 커진다.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을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에 배치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를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움직임이 있었던 경우라도, 착용자의 피부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일회용 기저귀(10)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르는 방향으로 움직여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 시트에 의해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성 시트를 배치한 영역의 흡수성 코어(40a)가 똑같이 수축되어, 평탄한 형상 유지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신축성 시트는, 예컨대, 레그 신축부(75)와 동일한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형·띠형의 탄성 부재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를 똑같이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끼리의 간격이 7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면 좋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를 똑같이 수축시키기 위해, 인접하는 탄성 부재의 간격의 차는,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은, 구체적으로는, 1.2배 이상, 1.8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은, 1.4배로 설정된다. 신장률은,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신장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되는 신장률은, 신축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의 정도를 의미하고,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장률=(최대 신장 상태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또한, 신장률의 측정은, 전술한 레그 신축부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을, 1.2배 이상 1.8배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의 신축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신체 전방측이 수축하는 것 같은 앞으로 굽힌 자세를 취하면, 착용자의 둔부측의 피부에 있어서, 신체를 신장시킨 상태에 대하여 30% 정도 신장하는 부위가 존재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을 1.2배 미만으로 하면,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고, 크로치 신축부(20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부에 있어서의 흡수체 영역의 수축이 작아,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있어서, 신체를 따르도록 평탄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불충분해져 버린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을 1.8배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축 치수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가 존재하는 영역이, 신체를 따르는 것보다 밀착하는 상태가 되기 쉬워,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하방으로 어긋나기 쉬워져 버린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의 2%∼8%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수축량은, 주름이 충분히 작아져, 샘플의 표면이 평활에 근접하도록 신장한 상태에서의 길이(「b(㎜)」)와, 샘플의 신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에서의 길이(「a(㎜)」)의 차이며, (b-a)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을,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의 2%∼8%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게 대하여 장착하는 과정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가, 바람직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기 쉬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을, 8%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가, 지나치게 수축되어 버려,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아,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붙이기 어려워지거나, 일회용 기저귀(10) 및 착용자의 신체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과도하게 밀착하여 어긋나기 쉬워지거나 하여 버린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을, 2% 미만으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시킨다고 하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효과 그 자체가 발현되기 어려워져 버린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은,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흡수성 코어(40a)의 강성 및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의 강성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탄성 부재의 굵기나 배치하는 피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10) 본체를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로 하였을 때에,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측 가장자리부 전체 영역이 수축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4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는, 절결(115)[절결(125)]이 형성된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결(115) 및 절결(125)은,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저강성부에 해당한다. 또한, 절결(115) 및 절결(125)을 형성하는 대신에, 절결(115) 및 절결(125)의 영역을,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존재한다. 또한, 절결(115) 및 절결(125)이 형성되어 있어도,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는 일없이 특히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제품 폭 방향(W) 외측으로 감에 따라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가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 외측이 보다 수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평탄한 「바닥부」가 보다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절결(115)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 쪽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절결(125)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 쪽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바닥부」로부터 기립하여, 착용자의 몸(복부 및 둔부)의 곡선을 따르도록 만곡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 그 자체의 형상이 착용자의 몸의 형태에 보다 근접할 수 있다.
또한, 절결(115)[절결(125)]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뒤 몸통 둘레 영역(30)] 쪽의 가장자리부는, 원호형이다. 절결(115)[절결(125)]의 가장자리부는, 원호의 중심이 그 가장자리부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앞 몸통 둘레 영역(20)]에 위치하는 것 같은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착용자의 몸의 곡선을 따른 변형이 보다 용이하고도 현저하게 일어나기 쉽다.
(4)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지 않는 방법에 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은, 일례이며,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구성 부품 형성 공정과, 구성 부품 배치 공정과, 다리 둘레 형성 공정과, 절단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구성 부품 형성 공정에서는,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흡수 재료를 적층하여 흡수체(40)를 성형한다.
구성 부품 배치 공정에서는, 백 시트를 구성하는 웨브 상에,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나, 톱 시트를 구성하는 웨브 등의 다른 웨브, 샘 방지 시트, 흡수체, 레그 신축부(75) 등의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배치한다.
다리 둘레 형성 공정은, 톱 시트(50), 외장 시트(60), 및 백 시트(60a)를 절단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다.
절단 공정에서는, 톱 시트(50), 백 시트(60a), 흡수체(40) 등이 배치된 연속체를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1제품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가 제조된다.
(5) 그 외의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하였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여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여러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2-247497호(2012년 11월 9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자재의 낭비를 억제하면서, 장착하기 어려움이나 조정하기 어려움 등의 불안감을 억제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10: 일회용 기저귀
20: 앞 몸통 둘레 영역
20E: 외측 단부
25: 가랑이 아래 영역
30: 뒤 몸통 둘레 영역
30E: 외측 단부
35: 레그 개구부
35I: 내측 단부
40: 흡수체
40a: 흡수성 코어
40b: 코어 랩
50: 톱 시트
60: 외장 시트
60a: 백 시트
70: 사이드 플랩
75: 레그 신축부
77: 둔부 신축부
77F: 전단부
80: 레그 사이드 개더
81: 탄성 부재
85: 허리 둘레 신축부
90: 패스닝 테이프
91: 기재 시트
92: 훅 시트
95: 타겟부
115: 절결 125: 절결
200: 크로치 신축부
M11: 제1 무늬
M12: 제2 무늬
M13: 제3 무늬
L: 제품 길이 방향
W: 제품 폭 방향

Claims (9)

  1.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가지고,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있고, 또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폭 방향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되는 한쌍의 타겟부와,
    상기 한쌍의 타겟부가 고정되며,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착 가능한 외장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타겟부는,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겟부에는, 제1 무늬가 첨부되고 있고,
    상기 외장 시트의 상기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는, 제1 무늬와 동일한 치수가 아니면서 제1 무늬와 상사형인 제2 무늬가 첨부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시트와 상기 타겟부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늬 및 상기 제2 무늬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엠보스 가공, 열 용착, 및 초음파 시일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배치된 백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백 시트의 상기 외장 시트측의 면에는 착색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늬 및 상기 제2 무늬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백 시트의 상기 착색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배치된 백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백시트의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제1 무늬 및 상기 제2 무늬와 상이한 제3 무늬가 첨부되어 있고,
    상기 제3 무늬는, 상기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의 상기 제품 폭 방향 중앙, 또는 상기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외장 시트의 상기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의 걸어 맞춤력은, 상기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타겟부의 걸어 맞춤력보다 낮은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타겟부의 한쪽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길이는 50 ㎜∼90 ㎜이며, 상기 한쌍의 타겟부의 한쪽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는 30 ㎜∼50 ㎜이고,
    상기 외장 시트의 상기 한쌍의 타겟부 사이의 영역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길이는 20 ㎜∼50 ㎜인 일회용 기저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늬 및 상기 제2 무늬는, 상기 외장 시트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겟부의 엠보스율은, 상기 제2 무늬를 구성하는 외장 시트의 엠보스율보다 높은 일회용 기저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무늬는, 엠보스 가공, 열 용착, 초음파 시일, 및 섬유의 단위 중량의 차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무늬는, 상기 엠보스 가공, 상기 열 용착, 상기 초음파 시일, 및 섬유의 단위 중량의 차이 중, 제1 무늬와 다른 구성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57013390A 2012-11-09 2013-11-08 일회용 기저귀 KR101778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7497A JP5291233B1 (ja) 2012-11-09 2012-11-09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2-247497 2012-11-09
PCT/JP2013/080239 WO2014073637A1 (ja) 2012-11-09 2013-11-08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514A KR20150085514A (ko) 2015-07-23
KR101778870B1 true KR101778870B1 (ko) 2017-09-14

Family

ID=4939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390A KR101778870B1 (ko) 2012-11-09 2013-11-08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JP (1) JP5291233B1 (ko)
KR (1) KR101778870B1 (ko)
CN (1) CN104768511B (ko)
AU (1) AU2013342428B2 (ko)
BR (1) BR112015009992A2 (ko)
IN (1) IN2015DN04292A (ko)
MY (1) MY165123A (ko)
SG (1) SG11201503545XA (ko)
TW (1) TWI631938B (ko)
WO (1) WO2014073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3878B2 (ja) * 2014-09-30 2017-10-1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50719B2 (ja) * 2016-02-29 2017-12-20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20068522A1 (en) 2018-09-27 2020-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arment-like absorbent articles
TWI681560B (zh) * 2019-04-23 2020-01-01 立景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其製造方法
JP7053699B2 (ja) * 2020-02-27 2022-04-1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7096857B2 (ja) * 2020-05-12 2022-07-0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7454708B2 (ja) 2020-06-12 2024-03-2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締結システムを有する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9026A1 (en) 2000-09-01 2002-03-07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backing sheet having continuous filaments
US20030004490A1 (en) 2001-06-07 2003-01-02 Bjorn Larsson Absorbent product such as a diaper, an incontinence pad or the like
JP2012100752A (ja) 2010-11-08 2012-05-31 Livedo Corporation 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36A (ja) * 1999-08-20 2001-02-27 Uni Charm Corp 模様シートを有する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61961B2 (ja) * 2003-01-09 2007-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及びファスニングテープ基材の固定方法
US20060264858A1 (en) * 2005-05-20 2006-11-23 Roe Donald C Multi-functional training garment
US8663184B2 (en) * 2005-08-05 2014-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 multifunctional side panel
US8241263B2 (en) * 2005-08-26 2012-08-14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article
ES2541151T3 (es) * 2006-10-27 2015-07-16 Paul Hartmann Ag Artículo de incontinencia absorbente con sistema de cierre mejorado
TWM353730U (en) * 2008-07-16 2009-04-01 Qi-Hui Cai Environment-friendly underpants capable of releasing pressure and saving energ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9026A1 (en) 2000-09-01 2002-03-07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backing sheet having continuous filaments
US20030004490A1 (en) 2001-06-07 2003-01-02 Bjorn Larsson Absorbent product such as a diaper, an incontinence pad or the like
JP2012100752A (ja) 2010-11-08 2012-05-31 Livedo Corporation 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5DN04292A (ko) 2015-10-16
MY165123A (en) 2018-02-28
SG11201503545XA (en) 2015-06-29
BR112015009992A2 (pt) 2019-12-17
JP5291233B1 (ja) 2013-09-18
KR20150085514A (ko) 2015-07-23
CN104768511A (zh) 2015-07-08
AU2013342428A1 (en) 2015-06-11
TW201440743A (zh) 2014-11-01
WO2014073637A1 (ja) 2014-05-15
AU2013342428B2 (en) 2017-12-07
JP2014094159A (ja) 2014-05-22
CN104768511B (zh) 2018-07-13
TWI631938B (zh) 201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870B1 (ko) 일회용 기저귀
JP5996555B2 (ja) 吸収性物品
EP2805700B1 (en) Disposable worn article
KR20150090098A (ko) 일회용 기저귀
KR101919649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KR20150063961A (ko) 일회용 기저귀
EP2891479B1 (en) Pull-on clothing article
JP5291234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118648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946801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2315291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14204756A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29977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933193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200188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19366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4041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1495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168696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057412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717682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